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47B1 -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47B1
KR101759147B1 KR1020140162640A KR20140162640A KR101759147B1 KR 101759147 B1 KR101759147 B1 KR 101759147B1 KR 1020140162640 A KR1020140162640 A KR 1020140162640A KR 20140162640 A KR20140162640 A KR 20140162640A KR 101759147 B1 KR101759147 B1 KR 10175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hydrangea
flowers
brow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399A (ko
Inventor
윤금희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푸드
Priority to KR102014016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65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Abstract

본 발명은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룽지 제조시 수국꽃차를 첨가함으로써,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고,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과 기능성이 증진되고, 수국꽃차의 단맛으로 인해 인공 감미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유익한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HYDRANGEA SCORCHED R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룽지 제조시 수국꽃차를 첨가함으로써,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고,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과 기능성이 증진되고, 수국꽃차의 단맛으로 인해 인공 감미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유익한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밥을 짓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밥이 다 될 무렵 수분이 감소된 상태에서 솥과 접촉하는 부분의 밥이 탄화되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누룽지를 그대로 먹거나 또는 누룽지에 물을 부어 넣고 끓여 물은 숭늉으로 알갱이는 누룽지밥으로 애용해 오던 전통식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누룽지의 생성은 밥의 수율을 크게 떨어지게 하기 때문에 누룽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학적인 가열 및 증기 배출 방법으로 고안된 전기밥솥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밥을 지을 때는 밥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누룽지가 많이 생성되지 않게 하고 있다.
그로 인해 누룽지는 별도의 누룽지 제조공장에서 누룽지 또는 누룽지 가공품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별도로 제조된 누룽지 또는 누룽지 가공품은 남녀노소의 간식 또는 식후의 후식으로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누룽지 자체에 영양성분과 다양한 맛이 첨가된 기능성 누룽지의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3194호에는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누룽지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관절염, 신경통, 위장병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로쇠 수액의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누룽지 고유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고로쇠 수액 자체에 함유하고 있는 당분으로 인해 감미료의 사용을 피하거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6580호에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잇는데, 상황버섯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불린쌀에 첨가하여 쌀반죽액을 제조한 다음 팽화시키고, 분리 건조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방지 또는 미백 등 미용기능성 누룽지 식품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뛰어난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등록특허 제10-1034891호는 기능성 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에 대한 것으로서, 흰쌀, 찹쌀 및 현미의 혼합물을 세척한 다음 불리는 제1 단계와; 머리부분을 제거하여 물에 불린 홍삼을 커팅한 다음 상기 혼합물과 함께 취반하여 홍삼밥을 제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홍삼밥을 종래 누룽지 제작 기계상에 펼친 상태에서 선식가루를 균일하게 뿌리고 홍삼 불린 물을 분사한 다음 다시 상기 홍삼밥을 선식가루상에 펼친 후 그 홍삼밥 양면을 구워 누룽지를 제조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누룽지를 건조 및 냉각한 다음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밀봉 포장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공 감미료를 첨가하여 맛이 좋도록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누룽지 제조 과정에서 맛을 좋게 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인공 감미료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단맛을 증가시킬 수 있는 천연재료를 첨가한 누룽지는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아직까지는 그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며, 수국꽃의 향과 풍미가 첨가된 누룽지도 개발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3194호 (공개, 2007.09.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6580호 (공개, 2010.04.08.) 한국등록특허 제10-1034891호 (등록, 2011.05.06.)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룽지 제조시 수국꽃차를 첨가함으로써,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고,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과 기능성이 증진되고, 수국꽃차의 단맛으로 인해 인공 감미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유익한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은 건조 가공된 수국꽃을 찬물에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수국꽃차제조단계; 석발된 현미를 깨끗이 세척한 뒤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에 현미를 담궈서 불리는 현미불림단계;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내고 발아시키는 현미발아단계;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를 첨가하고 수국현미밥을 짓는 수국현미밥제조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상온에서 식히는 수국현미밥식힘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식힘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을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수국현미밥성형단계; 및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하는 