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840A -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 Google Patents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840A
KR20150133840A KR1020157030719A KR20157030719A KR20150133840A KR 20150133840 A KR20150133840 A KR 20150133840A KR 1020157030719 A KR1020157030719 A KR 1020157030719A KR 20157030719 A KR20157030719 A KR 20157030719A KR 20150133840 A KR20150133840 A KR 2015013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rail
button
buttons
rail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343B1 (ko
Inventor
푸-라이 유
친-티엔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3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5Pleated screens, e.g. concertina- or accordion-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45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72Control using counters to determine shutte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상기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는 이동식 레일 및 상기 고정식 레일과 이동식 레일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 상기 고정식 레일에 대해 상기 이동식 레일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기 모터 및 제어 인터페이스에 각각 연결되는 모터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1, 제2 및 제3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을 양쪽의 두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로서 이동식 레일의 현재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의 작동 방법이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MOTORIZED WINDOW SHA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관련출원에 관한 참고사항
본 출원은, 본 출원에서 참고로 하고 2014년 1월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923,275호 및 2014년 2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938,782호를 각각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및 상기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창문 가리개는 편리하게 가리개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는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및 모터의 전원은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지지 구조체내에 배열될 수 있고, 원격 제어기가 상기 모터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제품들에 적합하지만 상대적으로 저가인 제품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제조비용 때문에 부적합하다. 또한, 현재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는 가리개의 상측 제한위치 및 하측 제한위치를 설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제한 위치들의 설정은 복잡한 여러 번의 작동 단계들을 요구하여 사용자는 쉽게 이해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적어도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되며 편리하게 작동하는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제한 위치들을 설정하기 위해 용이하게 작동되는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를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는 고정식 레일, 이동식 레일 및 상기 고정식 레일과 이동식 레일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 가리개는 또한 상기 고정식 레일에 대해 상기 이동식 레일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기 모터 및 제어 인터페이스에 각각 연결되는 모터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1, 제2 및 제3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을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로서 현재위치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고정식 레일, 이동식 레일 및 상기 고정식 레일과 이동식 레일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 상기 이동식 레일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기 모터, 모터 제어기, 제1, 제2 및 제3 버튼을 포함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창문 가리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는 상기 이동식 레일을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이동식 레일이 현재 위치에 유지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로서 현재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창문 가리개의 모터 작동식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창문 가리개내부에 있는 와인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창문 가리개내에서 이용되는 모터 제어기, 전기 모터, 전원 공급부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창문 가리개내에서 이용되는 모터 제어기, 전기 모터, 전원 공급부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6 및 도 7은, 전원 공급부가 변압기로 교체된 창문 가리개내에서 이용되는 작동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이동식 레일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를 상기 창문 가리개내에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상기 창문 가리개의 이동식 레일이 가지는 상측 제한 위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기 창문 가리개의 이동식 레일이 가지는 중간 제한 위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기 창문 가리개의 이동식 레일이 가지는 하측 제한 위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 있는 창문 가리개의 이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상기 상측 및 중간 제한 위치들사이의 제1 미리 설정된 범위 및, 상기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의 제2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창문 가리개의 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상기 이동식 레일의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를 상기 창문 가리개내에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은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1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창문 가리개(100)는 전형적으로 수직 가리개일 수 있다. 상기 창문 가리개(100)는 고정식 레일(102), 이동식 레일(104) 및 상기 고정식 레일(102) 및 이동식 레일(104)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식 레일(102)은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는 헤드 레일(head rail)일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상기 창문 가리개(100)의 바닥에 배열된 바닥 레일일 수 있다. 상기 덮개 구조체(106)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과 근접하게 배열된 상측 단부 및 상기 이동식 레일(104)과 근접하게 배열된 하측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기다란 레일 또는 중량 요소(weight element)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구조체(106)는 직물재료로 형성된 벌집 구조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셀(cell)들을 포함한다. 