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067A - 방적사 및 직편물 - Google Patents
방적사 및 직편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7067A KR20150137067A KR1020157026280A KR20157026280A KR20150137067A KR 20150137067 A KR20150137067 A KR 20150137067A KR 1020157026280 A KR1020157026280 A KR 1020157026280A KR 20157026280 A KR20157026280 A KR 20157026280A KR 20150137067 A KR20150137067 A KR 201501370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 yarn
- fiber
- mass
- flat multi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 D03D15/0083—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14—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rand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 Y10T442/3122—Cross-sectional configuration is multi-lob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소프트한 감촉을 갖고, 또한 천연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말할 수 없었던 높은 흡수성, 속건성 및 비침 방지성의 기능도 겸비한 방적사를 얻을 수 있고, 의료 용도, 특히 이너셔츠나 스포츠 셔츠에 적합한 방적사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방적사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80질량%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20∼80질량%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로서,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형상이 원주 상에 6개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이며, 그 편평도 및 이형도를 규정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방해서 이루어지는 방적사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방적사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80질량%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20∼80질량%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로서,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형상이 원주 상에 6개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이며, 그 편평도 및 이형도를 규정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혼방해서 이루어지는 방적사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호한 흡수성, 속건성, 비침 방지성 및 소프트한 감촉을 갖는 방적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의료 용도, 예를 들면 이너셔츠, 팬츠 및 스포츠 셔츠 등의 용도에 적합한 직편물로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방적사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너셔츠, 팬츠 및 스포츠 셔츠 등의 의료 용도용으로 폴리에스테르 소재를 사용한 흡수·속건, 소프트 감촉 및 비침 방지 등의 검토가 행하여져 있고, 이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한 방적사 및 직편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이형 단면 단섬유 3∼4종류를 15∼20중량% 이상으로 되는 혼율로 해서 얻어진 방적사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제안에 있어서는 방적사는 합성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및 소프트 감촉의 면에 있어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단면 형상으로서 3개 이상의 돌기물을 갖고, 이형도가 1.8 이상인 이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천연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혼방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 제안에 있어서는 이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천연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혼방사가 사용되어 있지만, 흡수성 및 소프트 감촉면에 있어서는 또한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다엽 단면형이나 다각형형의 이형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면사를 사용함으로써 소프트 감촉으로 되고, 또한 고티타늄 함유 섬유와의 혼방에 의해 비침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방적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 제안도 특허문헌 2의 제안과 마찬가지로, 흡수성과 소프트 감촉의 면에 있어서는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고, 비침 방지성에 있어서도 충분하지는 않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 이야기할 수 없었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하면서도 소프트한 감촉을 갖고, 또한 천연 섬유 및 셀룰로오스계 섬유만으로 이야기할 수 없었던 높은 흡수성, 속건성 및 비침 방지성의 기능도 겸비한 방적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의료 용도, 예를 들면 이너셔츠, 팬츠, 스포츠 셔츠, 흰옷, 스웨터 및 민족의상 등의 용도에 알맞는 직편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간의 공극에 착안했다.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이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는 단사간에 형성되는 공극이 적기 때문에 흡수성 및 소프트 감촉면에 있어서 충분하지는 않은 것은 아닐까라고 추측하여 생각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3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비침 방지성에 있어서도 섬유 표면 형상에 의한 광의 난반사가 충분하지는 않다고 하는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또한, 흡수성이 일방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속건성과의 양립이 중요하다고 추측하여 생각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의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병용함으로써 소프트 감촉을 실현하면서, 또한 방적사나 직편물로 했을 때에 높은 흡수성과 속건성을 갖고, 고티타늄 함유사와 혼방하지 않아도 높은 비침 방지성을 갖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방적사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80질량%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20∼80질량%를 혼면해서 이루어지는 방적사로서,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형상이 6개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이며,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를 A,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폭을 B,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를 C, 상기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저점에 내린 추천의 길이를 D라고 할 때, 하기 식(1)으로 정의되는 편평도와 하기 식(2)으로 정의되는 이형도를 만족하는 방적사이다.
·편평도(A/B)=2.0∼3.0 …(1)
·이형도(C/D)=1.0∼5.0 …(2)
본 발명의 방적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이형도는 2.0∼5.0이다.