수국누룽지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는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0 내지 12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20 내지 28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는 석발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50 내지 3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뒤 10 내지 15시간 동안 현미를 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는 수국꽃차가 제거된 불린 현미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8일 동안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는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0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짓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는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국누룽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60 내지 19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는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국누룽지는 누룽지 제조시 수국꽃차를 첨가함으로써,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누룽지에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과 기능성이 증진되고 향과 풍미가 증진된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국꽃은 감기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열 및 기침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천연재료이며, 수국꽃의 당도는 설탕의 1000배나 되지만, 천연적인 단맛과 향이라 건강에 유해한 당 성분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수국꽃 자체에 포함된 천연 단맛으로 인해 수국꽃차는 인공 감미료보다 훨씬 더 뛰어나고 건강에 유익한 단맛을 발현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수국꽃차를 이용해 누룽지를 제조할 경우, 인공 감미료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건강에도 유익한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누룽지 제조과정에서 수국꽃차를 첨가하게 되면 수국꽃의 유효성분이 다량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수국꽃 자체가 가지고 있는 방부 효과가 있는 성분이 누룽지에도 포함되어 제조된 누룽지의 유통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 뒤 카놀라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또는 포도씨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에서 한번 더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향, 맛 및 풍미는 증진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을 공정 단계 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구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은 건조 가공된 수국꽃을 찬물에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수국꽃차제조단계; 석발된 현미를 깨끗이 세척한 뒤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에 현미를 담궈서 불리는 현미불림단계;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내고 발아시키는 현미발아단계;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를 첨가하고 수국현미밥을 짓는 수국현미밥제조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상온에서 식히는 수국현미밥식힘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식힘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을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수국현미밥성형단계; 및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하는 수국누룽지제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을 공정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건조 가공된 수국꽃을 찬물에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수국꽃차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00).
수국꽃(학명 : Hydrangea macrophylla ver. otaksa MAKINO)은 꽃을 즐기기 위하여 관상용으로 가꾸고 있는 키 작은 낙엽활엽수로 1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고 있으며 넓은 계란 꼴로 시원스럽게 큰 모습이다. 잎 끝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동은 서서히 좁아지며, 잎의 길이는 10 내지 15㎝나 되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생김새의 작은 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초여름에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모여 피는데 그 지름이 20cm나 되고, 꽃은 암술과 수술이 모두 퇴화 되어진 무성화(無性花)로 4 내지 5개의 꽃받침이 아름답게 물들어 꽃잎처럼 보인다. 꽃의 빛깔은 처음엔 연한 보랏빛으로 피고 남빛으로 변했다가 마지막에 분홍빛이 되는 특징이 있다.
수국꽃의 생약명은 용구화, 수구 또는 팔선화이며, 뿌리, 잎 및 꽃 모두를 함께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봄부터 가을 사이에 어느 때든지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뒤 약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국꽃에는 필로둘신(Phyllodulcin), 하이드란게놀(Hydrangenol), 하이드란게아산(Hydrangeaic acid)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강심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학질을 다스리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국꽃의 적용질환은 학질,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 이유 없이 가슴이 울렁거리는 증세 등이며, 감기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열 및 기침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천연재료이다. 수국꽃의 당도는 설탕의 1000배나 되지만, 천연적인 단맛과 향이라 건강에 유해한 당 성분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건조 가공된 수국꽃은 자연상태의 수국꽃을 덖음 및 식힘과정을 거쳐 건조 가공 처리한 것으로, 자연상태의 수국꽃봉우리를 따서 이물질을 제거 및 손질하여 깨끗한 상태로 준비하는 수국꽃전처리단계; 전처리된 수국꽃을 초벌구이판에서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27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수국꽃건조단계; 건조된 수국꽃을 40 내지 50℃의 덖음펜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덖음하는 수국꽃1차덖음단계; 1차 덖음된 수국꽃을 완전히 식힌 후 85 내지 100℃의 덖음펜에서 1 내지 3분 동안 덖음하는 수국꽃2차덖음단계; 및 2차 덖음된 수국꽃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식히는 수국꽃식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건조 가공된 수국꽃일 수 있다.
