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476A -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 - Google Patents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476A
KR20150110476A KR1020157014874A KR20157014874A KR20150110476A KR 20150110476 A KR20150110476 A KR 20150110476A KR 1020157014874 A KR1020157014874 A KR 1020157014874A KR 20157014874 A KR20157014874 A KR 20157014874A KR 20150110476 A KR20150110476 A KR 2015011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rticle
connecting member
over
center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미쉬 알렉산더 니겔 케네디
이삭 제임스 안스티스
티엘 숀 코넬리우스 프란시스쿠스 반
Original Assignee
콤팩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팩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콤팩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65G47/965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tilting about a sided-axis, i.e. the axis is not located near the center-line of the load-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물품 캐리어(100)가 컨베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부분(1)을 가진다. 연결 부재(4)가 장착 부분(1)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1 회전 축(R1) 주위로 장착 부분(1)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캐리어 부분(3)이 연결 부재(4)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 축(R2) 주위로 연결 부재(4)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제1 회전 축(R1)이 제2 회전 축(R2)으로부터 이격된다. 잠금 상태일 때 캐리지 위치 내에서 캐리어 부분(3)을 지지하고 풀림 상태일 때 캐리어 부분(3)이 방출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5)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ARTICLE CARRIER FOR A GRADING APPARATUS}
발명은, 특히 선별 시스템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물품용 캐리어, 그리고 특히,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세장형(elongate) 생산 물품을 이송하는데 적합한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물품 캐리어는, 선별 목적을 위해서 다양한 측정 스테이지를 통해서 과일을 운송하기 위해서 그리고 선별 공정의 결과에 의존하여 필요 위치에서 과일을 배출하기 위해서, 과일 선별기에서 빈번하게 이용된다. 그러한 물품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테이션 중 하나에서 과일을 하역하도록 컵이 위치된, 컨베이어 체인 상의 캐리어 또는 컵의 무한 회로를 포함한다.
카메라와 같은 선별 장치로 과일의 전체 표면을 보여주기 위해서, 종래 기술의 많은 물품 캐리어는, 과일이 컨베이어 상에서 컨베이어를 따라서 이송될 때, 그러한 과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롤러를 이용한다. 과일이 이송되는 동안에 과일의 중량이 측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물품 캐리어가 또한, 과일을 지탱(bear)하는 캐리어의 부분을 캐리어의 나머지, 및 컨베이어의 지지 부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특허 제7,410,044호는, 하나의 그러한 물품 캐리어의 예를 설명한다.
그러한 캐리어는, 비록 사과 등과 같은 대체로 구형인 형상의 과일 및 채소와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하지만, 오이, 망고, 배, 아보카도, 등과 같은 세장형 과일 또는 채소와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물품이 세장형 "핑거(finger)" 상에서 컨베이어 체인의 일 측부에 대해서 유지되는, 다른 유형의 물품 캐리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캐리어가 세장형 과일 또는 채소에 적합하지만, 그러한 캐리어는 제품이 정확하게 중량 측정될 수 있게 하지 못한다.
전술한 예에서, 물품이 중량 측정되는 동안, 물품 캐리어가 컨베이어 체인에 대해서 연결되어 유지되고 컨베이어 체인과 함께 이동한다. 컨베이어 체인에 의해서 물품 캐리어 상으로 가해지는 힘의 수평 성분은 중량 측정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정확한 중량 측정 동작을 위해서, 로드 셀(load cell; 하중측정 소자) 상에서 지탱되는 컨베이어 체인과 캐리어 부분 사이의 연결부가 수직 방향으로 캐리어 부분 상으로 가능한 한 최소한의 힘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세서 내의 임의의 종래 기술에 관한 언급은, 그러한 종래 기술이 임의 국가에서 흔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에 대한 인정 또는 임의 형태의 암시가 아니며, 그리고 그러한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물품 캐리어에서의 문제점을 극복 또는 개선하는, 또는 적어도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선별 장치를 위한 물품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단지 예로서 제공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서, 물품 캐리어가 제공되고, 그러한 물품 캐리어는 컨베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부분, 장착 부분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1 회전 축 주위로 장착 부분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부재, 연결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2 회전 축 주위로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캐리어 부분으로서, 제1 회전 축이 제2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캐리어 부분, 및 잠금 상태일 때 캐리지 위치 내에서 캐리어 부분을 지지하도록 그리고 풀림(unlocked) 상태일 때 캐리어 지지 부분이 방출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회전 축은, 이용 중에, 물품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 캐리어 부분은,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에 대한 캐리어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회전 제한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회전 제한 부분이 연결 부재 상에서 지탱된다.