본 발명의 방적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최대 길이 A를 대칭축으로 하고, 대향하는 양 볼록부 정점간 선분 중 횡단면 최대 폭 B를 제외하고 최장으로 되는 길이를 E라고 할 때, 하기 식(3)으로 정의되는 볼록부비를 만족하는 것이다.
·볼록부비(E/B)=0.6∼0.9 …(3)
본 발명의 방적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섬유 섬도는 2.0dtex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방적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무기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그 함유율은 0.2∼2.5질량%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방적사는 의료 용도, 예를 들면 이너셔츠나 스포츠 셔츠용의 직편물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편평 형상이며 또한 외주부에 요철을 갖는 것, 또한 외주부의 요철 높이를 일정하게 하지 않음으로써 섬유간에 대소 다양한 공극을 갖는 것이 가능해지고, 뛰어난 흡수성과 속건 성능과 소프트한 감촉을 겸비한 방적사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직편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비침 방지성의 기능을 아울러 갖는 방적사 및 직편물이 얻어진다.
도 1은 섬유 단면의 원주 상에 복수(8개)의 볼록부를 갖는 본 발명의 방적사가 구비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형상을 예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방적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80질량%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20∼80질량%를 혼면해서 이루어지는 방적사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마, 코튼 및 실크 등의 천연 섬유, 비스코스레이온, 큐프라 및 용제 방사 셀룰로오스 등의 재생 섬유, 또한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중 적어도 1종류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부터 선택해서 선택된다. 그것들 중에서도, 비스코스레이온이나 용제 방사 셀룰로오스 등의 재생 섬유가 취급성, 범용성 및 기능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임의의 횡단면 형상이 원주 상에 요철을 가진 편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 상의 요철을 가짐으로써 흡수성이 높고, 또한 모세관 작용에 의해 균일하게 액을 확산하므로 속건성을 가져 드라이감 및 청량감을 유지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원주 상의 볼록부의 수는 6∼14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12개이다. 횡단면 형상의 원주 상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개수가 6개 미만에서는 공극이 적어져서 흡수성, 보액성 및 확산성이 부족해지며, 또한 광의 난반사율이 저하하여 비침 방지성도 저하한다. 또한, 피부에 접촉했을 때의 접지점이 감소함으로써 꺼끌거리는 감촉으로 된다. 또한, 볼록부의 개수가 14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비교해서 강성이 낮아 마모되기 쉬워 실 강도가 저하한다. 또한, 흡수성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함침한 액체를 섬유 내에 유지해 버려, 액체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없어서 속건성이 부족해진다. 또한, 볼록부의 형상은 피부 접촉성의 관점으로부터 둥그스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단섬유 섬도는 1.0∼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섬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2dtex이다. 단섬유 섬도가 1.0dtex 미만으로 되면 카드의 실린더에 감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공정 통과성이 현저하게 저하할 경우가 있다. 그 결과로서, 방적사의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섬유 섬도가 5.0dtex를 초과하면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의 감촉이 딱딱하고, 소프트 감촉의 면에 있어서 사용상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단섬유 섬도가 굵어짐으로써 섬유간의 공극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흡수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섬유 길이는 혼면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등의 다른 구성 섬유와의 얽힘성이 높고, 카드 공정 통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는 30∼64㎜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길이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1㎜이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시판품으로서는 다이와보레이온사제의 레이온(상품명 "코로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은 20∼80질량%이다.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율(함유율)이 20질량%보다 적어지면 액체를 함침시키는 흡수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확산성이 저하하고, 본 발명의 방적사에 있어서 드라이감이나 청량감이 저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적사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섬유 특유의 소프트한 감촉도 손상되기 때문에 사용시의 피부 접촉간이 떨어진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혼합율이 80질량%를 초과하면 흡수성이 지나치게 강해져 함침한 액체를 섬유 내에 유지해 버려 액체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없다. 즉, 속건성이 부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부틸렌글리콜 등의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 중합체, 및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이소프탈산 및 파라키시안식취산 등과 에틸렌글리콜 등의 축합체, 및 다른 폴리에스테르류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그 횡단면 형상이 6개 이상인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이다. 