상기 수국꽃건조단계에서 수국꽃을 30℃ 미만의 온도에서 27시간 미만의 시간으로 건조시킬 경우 수국꽃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보관시 곰팡이가 생길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40℃를 초과한 온도에서 30시간을 초과한 시간 동안 건조시킬 경우 수국꽃이 너무 많이 건조되어 수국꽃의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국꽃1차덖음단계에서 덖음 온도는 차의 맛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는데 건조된 수국꽃을 40 내지 50℃의 덖음펜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덖음가공 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40℃ 미만의 온도에서 10분 미만의 시간으로 덖을 경우 수국꽃이 충분이 덖어지지 않아서 수국꽃의 향이 충분히 우러나지 않을 수 있으며, 50℃를 초과한 온도에서 20분을 초과한 시간 동안 덖을 경우 수국꽃의 유효성분이 손실되며 탄 맛이 느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국꽃2차덖음단계에서는 고온에서 짧은 시간 동안 수국꽃을 덖음하고 식히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수국꽃의 수분함량이 3% 이하가 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국꽃의 향과 영양성분이 차로 우러나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이 되며 유통기한도 증가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는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0 내지 12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20 내지 28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여 수국꽃차를 제조할 경우, 수국꽃 전체 중량에 비해 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아서 수국꽃의 영양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을 우려가 있고, 사용되는 수국꽃에 비해 제조되는 수국꽃차의 양이 많이 않기 때문에 경제성 및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1200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하여 수국꽃차를 제조할 경우, 수국꽃의 영양성분에 비해 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국꽃차 제조 후 수국꽃차의 효능과 맛, 향 및 풍미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건조 가공된 수국꽃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한 뒤, 20시간 미만으로 수국꽃을 우려낼 경우, 수국꽃을 우려내는 시간이 부족하여 제조된 수국꽃차에 수국꽃의 영양성분 및 향과 풍미가 충분히 포함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건조 가공된 수국꽃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한 뒤, 28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수국꽃을 우려낼 경우, 수국꽃의 영양성분 및 향과 풍미는 충분히 우러나온 후에는 더이상 시간을 지체한다고 해서 더 많은 양의 영양성분 및 향과 풍미가 우러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의미없이 지체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는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0 내지 12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20 내지 28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석발된 현미를 깨끗이 세척한 뒤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에 현미를 담궈서 불리는 현미불림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는 석발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50 내지 3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뒤 10 내지 15시간 동안 현미를 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석발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5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여 현미를 불릴 경우, 현미가 충분히 불지 않아서, 다음 제조 과정인 현미발아단계에서 현미가 제대로 발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석발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300중량부를 초과한 양으로 첨가하여 현미를 불릴 경우, 현미 전체 중량에 비해 수국꽃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크기 때문에, 현미가 잘 불려 질 수는 있지만, 생산 단가가 증가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석발된 현미에 적당량의 수국꽃차를 첨가한 뒤 10시간 미만으로 현미를 불릴 경우, 현미를 불리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현미가 제대로 불지 않고, 그로 인해 다음 제조 과정인 현미발아단계에서 현미가 제대로 발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석발된 현미에 적당량의 수국꽃차를 첨가한 뒤 15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현미를 불릴 경우, 현미가 액체가 담겨 있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변질 되거나 부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는 석발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50 내지 3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뒤 10 내지 15시간 동안 현미를 불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내고 발아시키는 현미발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00).