상기 벌집 구조는 각각 상기 고정식 레일(102) 및 이동식 레일(104)에 고정된 상측 및 하측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덮개 구조체(106)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에 매달린 복수 개의 슬랫(slats)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도 2는 상기 창문 가리개(100)의 모터 작동식 작동 기구(108)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창문 가리개(100)는 또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기 고정식 레일(102)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고정식 레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서 상기 덮개 구조체(106)를 접혀지거나 확대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모터작동식 작동 기구(108) 및 상기 작동기구(108)와 작동하며 연결된 제어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기구(108)는 복수 개의 와인딩 유닛(winding units)(112), 상기 와인딩 유닛(112)과 각각 연결된 서스펜션 코드(suspension cords)(114)들, 회전 액슬(116), 전기 모터(118), 상기 전기 모터(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 제어기(122) 및 상기 모터 제어기(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공급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유닛(112)은 서로 떨어진 위치들에서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 조립되고 상기 회전 액슬(116) 주위에서 공축을 이루며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와인딩 유닛(112)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와인딩 유닛(112)은 케이싱(112A) 및 상기 케이싱(112A)내부에 피봇 회전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 액슬(116)과 함께 조립된 드럼(112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와인딩 유닛(112)은 상기 회전 액슬(116)과 회전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서스펜션 코드(114)는, 한 개의 해당 와인딩 유닛(112)의 드럼(112B)과 연결된 상측 단부 및, 상기 이동식 레일(104)과 연결된 하측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상기 고정식 레일(102)아래에서 수직으로 매달릴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코드(114)는 상기 덮개 구조체(106)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액슬(116)은 각 와인딩 유닛(112)의 드럼(112B)을 통해 조립되어, 상기 와인딩 유닛(112)의 드럼(112B)들 및 상기 회전 액슬(116)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상기 전기 모터(118)는 장착 고정구(mount fixture)를 통해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고정구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 고정된 두 개의 브라켓(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118)의 외부 케이싱은 상기 브라켓(130)과 조립되어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118)는 상기 회전 액슬(116)과 회전하도록 연결된 출력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식 레일(102)에 대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반대의 양방향으로 상기 회전 액슬(116)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모터 제어기(122), 전기 모터(118), 전원 공급부(124) 및 제어 인터페이스(120)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전기 모터(118), 전원 공급부(124) 및 제어 인터페이스(12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케이싱(133)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회로 보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모터(118)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124)로부터 수신한 전원을 상기 전기 모터(118) 및 제어 인터페이스(120)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로 보드(132)는, 각각 상기 회로 보드(132)와 전기 모터(118) 및 상기 전원 공급부(124)와 제어 인터페이스(120)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커넥터(connector)(134,13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모터(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140)은,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커넥터(134)와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단부 커넥터(14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142)은,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커넥터(136)와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단부 커넥터(142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144)은,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커넥터(138)와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단부 커넥터(144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와 분리될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이 이용되면, 더욱 유연한 모듈식 설계가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기 모터(118), 전원 공급부(124) 및 제어 인터페이스(120)가 용이하게 교체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24)는 변압기(152)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152)는 상기 케이블(142)과 연결되고 가정내 벽의 교류 전원 공급구(AC outlet)에 플러그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모듈식 설계에 의해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서 전원 공급부(124), 전기 모터(118) 및 모터 제어기(122)가 더욱 유연하게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모터(118) 및 전원 공급부(124)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부들에 배열되고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전기 모터(118)와 전원 공급부(124)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열에 의해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서 더욱 양호한 하중 분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헤드 레일(102)의 외측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의해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의 케이싱(156)내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가 작동할 때,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다양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전기 모터(118)로 발생시켜서 상기 전기 모터(118)의 회전운동을 모든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에 해당하고 전기 모터(118)가 가지는 다수의 회전운동 변위범위들을 설정하도록 프로그램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광선 또는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창문 가리개(100)의 특정 상태를 알리도록 작동할 수 있는 시각적 장치 또는 음향 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할 때,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는 적어도 세 개의 버튼(154A,154B,154C)을 가지고 케이싱(156)내에 수용되는 회로 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44)은,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터미널 단부(terminal end) 및, 상기 고정식 레일(102)내에 배열된 제2 터미널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식 레일(102) 외측에서 연장되는 상기 케이블(144)의 세그멘트(segment)(144B)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의 횡 방향 단부 부분으로부터 수직을 향해 아래로 연장되는 기다란 튜브(158)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상기 기다란 튜브(158)는, 상기 고정식 레일(102) 외측에서 상기 케이블(144)의 세그멘트(144B)를 사실상 둘러싸는 사실상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기다란 튜브(158)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케이블(144)이 통과하는 중공 내부구조를 가진 중공구조의 지팡이일 수 있다. 