횡단면 형상의 원주 상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개수가 6개 미만에서는 인접하는 섬유간에서 형성하는 공극이 적어지고, 흡수성, 보액성 및 확산성이 부족해지며, 또한 광의 난반사율이 저하하여 비침 방지성도 저하한다. 볼록부의 개수가 12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제조 방법의 특징으로부터 이형도가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방향으로 되어 인접하는 섬유간에서 형성하는 공극이 적어지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흡수성, 보액성 및 확산성이 부족해진다. 횡단면 형상은 편평 형상임으로써 섬유간에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흡수성, 보액성 및 확산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광의 난반사율이 증가하여 비침 방지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단섬유당의 모쓰러짐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소프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섬유횡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섬유 단면의 원주 상에 복수(8개)의 볼록부를 갖는 본 발명의 방적사가 구비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 형상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A는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의 최대 길이이다. B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폭이며, 상기 최대 길이 A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최대 폭의 선분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C는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를 말한다. 그리고 D는,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저점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말한다. E는 최대 길이 A를 대칭축으로 하고, 대향하는 양 볼록부 정점간 선분 중 최대 폭 B를 제외하고 최장으로 되는 길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6개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사용되지만, 바람직하게는 7∼13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12개이다. 또한, 볼록부의 형상은 피부 접촉성의 관점으로부터 둥그스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그 단섬유 횡단면에 있어서의 편평 다엽 단면 형상이 하기 식(1)으로 정의되는 편평도와 하기 식(2)으로 정의되는 이형도를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하기 식(3)으로 정의되는 볼록부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편평도(A/B)=2.0∼3.0 …(1)
·이형도(C/D)=1.0∼5.0 …(2)
·볼록부비(E/B)=0.6∼0.9 …(3)
본 발명의 방적사에 있어서 편평도(A/B)는 2.0∼3.0이다. 편평도(A/B)가 2.0 미만에서는 섬유의 모쓰러짐성이 나빠지고, 소프트한 감촉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편평도(A/B)가 3.0을 초과하면 탄력감이 적어 처지기 쉬워지며, 또한 제사성의 악화나 이형도가 악화된다. 편평도(A/B)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이다.
또한, 이형도(C/D)는 상기 편평 다엽형에 있어서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고, 그 값이 크면 오목부가 작고, 그 값이 작으면 오목부는 큰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형도(C/D)가 커지면 오목부는 얕고, 섬유간에서 형성하는 공극도 작아지기 때문에 흡수성과 확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의 난반사율도 저하하여 비침 방지성도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형도(C/D)는 5.0 이하이다.
한편, 이형도(C/D)가 너무나 작을 경우, 섬유 단면의 오목부가 접혀 구부러지기 쉬워져서 편평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지고, 또한, 찰과에 의해 섬유 손상을 받기 쉬워지기 때문에 피부와 마찰했을 경우에 피부가 상처받을 우려가 있다. 이것들 때문에 이형도(C/D)는 1.0 이상이다. 이형도(C/D)는 상술의 관점으로부터 1.0∼5.0이다. 또한, 이형도(C/D)는 흡수성과 확산성의 점으로부터 1.0∼4.0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편평 형상의 유지성과 흡수성과 확산성 밸런스의 관점으로부터 2.0∼4.0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볼록부비(E/B)는 상기 편평 다엽형에 있어서 최대 길이 A를 대칭축으로 하고, 최대 폭 B와 그것을 제외하는 최대 볼록부 정점간 길이 E의 길이비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최대 폭 B 및 E, 최대 길이 A의 각 볼록부 정점을 연결하는 선을 그렸을 때에 얻어지는 대략 타원 형상의 변형 정도를 계측하는 지표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볼록부비가 너무나 작을 경우, 오목부 깊이가 감소함과 아울러 그 횡단면 형상은 끝없이 편평 십자형에 근사한 형상으로 된다. 그 때문에, 모세관 현상효과가 감소하고, 흡수성과 확산성이 저하한다. 또한, 피부에 접촉했을 때에 편평 십자형상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접촉하는 볼록부수가 감소하고, 피부 촉감과 소프트성이 저하한다. 따라서, 볼록부비는 0.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볼록부비가 너무나도 클 경우, 섬유끼리의 요철이 끼워맞추어졌을 때에 오목부가 완전하게 폐쇄되는 부분이 많아짐으로써 공극이 감소해 버려, 흡수성과 확산성이 저하한다. 또한, 피부에 접촉했을 때에 그 형상은 편평 육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됨으로써 접촉하는 볼록부수가 감소하고, 피부 접촉감·소프트성이 저하한다. 이것들 때문에 볼록부비(E/B)는 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비(E/B)는 상술의 관점으로부터 0.6∼0.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밸런스로부터 볼록부비(E/B)는 바람직하게는 0.6∼0.