현미의 겨 층에는 철분, 아연, 마그네슘, 칼륨 및 칼슘과 같은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다. 하지만 현미는 피친산(Phytic acid)이라는 성분에 의해 단단히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소화 흡수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미를 발아시키게 되면 피친산이 변화되어 미네랄의 흡수율이 3 내지 4배로 높아지고 비타민의 활성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장 장애가 없어지고 소화가 잘되는 형태로 변하게 된다. 이 외에도 현미를 발아시키게 되면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등과 같은 단순한 형태의 영양소들이 효소의 작용으로 비타민, 아미노산, 옥타코사놀 및 감마오리자놀 등과 같은 다양한 고급 영양소 형태로 변화되게 되고, 새싹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탄수화물을 효소로 일부 분해하여 당화되거나 저분자화 시켜 단맛을 내기 때문에 맛이 좋게 변한다.
또한, 현미에는 식물성 단백질이 약 7%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현미가 발아될 때 이 성분이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전환된다. 아미노산은 인체의 근육을 만들고 호르몬 등을 만드는 원료로서 인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아미노산이 풍부한 발아현미는 인체에 아주 유익한 식재료이다.
현미에는 혈액이나 혈관 벽에 달라붙어 있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제거하는 성질이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데 뛰어난 성분인 리놀산과 리놀레산이 풍부하다. 또한 현미를 발아시키면, 발아되는 과정에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판토텐산, 니코틴산 및 엽산 등이 현저히 증가하기 때문에 백미에 비해 상기의 영양성분이 20 내지 30배 정도 많아진다.
현미는 발아시켜 발아현미를 제조한 뒤 섭취하게 되면 소화가 잘되고 영양흡수율이 높아짐은 물론이거니와,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인체에 유익하고, 동맥경화 예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백미를 사용하지 않고 현미를 사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고, 현미에 수국꽃차를 첨가하여 현미를 불린 후 발아시킴으로써 영양성분이 뛰어난 발아현미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발아된 현미를 이용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하기 때문에 영양성분 및 맛과 풍미가 뛰어난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수국꽃차에 불린 현미를 발아시켜서 수국누룽지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지만, 백미와 현미를 혼합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백미와 현미를 혼합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경우에는 백미 20 내지 40중량%와 현미 60 내지 8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는 수국꽃차가 제거된 불린 현미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8일 동안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불린 현미를 0℃ 미만의 온도에서 5일 미만의 시간 동안 발아시킬 경우, 발아되는 온도가 너무 낮고, 발아 기간이 너무 짧아서 불린 현미가 제대로 발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불린 현미를 5℃를 초과한 온도에서 8일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발아시킬 경우, 발아 온도가 너무 높고, 발아 기간이 너무 길어서, 발아되는 과정에서 불린 현미가 변질 및 부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는 수국꽃차가 제거된 불린 현미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8일 동안 발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를 첨가하고 수국현미밥을 짓는 수국현미밥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00).
발아된 현미에 수국꽃차를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을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수국현미밥은 발아된 현미에 수국꽃차를 첨가한 뒤 찜솥에 넣고 약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열을 가하여 약 30분 동안 찐 후, 불을 끄고 다시 약 20분 동안 뜸을 띄어서 고두밥 형태의 수국현미밥을 짓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는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0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짓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을 경우, 발아된 현미 전체 중량에 비해 수국꽃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아서 발아된 현미가 제대로 익지 않아서, 수국현미밥을 섭취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20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을 경우, 발아된 현미 전체 중량에 비해 수국꽃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수국현미밥이 고두밥 형태로 제조되지 않고 질어질 수 있기 때문에 누룽지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수국현미밥으로 제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는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0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짓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상온에서 식히는 수국현미밥식힘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00).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고두밥 형태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넓게 펼친 상태로 상온에서 충분히 식힐 수 있다. 이는, 추후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수국현미밥을 원하는 형태로 성형시키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며,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상온에서 충분히 식혀서 수국누룽지를 제조해야지만, 수국꽃차의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국누룽지를 고소하면서도 바삭한 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상기 수국현미밥식힘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을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수국현미밥성형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00).