바람직하게,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이 풀림 상태에 있을 때, 캐리어 부분이 중량 측정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그러한 중량 측정 위치에서 회전 제한 부분은 연결 부재 상에서 지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은 오버-센터 링키지(over-centre linkage)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오버-센터 링키지는 장착 부분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오버-센터 링키지는 연결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오버-센터 링키지와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제2 회전 축과 동일-선상에(co-linear) 있다.
바람직하게, 오버-센터 링키지는, 장착 부분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분이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오버-센터 링키지의 제1 부분이 오버-센터 링키지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리거(trigger)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물품 캐리어가 복수의 캐리어 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물품 캐리어가 장착 부분의 중앙 평면의 각각의 측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분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물품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대칭 평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물품 캐리어가 2개의 대칭 평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제1 양태의 복수의 물품 캐리어를 포함하는 분류(sorting) 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이 또한, 둘 이상의 부품, 요소 또는 특징의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출원 명세서에서 언급된 또는 표시된 부품, 요소 및 특징으로 나타난다고 광범위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균등물을 가지는 특정 완전체(integer)가 언급된 경우에, 그러한 공지된 균등물은,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과 같이, 본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 양태에 따라서, 물품 캐리어 및/또는 물품 캐리어를 포함하는 분류 장치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원에서와 같이 설명된다.
모든 발명의 신규한 양태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가,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의 예로서 주어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캐리어가 캐리지 위치 내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캐리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품 캐리어의 횡단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제품의 물품을 이송하는, 도 1의 복수의 물품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분류 장치의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해제가능한 잠금 수단이 풀림 위치에 있고 캐리지 부분이 하부의 중량 측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도 1의 물품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캐리지 부분이 하부의 중량 측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 캐리어의 일 측부의 횡단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6의 상세 부분("A")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해제가능한 잠금 수단이 풀림 위치에 있고 캐리지 부분이 상부의 중량 측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도 1의 물품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캐리지 부분이 상부의 중량 측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 캐리어의 일 측부의 횡단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8의 상세 부분("B")의 확대도이다.
도 9a-9d는, 물품을 방출하는, 사용 중의 도 1의 물품 캐리어의 순차적인 부분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캐리지 부분이 방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 캐리어의 일 측부의 횡단방향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품 캐리어가 화살표(100)로 전체적으로 인용되어 있다.
물품 캐리어(100)는, 예를 들어 클립(2)에 의해서, 캐리어(100)를 컨베이어 체인(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분(1)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캐리어 부분(3)이 장착 부분(1)에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100)는 4개의 캐리어 부분(3)을 포함하고, 2개의 캐리어 부분(3)이 장착 부분(1)의 각 측부(either side)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미도시)가 장착 부분의 각 측부 상에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캐리어 부분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또는 장착 부분의 하나의 측부 상에서만 하나 이상의 캐리어 부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물품 캐리어가 중앙의 길이방향 평면을 중심으로, 그리고 길이방향 평면에 직교하는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이고, 그에 따라 캐리어가 양 방향으로 컨베이어 체인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3)이 세장형 "핑거"로서 제공되고, 물품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컵 형상을 형성한다.
각각의 캐리어 부분(3)이 연결 부재(4)에 의해서 장착 부분(1)으로 연결된다. 연결 부재(4)가 제1 회전 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4)가 장착 부분(1)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캐리어 부분(3)이 제2 회전 축(R2)을 중심으로 연결 부재(4)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캐리어 부분(3)이 연결 부재(4)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회전 축(R1, R2)이 이격되고, 많은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4)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된다.