상기 기다란 튜브(158)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예를 들어,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의 케이싱(156)과 고정되는) 단부(158A) 및 상기 고정식 레일(102)외측에 배열된 피봇회전 조인트(160)와 연결된 또 다른 단부(158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다란 튜브(158)의 단부(158A)는 예를 들어, 슬롯(slot)과 리브(rib) 연결을 통해 상기 케이싱(156)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다란 튜브(158)의 단부(158A)를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의 케이싱(156)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가능한 방법은 용접, 접착(glu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할 때, 상기 고정식 레일(102)의 횡 방향 단부는 단부 캡(end cap)(16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피봇회전 조인트(160)는, 기다란 튜브(158)의 단부(158B와 고정되는 제1 조인트 부분(160A) 및, 상기 단부 캡(162)과 고정되고 상기 제1 조인트 부분(160A)과 피봇회전하게 연결되는 제2 조인트 부분(1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 부분(160A,160B)들은 상기 케이블(144)의 통과를 위해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는 상기 기다란 튜브(158)에 의해 상기 고정식 레일(102)아래에 매달릴 수 있다. 상기 기다란 튜브(158)의 길이는 상기 덮개 구조체(106)의 최대 연장길이보다 작지만 상기 기다란 튜브(158)의 하측 단부(158A)에 고정된 제어 인터페이스(120)에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다란 튜브(158)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는,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의 고정과 조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식 레일(102)에 대해 상기 피봇회전 조인트(160) 주위에서 일체로 피봇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다란 튜브(158)는 상기 케이블(144)의 보호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블(144)이 불필요하게 손상되고 어린 아이들의 목을 돌발적으로 감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할 때, 상기 버튼(154A,154B,154C)들은 상기 고정식 레일(102)에 대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향 및 하향으로 수직 변위운동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버튼(154A)을 누르면 상기 전기 모터(118)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식 레일(102)을 향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승되고, 버튼(154B)을 누르면 상기 전기 모터(118)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식 레일(102)로부터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멀어져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버튼(154A,154B)들은 짧게 가해지는 압력 또는 길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긴 시간 (예를 들어, 3초보다 긴 시간)동안 상기 버튼(154A)을 계속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버튼(154A)이 구속해제된 후에도 상기 전기 모터(118)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상기 고정식 레일(102)을 상승시키는 상승 래칭(rise latching)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긴 시간 (예를 들어, 3초보다 긴 시간)동안 상기 버튼(154B)을 계속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버튼(154B)이 구속해제된 후에도 상기 전기 모터(118)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하강시키는 하강 래칭(descend latching)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상승 또는 하강 래칭 상태는 상기 버튼(154A,154B,154C)들을 가압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C)은, 예비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를 향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동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예비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 아래에 위치할 때, 상기 버튼(154C)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예비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예비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 위에 위치할 때, 상기 버튼(154C)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예비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A,154B,154C)은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특정 설정상태를 수행하도록 이용된다. 특히, 상기 버튼(154A,154B,154C)들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를 프로그램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상기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최초 단계(302)에서 상기 세 개의 버튼(154A,154B,154C)들은 연장된 시간( 예를 들어, 3초, 4초, 5초 또는 더 긴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되어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현재 상태를 재설정(reset)하고 삭제(clear)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제한 위치들에 관한 모든 기록이 삭제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속에 설정된 상태가 삭제되는 과정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상태가 재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304)에서, 상기 버튼(154A,154B)들 중 하나가 가압되어 이동식 레일(104)이 원하는 상측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이동시킨다. 모터 제어기(122) 및 전기 모터(118)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고정식 레일(102)과 근접한 상측 단부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전기 모터(118)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안전기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과도하게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식 레일(102)과 갑자기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단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원하는 상측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버튼(154A,154B)들은 구속해제될 수 있다.