수국현미밥식힘단계에서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을 수국누룽지로 제조하기 위해서 성형기에 넣고 펼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은 가로 및 세로의 크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의 두께는 1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의 두께가 1㎜ 미만일 경우, 수국누룽지 제조 시 수국누룽지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매우 딱딱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의 두께가 7㎜를 초과할 경우, 수국누룽지 제조 시 수국누룽지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바삭바삭한 수국누룽지의 식감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의 두께는 1 내지 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하는 수국누룽지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700).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일정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앞면 및 뒷면이 모두 노릇노릇해 질 때까지 골고루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90 내지 120℃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0.5 내지 2분의 시간 동안 구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90℃ 미만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0.5분 미만의 시간 동안 구워낼 경우, 너무 낮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동안 수국현미밥을 구워내서 제조된 수국누룽지의 바삭바삭한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120℃를 초과한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2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구워낼 경우, 너무 높은 온도에서 긴 시간 동안 수국현미밥을 구워내서 제조된 수국누룽지가 탈 수 있기 때문에, 탄맛이 느껴져서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90 내지 120℃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0.5 내지 2분의 시간 동안 구워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조된 수국현미밥 자체를 식히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뒤, 수국현미밥을 일정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앞면 및 뒷면이 모두 노릇노릇해 질 때까지 골고루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할 수도 있고,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뒤,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이 더 포함되어 있는 수국현미밥을 일정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앞면 및 뒷면이 모두 노릇노릇해 질 때까지 골고루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할 수도 있다.
수국현미밥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더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하게 되면, 수국누룽지 자체에 수국꽃의 색이 더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국누룽지의 색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가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수국꽃의 향, 풍미 및 영양성분이 더 첨가될 수 있어서 향과 풍미가 더 뛰어난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는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뒤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경우, 첨가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이 너무 작아서 수국꽃의 향과 풍미가 수국누룽지에 포함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첨가하는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0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뒤 수국누룽지를 제조할 경우, 제조된 수국누룽지의 색이 과도하게 짙어져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고, 수국꽃의 향과 풍미가 너무 과도하게 첨가되어 누룽지 본연의 고소한 맛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는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국누룽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는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800).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카놀라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또는 포도씨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히지 않고 기름에 튀기는 경우, 뜨거운 상태의 수국누룽지가 대기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삭바삭한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분히 식힌 후 기름에 튀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물성 기름에 튀기게 되면, 고소한 맛이 더 증가되고 바삭바삭한 식감이 더 강조될 수 있기 때문에 맛이 뛰어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를 더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국누룽지의 소비를 더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국누룽지를 제품화 하여 판매 및 유통하는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국누룽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60 내지 19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60℃ 미만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경우, 낮은 온도에서 수국누룽지가 튀겨지게 되어 바삭바삭한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장시간 튀겨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90℃를 초과한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경우, 너무 높은 온도에서 튀겨지게 되어 수국누룽지를 튀기는 과정에서 수국누룽지가 쉽게 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국누룽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60 내지 19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서 0.5 내지 3분의 시간 동안 튀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서 0.5분 미만의 시간 동안 튀길 경우,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수국누룽지가 튀겨지기 때문에 제조된 수국누룽지튀김의 바삭바삭한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서 2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튀길 경우, 너무 긴 시간 동안 수국누룽지가 튀겨지기 때문에 제조된 수국누룽지튀김이 탈 수 있고, 이로 인해 탄맛이 느껴져서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서 0.5 내지 3분의 시간 동안 튀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1. 수국꽃차제조단계
건조 가공된 수국꽃 2㎏에 물 20㎏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한다.
2. 현미불림단계
석발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10㎏을 첨가한 뒤 12시간 동안 현미를 불린다.
3. 현미발아단계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낸 뒤, 불린 현미 5㎏을 3℃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아시킨다.
4. 수국현미밥제조단계
발아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0.8㎏을 첨가한 뒤, 찜솥에 넣고 약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열을 가하여 약 30분 동안 찐 후, 불을 끄고 다시 약 20분 동안 뜸을 띄어서 고두밥 형태의 수국현미밥을 짓는다.