물품 캐리어(100)가 해제가능한 캐리어 지지 수단(5)을 더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지지 수단(5)은, 제1 단부(6)에서 또는 그에 인접하여 장착 부분(1)에 회전식으로 연결되는 제1 부분(5a) 및 제2 단부(7)에서 연결 부재(4)에 회전식으로 연결되는 제2 부분(5b)을 가지는 오버-센터 유형 링키지를 포함한다. 링키지(5)는, 제1 및 제2 부분(5a, 5b) 사이의 링크, 바람직하게 힌지형(hinged) 연결부(5c)가 축의 한 측부 상에 있을 때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유형이고, 그러한 축은, 링크의 양 단부에서 회전가능한 연결부들을 연결하지만 중앙 링크가 해당 축의 반대쪽 측부로 이동될 때 붕괴된다(collapse).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센터 링키지(5)의 제2 단부(7)와 연결 부재(4) 사이의 연결이 연결 부재(4)와 캐리어 부분(3) 사이의 연결과 동일선상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오버-센터 링키지의 제2 단부(7)와 연결 부재(4) 사이의 연결이, 장착 부분(1)에 대한 연결 부재의 연결과 동일선상에 있지 않는 연결 부재(4) 상의 임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센터 링키지(5)가, 캐리어 부분(3) 상에서 물품을 이송하기에 적합한 잠금 위치에 있다.
캐리어 부분(3)을, 물품을 이송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사용중)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4)에 대한 캐리어 부분(3)의 회전을 반드시 제한하여, 자체 중량(및 물품의 중량) 하에서 캐리어 부분(3)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은, 캐리어 부분의 무게 중심(C)이 위치되는 측부로부터 제2 회전 축(R2)의 대향 측부로 연장하는 회전 제한 형성물(formation)(10)을 포함한다. 회전 제한 부분(10)은, 중력의 영향 하에서 캐리어 부분(3)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4)에 대해서 지탱되도록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3)은 제2 회전 축(R2)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즉, 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향을 따른 회전은 캐리어 부분의 내측 엣지(13)(도 6 참조)와 장착 부분(1) 사이의 간섭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제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류 시스템에 의해서 이송되는 제품(P)의 물품을 도시하고, 그러한 재품의 물품은 복수의 물품 캐리어(100)에 의해서 지지된다.
다음에,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물품 캐리어(100)는, 각각의 물품을 개별적으로 중량 측정하는 분류 시스템과 함께 이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램프(ramp) 또는 캠 표면, 또는 솔레노이드 동작형 트리거 추진 기구를 가지는) 오버-센터 링키지의 트리거 부분(11) 상으로 측방향 외측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오버-센터 링키지(5)가 도 1에 도시된 잠금 위치로부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풀림 위치로 오버-센터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오버-센터 링키지(5)는 연결 부재(4), 캐리어 부분(3) 및 캐리어 부분(3) 상에서 반송되는 임의 제품의 중량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
오버-센터 메커니즘(5)은, 캐리어 부분(3)이 중량 측정 수단(W) 위로 이동함에 따라, 풀려진다. 지지되지 않은 캐리어 부분(3)이 중량 측정 수단(W)상에서 지탱되고, 그에 따라 중량 측정 수단(W)은 캐리어 부분(3) 상의 물품 (및 캐리어 부분 자체)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류 장치가, 캐리어 부분(3)을 중량 측정 수단(W) 상으로 및/또는 중량 측정 수단(W)으로부터 안내하기 위해서, 중량 측정 수단의 바로 전에 및/또는 바로 후에 지지 표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3)의 하부측면은 한 쌍의 이격된 하향 돌출 베어링 표면(12)을 구비한다. 이러한 베어링 표면(12)은, 캐리어 부분(3)과 중량 측정 수단(W) 사이의 접촉이 일관되고 예측가능한 장소에서 발생되도록 보장하고, 또한 중량 측정 수단(W)의 표면 위에서의 캐리어 부분(3)의 활주에 의해서 생성되는 항력(drag)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3)의 중심은 중량 측정 동작 중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배향을 유지한다.
