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039A -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 Google Patents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039A
KR20150124039A KR1020140050062A KR20140050062A KR20150124039A KR 20150124039 A KR20150124039 A KR 20150124039A KR 1020140050062 A KR1020140050062 A KR 1020140050062A KR 20140050062 A KR20140050062 A KR 20140050062A KR 20150124039 A KR20150124039 A KR 2015012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aver
weight
parts
oil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213B1 (ko
Inventor
김동권
Original Assignee
(유)오션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션식품 filed Critical (유)오션식품
Priority to KR102014005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송화분을 김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를 통해 이물질이 최대로 제거되도록 한 후 기름혼합물을 단계적으로 도포하되 2차 구이 단계가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 구이 단계 후 일정 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김 고유의 향미와 송화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의 제조방법은, 바다에서 채취된 후 염수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로 건조된 김을 준비하는 단계(S10);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면실유, 올리브유 및 해바라기씨유가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1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송화분 수용액을 분사하는 단계(S3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상태에서 송화분 수용액이 분사된 김을 100 ~ 150 ℃의 온도에서 3 ~ 5초 동안 1차 구워내는 단계(S40); 1차 구워진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두유, 채종유 및 들기름이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2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50); 제2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금을 골고루 흩뿌리는 단계(S60); 소금이 골고루 흩뿌려진 김을 70 ~ 90 ℃의 불로 3 ~ 7초 동안 2차 구워내는 단계(S70); 및 2차로 구워진 김을 30 ~ 50 ℃의 온도로 30초 ~ 2분 건조 후 일정 크기와 양으로 포장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Manufacturing method for cooked laver containing pine pollen and cooked lave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송화분을 김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를 통해 이물질이 최대로 제거되도록 한 후 기름혼합물을 단계적으로 도포하되 2차 구이 단계가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 구이 단계 후 일정 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김 고유의 향미와 송화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에 관한 것이다.
김은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또는 인근 동북아시아에서 음식과 함께 섭취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는 식재료이다. 김을 구워 먹는 형태의 조미 김은 도시락 반찬 또는 술 안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김에는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B 군을 비롯한 비타민의 함유량이 높으며, 섬유질, 미네랄, 칼슘, 철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긴 하나, 단순히 생김을 건조하여 식재료로 사용하는 한계로 인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송화가루는 소나무꽃가루로서, 1년 중 단 10일 간 1회만 개화를 하고 개화시점에서만 채집이 가능하다. 설악산과 북부금강산 준령에서 채취한 것이 향이 좋고 노란빛을 띠며 중풍, 고혈압 및 심장병에 좋은 식품이며 특히, 당뇨병, 지방해소 및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화가루는 옛날에 위의 도포제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콜린콜린이라는 성분이 죽순의 6,800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에 좋고 지방간을 해소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송화가루에 함유된 비타민C, E는 항산화 비타민으로서 활성산소가 만든 산소화합물의 독성을 완화하고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송화다식, 송화밀수등 고급 민속식품으로도 많이 이용되는 소나무 꽃가루는 약명으로 송화분(松花粉)이라고 하며, 늦은 봄 완전히 피지 않은 수꽃방울을 따서 말린 후 꽃가루를 털어 내어 사용하게 되며, 다쳐서 피가 나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송화가루를 바르면 치료에 도움을 주게 되고, 종기가 곪아 고름이 생겼을 때 송화가루를 바르면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송화가루와 꿀을 섞어서 얼굴 마사지를 하면 탄력 있고 윤기가 있는 피부를 가질 수 있으며, 송화가루는 방부성이 강해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52302호 (공개일자: 2010. 05. 19.) 는 송화가루 함유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된장에 관한 것이나, 된장에 유익한 송화가루를 사용하고 있을 뿐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는 김에 송화가루를 함유하는 것은 아니다.