5. 수국현미밥식힘단계
고두밥 형태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넓게 펼쳐서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다.
6. 수국현미밥성형단계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을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되, 수국현미밥의 두께를 약 3㎜가 되도록 성형한다.
7. 수국누룽지제조단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100℃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약 1분 동안 구워낸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꽃차를 전혀 함유하지 않도록 물로만 현미밥을 지어서 누룽지를 제조한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첨가하는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즉,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도록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0.2㎏을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어서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첨가하는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과도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즉, 실시예와는 차이가 있도록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2㎏을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어서 수국누룽지를 제한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에 적합하도록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더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1. 수국꽃차제조단계
건조 가공된 수국꽃 2㎏에 물 20㎏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한다.
2. 현미불림단계
석발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10㎏을 첨가한 뒤 12시간 동안 현미를 불린다.
3. 현미발아단계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낸 뒤, 불린 현미 5㎏을 3℃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아시킨다.
4. 수국현미밥제조단계
발아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0.8㎏을 첨가한 뒤, 찜솥에 넣고 약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열을 가하여 약 30분 동안 찐 후, 불을 끄고 다시 약 20분 동안 뜸을 띄어서 고두밥 형태의 수국현미밥을 짓는다.
5. 수국현미밥식힘단계
고두밥 형태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넓게 펼쳐서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다.
6. 수국현미밥성형단계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 4㎏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 0.1㎏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되, 수국현미밥의 두께를 약 3㎜가 되도록 성형한다.
7. 수국누룽지제조단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100℃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약 1분 동안 구워낸다.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즉, 실시예 2와는 차이가 있도록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 4㎏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 0.01㎏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과도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즉, 실시예 2와는 차이가 있도록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 4㎏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 1㎏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물성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였다.
1. 수국꽃차제조단계
건조 가공된 수국꽃 2㎏에 물 20㎏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한다.
2. 현미불림단계
석발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10㎏을 첨가한 뒤 12시간 동안 현미를 불린다.
3. 현미발아단계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낸 뒤, 불린 현미 5㎏을 3℃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아시킨다.
4. 수국현미밥제조단계
발아된 현미 5㎏에 대해 수국꽃차 0.8㎏을 첨가한 뒤, 찜솥에 넣고 약 10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열을 가하여 약 30분 동안 찐 후, 불을 끄고 다시 약 20분 동안 뜸을 띄어서 고두밥 형태의 수국현미밥을 짓는다.
5. 수국현미밥식힘단계
고두밥 형태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넓게 펼쳐서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다.
6. 수국현미밥성형단계
충분히 식힌 수국현미밥을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되, 수국현미밥의 두께를 약 3㎜가 되도록 성형한다.
7. 수국누룽지제조단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된 수국현미밥을 100℃의 온도로 달궈진 팬에서 한 면당 약 1분 동안 구워낸다.