도 5 및 도 6은, 정확한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장 낮은 위치에서 캐리어 부분(3)을 도시한다. 만약 캐리어 부분(3)이 장착 부분(1)에 대해서 약간 더 낮아진다면, 캐리어 부분(3)의 내측 엣지(13)가 장착 부분(1)에 접촉지지(abut)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정확한 중량 측정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장 높은 위치에서 캐리어 부분(3)을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 보다 높은 (장착 부분(1)에 대한) 캐리어 부분(3)의 추가적인 높이는 장력하에(in tension) 위치되는 오버-센터 링키지(5) 및/또는 연결 부재(4)와 접촉지지되는 회전 제한 부분(10)을 초래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분(3)의 중심은, 가장 낮은 위치(도 5 및 도 6에 도시됨)에 있을 때에 비하여, 가장 높은 위치(도 7 및 도 8에 도시됨)에 있을 때, (장착 부분(1)에 비해) 약 6 mm 더 높다. 회전 제한 부분(10)은, 캐리어 부분이 중량 측정 위치에 있을 때, 연결 부재(4)(또는 임의의 다른 부재)에 접촉지지되지 않거나 연결 부재(4)(또는 임의의 다른 부재) 상에서 지탱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제1 및 제2 회전 축(R1, R2)은, 캐리어 부분이 중량 측정 수단(W) 위로 이동할 때, 캐리어 부분(3)의 이동 방향 (및 컨베이어 체인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캐리어 부분(3)을 중량 측정 수단(W)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연결 부재(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이 수직 성분을 가지지 않거나 거의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중량 측정의 정확도에 최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부재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임의의 수직 성분을 추가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해서, 중량 측정 동작 중에 제1 및 제2 회전 축(R1, R2)이 모두 수평적으로 배향되도록, 중량 측정 수단이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해제가능한 캐리어 지지 수단(5)의 풀림 및 물품 캐리어(3)의 방출 위치로의 이동의 결과로서, 물품 캐리어(100)로부터 방출되는 제품의 물품(A)을 도시한다.
해제가능한 캐리어 지지 수단(5)은, 물품 캐리어(100)가 분류 장치의 선택된 수용 부분에 인접할 때, 풀림된다. 바람직하게, 해제가능한 캐리어 지지 수단(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동작형 트리거 추진 기구 또는 유사한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풀림된다. 분류 장치가 제품을 사출하도록 선택하는 특별한 수용 부분은, 제품의 중량뿐만 아니라, 카메라 등과 같은 다른 평가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물품(A)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낙하하는 경향을 가지고, 물품 캐리어(100)는, 물품(A)이 낙하될 때, 물품(A) 상으로 수평방향 힘을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캐리어 부분(3)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배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은 방출 위치 내의 캐리어 부분(3)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분류 장치는 장치의 최종 수용 부분 바로 앞에서 램프 또는 캠 표면(미도시)을 구비한다. 램프는, 방출 위치 내로 아직 배출되지 않은 임의 물품 캐리어의 트리거 부분에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품 캐리어가 장치의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제품이 모든 물품 캐리어(100)로부터 방출되도록 보장한다.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게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 전체를 통해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의 단어는 배타적인 것 또는 배타적 의미에 반대되는 포괄적인 의미로서, 다시 말해서, "포함하나,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 공지된 균등물을 가지는 발명의 특정 구성요소 또는 완전체(integer)를 언급한 경우에, 그러한 공지된 균등물은, 개별적으로 기재된 것과 같이, 본원에 포함된다.
비록 예로서 그리고 가능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변경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컨베이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부분,
    장착 부분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1 회전 축 주위로 장착 부분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연결 부재,
    연결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제1 회전 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회전 축 주위로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캐리어 부분, 및
    잠금 상태일 때, 캐리지 위치 내에서 캐리어 부분을 지지하도록 그리고 풀림 상태일 때 캐리어 부분이 방출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축이, 이용 중에, 물품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물품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리어 부분이,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연결 부재에 대한 캐리어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회전 제한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 제한 부분이 연결 부재 상에서 지탱되는, 물품 캐리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이 풀림 상태에 있을 때, 캐리어 부분이 중량 측정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그러한 중량 측정 위치에서 회전 제한 부분은 연결 부재 상에서 지탱되지 않는, 물품 캐리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해제가능한 잠금가능 캐리어 지지 수단이 오버-센터 링키지를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오버-센터 링키지가 장착 부분에 회전식으로 연결되는, 물품 캐리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오버-센터 링키지가 연결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되는, 물품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오버-센터 링키지와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제2 회전 축과 동일-선상에 있는 물품 캐리어.
  10. 제6항에 있어서,
    오버-센터 링키지가, 장착 부분에 연결된 제1 부분 및 연결 부재에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부분이 회전식으로 연결되는, 물품 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오버-센터 링키지의 제1 부분이 오버-센터 링키지를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부분을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 캐리어가 복수의 캐리어 부분을 구비하는, 물품 캐리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 캐리어가 장착 부분의 중앙 평면의 각각의 측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부분을 가지는, 물품 캐리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대칭 평면을 가지는, 물품 캐리어.
  15. 제14항에 있어서,
    물품 캐리어가 2개의 대칭 평면을 가지는, 물품 캐리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물품 캐리어를 포함하는 분류 장치.
  17.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물품 캐리어.
