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023A -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023A
KR20150121023A KR1020157023955A KR20157023955A KR20150121023A KR 20150121023 A KR20150121023 A KR 20150121023A KR 1020157023955 A KR1020157023955 A KR 1020157023955A KR 20157023955 A KR20157023955 A KR 20157023955A KR 20150121023 A KR20150121023 A KR 20150121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carbon film
temperature
treatment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360B1 (ko
Inventor
히로카즈 야마모토
유스케 이카와
유타카 코다
Original Assignee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7Details relating to the spin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0Poly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0Polyamines
    • B01D71/601Polyethylenimi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2Cool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성 재료를 사용하고, 방사 공정, 건조 공정, 불융화 처리 공정 및 탄화 처리 공정을 기본 공정으로 하는 습식법 또는 건습식법에 의한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2회 이상 온도를 바꾸고, 또한 1회째보다 2회째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한번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그대로 2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다. 얻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은 분리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투과 성능의 향상이 인정된다.

Description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FIBER CARBON MEMBRANE}
본 발명은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 성능이 우수한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사상 탄소막은 각종 무기막 중에서도 우수한 기체 분리성을 나타내고, 또한 유기막을 적용할 수 없는 것 같은 높은 내열성,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환경하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한 점에서, 그 실용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또, 중공사상 탄소막은 내압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위용적당 차지하는 막 면적이 큰 점에서, 컴팩트한 분리막 모듈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겸비하는 탄소막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작 방법이, 또 특허문헌 2에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근래에 추가적인 처리 성능 향상과 같은 것이 요구되고 있어, 중공사상 탄소막의 분리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일본 특개 평4-11933호 공보 일본 특개 2009-34614호 공보 일본 특개 2012-81375호 공보 일본 특개 2013-71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얻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분리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성 재료를 사용하고, 방사 공정, 건조 공정, 불융화 처리 공정 및 탄화 처리 공정을 기본 공정으로 하는 습식법 또는 건습식법에 의한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2회 이상 온도를 바꾸고, 또한 1회째보다 2회째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불융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2회 이상의 온도를 바꾼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분리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투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의 투과계수 P가 5×10-7몰/cm2·초·Pa 이상이라는 우수한 투과 성능이 얻어진다.
또,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머의 방사시에, 심액으로서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 제조시에 있어서의 결함 발생 비율이 억제된 상태에서, 대량이며 또한 신속하게 이 고분자 전구체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기 폴리아민으로서 수용성의 것을 선택함으로써,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방사 공정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실끊김 감소, 연신에 의한 세경화(박육화), 권취 건조에 의한 실끊김의 경감을 달성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2에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기본적인 제조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사상 탄소막은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성 재료를 사용하고, 하기와 같은 방사 공정, 건조 공정, 불융화 처리 공정 및 탄화 처리 공정을 기본 공정으로 한다(특허문헌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법도 하기 기본 공정예에 따르고 있다.
(1)방사 공정: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머의 유기 용매 용액(방사 원액)을 2중관 구조의 중공사 방사용 노즐을 사용하여, 습식 방사법 또는 건습식 방사법에 의해, 무기염 수용액, 물 등의 심액과 동시에 압출한다(특허문헌 2 도 2 참조)
(2)건조 공정:방사 공정에서 얻어진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머의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중공사상물)를 건조한다
(3) 불융화 처리 공정:전구체인 건조시킨 중공사상물을 약150~300℃, 약0.5~4시간의 가열 처리 조건하에서 불융화 처리를 실시한다
(4)탄화 처리 공정: 불융화 처리 중공사상물을 10-4기압 이하의 감압하, 혹은 헬륨,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등으로 치환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약450~850℃에서 약0.5~4시간 가열한다
여기서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재료로서는 공지의 탄소 형성 재료(폴리머)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또는 그 방향족환의 1~4개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설폰기, 카복실기, 저급 알킬기, 트라이 저급 알킬실릴기, 다이아릴포스피노기 등으로 직접 또는 -CH2-기를 통하여 치환된 유도체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설폰화율이 약20~40%, 바람직하게는 약25~35%의 설폰화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저급 알킬기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가리키고 있다.