KR 10-2010-0052302 A 2010. 05. 1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를 통해 이물질이 최대로 제거되도록 한 후, 기름혼합물을 단계적으로 도포하되 2차 구이 단계가 비교적 저온에서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 구이 단계 후 일정 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김 고유의 향미와 송화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의 제조방법은, 바다에서 채취된 후 염수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로 건조된 김을 준비하는 단계(S10);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면실유, 올리브유 및 해바라기씨유가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1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송화분 수용액을 분사하는 단계(S3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상태에서 송화분 수용액이 분사된 김을 100 ~ 150 ℃의 온도에서 3 ~ 5초 동안 1차 구워내는 단계(S40); 1차 구워진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두유, 채종유 및 들기름이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2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50); 제2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금을 골고루 흩뿌리는 단계(S60); 소금이 골고루 흩뿌려진 김을 70 ~ 90 ℃의 불로 3 ~ 7초 동안 2차 구워내는 단계(S70); 및 2차로 구워진 김을 30 ~ 50 ℃의 온도로 30초 ~ 2분 건조 후 일정 크기와 양으로 포장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 건조된 김을 50 ~ 70 ℃의 온도로 5 ~ 10분 열풍건조하거나, 70 ~ 90 ℃의 온도로 1 ~ 3초간 초벌로 구워내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기름혼합물은, 면실유 100 중량부에 대해, 올리브유 60 ~ 70 중량부 및 해바라기씨유 80 ~ 9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기름혼합물은 대두유 100 중량부에 대해, 채종유 30 ~ 50 중량부 및 들기름 10 ~ 2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송화분을 김과 함께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를 통해 이물질이 최대로 제거된 상태에서, 2차 구이 과정이 비교적 저온에서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고, 2차 구이 단계 후 일정 시간의 건조과정을 통해, 김 고유의 향미와 클로렐라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김에 도포되는 기름의 유익성분을 김, 송화분과 함께 동시에 섭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다에서 채취된 후 염수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로 건조된 김을 준비하도록 한다(S10). 염수로는 해수를 사용하도록 하며, 일정 크기는 일반적으로 김 농가에서 사용되는 발장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바다에서 채취된 김은 상기 염수로 1차 세척한 상태에서 수분이 김 1매 전체 중량의 10 ~ 15 %의 범위에서 함유된 상태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건조는 20 ~ 30 ℃ 의 상온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선택적으로 상기 S10 단계의 건조과정에서 건조된 김을 50 ~ 70 ℃ 의 온도로 5 ~ 10분 열풍건조하거나, 70 ~ 90 ℃ 의 온도로 1 ~ 3초간 초벌로 구워내도록 한다.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 과정은 건조된 김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털어냄과 함께 김에 함유되는 수분함량이 3 ~ 7% 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조미 김 제조 후 유통과정에서 수분으로 인해 김의 변질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과정이다.
열풍건조시 바람의 속도는 0.5 ~ 2 m/s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건조된 김을 50 ℃, 5분 및 0.5m/s 미만으로 열풍 건조하는 경우 김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음과 함께 수분함량의 저감이 미미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건조된 김을 70 ℃, 10분 및 2m/s 초과하여 열풍 건조하는 경우 이물질제거는 이루어질 수 있으나 김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열풍 건조를 대신하여 초벌구이를 하는 경우, 70 ℃, 1초 미만으로 구워내게 되면 이물질이 제거되거나 수분함량이 저감되는 정도가 약해 바람직하지 못하고, 90 ℃ 및 3초를 초과하여 구워내게 되면 수분함량은 저감되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S10 단계의 건조과정 이후, 또는 열풍건조 또는 초벌구이가 마무리된 후에는,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면실유, 올리브유 및 해바라기씨유가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1기름혼합물을 도포하도록 한다(S20). 상기 제1기름혼합물의 도포는 기름 도포용 롤러 등을 구비한 기계장치에 김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기름 도포용 롤러를 통해 도포하거나, 작업자를 통한 수작업을 통해 기름 도포용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도록 한다.
면실유는 목화씨를 찐 다음 압착해서 짜낸 기름으로서, 풍미가 좋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열안정성이 양호하여 비교적 고온으로 구워내는 경우에도 산폐가 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다른 식물성 기름과 혼합해서 사용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면실유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심장병에 유익하고, 상기 면실유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을 통해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성장 및 전이를 저지한 치료사례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실유를 제1기름혼합물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1차굽기과정에서 김의 바삭한 식감과 열적인 안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올리브유는 항산화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심장질환을 예방하고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방해하며 좋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경화증의 위험을 축소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와 모발의 건강에 좋은 효능이 있고, 비타민 E와 폴리페놀이 풍부해 뼈와 조직에 항염증작용을 하며, 소화를 촉진시켜주고 시력개선에 유용하다.
