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325A -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325A
KR20150123325A KR1020157027315A KR20157027315A KR20150123325A KR 20150123325 A KR20150123325 A KR 20150123325A KR 1020157027315 A KR1020157027315 A KR 1020157027315A KR 20157027315 A KR20157027315 A KR 20157027315A KR 20150123325 A KR20150123325 A KR 2015012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dhesive label
release layer
ink
manuf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082B1 (ko
Inventor
가즈유키 우에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5012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4Backc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9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orine- or silico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4Both sides of a layer or material are treated, e.g.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6Backcoats; Bac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5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1/00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 C09J2431/005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5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지지체; 지지체의 한 면 상에 순서대로 배치된 잉크 수용층 및 이형층; 및 지지체의 다른 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공한다. 이형층은 적어도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다. 이형층이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피복하는 비율인 이형층 피복율은 20% ∼ 70%이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ADHESIVE LABEL FOR INKJET RECORDING}
본 발명은 박리지가 필요 없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점착 라벨은 라벨, 시일, 스티커, 패취 등으로 상업용, 사무용, 가정용 등의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점착 라벨은 기록층을 갖는 지지체 및, 지지체의 이면에 라미네이트 또는 적층된 점착제 및 박리지로 이루어진다.
점착 라벨은 지지체 위의 기록층에 각종 인쇄 방식에 의하여 문자 또는 화상이 인쇄되는 라벨로서 사용된다. 각종 인쇄 방식 중에서도, 잉크젯 기록 방식을 사용하면 풀-컬러 화상 또는 고속 작업이 용이하며, 소량 인쇄에 대한 적용성이 높으므로 컬러 화상 등을 위한 기록 장치의 형태로 각종 분야에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또한 라벨에도 불고 있어서, 잉크젯 기록 용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 라벨은 지지체 이면 상의 점착제층 및, 점착제층 표면 상의 박리지를 갖는다. 그러므로, 라벨을 피착체 상에 부착시킨 후 다수의 박리지는 폐기된다. 박리지는 통상의 폐지 회수 설비에서 재순환 및 재펄프화 처리될 수 없으므로, 이들은 통상 소각 및 매립된다. 추가로, 인쇄전 라벨은 통상적으로 롤에 권취된 상태로 인쇄기에 셋팅된 후, 인쇄를 실시한다. 박리지는 적층되므로, 롤은 단위 길이당 직경이 더 크므로, 인쇄기에 셋팅될 수 있는 라벨의 길이는 짧은 것으로 한정된다. 이는 미인쇄 롤의 보급을 자주 실시하여야만 하여 편의성이 손실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감열 기록용 점착 라벨에 대하여 감열 기록층 표면에 이형층을 제공하여 박리지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잉크젯 인쇄용 점착 라벨의 경우, 박리지의 제거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기록 용지는 표면에 다공성 잉크 수용층을 가지며, 잉크를 잉크 수용층에 흡수시켜 형성된 화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박리지가 필요 없게 하기 위하여서는 잉크 수용층의 표면에 박리성을 부여하여야만 한다.
잉크 수용층은 부피가 크며, 다공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잉크 수용층의 표면이 단순히 박리제로 도포될 경우, 이형제는 잉크 이형층에 흡수되어 충분한 박리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추가로, 이형성을 나타내게 하기 위하여 잉크 수용층에 이형제가 다량 도포되면 잉크 수용층 중의 공극이 채워져서 잉크가 흡수될 수 없게 되며, 표면은 강한 비극성이 되어 잉크가 수성 또는 유성인지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표면이 잉크젯 잉크를 반발하므로 양호한 화상을 형성할 수 없다. 또한, 라벨 표면에 대한 잉크젯 잉크의 잉크 정착성은 불량하게 되며, 찰과시 화상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성 잉크젯 잉크로 기록 가능하며, 이형제로서 장쇄 알킬기-함유 폴리비닐 알콜, 장쇄 알킬기-함유 아미노-알키드 수지 및 장쇄 알킬기-함유 폴리에틸렌 이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그러한 이형제를 사용하더라도,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잉크젯 기록 적성은 약간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충분히 달성되지는 않았다. 게다가,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등으로 생성된 이형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롤로부터 라벨을 전개시키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린터의 주행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라벨의 잉크젯 기록 적성은 불충분해질 수 있다. 프린터는 안정한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교한 메카니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이형제로서 스티렌계 중합체 및 실리콘계 이형제의 혼합물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 및 퍼플루오로계 이형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이 비수성 잉크젯 잉크로 인쇄 가능하기는 하나, 수성 잉크젯 잉크가 반발되어 화상 형성이 불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박리지가 필요 없으며, 잉크젯 인쇄 적성 및 인쇄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이 우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보(JP-B) 제04-15110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번호 WO2005/040297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JP-A) 제2001-139900호 [특허문헌 4] JP-A 제2006-144021호 [특허문헌 5] JP-A 제2005-0297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지가 필요 없으며 수성 잉크젯 잉크와의 우수한 잉크젯 인자 적성(inkjet printing suitability) 및 인쇄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을 손실하지 않으면서 적은 힘으로 박리를 가능케 하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지지체를 포함하며, 지지체의 한 면 상에 적어도 잉크 수용층 및 이형층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지지체의 다른면에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이형층은 적어도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며, 이형층이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피복하는 비율인 이형층 피복율은 20% 내지 70%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통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박리지가 필요 없으며, 수성 잉크젯 잉크에 의한 잉크젯 인자 적성 및 인쇄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을 손실하지 않으면서 박리력 감소가 가능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이형층이 불연속층 또는 도상 분산층(island-like scattered layer)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이형층 피복율 41%).
도 1b는 도 1a의 2치화 화상이다.
도 2a는 이형층이 불연속층 또는 도상 분산층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이형층 피복율 41%).
도 2b는 도 2a의 2치화 화상이다.
도 3a는 비교예 2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이형층 피복율 95%).
도 3b는 도 3a의 2치화 화상이다.
도 4a는 비교예 28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이형층 피복율 15%).
도 4b는 도 4a의 2치화 화상이다.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지지체를 포함하며, 적어도 지지체의 한 면 상에 잉크 수용층 및 이형층을 순서대로 포함하며, 지지체의 다른 면 상에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기타 층을 더 함유한다.
<이형층>
이형층은 적어도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불용성 수지, 폴리올레핀 입자 및 실리콘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이형층이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피복하는 비율인 이형층 피복율은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다.
이형층 피복율이 70%보다 클 경우, 충분한 잉크젯 기록 적성을 얻을 수 없다. 20% 미만인 경우, 라벨의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지나치게 큰 힘이 필요하며, 이형층 및 점착제층 사이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형층 피복율은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피복하는 이형층의 일부의 표면적을 구하고, 얻은 표면적을 잉크 수용층의 표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형 전자 현미경(제품명: S-3700N, 히타치 하이 테크놀로지즈 코포레이션(Hitachi High Technologies Corporation) 제조)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촬영한 SEM 화상을 1,000배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여 표면 화상을 얻는다.
<촬영 조건>
-검출기: SE 검출기
-가속 전압: 15 ㎸
-작동 거리: 10 ㎜
-방출 전류: 70 ㎂
-프로브 전류: 50
얻은 표면 화상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윈 루프 버젼(WIN ROOF VERSION) 7.0.0, 데모 버젼(윈도우즈 퍼스널 컴퓨터용 소프트웨어), 미타니 코포레이션(Mitani Corporation) 제조]에 로딩하고, "2치화 처리" 명령에 의하여 화상 명도를 기준으로 하여 2치화를 실시하고,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로 구분한다. 2치화에 대한 역치는 표면 화상이 시각적으로 관찰될 때 인식되는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 사이의 경계에 일치하도록 수동 조절한다. 다수의 경우에서, 이형층부는 밝으며, 잉크 수용층부는 어둡다.