다음 단계(306)에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현재의 상측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두 개의 버튼(154A,154C)들은 예를 들어, 3초, 4초 또는 더 긴 시간과 같이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A,154C)들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제한 위치로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위치와 관련된 전기 모터(118) 로터의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저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측 제한 위치의 설정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를 방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306)에서 설명된 상측 제한 위치의 기록은 단지 두 개의 버튼(154A,154C)들을 작동시켜서 간단하게 수행되며 상기 버튼(154B)은 구속해제된 상태(release state)로 유지된다.
단계(308)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측 제한 위치 아래에서 원하는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A,154B)을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이동식 레일(104)이 (도 10에서 예로서 도시된) 원하는 중간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버튼(154A,154B)은 구속해제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중간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때,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가 방출될 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단계(310)에서 제1 가압작용이 상기 버튼(154C)에 대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버튼(154C)이 가압되는 동안 상기 버튼(154A,154B)들은 구속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버튼(154C)이 최초로 구속해제된 후에, 현재의 위치가 중간 제한 위치로서 기록되는 것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제2 알림 신호 (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가 방출될 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단계(312)에서 제2 가압 작용이 버튼(154C)에 대해 가해진다. 상기 버튼(154C)이 두 번째로 가압될 때 상기 버튼(154A,154B)들은 유사하게 구속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알림 신호가 방출될 때, 상기 버튼(154C)은 구속해제되고 중간 제한 위치의 기록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2회의 가압작용 시퀀스가 상기 버튼(154C)에 연속적으로 가해져서 중간 제한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중간 제한 위치의 기록은 단지 상기 버튼(154C)을 작동시켜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버튼(154A,154B)들은 구속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 가압작용 이후에 일정시간 동안 제2 가압작용이 상기 버튼(154C)에 대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중간 제한 위치의 기록과정은 취소된다. 이 경우, 단계(310,312)들은 중간 제한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반복되어야 한다.
단계(314)에서,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 아래에서 원하는 하측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버튼(154A,154B)을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도 11에 예로서 도시된) 원하는 하측 위치에 도달하면, 버튼(154A,154B)들은 구속해제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현재 하측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두 개의 버튼(154B,154C)들이 예를 들어, 3초, 4초 또는 더 긴 시간과 같이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B,154C)들에 대해 동시에 가해진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하측 제한 위치로서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위치를 기록한다. 상기 기록작용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하측 위치와 관련된 전기 모터(118) 로터의 위치 데이터를 결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하측 제한 위치의 설정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를 방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단계(316)에서 설명된 하측 제한 위치의 기록은 단지 두 개의 버튼(154B,154C)들을 작동시켜서 간단하게 수행되며 상기 버튼(154A)은 구속해제된 상태(release state)로 유지된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위치들은 어떠한 순서로도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전기 모터(118)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방향의 회전수를 추적하고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사이의 거리, 상측 및 중간 제한 위치사이의 거리 및 하측 및 중간 제한위치사이의 거리를 각각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설정작용이 완료된 후에 시간 간격(예를 들어, 6초 또는 더 긴 시간)내에 작동이 수행되지 못하면,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자동으로 동력을 절약하기 위한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버튼(154A,154B,154C)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모터(118)의 회전을 계수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미리 정해진 제한 위치들에 도달하는 시기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전기 모터(118)를 정지시켜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미리 정해진 변위 범위를 지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를 참고할 때, 사용자가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T)내에서 상기 창문 가리개(100)를 이용하려고 할 때, 상기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의 모든 위치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A,154B)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54A)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154B)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하강시킨다. 