〔방사 공정〕
폴리머를 그 가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N-다이메틸아세토아마이드, N-메틸-2-파이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에, 약20~4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25~33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방사 원액(제막 원액)을 조제한다. 조제된 방사 원액을 습식 방사법 또는 건습식 방사법에 의해, 2중관 환상 구조의 중공사 방사용 노즐의 외관으로부터 물 또는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 수용액 등의 응고욕 중에 압출하고, 그 때 방사용 노즐의 내관으로부터는 제막 원액의 용매와 폴리머에 대해서는 비용해성의 심액,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 수용액을 약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10~20중량%의 농도의 수용액으로서 동시에 압출함으로써,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성형한다. 이 때, 심액 및 응고욕의 온도는 예를 들면 -20~60℃, 바람직하게는 0~3℃로 설정된다.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으로서는 수용액 농도가 약10~30중량%이며 수가용성의 다이아민 화합물, 트라이아민 화합물 등의 폴리아민 화합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사용된다.
·알킬렌다이아민
에틸렌다이아민 H2N(CH2)2NH2
트라이메틸렌다이아민 H2N(CH2)3NH2
테트라메틸렌다이아민 H2N(CH2)4NH2
펜타메틸렌다이아민 H2N(CH2)5NH2
헥사메틸렌다이아민 H2N(CH2)6NH2
·폴리에틸렌폴리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NH2CH2CH2NHCH2CH2NH2
트라이에틸렌테트라민 NH2CH2CH2NHCH2CH2NHCH2CH2NH2
테트라에틸렌펜타민 NH2CH2CH2NHCH2CH2NHCH2CH2NHCH2CH2NH2
펜타에틸렌헥사민 NH2CH2CH2NHCH2CH2NHCH2CH2NHCH2CH2NHCH2CH2NH2
·아미노알킬기 함유 아민
비스(2-아미노에틸)아민 (H2NCH2CH2)2NH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H2NCH2CH2)3N
N,N-비스(3-아미노프로필)메틸아민(H2NCH2CH2CH2)2NCH3
·에터기 함유 아민
비스(2-다이메틸아미노에틸)에터 (H3C)2NCH2CH2OCH2CH2N(CH3)2
폴리옥시알킬렌트라이아민
H2NR(OR)xO-CH2-CH〔O(RO)yRNH2〕-CH2O(RO)zRNH2
x, y, z: 2 이상의 정수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200~1500의 유기 아민계 폴리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이들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은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방사 공정에 있어서의 실끊김 경감 효과, 연신에 의한 세경화(박막화), 권취, 건조에 의한 실끊김의 경감과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알킬기 함유 아민, 에터기 함유 아민,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200~1500의 유기 아민계 폴리머가 사용된다. 또, 이들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은 심액과 동일한 범위의 농도로 응고액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중공사상 탄소막을 대량이며 또한 신속하게 얻는 제조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은 앞서 상기 공정을 기본 공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방사한 중공사상물을 보빈으로 권취하고, 그 후 중공 부분에 잔류하고 있는 물 및 심액을 배출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3). 이러한 제조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심액으로서 소정 농도의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결함 발생 비율을 낮게 억제하면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사 공정에 있어서는, 2중관 환상 구조의 중공사 방사용 노즐의 외관의 직경과 권취 속도의 비 등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막두께를 조절시킨 중공사상 탄소막을 형성할 수 있는 중공사상물을 얻을 수 있다.
방사에 의해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술한 보빈(물빼기용 권취 보빈)으로의 권취가 행해진다. 물빼기용 권취 보빈으로서는 외주 약0.5~2.0m, 바람직하게는 약0.7~1.2m정도의 것이 사용되고,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권취 속도는 약10~80m/분, 바람직하게는 약20~60m/분정도로 행해진다. 또, 권취되는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길이는 약100~8000m, 바람직하게는 약2000~4000m가 되고,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권취한 보빈은 수조 등에 수중 보관된다. 보관 기간은 일반적으로는 다음에 서술하는 물빼기 공정의 처리 시간을 포함하여 0.5~14일, 바람직하게는 1~7일이 된다.