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8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방적사에 있어서의 함유율은 20∼80질량%이다.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혼합율(함유율)이 20질량% 미만으로 되면, 방적사의 소수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흡수한 수분을 증발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어 속건성이 부족하고, 피부 촉감도 나빠진다. 또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혼합율(함유율)이 80질량%를 초과하면, 모세관 현상 효과가 약해지고, 액체의 확산성이 저하함으로써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의 드라이감, 청량감이 손상된다. 상기로부터, 바람직한 밸런스로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방적사에 있어서의 함유율은 30∼7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질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섬유 섬도는 2.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섬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dtex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8dtex이다. 단섬유 섬도가 2.0dtex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특유의 강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피부 촉감의 자극도 강해지고, 소프트 감촉도 손상될 경우가 있다. 또한, 섬유간에서 형성되는 공극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 효과가 약해지고, 액체의 확산성이 저하함으로써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의 드라이감이나 청량감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섬유 섬도가 1.0dtex보다 가늘어지면 카드 공정에서의 공정 통과성이 나빠지고, 생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에는 비침 방지성과 소프트성 향상을 목적으로 무기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무기입자의 함유율은 0.2∼2.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2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0질량%이다. 무기입자의 함유율이 0.2질량% 미만일 경우, 셀룰로오스계 섬유와의 마찰이 증가하여 소프트 감촉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광의 난반사가 불충분하게 되어 비침 방지 성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무기입자의 함유율이 2.5질량%를 초과했을 경우, 방직 공 정 통과성이 저하하여 가이드 마모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방출시에 이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택 제거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백도가 떨어지고 발색성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섬유 길이는 방적에서의 공정통과성의 관점으로부터 30∼64㎜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1㎜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방적사와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적사의 꼬임계수는 3.0∼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꼬임계수가 3.0 미만에서는 충분한 실 강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고, 방적시의 실의 끊어짐이나 직편물로 했을 때의 강도 저하를 초래할 경향이 있다. 또한, 꼬임계수가 4.5를 초과하면 꼬임 리턴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 이외에, 직편물로 했을 때에 거칠고 딱딱한 감이 있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적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링 정방기(결속·와류 방식 포함)나 공기 정방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방 방법도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2종류의 혼방이나, 본 발명의 혼방율 범위 내에서 타섬유와 혼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적사의 번수는 특히 이너 소재나 셔츠 소재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30∼53번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번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방적사로 이루어지는 직편물은 본 발명의 방적사를 100% 사용한 직편물로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방적사를 적어도 40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방적사의 비율이 40질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편평 다양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조합에 의한 흡수성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편물에서는 본 발명의 방적사를 60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본 발명의 방적사 이외에 다른 방적사나 필라멘트 등을 교직 교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적사 및 그것을 가지고 만들어지는 직편물은 흡수성, 속건성 및 비침 방지성과 소프트한 감촉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너셔츠, 팬츠, 스포츠 셔츠, 흰옷, 스웨터 및 민족의상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방적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에 있어서의 각 물성값은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흡수성 평가>
JIS L1907(2010년판, 바이렉법)에 준해서 평가했다.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고, 본 발명에서는 「○」와 「◎」을 합격으로 했다.
◎ : 80㎜ 이상
○ : 70∼79㎜
△ : 50∼69㎜
× : 49㎜ 이하.