연장된 시간동안 버튼(154A,154B)들이 가압되어 래칭 상태를 활성화 시키므로, 상기 전기 모터(118)는 상기 버튼이 구속해제된 후에도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회전한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가 상기 버튼(154A,154B)들의 작동에 의해 제어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형성하는 수직 경로는 단지 미리 설정된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중간 제한 위치를 지나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창문 가리개(100)가 상기 버튼(154A,154B)을 이용하여 조정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이동식 레일(104)이 상측 또는 하측 제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할 때, 사용자가 상기 상측 및 중간 제한 위치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범위(U)내에서 상기 창문 가리개(100)를 이용하고자 할 때, 상기 상측 및 중간 제한 위치들사이의 모든 위치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A,154C)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54A)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154C)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중간 제한 위치를 향해 하강시킨다. 버튼(154A,154C)들 중 하나가 연장된 시간동안 가압되어 래칭 상태를 활성화 시키므로, 상기 전기 모터(118)는 상기 버튼이 구속해제된 후에도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회전한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가 상기 버튼(154A,154C)들의 작동에 의해 제어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형성하는 수직 경로는 미리 설정된 상측 및 중간 제한 위치들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창문 가리개(100)가 상기 버튼(154A,154C)을 이용하여 조정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이동식 레일(104)이 상측 또는 중간 제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L)내에서 상기 창문 가리개(100)를 이용하려고 할 때, 상기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의 모든 위치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B,154C)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154C)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기 중간 제한 위치를 향해 상승시키고 상기 버튼(154B)이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하측 제한 위치를 향해 하강시킨다. 버튼(154B,154C)들 중 하나가 연장된 시간동안 가압되어 래칭 상태를 활성화 시키므로, 상기 전기 모터(118)는 상기 버튼이 구속해제된 후에도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회전한다.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기 버튼(154B,154C)들의 작동에 의해 제어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형성하는 수직 경로는 미리 설정된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상기 창문 가리개(100)가 상기 버튼(154B,154C)을 이용하여 조정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104)은 이동식 레일(104)이 중간 또는 하측 제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든 설정상태를 삭제 하려고 할 때, 세 개의 버튼(154A,154B,154C)들은 예를 들어, 4초, 5초 또는 더 긴 시간과 같이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다. 다음에,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중간 및 하측 제한 위치들의 새로운 설정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상태는, 전원공급 중단이 예를 들어, 배터리 교체시 발생할 때에도 모터 제어기(122)내에 유지될 수 있다. 설정상태가 형성되지 못하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모든 위치로 상승하고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A,154B)들이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버튼(154A,154B,154C)들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예를 들어, 6초 또는 더 긴 시간동안 작동하지 못하면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동력 절감 모드로 들어가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 보드(132)의 동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한 위치들의 설정은 창문 가리개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4는, 중간 제한 위치를 가지지 않는 창문 가리개의 실시예에서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세 개의 버튼(154A,154B,154C)들은 초기 단계(402)에서 연장된 시간(예를 들어, 4초, 5초 또는 더 긴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되어 모터 제어기(122)내에 설정된 이동식 레일(104)의 제한 위치들에 관한 설정상태들을 리셋(reset)하고 삭제(clear)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의 설정상태를 삭제 하는 작업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가 방출될 수 있다.
단계(404)에서, 버튼(154A,154B)들 중 하나가 가압되어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원하는 상측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단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원하는 상측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버튼(154A,154B)들은 구속해제될 수 있다.
