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030A -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030A
KR20150075030A KR1020140181951A KR20140181951A KR20150075030A KR 20150075030 A KR20150075030 A KR 20150075030A KR 1020140181951 A KR1020140181951 A KR 1020140181951A KR 20140181951 A KR20140181951 A KR 20140181951A KR 20150075030 A KR20150075030 A KR 2015007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branched
linear
benzyloxy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479B1 (ko
Inventor
유상구
정진욱
조인근
임정호
강구석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to PT14873860T priority Critical patent/PT3098224T/pt
Priority to US15/037,230 priority patent/US9783551B2/en
Priority to PL14873860T priority patent/PL3098224T3/pl
Priority to JP2016540481A priority patent/JP6620096B2/ja
Priority to DK14873860.2T priority patent/DK3098224T3/da
Priority to HUE14873860 priority patent/HUE043902T2/hu
Priority to NZ720328A priority patent/NZ720328A/en
Priority to ES14873860T priority patent/ES2718878T3/es
Priority to MX2016008429A priority patent/MX2016008429A/es
Priority to SG11201604371PA priority patent/SG11201604371PA/en
Priority to AU2014370697A priority patent/AU2014370697B2/en
Priority to CN201480070935.5A priority patent/CN105849111B/zh
Priority to PCT/KR2014/012688 priority patent/WO2015099392A1/ko
Priority to CA2929001A priority patent/CA2929001C/en
Priority to EP14873860.2A priority patent/EP3098224B1/en
Priority to TW103145316A priority patent/TWI585093B/zh
Publication of KR2015007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030A/ko
Priority to IL245908A priority patent/IL245908B/en
Priority to JP2018056783A priority patent/JP2018135343A/ja
Priority to HRP20190573TT priority patent/HRP20190573T1/hr
Priority to CY20191100423T priority patent/CY1121554T1/el
Publication of KR10234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하기 식 (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또한, 이를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124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Description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Pyranochromenylphenol derivatives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신규한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화합물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는 약 200 억개 이상의 지방세포가 존재하며, 인체에의 에너지의 공급이 에너지의 수요보다 월등히 많을 경우에는 인체내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될 경우에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된다.
현대인의 약 30~40% 정도가 가지고 있는 비만은 이러한 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해 과도한 에너지의 축적이 일어날 때 발생되며,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거나 그 수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위생환경이 개선되고 인스턴트 음식물의 잦은 섭취와 육식위주의 식생활 변화는 체내에 과다한 열량 에너지의 축적을 유발한다. 이러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는 운동부족으로 인한 열량 소모의 감소까지 더해져 비만 인구의 빠른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대사증후군의 진단에 사용될 정도로 대사증후군과 관련성이 높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각종 심혈관 질환과 제 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들이 서로 군집을 이루는 현상을 한 가지 질환군으로 개념화시킨 것이다. 이는 인슐린저항성 및 이와 관련된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 대사이상과 임상양상을 모두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으로서, 비만, 당뇨병, 지방간, 및 고중성지방혈증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증가하는 증후군을 지칭한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을 가질 경우 심혈관 질환 혹은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증가된다. 2001년에 공표된 미국 NCE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Program)의 ATPⅢ에 따르면, 허리둘레가 남자 40 인치(102 cm), 여자 35인치(88 cm) 이상인 복부비만, 중성지방(triglycerides) 150 mg/dL이상, HDL 콜레스테롤이 남자 40 mg/dL, 여자 50 mg/dL 이하, 혈압 130/85 mmHg 이상, 공복혈당(fastingglucose)이 110 mg/dL 이상 등의 다섯가지 위험인자 중 한 환자가 세 개 이상을 나타낼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판정하게 된다.
인슐린저항성은 인슐린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인슐린이 수행하는 포도당의 세포 내 공급 작용이 정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하는 바, 혈액 중의 포도당은 세포 내로 들어가지 못해 고혈당 증세를 보이게 되고, 세포는 세포대로 포도당이 부족해 정상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결국 대사 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발병하는 당뇨 증상은 인슐린 부족에서 비롯된 1형 당뇨 (인슐린 의존성 당뇨)와 구분하여 2형 당뇨 (T2DM,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 NIDDM)라 부른다. 이런 이유로, 2형 당뇨를 치료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인슐린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주는 치료제는 거의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거나 개발되고 있는 대부분의 2형 당뇨 치료제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하여 상실된 인슐린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서 인슐린 분비량을 더욱 더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몸에서 인슐린 분비량이 늘어나면 비만 및 염증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암 발생율이 증가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인슐린 저항성 문제를 개선하지 않으면 일시적인 혈당 정상화는 기대할 수 있으나 건강은 점점 더 악화될 뿐이다. 이런 이유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혈당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2형 당뇨 치료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점 더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특허문헌 1은 글라브리딘(glabridin)이 고지혈증, 지방간, 당대사이상, 당뇨병, 비만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개시한다.
글라브리딘은 고지혈증, 지방간, 당대사이상, 당뇨병, 비만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은 물론 항염증 작용, 항암 작용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햇빛, 습도, 산성, 염기성, 산소, 열 등에 의해서 쉽게 분해되는 등 화학적 안정성이 낮아서(low chemical stability) 글라브리딘을 활용한 제품 개발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비특허문헌 1).
지금까지 밝혀진 다양한 연구에 의하면 비만 및 2형 당뇨(T2DM)의 기저에는 각각 렙틴 저항성과 인슐린 저항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들 저항성을 야기하는 가장 대표적인 발명 메커니즘은 렙틴 리셉터 (leptin receptor)와 인슐린 리셉터 (insulin receptor, IR)에서의 신호전달(signaling) 과정에서 비롯된 문제 때문이며, 이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PTP1B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비특허문헌 2)
우리 몸에서 에너지 축적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호르몬인 렙틴 (음식물 섭취와 에너지 소모를 촉진하는 신호전달 물질)과 인슐린 (탄수화물의 흡수와 지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신호전달 물질)의 신호전달 과정이 모두 PTP1B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PTP1B는 비만과 당뇨에 대한 가장 중요한 치료 표적으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하다. 게다가 실제로 PTP1B에 대한 작용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된 2000년 이후로는 비만, 2형 당뇨 및 암을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약리 기전으로 PTP1B는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즉, PTP1B의 활성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PTP1B 저해제는 렙틴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써 렙틴 및 인슐린의 활성을 정상화시키는비만 및 2형 당뇨 치료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대상일 수밖에 없다.(비특허문헌 3, 4)
최근의 각종 연구 결과에 의해서 밝혀지고 있는 연구 결과에 의하면 PTP1B는 비만과 당뇨뿐만 아니라 각종 염증 질환, 심장 질환, 질환, 유방암 및 전립선암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처럼 통상적인 의미에서 성인병으로 지칭되는 각종 만성 질환들은 PTP1B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PTP1B는 이들 성인병을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근본적인 치료 표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PTP1B는 많은 성인병의 근저를 형성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병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비특허문헌 5).
1. 국제특허공개 WO 07/058480
M. Ao,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 5 (2010), 1907~1912. D. Popov; Biochem Biophys Res Commun. 410 (2011), 377~381. A. P. Combs; J. Med. Chem.53 (2010), 2333~2344. T. O. Johnson, J. Ermolieff, M. Jirousek; Nature Reviews 1 (2002), 696~709. M. Feldhammer, N. Uetani, D. Miranda-Saavedra, M. L. Tremblay; Crit. Rev. Biochem. Mol. Biol. 48 (2013) 430~445.
항비만 효능, 항당뇨효능 및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고 고지혈증 치료 등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산소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대기 조건을 포함하여 산 또는 염기 조건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한 새로운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식(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1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기 식(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Figure pat00002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의 PTP1B 저해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100배 확대)이다. 도 2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200배 확대)이다. 도 3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페릴리핀 항체(perilipin antibody)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100배 확대)이다. 도 4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페릴리핀 항체(perilipin antibody)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200배 확대)이다. 도 5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 페놀 유도체의 항염증 효능확인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 페놀 유도체의 산성 용액에서의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 페놀 유도체의 알칼리성 용액에서의 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는 하기 식(I)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닐 유도체는 종래 글라브리딘에 비해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등의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화학적 안정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I)에서, 상기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2-메톡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n-펜톡시, 메톡시메톡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I)에서, 상기 R1이 할로겐 원자인 경우,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화합물 2 화합물 3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화합물 4 화합물 5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화합물 6 화합물 7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화합물 8 화합물 9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화합물 10 화합물 11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화합물 12 화합물 13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화합물 14 화합물 15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화합물 16 화합물 17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화합물 18 화합물 19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화합물 20 화합물 21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화합물 22 화합물 23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식(I)의 화합물과 유리산이 함께 염을 형성하여, 산부가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tartaria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식(I)의 화합물의 무기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식(I)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에는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칼륨, 나트륨, 또는 아연과의 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또는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을 포함한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자가 개발한 (±)-글라브리딘의 합성 방법 (Bull. Korean Chem. Soc. 2007( 28 ) 481~484)를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6
상기 반응식에서 OBz는 벤조일옥시기, Me는 메틸기, R1, R2는 앞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P는 벤질기, 메톡시메틸기, 트리알킬실릴기 등과 같은 보호기(protecting group)를 의미하고, DEAD는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P가 벤질기인 경우에는 별도의 탈보호(deprotection)과정없이 수소 첨가 반응 중에 탈보호기 과정이 동시에 진행된다.
유기화학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반응식 1 및 하기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기초하여, 치환기들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유기화학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출발물질, 반응경로, 반응조건들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도 식(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따른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하기 식(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27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I')에서,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I')중 R1 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n-펜틸, 2-메톡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n-펜톡시, 메톡시메톡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I')에서, 상기 R1이 할로겐 원자인 경우,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28
화합물 1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화합물 2 화합물 3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화합물 4 화합물 5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화합물 6 화합물 7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화합물 8 화합물 9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화합물 10 화합물 11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화합물 12 화합물 13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화합물 14 화합물 15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화합물 16 화합물 17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화합물 18 화합물 19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화합물 20 화합물 21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화합물 22 화합물 23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및 지방간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T2D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사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의 복합 질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 시 그 위험성이 증가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고중성지방혈증, 지방간, 당뇨병, 및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가 증가하는 질병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이러한 제2형 당뇨 및 비만의 복합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매우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 염증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천식, 아토피, 당뇨 또는 심근경색으로부터 발생하는 염증 질환;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용 제제 및 주사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약학적 활성 성분을 제외한 임의의 구성 성분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다른 구성 성분들과 상호작용하여 (예를 들면, 담체들 상호 간 또는 약학적 활성 성분과 담체 간의 상호작용) 약제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선택은 특정한 투여 제형의 특성, 투여 방식, 용해도 및 안정성에 대한 상기 담체의 효과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결합제, 활택제(또는 윤활제), 붕해제,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감미제, 착색제, 착향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희석제(diluent)는 조성물의 부피를 증량하여 제형에 따른 적절한 크기로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임의의 부형제를 지칭한다. 상기 희석제는, 전분 (예를 들면, 감자전분, 옥수수전분, 밀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예를 들면, 저수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예를 들면, 유당 일수화물, 무수유당, 분무유당), 포도당, 소르비톨, 만니톨, 수크로오스,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디칼슘포스페이트, 무수인산수소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형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 총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예를 들면, 조성물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3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binder)는 분말상의 물질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압착을 용이하게 하고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결합제는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락토스,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포비돈, 코포비돈 및 젤라틴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15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예를 들면, 1 중량% 내지 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disintegant)는 생체 투여 후 고체 제형의 붕괴 또는 붕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붕해제는 나트륨전분글리콜레이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젤라틴화전분와 같은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비검(veegum) 과 같은 클레이(clay), 미세결정성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과 같은 알긴류, 크로스카르멜로스(croscarmellose) 나트륨과 같은 가교 셀룰로오스, 구아검, 잔탄검과 같은 검,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과 같은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과 같은 비등성 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붕해제를 약학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15 중량% 내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4 중량%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활택제(glidant) 또는 윤활제(lubricant)는 압착 설비에 대한 분말의 부착을 방지하고 과립의 유동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활택제는 경질 무수 규산,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의 금속염(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등),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글리세릴비헤네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택제는 약학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1 중량% 내지 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흡착제(adsorbant)는 함수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또는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제(stabilizer)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카로틴, 레티놀,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신산 또는 프로필갈레이트와 같은 항산화제, 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에틸 사이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술포부틸에테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와 같은 당류의 환상화합물, 인산, 젖산, 초산, 구연산, 주석산, 숙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또는 글루쿠론산과 같은 유기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미각을 돋구어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공지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크랄로오스,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에리스리톨, 아세설팜 칼륨, 당 알코올, 벌꿀, 소르비톨 또는 아스파르탐과 같은 감미제를 첨가하여, 쓴맛을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시키고 제제의 안정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과 같은 산미제,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 반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산제, 세립, 과립, 용액 또는 현탁액 재구성용 분말, 로젠지, 웨이퍼, 구강필름 (oral strip) 드라제(dragee) 및 츄잉검(chewable gum)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액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제, 엘릭서제, 주정제, 방향수제, 레모네이드제, 엑스제, 침전제, 틴크제 및 약유제를 포함한다. 반고형 제제는 에어로졸, 크림, 겔(gel)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주사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주사제로 제제화될 경우 혈액과 등장인 무독성 완충용액을 희석제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H 7.4의 인산완충용액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완충용액 이외에 기타 다른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제에 사용되는 담체와 제제의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바에 따라 선택하고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신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시기는 투여대상의 나이, 성별, 질병의 종류, 상태, 체중, 투여경로, 투여 횟수, 약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약 0.1-10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00mg/kg 이다. 상기 투여량은 질환이 종류, 암의 진행 정도, 투여 경로, 성별, 나이, 체중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대사증후군, 또는 당뇨 및 비만의 복합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효성분으로서 성인을 기준으로 1 일 총 투여량이 화합물로서 0.1-1000 mg/kg이 되도록 임의로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질병의 종류, 질병의 진행 정도, 투여 경로, 성별, 나이, 체중, 건강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 (I')의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0.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약은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시그마-알드리치사에서 구입한 시약급이다.
제조예 1: 글라브리딘의 제조
감초(Licorice)로부터 추출하여 40% 함량 수준으로 정제하여 시판 중인 글라브리딘을 구입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글라브리딘을 얻었다.