<속건성 평가>
실온 25℃, 습도 40%RH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시험편을, 10㎝×10㎝로 잘라내어 질량(A)을 측정한다. 그 시험편을 이온 교환수 중에 30초간 담그고, 그 후에 시험편의 한 모서리를 핀셋으로 집어서 액으로부터 꺼낸다. 꺼낸 시험편을 마찬가지로 실온 25℃, 습도 40%RH 분위기 하에 1시간 방치하고, 자연 건조시켜 질량(B)을 측정한다. 잔존 수분율(C)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다.
·C(%)=(B-A)/A×100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고, 본 발명에서는 「○」와 「◎」을 합격으로 했다.
◎ : 30% 이하
○ : 31∼40%
△ : 41∼50%
× : 51% 이상.
<비침 방지성>
분광 광도계(미놀타 M-3600d)를 사용하고, 표준 백판과 표준 흑판을 시료 생지의 배경으로 해서 각 L값(반사율)을 측정하고, 비침 방지도(%)로서 다음 식으로 구했다.
·비침 방지도(%)=100-(Lfw-Lfb)/(Lw-Lb)×100
Lw : 시료 생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표준 백판의 L값
Lb : 시료 생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표준 흑판의 L값
Lfw : 시료 생지를 표준 백판 상에 두었을 때의 L값
Lfb : 시료 생지를 표준 흑판 상에 두었을 때의 L값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고, 본 발명에서는 「○」와 「◎」을 합격으로 했다.
◎ : 70% 이상
○ : 60∼69%
△ : 50∼59%
× : 49 이하.
<소프트 감촉>
시험편을 10㎝×10㎝로 잘라내어 5명의 피험자에게 잘라낸 시험편을 쥐게 하고, 다음 기준에 따라서 점수 평가를 행한 후에 평균점을 산출하고, 본 발명에서는 「○」와 「◎」을 합격으로 했다.
3점 : 감촉이 부드러움
2점 : 감촉이 약간 딱딱함
1점 : 감촉이 딱딱함
◎ : 2.8점 이상
○ : 2.4∼2.7점
△ : 1.9∼2.3점
× : 1.8점 이하.
[실시예 1]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2.1, 이형도 2.7, 볼록부비 0.8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2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8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2.1, 이형도 2.7, 볼록부비 0.8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5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5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2.1, 이형도 2.7, 볼록부비 0.8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8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2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1질량%, 편평도 2.0, 이형도 2.5, 볼록부비 0.7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8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2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2.1, 이형도 2.7, 볼록부비 0.8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85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15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2.1, 이형도 2.7, 볼록부비 0.8이고, 횡단면 형상이 8개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15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85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 편평도 1.0, 이형도 6.7, 볼록부비 0.9이고, 횡단면 형상이 3개의 볼록부를 갖는 3엽 단면(Y형)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8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2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단섬유 섬도 1.7dtex, 산화티탄 함유율 0.3질량%이고, 횡단면 형상이 환형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섬유 길이 51㎜) 80질량%와, 단섬유 섬도 1.7dtex의 레이온 섬유(섬유 길이 51㎜) 20질량%를 혼방하고, 꼬임계수 K=3.5로 해서 영국식 면번수 40s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날실과 씨실에 사용하고, 에어제트 직기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10개/2.54㎝, 가로 밀도 76개/2.54㎝의 평직물을 얻었다. 방적사의 섬유 구성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A :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길이
B :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폭
C :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
D :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저점에 내린 수선의 길이
E : A를 대칭축으로 하고, 대향하는 양 볼록부 정점간 선분 중 B를 제외하고 최장으로 되는 길이
B :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폭
C :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
D :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저점에 내린 수선의 길이
E : A를 대칭축으로 하고, 대향하는 양 볼록부 정점간 선분 중 B를 제외하고 최장으로 되는 길이
Claims (6)