8.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8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약 1분 동안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한다.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국누룽지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수국꽃차를 전혀 함유하지 않도록 제조한 누룽지,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첨가하는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여 제조한 수국누룽지 및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첨가하는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과도하게 첨가하여 제조한 수국누룽지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에 적합하도록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더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2의 수국누룽지와, 비교예 4에 의해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여 제조한 수국누룽지 및 비교예 5에 의해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과도하게 첨가하여 제조한 수국누룽지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물성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한 실시예 3에 대한 관능검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검사는 20 내지 60세의 성인남녀 패널요원을 무작위로 100명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누룽지 및 누룽지를 맛보게 한 뒤, 맛, 식감, 향, 색 및 풍미와 같은 기호도에 대하여 10점 평가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식감 풍미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1 8.9 9.0 8.7 8.5 8.8 8.8
비교예 1 2.5 6.2 2.1 2.2 2.0 3.0
비교예 2 3.0 3.5 5.1 5.2 4.9 4.3
비교예 3 5.2 3.4 7.2 7.1 6.5 5.9
실시예 2 9.6 9.1 9.5 9.9 9.7 9.6
비교예 4 9.0 8.8 8.8 8.7 8.8 8.8
비교예 5 8.2 8.9 7.0 6.9 8.1 7.8
실시예 3 9.9 9.9 9.7 9.8 9.7 9.8
* 관능검사 수치 (10:아주 좋음, 0:아주 나쁨)
상기 표 1에서는 20 내지 60세의 성인남녀 패널요원 100명에 대한 관능검사 수치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수국누룽지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방법과는 차이가 있도록 제조한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및 비교예 5 보다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듯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실시예 1의 수국누룽지는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고,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이 뛰어나고, 수국꽃차의 천연 단맛으로 인해 풍미가 뛰어날 수 있기 때문에, 맛, 식감, 향, 색 및 풍미의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의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누룽지는 실시예 1의 수국누룽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수국꽃차의 향이 첨가되지 않고 수국꽃의 천연 단맛이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맛, 향, 색 및 풍미와 같은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수국꽃차를 첨가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풍미가 첨가되고, 누룽지에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과 기능성이 증진되고 향과 풍미가 증진되어 소비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실시예 1의 수국누룽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발아된 현미에 첨가하는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첨가하는 경우, 수국현미밥이 너무 딱딱해지거나 질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국누룽지 제조 후 식감의 기호도에서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국꽃차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는 경우, 수국누룽지에 포함되는 수국꽃차의 양이 너무 작아서 수국누룽지에 수국꽃차의 향과 풍미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는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수국꽃차를 10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지을 경우, 수국현미밥이 고두밥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대로 지어진 수국현미밥을 이용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하였을 때, 누룽지 본연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보존되면서도 첨가된 수국꽃차로 인해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고, 수국꽃의 유효성분과 영양성분이 첨가되어 맛이 뛰어나고, 수국꽃차의 천연 단맛으로 인해 풍미가 뛰어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증가 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듯이, 실시예 2의 수국누룽지는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에 적합하도록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였기 때문에, 수국누룽지 제조하였을 때 수국꽃의 색이 더해서 시각적으로 더 맛있어 보이는 효과가 있고, 수국꽃 본연의 향과 풍미가 수국누룽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이 더 포함된 실시예 2의 수국누룽지는 맛, 식감, 향, 색 및 풍미의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 의해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실시예 2의 수국누룽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부족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 비교예 4의 경우, 첨가되는 수국꽃의 양이 너무 작기 때문에 수국꽃의 향과 풍미가 수국누룽지에 포함되지 않고, 수국꽃의 색도 발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결과가 맛에 대한 효과로 나타나지 않아서 실시예 2와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에 첨가하는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의 양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양보다 과도하게 첨가하여 수국누룽지를 제조한 비교예 5의 경우, 첨가되는 수국꽃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수국꽃의 향과 풍미가 너무 강조되어 누룽지 본연의 구수한 맛과 고소한 맛이 저감되고, 수국꽃의 짙은 색이 너무 많이 발현되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수국누룽지와 비교해 보았을 때, 향, 색 및 풍미와 같은 기호도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는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수국누룽지의 