그 다음, "측정" 명령에 의하여, 이형층부의 면적율을 이형층 피복율로서 얻는다.
표면 화상의 2치화 단계에서,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 사이에서 뚜렷한 콘트라스트 차이가 관찰될 수 없을 때, 각종 전자 현미경 분석법을 병용하여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 사이의 구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 및 도 2a 모두는 이형층 피복율이 41%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표면 화상을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2치화 화상을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의 2치화 화상을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이형층이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의 기록면을 도시하며, 도 2a 및 도 2b는 이형층이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의 기록면을 도시한다.
도 3a는 이형층 피복율이 95%인 후술하는 비교예 2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표면 화상을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2치화 화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이형층 피복율이 15%인 후술하는 비교예 28에 의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제층의 기록면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촬영한 표면 화상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2치화 화상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무기 입자 분산액의 제조-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제품명: 샬롤(SHALLOL) DC-902P,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조, 51 질량% 수용액)(0.78 질량부)를 물(39.22 질량부) 중에 용해시키고, 기체상 실리카(제품명: 에어로실(AEROSIL) 300, 니폰 에어로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10 질량부)를 생성된 용액 중에 분산시킨다. 이러한 분산액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처리하여 고형분 농도 20.8 질량% 및 평균 입경 0.25 ㎛의 무기 입자 분산액을 생성한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의 제조-
물(31.4 질량부)을 무기 입자 분산액(47.6 질량부)에 첨가하고, 아세토아세틸-변성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고세파이머(GOHSEFIMER) Z-410,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의 10 질량% 수용액(21.0 질량부)을 이와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12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을 생성한다.
-잉크 수용층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상질지의 한 면을 잉크 수용층 도포액으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자외선 적산 조도계(PD-365, 아이 그래픽스 컴파니, 리미티드(Eye Graphics Co., Ltd.) 제조)로 측정한 500 mJ/cm2의 적산 조도량으로 도포면을 적외선 조사하고, 12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지지체 위의 잉크 수용층을 형성한다.
-이형층 도포액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을 생성한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38.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1.9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MOVINYL)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1.9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CHALINE)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CHEMIPEARL)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Mitsui Chemicals, Inc.)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9.6 질량부
-물: 55.6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Horiba Ltd.) 제조)로 측정시 10 ㎛이다.
-이형층의 형성-
형성된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고형분 도포량이 3.0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도포면을 100℃의 오븐에서 10 분 동안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한다.
-점착제층의 형성-
잉크 수용층이 제공되지 않은 지지체의 표면을 감압 점착제(아크릴 에멀젼, 제품명: BPW6111, 도요 잉크 컴파니, 리미티드(Toyo Ink Co., Ltd.)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가 되도록 피복하고, 11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도 1a의 라벨에 사용된 이형층 도포액을 하기 제시된 이형층 도포액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이형층 도포액의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은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생성한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2.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1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3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Nissin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1 질량부
-물: 50.9 질량부
이형층은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층이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이형층은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전부 피복하지 않지만, 이형층은 잉크 수용층의 표면을 섬, 웹 또는 도트로서 피복한다. 이형층은 이형층 피복율이 상기 기재된 범위내에 포함된다면 불연속층을 그의 일부로서 포함하는 연속층일 수 있다.
이형층이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어느 하나로서 형성되는지의 성막 상태는, 예를 들면 이형층부의 분포에 기초하여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표면 화상 및 2치화 화상으로부터 평가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에서, 밝게 나타난 이형층은 덜 밝게 나타난 잉크 수용층에서 불연속층 또는 도상 분산층의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리콘 수지-
실리콘 수지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무용제 실리콘 수지, 용제-함유 실리콘 수지 및 수계 에멀젼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불연속층 상태 또는 도상 분산층 상태의 이형층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수계 에멀젼 실리콘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는 적절하게 합성된 생성물 또는 시판 중인 제품일 수 있다. 시판 중인 제품의 예로는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DEHESIVE)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Wacker Asahikasei Silicone Co., Ltd.) 제조) 및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SILICOLEASE)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을 들 수 있다.
이형층 중의 실리콘 수지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50 질량% 내지 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수지-
이형층은 롤로부터 전개되는데 필요한 힘(박리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불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불용성 수지는 25℃의 물 1 ℓ 중에 단 10 g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는 수지를 의미한다. 수지가 용해되는지의 여부는 물이 투명한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시각적 관찰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수불용성 수지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콘쥬게이트 디엔계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비닐 클로라이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작용기, 예컨대 카르복시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상기 기재된 중합체를 변성시켜 얻은 작용기-변성 공중합체; 열경화성 수지, 예컨대 멜라민 수지 및 우레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알킬 수지 라텍스;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잉크 수용성 및 박리성 사이의 균형이 우수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형층 중의 수불용성 수지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효과 및 잉크 수용성 사이의 균형에 관하여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내지 2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내지 15 질량부이다. 함유량이 1 질량부 미만인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충분하게 얻을 수 없다. 25 질량부 초과인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증가될 수 있다.
수불용성 수지를 이형층에 첨가하는 방법은 이형층 도포액이 유기 용제계인 경우 수불용성 수지를 이형층 도포액 중에 용해시키고, 도포액을 인쇄 또는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형층 도포액이 수성인 경우, 수불용성 수지의 수계 에멀젼을 이형층 도포액 중에서 혼합할 수 있으며, 도포액을 인쇄 또는 도포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수불용성 수지의 수계 에멀젼을 수성 이형층 도포액 중에서 혼합하고, 도포액을 인쇄 또는 도포하는 방법은 잉크 수용성 및 박리성 사이의 바람직한 균형을 형성하기가 더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입자, 실리콘 입자-
이형층은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을 갖는, 적어도 폴리올레핀 입자 및 실리콘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박리력)을 감소시킬 것이며, 잉크젯 인자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을 개선시킨다.
체적 평균 입경이 3 ㎛ 미만인 경우, 인자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충분하게 얻을 수 없다. 15 ㎛ 초과일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체적 평균 입경은 폴리올레핀 입자 또는 실리콘 입자의 묽은 분산액을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측정하여 얻은 부피 기준에 대한 평균 입경이다.
폴리올레핀 입자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입자,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올레핀의 입자를 들 수 있다.
실리콘 입자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실리콘 고무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및 실리콘 고무-수지 복합 입자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입자 및 실리콘 입자로서 이들 중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적어도 폴리올레핀 입자 및 실리콘 입자 중 어느 하나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감소 효과 및 인자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의 개선 효과에 관하여 실리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내지 2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부 내지 20 질량부이다. 입자의 함유량이 2.5 질량부 미만인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감소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없다. 25 질량부 초과인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될 수 있다.
-기타 성분-
기타 성분으로서, 이형층은 각종 보조제, 예컨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 염료, 안료, 습윤제, 소포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윤활제, 증점제, 노화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원하는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함유할 수 있다.
이형층은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수지 및, 적어도 폴리올레핀 입자와 실리콘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함유하는 이형층 도포액을 각종 유형의 프린터에 의하여 하프톤 도트 패턴으로 인쇄하는 방법, 각종 유형의 도포기 등으로 이형층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이형층 도포액을 도포기로 도포시키는 방법은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각종 유형의 프린터 및 도포기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브러쉬 도포, 분무 도포,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활판 인쇄, 메이어(Mayer) 바아 도포기, 키스-롤 도포기, 립 도포기, 다이렉트 롤 도포기, 오프셋 롤 도포기, 그라비아 롤 도포기, 리버스 롤 도포기, 로드 도포기, 블레이드 도포기, 에어 나이프 도포기, 슬릿 다이 도포기 및 커튼 도포기를 들 수 있다.
이형층 도포액의 도포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 및 잉크젯 인자 적성 사이의 균형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g/㎡ 내지 1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g/㎡ 내지 7 g/㎡, 특히 바람직하게는 1 g/㎡ 내지 5 g/㎡이다
도포량이 0.1 g/㎡ 미만인 경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지나치게 클 수 있다. 10 g/㎡ 초과인 경우, 잉크 흡수력은 불량할 수 있으며, 잉크젯 인자 적성은 불충분할 수 있다.