해바라기씨유의 재료인 해바라기씨는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영양소가 몸에 잘 흡수되도록 도와주어 간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바라기씨유는 리놀렌산, 필수지방산, 세포 구성성분인 레시틴을 포함하고 있고, 비타민 A, E가 풍부하여 보습에 좋고 지성피부에 유용하다. 또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을 억제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1기름혼합물은, 면실유 100 중량부에 대해, 올리브유 60 ~ 70 중량부 및 해바라기씨유 80 ~ 9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열안정성이 양호하여 비교적 고온으로 구워내는 경우에도 산폐가 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면실유를 기준으로 하며, 올리브유가 면실유 100 중량부에 대해 6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올리브유의 고유성분의 섭취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비타민 E와 폴리페놀 등 영양분의 섭취는 좋아지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해바라기씨유가 면실유 100 중량부에 대해 8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해바라기씨유에 포함된 해바라기씨유의 고유성분 섭취가 적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9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리놀렌산, 필수지방산 등의 섭취는 좋아지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후에는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송화분 수용액을 분사하도록 한다(S30).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표고버섯을 분말화하여 상기 송화분과 함께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김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표고버섯은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변비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에리타데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고혈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비타민 D가 함유되어 있어 아이들의 성장발육 및 어른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고버섯은 수분함량 5 ~ 10%의 건조된 것을 이용하여 분쇄하도록 하며, 100 ~ 150 메쉬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표고버섯을 송화분에 혼합하여 혼합분말로 하는 경우 표고버섯은 송화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 ~ 30 중량부 혼합되어 사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표고버섯을 대신하여, 또는 상기 표고버섯과 함께, 뽕잎분말을 상기 송화분에 혼합하여 수용액 상태로 김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뽕잎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전통의서에 그 효능이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약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술을 분해시켜주는 아미노산인 알라닌과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고, 뇌 속의 피를 잘 돌게 하고 콜레스테롤 제거 및 노인성 치매를 예방해주는 세린과 타이론신의 아미노산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50 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무와 비교할 때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해주는 칼슘은 60배, 피의 원료가 되는 철분은 160배, 몸 속에서 중요한 여러 가지 성분을 만드는 인은 10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요즘 즐겨마시는 녹차와 비교할 때 칼슘은 6.1배, 철분은 2.2배, 칼륨은 1.4배이며 섬유성분은 4.7배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우유에 비해서도 칼슘이 6배이며, 철분은 시금치의 3배 더 들어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변비 완화 및 다이어트에 효과가 높으며 섭취시 혈당을 떨어뜨려 당뇨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뽕잎 또한 수분함량 5 ~ 10%의 건조된 것을 이용하여 분쇄하도록 하며, 표고버섯분말과 동일하게 100 ~ 150 메쉬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표고버섯 분말 및/또는 뽕잎분말이 100 메쉬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 분말의 씹히는 맛이 강해 바람직하지 못하고, 150 메쉬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 질감이 약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뽕잎분말을 표고버섯 대신 송화분에 혼합하여 혼합분말로 하는 경우 상기 뽕잎분말은 송화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 ~ 30 중량부 혼합되어 사용되도록 하며, 표고버섯과 함께 송화분에 혼합하여 혼합분말로 사용하는 경우 송화분 100 중량부에 대해 표고버섯 5 ~ 6 중량부 및 뽕잎분말 4 ~ 5 중량부 혼합되도록 한다.
송화분, 송화분과 표고버섯의 혼합분말, 또는 송화분과 표고버섯과 뽕잎분말의 혼합분말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 5 중량부 혼합되어 수용액으로 제조되도록 하며, 이를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분사되도록 한다.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상태에서 수용액을 분사시 기름과 물의 분리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상태에서 5 ~ 10초 이후에 분말 수용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5초 미만의 상태에서 수용액을 분사하는 경우 제1기름혼합물이 김에 스며드는 시간이 짧아 수용액이 김의 표면에 흡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10초를 초과하는 경우 제1기름혼합물이 김에 스며드는 시간은 충분하나 제조시간이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송화분 수용액, 송화분과 표고버섯의 혼합분말 수용액, 또는 송화분과 표고버섯과 뽕잎분말의 혼합분말 수용액을 분사한 후에는 김을 1차로 구워내게 된다(S40). 1차로 김을 구워내는 단계는 100 ~ 150 ℃의 온도에서 2 ~ 5초 동안 이루어진다. 가열안정성이 뛰어난 면실유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비교적 고온으로 구워내더라도 제1기름혼합물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며, 송화분, 상기 송화분과 표고버섯, 또는 상기 송화분과 표고버섯과 뽕잎을 함유한 김에 제1기름혼합물이 스며든 상태에서 구워지게 되어 김의 바삭함이 유지될 수 있다.