〔물빼기 공정〕
물빼기용 권취 보빈에 권취된 상태의 중공사상물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사상물을 수조 중에 설치한 상태에서 보빈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절단하고, 이것을 수중에 보관한 후, 그 양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중력 방향으로 매달아 중공사상물에 대해서 심액 및 물의 제거가 행해진다. 또, 1개마다 상단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중공사상물 하단으로 추를 매달아 중공사상물의 폴리머 부분의 건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특허문헌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중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 그 일단부를 개방하고, 타단부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공기압을 가하기 위한 튜브 등에 접속 고정한 후, 중공사상물의 중공부에 게이지압이 약20~300kPaG, 바람직하게는 약100~200kPaG의 공기 송입에 의해 물빼기가 행해진다. 이 때, 중공사상물이 찌부러지거나 하면, 중공 부분에 공기압이 균일하게 인가되지 않아, 물빼기를 충분히 행할 수 없다. 또, 공기압이 이보다 낮은 공기가 송입되면, 원하는 심액 및 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는 없고, 한편 이보다 높은 공기압을 가지는 공기를 송입하면, 중공사상물의 압력에 의한 파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물빼기 공정의 소요 시간은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길이가 2000m인 경우, 100kPa의 압력 조건하에서 8시간정도이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중공사상물의 중공 부분에 존재하는 심액 및 물을 거의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보빈 건조 공정〕
보빈에 권취된 상태에서 물빼기가 행해진 중공사상물은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온~약80℃, 바람직하게는 약25~35℃의 조건하에서 건조 처리가 행해진 후, 바람직하게는 물빼기용 권취용 보빈과는 별개의 건조물 권취 보빈에 권취된다. 물빼기가 행해진 중공사상물은 이것을 권취한 물빼기용 권취 보빈으로부터 선속도 환산으로 약5~100cm/초, 바람직하게는 약30~80cm/초의 속도로, 송풍 조건하에 2개의 보빈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 건조기를 통과시켜 건조 처리가 행해지고, 건조 온도 조건에 따르기도 하지만 약4~20m/분, 바람직하게는 약8~14m/분의 권취 속도로 권취 보빈에 권취된다.
건조물 권취 보빈은 중공사상물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조물 권취 부분의 샤프트에 약0.5~5mm, 바람직하게는 약1~2mm의 간격으로 코일상의 홈을 설치한 것 등이 사용된다. 권취는 이러한 건조용 권취용 보빈을 1개 또는 2개 이상 사용하여, 중공사상물 전체 길이의 권취를 실시함으로써 행해진다.
〔불융화 처리 공정〕
건조된 중공사상물은 탄화 처리 전에 불융화 처리가 행해진다. 불융화 처리는 온도를 바꾼 적어도 2회 이상의 가열 처리에 의해 행해진다. 어느 가열 처리도 탄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 처리가 행해지고, 그 가열 처리 조건은 재료의 종류, 그 양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1회째의 가열 처리가 약150~280℃에서 약0.5~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200~270℃, 약0.5~2시간의 조건에서 행해진 후, 계속해서 2회째의 가열 처리가 약200~350℃, 약0.5~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250~320℃, 약0.5~2시간과 같은 1회째의 가열 처리 온도보다 높은 온도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가열 처리는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그대로 2회째의 가열 온도로 변경하여 2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 외에,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한번 실온까지 냉각한 후, 2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한번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그대로 2회째의 가열 온도로 변경하여 2회째의 가열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불융화 처리 방법에 의해, 중공사상 탄소막으로서의 성능이 특별히 개선되게 되고, 얻어지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분리계수를 저하시키지 않고, 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열 처리는 3회 이상 행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직전의 가열 온도보다 항상 높은 온도에서의 가열이 행해진다.