이형층 도포액을 도포한 후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실리콘 수지를 가교시켜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하나인 이형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
잉크 수용층은 바인더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한다.
잉크 수용층은 단층 또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일 수 있다.
-바인더-
바인더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폴리비닐 알콜, 디아세톤-변성 폴리비닐 알콜, 이타콘산-변성 폴리비닐 알콜, 카르복시-변성 폴리비닐 알콜, 전분 또는 그의 유도체,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스, 메톡시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및 에틸 셀룰로스, 수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소듐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에스테르-메타크릴산 삼원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알칼리 염,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알칼리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알긴산나트륨, 젤라틴 및 카제인,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비닐 클로라이드-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비닐 알콜,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및 변성 폴리비닐 알콜은 무기 입자와의 접착성에 관하여 그리고 불연속층 또는 도상 분산층인 이형층을 형성하기에 더 용이하도록 하므로 바람직하다. 잉크 흡수성 및 잉크 수용층 표면의 평활성의 제어에 관하여 중합도가 1,700 이상인 폴리비닐 알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2,500 이상인 폴리비닐 알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의 수 평균 입경은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박리력) 및 잉크젯 기록 적성 사이의 균형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0.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0.3 ㎛이다.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잉크 수용층의 표면에 이형층을 제공함으로써,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더 적은 힘이 필요하며, 특히 수성 잉크젯 잉크와의 잉크젯 기록 적성이 우수하며, 박리지가 없는 점착제 라벨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잉크 수용층 표면 위의 이형층의 형성시,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어느 하나인 이형층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잉크 수용층이 그 위에 이형층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소 공극 직경 및 평활성을 가지므로 이형층이 특히 바람직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서 작용성이 효율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러한 잉크 수용층은 바람직한 잉크 흡수성을 가지며, 그리하여 우수한 잉크젯 기록 적성을 얻게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무기 입자의 수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인 경우, 잉크 수용층의 잉크 흡수성은 불량할 수 있으며, 잉크젯 기록 적성은 불량할 수 있다. 0.5 ㎛ 초과인 경우, 이형층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수 평균 입경은 무기 입자의 2차 입자의 평균 입경을 의미하며,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분산된 2차 입자(응집 입자)의 투영 면적 직경의 평균이다. 여기서, 투영 면적 직경은 입자의 투영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다. 수 평균 입경은 무기 입자를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2차 입경을 판별할 수 있는 배율로 관찰하고, 임의의 일정 면적내에 존재하는 100 개의 무기 입자 각각의 투영 면적 직경을 구하고, 구한 투영 면적 직경의 수 평균을 구하여 얻은 값이다.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잉크 수용층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다. 함유량이 40 질량% 미만인 경우, 잉크젯 기록 적성이 불량할 수 있거나 또는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될 수 있다.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입자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금속 산화물의 무색 또는 백색 입자, 예컨대 무정형 합성 실리카, 알루미나, 수화된 알루미나 및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잉크 흡수성에 관하여 무정형 합성 실리카, 알루미나 및 수화된 알루미나가 특히 바람직하다.
무정형 합성 실리카는 기체상 실리카, 습식 실리카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잉크 흡수성에 관하여 기체상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기체상 실리카는 또한 습식 실리카에 반대되는 건식 실리카를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화염 가수분해에 의하여 합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염화규소를 수소 및 산소와 함께 연소시키는 합성 방법은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사염화규소 대신에, 또한 실란, 예컨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및 트리클로로실란을 단독으로 또는 사염화규소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 중인 제품은 기체상 실리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판 중인 제품의 예로는 니폰 에어로실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Aerosil Co., Ltd.)가 제조한 에어로실 및 도쿠야마 코포레이션(Tokuyama Corporation)이 제조한 레올로실(REOLOSIL)을 들 수 있다.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체상 실리카는 평균 응집 입경이 1 ㎛ 이상이다. 그러므로, 이는 미분쇄후 사용된다. 바람직한 분쇄 방법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된 실리카를 기계 분쇄시키는 습식 분산법이다.
구체적으로, 기체상 실리카를 미분쇄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입자 및 양이온성 화합물을 물 중에서 혼합할 수 있거나(어느 하나를 먼저 첨가할 수 있거나 또는 둘다를 동시에 첨가할 수 있음) 또는 대안으로 이들 둘다의 분산액 또는 이들 모두의 수용액을 서로 혼합하고, 1종 이상의 분산기, 예컨대 톱니모양 블레이드 분산기, 프로펠러 블레이드 분산기 및 회전자 고정자 분산기를 사용하여 예비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필요할 경우, 저 비점 용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그 다음, 기체상 실리카의 예비 분산액을 더 강력한 기계적 수단으로 처리하여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기체상 실리카 분산액을 얻는다. 기계적 수단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시스템일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미디어 밀, 예컨대 볼 밀, 비드 밀 및 샌드 그라인더, 압력식 분산기, 예컨대 고압 호모게나이저 및 초고압 호모게나이저, 초음파 분산기 및 박막 선회형 분산기를 들 수 있다.
습식 실리카는 제조 방법에 의존하여 침강 실리카, 겔 실리카 및 졸 실리카로 추가로 분류된다.
침강 실리카는 규산나트륨 및 황산을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성장된 실리카 입자룰 응집 및 침강시켜 제조된다. 그 후, 실리카 입자를 여과하고, 물로 세정하고, 건조, 분쇄, 분급시켜 최종 제품으로 완료된다.
침강 실리카는 시판 중인 제품일 수 있다. 시판 중인 제품의 예로는 도소 실리카 코포레이션(Tosoh Silica Corporation)이 제조한 닙실(NIPSIL) 및 도쿠야마 코포레이션이 제조한 도쿠실(TOKUSIL)을 들 수 있다.
겔 실리카는 규산나트륨 및 황산을 산성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제조된다. 숙성 중에, 미세 입자가 용해되고, 기타 1차 입자를 결합시켜 재침전시킨다. 그러므로, 겉보기 1차 입자는 소실되며, 내부 공극 구조를 갖는 비교적 경질인 응집 입자가 형성된다. 그의 시판 중인 제품의 예로는 도소 실리카 코포레이션이 제조한 닙겔(NIPGEL) 및 그레이스 재팬 리미티드(Grace Japan Ltd.)가 제조한 실로이드(SILOYD) 및 실로젯(SILOJET)을 들 수 있다.
졸 실리카는 또한 콜로이드성 실리카로 지칭되며, 규산나트륨을 산으로 2중-분해시키거나 또는 규산나트륨을 이온-교환 수지층에 통과시켜 얻은 실리카 졸을 가열 및 숙성시켜 제조된다. 그의 시판 중인 제품의 예로는 니산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기 제조한 스노우텍스(SNOWTEX)를 들 수 있다.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침강 실리카 및 겔 실리카는 평균 응집 입경이 1 ㎛ 이상이다. 그러므로, 이는 미분쇄된 후 사용된다.
바람직한 분쇄 방법은 수성 매체 중에 분산된 실리카를 기계 분쇄시키는 습식 분산법이다. 여기서, 흡유량이 210 ㎖/100 g 이하이고, 평균 응집 입경이 5 ㎛ 이상인 침강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실리카가 분산된 액체가 초기 점도 증가를 억제하여 실리카가 고 농도에서 분산될 수 있으며, 개선된 분쇄 및 분산 효율로 보다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고 농도 분산액의 사용은 기록지의 생산성을 개선시킨다. 흡유량은 JIS K-5101에서의 기재에 따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침강 실리카 및 겔 실리카를 미분쇄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입자 및 양이온성 화합물을 물 중에 혼합하거나(이중 하나를 먼저 첨가할 수 있거나 또는 둘다를 동시에 첨가할 수 있음) 또는 대안으로 이들 둘다의 분산액 또는 이들 둘다의 수용액을 서로 혼합하고, 1종 이상의 분산기, 예컨대 톱니모양 블레이드 분산기, 프로펠러 블레이드 분산기 및 회전자 고정자 분산기를 사용하여 예비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필요할 경우, 저 비점 용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할 수 있다.