제조 할 경우, 누룽지에 수국꽃의 향과 풍미를 더 많이 포함시킬 수 있고,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으로 인해 적절하게 발현되는 색상으로 인해 더 맛있어 보이게 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증가 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상기 표 1에서 나타나듯이, 실시예 3의 수국누룽지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수국누룽지를 제조한 뒤 카놀라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또는 포도씨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에서 한번 더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기 때문에, 누룽지의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은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향, 맛 및 풍미는 증진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선호도 및 기호도가 증가 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건조 가공된 수국꽃을 찬물에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수국꽃차제조단계;
    석발된 현미를 깨끗이 세척한 뒤,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를 150 내지 3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뒤 10 내지 15시간 동안 현미를 불리는 현미불림단계;
    상기 현미불림단계에서 불린 현미를 수국꽃차에서 건져내고 발아시키는 현미발아단계;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 발아된 현미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꽃차를 10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국현미밥을 짓는 수국현미밥제조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수국현미밥을 상온에서 식히는 수국현미밥식힘단계;
    상기 수국현미밥식힘단계에서 식힌 수국현미밥 100중량부에 대해 가루로 분쇄된 수국꽃을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더 첨가하여 혼합한 뒤 성형기에 넣고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수국현미밥성형단계; 및
    상기 수국현미밥성형단계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되어진 수국현미밥을 구워서 수국누룽지로 제조하는 수국누룽지제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국꽃차제조단계에서는 건조 가공된 수국꽃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0 내지 12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20 내지 28시간 동안 우려내서 수국꽃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미발아단계에서는 수국꽃차가 제거된 불린 현미를 0 내지 5℃의 온도에서 5 내지 8일 동안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국누룽지제조단계에서는 제조된 수국누룽지를 식힌 후에 160 내지 190℃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름에 튀겨서 수국누룽지튀김을 제조하는 수국누룽지튀김제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의 제조방법.
  8. 삭제
  9.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
  10. 삭제
  11. 청구항 7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국누룽지.
  12. 삭제
KR1020140162640A 2014-11-20 2014-11-20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5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640A KR101759147B1 (ko) 2014-11-20 2014-11-20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640A KR101759147B1 (ko) 2014-11-20 2014-11-20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399A KR20160060399A (ko) 2016-05-30
KR101759147B1 true KR101759147B1 (ko) 2017-07-19

Family

ID=5712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640A KR101759147B1 (ko) 2014-11-20 2014-11-20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2736A (zh) * 2018-06-29 2018-11-30 望江县东方米业有限责任公司 一种菱角栗子锅巴
KR20190084908A (ko) 2019-05-31 2019-07-17 (주)지엘모아 천연색소가루를 이용한 무지개빛 누룽지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6739A (zh) * 2018-02-01 2018-09-28 上海概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利便减肥功效的膨化食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37B1 (ko) * 2014-03-11 2014-06-27 박씨네누룽지영농조합법인 발아현미 누룽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37B1 (ko) * 2014-03-11 2014-06-27 박씨네누룽지영농조합법인 발아현미 누룽지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2736A (zh) * 2018-06-29 2018-11-30 望江县东方米业有限责任公司 一种菱角栗子锅巴
KR20190084908A (ko) 2019-05-31 2019-07-17 (주)지엘모아 천연색소가루를 이용한 무지개빛 누룽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399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83227B (zh) 青稞复合型袋泡茶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07484959A (zh) 一种蔬菜面条的制备方法
KR101428862B1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CN102511740A (zh) 一种青稞米果的制备工艺
KR100869406B1 (ko)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CN111567742A (zh) 一种川味粉蒸肉粽子的制作方法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KR101585188B1 (ko)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CN101416692A (zh) 全素多味果酱制作技术
KR20150031838A (ko) 과일 한과의 제조방법
KR102001956B1 (ko) 쌀눈 함유량이 높은 산양유를 이용한 식빵 제조방법
KR101581214B1 (ko) 효소 떡과 그 제조방법
KR101191505B1 (ko) 찐 감자 쌀 옹심이 꼬치의 제조방법
CN108497303A (zh) 一种富硒养心高钙面的生产方法
KR101801254B1 (ko) 짜장소스의 제조방법
KR101695654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 방법 및 고추장 굴비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20160080878A (ko)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CN108835191A (zh) 一种无花果月饼及其制作方法
CN109315699A (zh) 一种鲜嫩果香风味牛肉干的加工方法
KR101390643B1 (ko) 연꿀빵의 제조방법
KR20170128763A (ko) 보리된장을 이용한 짜장소스
KR20180073193A (ko) 팥 분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