다음 단계(406)에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현재의 상측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두 개의 버튼(154A,154C)들은 예를 들어, 3초, 4초 또는 더 긴 시간과 같이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A,154C)들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상측 제한 위치로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위치와 관련된 전기 모터(118)의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저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측 제한 위치의 설정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를 방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상측 제한 위치아래에서 원하는 하측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54A,154B)을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이동식 레일(104)이 원하는 하측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버튼(154A,154B)은 구속해제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이 현재 하측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두 개의 버튼(154B,154C)들이 예를 들어, 3초, 4초 또는 더 긴 시간과 같이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동시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4B,154C)들에 대해 동시에 가해진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하측 제한 위치로서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위치를 기록한다. 상기 기록작용은, 상기 이동식 레일(104)의 현재 하측 위치와 관련된 전기 모터(118)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기(122)는 하측 제한 위치의 설정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알림 신호(예를 들어, 음향 또는 광선)를 방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에서 설명된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의 기록은 단지 두 개의 버튼들을 한 번에 작동시켜서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단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120)가 작동되어 상기 상측 및 하측 제한 위치들사이의 미리 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이동식 레일(10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와 방법들은 수직의 창문 가리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이동식 레일이 고정식 레일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하여 덮개 구조체를 확대하거나 접을 수 있는 수평의 창문 가리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들이, 세 개의 버튼들을 가진 제어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모터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제어기는, 제어 인터페이스의 세 개의 버튼들을 작동시켜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한 위치들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실시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다. 상기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수의 변형예들, 수정예들, 추가예들 및 개선예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단일 경우를 위해 설명된 부품들에 대해 다수의 경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조들에서 개별 부품들로서 제시된 구성 및 기능이 조합된 구조 또는 부품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예, 수정예들, 추가예들 및 개선예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창문 가리개,
102....고정식 레일,
104....이동식 레일,
106....덮개 구조체,
122....모터 제어기,
118....전기 모터,
124....전원 공급부,
120....제어 인터페이스,
132....상기 회로 보드.

Claims (24)

  1. 고정식 레일, 이동식 레일 및 상기 고정식 레일과 이동식 레일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
    상기 고정식 레일에 대해 상기 이동식 레일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작동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1, 제2 및 제3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전기 모터 및 제어 인터페이스와 각각 연결되는 모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3 버튼 및,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에 대해 동시에 작용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로서 상기 이동식 레일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3 버튼과 제1 버튼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식 레일의 상측 제한 위치로서 상기 이동식 레일의 현재위치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3 버튼과 제2 버튼에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식 레일의 하측 제한 위치로서 상기 이동식 레일의 현재위치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한 위치는 상기 상측 제한 위치와 하측 제한 위치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제한 위치를 지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제한 위치의 기록이 완료된 것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방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이 3초 또는 더 긴 시간동안 동시에 가압될 때 상기 알림 신호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제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제2 위치로 상기 이동식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3 버튼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제1 및 제2 가압 시퀀스에 응답하여 중간 제한 위치로서 제2 위치를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기는 추가로,
    제1 가압 작용이 미리 정해진 제1 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질 때 제1 알림 신호를 방출하고,
    제2 가압 작용이 미리 정해진 제2 지속시간 동안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질 때 제2 알림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제한 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3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레일은 상기 고정식 레일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 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식 레일이 하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 아래에 위치할 때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11.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제1, 제2 및 제3 버튼들에 대해 동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제어기는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에 관한 기록을 삭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기는 상기 전기 모터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고 전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모터 및 제어 인터페이스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로부터 떨어진 전원 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상기 모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전기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