침강 실리카 및 겔 실리카의 예비 분산액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고형분 농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예비 분산액은 분산될 수 없다. 그러므로,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내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내지 35 질량%이다.
그 다음, 예비 분산액을 더 강력한 기계적 수단으로 처리하여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습식 실리카 분산액을 얻는다.
기계적 수단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시스템일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미디어 밀, 예컨대 볼 밀, 비드 밀 및 샌드 그라인더, 압력식 분산기, 예컨대 고압 호모게나이저 및 초고압 호모게나이저, 초음파 분산기 및 박막 선회형 분산기를 들 수 있다.
알루미나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의 γ형 결정인 γ-알루미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δ-그룹 결정이다. γ-알루미나는 1차 입경이 약 10 ㎚ 정도로 작을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된 입자는 수천 나노미터 내지 수만 나노미터의 직경을 갖는 2차 입자 결정이며, 후에 초음파, 고압 호모게나이저, 대향 충돌형 제트 분쇄기 등으로 분쇄된다.
수화된 알루미나는 Al2O3·nH2O(n=1 내지 3)의 구조식에 의하여 나타낸다. n이 1인 경우, 구조식은 베마이트 구조를 갖는 수화된 알루미나를 나타낸다. n이 3 미만 1 초과인 경우, 구조식은 슈도 베마이트 구조를 갖는 수화된 알루미나를 나타낸다. 수화된 알루미나는 공지된 제조 방법, 예컨대 알루미늄 알콕시드, 예컨대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시드의 가수분해, 알칼리를 사용한 알루미늄 염의 중화 및 알루미네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평균 1차 입경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고 광택을 얻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15 ㎚,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10 ㎚이다.
평균 1차 입경은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일정 면적을 갖는 영역내에 존재하는 100개의 1차 입자 각각의 투영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입자의 입경으로서 사용하고, 직경의 평균을 구하여 얻은 평균 입경이다.
BET 방법에 의한 무기 입자의 비표면적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g 내지 500 ㎡/g이다.
BET 방법은 기체상 흡착법을 사용한 표면적 측정 방법 중 하나이며, 비표면적, 즉 흡착 등온선으로부터 1 g의 샘플이 갖는 총 표면적을 얻는다. 통상적으로, 흡착 기체로서 종종 질소 기체를 사용한다. 흡착 기체의 압력 또는 부피의 변화에 기초한 흡착량의 측정 방법을 가장 흔하게 사용한다. 등온선을 플롯하기 위한 가장 유명한 방법은 BET 방법으로 지칭되는 브루나우어 엠멧 텔러(Brunauer Emmett Teller)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표면적의 측정에 널리 사용된다. 흡착량은 BET 방법에 기초하여 구하며, 흡착 분자 1개가 그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곱하여 표면적을 얻는다.
-양이온성 화합물-
양이온성 화합물은 잉크 정착을 위하여 잉크 수용층에 첨가될 수 있다.
양이온성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폴리알킬렌 폴리아민, 예컨대 폴리에틸렌 아민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민 또는 그의 유도체; 2급 아민 기, 3급 아민 기 또는 4급 암모늄 기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 아민, 폴리비닐 아미딘 및 펜타시클릭 아미딘; 디시안디아미드-포르말린 중축합물에 의하여 나타낸 디시안계 양이온성 수지; 디시안디아미드-디에틸렌트리아민 중축합물에 의하여 나타낸 폴리아민계 양이온성 수지; 에피클로로히드린-디메틸아민 부가 중합체; 및 알루미늄 염, 예컨대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SO2 공중합체, 디알릴아민-SO2 공중합체,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 알릴아민 염의 중합체, 디알킬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급 염 중합체, 아크릴아미드-디알릴아민 염 공중합체, 폴리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폴리알루미늄 아세테이트 및 폴리알루미늄 락테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무기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내지 3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내지 15 질량부이다.
-기타 성분-
기타 성분으로서 잉크 수용층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형광 증백제, 모노머, 중합 개시제, 중합 억제제, 얼룩 방지제, 방부제, 점도 안정화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매트제, 컬링 방지제, 내수화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은 바인더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하는 잉크 수용층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포법의 예로는 브러쉬 도포, 분무 도포,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활판 인쇄, 메이어 바아 도포기, 키스-롤 도포기, 립 도포기, 다이렉트 롤 도포기, 오프셋 롤 도포기, 그라비아 롤 도포기, 리버스 롤 도포기, 로드 도포기, 블레이드 도포기, 에어 나이프 도포기, 슬릿 다이 도포기 및 커튼 도포기를 들 수 있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의 도포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 g/㎡ 내지 3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 g/㎡ 내지 25 g/㎡이다. 도포량이 1 g/㎡ 미만인 경우, 잉크젯 인자 적성은 불충분할 수 있다. 30 g/㎡ 초과인 경우, 잉크젯 인자 적성이 필요 이상으로 많으므로 경제적 효율이 부족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잉크 수용층은 매트, 광택, 초광택 등을 갖도록 표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
지지체의 형상, 구조, 크기, 재질 등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평판형일 수 있다. 구조는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크기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지지체의 재질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는 무기 재료 및 유기 재료로 대별된다. 무기 재료의 예로는 유리, 석영, 규소,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SiO2 및 금속을 들 수 있다. 유기 재료의 예로는 종이, 예컨대 상질지(산성지, 중성지), 중질지, 코트지, 아트지, 글라신지, 라미네이트지 및 합성지;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상질지, 코트지, 플라스틱 필름 및 합성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체는 도포된 층과의 접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표면 개질,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반응 처리(크롬산 등), 에칭 처리, 용이한 접착 처리 및 대전방지 처리를 지지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안료, 예컨대 산화티타늄을 지지체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평균 두께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2,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000 ㎛이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잉크 수용층이 형성되는 표면에 반대인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된다.
점착제층의 점착제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각종 점착제, 예컨대 용제 점착제, 에멀젼 점착제 및 핫-멜트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점착제의 도포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 질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g/㎡ 내지 30 g/㎡이다. 점착제의 도포량이 5 g/㎡ 미만인 경우, 라벨로서 충분한 점착성을 얻을 수 없다. 50 g/㎡ 초과인 경우, 점착성이 포화되므로 경제적 효율성이 부족할 수 있다.
점착제의 도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브러쉬 도포, 분무 도포,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활판 인쇄, 메이어 바아 도포기, 키스-롤 도포기, 립 도포기, 다이렉트 롤 도포기, 오프셋 롤 도포기, 그라비아 롤 도포기, 리버스 롤 도포기, 로드 도포기, 블레이드 도포기, 에어 나이프 도포기, 슬릿 다이 도포기 및 커튼 도포기를 들 수 있다.
도포후 건조가 필요할 경우,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방사선에 의한 경화가 필요할 경우, 방사선 조사 장치, 예컨대 자외선 조사 장치 및 전자 비임 조사 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이 점착제로 형성되는 표면의 반대면에 지지체의 표면을 직접 도포하는 대신에, 공정지를 일단 점착제로 도포하고, 점착제를 건조시킨 후, 잉크 수용층이 형성되는 표면의 반대면인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를 전사시킨 후, 공정지를 박리,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점착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층>
기타 층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언더층 및 배리어층을 들 수 있다.
언더층은 지지체 및 잉크 수용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배리어층은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지지체의 표면에 제공되어 강도를 보강하거나 또는 점착제의 지지체로의 침투로 인한 점착 성능의 저하를 방지한다.
