KR20230000747U - 범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47U
KR20230000747U KR2020210003039U KR20210003039U KR20230000747U KR 20230000747 U KR20230000747 U KR 20230000747U KR 2020210003039 U KR2020210003039 U KR 2020210003039U KR 20210003039 U KR20210003039 U KR 20210003039U KR 20230000747 U KR20230000747 U KR 202300007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upling
flange
present
switc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632Y1 (ko
Inventor
송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Priority to KR2020210003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3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범용 스위치 장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외주에 구비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용 스위치 장치{APPARATUS FOR UNIVERSAL SWITCH}
본 고안은 유선 또는 무선을 기반으로 전기/전자장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호 체결되는 결합 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스위치 버튼의 크기, 개수 등에 무관히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벽부 등에 매립되거나 전부/일부분이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스위치 장치는 공간 내에 설치된 조명 등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물리적 조작 등에 의하여 조명 등의 장치를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스위치 장치의 경우, 전원 제어를 위한 모듈, 배선을 위한 구성, 릴레이 등의 부품 등이 내부에 탑재되는 브라켓(하우징) 및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제어의 대상이 되는 장치(조명 등)에 대응되는 개수의 스위치 버튼을 포함한다.
외측으로 노출된 스위치 버튼이 물리적으로 조작되는 등의 작동이 이루어지면 이 물리적 변위 또는 전기/전자적 감응 등에 연동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조명 제어 등을 위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스위치장치는 특정 공간에 설치된 조명장치 등에 대응되는 개수의 스위치 버튼이 구비되므로 스위치 버튼이 구비된 개수 별로 서로 다른 스위치 장치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버튼이 구비된 개수마다 스위치 장치가 제작되어야 하므로 각 장치마다 금형 제작 등의 공정이 요구되므로 제조 원가가 높아짐은 물론, 공정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이후, 공간 내 조명 장치의 개수, 제어 그룹의 수 등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기존 스위치 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비용 경제성은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스위치 버튼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스위치 버튼의 개수에 무관히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범용 스위치 장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외주에 구비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상기 체결부와 상기 결합부 중 하나는 회전 또는 걸림 결합이 가능한 결합구조가 단부에 구비되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결합구조를 수용하는 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홈부는 수직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위간격 또는 상기 단위간격의 n(n은 2이상의 자연수)배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 단위홈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상기 스위치 버튼의 체결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간격의 m(m은 1이상의 자연수)배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에 탑재되며,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치 버튼에 구비되는 체결부의 일부는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2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스위치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스위치 버튼에 구비되는 결합부와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며 브라켓(하우징)의 플랜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부 사이의 착탈 가능한 유기적 결합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버튼의 개수에 무관히 동일한 브라켓을 적용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의 범용적 사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플랜지에 구비되는 복수 개 체결부 사이의 간격 및 스위치 버튼에 구비되는 복수 개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각각 단위간격의 정수배가 되도록 표준화시킴으로써 제작 공정의 효율성 및 사용의 범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스위치 버튼의 사후적 변경에 더욱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는 경우, 스위치 버튼과 플랜지가 상호 결합되는 부위가 스위치커버에 의하여 커버링될 수 있어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한 보호는 물론, 스위치 장치 전체의 외적 미관을 더욱 유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과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서로 다른 스위치 버튼이 장착되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범용 스위치 장치(이하 '스위치 장치'라 지칭한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장치(1000)는 벽부에 매립되거나 부착되는 형태 또는 이에 준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일반적인 스위치 장치와 그 형상이나 외적 구조 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1000)의 전면(양의 X축 방향) 방향으로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버튼(300)이 구비되며, 스위치 버튼(300)이 작동되는 경우 해당 스위치 버튼(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조명 등)의 구동이 제어된다.
조명 장치와 스위치 버튼(300) 각각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동일 조명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램프의 개수, 밝기 등이 차등적으로 조정되는 등의 방법으로 스위치 버튼(300)의 각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는 스위치 버튼(300)이 3개가 구비된 실시예(300-1, 300-2, 300-3)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도 4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라서 스위치 버튼(300)의 개수는 하나, 둘 또는 넷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례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1000) 중 스위치 버튼(300)을 제외한, 하우징(100) 및 플랜지(200) 등의 구성을 '박스 프레임'으로 총칭한다.