  14.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식 레일, 이동식 레일 및 상기 고정식 레일과 이동식 레일사이에 배열된 덮개 구조체, 상기 이동식 레일을 구동하여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전기 모터, 모터 제어기 및 제1, 제2 및 제3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창문 가리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식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레일이 현재 위치에 유지될 때, 상기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로서 현재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이동식 레일이 현재 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튼을 구속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위치는 상측 제한 위치 및 하측 제한 위치이고 상기 제한 위치를 지나 상기 이동식 레일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는,
    이동식 레일의 상측 제한 위치로서 현재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3 버튼과 제1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이동식 레일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는,
    이동식 레일의 하측 제한 위치로서 현재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3 버튼과 제2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위치는 3초 또는 더 긴 시간에 걸쳐서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한 개 및 제3 버튼을 동시에 가압하여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레일의 제한 위치들에 관한 모든 기록을 삭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튼들을 동시에 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위치의 기록이 완료된 것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이동식 레일이 상기 제한 위치로부터 떨어진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식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버튼들 중 하나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레일이 중간위치에 유지될 때 중간 제한 위치로서 상기 중간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제3 버튼에 대해 제1 가압 및 제2 가압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중간 제한 위치로서 중간 위치를 기록하기 위해 제3 버튼에 대해 제1 가압 및 제2 가압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알림신호가 방출될 때까지 제3 버튼에 대해 제1 가압작용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처음에 상기 제3 버튼을 구속해제하고 다음에 제2 알림 신호가 방출될 때까지 제3 버튼에 대해 제2 가압작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버튼을 두 번째로 구속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중간 제한 위치가 기록되면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3 버튼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 위에 위치할 때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식 레일이 하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기 중간 제한 위치 아래에 위치할 때 상기 제3 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식 레일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가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57030719A 2014-01-03 2014-07-07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KR101918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23275P 2014-01-03 2014-01-03
US61/923,275 2014-01-03
US201461938782P 2014-02-12 2014-02-12
US61/938,782 2014-02-12
PCT/US2014/045528 WO2015102668A1 (en) 2014-01-03 2014-07-07 Motorized window sha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40A true KR20150133840A (ko) 2015-11-30
KR101918343B1 KR101918343B1 (ko) 2018-11-13

Family

ID=5125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719A KR101918343B1 (ko) 2014-01-03 2014-07-07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71687B2 (ko)
EP (1) EP3090116B1 (ko)
JP (1) JP6307596B2 (ko)
KR (1) KR101918343B1 (ko)
CN (1) CN104763303A (ko)
CA (1) CA2911988C (ko)
TW (1) TWI535402B (ko)
WO (1) WO20151026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02B1 (ko) * 2017-04-14 2020-04-0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액추에이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0020B2 (en) * 2011-03-11 2017-11-07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window treatment
CN104763303A (zh) * 2014-01-03 2015-07-08 德侑股份有限公司 电动窗帘及其操作方法
GB201405125D0 (en) * 2014-03-21 2014-05-07 Louver Lite Ltd Window blind control apparatus
US9631426B1 (en) * 2015-02-24 2017-04-25 Martin Caspa Automatic window blind system
TWI568388B (zh) * 2015-10-27 2017-02-01 國立高雄第一科技大學 窗簾遙控系統
US10538963B2 (en) * 2016-02-19 2020-01-21 Hunter Douglas Inc Wand for architectural covering
CA2948710C (en) * 2016-03-11 2024-01-16 Dometic Sweden Ab Power wand and method of use
IL244921A0 (en) * 2016-04-05 2016-07-31 Holis Industries Ltd Venetian blind control mechanism
TWI753031B (zh) * 2016-10-19 2022-01-21 美商漢特道格拉斯股份有限公司 用於建築覆蓋物之馬達組合件
USD846505S1 (en) 2016-11-17 2019-04-23 Dometic Sweden Ab Power wand
US11293222B2 (en) * 2017-01-23 2022-04-05 Geigtech East Bay Llc Wiring arrangement for motorized window shade
CN108729835B (zh) * 2017-04-14 2020-01-17 德侑股份有限公司 电动窗帘及其致动机构
US11462871B2 (en) 2019-10-22 2022-10-04 Hunter Douglas Inc. Power supply box for use with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JP7377112B2 (ja) 2020-01-09 2023-11-09 株式会社ニチベイ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R3109171B1 (fr) * 2020-04-14 2022-04-22 Somfy Activites Sa Dispositif d’occultation
US11486193B2 (en) * 2020-04-30 2022-11-01 San Hsin Plastech Co., Ltd. Sola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2160673B (zh) * 2020-09-28 2022-01-04 广州科通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WiFi插座的窗扇组件
CN114129034B (zh) * 2020-10-20 2023-04-25 超级智慧家(上海)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窗帘控制装置
US11686151B2 (en) 2020-12-31 2023-06-27 Springs Window Fashions, Llc Motorized shade and wand assembly
TWI753813B (zh) * 2021-04-12 2022-01-21 慶豐富實業股份有限公司 具導滑件之捲線組件及使用該捲線組件的窗簾
TWI771988B (zh) * 2021-04-19 2022-07-21 德侑股份有限公司 支撑結構及含有支撑結構的電動窗簾
CN115217406B (zh) * 2021-04-19 2024-04-02 德侑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含有支撑结构的电动窗帘
TWI812296B (zh) * 2021-04-19 2023-08-11 德侑股份有限公司 支撑結構及含有支撑結構的電動窗簾
TWI771181B (zh) * 2021-09-10 2022-07-11 慶豐富實業股份有限公司 具翻轉件之捲線組件及使用該捲線組件的窗簾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4229B1 (fr) * 1989-11-03 1996-08-09 Simu Procede et dispositif pour deplacer un element d'occultation jusqu'a des positions stables reglables et installation en faisant application.