제조예 2: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pat00051
화합물 1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글라비리딘을 문헌(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2 (2009) 647~654)에 따라 수소 첨가 반응(H2, Pd/C)하여 3",4"-디히드로글라브리딘 (화합물 1)을 얻었다.
제조예 3: 6-포르밀-2,2-디메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의 합성
5-히드록시-2,2-디메틸-2H-크로멘-6-카브알데히드를 [Tetrahedron, 57 (2001), 5335~5338]의 방법에 따라 준비한 다음, 2.04g(10.mmol)을 CH2Cl2 20ml에 녹이고 TEA 1ml와 벤조일 클로라이드 1.54g(11.0mmol)을 가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NaHCO3 포화 수용액 10ml를 가하고 10분 더 교반한 다음 물층과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물층은 CH2Cl2 10ml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한 다음, 유기층과 합쳐서 MgSO4로 처리한 후,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한 고체를 이소프로필알코올(IPA)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순수한 6-포르밀-2,2-디메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 2.51g(8.1mmol)을 얻었다.
1H-NMR(CDCl3): 9.92(s, 1H), 8.25(m, 2H), 7.71(d,1H), 7.68(m, 1H), 7.55(t, 2H), 6.83(d, 1H), 6.38(d, 1H), 5.69(d, 1H), 1.49(s, 6H).
제조예 4: (2-메톡시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3.04g(20.0mmole)을 메탄올 20ml에 녹이고 진한황산 1.0ml를 가하였다. 반응액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2.78g(16.7mmol)를 얻었다. 이를 다시 아세톤 20ml에 녹인 용액에 K2CO3 2.8g(20.0mmol)을 가한 다음, 상온에서 세차게 교반하면서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 (chloromethyl methyl ether) 2.40g(30.0mmole)을 30분간 천천히 가하고 밤새 세차게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액을 여과하여 고형성분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메톡시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2.56g(12.3mmol)을 얻었다.
1H-NMR(CDCl3): 7.239(t, 1H, J=8.0Hz), 7.201(d, 1H, J=8.0Hz), 7.099(d, 1H, J=8.0Hz), 6.973(t, 1H, J=8.0Hz), 5.191(s, 2H), 3.687(s, 3H), 3.666(s, 2H), 3.459(s, 3H).
제조예5: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4'-메틸아세토페논 (2'-hydroxy-4'-methylacetophenone) 3.01g(20.0mmol)을 CH2Cl2 30ml에 녹이고 15% NaOH 수용액 5ml와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미드 (tetrabutylammonium bromide) 1.0g을 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세차게 교반하면서 벤질브로미드 (benzyl bromide) 3.42g(20.0mmole)을 가하고 밤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서로 분리하여 물층을 CH2Cl2 20ml로 한번 추출한 다음, CH2Cl2 층을 한데 합쳐서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농축액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벤질옥시-4'-메틸아세토페논 3.89g(16.2mmol)을 얻었다. 이를 메탄올 20ml에 잘 녹인 용액에 HClO4 3ml를 가하고 상온에서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세차게 교반시키면서 질산탈륨(Tl(NO3)3ㆍ3H2O) 7.33g (16.5mmol)을 30분 동안 조금씩 가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더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용액에 NaHCO3 포화 수용액 30ml을 가하여 중화시킨 다음, 진공 증류하여 MeOH을 제거하였다. 반응용액에 CH2Cl2 20ml를 가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70g(13.7mmol)을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088(d, 1H, J=8.0Hz), 6.767(s,1H) 6.761(d, 1H, J=8.0Hz), 5.065(s, 2H), 3.644(s, 2H), 3.625(s, 3H), 2.334(s, 3H).
제조예 6: (2-벤질옥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3-에틸페놀 12.2g(100.0mmole)을 CH2Cl2 150ml에 녹이고 교반하면서 트리에틸아민 15ml를 1시간 동안 천천히 가하였다. 얼음 중탕 하에서 무수 아세트산 (acetic anhydride) 11.2g(220.0mmole)을 1시간 동안 천천히 가하고 2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액에 포화 소금물 200ml을 천천히 가하고 10분 동안 세차게 교반시킨 후에 유기층을 분리하여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였다. 별도로 준비한 플라스크에 무수 AlCl3 16.7g(110.0mmole)을 가하고 기계적 교반기(mechanical stirrer)를 사용하여 세차게 교반시키면서 앞서 준비한 농축액을 천천히 떨어뜨린 다음, 계속해서 세차게 교반시키면서 165℃까지 가열하고 그 상태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이후에 포화 소금물 500ml를 천천히 가하고 반응 혼합물이 물에 녹아서 완전히 풀어지도로 두었다. 용액에서 고체가 녹아서 완전히 사라지면 CH2Cl2 500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농축한 다음, 다시 CH2Cl2 150ml에 녹이고 15% NaOH 수용액 25ml와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미드 (tetrabutylammonium bromide) 3.0g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세차게 교반하면서 벤질브로미드 (benzyl bromide) 18.82g(110.0mmole)을 가하고 밤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서로 분리하여 물층을 CH2Cl2 50ml로 한번 추출한 다음, CH2Cl2 층을 한데 합쳐서 1차로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농축액을 고진공에서 증류(155~160℃/0.01mmHg)하여 2'-벤질옥시-4'-에틸아세토페논 18.70g(73.6mmol)을 얻었다. 이를 메탄올 10ml에 잘 녹인 용액에 HClO4 15ml를 가하고 상온에서 혼합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반응액을 상온에서 세차게 교반시키면서 Tl(NO3)3ㆍ3H2O 33.33g (75.0mmol)을 60분 동안 조금씩 천천히 가한 다음, 상온에서 5시간 더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액에 NaHCO3 포화 수용액 30ml을 가하여 중화한 다음, 진공 증류하여 MeOH을 제거하였다. 반응액에 CH2Cl2 80ml을 가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벤질옥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7.86g(62.8mmol)을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116(d, 1H, J=8.0Hz), 6.787(m,2H), 5.078(s, 2H), 3.649(s, 2H), 3.627(s, 3H), 2.630(q, 2H, J=8.0Hz), 1.228(t, 3H, J=8.0Hz).
제조예 7: (2-벤질옥시-4-프로필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3-에틸페놀 대신 3-프로필페놀 15.22g(100 mmol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프로필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109(d, 1H, J=8.0Hz), 6.764(d,1H, J=8.0Hz) 6.763(s, 1H), 5.073(s, 2H), 3.650(s, 2H), 3.627(s, 3H), 2.561(t, 2H, J=4.0Hz), 1.628(m, 2H), 0.936(t, 3H, J=7.6Hz).
제조예 8: (2-벤질옥시-4-부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3-에틸페놀 대신 3-부틸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부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30~7.43(m, 5H), 7.110(d, 1H, J=8.0Hz), 6.768(d,1H, J=8.0Hz), 6.766(s, 1H), 5.079(s, 2H), 3.653(s, 2H), 3.632(s, 3H), 2.589(t, 2H, J=8.0Hz), 1.588(m, 2H), 1.348(m, 2H), 0.925(t, 3H, J=7.4Hz).
제조예 9: (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3-에틸페놀 대신 3,4-디메틸페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8~7.46(m, 5H), 7.007(s, 1H), 6.785(s,1H) 5.083(s, 2H), 3.670(s, 3H), 2.272(s, 3H), 2.228(s, 3H).
제조예 10: (2-벤질옥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4.9g (21.7mmol)을 CH2Cl2 30ml에 녹이고 15% NaOH 수용액 5ml와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미드 (tetrabutylammonium bromide) 1.0g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세차게 교반하면서 벤질브로미드(benzyl bromide) 3.42g(20.0mmole)을 가하고 밤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서로 분리하여 물층을 CH2Cl2 20ml로 한번 추출한 다음, CH2Cl2 층을 한데 합쳐서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벤질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 4.27g(15.8mmol)을 얻었다. 이를 다시 모폴린(morpholine) 1.76g(20.0mmol), 황 1.5g과 혼합한 혼합물을 160℃에서 밤새 세차게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에 그대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1-모르폴리노에탄티온 4.24g(11.4mmol)을 얻었다. 이를 NaOH 포화 에탄올 용액 30ml에 가하고 8시간 환류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진한 염산을 천천히 가하여 PH를 1 이하로 맞추었다. 이를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고형물을 CH2Cl2 30ml와 물 20ml를 사용하여 녹인 다음 서로 분리하였다. 물층을 CH2Cl2 30ml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이를 한데 합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고형물을 메탄올 20ml를 가하여 녹이고 진한 황산 1ml를 가한 상태에서 10시간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CH2Cl2 30ml에 녹이고 소금물로 씻어준 다음,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벤질옥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7~7.43(m, 5H), 7.100(d, 1H, J=8.0Hz), 6.511(d, 1H, J=2.0Hz), 6.461(dd, 1H, J=8.0, 2.0Hz), 5.040(s, 2H), 3.763(s, 3H), 3.619(s, 3H), 3.605(s, 2H).
제조예 11: (2-벤질옥시-4-에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대신 2'-히드록시-4'-에톡시아세토페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에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117(d, 1H, J=8.0Hz), 6.546(d,1H, J=2.4Hz) 6.483(dd, 1H, J=8.0, 2.4Hz), 5.073(s, 2H), 4.028(q, 2H, J=6.8Hz), 3.653(s, 3H), 3.635(s, 2H), 1.421(t, 3H, J=7.8Hz).
제조예 12: (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대신 2'-히드록시-4'-프로폭시아세토페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098(d, 1H, J=8.0Hz), 6.538(d,1H, J=2.4Hz) 6.469(dd, 1H, J=8.0, 2.4Hz), 5.055(s, 2H), 3.898(t, 2H, J=6.4Hz), 3.632(s, 3H), 3.616(s, 2H), 1.795(m, 2H), 1.033(t, 3H, J=6.8Hz).
제조예 13: (2-벤질옥시-4-부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2'-히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대신 2'-히드록시-4'-부톡시아세토페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벤질옥시-4-부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083(d, 1H, J=8.0Hz), 6.518(d,1H, J=2.0Hz) 6.456(dd, 1H, J=8.0, 2.0Hz), 5.040(s, 2H), 3.925(t, 2H, J=6.4Hz), 3.618(s, 3H), 3.602(s, 2H), 1.746(m, 2H), 1.475(m, 2H), 0.975(t, 3H, J=7.2Hz).
제조예 14: 6-포르밀-2,2-디에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참고한 문헌 [Tetrahedron, 57 (2001), 5335~5338]의 방법에 준하여 5-히드록시-2,2-디메틸-2H-크로멘-6-카브알데히드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3-메틸크로톤알데히드 (3-methylcrotonaldehyde = 3-methylbut-2-enal) 대신 3-에틸-2-펜텐알 (3-ethylpent-2-ena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을수행하여6-포르밀-2,2-디에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을 얻었다.
1H-NMR(CDCl3): 9.893(s, 1H), 8.251(m, 2H), 7.688(d, 1H, J=8.4Hz), 7.686(m, 1H), 7.551(t, 2H, J=7.2Hz), 6.813(d, 1H, J=8.4Hz), 6.496(d, 1H, J=10.2Hz), 5.544(d, 1H, J=10.2Hz), 1.804(m, 2H), 1.657(m, 2H),0.949(t, 6H).
화합물 2 내지 화합물 23은 하기 반응식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52
여기서, 마지막 수소첨가 반응 및 탈보호기 과정 (deprotecting process)은 필요에 따라 순서를 달리해도 무방하다. 또한, 보호기가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인 경우에는 수소첨가 반응과 탈보호기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별도의 과정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1: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2)의 합성
(1)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3구 둥근 플라스크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중탕으로 -78℃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1.0M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LDA) THF 용액 45ml를 가한 다음,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2-메톡시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6.30g(30.0mmol)을 THF 100ml에 녹인 용액을 30분 동안 천천히 가하고 30분 더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상기 제조예3에서 제조한 5-벤조일옥시-2,2-디메틸-6-포밀-2H-1-벤조피란 9.24g(30.0mmol)을 THF 20ml에 녹인 용액을 30분에 걸쳐서 천천히 가한 다음 30분 더 교반하였다. 상기 둥근 플라스크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중탕으로부터 제거한 다음 반응액의 온도가 0℃로 서서히 올라가도록 가열하였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반응액에 소금물 100ml를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세차게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물층을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이렇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유기층을 앞서 분리한 유기층과 합쳐서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5.16g(13.02mmol)을 얻었다. (Yield: 43%)
1H-NMR(CDCl3): 8.007(s, 1H), 7.293(td, 1H, J=8.0, 1.6Hz), 7.170(d, 1H, J=8.0Hz), 7.035(dd, 1H, J=7.6, 1.6Hz), 6.940(t, 1H, J=7.6Hz), 6.605(d, 1H, J=10.0Hz), 6.603(d, 1H, J=8.8Hz), 6.147(d, 1H, J=8.8Hz), 6.136(s, 1H), 5.536(d, 1H, J=10.0Hz), 5.113(s, 2H), 3.757(s, 3H), 3.377(s, 3H), 1.376(s, 6H).
13C-NMR(CDCl3): 168.902, 155,066, 154.906, 150.589, 135.977, 131.065, 130.067, 129.723, 128.882, 128.364, 125.824, 122.271, 116.345, 114.951, 114.730, 109.460, 109.101, 94.793, 76.144, 55.986, 52.340, 27.834.
(2)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상기 (1)에서 수득한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3.96g(10.0mmol)을 THF 20ml에 녹이고 LiBH4 1.0M THF 용액 60㎖를 가한 다음 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얼음 중탕으로 냉각시킨 후, 1N HCl 50ml를 천천히 가한 다음, CH2Cl2100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2.42g(6.53mmol)을 얻었다. (Yield: 65%)
1H-NMR(CDCl3): 7.621(b, 1H), 7.366(td, 1H, J=8.0, 1.6Hz), 7.228(d, 1H, J=8.0Hz), 7.160(dd, 1H, J=7.6, 1.6Hz), 7.036(t, 1H, J=7.6Hz), 6.773(d, 1H, J=10.0Hz), 6.739(d, 1H, J=8.0Hz), 6.333(d, 1H, J=8.0Hz), 5.583(d, 1H, J=10.0Hz), 5.245(s, 2H), 3.866(dd, 1H, J=10.8, 4.0Hz), 3.810(dd, 1H, J=10.8, 2.8Hz), 3.494(s, 3H), 3.398(m, 1H), 3.070(dd, 1H, J=14.4, 10.4Hz), 2.741(dd, 1H, J=14.4, 4.0Hz), 1.433(s, 3H), 1.420(s, 3H).