-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0∼80질량%와 셀룰로오스계 섬유 20∼80질량%로 이루어지는 방적사로서,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형상이 원주 상에 6개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편평 형상이고,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길이를 A, 상기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횡단면 최대 폭을 B,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를 C, 상기 최대 요철부에 있어서 이웃하는 볼록부의 정점간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저점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D라고 했을 때, 하기 식(1)으로 정의되는 편평도 및 하기 식(2)으로 정의되는 이형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편평도(A/B)=2.0∼3.0 …(1)
·이형도(C/D)=1.0∼5.0 …(2) - 제 1 항에 있어서,
이형도가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대 길이 A를 대칭축으로 하고, 대향하는 양 볼록부 정점간 선분 중 횡단면 최대 폭 B를 제외하고 최장으로 되는 길이를 E로 할 때, 하기 식(3)으로 정의되는 볼록부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볼록부비(E/B)=0.6∼0.9 …(3)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단섬유 섬도가 2.0dtex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 다엽 단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무기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그 함유율이 0.2∼2.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적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65489 | 2013-03-27 | ||
JP2013065489 | 2013-03-27 | ||
JPJP-P-2013-192735 | 2013-09-18 | ||
JP2013192735 | 2013-09-18 | ||
PCT/JP2014/054800 WO2014156451A1 (ja) | 2013-03-27 | 2014-02-27 | 紡績糸および織編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7067A true KR20150137067A (ko) | 2015-12-08 |
Family
ID=5162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6280A KR20150137067A (ko) | 2013-03-27 | 2014-02-27 | 방적사 및 직편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76173A1 (ko) |
EP (1) | EP2980288B1 (ko) |
JP (1) | JP6332024B2 (ko) |
KR (1) | KR20150137067A (ko) |
CN (1) | CN105051275B (ko) |
SA (1) | SA515361234B1 (ko) |
WO (1) | WO201415645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61790B (zh) * | 2014-08-20 | 2019-05-28 | 东丽株式会社 | 卫生材料用无纺布和卫生材料制品 |
JP2016089284A (ja) * | 2014-10-30 | 2016-05-23 | 東レ株式会社 | 紡績糸および織編物 |
JP6321530B2 (ja) * | 2014-11-19 | 2018-05-09 | 東洋紡Stc株式会社 | 透け防止性に優れた織編物 |
JP6507673B2 (ja) * | 2015-01-28 | 2019-05-08 | 東レ株式会社 | 長短複合紡績糸 |
JP2016164318A (ja) * | 2015-03-06 | 2016-09-08 | 東レ株式会社 | 衣料用織物 |
JP6616746B2 (ja) * | 2016-07-08 | 2019-12-04 | 山崎産業株式会社 | モール状糸体及びモール状糸体保持体 |
CN108468146A (zh) * | 2017-03-29 | 2018-08-31 | 江苏悦达棉纺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涤纶涡流纺面料及其生产方法 |
CN106868685B (zh) * | 2017-04-06 | 2019-10-29 | 浙江懿纱纺织科技有限公司 | 一种织物及其用途 |
CN106868684A (zh) * | 2017-04-06 | 2017-06-20 | 浙江万姿布业有限公司 | 一种织物及其用途 |
JP6346363B1 (ja) * | 2017-08-16 | 2018-06-20 | 東洋紡Stc株式会社 | 織物 |
US20190233982A1 (en) * | 2018-01-31 | 2019-08-01 | Parkdale Incorporated | Multi-length, multi-denier, multi-cross section fiber blend yarn |
JP7306632B2 (ja) * | 2019-10-24 | 2023-07-11 | アクトインテリア株式会社 | 超吸水速乾樹脂繊維、不織布及び超吸水速乾樹脂繊維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9908A (ja) * | 1989-06-15 | 1991-01-29 | Toray Ind Inc | 特殊断面繊維 |
JPH0473213A (ja) * | 1990-07-09 | 1992-03-09 | Toray Ind Inc | 矩形型凹凸断面ポリエステル繊維 |
JP2969969B2 (ja) * | 1991-01-22 | 1999-11-02 | 東レ株式会社 | 内装用パイル布帛 |
JPH08246237A (ja) * | 1995-03-14 | 1996-09-24 | Toray Ind Inc | 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ポリエステル紡績糸の製造方法 |
JPH0959838A (ja) | 1995-08-24 | 1997-03-04 | Kuraray Co Ltd | 紡績糸 |
US5834119A (en) * | 1997-01-03 | 1998-11-10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Filament cross-sections |