JPH0960458A (ja) * 1995-08-29 1997-03-04 Uesugi Kogyo:Kk 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装置
JP2902585B2 (ja) * 1995-12-18 1999-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動ブラインドの降下高さ設定装置
US5848634A (en) * 1996-12-27 1998-12-15 La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window shade system
JPH11125082A (ja) * 1997-10-23 1999-05-11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ーの操作装置
JP4108871B2 (ja) * 1999-04-28 2008-06-25 株式会社ハアーモニー 開閉部材を有する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可動限設定装置
US6755230B2 (en) * 2001-04-16 2004-06-29 Hunter Douglas Inc. Powered control system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30145957A1 (en) * 2002-02-01 2003-08-07 Domel Douglas R. Low power, high resolution position encoder for motorized window covering
JP3894827B2 (ja) * 2002-04-11 2007-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動開閉装置
DE102005011771A1 (de) * 2005-03-11 2006-09-14 Weinor Dieter Weiermann Gmbh & Co. Steuervorrichtung zur Schaltung von Stromkreisen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von elektrisch angetriebenen Einrichtungen
US7982422B2 (en) * 2006-01-19 2011-07-19 Hunter Douglas Inc. Push button control for motorized coverings with light control
DE102009034146B3 (de) * 2009-07-20 2011-02-17 Provita Verwaltung Gmbh Antriebs- und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akkubetriebenen Rollladen und dergleichen
DE202011001437U1 (de) * 2011-01-13 2011-03-17 Elero Gmbh Beschattungsvorrichtung
CN104389503B (zh) * 2011-03-11 2018-02-02 路创电子公司 电池供电的无线设备
WO2015017842A2 (en) * 2013-08-02 2015-02-05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ized sheer shading system
CN104763303A (zh) * 2014-01-03 2015-07-08 德侑股份有限公司 电动窗帘及其操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02B1 (ko) * 2017-04-14 2020-04-0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액추에이팅 기구
US10781631B2 (en) 2017-04-14 2020-09-22 Teh Yor Co., Ltd. Electrically-driven window shade and its actua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1988A1 (en) 2015-07-09
CN104763303A (zh) 2015-07-08
CA2911988C (en) 2018-03-13
EP3090116B1 (en) 2018-01-10
US9371687B2 (en) 2016-06-21
US20150191970A1 (en) 2015-07-09
JP2016521325A (ja) 2016-07-21
WO2015102668A1 (en) 2015-07-09
JP6307596B2 (ja) 2018-04-04
TWI535402B (zh) 2016-06-01
EP3090116A1 (en) 2016-11-09
TW201526849A (zh) 2015-07-16
KR101918343B1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343B1 (ko) 모터 작동식 창문 가리개
KR101838361B1 (ko) 모터로 구동되는 창문 가리개
NL2020715B1 (en) Electrically-driven window shade and its actuating mechanism
JP7033380B2 (ja) 電動遮蔽装置
JP5572365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及び電動日射遮蔽装置の制御方法
JP6038554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及び電動日射遮蔽装置の制御方法
JP5114027B2 (ja) 日射遮蔽装置のリモコン装置
JP6113434B2 (ja) 採光装置
JP6704776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遮蔽体下端の高さ設定装置
KR20170068905A (ko)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JP2014029089A (ja) 電動日射制御装置及び電動日射制御装置の昇降体昇降方法
JP5651355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及び電動日射遮蔽装置の制御方法
JP7495291B2 (ja) 電動ブラインド
JP6353009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及び電動日射遮蔽装置の制御方法
CN108729835B (zh) 电动窗帘及其致动机构
JP5670083B2 (ja) 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及び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方法
JP2007125275A (ja) 電動サンシェード装置、その最下点ストップリミッターおよびシェード最下点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