13C-NMR(CDCl3): 154.418, 152.473, 150.851, 131.444, 130.606, 128.825, 128.015, 127.881, 122.053, 117.835, 117.451, 114.135, 110.286, 108.500, 94.599, 75.540, 63.321, 56.333, 41.798, 30.759, 27.802, 27.585.
(3) 3-(2-(메톡시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2'-(메톡시메톡시)-4'-데옥시글라브리딘}의 제조
상기 (2)에서 수득한 2-(2-(메톡시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1.31g(3.53mmol)을 THF 10ml에 녹인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Ph3P) 0.995g(3.80mmol)을 가하고 가열함으로써 THF를 천천히 환류시켰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EAD) 1.0M 톨루엔 용액 3.8㎖을 천천히 가하고 1시간동안 세차게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메톡시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1.14g(3.24mmol)을 얻었다. (Yield: 92%)
1H-NMR(CDCl3): 7.231(td, 1H, J=7.2, 1.6Hz), 7.13~7.17(m, 2H), 7.010(td, 1H, J=7.2, 0.8Hz), 6.847(d, 1H, J=8.0Hz), 6.677(d, 1H, J=10.0Hz), 6.396(d, 1H, J=8.0Hz), 5.578(d, 1H, J=10.0Hz), 5.235(s, 2H), 4.408(ddd, 1H, J=10.4, 2.4, 1.2Hz), 4.058(t, 1H, J=10.4Hz), 3.702(m, 1H), 3.491(s, 3H), 3.015(dd, 1H, J=15.2, 11.2Hz), 2.881(ddd, 1H, J=15.2, 3.6, 1.6Hz), 1.447(s, 3H), 1.426(s, 3H).
13C-NMR(CDCl3): 155.027, 151.925, 149.737, 130.100, 129.161, 128.933, 127.885, 127.229, 121.987, 116.912, 114.337, 114.066, 109.896, 108.692, 94.419, 75.557, 70.069, 56.135, 32.114, 30.721, 27.798, 27.511.
(4)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상기 (3)에서 수득한 3-(2-(메톡시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7.05g(20.0mmol)을 이소프로판올 80㎖에 녹이고 진한 염산 0.3ml를 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감압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2.82g(9.16mol)을 얻었다. (Yield: 46%)
1H-NMR(CDCl3): 7.11~7.16(m, 2H), 6.933(dt, 1H, J=7.6, 1.2Hz), 6.848(d, 1H, J=8.4Hz), 6.759(dd, 1H, J=8.0, 0.8Hz), 6.676(d, 1H, J=10.0Hz), 6.398(d, 1H, J=8.4Hz), 5.578(d, 1H, J=10.0Hz), 5.059(s, 1H), 4.434(ddd, 1H, J=10.4, 3.2, 2.0Hz), 4.087(t, 1H, J=10.4Hz), 3.607(m, 1H), 3.037(dd, 1H, J=15.2, 10.8Hz), 2.904(ddd, 1H, J=15.2, 5.2, 1.6Hz), 1.449(s, 3H), 1.431(s, 3H).
13C-NMR(CDCl3): 153.405, 151.802, 149.721, 129.190, 128.943, 127.792, 127.617, 127.557, 121.128, 116.934, 115.417, 114.335, 109.935, 108.720, 75.659, 69.781, 32.202, 30.388, 27.732, 27.490.
(5)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상기 (4)에서 수득한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2.82g(9.16mol)을 100ml 압력 용기에 넣고 에탄올 20ml를 가하여 잘 녹인 다음, 10% Pd/C 100mg을 혼합한 상태에서 2기압 수소 하에서 15시간 세차게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시킨 후,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히드록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2.78g(8.97mmol) (화합물 2)을 얻었다. (Yield=98%)
1H-NMR(CDCl3): 7.218(t, 1H, J=7.6Hz), 6.842(d, 1H, 8.4Hz), 6.813(d, 1H, 7.6Hz), 6.751(dd, 1H, J=7.6, 2.0Hz), 6.652(d, 1H, J=2.0Hz), 6.419(d, 1H, J=8.4Hz), 5.330(s, 1H), 4.366(ddd, 1H, J=10.4, 3.6, 0.4Hz), 3.936(t, 1H, J=10.4Hz), 3.128(m, 1H), 2.903(d, 2H, J=8.4Hz), 2.667(m, 2H), 1.794(t, 2H, J=7.2Hz), 1.361(s, 3H), 1.338(s, 3H).
13C-NMR(CDCl3): 155.875, 152.714, 151.978, 143.459, 129.903, 127.478, 119.797, 114.227, 113.953, 112.644, 109.480, 109.428, 74.053, 70.774, 38.666, 32.296, 32.034, 26.880, 26.222, 17.116.
실시예 2: 3-(2-히드록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3)의 합성
(1)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3구 둥근 플라스크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유지하면서 1.0M LDA THF 용액 45ml를 가하고 -78℃의 드라이아이스 아세톤 중탕 하에서 냉각시켰다.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methylphenyl)acetate} 8.10g(30.0mmol)을THF 150ml에 용해시킨 후, 앞서 준비한 1.0M LDA THF 용액에 30분 동안 천천히 가하고 30분 더 교반시켰다.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5-벤조일옥시-2,2-디메틸-6-포밀-2H-1-벤조피란 9.24g(30.0mmol)을 THF 2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앞서 준비한 반응액에 30분에 걸쳐서 천천히 가하고 30분간 더 교반시켰다. 둥근 플라스크를 드라이아이스 아세톤 중탕으로부터 분리하여 방치함으로써 반응용액을 0℃로 천천히 가열하였다. 이 상태에서 소금물 100ml를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세차게 교반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물층을 2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한번 더 추출하였다. 이렇게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유기층을 앞서 분리한 유기층과 합쳐서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5.79g(12.70mmol)을 얻었다. (Yield: 42.3%)
1H-NMR(CDCl3): 7.879(s, 1H), 7.26~7.36(m, 5H), 6.932(d, 1H, J=7.6Hz), 6.806(s, 1H), 6.712 (d, 1H, J=7.6Hz), 6.680(d, 1H, J=8.4Hz), 6.585(d, 1H, J=10.0Hz), 6.183(d, 1H, J=8.4Hz), 5.701(s, 1H), 5.533(d, 1H, J=10.0Hz), 5.037(s, 2H), 3.696(s, 3H), 2.345(s, 3H), 1.392(s, 6H).
13C-NMR(CDCl3): 168.893, 156,193, 154.704, 150.259, 139.893, 136.992, 135.674, 130.963, 130.160, 128.842, 128.721, 127.668, 126.965, 122.024, 121.948, 116.543, 114.971, 113.332, 109.470, 109.040, 76.115, 70.023, 52.253, 27.872, 21.790.
(2)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4.56g(10.0mmol)을 THF 20ml에 녹이고 LiBH4 1.0M THF 용액 60㎖를 가하고 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얼음중탕으로 냉각시킨 후, 1N HCl 50ml를 천천히 가하고 CH2Cl2 100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2.35g(5.47mmol)을 얻었다. (Yield: 54.7%)
1H-NMR(CDCl3): 7.687(b, 1H), 7.33~7.43(m, 5H), 7.158(d, 1H, J=7.6Hz), 6.845(s, 1H), 6.807(d, 1H, J=7.6Hz), 6.737(d, 1H, J=10.0Hz), 6.707(d, 1H, J=8.0Hz), 6.309(d, 1H, J=8.0Hz), 5.562(d, 1H, J=10.0Hz), 5.105(s, 2H), 3.845(dd, 1H, J=10.8, 3.6Hz), 3.737(dd, 1H, J=10.8, 2.8Hz), 3.323(m, 1H), 3.118(dd, 1H, J=14.0, 10.4Hz), 2.702(dd, 1H, J=14.0, 4.0Hz), 2.360(s, 3H), 1.431(s, 3H), 1.410(s, 3H).
13C-NMR(CDCl3): 155.793, 152.415, 150.979, 137.841, 136.457, 130.688, 128.734, 128.596, 128.429, 128.333, 128.231, 127.633, 121.824, 118.070, 117.591, 113.116, 110.289, 108.436, 75.478, 70.517, 63.463, 42.569, 30.581, 27.910, 27.575, 21.394.
(3)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상기 (2)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1.57g(3.65mmol)을 THF 10ml에 녹인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Ph3P) 0.995g(3.80mmol)을 가하고 가열함으로써 THF를 천천히 환류시켰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EAD) 1.0M 톨루엔 용액 3.9㎖을 천천히 가하고 1시간동안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1.31g(3.17mmol)을 얻었다. (Yield: 86.8%)
1H-NMR(CDCl3): 7.32~7.45(m, 5H), 7.052(d, 1H, J=7.2Hz), 6.838(d, 1H, J=8.0Hz), 6.811(s, 1H), 6.796(d, 1H, J=7.2Hz), 6.666(d, 1H, J=10.0Hz), 6.384(d, 1H, J=8.0Hz), 5.567(d, 1H, J=10.0Hz), 5.116(s, 2H), 4.394(ddd, 1H, J=10.0, 3.2, 2.0Hz), 4.059(t, 1H, J=10.0Hz), 3.717(m, 1H), 2.991(dd, 1H, J=14.0, 6.8Hz), 2.894(dd, 1H, J=14.0, 5.2Hz), 2.348(s, 3H), 1.446(s, 3H), 1.432(s, 3H).
13C-NMR(CDCl3): 156.291, 151.838, 149.853, 137.757, 137.128, 129.167, 128.775, 128.592, 127.814, 127.112, 126.958, 121.666, 116.989, 114.446, 112.924, 109.849, 108.577, 75.527, 70.115, 70.065, 31.587, 30.704, 27.784, 27.594, 21.426.
(4) 3-(2-히드록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4.12g(10.0mol)을 100ml 압력 용기에 넣고 에탄올 50ml를 가하여 잘 녹인 다음, 5% Pd/C 150mg을 혼합한 상태에서 5기압 수소 하에서 상온에서 25시간 세차게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 다음 감압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3-(2-히드록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3) 2.67g(8.23mmol)을 얻었다. (Yield=82%)
1H-NMR(CDCl3): 7.017(d, 1H, J=8.0Hz), 6.850(d, 1H, J=7.6Hz), 6.755(dd, 1H, J=7.6, 0.4Hz), 6.593(d, 1H, J=0.4Hz), 6.407(d, 1H, J=8.0Hz), 4.931(s, 1H), 4.422(ddd, 1H, J=10.4, 3.6, 2.0Hz), 4.058(t, 1H, J=10.4Hz), 3.556(m, 1H), 3.044(dd, 1H, J=15.6, 11.2Hz), 2.890(ddd, 1H, J=15.6, 5.2, 2.0Hz), 2.657(m, 2H, J=6.8, 2.4Hz), 2.294(s, 3H), 1.809(t, 2H, J=6.8Hz), 1.351(s, 3H), 1.337(s, 3H).
13C-NMR(CDCl3): 153.271, 152.801, 152.130, 137.818, 127.458, 127.414, 124.618, 121.826, 116.214, 112.830, 109.315, 109.274, 73.743, 69.904, 32.337, 32.050, 30.577, 26.807, 26.408, 20.920, 17.132.
실시예 3: 3-(2-히드록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4)의 합성
(1)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89(s, 1H), 7.26~7.36(m, 5H), 6.957(d, 1H, J=7.6Hz), 6.882(s, 1H), 6.740 (d, 1H, J=7.6Hz), 6.657(d, 1H, J=8.4Hz), 6.589(d, 1H, J=10.0Hz), 6.170(d, 1H, J=8.4Hz), 5.789(s, 1H), 5.534(d, 1H, J=10.0Hz), 5.045(s, 2H), 3.696(s, 3H), 2.645(q, 2H, J=7.6Hz), 1.391(s, 6H), 1.233(t, 3H, J=7.6Hz).
13C-NMR(CDCl3): 168.965, 156,246, 154.681, 150.298, 146.182, 137.036, 135.651, 131.006, 130.842, 130.202, 128.874, 128.272, 127.674, 126.938, 122.123, 120.702, 116.555, 115.022, 112.147, 109.477, 109.025, 76.132, 70.033, 52.294, 28.988, 27.880, 15.164.
(2)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33~7.45(m, 5H), 7.198(d, 1H, J=7.6Hz), 6.875(s, 1H), 6.841(d, 1H, J=7.6Hz), 6.749(d, 1H, J=10.0Hz), 6.717(d, 1H, J=8.0Hz), 6.321(d, 1H, J=8.0Hz), 5.568(d, 1H, J=10.0Hz), 5.125(s, 2H), 3.852(dd, 1H, J=10.8, 3.6Hz), 3.733(dd, 1H, J=10.8, 2.8Hz), 3.328(m, 1H), 3.132(dd, 1H, J=14.0, 10.4Hz), 2.712(dd, 1H, J=14.0, 4.0Hz), 2.662(q, 2H, J=4.4Hz), 1.441(s, 3H), 1.417(s, 3H), 1.263(t, 3H, J=4.4Hz)
13C-NMR(CDCl3): 155.799, 152.370, 150.984, 144.227, 136.439, 130.670, 128.711, 128.653, 128.578, 128.355, 128.217, 127.661, 120.499, 118.115, 117.587, 111.897, 110.281, 108.412, 75.465, 70.476, 63.352, 42.565, 30.497, 28.755, 27.899, 27.538, 15.477.
(3) 3-(2-벤질옥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에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2~7.45(m, 5H), 7.081(d, 1H, J=8.0Hz), 6.82~6.86(m, 3H), 6.663(d, 1H, J=10.0Hz), 6.384(d, 1H, J=8.0Hz), 5.568(d, 1H, J=10.0Hz), 5.128(s, 2H), 4.402(m, 1H), 4.062(t, 1H, J=10.4Hz), 3.724(m, 1H), 2.997(dd, 1H, J=15.6, 10.2Hz), 2.890(dd, 1H, J=15.6, 3.2Hz), 2.642(q, 2H, J=6.8Hz), 1.446(s, 3H), 1.431(s, 3H), 1.246(t, 3H, J=6.8Hz).