<잉크>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에 사용된 잉크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잉크가 특히 바람직하다.
잉크에 함유되는 잉크는 적어도 임의의 착색제, 예컨대 염료 및 안료 및, 발색성을 갖는 재료일 수 있다. 잉크젯 기록에 사용되는 염료의 바람직한 예로는 직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반응성 염료, 식용 색소 등에 의하여 대표되는 수용성 염료를 들 수 있다. 안료의 예로는 각종 카본 블랙, 피그먼트 옐로우, 피그먼트 레드 및 피그먼트 블루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고 화상 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내퇴색의 관점에서 안료를 함유하는 잉크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롤 구조, 시트 구조 및 필름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롤 구조가 바람직하다.
점착 라벨은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지를 적층시킬 필요 없이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롤의 외부면이 되는 표면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형층면 및 점착제층면 중 어느 하나가 외측이 될 수 있다. 이형층면을 갖는 롤이 외측이 되는 것은 취급이 더 용이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무기 입자 분산액 A의 제조-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샬롤 DC-902P,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51 질량% 수용액)(0.78 질량부)를 물(39.22 질량부) 중에 용해시키고, 기체상 실리카(제품명: 에어로실 300, 니폰 에어로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10 질량부)를 생성된 용액 중에 분산시켰다. 이러한 분산액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처리하여 고형분 농도 20.8 질량% 및 평균 입경 0.25 ㎛인 무기 입자 분산액 A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 1의 제조-
물(31.4 질량부)을 무기 입자 분산액 A(47.6 질량부)에 첨가하고, 아세토아세틸-변성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고세파이머 Z-410,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21.0 질량부)의 10 질량% 수용액을 이와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12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 1을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1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하였다. 상질지의 한 면을 잉크 수용층 도포액 1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도포면을 고압 수은 램프로 자외선 적산 조도계(PD-365, 아이 그래픽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한 500 mJ/cm2의 적산 조도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12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 1을 형성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7.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4 질량부
-물: 50.0 질량부
-이형층 1의 형성-
형성된 잉크 수용층 1의 표면에 이형층 도포액 1로 고형분 도포량이 3.0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도포면을 100℃의 오븐에서 10 분 동안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한다.
-점착제층 1의 형성-
잉크 수용층이 제공되지 않은 지지체면을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감압 점착제(아크릴 에멀젼, 제품명: BPW6111, 도요 잉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로 도포하고, 11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점착제층 1을 형성한다.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실시예 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이형층의 성막 상태 및 피복율>
하기 조건 하에서 주사형 전자 현미경(제품명: S-3700N, 히타치 하이 테크놀로지즈 코포레이션 제조)으로 촬영한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의 SEM 화상은 1,000배의 배율로 관찰하여 표면 화상을 얻었다.
<촬영 조건>
-검출기: SE 검출기
-가속 전압: 15 ㎸
-작동 거리: 10 ㎜
-방출 전류: 70 ㎂
-프로브 전류: 50
얻은 표면 화상을 전자 현미경의 표준-부속 조작 프로그램에 의하여 JPEG 포맷 화상으로서 얻었다. 이러한 화상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윈 루프 버젼 7.0.0, 데모 버젼(윈도우즈 퍼스널 컴퓨터용 소프트웨어), 미타니 코포레이션 제조]에 로딩하고, "2치화 처리" 명령에 의하여 화상 명도를 기준으로 하여 2치화를 실시하고,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로 구분한다. 2치화에 대한 역치는 표면 화상이 시각적으로 관찰될 때 인식되는 이형층부 및 잉크 수용층부 사이의 경계에 일치하도록 수동 조절한다. 그 다음, "측정" 명령으로, 이형층부의 면적율은 이형층 피복율로서 얻었다.
추가로, 얻은 표면 화상 및 2치화 화상으로부터, 성막 상태는 이형층부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박리력>
폭 20 ㎜ 및 길이 100 ㎜의 절단 크기를 갖는 2매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기록면 및 접착면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중첩시키고, 평판 위에 두고, 폭 20 ㎜ 및 질량 2.6 ㎏의 고무 롤러를 사용하여 위로부터 10 ㎜/초의 속도로 2회 압착시켰다. 이들을 압착시킨지 60 분 후 인장 시험기(SV-55C, 이마다-SS 코포레이션(Imada-SS Corporation) 제조)를 사용하여 박리 각도 180° 및 빅리 속도 300 ㎜/분의 조건하에서 박리시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박리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파괴를 일으키지 않고 박리될 수 있는 임의의 샘플에 대하여 폭 1 ㎝당 박리력을 기록하였다. 박리력의 단위는 N/㎝이었다. 박리 시험 중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파괴를 야기하는 임의의 샘플은 그러한 효과로 기록하였다. 박리력의 값이 더 작을수록 롤로부터 전개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잉크젯 인자 적성>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기록면에 시판 중인 안료 잉크젯 프린터(제품명: GX E3300, 리코 컴파니 리미티드(Ricoh Company Ltd.) 제조) 및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의 순정 안료 잉크(제품명: GX 카트리지 시안(CARTRIDGE CYAN) GC31C, GX 카트리지 마젠타(CARTRIDGE MAGENTA) GC31M, GX 카트리지 옐로우(CARTRIDGE YELLOW) GC31Y 및 GX 카트리지 블랙(CARTRIDGE BLACK) GC31K, 리코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를 사용하여 하이 그레이드 보통지인 용지 종류 및 "급속"의 인쇄 설정의 조건하에서 황색, 시안색, 마젠타색, 녹색, 적색, 청색 및 흑색의 솔리드 화상을 인쇄하였다.