김을 100 ℃, 2초 미만으로 굽는 경우 수용액의 수분의 증발이 약해짐과 함께 김의 바삭함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150 ℃, 5초를 초과하여 굽는 경우 수분증발 및 김의 바삭함은 향상되나 김이 타거나 제1기름혼합물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분증발, 김의 바삭함 및 열적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하기는 120 ~ 140 ℃의 온도로 3 ~ 4초 동안 1차로 구워내도록 한다.
1차로 김을 구워낸 후에는,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두유, 채종유 및 들기름이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2기름혼합물을 도포하도록 한다(S50). 상기 제2기름혼합물의 도포 또한, 김을 기름 도포용 롤러 등을 구비한 기계장치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기름 도포용 롤러를 통해 도포되도록 하거나, 작업자를 통한 수작업을 통해 기름 도포용 붓을 이용하여 도포되도록 한다.
대두유는 콩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름으로서,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비타민 F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인체에 필수적이다. 또한 대두유에는 오메가-3 지방의 일종인 리놀렌산이 6 ~ 8%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오메가-3는 혈관 건강에 유익하다. 특히 대두유는 무미·무취한 특징이 있어 김 고유의 향과 클로렐라 고유의 맛을 느끼는데 유용하며, 후술하는 들기름의 향 또한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채종유는 일명 카놀라유로 불리고 유채꽃에서 추출하는 것으로서, 이미·이취가 없고 담백한 풍미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산화안정성과 가열안정성이 우수하여 열에 대해 산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열에 약한 들기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들기름은 오메가-3 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60% 이상으로서 암 발생률을 낮춰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들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리놀렌산 성분이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기 때문에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각종 혈관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나이가 많은 어른들이나 새치가 많은 젊은 사람들이 섭취할 경우 두피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어 흰머리 또는새치에 효과가 있게 된다. 다만, 열에 약해 산폐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높은 온도에서의 가열은 피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들기름의 향 및 성분을 김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되, 열에 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채종유를 들기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기름혼합물은, 대두유 100 중량부에 대해 채종유 30 ~ 50 중량부 및 들기름 10 ~ 2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기름혼합물의 경우, 무미·무취한 특징으로 김과 송화분 고유의 맛과 들기름 고유의 향을 느끼도록 하는 대두유를 기준으로 하며, 채종유가 대두유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채종유에 포함된 고유성분의 섭취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가열안정성은 우수하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들기름이 대두유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들기름 고유 성분의 섭취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기름혼합물이 도포된 후에는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금을 골고루 흩뿌리도록 한다(S60). 상기 소금은 일반적으로 정제된 소금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천일염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정제된 소금과 천일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이며,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장점이 있다.
정제된 소금에 천일염을 혼합한 소금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정제된 소금 100 중량부에 대해 천일염 1 ~ 5 중량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한다. 천일염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무기질의 섭취가 미미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짠맛이 약해지고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소금 또는 소금혼합물이 골고루 뿌려진 김은 70 ~ 90 ℃의 불로 3 ~ 7초 동안 2차 구워지도록 한다(S70). 1차로 구워진 김을 비교적 저온으로 구워냄으로써 열에 약한 들기름의 산폐를 낮추도록 하고, 바삭한 식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김을 70 ℃, 3초 미만으로 구워내는 경우 김의 바삭함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90 ℃, 7초를 초과하여 구워내는 경우 들기름의 열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김의 바삭함과 열적 안정성을 함께 만족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는 75 ~ 85 ℃의 온도로 4 ~ 6초 동안 2차 구이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2차로 구워진 김은 30 ~ 50 ℃의 온도로 30초 ~ 2분 건조 후 일정 크기와 양으로 포장한다(S80). 1차 및 2차, 또는 선택적으로 초벌구이를 거친 김을 곧바로 포장하는 대신, 30 ~ 50 ℃의 온도로 30초 ~ 2분 동안, 바람직하기는 35 ~ 45 ℃의 온도에서 1분 ~ 1분 30초 동안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바삭한 식감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포장 전 2차 구이를 통해 완성된 김은 김 100 중량부에 대해, 송화분, 송화분과 표고버섯이 골고루 혼합된 혼합분말, 또는 송화분과 표고버섯과 뽕잎이 골고루 혼합된 혼합분말 7 ~ 10 중량부, 제1기름혼합물 1 ~ 3 중량부, 제2기름혼합물 2 ~ 4 중량부 및 소금 또는 소금혼합물 2 ~ 3 중량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김 100 중량부에 대해 송화분, 송화분과 표고버섯이 골고루 혼합된 혼합분말, 또는 송화분과 표고버섯과 뽕잎이 골고루 혼합된 혼합분말이 7 중량부 미만인 경우 송화분 또는 혼합분말의 고유성분 섭취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김 고유의 맛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기름혼합물과 제2기름혼합물이 각각 1 중량부 및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김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각각 3 중량부 및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열적 안정성은 향상되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소금 또는 소금혼합물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짠맛이 약해지거나 천일염의 무기질 성분 섭취가 미미해 바람직하지 못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짠맛이 강해지거나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 예 1.