13C-NMR(CDCl3): 156.322, 151.802, 149.827, 144.159, 137.124, 129.167, 128.791, 128.578, 127.807, 127.150, 127.069, 120.340, 116.970, 114.463, 111.727, 109.835, 108.551, 75.526, 70.103, 70.036, 31.571, 30.686, 28.799, 27.772, 27.566, 15.474.
(4) 3-(2-히드록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에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4)을 얻었다.
1H-NMR(CDCl3): 7.054(d, 1H, J=8.0Hz), 6.860(d, 1H, J=8.0Hz), 6.789(d, 1H, J=8.0Hz), 6.616(s, 1H), 6.421(d, 1H, J=8.0Hz), 5.097(s, 1H), 4.443(m, 1H), 4.069(t, 1H, J=10.4Hz), 3.567(m, 1H), 3.059(dd, 1H, J=15.6, 11.2Hz), 2.901(m, 1H), 2.596(q, 2H, J=6.8Hz), 1.802(t, 2H, J=6.8Hz), 1.809(t, 2H, J=6.8Hz), 1.362(s, 3H), 1.347(s, 3H), 1.231(t, 3H, J=6.8Hz).
13C-NMR(CDCl3): 153.373, 152.716, 152.102, 144.205, 127.472, 127.415, 124.773, 120.499, 114.963, 112.898, 109.310, 109.248, 73.795, 69.897, 32.308, 32.054, 30.532, 28.276, 26.784, 26.374, 17.120, 15.308.
실시예 4: 3-(2-히드록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5)의 합성
(1)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7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프로필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을 얻었다.
1H-NMR(CDCl3): 7.902(s, 1H), 7.26~7.36(m, 5H), 6.952(d, 1H, J=7.6Hz), 6.803(s, 1H), 6.719 (d, 1H, J=7.6Hz), 6.636(d, 1H, J=8.8Hz), 6.589(d, 1H, J=10.0Hz), 6.156(d, 1H, J=8.8Hz), 5.835(s, 1H), 5.531(d, 1H, J=10.0Hz), 5.041(s, 2H), 3.699(s, 3H), 2.578(t, 2H, J=7.2Hz), 1.641(m, 2H, J=7.2Hz), 1.392(s, 6H), 0.920(t, 3H, J=7.2Hz).
13C-NMR(CDCl3): 169.056, 156,132, 154.677, 150.477, 144.567, 137.010, 135.689, 130.894, 130.144, 128.652, 128.542, 128.368, 127.617, 126.983, 122.191, 121.353, 116.536, 115.058, 112.732, 109.488, 108.916, 76.091, 69.985, 52.257, 38.120, 27.833, 24.166, 13.678.
(2)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721(s, 1H), 7.33~7.45(m, 5H), 7.189(d, 1H, J=8.0Hz), 6.859(s, 1H), 6.824(d, 1H, J=8.0Hz), 6.761(d, 1H, J=10.0Hz), 6.715(d, 1H, J=8.4Hz), 6.329(d, 1H, J=8.4Hz), 5.575(d, 1H, J=10.0Hz), 5.126(s, 2H), 3.858(m, 1H), 3.743(m, 1H), 3.339(m, 1H), 3.132(dd, 1H, J=14.0, 10.4Hz), 2.728(dd, 1H, J=14.0, 4.4Hz), 2.605(t, 2H, J=7.6Hz), 1.676(m, 2H, J=7.6Hz), 1.450(s, 3H), 1.429(s, 3H), 0.982(t, 3H, J=7.2Hz)
13C-NMR(CDCl3): 155.670, 152.304, 150.940, 142.630, 136.425, 130.674, 128.675, 128.583, 128.564, 128.192, 128.173, 127.629, 121.125, 118.119, 117.563, 112.389, 110.255, 108.386, 75.452, 70.407, 63.289, 42.432, 37.925, 30.462, 27.859, 27.512, 24.455, 13.840.
(3) 3-(2-벤질옥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프로필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2~7.47(m, 5H), 7.088(d, 1H, J=8.0Hz), 6.869(d, 1H, J=8.0Hz), 8.833(s, 1H), 6.820(d, 1H, J=8.0Hz), 6.695(d, 1H, J=10.4Hz), 6.409(d, 1H, J=8.0Hz), 5.589(d, 1H, J=10.4Hz), 5.142(s, 2H), 4.421(m, 1H), 4.079(t, 1H, J=10.4Hz), 3.743(m, 1H), 3.008(dd, 1H, J=15.6, 11.2Hz), 2.914(m, 1H, J=15.6, 3.2Hz), 2.595(t, 2H, J=7.2Hz), 1.668(m, 2H, J=7.2Hz), 1.469(s, 3H), 1.454(s, 3H), 0.980(t, 3H, J=7.2Hz).
13C-NMR(CDCl3): 156.250, 151.832, 149.850, 142.593, 137.148, 129.164, 128.756, 128.563, 127.790, 127.144,127.031,127.031, 121.034, 116.993, 114.471, 112.342, 109.836, 108.556, 75.509, 70.122, 70.070, 38.008, 31.627, 30.718, 27.785, 27.583, 24.437, 13.858.
(4) 3-(2-히드록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5)을 얻었다.
1H-NMR(CDCl3): 7.029(d, 1H, J=8.0Hz), 6.842(d, 1H, J=8.0Hz), 6.755(d, 1H, J=8.0Hz), 6.597(s, 1H), 6.390(d, 1H, J=8.4Hz), 4.804(s, 1H), 4.423(m, 1H, J=10.4, 2.4Hz), 4.046(t, 1H, J=10.4Hz), 3.537(m, 1H), 3.042(dd, 1H, J=15.6, 11.2Hz), 2.886(m, 1H), 2.652(m, 2H), 2.518(t, 2H, J=7.6Hz), 1.781(t, 2H, J=6.8Hz), 1.612(m, 2H, J=7.2Hz), 1.338(s, 3H), 1.323(s, 3H), 0.947(t, 3H, J=7.2Hz).
13C-NMR(CDCl3): 153.296, 152.802, 152.143, 142.679, 127.463, 127.331, 124.838, 121.188, 115.572, 112.888, 109.322, 109.286, 73.749, 69.933, 37.502, 32.366, 32.149, 30.605, 26.809, 26.411, 24.276, 17.141, 13.846.
실시예 5: 3-(2-히드록시-4-이소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6)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이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이소프로필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6)을 얻었다.
1H-NMR(CDCl3): 7.058(d, 1H, J=8.0Hz), 6.853(d, 1H, J=8.0Hz), 6.812(dd, 1H, J=8.0, 1.2Hz), 6.641(d, 1H, J=1.2Hz),6.408(d, 1H, J=8.0Hz), 4.973(s, 1H), 4.444(m, 1H, J=10.4, 3.2, 2.0Hz),4.060(t, 1H, J=10.4Hz), 3.552(m, 1H), 3.056(dd, 1H, J=15.6, 11.2Hz), 2.892(m, 1H, J=15.6, 5.2, 1.6Hz), 2.859(m, 1H, J=6.8Hz), 2.668(m, 2H), 1.794(t, 2H, J=6.8Hz), 1.352(s, 3H), 1.337(s, 3H), 1.235(d, 6H, J=6.8Hz).
13C-NMR(CDCl3):153.331, 152.780, 152.123, 148.947, 127.471, 127.408, 124.870, 119.166, 113.559, 112.857, 109.310, 109.268, 73.751, 69.902, 33.597, 32.334, 32.124, 30.566, 26.813, 26.395, 23.853, 17.139.
실시예 6: 3-(2-히드록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7)의 합성
(1)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8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부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을 얻었다.
1H-NMR(CDCl3): 7.879(s, 1H), 7.26~7.36(m, 5H), 6.934(d, 1H, J=7.6Hz), 6.791(s, 1H), 6.711 (d, 1H, J=7.6Hz), 6.631(d, 1H, J=8.8Hz), 6.572(d, 1H, J=10.0Hz), 6.151(d, 1H, J=8.8Hz), 5.835(s, 1H), 5.525(d, 1H, J=10.0Hz), 5.026(s, 2H), 3.692(s, 3H), 2.585(t, 2H, J=7.2Hz), 1.579(m, 2H), 1.381(s, 6H),1.325(m, 2H), 0.909(t, 3H, J=7.2Hz).
13C-NMR(CDCl3): 169.031, 156,107, 154.715, 150.380, 144.868, 136.989, 135.667, 130.929, 130.174, 128.689, 128.451, 128.387, 127.656, 127.037, 122.061, 121.309, 116.561, 114.980, 112.704, 109.546, 108.977, 76.146, 70.034, 52.285, 35.796, 33.226, 27.857, 22.300, 14.054.
(2)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422(b, 1H), 7.33~7.45(m, 5H), 7.161(d, 1H, J=8.0Hz), 6.827(s, 1H), 6.797(d, 1H, J=8.0Hz), 6.723(d, 1H, J=10.0Hz), 6.697(d, 1H, J=8.4Hz), 6.296(d, 1H, J=8.4Hz), 5.547(d, 1H, J=10.0Hz), 5.101(s, 2H), 3.837(m, 1H), 3.718(m, 1H), 3.295(m, 1H), 3.107(dd, 1H, J=14.0, 10.4Hz), 2.689(dd, 1H, J=14.0, 4.4Hz), 2.591(t, 2H, J=7.6Hz), 1.588(m, 2H, J=7.6Hz), 1.417(s, 3H), 1.394(s, 3H), 1.350(m, 2H), 0.930(t, 3H, J=7.2Hz)
13C-NMR(CDCl3): 155.716, 152.389, 151.010, 142.936, 136.424, 130.671, 128.723, 128.581, 128.275, 128.231, 127.680, 121.140, 118.095, 117.604, 112.428, 110.294, 108.422, 75.476, 70.476, 63.366, 42.697, 35.576, 33.545, 30.468, 27.915, 27.551, 22.360, 13.952.
(3) 3-(2-벤질옥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부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2~7.45(m, 5H), 7.064(d, 1H, J=8.0Hz), 6.837(d, 1H, J=8.0Hz), 8.808(s, 1H), 6.798(d, 1H, J=8.0Hz), 6.667(d, 1H, J=10.4Hz), 6.381(d, 1H, J=8.0Hz), 5.567(d, 1H, J=10.4Hz), 5.124(s, 2H), 4.402(m, 1H), 4.057(t, 1H, J=10.4Hz), 3.728(m, 1H), 2.996(dd, 1H, J=15.6, 11.2Hz), 2.885(m, 1H, J=15.6, 3.2Hz), 2.595(t, 2H, J=7.2Hz), 1.599(m, 2H, J=7.2Hz), 1.446(s, 3H), 1.431(s, 3H), 1.380(m, 2H), 0.941(t, 3H, J=7.2Hz).
13C-NMR(CDCl3): 156.222, 151.797, 149.827, 142.813, 137.127, 129.165, 128.773, 128.563, 127.787, 127.146, 127.060, 127.028, 120.952, 116.973, 114.480, 112.247, 109.829, 108.540, 75.517, 70.112, 70.017, 35.609, 33.538, 31.573, 30.693, 27.772, 27.561, 22.368, 13.948.
(4) 3-(2-히드록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부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7)을 얻었다.
1H-NMR(CDCl3): 7.033(d, 1H, J=8.0Hz), 6.851(d, 1H, J=8.0Hz), 6.761(d, 1H, J=8.0Hz), 6.596(s, 1H), 6.407(d, 1H, J=8.4Hz), 4.904(s, 1H), 4.434(m, 1H, J=10.4, 2.4Hz), 4.056(t, 1H, J=10.4Hz), 3.538(m, 1H), 3.051(dd, 1H, J=15.6, 11.2Hz), 2.892(m, 1H), 2.667(m, 2H), 2.546(t, 2H, J=7.6Hz), 1.792(t, 2H, J=6.8Hz), 1.599(m, 2H, J=7.2Hz), 1.375(m, 2H), 1.351(s, 3H), 1.336(s, 3H), 0.939(t, 3H, J=7.2Hz).
13C-NMR(CDCl3): 153.256, 152.765, 152.114, 142.906, 127.463, 127.331, 124.724, 121.142, 115.492, 112.866, 109.302, 109.253, 73.751, 69.910, 35.084, 33.380, 32.321, 32.085, 30.565, 26.805, 26.387, 22.351, 17.131, 13.932.
실시예 7: 3-(2-히드록시-4-n-펜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8)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n-펜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n-펜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8)을 얻었다.
1H-NMR(CDCl3): 7.033(d, 1H, J=8.0Hz), 6.850(d, 1H, J=8.0Hz), 6.761(dd, 1H, J=8.0, 1.2Hz), 6.598(d, 1H, J=1.2Hz), 6.404(d, 1H, J=8.0Hz), 4.898(s, 1H), 4.436(m, 1H, J=10.4, 3.2, 2.0Hz), 4.054(t, 1H, J=10.4Hz), 3.551(m, 1H), 3.048(dd, 1H, J=15.6, 11.2Hz), 2.906(m, 1H, J=15.6, 5.2, 1.6Hz), 2.664(m, 2H), 2.536(t, 2H, J=4.4H), 1.790(t, 2H, J=6.8Hz), 1.599(m, 2H), 1.35(m, 4H), 1.348(s, 3H), 1.333(s, 3H), 0.908(t, 3H, J=7.4Hz).
13C-NMR(CDCl3): 153.255, 152.794, 152.125, 142.957,127.457, 127.344, 124.740, 121.145, 115.485, 115.485, 112.842, 109.258, 73.726, 69.913, 35.383, 32.934, 32.483, 32.333, 32.103, 30.935, 30.581, 26.811, 26.399, 22.519, 17.134, 14.010.
실시예 8: 3-(2-히드록시-4-(2-메톡시에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9)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2-메톡시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2-메톡시에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9)을 얻었다.
1H-NMR(CDCl3): 7.043(d, 1H, J=8.0Hz), 6.843(d, 1H, J=8.0Hz), 6.773(dd, 1H, J=8.0, 2.0Hz), 6.636(d, 1H, J=2.0Hz),6.398(d, 1H, J=8.0Hz), 5.762(s, 1H), 4.416(m, 1H, J=10.4, 2.4Hz),4.035(t, 1H, J=10.4Hz), 3.647(t, 2H, J=6.8Hz) 3.549(m, 1H), 3.391(s, 3H),3.033(dd, 1H, J=15.6, 11.2Hz), 2.864(m, 1H, J=15.6, 5.2, 1.6Hz), 2.831(t, 2H, J=6.8Hz) 2.654(m, 2H), 1.783(t, 2H, J=6.8H), 1.343(s, 3H), 1.328(s, 3H).