잉크젯 인자에 의한 녹색 솔리드 인자 부분의 인자 상태를 관찰하고, 하기의 1 내지 5의 5-단계 값으로 평가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
5: 라벨은 인자 불균질이 전혀 없는 바람직한 레벨임
4: 라벨은 매우 미세한 입자상 불균질이 있기는 하나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임
3: 라벨은 미세한 입자상 불균질을 가지며, 실용 가능한 최저의 레벨임
2: 라벨은 직경 1 ㎜ 이상의 커다란 입자상 불균질을 가지며, 실용 불가한 레벨임
1: 라벨은 잉크를 흡수하지 않고, 화상의 윤곽이 붕괴되므로 실용 불가한 레벨임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
잉크젯 인자 적성 테스트 중에 흑색 솔리드 인자 부분을 여과지로 시계형 계기(제품명: CM-1, 아틀라스 일렉트릭 디바이시즈 컴파니(Atlas Electric Devices Co.) 제조)에 의하여 5회 왕복 마찰시키고, 흑색 솔리드 인자 부분의 상태를 관찰하고, 하기의 1 내지 5의 5-단계 값으로 평가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한 물리적 내구성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
5: 라벨은 잉크 박리가 전혀 없으며, 여과지로의 잉크 부착이 없어서 바람직한 레벨임
4: 라벨은 화상 농도 저하가 없으며, 여과지로의 잉크 부착이 약간 있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임
3: 라벨은 화상 농도 저하가 있으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표면의 노출이 없는 약간 불충분한 내구성 레벨임
2: 라벨은 잉크가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표면이 노출되어 불충분한 내구성 레벨임
1: 라벨은 잉크가 완전히 박리되어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표면이 노출되어 실용상 사용 불가한 레벨임
(실시예 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35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5 질량%): 3.2 질량부
-물: 49.6 질량부
(실시예 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3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6.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3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35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5 질량%): 1.3 질량부
-물: 49.9 질량부
(실시예 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4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4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4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2.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1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35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5 질량%): 6.1 질량부
-물: 49.2 질량부
(실시예 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5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5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5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2 질량부
-물: 50.6 질량부
(실시예 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6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6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6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86E,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5 질량%): 2.0 질량부
-물: 50.8 질량부
그 다음, 실시예 2 내지 6의 제조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이형층을 불연속층 또는 도상 분산층으로서 형성하는 실시예 1에서, 이형층은 잉크젯 인자 적성의 손실 없이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형성된 화상은 마찰시 박리되기 힘들며, 실용상 충분한 물리적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가로, 이형층이 실리콘 수지 및 그 외에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에서, 잉크젯 인자 적성은 동등 이상이며,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동등하며, 박리력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더 적었다.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첨가는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의 손실 없이 박리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7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7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7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FE-230N,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0 질량%): 3.7 질량부
-물: 49.1 질량부
(실시예 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8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8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8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6.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3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FE-230N,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0 질량%): 1.6 질량부
-물: 49.6 질량부
(실시예 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9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9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9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2.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1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FE-230N,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30 질량%): 7.1 질량부
-물: 48.2 질량부
(실시예 1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0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0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0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5 질량부
-물: 50.3 질량부
그 다음, 실시예 7 내지 1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이형층이 실리콘 수지 이외에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을 함유하는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실시예 1에 비하여 잉크젯 인자 적성은 동등 이상이며,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도 또한 동등하며, 박리력은 크게 감소된 것으로 밝혀졌다.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의 첨가에 의하여 화상의 잉크젯 인자 적성 및 물리적 내구성의 손실 없이 박리력이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1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1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1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2.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1 질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본론(BONRON) S-415,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Mitsui Chemicals Inc.) 제조, 고형분 농도 44 질량%): 2.4 질량부
-물: 52.9 질량부
(실시예 1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2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2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2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6.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3 질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본론 S-415,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4 질량%): 1.1 질량부
-물: 50.1 질량부
(실시예 1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3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3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3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2.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1 질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본론 S-415,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4 질량%): 4.8 질량부
-물: 50.5 질량부
(실시예 1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4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4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4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본론 S-1294,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8 질량부
-물: 50.0 질량부
그 다음, 실시예 11 내지 1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3
표 3의 결과로부터, 이형층이 실리콘 수지 이외에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을 함유하는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실시예 1에 비하여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동등하며, 박리력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의 첨가량이 작은 실시예 12를 제외하고, 잉크젯 인자 적성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불량하지만, 실사용 가능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5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5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5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1 질량부
-물: 50.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1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6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6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6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4.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2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1.1 질량부
-물: 50.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1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7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7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7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36.7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1.8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1.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9.2 질량부
-물: 50.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1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8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8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8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2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1 질량부
-물: 50.3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1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1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19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9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9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젼(제품명: 본론 S-1294,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1 질량부
-물: 50.0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2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0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0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0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38.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1.9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1.9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8 질량부
-물: 50.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그 다음, 실시예 15 내지 2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4
표 4의 결과로부터, 이형층이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 15 내지 17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5에 비하여 잉크젯 인자 적성은 동등하며,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동등 이상이며, 박리력은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찬가지로,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 및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18에서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실시예 19에서, 폴리에틸렌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0 및 14에 비하여 잉크젯 인자 적성은 동등 이상이며,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동등 이상이며, 박리력은 더 낮다. 특히,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실시예 19는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인 폴리에틸렌 입자의 첨가는 잉크젯 인자 적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 20은 높은 잉크젯 인자 적성,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 및 매우 낮은 박리력을 동시에 가져서 특히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1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1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1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30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1 질량부
-물: 50.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30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3 ㎛이었다.
(실시예 2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2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2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2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실리콘 입자(제품명: KMP-598,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2.0 질량부
-물: 53.6 질량부
실리콘 입자(제품명: KMP-598,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4 ㎛이었다.
그 다음, 실시예 21 및 2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5
표 5의 결과로부터, 체적 평균 입경 3 ㎛의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 21에서,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5에 비하여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동등하며, 박리력은 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폴리올레핀 입자 대신에 체적 평균 입경 14 ㎛인 실리콘 입자를 함유하는 실시예 22에서, 실시예 5에 비하여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더 크며, 박리력은 더 낮다.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올레핀 입자 또는 실리콘 입자를 함유하는 이형층에 의하여 더 낮은 박리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3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3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3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40.0 질량부
-물: 60.6 질량부
(실시예 2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4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4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4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37.6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4 질량부
-물: 60.0 질량부
(실시예 2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5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5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5를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37.6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6 질량부
-물: 59.8 질량부
(실시예 2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6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6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6을 생성하였다 .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33.7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3 질량부
-물: 58.9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2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7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7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7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데헤시브 430, 와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32.0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2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0 질량부
-물: 58.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그 다음, 실시예 23 내지 2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6
표 6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5, 10, 15 및 20의 실리콘 수지와는 상이한 상표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23 내지 27은 이들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2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8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8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8을 생성하였다.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7.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실리코리즈 909,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4 질량부
-물: 50.0 질량부
(실시예 2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2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29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29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29를 생성하였다.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실리코리즈 909,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2 질량부
-물: 50.6 질량부
(실시예 3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30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0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0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5.0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실리코리즈 909,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2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4 질량부
-물: 50.4 질량부
(실시예 3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31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1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1을 생성하였다 .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0.4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실리코리즈 909,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0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1 질량부
-물: 50.5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실시예 3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이형층 도포액 32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2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2을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실리코리즈 902,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38.5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실리코리즈 909,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1.9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1.9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8 질량부
-물: 50.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그 다음, 실시예 28 내지 3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7
표 7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5, 10, 15 및 20의 실리콘 수지와 상이한 상표의 실리콘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28 내지 32는 이들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실리콘 수지의 유형과는 무관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무기 입자 분산액 B의 제조-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제품명: 샬롤 DC-902P,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51 질량% 수용액)(0.78 질량부)를 물(39.22 질량부) 중에 용해시키고, 기체상 실리카(제품명: 에어로실 200, 니폰 에어로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10 질량부)를 생성된 용액 중에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처리하여 고형분 농도 20.8 질량% 및 수 평균 입경 0.10 ㎛의 무기 입자 분산액 B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 2의 제조-
물(31.4 질량부)을 생성된 무기 입자 분산액 B(47.6 질량부)에 첨가하고, 아세토아세틸-변성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고세파이머 Z-410,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21.0 질량부)의 10 질량% 농도의 수용액을 함께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12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 2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2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상질지의 한 면을 잉크 수용층 도포액 2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도포면을 우선 고압 수은 램프로 자외선 적산 조도계(PD-365, 아이 그래픽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한 500 mJ/cm2의 적산 조도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한 후, 12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 2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2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1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1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18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3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1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실시예 20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33 내지 4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8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8
표 8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기체상 실리카)가 수 평균 입경 0.10 ㎛를 갖는 실시예 33 내지 40이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25 ㎛를 갖는 실시예 1, 2, 7, 11, 15, 18, 19 및 20과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4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무기 입자 분산액 C의 제조-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제품명: 샬롤 DC-902P,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51 질량% 수용액)(0.78 질량부)를 물(39.22 질량부) 중에 용해시키고, 습식 실리카(제품명: 닙실 LP, 도소 실리카 코포레이션 제조)(10 질량부)를 생성된 용액 중에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을 비드 밀로 처리하여 고형분 농도 20.8 질량% 및 평균 입경 0.50 ㎛의 무기 입자 분산액 C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 3의 제조-
물(31.4 질량부)을 생성된 무기 입자 분산액 C(47.6 질량부)에 첨가하고, 아세토아세틸-변성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고세파이머 Z-410,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21.0 질량부)의 10 질량% 농도의 수용액을 함께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12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 3을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3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상질지의 한 면을 잉크 수용층 도포액 3으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도포면에 우선 고압 수은 램프로 자외선 적산 조도계(PD-365, 아이 그래픽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한 500 mJ/cm2의 적산 조도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한 후, 12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 3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2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1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1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18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1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실시예 20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41 내지 4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09
표 9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습식 실리카)가 수 평균 입경 0.50 ㎛를 갖는 실시예 41 내지 48이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25 ㎛를 갖는 실시예 1, 2, 7, 11, 15, 18, 19 및 20과 유사한 결과를 달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4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4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가 실시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무기 입자 분산액 A의 제조-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제품명: 샬롤 DC-902P,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51 질량% 수용액)(0.78 질량부)를 물(39.22 질량부) 중에 용해시키고, 기체상 실리카(제품명: 에어로실 300, 니폰 에어로실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10 질량부)를 생성된 용액 중에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로 처리하여 고형분 농도 20.8 질량% 및 수 평균 입경 0.25 ㎛의 무기 입자 분산액 A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도포액 4의 제조-
물(27.6 질량부)을 생성된 무기 입자 분산액 A(46.5 질량부)에 첨가하고, 붕산(0.28 질량부)을 생성된 액체 중에 용해시켰다.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PVA-235, 구라레이 컴파니, 리미티드(Kuraray Co., Ltd.) 제조)(25.6 질량부)의 8 질량% 농도의 수용액을 이 액체와 함께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12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 4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4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상질지의 한 면을 40℃로 가열한 잉크 수용층 도포액 4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도포층을 5℃ 공기로 냉각시킨 후, 온도 20℃ 및 상대 습도 20% RH의 공기로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 4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5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2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1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1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18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1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실시예 5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실시예 20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49 내지 5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0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0
표 10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바인더를 사용한 실시예 49 내지 56 및 실시예 1, 2, 7, 11, 15, 18, 19 및 20과는 상이한 잉크 수용층의 제조 방법은 이들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잉크 수용층의 유형과는 상관 없이 0.1 ㎛ 내지 0.5 ㎛의 수 평균 입경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잉크 수용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5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잉크 수용층 도포액 5의 제조-
물(28.5 질량부)을 5 질량%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용액(제품명: K-90,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Shokubai Co., Ltd.) 제조)(56.8 질량부)에 첨가하였다. 붕산(0.16 질량부)을 생성된 액체 중에 용해시키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PVA-235, 구라레이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14.5 질량부)의 8 질량% 수용액을 액체 중에서 추가로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7 질량%의 잉크 수용층 도포액 5를 생성하였다.