바다에서 채취되고 염수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분함량 12%로 건조된 김을 준비하고, 60 ℃의 온도로 7분 열풍건조한 후, 건조된 김 100g의 양면에 면실유, 올리브유 및 해바라기씨유가 골고루 혼합된 제1기름혼합물 2g을 기름 도포용 붓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 6초 후에 송화분이 포함된 송화분 수용액을 분사하여 송화분이 8g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후 130 ℃의 온도에서 4초 동안 1차 구워낸 다음, 대두유, 채종유 및 들기름이 골고루 혼합된 제2기름혼합물 3g을 김의 양면에 기름 도포용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고, 김의 양면에 소금 3g을 골고루 흩뿌린 상태에서 80 ℃의 온도로 5초 동안 2차 구워낸 다음, 40 ℃의 온도에서 1분 10초동안 건조하여 조미 김을 완성하였다.
실시 예 2.
송화분을 표고버섯과 뽕잎 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조미 김을 완성하였다.
실시 예 3.
송화분을 3g으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조미 김을 완성하였다.
실시 예 4.
제2기름혼합물을 6g으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조미 김을 완성하였다.
실시 예 5.
제2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을 100 ℃의 온도로 9초 동안 2차 구워내는 과정을 제외하고, 실시 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조미 김을 완성하였다.
실험 예.
실시 예 1 내지 5와 같이 제조하여 얻은 조미 김을 관능검사요원(20, 30, 40, 50, 6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5점척도법에 의해 관능검사(맛, 기호성, 식감, 종합)를 실시하였다. 비교 예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본 미시마(Mishima)사 제품의 조미 김을 이용하였다.
구분 기호성 식감 종합
실시 예 1 4.33 4.31 4.31 4.32
실시 예 2 4.28 4.30 4.32 4.31
실시 예 3 4.27 4.29 4.30 4.31
실시 예 4 4.26 4.28 4.28 4.29
실시 예 5 4.27 4.27 4.28 4.28
비교 예 4.20 4.23 4.23 4.23
상기 결과를 통해 송화분이 함유된 실시 예 1 ~ 5가 비교 예 보다 맛, 기호성, 식감 및 종합평가에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고, 표고버섯과 뽕잎이 함유될 경우 클로렐라만 함유된 상태보다 식감은 향상되나 맛, 기호성 및 종합평가에서는 송화분만 함유된 김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5)

  1. 바다에서 채취된 후 염수세척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로 건조된 김을 준비하는 단계(S10);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면실유, 올리브유 및 해바라기씨유가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1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2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송화분 수용액을 분사하는 단계(S30);
    제1기름혼합물이 도포된 상태에서 송화분 수용액이 분사된 김을 100 ~ 150 ℃의 온도에서 3 ~ 5초 동안 1차 구워내는 단계(S40);
    1차 구워진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두유, 채종유 및 들기름이 일정 비율로 골고루 혼합되어 형성된 제2기름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S50);
    제2기름혼합물이 도포된 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금을 골고루 흩뿌리는 단계(S60);
    소금이 골고루 흩뿌려진 김을 70 ~ 90 ℃의 불로 3 ~ 7초 동안 2차 구워내는 단계(S70); 및
    2차로 구워진 김을 30 ~ 50 ℃의 온도로 30초 ~ 2분 건조 후 일정 크기와 양으로 포장하는 단계(S8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름혼합물은,
    면실유 100 중량부에 대해, 올리브유 60 ~ 70 중량부 및 해바라기씨유 80 ~ 9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름혼합물은,
    대두유 100 중량부에 대해, 채종유 30 ~ 50 중량부 및 들기름 10 ~ 20 중량부가 골고루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
    상기 건조된 김을 50 ~ 70 ℃의 온도로 5 ~ 10분 열풍건조하거나, 70 ~ 90 ℃의 온도로 1 ~ 3초간 초벌로 구워내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분이 함유된 조미 김.