13C-NMR(CDCl3): 153.701, 152.748, 152.100, 138.669,127.490, 127.449, 125.554, 121.052, 115.967, 112.828, 109.283, 109.227, 73.716, 73.396, 69.838, 58.624, 35.501, 32.294, 32.062, 30.413, 26.787, 26.381, 17.111.
실시예 9: 3-(2-히드록시-3,4-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0)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3,4-디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3,4-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0)을 얻었다.
1H-NMR(CDCl3): 6.901(d, 1H, J=8.0Hz), 6.857(d, 1H, J=8.4Hz), 6.790(d, 1H, J=8.0Hz), 6.411(d, 1H, J=8.4Hz), 4.834(s, 1H), 4.430(m, 1H, J=10.0, 3.2, 2.0Hz),4.051(t, 1H, J=10.0Hz), 3.543(m, 1H), 3.036(dd, 1H, J=15.6, 11.2Hz), 2.896(m, 1H, J=15.6, 5.2, 2.0Hz), 2.672(m, 2H), 2.297(s, 3H), 2.199(s, 3H), 1.798(t, 2H, J=6.8Hz), 1.357(s, 3H), 1.344(s, 3H).
13C-NMR(CDCl3):152.849, 152.105, 151.536, 136.143, 127.431, 124.846, 124.061, 122.329, 121.519, 112.767, 109.275, 73.652, 69.998, 32.353, 32.311, 30.781, 26.811, 26.404, 20.154, 17.124, 11.743.
실시예 10: 3-(2-히드록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1)의 합성
(1)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9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5-dimethylphenylacetat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94(s, 1H), 7.26~7.36(m, 5H), 6.795(s, 1H), 6.766(s, 1H), 6.677 (d, 1H, J=8.4Hz), 6.591(d, 1H, J=10.0Hz), 6.161(d, 1H, J=8.4Hz), 5.512(d, 1H, J=10.0Hz), 4.994(s, 2H), 3.680(s, 3H), 2.223(s, 3H), 2.072(s, 3H), 1.375(s, 6H).
13C-NMR(CDCl3): 169.257, 154,688, 154.284, 150.592, 137.994, 137.204, 135.640, 131.947, 130.210, 129.084, 128.604, 128.387, 128.339, 127.573, 126.895, 122.056, 116.624, 115.140, 114.154, 109.504, 108.956, 76.039, 70.161, 52.294, 27.830, 27.781, 20.240, 18.763.
(2)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 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30~7.43(m, 5H), 6.999(s, 1H), 6.792(s, 1H), 6.721(d, 1H, J=10.0Hz), 6.699(d, 1H, J=8.0Hz), 6.293(d, 1H, J=8.0Hz), 5.528(d, 1H, J=10.0Hz), 5.054(s, 2H), 3.800(dd, 1H, J=11.2, 3.6Hz), 3.691(dd, 1H, J=11.2, 2.8Hz), 3.249(m, 1H), 3.090(dd, 1H, J=14.0, 10.4Hz), 2.668(dd, 1H, J=14.0, 4.0Hz), 2.232(s, 3H), 2.188(s, 3H), 1.406(s, 3H), 1.385(s, 3H).
13C-NMR(CDCl3): 153.764, 152.283, 150.928, 136.498, 135.796, 130.637, 129.835, 128.952, 128.661, 128.528, 128.448, 128.142, 127.587, 118.246, 117.584, 113.911, 110.276, 108.349, 75.432, 70.689, 63.407, 42.833, 30.722, 27.840, 27.480, 19.817, 18.873.
(3) 3-(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2~7.45(m, 5H), 6.935(s, 1H), 6.857(d, 1H, J=8.0Hz), 6.810(s, 1H), 6.697(d, 1H, J=10.0Hz), 6.407(d, 1H, J=8.0Hz), 5.591(d, 1H, J=10.0Hz), 5.115(s, 2H), 4.414(m, 1H, J=10.0, 3.2, 2.0Hz), 4.060(t, 1H, J=10.0Hz), 3.721(m, 1H), 3.028(dd, 1H, J=14.0, 6.8Hz), 2.877(dd, 1H, J=14.0, 5.2Hz), 2.272(s, 3H), 2.229(s, 3H), 1.470(s, 3H), 1.455(s, 3H).
13C-NMR(CDCl3): 154.383, 151.764, 149.792, 137.275, 135.831, 129.162, 128.772, 128.742, 128.544, 128.519, 127.727, 127.064, 126.960, 116.982, 114.536, 113.786, 109.823, 108.514, 75.504, 70.246, 70.192, 31.530, 30.793, 27.746, 27.536, 19.883, 18.973.
(4) 3-(2-히드록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5-디메틸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1)을 얻었다.
1H-NMR(CDCl3): 6.886(s, 1H), 6.857(d, 1H, J=4.8Hz), 6.579(s, 1H), 6.418(d, 1H, J=4.8Hz), 4.965(s, 1H), 4.433(dd, 1H, J=6.0Hz), 4.053(t, 1H, J=6.0Hz), 3.534(m, 1H), 3.067(dd, 1H, J=8.8, 6.8Hz), 2.873(ddd, 1H, J=8.8, 2.4, 0.8Hz), 2.680(m, 2H), 2.203(s, 6H), 1.803(t, 2H, J=4.0Hz), 1.364(s, 3H), 1.348(s, 3H).
13C-NMR(CDCl3): 152.711, 152.083, 151.311, 135.979, 128.741, 128.608, 127.462, 124.557, 116.894, 112.952, 109.284, 109.207, 73.761, 69.985, 32.239, 32.018, 30.643, 26.781, 26.368, 19.374, 18.905, 17.122.
실시예 11: 3-(2-히드록시-4-플루오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2)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플루오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2)을 얻었다.
1H-NMR(CDCl3): 7.045(dd, 1H, J=8.8, 6.6Hz), 6.834(d, 1H, J=8.4Hz), 6.620(m, 1H, J=8.4, 2.4Hz), 6.501(dd, 1H, J=9.6, 2.4Hz), 6.396 (d, 1H, J=8.4Hz), 5.400(s, 1H), 4.379(m, 1H, J=10.0, 3.2, 2.0Hz), 4.039(t, 1H, J=10.0Hz), 3.523(m, 1H), 2.997(dd, 1H, J=15.6, 11.2Hz), 2.892(m, 1H, J=15.6, 5.2, 2.0Hz), 2.642(m, 2H), 1.777(t, 2H, J=6.8Hz), 1.335(s, 3H), 1.321(s, 3H).
13C-NMR(CDCl3):163.144, 160.705, 154.402, 152.812, 152.061, 128.471, 127.447, 123.663, 112.574, 109.401, 107.644, 103.157, 73.880, 69.704, 32.297, 31.821, 30.520, 26.784, 26.390, 17.103.
실시예 12: 3-(2-히드록시-4-클로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3)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클로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3)을 얻었다.
1H-NMR(CDCl3): 7.026(d, 1H, J=8.4Hz), 6.888(dd, 1H, J=8.4, 2.0Hz), 6.832(d, 1H, J=8.4Hz), 6.759(d, 1H, J=2.0Hz), 6.397 (d, 1H, J=8.4Hz), 5.256(s, 1H), 4.375(m, 1H, J=10.0, 3.2, 2.0Hz), 4.047(t, 1H, J=10.0Hz), 3.532(m, 1H), 2.988(dd, 1H, J=15.6, 11.2Hz), 2.848(m, 1H, J=15.6, 5.2, 2.0Hz), 2.637(m, 2H), 1.775(t, 2H, J=6.8Hz), 1.333(s, 3H), 1.320(s, 3H)..
13C-NMR(CDCl3):154.027, 152.821, 152.035, 132.695, 128.594, 127.445, 126.551, 121.205, 115.699, 112.435, 109.442, 109.408, 73.892, 69.487, 32.274, 31.905, 30.318, 26.776, 26.393, 17.093.
실시예 13: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4)의 합성
(1)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10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methoxyphenyl)acetat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75(s, 1H), 7.24~7.36(m, 5H), 6.958(d, 1H, J=8.4Hz), 6.697(d, 1H, J=8.4Hz), 6.598 (d, 1H, J=10.0Hz), 6.551(d, 1H, J=2.4Hz), 6.426(dd, 1H, J=8.4, 2.4Hz), 6.195(d, 1H, J=8.4Hz), 5.783(s, H), 5.536(d, 1H, J=10.0Hz), 5.030(s, 2H), 3.777(s, 3H), 3.700(s, 3H), 1.395(s, 6H).
13C-NMR(CDCl3): 169.002, 160,933, 157.315, 154.665, 150.202, 136.701, 135.651, 131.736, 130.213, 128.726, 128.489, 128.440, 127.733, 126.958, 117.352, 116.537, 114.996, 109.468, 109.063, 105.279, 100.143, 76.114, 70.097, 55.259, 52.262, 27.855.
(2)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617(s, 1H), 7.33~7.42(m, 5H), 7.150(d, 1H, J=8.0Hz), 6.725(d, 1H, J=10.0Hz), 6.680(d, 1H, J=8.4Hz), 6.582(d, 1H, J=2.4hz), 6.488(dd, 1H, J=8.0, 2.4Hz), 6.294(d, 1H, J=8.4Hz), 5.550(d, 1H, J=10.0Hz), 5.075(s, 2H), 3.820(m, 1H), 3.787(s, 3H), 3.719(m, 1H), 3.292(m, 1H), 3.085(dd, 1H, J=14.0, 10.4Hz), 2.692(dd, 1H, J=14.0, 4.0Hz), 2.407(m, 1H), 1.416(s, 3H), 1.398(s, 3H).
13C-NMR(CDCl3): 159.512, 156.744, 152.398, 150.989, 136.245, 130.750, 128.848, 128.768, 128.648, 128.291, 127.616, 123.685, 118.015, 117.588, 110.284, 108.446, 104.573 100.232, 75.508, 70.493, 63.479, 55.380, 42.052, 30.536, 27.905, 27.593.
(3)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0~7.45(m, 5H), 7.047(d, 1H, J=8.0Hz), 6.821(d, 1H, J=8.4Hz), 6.642(d, 1H, J=10.0Hz), 6.544(d, 1H, J=2.0Hz), 6.476(dd, 1H, J=8.4, 2.0Hz), 6.361(d, 1H, J=8.0Hz), 5.550(d, 1H, J=10.0Hz), 5.295(s, 1H), 5.087(s, 2H), 4.369(m, 1H), 4.023(t, 1H, J=10.0Hz), 3.773(s, 3H), 3.650(m, 1H), 2.963(dd, 1H, J=15.6, 10.8Hz), 2.883(dd, 1H, J=15.6, 4.4Hz), 1.425(s, 3H), 1.410(s, 3H).
13C-NMR(CDCl3): 159.505, 157.258, 151.862 149.841, 136.860, 129.178, 128.834, 128.647, 127.913, 127.725, 127.152, 122.328, 116.978, 114.469, 109.857, 108.582, 104.588, 100.013, 75.558, 70.196, 70.088, 55.347, 31.315, 30.733, 27.795, 27.579.
(4)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4)을 얻었다.
1H-NMR(CDCl3): 7.022(d, 1H, J=8.4Hz), 6.837(d, 1H, J=8.0Hz), 6.488(dd, 1H, J=8.0, 2.4Hz), 6.388(d, 1H, J=8.4Hz), 6.364(d, 1H, J=2.4Hz), 5.059(s, 1H), 4.392(m, 1H, J=10.0, 2.0Hz), 4.024(t, 1H, J=10.0Hz), 3.768(s, 3H), 3.488(m, 1H), 3.017(dd, 1H, J=15.6, 11.2Hz), 2.875(m, 1H, J=15.6, 6.8, 2.0Hz), 2.645(m, 2H), 1.778(t, 2H, J=6.8Hz), 1.335(s, 3H), 1.321(s, 3H).
13C-NMR(CDCl3): 159.257, 154.516, 152.772, 152.160, 128.184, 127.546, 120.182, 112.994, 109.394, 109.340, 105.957, 102.118, 73.917, 70.069, 55.340, 32.391, 31.811, 30.671, 26.833, 26.459, 17.187.
실시예 14: 3-(2-히드록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5)의 합성
(1)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에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ethoxyphenyl)acetat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42(s, 1H), 7.24~7.36(m, 5H), 6.937(d, 1H, J=8.4Hz), 6.699(d, 1H, J=8.4Hz), 6.578 (d, 1H, J=10.0Hz), 6.548(s, 1H), 6.411(d, 1H, J=8.4Hz), 6.193(d, 1H, J=8.4Hz), 5.719(s, H), 5.532(d, 1H, J=10.0Hz), 5.016(s, 2H), 3.994(q, 2H, J=6.8Hz), 3.693(s, 3H), 1.389(s, 6H), 1.389(t, 3H).
13C-NMR(CDCl3): 168.924, 160,391, 157.312, 154.649, 150.070, 136.734, 135.557, 131.731, 130.243, 128.734, 128.692, 128.438, 127.728, 126.969, 117.117, 116.553, 114.983, 109.481, 109.084, 105.879, 100.527, 76.126, 70.096, 63.462, 52.237, 27.863, 14.767.
(2)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676(s, 1H), 7.33~7.42(m, 5H), 7.139(d, 1H, J=8.0Hz), 6.734(d, 1H, J=10.0Hz), 6.692(d, 1H, J=8.4Hz), 6.594(d, 1H, J=2.4hz), 6.484(dd, 1H, J=8.0, 2.4Hz), 6.303(d, 1H, J=8.4Hz), 5.559(d, 1H, J=10.0Hz), 5.077(s, 2H), 4.019(q, 2H, J=7.2Hz), 3.826(m, 1H), 3.729(m, 1H), 3.291(m, 1H), 3.096(dd, 1H, J=14.0, 10.4Hz), 2.696(dd, 1H, J=14.0, 4.0Hz), 2.457(b, 1H), 1.425(s, 3H), 1.416(t, 3H), 1.406(s, 3H).
13C-NMR(CDCl3): 158.871, 156.742, 152.390, 150.988, 136.262, 130.727, 128.823, 128.744, 128.609, 128.261, 127.598, 123.504, 118.006, 117.584, 110.268, 108.422, 105.250, 100.663, 75.481, 70.479, 63.550, 63.495, 42.148, 30.525, 27.897, 27.584, 14.812.