  18.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물품 캐리어를 포함하는 분류 장치.
KR1020157014874A 2012-11-08 2013-11-06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 KR20150110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60348112 2012-11-08
NZ603481 2012-11-08
PCT/NZ2013/000199 WO2014073987A1 (en) 2012-11-08 2013-11-06 Article carrier for a grad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476A true KR20150110476A (ko) 2015-10-02

Family

ID=5068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874A KR20150110476A (ko) 2012-11-08 2013-11-06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527113B2 (ko)
EP (1) EP2917138B1 (ko)
JP (1) JP2015533649A (ko)
KR (1) KR20150110476A (ko)
CN (1) CN104981419B (ko)
AU (1) AU2013341875A1 (ko)
BR (1) BR112015010460A2 (ko)
CL (1) CL2015001216A1 (ko)
DK (1) DK2917138T3 (ko)
ES (1) ES2718206T3 (ko)
MX (1) MX357853B (ko)
PL (1) PL2917138T3 (ko)
TR (1) TR201904813T4 (ko)
WO (1) WO2014073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0660A1 (de) * 2015-01-29 2016-07-29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ördereinheit für eine Fördereinrichtung und Fördereinrichtung mit wenigstens einer solchen Fördereinheit.
FR3035087B1 (fr) * 2015-04-17 2017-04-21 Maf Agrobotic Dispositif de transport d'objets et dispositif de convoyage et de pesee equipe de tels dispositifs de transport
ITUB20160534A1 (it) * 2016-01-20 2017-07-20 Unitec Spa Unita' di trasporto discreto, per mirtilli e simili prodotti ortoffrutticoli
CN110023211B (zh) * 2016-07-01 2021-06-29 康派克科技有限公司 传送机系统及其物品运载装置
IT201700052580A1 (it) * 2017-05-16 2018-11-16 Unitec Spa Impianto di trattamento di prodotti ortofrutticoli.
KR102577242B1 (ko) 2017-12-28 2023-09-11 주식회사 대웅제약 카이네이즈 저해제로서의 아미노-메틸피페리딘 유도체
CN108325865B (zh) * 2018-03-12 2024-03-19 浙江大学 用于果蔬分选的单链双托式果杯装置
JP6935940B2 (ja) * 2018-07-19 2021-09-15 片山チエン株式会社 物品の選別装置
CN109794418A (zh) * 2019-02-28 2019-05-24 广东力生智能有限公司 翻盘式分拣机
CN109719041A (zh) * 2019-02-28 2019-05-07 广东力生智能有限公司 分拣机台车翻盘机构
CN110293072B (zh) * 2019-07-12 2020-12-15 嘉兴华竹电子有限公司 一种可依重量自动分类的海产品打包装置
US11851218B1 (en) * 2019-09-23 202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O2022083555A1 (zh) * 2020-10-19 2022-04-28 杭州托华机器人有限公司 一种分拣翻盘装置、分拣系统及分拣方法
CN112275649B (zh) * 2020-10-19 2022-05-17 杭州托华机器人有限公司 一种承载机构、分拣系统及其工作方法
CN116745585A (zh) * 2021-01-11 2023-09-12 杜蓝威兰有限公司 产品分拣系统和方法
WO2023105505A1 (en) * 2021-12-10 2023-06-15 Kennedy Technologie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sorting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88897A (fr) 1929-04-15 1930-08-29 Burton Fils Sarl Ets Transporteur sélectif pour objets divers
US5477955A (en) 1991-10-15 1995-12-26 Colour Vision Systems Pty. Ltd. Conveying system for foodstuffs
BR9307731A (pt) 1992-12-22 1999-08-31 Horticultural Automation Ltd Aparelho de classificaçào de artigos
US5677516A (en) 1994-08-23 1997-10-14 Durand-Wayland, Inc. Article weighing and sorting apparatus with improved weigh cup
JP3358327B2 (ja) * 1994-10-26 2002-12-1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トレイソータの不良トレイ検出器
DE4447396C1 (de) 1994-12-23 1996-06-05 Mannesmann Ag Sortierförderer mit einer kippbaren Tragschale
US5611419A (en) 1995-01-24 1997-03-18 Sunkist Growers, Inc. Monorail conveyor system
CH689786A5 (de) * 1995-02-10 1999-11-15 Grapha Holding Ag Patentwesen Betaetigungsvorrichtung zum Kippen eines Bauteils.