본 고안은 스위치 버튼(300)이 구비된 개수가 다르거나 또는 사후적으로 스위치 버튼(300)이 구비된 개수(그에 따른 크기 등)가 변경되더라도 다른 크기 또는 다른 개수의 스위치 버튼(300)이 동일한 박스 프레임에 그대로 적응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범용성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1000)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바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전면 또는 전방 등으로 정의하며, 좌우측 방향은 Y축 방향을, 수직 방향은 Z축 방향을 그 기준으로 정하여 본 고안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장치(1000)의 내부 구성과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우징(100)은 회로기판(500), 커넥터(미도시), 릴레이(미도시), 배선 라인(미도시) 등이 내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250)을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하우징(100)의 형상은 일 예일 뿐, 예시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형상, 구조, 크기 등에서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플랜지(200)는 하우징(100)의 전면(양의 X축 기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조립 공정 또는 설치 작업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250)이 노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전면 외주 부분에서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홀(hole) 또는 스위치커버(4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홀 등이 플랜지(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플랜지(200)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는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 고안의 스위치 버튼(300)은 상기 복수 개 결합부(210) 중 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와 플랜지(200)의 결합부(210) 중 하나는 회전 또는 걸림 결합 등과 같은 결합구조가 단부에 구비되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결합구조를 수용하는 홈부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이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가, 단부에 걸림 결합구조(A) 또는 회전 결합구조(B, 도 3 참조)가 구비된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00)의 결합부(210)가 상기 돌출 형상의 체결부(310)를 수용하는 홈부로 이루어지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0)의 결합부(210)가 홈부 형상을 가지며,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가 돌출 형상을 가지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홈부/결합부(210)는 수직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위간격(D1, 도 2참조)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고안의 홈부/결합부(21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위간격(D1)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거나 또는 단위간격(D1)의 n(n은 2이상의 자연수)배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 개 단위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도록,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간격(D1)의 m배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m은 1이상의 자연수로서 n과 동수(同數)일 수 있으며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경우, 수직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단위간격(D1) 등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의 홈부(210)가, 스위치 버튼(30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200)에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스위치 버튼(300)의 크기와 개수가 다르거나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복수 개 홈부(210) 중 스위치 버튼(300)의 크기 등에 부합되는 적절한 위치의 홈부(210)에 스위치 버튼(300)이 적응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동일한 '박스 프레임'(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중 스위치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총칭)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결합부(210)는 수평 또는 수직 또는 대각선 등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스위치 장치의 일반적인 형상, 구조 등을 고려할 때, 플랜지(200)에 형성되는 결합부(210) 즉, 홈부(2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길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버튼(300)에 구비되는 체결부(310) 또한, 이와 같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플랜지(200)의 우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210)의 단위간격(D1)과 좌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210)의 단위간격(D2, 도 3 참조)이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구비되는 위치 또한, 이와 같다.
또한, 스위치 버튼(3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걸림 구조 등에 의하여 이탈이 억제되는 형상이 단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다른 위치의 체결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의 회전 결합구조(B)가 단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서로 다른 스위치 버튼(300)이 장착되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3종의 스위치 버튼(300)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1000)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단위간격(D1/D2)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홈부(210)가 플랜지(20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위간격 또는 단위간격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간격을 가지는 체결부(310)가 스위치 버튼(300)에 구비되면 스위치 버튼(300)의 크기와 개수와 무관히 동일한 박스 프레임(브라켓)을 이용하여 다종의 스위치 장치(10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외적 미감을 높임은 물론, 체결부(310)와 결합부(210) 사이의 결합 구조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위치 장치(1000)는 상기 스위치 버튼(30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410)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버튼(300)이 상기 플랜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커버(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 장치(1000)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확장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p×q(p, q는 2이상의 자연수)개의 스위치 버튼(300)이 적용되는 형태로도 본 고안의 스위치 장치(10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되거나 안착되는 등의 형태로 하우징(100)에 탑재되는 회로기판(500)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부(5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510) 또한, 결합 용이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결합부(210)와 같이 수직 길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선형적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위치 버튼(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 체결부(310) 중 일부는 플랜지(200)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제2결합부(5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조립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 중 회전 결합구조(B)가 단부에 구비된 체결부(310)는 플랜지(200)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회전식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스위치 버튼(300)의 체결부(310) 중 걸림 결합구조(A)가 단부에 구비된 체결부(310)는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제2결합부(510)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장치의 경우, CPU, 메모리, 통신모듈 등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이 필수적으로 적용되므로 본 고안은 다른 추가적인 구성의 부가없이 앞서 기술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확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스위치 장치
100 : 하우징 200 : 플랜지
210 : 결합부(홈부) 250 : 내부공간
300 : 스위치 버튼 310 : 체결부
A : 걸림 결합구조 B : 회전 결합구조
400 : 스위치커버 410 : 개구부
500 : 회로기판 510 : 제2결합부