(3) 3-(2-벤질옥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상기 (2)에서 수득한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2-(2-벤질옥시-4-에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0~7.45(m, 5H), 7.047(d, 1H, J=8.0Hz), 6.841(d, 1H, J=8.4Hz), 6.665(d, 1H, J=10.0Hz), 6.566(d, 1H, J=2.0Hz), 6.482(dd, 1H, J=8.4, 2.0Hz), 6.385(d, 1H, J=8.0Hz), 5.571(d, 1H, J=10.0Hz), 5.096(s, 2H), 4.384(m, 1H), 4.026(q, 2H, J=6.8Hz), 4.009(t, 1H, J=10.0Hz), 3.661(m, 1H), 2.980(dd, 1H, J=15.6, 10.8Hz), 2.878(dd, 1H, J=15.6, 4.4Hz), 1.446(s, 3H), 1.430(s, 3H), 1.411(t, 3H, J=6.8Hz).
13C-NMR(CDCl3): 158.825, 157.218, 151.784, 149.811, 136.871, 129.153, 128.783, 128.598, 127.850, 127.652, 127.097, 122.093, 116.957, 114.469, 109.814, 108.531, 105.203, 100.385, 75.515, 70.183, 70.013, 63.462, 31.277, 30.706, 27.767, 27.549, 14.809.
(4) 3-(2-히드록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5)을 얻었다.
1H-NMR(CDCl3): 6.989(d, 1H, J=8.4Hz), 6.825(d, 1H, J=8.0Hz), 6.458(dd, 1H, J=8.0, 2.4Hz), 6.387(d, 1H, J=8.4Hz), 6.324(d, 1H, J=2.4Hz), 5.355(s, 1H), 4.386(m, 1H, J=10.4, 3.2, 2.0Hz), 4.007(t, 1H, J=10.4Hz), 3.954(q, 2H, J=7.2Hz), 3.484(m, 1H), 3.006(dd, 1H, J=15.6, 11.2Hz), 2.852(m, 1H, J=15.6, 4.8, 1.6Hz), 2.641(m, 2H), 1.770(t, 2H, J=6.8Hz), 1.378(t, 2H, J=6.8Hz), 1.331(s, 3H), 1.316(s, 3H).
13C-NMR(CDCl3): 158.552, 154.340, 152.719, 152.091, 128.075, 127.465, 119.882, 112.909, 109.305, 109.248, 106.572, 102.504, 73.798, 70.018, 63.450, 32.311, 31.749, 30.614, 26.776, 26.390, 17.116, 14.781.
실시예 15: 3-(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6)의 합성
(1) 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propoxyphenyl)acetat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16(s, 1H), 7.24~7.36(m, 5H), 6.928(d, 1H, J=8.4Hz), 6.705(d, 1H, J=8.4Hz), 6.562 (d, 1H, J=10.0Hz), 6.552(d, 1H, J=2.0Hz), 6.408(dd, 1H, J=8.4, 2.0Hz), 6.195(d, 1H, J=8.4Hz), 5.599(b, H), 5.526(d, 1H, J=10.0Hz), 5.012(s, 2H), 3.880(t, 2H, J=6.4Hz), 3.687(s, 3H), 1.785 (m, 2H), 1.385(s, 6H), 1.024(t, 3H, J=7.2Hz).
13C-NMR(CDCl3): 169.032, 160,423, 157.356, 154.638, 150.111, 136.730, 135.529, 131.711, 130.229, 128.714, 128.632, 128.426, 127.724, 126.989, 117.177, 116.564, 114.994, 109.488, 109.066, 105.932, 100.492, 76.117, 70.086, 69.489, 52.236, 27.857, 22.534, 10.495.
(2) 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401(b, 1H), 7.33~7.42(m, 5H), 7.128(d, 1H, J=8.0Hz), 6.722(d, 1H, J=10.0Hz), 6.682(d, 1H, J=8.4Hz), 6.595(d, 1H, J=2.4hz), 6.480(dd, 1H, J=8.0, 2.4Hz), 6.291(d, 1H, J=8.4Hz), 5.548(d, 1H, J=10.0Hz), 5.070(s, 2H), 3.899(t, 2H, J=6.8Hz), 3.816(m, 1H), 3.706(m, 1H), 3.282(m, 1H), 3.085(dd, 1H, J=14.0, 10.4Hz), 2.687(dd, 1H, J=14.0, 4.0Hz), 2.432(b, 1H), 1.798(2H, m), 1.415(s, 3H), 1.396(s, 3H), 1.035(t, 3H).
13C-NMR(CDCl3): 159.071, 156.734, 152.376, 150.986, 136.252, 130.727, 128.818, 128.740, 128.600, 128.264, 127.621, 123.437, 118.025, 117.586, 110.267, 108.415, 105.290, 100.625, 75.480, 70.480, 69.615, 63.494, 42.178, 30.515, 27.895, 27.571, 22.555, 10.529.
(3) 3-(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2-(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0~7.45(m, 5H), 7.045(d, 1H, J=8.0Hz), 6.834(d, 1H, J=8.4Hz), 6.664(d, 1H, J=10.0Hz), 6.575(d, 1H, J=2.0Hz), 6.498(dd, 1H, J=8.4, 2.0Hz), 6.380(d, 1H, J=8.0Hz), 5.562(d, 1H, J=10.0Hz), 5.097(s, 2H), 4.376(m, 1H), 4.0346(t, 1H, J=10.0Hz), 3.899(t, 2H, J=6.4Hz), 3.663(m, 1H), 2.982(dd, 1H, J=15.6, 10.8Hz), 2.874(dd, 1H, J=15.6, 4.4Hz), 1.785(m, 2H), 1.444(s, 3H), 1.429(s, 3H), 1.041(t, 3H, J=7.2Hz).
13C-NMR(CDCl3): 159.044, 157.236, 151.790, 149.823, 136.889, 128.784, 128.598, 127.855, 127.647, 127.124, 122.042, 116.967, 114.482, 109.821, 108.532, 105.286, 100.380, 75.523, 70.199, 70.036, 69.553, 31.287, 30.720, 27.773, 27.560, 22.549, 10.525.
(4) 3-(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6)을 얻었다.
1H-NMR(CDCl3): 6.976(d, 1H, J=8.4Hz), 6.817(d, 1H, J=8.0Hz), 6.452(dd, 1H, J=8.0, 2.0Hz), 6.392(d, 1H, J=8.4Hz), 6.316(d, 1H, J=2.0Hz), 5.600(s, 1H), 4.380(d, 1H, J=10.0Hz), 4.000(t, 1H, J=10.0Hz), 3.812(t, 2H, J=6.4Hz), 3.488(m, 1H), 2.997(dd, 1H, J=15.6, 11.2Hz), 2.837(dd, 1H, J=15.6, 4.4Hz), 2.640(m, 2H), 1.782(t, 2H, J=6.8Hz), 1.765(m, 2H), 1.329(s, 3H), 1.314(s, 3H), 0.994(t, 3H, J=7.2Hz).
13C-NMR(CDCl3): 158.678, 154.412, 152.596, 152.054, 128.015, 127.483, 119.827, 113.016, 109.299, 109.226, 106.588, 102.460, 73.888, 70.014, 69.537, 32.287, 31.702, 30.552, 26.728, 26.349, 22.453, 17.096, 10.458.
실시예 16: 3-(2-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7)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7)을 얻었다.
1H-NMR(CDCl3): 7.000(d, 1H, J=8.4Hz), 6.845(d, 1H, J=8.0Hz), 6.472(dd, 1H, J=8.0, 2.4Hz), 6.404(d, 1H, J=8.4Hz),6.344(d, 1H, J=2.4Hz), 5.333(s, 1H), 4.450(m, 1H, J=6.0Hz), 4.409(m, 1H, J=10.4, 3.2, 2.0Hz),4.026(t, 1H, J=10.4Hz), 3.498(m, 1H), 3.026(dd, 1H, J=15.2, 11.2Hz), 2.871(m, 1H, J=15.2, 4.8, 1.6Hz), 2.669(m, 2H), 1.789(t, 2H, J=6.8Hz), 1.378(t, 2H, J=6.8Hz), 1.349(s, 3H), 1.331(s, 3H), 1.324(d, 6H, J=6.0Hz).
13C-NMR(CDCl3):157.519, 154.443, 152.755, 152.116,128.071, 127.463, 119.886, 112.931, 109.311, 109.266, 107.931, 103.837, 73.778, 70.102, 70.044, 32.349, 31.818, 30.655, 26.787, 26.401, 22.044, 17.128.
실시예 17: 3-(2-히드록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8)의 합성
(1) 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부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butoxyphenyl)acetat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36(s, 1H), 7.24~7.36(m, 5H), 6.928(d, 1H, J=8.4Hz), 6.698(d, 1H, J=8.4Hz), 6.577 (d, 1H, J=10.0Hz), 6.546(d, 1H, J=2.0Hz), 6.407(dd, 1H, J=8.4, 2.0Hz), 6.188(d, 1H, J=8.4Hz), 5.726(b, H), 5.523(d, 1H, J=10.0Hz), 5.010(s, 2H), 3.918(t, 2H, J=6.4Hz), 3.683(s, 3H), 1.752 (m, 2H), 1.468(m, 2H), 1.383(s, 6H), 0.986(t, 3H, J=7.2Hz).
13C-NMR(CDCl3): 169.062, 160,539, 157.338, 154.664, 150.278, 136.737, 135.556, 131.694, 130.196, 128.667, 128.450, 128.405, 127.968, 126.968, 117.138, 116.575, 115.049, 109.499, 109.022, 105.911, 100.487, 76.090, 70.061, 67.676, 52.223, 31.263, 28.050,19.191, 13.802.
(2) 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401(b, 1H), 7.33~7.42(m, 5H), 7.128(d, 1H, J=8.0Hz), 6.723(d, 1H, J=10.0Hz), 6.682(d, 1H, J=8.4Hz), 6.588(d, 1H, J=2.4hz), 6.479(dd, 1H, J=8.0, 2.4Hz), 6.291(d, 1H, J=8.4Hz), 5.547(d, 1H, J=10.0Hz), 5.068(s, 2H), 3.940(t, 2H, J=6.8Hz), 3.814(m, 1H), 3.704(m, 1H), 3.280(m, 1H), 3.084(dd, 1H, J=14.0, 10.4Hz), 2.681(dd, 1H, J=14.0, 4.0Hz), 2.43(b, 1H), 1.767(2H, m), 1.489(m, 2H),1.415(s, 3H), 1.396(s, 3H), 0.977(t, 3H).
13C-NMR(CDCl3): 159.068, 156.721, 152.360, 150.973, 136.220, 130.726, 128.799, 128.729, 128.596, 128.249, 127.611, 123.425, 118.039, 117.579, 110.259, 108.407, 105.271, 100.606, 75.473, 70.464, 67.782, 63.477, 42.119, 31.286, 30.521, 27.884, 27.566,19.228, 13.838.
(3) 3-(2-벤질옥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틸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2-(2-벤질옥시-4-부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30~7.45(m, 5H), 7.022(d, 1H, J=8.0Hz), 6.813(d, 1H, J=8.4Hz), 6.640(d, 1H, J=10.0Hz), 6.548(d, 1H, J=2.0Hz), 6.465(dd, 1H, J=8.4, 2.0Hz), 6.357(d, 1H, J=8.0Hz), 5.544(d, 1H, J=10.0Hz), 5.075(s, 2H), 4.359(m, 1H), 4.012(t, 1H, J=10.0Hz), 3.919(t, 2H, J=6.4Hz), 3.641(m, 1H), 2.956(dd, 1H, J=15.6, 10.8Hz), 2.856(dd, 1H, J=15.6, 4.4Hz), 1.739(m, 2H), 1.473(m, 2H), 1.422(s, 3H), 1.407(s, 3H), 0.964(t, 3H, J=7.2Hz).
13C-NMR(CDCl3): 159.063, 157.233, 151.793, 149.826, 136.896, 128.782, 128.600, 127.856, 127.644, 127.126, 122.031, 116.970, 114.483, 109.823, 108.534, 105.279, 100.378, 75.521, 70.201, 70.038, 67.725, 31.291, 30.723, 27.774, 27.561,19.231, 13.833.
(4) 3-(2-히드록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틸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8)을 얻었다.
1H-NMR(CDCl3): 7.009(d, 1H, J=8.4Hz), 6.847(1d, 1H, J=8.0Hz), 6.482(dd, 1H, J=8.0, 2.0Hz), 6.408(d, 1H, J=8.4Hz), 6.355(d, 1H, J=2.0Hz), 5.313(s, 1H), 4.407(m, 1H, J=10.0Hz), 4.027(t, 1H, J=10.0Hz), 3.906(t, 2H, J=6.4Hz), 3.503(m, 1H), 3.027(dd, 1H, J=15.6, 11.2Hz), 2.874(dd, 1H, J=15.6, 4.4Hz), 2.662(m, 2H), 1.70~1.90(m, 4H), 1.482(m, 2H), 1.351(s, 3H), 1.337(s, 3H), 0.977(t, 3H, J=7.2Hz).
13C-NMR(CDCl3): 158.793, 154.331, 152.721, 152.092, 128.047, 127.461, 119.777, 112.909, 109.299, 109.248, 106.628, 102.511, 73.786, 70.023, 67.738, 32.317, 31.756, 31.227, 30.626, 26.777, 26.390, 19.193, 17.117, 13.807.
실시예 18: 3-(2-히드록시-4-n-펜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19)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n-펜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n-펜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19)을 얻었다.
1H-NMR(CDCl3):7.008(d, 1H, J=8.0Hz), 6.847(d, 1H, J=8.0Hz), 6.482(dd, 1H, J=8.0, 2.4Hz), 6.409(d, 1H, J=8.0Hz),6.355(d, 1H, J=2.4Hz), 5.324(s, 1H), 4.408(m, 1H, J=10.4Hz),4.029(t, 1H, J=10.4Hz), 3.897(t, 2H, J=6.4Hz), 3.494(m, 1H), 3.028(dd, 1H, J=15.6, 11.2Hz), 2.875(m, 1H, J=15.6, 4.4Hz), 2.663(m, 2H), 1.71~1.88(m, 4H), 1.35~1.50(m, 4H), 1.353(s, 3H), 1.338(s, 3H), 0.941(t, 3H, J=7.2Hz).