FR2730711B1 (fr) 1995-02-21 1997-05-09 Materiel Arboriculture Dispositif d'alimentation d'une unite de tri de produits longiformes, tels que carottes, unite de tri comportant ce dernier,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et calibreuse de cette unite de tri.
ES1043355Y (es) * 1999-06-29 2000-05-01 Morigi Romana Amaducci Transportador para seleccion de fruta mejorado.
JP5093708B2 (ja) * 2000-11-09 2012-12-12 株式会社横崎製作所 選別コンベアの選別物取出装置
CN2513958Y (zh) * 2001-09-03 2002-10-02 珠海方博工业有限公司 下拉式可控倾翻小车
AUPS319602A0 (en) * 2002-06-26 2002-07-18 Colour Vision Systems Pty Ltd Fruit handling equipment
AU2004281239B2 (en) * 2003-10-09 2009-10-08 Aweta G&P B.V. Carrier for sorting apparatus
FR2924700A1 (fr) 2007-12-10 2009-06-12 Materiel Arboriculture Dispositif de convoyage de produits allonges dote d'un dispositif d'orientation des produits
DE102008024586A1 (de) * 2008-05-21 2009-11-26 Beum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Sortiersystem mit einem Vertikalsorter
NZ594445A (en) * 2009-01-23 2013-01-25 Maf Agrobotic S A S Fruit handling conveyor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ed carriages, wherein the carriages release fruit by remote activation
AU2011201654A1 (en) 2010-03-22 2011-10-06 Compac Technologies Limited Article Carrier and Mechanism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7138A4 (en) 2016-06-08
CN104981419B (zh) 2017-06-09
TR201904813T4 (tr) 2019-04-22
BR112015010460A2 (pt) 2017-07-11
WO2014073987A8 (en) 2015-05-28
EP2917138B1 (en) 2019-01-02
WO2014073987A1 (en) 2014-05-15
EP2917138A1 (en) 2015-09-16
ES2718206T3 (es) 2019-06-28
JP2015533649A (ja) 2015-11-26
US20150298175A1 (en) 2015-10-22
CN104981419A (zh) 2015-10-14
AU2013341875A1 (en) 2015-05-07
DK2917138T3 (en) 2019-04-15
US9527113B2 (en) 2016-12-27
PL2917138T3 (pl) 2019-08-30
MX357853B (es) 2018-07-26
MX2015005709A (es) 2016-06-30
CL2015001216A1 (es)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0476A (ko) 선별 장치용 물품 캐리어
US10933446B2 (en) Conveyor system and article carriers therefor
NL2003516C2 (nl) Transport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een product, en sorteerinrichting en werkwijze daarvoor.
JPH05208173A (ja) 重量で球形の品物を選別する装置
JPS63171691A (ja) 物品を自動的に分類および分配する装置
KR102442707B1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JP4804355B2 (ja) 果物等の物品を分類する装置
US20170121122A1 (en) Device for unilateral analysis of products by turning and automatic sorting and conveying device incorporating same
WO2013131141A1 (en) Fruit handling equipment
US6179129B1 (en) Color sorter assembly and method
NL2003166C2 (nl) Houder,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sorteren en/of transporteren van producten.
US4413690A (en) Weighing cup
JP6007375B2 (ja) 物品仕分方法と物品仕分装置
WO2015167345A1 (en) Article carrier and conveyor for sorting system
NZ617389B2 (en) Article carrier for a grading apparatus
JP2007313470A (ja) フリーバケット式選別装置
ES2718175T3 (es) Compuestos de 1-oxo-1,2-dihidroisoquinolin-7-il-(tiofen-2-il-5-sustituido)-sulfonamida, formulaciones que contienen esos compuestos, y su uso como inhibidores de AICARFT en el tratamiento de cánceres
JP6143564B2 (ja) 物品仕分装置
WO2023105505A1 (en)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sorting objects
NZ749828A (en) Conveyor system and article carriers therefor
CN117999133A (zh) 果实分拣设备
JP5844174B2 (ja) 物品仕分装置
PL226372B1 (pl) Nośnik transportująco-przekazujący produkty sortowane w urządzeniach klasyfikacji owoców lub warzyw o kształcie kuli lub elipsy
PL226348B1 (pl) Urządzenie transportujące produkty w urządzeniach do klasyfikacji owoców lub warzyw o kształcie elipsy lub kuli
JP2006021068A (ja) ドロップ式振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