〔탄화 처리 공정〕
불융화 처리 후,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0.2m~1m정도의 길이로 잘라낸, 또는 권취용 보빈에 권취된 상태인채로, 불융화 처리된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용기 내에 수용하고, 약10Pa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10~4Pa와 같은 감압하, 또는 헬륨,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등으로 치환한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감압 처리하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탄화 처리가 행해진다. 탄화 처리는 재료의 종류, 그 양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약450~850℃, 약0.5~4시간과 같은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대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설폰화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설폰화도 30%〕 50g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 150g에 용해시켜, 농도 25중량%의 제막 원액을 조제했다. 조제된 제막 원액을 외관의 외경 0.5mm, 내경 0.25mm의 2중관 구조의 환상 중공사 방사용 노즐의 외관에, 또 15중량%의 N,N-비스(3-아미노프로필)메틸아민을 심액으로 하여 노즐 내관측을 통과시키고, 제막 원액과 심액을 동시에 수중에 습식 방사법에 의해 압출하여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얻고, 이것을 약40m/분의 권취 속도로 외주 약1m의 회전 보빈(물빼기용 권취 보빈)에 권취함으로써,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얻었다.
외경 500μm의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일단을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경 6mm의 튜브와 접속하고 고정했다. 이 튜브측으로부터 게이지압 100kPaG의 공기를 송입하고,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의 중공 부분에 포함되는 심액 및 물을 배출했다.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가 권취된 보빈(물빼기용 권취 보빈)과 건조 후의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권취하기 위한 보빈(건조물 권취 보빈) 사이에 설치된 통형상의 가열 공기 건조기 내를 통과시키고, 40℃, 선속도 환산 약40cm/초로 통풍을 행하고, 10m/분의 권취 속도로 건조물 권취 보빈에 권취함으로써 건조 처리되었다. 여기서, 건조물 권취 보빈으로서는 1주가 1m, 샤프트 부분에 3mm 간격으로 홈이 설치된 보빈이 사용되었다.
건조된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는 보빈에 감긴 상태인채로 가열 장치 내에 설치되어, 250℃, 1시간의 조건에서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0.5m의 길이로 잘려지고, 이어서 270℃, 1시간의 조건하에서 2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불융화 처리가 행해졌다.
불융화 처리된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550℃, 600℃ 또는 650℃에서 각 2시간의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침투식 기화 분리법에 의한 투과 성능의 측정이 행해졌다. 구체적으로는 공급액에 아이소프로판올-물(중량비 90:10) 혼합 용액을 사용하고, 투과측을 약1kPa로 감압하여, 투과 물질의 중량과 물/아이소프로판올의 조성으로부터, 물의 침투 속도 P(몰/cm2·초·Pa)를 측정하고, 이상분리계수 α를 산출했다. 그 결과,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5.6d×10-7몰/cm2·초·Pa, 600℃에서는 8.4×10-7몰/cm2·초·Pa, 650℃에서는 8.3×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의 2회째의 가열 처리 온도를 290℃로 변경하여,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6.3×10-7몰/cm2·초·Pa, 600℃에서는 7.6×10-7몰/cm2·초·Pa, 650℃에서는 9.8×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의 2회째의 가열 처리 온도를 310℃로 변경하여,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5.9×10-7몰/cm2·초·Pa, 600℃에서는 9.6×10-7몰/cm2·초·Pa, 650℃에서는 1.1×10-6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로서 250℃, 1시간의 조건에서 1회만 가열 처리를 행한 후,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1.5×10-7몰/cm2·초·Pa, 600℃에서는 1.4×10-7몰/cm2·초·Pa, 650℃에서는 1.5×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로서 270℃, 1시간의 조건에서 1회만 가열 처리를 행한 후,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1.5×10-7몰/cm2·초·Pa, 600℃에서는 1.7×10-7몰/cm2·초·Pa, 650℃에서는 1.5×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로서 290℃, 1시간의 조건에서 1회만 가열 처리를 행한 후,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탄화 온도가 550℃에서는 2.2×10-7몰/cm2·초·Pa, 600℃에서는 2.1×10-7몰/cm2·초·Pa, 650℃에서는 1.8×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모두 10000 이상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로서 310℃, 1시간의 조건에서 1회만 가열 처리를 행했더니, 가열 처리 중에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용 고분자 전구체가 실끊김으로 파단했기 때문에,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과정의 2회째의 가열 처리를, 1회째의 가열 처리 후 냉각하지 않고 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600℃, 2시간의 조건에서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8.3×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10000 이상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과정의 2회째의 가열 처리를, 1회째의 가열 처리 후 냉각하지 않고 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600℃, 2시간의 조건에서 탄화 처리를 행하고,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9.5×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10000 이상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과정의 2회째의 가열 처리를, 1회째의 가열 처리 후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행하고, 또한 2회째의 가열 처리 후 냉각하지 않고 310℃, 1시간의 조건에서 3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0.5m의 길이로 잘라낸 것에 대해서, 600℃, 2시간의 조건에서 탄화 처리를 행하여, 중공사상 탄소막을 얻었다. 얻어진 중공사상 탄소막에 대해서 투과 성능의 측정을 행했더니, 물의 투과 속도 P는 8.9×10-7몰/cm2·초·Pa이며, 이상분리계수 α는 10000 이상이었다.