JP4128398B2 (ja) * | 2002-06-17 | 2008-07-30 |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 吸水速乾透防止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US20050176323A1 (en) * | 2002-07-24 | 2005-08-11 | Shuji Minato | Flat multifilament-yarn textile |
JP4143904B2 (ja) * | 2002-08-07 | 2008-09-03 | 東洋紡績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繊維含有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4225180A (ja) * | 2003-01-21 | 2004-08-12 | Teijin Fibers Ltd | ポリエステル偏平断面繊維 |
JP2004218125A (ja) * | 2003-01-14 | 2004-08-05 | Teijin Fibers Ltd | 異形断面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
JP2005350777A (ja) * | 2003-05-22 | 2005-12-22 | Toray Ind Inc | ポリエステル繊維 |
JP2004346461A (ja) * | 2003-05-26 | 2004-12-09 | Teijin Fibers Ltd | 特殊断面形状の仮撚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
JP4461365B2 (ja) * | 2004-02-06 | 2010-05-12 | 東洋紡績株式会社 | エア交絡紡績糸及びそれを含む布帛 |
US7195819B2 (en) * | 2004-04-23 | 2007-03-27 | Invista North America S.A.R.L. | Bicomponent fiber and yarn comprising same |
JP2008133584A (ja) | 2007-12-27 | 2008-06-12 | Toyobo Co Ltd | ポリエステル繊維含有織編物及びその製造法 |
JP5397392B2 (ja) * | 2011-02-07 | 2014-01-22 | 東レ株式会社 | 扁平多葉断面ポリアミド繊維 |
JP5658602B2 (ja) * | 2011-03-14 | 2015-01-28 | 東洋紡Stc株式会社 | ソフトで抗ピリング性に優れた紡績糸 |
-
2014
- 2014-02-27 CN CN201480018443.1A patent/CN105051275B/zh active Active
- 2014-02-27 KR KR1020157026280A patent/KR201501370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2-27 JP JP2014515736A patent/JP6332024B2/ja active Active
- 2014-02-27 US US14/779,587 patent/US2016007617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2-27 EP EP14775600.1A patent/EP2980288B1/en active Active
- 2014-02-27 WO PCT/JP2014/054800 patent/WO201415645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
- 2015-09-27 SA SA515361234A patent/SA515361234B1/ar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051275B (zh) | 2018-02-13 |
EP2980288B1 (en) | 2018-08-22 |
US20160076173A1 (en) | 2016-03-17 |
JPWO2014156451A1 (ja) | 2017-02-16 |
WO2014156451A1 (ja) | 2014-10-02 |
CN105051275A (zh) | 2015-11-11 |
EP2980288A4 (en) | 2016-12-07 |
SA515361234B1 (ar) | 2019-08-07 |
JP6332024B2 (ja) | 2018-05-30 |
EP2980288A1 (en) | 2016-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37067A (ko) | 방적사 및 직편물 | |
TWI762645B (zh) | 多層構造布帛及纖維製品 | |
KR101906325B1 (ko) | 코어-시스 복합섬유 | |
JP6360319B2 (ja) | 長短複合紡績糸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 |
JP7015697B2 (ja) |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 |
US20220341060A1 (en) | Sheath-core composite fiber and multifilament | |
JP5658602B2 (ja) | ソフトで抗ピリング性に優れた紡績糸 | |
JP2013209756A (ja) | 高密度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20059963A (ja) | シングルパイル編地、及び靴内装材 | |
JP2016089284A (ja) | 紡績糸および織編物 | |
WO2017126223A1 (ja) | 編地および繊維製品 | |
CN106929978A (zh) | 一种织物及其用途 | |
JP2017095827A (ja) | 両面編地 | |
JP5687585B2 (ja) | 発汗時に快適な衣料用編物 | |
JP2016113714A (ja) |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 |
JP6360318B2 (ja) | 複合結束紡績糸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 |
JP5857479B2 (ja) | 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織編物 | |
JP2011174190A (ja) | 長短複合織物 | |
JP2007247088A (ja) | 長短複合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 |
JP2010163710A (ja) | 衣料用織編物 | |
JP7284257B2 (ja) | 複合糸および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JP2005320654A (ja) | 新規外観パイル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 | |
JP2010222771A (ja) | 織編物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 |
JP2010156070A (ja) | 杢調ポリエステル織編物 | |
JP6507673B2 (ja) | 長短複合紡績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