-잉크 수용층 5의 형성-
기본 중량 63 g/㎡의 상질지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상질지의 한 면을 잉크 수용층 도포액 5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도포면을 12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잉크 수용층 5를 형성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1의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1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하였다.
[조성]
-실리콘 수지 에멀젼(제품명: KM-3951,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47.6 질량부
-실리콘 수지 경화 촉매(제품명: CAT-PM-10A, 신-에츠 케미칼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4 질량부
-물: 50.0 질량부
-이형층 1의 제조-
형성된 잉크 수용층 5의 표면을 이형층 도포액 1로 고형분 도포량이 3.0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도포면을 100℃의 오븐에서 10 분 동안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제층 1의 형성-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지 않은 지지체의 표면을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감압 점착제(아크릴 에멀젼, 제품명: BPW6111, 도요 잉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로 도포하고, 110℃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점착제층 1을 형성한다.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실시예 5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57의 잉크젯 인쇄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1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1
표 11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이 무기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과는 상이한 실시예 57에서,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실시예 1보다 약간 더 불량하였다.
(비교예 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3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3의 제조-
장쇄 알킬 기-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RESEM) K-256,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Chukyo Yushi Co., Ltd.)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을 이형층 도포액 33으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4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4의 제조-
장쇄 알킬 기-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N-137,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을 이형층 도포액 34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5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5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5를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K-256,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94.1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4 질량부
-물: 3.5 질량부
(비교예 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6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6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6을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N-137,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94.1 질량부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4 질량부
-물: 3.5 질량부
(비교예 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7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7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7을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K-256,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8.9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NE-500,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 3.7 질량부
-물: 7.4 질량부
(비교예 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상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8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8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8을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N-137,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8.9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NE-500,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 3.7 질량부
-물: 7.4 질량부
(비교예 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상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39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39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39를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K-256,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4.2 질량부
-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1 질량부
-폴리올레핀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3 질량부
-물: 8.4 질량부
(비교예 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40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40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40을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N-137,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4.2 질량부
-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3 질량부
-물: 8.4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비교예 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41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41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41을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K-256,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0.0 질량부
-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5 질량%): 2.2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0 질량부
-물: 10.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비교예 1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42를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42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42를 생성하였다.
[조성]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알콜(제품명: 레셈 N-137, 츄교 유시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20 질량%): 80.0 질량부
-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2.0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2.2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5.0 질량부
-물: 10.8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비교예 1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하기 기재된 이형층 도포액 43을 실시예 1의 이형층 도포액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형층 도포액 43의 제조-
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이형층 도포액 43을 생성하였다.
[조성]
- 폴리아세트산비닐 에멀젼(제품명: 모비닐 168N, 니폰 신쎄틱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50 질량%): 10.0 질량부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제품명: 찰라인 R-170EM, 니신 케미칼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6 질량%): 10.9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분산액(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40 질량%): 25.0 질량부
-물: 54.1 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제품명: 케미펄 W410, 미츠이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제조)의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 입도 분포 측정 장치(제품명: LA-720, 호리바 리미티드 제조)로 측정하여 10 ㎛이었다.
(비교예 1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이형층을 형성하지 않고, 지지체의 잉크 수용층 1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감압 점착제 아크릴 에멀젼(제품명: BPW6111, 도요 잉크 컴파니, 리미티드 제조, 고형분 농도 60 질량%)으로 고형분 도포량이 15 g/㎡이 되도록 도포한 후, 도포된 표면을 110℃의 열풍으로 건조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1 내지 1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2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2
표 12의 결과로부터, 이형층이 장쇄 알킬 기-함유 폴리비닐 알콜을 실리콘 수지 대신에 함유한 비교예 1 및 2에서 이형층은 잉크 수용층의 표면에 성막 상태(연속 막 상태)로 형성되며, 박리력은 비교적 작지만, 잉크젯 인자 적성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또한 인쇄된 화상 및 이형층 사이의 점착성이 낮아서 크게 불량하였다.
비교예 1 및 2에 대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을 추가로 함유하는 비교예 5 및 6 및, 비교예 1 및 2에 대하여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을 추가로 함유하는 비교예 5 및 6에서, 박리력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1 및 2에 대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함유하는 비교예 7 및 8에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약간 개선되었으나 박리력 감소 효과 및 잉크젯 인자 적성의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로, 마찬가지로, 비교예 1 및 2에 대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및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비교예 9 및 10에서,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은 약간 개선되었으나, 박리력 감소 효과 및 잉크젯 인자 적성의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장쇄 알킬 기-함유 폴리비닐 알콜을 함유하지 않으며,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 및 3 ㎛ 내지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의 폴리에틸렌 입자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11에서, 박리력은 크며, 잉크젯 인자 적성도 또한 불량하였다. 이들 성분 단독은 이형층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형층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2에서, 잉크 수용층 및 점착제층 사이의 계면에서는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박리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의 기능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예 1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비교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비교예 3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비교예 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비교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2를 비교예 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13 내지 1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3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3
표 13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25 ㎛를 갖는 비교예 1, 3, 5, 7 및 9에 비하여, 잉크 수용층 중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10 ㎛를 갖는 비교예 13 내지 17이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이 뒤떨어지며,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예 1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비교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19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비교예 3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0)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0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비교예 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1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비교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3을 비교예 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18 내지 22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4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4
표 14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25 ㎛를 갖는 비교예 1, 3, 5, 7 및 9에 비하여, 잉크 수용층에 함유된 무기 입자가 수 평균 입경 0.50 ㎛를 갖는 비교예 18 내지 22는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이 뒤떨어지며,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예 23)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3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비교예 1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4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비교예 3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5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비교예 5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6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비교예 7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7)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7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실시예 49에서 제조한 잉크 수용층 4를 비교예 9의 잉크 수용층 1 대신에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9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8)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제조>
비교예 2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이형층 도포액 1을 고형분 도포량이 실시예 1의 3.0 g/㎡이 아니라 2.0 g/㎡이 되도록 와이어 바아로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그 다음, 비교예 23 내지 28의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의 특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5에 제시한다.