KR1020140050062A 2014-04-25 2014-04-25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159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2A KR101596213B1 (ko) 2014-04-25 2014-04-25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062A KR101596213B1 (ko) 2014-04-25 2014-04-25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039A true KR20150124039A (ko) 2015-11-05
KR101596213B1 KR101596213B1 (ko) 2016-02-23

Family

ID=5460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062A KR101596213B1 (ko) 2014-04-25 2014-04-25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5342A (zh) * 2020-08-26 2020-11-20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有效提高果树坐果率的便携式授粉笔
KR102215045B1 (ko) * 2020-10-14 2021-02-10 이상효 장어와 해삼내장을 이용한 스낵김의 제조방법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78A (ko) 2019-06-30 2021-01-08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66A (ko) * 1994-11-19 1996-06-17 이생동 참깨를 배합한 세절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9990083902A (ko) * 1999-08-27 1999-12-06 위원길 맥반석 한방 조미김 제조 방법
KR100471654B1 (ko) * 2002-12-10 2005-03-10 정봉임 키토산이 함유된 맛김 제조방법
KR20050053567A (ko) * 2005-05-16 2005-06-08 박용규 칼라(colour) 김
KR20100052302A (ko) 2008-11-10 2010-05-19 김현지 송화가루 함유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된장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66A (ko) * 1994-11-19 1996-06-17 이생동 참깨를 배합한 세절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9990083902A (ko) * 1999-08-27 1999-12-06 위원길 맥반석 한방 조미김 제조 방법
KR100471654B1 (ko) * 2002-12-10 2005-03-10 정봉임 키토산이 함유된 맛김 제조방법
KR20050053567A (ko) * 2005-05-16 2005-06-08 박용규 칼라(colour) 김
KR20100052302A (ko) 2008-11-10 2010-05-19 김현지 송화가루 함유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된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5342A (zh) * 2020-08-26 2020-11-20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有效提高果树坐果率的便携式授粉笔
CN111955342B (zh) * 2020-08-26 2024-05-07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有效提高果树坐果率的便携式授粉笔
KR102215045B1 (ko) * 2020-10-14 2021-02-10 이상효 장어와 해삼내장을 이용한 스낵김의 제조방법
KR102255007B1 (ko) * 2021-01-18 2021-05-28 (유)만나씨푸드 황칠 다시마 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13B1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213B1 (ko) 송화분(松花粉)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1561869B1 (ko) 갈비탕 제조방법
KR101316046B1 (ko) 몰로키아가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
KR20150142164A (ko) 매운소스와 견과류가 도포된 조미김
KR101934329B1 (ko) 도라지를 포함하는 김 자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자반
KR20110011280A (ko)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609B1 (ko) 들깨잎과 들깨를 이용한 오메가―3 들깨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4040A (ko) 클로렐라가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473B1 (ko) 고수분말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CN106465860A (zh) 一种锡纸烤陈皮罗非鱼的制作方法
KR20150124041A (ko) 키토산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2232162B1 (ko)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
KR20180060493A (ko) 발효 찹쌀을 이용한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101287375B1 (ko) 함초염 및 구기자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1523472B1 (ko) 코리앤더 오일이 함유된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CN106036562A (zh) 一种干泥鳅的加工工艺
KR20080079539A (ko) 호두강정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627B1 (ko) 생찻잎을 이용한 식품
KR101739448B1 (ko) 황칠추출액과 양파추출액이 혼합된 혼합액 및 황칠과 양파가 함침된 구운 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0432532B1 (ko) 녹차김 제조방법
KR101671490B1 (ko) 미네랄 강화 견과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3141B1 (ko) 기능성 김 제조방법
KR102474105B1 (ko) 김 제조방법
KR101513539B1 (ko) 야채 비빔장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