Claims (7)

  1.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성 재료를 사용하고, 방사 공정, 건조 공정, 불융화 처리 공정 및 탄화 처리 공정을 기본 공정으로 하는 습식법 또는 건습식법에 의한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2회 이상 온도를 바꾸고, 또한 1회째보다 2회째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공정이 1회째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한번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그대로 2회째의 가열 온도로 변경하여, 2회째의 가열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불융화 처리 공정이 150~280℃의 가열 처리 조건하에서 1회째의 가열 처리가 행해진 후, 1회째의 가열 온도보다 높은 200~350℃의 가열 처리 조건하에서 2회째의 가열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사상 탄소막 형성성 재료가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방사 공정에 있어서, 농도가 10~30중량%의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 수용액을 심액으로 하여 방사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 폴리아민이 알킬렌다이아민, 폴리에틸렌폴리아민, 아미노알킬기 함유 아민, 에터기 함유 아민 또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200~5000의 수용성 유기 아민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상 탄소막.
KR1020157023955A 2013-02-27 2014-02-26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KR101780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6544 2013-02-27
JP2013036544A JP5708684B2 (ja) 2013-02-27 2013-02-27 中空糸状炭素膜の製造方法
PCT/JP2014/054659 WO2014132993A1 (ja) 2013-02-27 2014-02-26 中空糸状炭素膜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023A true KR20150121023A (ko) 2015-10-28
KR101780360B1 KR101780360B1 (ko) 2017-09-21

Family

ID=5142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955A KR101780360B1 (ko) 2013-02-27 2014-02-26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1250B2 (ko)
EP (1) EP2962747B1 (ko)
JP (1) JP5708684B2 (ko)
KR (1) KR101780360B1 (ko)
CN (1) CN104994940B (ko)
WO (1) WO20141329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29A (ko) * 2020-03-31 2022-11-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불융화 폴리페닐렌에테르 섬유, 불융화 폴리페닐렌에테르 성형체, 탄소 섬유, 활성 탄소 섬유, 탄소 섬유 성형체, 활성 탄소 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7067C1 (ru) * 2014-10-08 2018-09-1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Измер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мобильности
JP6379995B2 (ja) * 2014-10-24 2018-08-29 Nok株式会社 炭素膜用製膜原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JP2020530811A (ja) * 2017-08-14 2020-10-29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炭素分子篩中空繊維膜を作製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JP7191766B2 (ja) * 2019-05-24 2022-12-19 Jfeケミカル株式会社 難黒鉛化性炭素材料の製造方法
CN113877434B (zh) * 2020-07-02 2022-12-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直接包裹热处理制备中空纤维碳膜的方法及其中空纤维碳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806A (ja) * 1984-01-20 1985-08-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ポリイミド中空糸膜の製造方法
US4787976A (en) * 1985-04-29 1988-11-29 W. R. Grace & Co. Non-adsorptive, semipermeable filtration membrane
JPH07121344B2 (ja) * 1990-04-27 1995-12-25 宇部興産株式会社 非対称性中空糸炭素膜及びその製法
EP0459623B1 (en) 1990-04-27 1994-06-08 Ube Industries, Ltd. Asymmetric hollow filamentary carbon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626837B2 (ja) * 1990-11-27 1997-07-02 宇部興産株式会社 非対称性中空糸炭素膜の製法
JP2673846B2 (ja) * 1992-02-07 1997-11-05 宇部興産株式会社 非対称性中空糸炭素膜及びその製法