Figure pct00015
표 15의 결과로부터, 잉크 수용층에 함유된 바인더를 사용하는 비교예 23 내지 27 및 실시예 1, 3, 5, 7 및 9의 것과 상이한 잉크 수용층의 제조 방법은 또한 잉크젯 인자 적성 및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이 뒤떨어지며,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이형층의 도포량이 실시예 1에 비하여 더 작은 비교예 28은 이형층 피복율이 20% 미만이며, 박리력 및 잉크 수용층에서의 화상의 물리적 내구성이 뒤떨어지며,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지지체;
지지체의 한 면 상에 순서대로 배치된 잉크 수용층 및 이형층; 및
지지체의 다른 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
을 포함하며,
이형층은 적어도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고,
이형층이 잉크 수용층 표면을 피복하는 비율인 이형층 피복율이 20% ∼ 70%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2> 이형층 피복율이 30% ∼ 50%인 <1>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3> 이형층은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 중 어느 하나인 <1> 또는 <2>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4> 이형층은 수불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3>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5> 수불용성 수지는 적어도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4>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6> 수불용성 수지는 적어도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4> 또는 <5>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7> 이형층은 적어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입자를 포함하며;
입자는 3 ㎛ ∼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인 <1> 내지 <6>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8> 잉크 수용층은 무기 입자를 포함하며;
무기 입자는 0.1 ㎛ ∼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9>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롤 형태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Claims (9)

  1.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로서,
    지지체;
    지지체의 한 면 상에 순서대로 배치된 잉크 수용층 및 이형층; 및
    지지체의 다른 면 상에 배치된 점착제층
    을 포함하며,
    이형층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고,
    이형층이 잉크 수용층 표면을 피복하는 비율인 이형층 피복율이 20% ∼ 70%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이형층 피복율이 30% ∼ 50%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형층은 적어도 불연속층 및 도상 분산층(island-like scattered layer) 중 어느 하나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은 수불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5. 제4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수지는 적어도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수지는 적어도 아크릴-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형층은 적어도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입자를 포함하며, 입자는 3 ㎛ ∼ 15 ㎛의 체적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은 무기 입자를 포함하며, 무기 입자는 0.1 ㎛ ∼ 0.5 ㎛의 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은 롤 형태인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KR1020157027315A 2013-03-07 2014-03-0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KR101784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4885 2013-03-07
JPJP-P-2013-044885 2013-03-07
PCT/JP2014/056595 WO2014136989A1 (en) 2013-03-07 2014-03-06 Adhesive label for inkjet recor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325A true KR20150123325A (ko) 2015-11-03
KR101784082B1 KR101784082B1 (ko) 2017-10-10

Family

ID=5149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315A KR101784082B1 (ko) 2013-03-07 2014-03-06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9113A1 (ko)
EP (1) EP2965306B1 (ko)
JP (1) JP6269169B2 (ko)
KR (1) KR101784082B1 (ko)
CN (1) CN105027182A (ko)
BR (1) BR112015021771A8 (ko)
WO (1) WO2014136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3635A (ja) * 2013-10-25 2015-04-3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型粘着シート
CN205344183U (zh) * 2015-12-08 2016-06-29 上海晨希纸制品有限公司 一种可书写速干的pet可再贴便签
EP3369796A1 (de) * 2017-03-02 2018-09-05 Nolax AG Wasserbasierter klebstoff aus dispergiertem polymer und emulgierten silikonharzpolymer
JP7219943B2 (ja) * 2018-03-13 2023-02-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感圧転写修正テープ
CN109401656B (zh) * 2018-09-30 2021-03-30 东莞市卓华高分子材料有限公司 具有稳定粘性的抗静电保护膜
TWI680870B (zh) * 2018-10-19 2020-01-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具有柔感的pet合成紙
CN109493719B (zh) * 2019-01-05 2021-08-17 北京逸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不干胶标签制作设备
JP2021062634A (ja) * 2021-01-18 2021-04-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水性ボールペン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702A (en) * 1974-07-10 1976-01-20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Aqueous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056661A (en) * 1974-11-29 1977-11-01 Kabushiki Kaisha Sato Rolled adhesive sheet having printable and strippable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5984565U (ja) * 1982-11-27 1984-06-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ラベル
US4950638A (en) * 1986-10-09 1990-08-21 Ricoh Company, Ltd.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having recording layer containing fluorescent dye composition
GB8817239D0 (en) * 1988-07-20 1988-08-24 Adhesive Materials Ltd Adhesive labels &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JPH07290818A (ja) * 1994-03-04 1995-11-07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タックシート
JPH10100561A (ja) * 1996-09-30 1998-04-21 Toppan Moore Co Ltd 連続配送票
JPH10268776A (ja) * 1997-03-26 1998-10-09 Nitto Denko Corp ライナレスラベルの製造方法
JPH1148375A (ja) * 1997-07-31 1999-02-23 Nitto Denko Corp ラベル形成用の装置とカセット及びライナレスラベル
US5942557A (en) * 1997-09-19 1999-08-24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silicone release formulations
JPH11212470A (ja) * 1998-01-20 1999-08-06 Shinsei Industries:Kk ライナーレス普通紙ラベル連続体
JP2000235343A (ja) * 1999-02-15 2000-08-29 Nitto Denko Corp 外装体の製造方法及び被包装体
US6541109B1 (en) * 1999-10-08 2003-04-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coating formulation providing low adhesion release surfaces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2001347715A (ja) * 2000-06-07 2001-12-18 Nitto Denko Corp ライナレス印刷用シートの印刷装置
US20030044586A1 (en) * 2001-06-15 2003-03-06 Konica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material
WO2003066327A1 (fr) * 2002-02-04 2003-08-1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Materiau de separation et agent de separation
JP2003292874A (ja) * 2002-02-04 2003-10-15 Asahi Kasei Corp 剥離性材料及び剥離剤
US20030235677A1 (en) * 2002-06-25 2003-1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lex microstructure film
US20040247837A1 (en) * 2003-06-09 2004-12-09 Howard Enlow Multilayer film
JP2005280026A (ja) * 2004-03-29 2005-10-13 Yupo Corp 剥離性積層体
EP2133211B1 (en) * 2007-03-30 2013-09-11 Oji Holdings Corporatio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9113321A (ja) * 2007-11-06 2009-05-28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9445A (ja) * 2008-12-26 2010-07-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
CN103782334A (zh) * 2011-11-07 2014-05-07 株式会社理光 热敏记录标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5306B1 (en) 2017-05-03
KR101784082B1 (ko) 2017-10-10
JP2014195994A (ja) 2014-10-16
WO2014136989A1 (en) 2014-09-12
BR112015021771A8 (pt) 2019-11-19
JP6269169B2 (ja) 2018-01-31
EP2965306A1 (en) 2016-01-13
CN105027182A (zh) 2015-11-04
EP2965306A4 (en) 2016-01-27
US20160009113A1 (en) 2016-01-14
BR112015021771A2 (pt)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082B1 (ko) 잉크젯 기록용 점착 라벨
JP453339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200713677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2819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要素
KR100660999B1 (ko) 잉크젯 기록매체
JP2009528193A (ja) 吸収性の紙における光沢性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要素
JP200234733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JP3784183B2 (ja)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用インク受容層付記録シートおよびそのインク受容層形成用塗布液
JP2001205929A (ja) 非水系インク用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材料
JP2002225424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
JP2001246834A (ja) 非水系インク用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材料
JP201011592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15329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019116078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JP200305412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00221111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200319163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6465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
JP2002254841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513840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製造方法
JP20042436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JP20041144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2309651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粘着ラベル
JP202004983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00432245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