Claims (6)

  1.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외주에 구비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결합부 중 하나는,
    회전 또는 걸림 결합이 가능한 결합구조가 단부에 구비되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결합구조를 수용하는 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수직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위간격 또는 상기 단위간격의 n(n은 2이상의 자연수)배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 단위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버튼의 체결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간격의 m(m은 1이상의 자연수)배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탑재되며, 길이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버튼에 구비되는 체결부의 일부는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2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버튼이 상기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스위치 장치.

KR2020210003039U 2021-10-08 2021-10-08 범용 스위치 장치 KR200497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39U KR200497632Y1 (ko) 2021-10-08 2021-10-08 범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39U KR200497632Y1 (ko) 2021-10-08 2021-10-08 범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47U true KR20230000747U (ko) 2023-04-17
KR200497632Y1 KR200497632Y1 (ko) 2024-01-11

Family

ID=8609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39U KR200497632Y1 (ko) 2021-10-08 2021-10-08 범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10A (ko) * 2014-03-13 2015-09-23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160003799A (ko) * 2014-01-31 2016-01-1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799A (ko) * 2014-01-31 2016-01-1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KR20150107610A (ko) * 2014-03-13 2015-09-23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용 커버 및 조작 단말기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632Y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39612A (ja) 少なくとも1つのベースモジュールを備えたモジュールアッセンブリ
JP2018118687A (ja) 照明ユニット
KR20230000747U (ko) 범용 스위치 장치
JP6347360B2 (ja) スイッチ用カバー、操作端末器
JP6486101B2 (ja) 表示灯一体型発信機、表示灯
US5155664A (en) Operator interface panel assembly for use with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EP0823352A1 (en) Rotary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and rotary connector
CA3070983A1 (en) Bracket, functional module, mounting method of electrical device and the electrical device
CN105047487A (zh) 具有定位插销的智能断路器
CN103077840B (zh) 发光按键装置及电器设备
CN211530945U (zh) 一种编码器连接结构、电机以及编码器
JP2015176650A (ja) スイッチ用カバー、操作端末器
KR101049120B1 (ko) 건조기의 pcb 고정 인슐레이터
ATE237189T1 (de)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ät mit zusatzmodul
CN104833382B (zh) 一种多节插套式安防传感器
JP2009004098A (ja) 付加機能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JP2020161401A (ja) 照明装置
KR200213339Y1 (ko) 환편기용 조명등 케이싱
CN218954745U (zh) 一种连接结构及筒灯应急电源装置
CN211123344U (zh) 一种用于低压电器导光装置的安装结构件
AU2021107525A4 (en) A housing assembly for an emergency light and an emergency light including the same
CN210468953U (zh) 电机尾盖及电机
KR101285381B1 (ko)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S605363Y2 (ja) シ−ケンスコントロ−ラ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