JPH06146120A (ja) * 1992-10-31 1994-05-27 Tonen Corp 高強度、高弾性率ピッチ系炭素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5134A (ja) * 1998-05-22 2000-02-15 Nippon Mitsubishi Oil Corp 炭素繊維の製造方法、炭素繊維、プリプレグおよび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体
US6171696B1 (en) 1998-05-22 2001-01-09 Nippon Mitsubishi Oi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 carbon fiber, prepreg, and molded article from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JP5339324B2 (ja) * 2007-08-02 2013-11-1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中空糸炭素膜とその製造方法
CN101480583B (zh) * 2008-12-30 2011-11-09 天邦膜技术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聚醚酰亚胺中空纤维膜的制备方法
JP5557328B2 (ja) 2010-10-07 2014-07-23 Nok株式会社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JP5772275B2 (ja) 2011-06-21 2015-09-02 Nok株式会社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WO2018052127A1 (ja) 2016-09-15 2018-03-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29A (ko) * 2020-03-31 2022-11-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불융화 폴리페닐렌에테르 섬유, 불융화 폴리페닐렌에테르 성형체, 탄소 섬유, 활성 탄소 섬유, 탄소 섬유 성형체, 활성 탄소 섬유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8770A1 (en) 2016-01-14
EP2962747A4 (en) 2016-11-02
CN104994940B (zh) 2017-03-22
JP2014161816A (ja) 2014-09-08
CN104994940A (zh) 2015-10-21
JP5708684B2 (ja) 2015-04-30
US9731250B2 (en) 2017-08-15
EP2962747B1 (en) 2017-07-26
KR101780360B1 (ko) 2017-09-21
EP2962747A1 (en) 2016-01-06
WO2014132993A1 (ja)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360B1 (ko) 중공사상 탄소막의 제조 방법
CN109794166B (zh) 一种荷正电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KR100965108B1 (ko) 고유량 수처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6466A (ko) 세미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기체분리용 비대칭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기체분리용 비대칭 중공사막
JPS6051721A (ja) 架橋ポリフエニレンオキシド
KR101415046B1 (ko) 내열성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 및 그 제조 방법
CN107638813A (zh) 一种中空纤维耐溶剂纳滤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10014603A (ko) 솔벤트 내성 미세다공성 폴리벤지미다졸 멤브레인
KR101688063B1 (ko) 기체분리용 이중층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JP5772275B2 (ja)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JP2012081375A (ja)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JP2014158994A (ja) 中空糸炭素膜形成用高分子前駆体の製造方法
CN101590376B (zh) 具有改善尺寸稳定性的共混聚偏氟乙烯中空纤维膜的制备
KR101556009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7137596A (ja)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KR101025754B1 (ko) 거대기공이 없는 중공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10471395B2 (en) Hollow fiber membra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562307B1 (ko) 불화가스 회수용 탄소분자체 중공사막의 전구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불화가스 회수용 탄소분자체 중공사막의 전구체 및 탄소분자체 중공사막
US20130313739A1 (en) Membrane-forming dope solution for carbon membranes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hollow fiber membranes using the same
JP2017136561A (ja)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JP2022080660A (ja) 中空糸炭素膜の製造方法
CN102527264A (zh) 一种聚酰亚胺中空纤维的制备方法
KR20190060552A (ko) 중공사막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제조방법 및 중공사막
KR101474545B1 (ko) 불화가스 분리용 비대칭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불화가스 분리용 비대칭 중공사막
CN114632428B (zh) 聚偏氟乙烯基膜、聚偏氟乙烯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