13C-NMR(CDCl3): 158.726, 154.374, 152.646, 152.062, 128.017, 127.468, 119.767, 112.957, 109.290, 109.222, 106.546, 102.460, 73.833, 70.016, 68.022, 32.287, 31.706, 30.571,28.862, 28.121, 26.750, 26.362,22.403, 17.102, 13.997.
실시예 19: 3-(2-히드록시-4-(3-메틸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20)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3-메틸부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3-메틸부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20)을 얻었다.
1H-NMR(CDCl3):7.001(d, 1H, J=8.4Hz), 6.833(d, 1H, J=8.4Hz), 6.477(dd, 1H, J=8.4, 2.4Hz), 6.381(d, 1H, J=8.4Hz),6.352(d, 1H, J=2.4Hz), 4.852(s, 1H), 4.387(m, 1H, J=10.4, 2.0, 1.2Hz),4.015(t, 1H, J=10.4Hz), 3.939(t, 2H, J=6.4Hz), 3.470(m, 1H), 3.014(dd, 1H, J=15.6, 11.2Hz), 2.866(m, 1H, J=15.6, 3.6, 1.6Hz), 2.659(m, 2H), 1.802(m, 1H), 1.774(t, 2H, J=6.4Hz), 1.654(q, 2H, J=6.4Hz), 1.331(s, 3H), 1.317(s, 3H), 0.951(d, 6H, J=6.4Hz).
13C-NMR(CDCl3): 158.881, 154.197, 152.861, 152.137,128.120, 127.459, 119.736, 112.789, 109.298, 109.284, 106.724, 102.561, 73.700, 70.031, 66.431, 37.940, 32.345, 31.805, 30.710, 26.839, 26.434, 25.031, 22.573, 17.150.
실시예 20: 3-(2-히드록시-4-(메톡시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21)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메톡시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메톡시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21)을 얻었다.
1H-NMR(CDCl3):7.023(d, 1H, J=8.4Hz), 6.839(d, 1H, J=8.4Hz), 6.615(dd, 1H, J=8.4, 2.4Hz), 6.524(d, 1H, J=2.4Hz),6.396(d, 1H, J=8.4Hz), 5.443(s, 1H), 5.142(s, 2H), 4.400(m, 1H, J=10.4, 3.2, 2.4Hz),4.028(t, 1H, J=10.4Hz), 3.514(m, 1H), 3.487(s, 3H), 3.020(dd, 1H, J=15.6, 11.2Hz), 2.892(m, 1H, J=15.6, 5.2, 1.6Hz), 2.653(m, 2H), 1.783(t, 2H, J=6.8Hz), 1.342(s, 3H), 1.327(s, 3H).
13C-NMR(CDCl3): 156.730, 154.424, 152.790, 152.106,128.178, 127.448, 121.402, 112.808, 109.314, 109.295, 108.608, 103.952, 94.398, 73.752, 69.932, 55.957, 32.337, 31.833, 30.573, 26.783, 26.405, 17.123.
실시예 21: 3-(2-히드록시-4-(2-메톡시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22)의 합성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대신 (2-벤질옥시-4-(2-메톡시에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2-메톡시에톡시)페닐)-8,8-디메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22)을 얻었다.
1H-NMR(CDCl3):6.976(d, 1H, J=8.4Hz), 6.833(d, 1H, J=8.4Hz), 6.489(d, 1H, J=2.4Hz), 6.433(dd, 1H, J=8.4, 2.4Hz),6.386(d, 1H, J=8.4Hz), 6.170(s, 1H), 4.388(m, 1H, J=10.4, 2.4Hz), 4.083(t, 2H, J=4.4Hz),3.997(t, 1H, J=10.4Hz), 3.784(t, 2H, J=4.4Hz), 3.500(m, 1H), 3.475(s, 3H), 3.006(dd, 1H, J=15.6, 11.2Hz), 2.853(m, 1H, J=15.6, 3.6Hz), 2.650(t, 2H), 1.777(t, 2H, J=6.8Hz), 1.336(s, 3H), 1.322(s, 3H).
13C-NMR(CDCl3): 158.296, 154.797, 152.783, 152.137,127.862, 127.448, 120.507, 112.917, 109.274, 109.231, 105.465, 103.206, 73.683, 71.131,66.834, 59.012, 32.346, 31.791, 30.559, 26.802, 26.410, 17.130.
실시예 22: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화합물 23)의 합성
(1)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2-벤질옥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대신 상기 제조예 10에서 제조한 (2-벤질옥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thyl (2-benzyloxy-4-methoxyphenyl)acetate}를 사용하고, 6-포르밀-2,2-디메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대신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한 6-포르밀-2,2-디에틸-2H-크로멘-5-일 벤조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H-NMR(CDCl3): 7.857(s, 1H), 7.24~7.36(m, 5H), 6.973(d, 1H, J=8.4Hz), 6.677(d, 1H, J=10.0Hz), 6.675 (d, 1H, J=8.4Hz), 6.550(d, 1H, J=2.4Hz), 6.441(dd, 1H, J=8.4, 2.4Hz), 6.172(d, 1H, J=8.4Hz), 5.620(s, H), 5.412(d, 1H, J=10.0Hz), 5.022(s, 2H), 3.783(s, 3H), 3.700(s, 3H), 1.699(m, 2H), 1.602(m, 2H), 0.901(t, 6H).
13C-NMR(CDCl3): 168.950, 160,945, 157.335, 155.775, 150.135, 136.737, 135.601, 131.781, 130.240, 128.438, 128.128, 127.719, 126.973, 126.210,117.719, 117.451, 114.573, 109.176, 108.622, 105.334, 100.176, 81.856, 70.123, 55.273, 52.218, 32.165, 7.907.
(2)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대신 상기 (1)에서 수득한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 얻었다.
1H-NMR(CDCl3): 7.547(s, 1H), 7.33~7.42(m, 5H), 7.181(d, 1H, J=8.0Hz), 6.829(d, 1H, J=10.0Hz), 6.680(d, 1H, J=8.0Hz), 6.599(d, 1H, J=2.4hz), 6.508(dd, 1H, J=8.0, 2.4Hz), 6.295(d, 1H, J=8.0Hz), 5.452(d, 1H, J=10.0Hz), 5.086(s, 2H), 3.817(m, 1H), 3.800(s, 3H), 3.741(m, 1H), 3.311(m, 1H), 3.083(dd, 1H, J=14.0, 10.4Hz), 2.696(dd, 1H, J=14.0, 4.0Hz), 2.427(b, 1H), 1.721(m, 2H), 1.666(m, 2H), 0.953(t, 3H), 0.938(t, 3H).
13C-NMR(CDCl3): 159.490, 156.750, 153.281, 150.879, 136.250, 130.632, 128.794, 128.736, 128.381, 128.248, 127.598, 123.780, 118.861, 117.559, 109.991, 107.937, 104.604, 100.237, 81.040, 70.494, 63.501, 55.350, 42.006, 31.828, 31.773, 30.589, 8.051, 7.920,.
(3)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의 제조
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메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 대신 상기 (2)에서 수득한2-(2-벤질옥시-4-메톡시페닐)-3-(2,2-디에틸-5-히드록시-2H-1-벤조피란-6-일)프로판-1-올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을 얻었다.
1H-NMR(CDCl3): 7.28~7.45(m, 5H), 7.095(d, 1H, J=8.0Hz), 6.846(d, 1H, J=8.0Hz), 6.789(d, 1H, J=10.0Hz), 6.598(d, 1H, J=2.0Hz), 6.531(dd, 1H, J=8.0, 2.0Hz), 6.400(d, 1H, J=8.0Hz), 5.482(d, 1H, J=10.0Hz), 5.134(s, 1H), 5.087(s, 2H), 4.412(m, 1H), 4.061(t, 1H, J=10.0Hz), 3.817(s, 3H), 3.702(m, 1H), 3.002(dd, 1H, J=15.6, 10.8Hz), 2.899(dd, 1H, J=15.6, 4.4Hz), 1.65~1.83(m, 4H), 0.96~1.02(m, 6H).
13C-NMR(CDCl3): 159.490, 157.254, 152.699, 149.752, 136.848, 129.098, 128.615, 127.877, 127.684, 127.134, 126.304, 122.359, 118.237, 113.980, 109.504, 108.073, 104.606, 100.012, 81.135, 70.175, 70.077, 55.300, 31.834, 31.825, 31.334, 30.742, 8.029, 7.965.
(4)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의 제조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메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 대신 상기 (3)에서 수득한 3-(2-벤질옥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테트라히드로피라노 [2,3-f]크로멘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4)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3-(2-히드록시-4-메톡시페닐)-8,8-디에틸-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화합물 23)을 얻었다.
1H-NMR(CDCl3): 7.027(d, 1H, J=8.4Hz), 6.843(d, 1H, J=8.4Hz), 6.493(dd, 1H, J=8.4, 2.4Hz), 6.422(d, 1H, J=8.4Hz),6.357(d, 1H, J=2.4Hz), 5.184(s, 1H), 4.398(m, 1H, J=10.4, 2.0, 1.2Hz),4.026(t, 1H, J=10.4Hz), 3.766(s, 3H), 3.498(m, 1H), 3.022(dd, 1H, J=15.6, 11.2Hz), 2.896(m, 1H, J=15.6, 6.8, 2.0Hz), 2.619(m, 2H), 1.787(t, 2H, J=6.8Hz), 1.55~1.75(m, 4H), 0.88~0.95(m, 6H).
13C-NMR(CDCl3): 159.248, 154.383, 152.918, 152.031,128.137, 127.390, 120.145, 112.642, 109.810, 109.416, 105.987, 102.114, 77.969, 70.004, 55.290, 31.826, 30.665, 28.123, 27.794, 27.458, 16.489, 7.592.
실험예 1: PTP1B 저해 실험
PTP1B에 대하여 글라브리딘, 제조예 2(화합물 1), 실시예 2(화합물 3), 실시예 3(화합물 4), 실시예 4(화합물 5), 실시예 7(화합물 14), 실시예 8(화합물 15), 실시예 9(화합물 16), 실시예 10(화합물 18), 실시예 19(화합물 19) 및 실시예 21(화합물 21)의 화합물의 억제하는 정도(IC50)를 비교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2mM p-NPP(p-nitrophenyl phosphate)를 기질로 이용하여 탈 인산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PTP1B에 대한 저해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증류수로 희석시킨 PTP1B를 2mM p-NPP {p-nitrophenyl phosphate, 0.1M NaCl, 1mM EDTA, 50 mM citrate pH6.0, 1mM dithiothreitol (DTT)} 및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 1을 3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N-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들의 흡광도(405nm)를 측정하여 화합물 1의 농도에 따른 PTP1B 활성의 저해 정도(IC50)를 확인하였다.글라브리딘,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14, 화합물 15, 화합물 16, 화합물 18, 화합물 19 및 화합물 2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IC50 = μM
글라브리딘 48
화합물 1 46
화합물 3 7.0
화합물 4 2.9
화합물 5 2.8
화합물 14 6.5
화합물 15 8.6
화합물 16 1.9
화합물 18 3.4
화합물 19 1.2
화합물 21 2.3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보듯이, 글라브리딘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PTP1B를 5~10배 잘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DIO 마우스(DIO-mice) 항비만 효과 실험
암컷 C57BL/6 마우스(나라바이오테크) 5주령을 구입하여 최소 10주 이상 고지방 사료만으로 사육하여 DIO(diet induced obeisity) 마우스를 유도하였다. 제조예 1(글라브리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화합물(화합물 1~5, 7, 9, 11, 14~16, 21, 23)을 투여 용량에 따라 정확히 시료를 취하여 팔콘 튜브(Falcon tube)에 넣고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 3ml를 가하고 볼텍스(vortex) 믹서를 사용하여 1차로 부드럽게 혼합한 다음, 0.5% 메틸 셀룰로오스 수용액 1.5ml를 추가한 상태에서 호모게나이저 (30,000rpm, Ultra-Turrax T10 Basic, IKA)를 사용하여 3분간 처리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를 1회용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여 매일 한 차례씩 28일 동안 (4주간) 경구 위관(oral gavage) 투여하였다. 이렇게 DIO 마우스를 사육하면서 1주일에 2차례씩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산출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항비만 효과(%)는 아래와 같이 정의한 수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항비만 효과 = {(대조군 체중) - (실험군 체중)} / (대조군 체중) × 100
상기와 같이 얻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번호 항비만 효과(%) 투여기간 및 용량
글라브리딘 2 4주, 150mg/kg
화합물 1 8 4주, 150mg/kg
화합물 2 8 4주, 200mg/kg
화합물 3 19 4주, 200mg/kg
화합물 4 18 4주, 150mg/kg
화합물 5 19 4주, 150mg/kg
화합물 7 14 4주, 150mg/kg
화합물 9 10 4주, 150mg/kg
화합물 11 8 4주, 150mg/kg
화합물 14 12 4주, 150mg/kg
화합물 15 14 4주, 150mg/kg
화합물 16 7 4주, 150mg/kg
화합물 21 16 4주, 150mg/kg
화합물 23 11 4주, 200mg/kg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닐 유도체들은 항 비만 활성이 글라브리딘에 비해 월등히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8일 (4주) 동안 실험을 수행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실험 동물을 도태시키면서 혈액을 취하는 동시에 각각의 장기별로 (간, 심장, 신장, 이자, 지방조직 등)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특이 사항을 관찰하였다.
실험군 Dose
(mg/kg)
BMI Liver
(g)
Fat
(g)
AST
(U/L)
ALT
(U/L)
LDL
(mg/dL)
FFA
(μEq/L)
글라브리딘 150
{150}
4.2
{4.2}
1.23
{1.48}
2.70
{1.92}
90
{170}
41
{89}
10
{17}
1520
{1913}
화합물 1 150 3.8 1.24 2.07 93 34 11 1400
화합물 3 {200} {3.5} {1.53} {1.62} {152} {73} {22} {2390}
화합물 4 (150) (2.9) (1.25) (1.20) (209) (58) (18) (2380)
화합물 5 (150) (3.0) (1.15) (1.04) (131) (50) (12) (2310)
화합물 14 150 3.9 1.19 2.23 131 51 13 2160
화합물 15 150 3.6 1.28 2.02 143 52 10 1760
화합물 21 150 3.6 1.11 2.13 104 46 12 1520
대조군
Dio-mice
- 4.4
{4.4}
(3.6)
1.30
{2.01}
(1.19)
2.67
{1.96}
(2.41)
212
{268}
(126)
94
{213}
(80)
29
{29}
(21)
2840
{2130}
(4010)
대조군
Lean mice
-
3.1
{2.7}
(2.7)
1.19
{1.04}
(0.95)
0.77
{0.72}
(0.53)
76
{111}
(81)
32
{58}
(29)
11
{11}
(9.3)
2040
{1930}
(2970)
Dose: 투여 용량
BMI: 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
Liver: 간의 무게
Fat: 부고환 및 신장 주변에서 적출한 지방의 무게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 효소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 효소
LDL :Low density lipoprotein; 저밀도 지단백
FFA: Free fatty acid; 유리지방산
상기 표 3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수행한 실험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 () 등을 사용하였다. 괄호가 없는 실험은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동시에 수행한 시험들이다.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피라노크로메닐페닐 유도체를 투여하는 동안 DIO 마우스의 체중 감소는 지방조직의 중량 감소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고, DIO 마우스의 BMI가 감소하면서 생화학적 지표들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C 2 C 12 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 (uptake)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화합물(화합물15)을 대상으로 C2C12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능력을 기존에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했거나 사용 중인 로지글리타존(Rosiglytazone) 및 메트포민(Metformin)과 비교해보았다. C2C12 세포는 5% CO2에서 10% 소태아혈청(FBS), 페니실린 (120unit/mL)과 스트렙토마이신 (75 μg/mL)이 함유된 둘베코 개질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서 배양하였고, 분화에 사용된 배지는 1% 말 혈청(hors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로 4일간 C2C12 세포를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세포를 2-[N-(7-니트로벤즈-2-옥사-1,3-디아졸-4-일) 아미노]-2-데옥시-d-글루코스(2-NBDG)가 있는 저-글루코스무혈청(low-glucose, serum-free) 배지에서 화합물 15와 함께 24시간 처리하여 형광 검출기로 여기 파장 485nm 및 방출 파장 535 nm에서 측정하여 포도당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로지글리타존 및 메트포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처리 농도 2-NBDG 흡수(uptake)
(Fold Induction)
대조군 - 1.00
로지글리타존 50 μM 1.94±0.15
메트포민 20 μM 1.89±0.03
화합물15 20 μM 2.07±0.13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기존의 당뇨 치료제와 비교하여 화합물 15의 포도당 흡수 촉진능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db / db 마우스( db / db -mice) 항당뇨 효과 실험
C57BLKS/J-db/db, 수컷, 5주령(중앙실험동물)을 구입하여2주간 순화시킨 다음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9에서 준비한 화합물(화합물 5, 16)을 투여 용량에 따라 정확히 시료를 취하여 Falcon tube에 넣고 냉장 보관 중인 0.5% 메틸셀룰로오스 수용액을 실온에 두어 부형제가 실온으로 되게 한 후, 각각의 50ml Falcon tube에 각각 16ml씩을 가하고 vortex 믹서를 사용하여 1차로 부드럽게 혼합한 다음, 호모게나이저 (30,000rpm, CPT-1600E, Kinemtica, Sweitzerland)를 사용하여 3분간 처리함으로써 현탁하여 균질화한 후에 다시 30분가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를 경구 투여용 존데를 부착한 1회용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여 매일 한 차례씩 42일 동안 (6주간) oral gavage 투여하였다.
이렇게 db/db 마우스를 사육하면서 당화혈색소(HbA1c)를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 측정은 군분리 2 일전, 투여후 4일째 및 투여 후 6주째에 실시했는데 측정 당일에 4 시간 절식시킨 후, 각 물질의 투여전에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당화혈색소측정기(SD A1cCare, SD Biosensor, Inc.,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HbA1c (%) 투여기간 및 용량
투여전 4주 6주
대조군 4.7 9.2 9.0 -
화합물 5 4.7 5.3 5.7 6주, 300mg/kg
화합물 16 4.7 6.7 6.2 6주, 300mg/kg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피라노크로메닐페닐 유도체들은 혈당을 거의 정상 수준 (정상 혈당: HbA1C 6.0 이하)으로 조절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실험에서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에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의 간을 절개하여 H&E(hematoxylin and eosin) 및 페릴리핀 항체(perilipin antibody)로 각각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16을 투여한 경우의 현미경 사진(도 2a, 3a, 4a, 5a)과, 비교를 위하여 아무런 약물도 투여하지않은 대조군의 사진(도 2b, 3b, 4b, 5b)을 나타내었다.
도 2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100배 확대)이다. 도 2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200배 확대)이다. 도 3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페릴리핀 항체(perilipin antibody)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100배 확대)이다. 도 4b는 화합물 16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화합물 16을 6주간 투여한 이후 최종 도태시킨 후에 부검하여 채취한 마우스 간 조직의 페릴리핀 항체(perilipin antibody)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200배 확대)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듯이,거대 지방세포가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괴사된 세포가 많이 발견되는 대조군과는 달리 화합물 16을 투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은 지방세포가 작고 치밀한 형태여서 전반적으로 건강하였다.
실험예 5: BV2 세포 NO assay 실험 (항염증 효능 확인 실험)
96 웰 플레이트에 1X104세포/웰 농도로 BV2 microglia 세포를 24시간 배양시키고, 화합물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않는 3 농도(글라브리딘의 경우 5 uM, 10 uM 및 20uM),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15, 화합물 16 및 화합물 18의 경우 2.5 uM, 5 uM 및 10uM 농도)로 3 시간 전처리하였다. 전처리 후 MTT (Sigma, M2128) 시약0.5 mg/ml을 추가로 넣었다. 5% CO2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DMSO 150μl를 첨가하여 30분간 흔들어준 후 ELISA micro plate reader (Bio Rad Laboratories Inc., California, USA, Model 680)를 사용하여 파장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모든 실험치는 대조군에 대한 세포 보호율을 각각 3회 반복 실험치를 이용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고, 각각의 화합물별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에서 NO 생성 억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BV2 microglia 세포를 5×105 cells/well 수준으로 24 well plate에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화합물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않는 3농도(글라브리딘의 경우 5 uM, 10 uM 및 20uM),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15, 화합물 16 및 화합물 18의 경우 2.5 uM, 5 uM 및 10uM 농도)에서 3 시간 전처리 후에 LPS (1μg/ml)를 처리하여 24시간 후 세포에서 배지로 분비되어 나온 NO의 양을 Griess 시약 (0.1% (w/v) N-(1-naphathyl)-ethylenediamine and 1%(w/v) sulfanilamide in 5% (v/v) phosphoric acid)을 사용하여 반응하였다. 반응 후 ELISA micro plate reader (Bio Rad Laboratories Inc., California, USA, Model 680)를 사용하여 540nm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NO 생성량의 차이로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하기의 표 6 및 도 6에서 보듯이,본 발명의 화합물 4, 5, 15, 16, 18 등은 NO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글라브리딘에 비해서 5~9배 효과가 우수하였다.
화합물 BV2 (IC50) (μM)
글라브리딘 19.6
화합물 4 3.7
화합물 5 3.8
화합물 15 2.7
화합물 16 2.3
화합물 18 2.8
실험예 6: RAW264.7 대식세포 NO assay 실험 (항염증 효능 확인 실험)
96 웰 플레이트에 1X104 세포/웰 농도로 RAW264.7 대식세포를 24시간 배양시키고, 화합물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않는 3 농도(글라브리딘의 경우 10 uM, 20 uM 및 40uM),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15, 화합물 16 및 화합물 18의 경우 5 uM, 10 uM 및 20uM 농도)로 3 시간 전처리하였다. 전처리 후 0.5 mg/ml 농도로 MTT (Sigma, M2128) 시약을 넣었다.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DMSO 150μl를 첨가하여 30분간 흔들어준 후 ELISA micro plate reader (Bio Rad Laboratories Inc., California, USA, Model 680)를 사용하여 파장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모든 실험치는 대조군에 대한 세포 보호율을 각각 3회 반복 실험치를 이용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고, 각각의 화합물별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에서 NO 생성 억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를 5×105 cells/well 수준으로 24 well plate에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화합물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않는 3 농도(글라브리딘의 경우 10 uM, 20 uM 및 40uM),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15, 화합물 16 및 화합물 18의 경우 5 uM, 10 uM 및 20uM 농도)로 3 시간 전처리 후에 LPS (1μg/ml)를 처리하여 24시간 후 세포에서 배지로 분비되어 나온 NO의 양을 Griess 시약 (0.1% (w/v) N-(1-naphathyl)-ethylenediamine and 1%(w/v) sulfanilamide in 5% (v/v) phosphoric acid)을 사용하여 반응하였다. 반응 후 ELISA micro plate reader (Bio Rad Laboratories Inc., California, USA, Model 680)를 사용하여 540nm에서 측정 하였다.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NO 생성량의 차이로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하기의 표 7에서 보듯이,본 발명의 화합물 4, 5, 15, 16, 18 등은 NO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났다.
화합물 RAW264.7 (IC50) (μM)
글라브리딘 9.3
화합물 4 8.6
화합물 5 5.2
화합물 15 6.8
화합물 16 4.4
화합물 18 5.6
실험예 7: 화학적 안정성 비교 실험
제조예 1의 글라브리딘 및 실시예 3(화합물 4), 실시예 4(화합물 5) 및 실시예 8(화합물 15)에 대한 상대적인 화학적 안정성 정도를 비교해보았다. 즉, 글라브리딘, 화합물 4, 화합물 5 및 화합물 15을 각각 50mg씩 정확히 검량하여 50ml의 1% HCl in MeOH 및 10ml의 1% NaOH in MeOH에 녹이고 0, 8hrs, 12hrs, 24hrs, 48hrs, 72hrs 시간대별로 이들의 농도를 HPLC로 조사해보았다. 이때, 1% HCl 및 1% NaOH in MeOH에 잔류하는 시료의 농도는 내부 표준(internal standard) (실시예7의 화합물 14)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즉, 화합물 14 10mg을 정확히 검량하여 아세토니트릴 100ml에 녹인 다음, 이 용액 9ml를 시간대별로 분취한 시료 1 ml와 혼합하고 이를 HPLC로 분석하여 내부 표준의 농도와 분취한 시료에 잔류하는 농도를 초기값과 비교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시간대별로 이들 시료들에 대한 1% HCl in MeOH에서의 잔류 농도는 하기 표 8과 도 7, 1% NaOH in MeOH에서의 잔류 농도는 하기 표 9와 도 8과 같다.
하기 표 8 및 표 9에서 100%가 넘는 수치는 초기 측정 값에 비해 약간 높은 농도로 측정된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측정시에 발생하는 통계적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측정값의 평균값을 표시한 것에 기인한다. 약 95% 이상인 측정치는 사실상 농도 변화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1% HCl in MeOH 0 8h 24h 48h 72h
글라브리딘 100% 99% 94% 82% 74%
화합물 4 100% 99% 101% 101% 100%
화합물 5 100% 102% 102% 101% 101%
화합물 15 100% 98% 100% 98% 100%
1% NaOH in MeOH 0 8h 24h 48h 72h
글라브리딘 100% 71% 38% 23% 13%
화합물 4 100% 101% 101% 99% 100%
화합물 5 100% 101% 102% 100% 102%
화합물 15 100% 100% 100% 98% 100%
상기 표 8 및 표 9에서 보듯이, 글라브리딘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4, 화합물 5 및 화합물 15는 1% HCl in MeOH 및 1% NaOH in MeOH 조건에서도 3일 (72h)까지 대단히 안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하기 식 (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화학식 1]
    Figure pat00053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인 식 (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메톡시메톡시인 식 (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용매화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중 어느 하나인 식 (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화합물 2 화합물 3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화합물 4 화합물 5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화합물 6 화합물 7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화합물 8 화합물 9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화합물 10 화합물 11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화합물 12 화합물 13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화합물 14 화합물 15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화합물 16 화합물 17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화합물 18 화합물 19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화합물 20 화합물 21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화합물 22 화합물 23
  5. 하기 식(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pat00076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 R1 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인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I')중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메톡시메톡시인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중 1종 이상인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pat00077

    화합물 1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화합물 2 화합물 3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화합물 4 화합물 5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화합물 6 화합물 7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화합물 8 화합물 9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화합물 10 화합물 11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화합물 12 화합물 13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화합물 14 화합물 15
    Figure pat00092
    Figure pat00093

    화합물 16 화합물 17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화합물 18 화합물 19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화합물 20 화합물 21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화합물 22 화합물 23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및 지방간중 1종 이상인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의 복합 질환인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하기 식(I')의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pat00100
    (I')
    상기 식에서,
    R1 은 수소 원자, 메틸, 메톡시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C1-C2 알킬기이고;
    상기 치환 알킬, 치환 알콕시 및 치환 티오알킬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 R1 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인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I')중 R1은 수소 원자이고,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메톡시메톡시인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중 1종 이상인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igure pat00101

    화합물 1

    Figure pat00102
    Figure pat00103

    화합물 2 화합물 3

    Figure pat00104
    Figure pat00105

    화합물 4 화합물 5
    Figure pat00106
    Figure pat00107

    화합물 6 화합물 7
    Figure pat00108
    Figure pat00109

    화합물 8 화합물 9
    Figure pat00110
    Figure pat00111

    화합물 10 화합물 11
    Figure pat00112
    Figure pat00113

    화합물 12 화합물 13
    Figure pat00114
    Figure pat00115

    화합물 14 화합물 15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7

    화합물 16 화합물 17
    Figure pat00118
    Figure pat00119

    화합물 18 화합물 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화합물 20 화합물 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화합물 22 화합물 23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I')중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에톡시, n-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메톡시메톡시인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7. 상기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및 천식, 아토피, 당뇨 또는 심근경색으로부터 발생하는 염증 질환;중 1종 이상인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40181951A 2013-12-24 2014-12-17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4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70935.5A CN105849111B (zh) 2013-12-24 2014-12-23 吡喃并秋葵纤维异甲酚衍生物以及代谢综合征或炎症疾病治疗用药学组成物
AU2014370697A AU2014370697B2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JP2016540481A JP6620096B2 (ja) 2013-12-24 2014-12-23 ピラノクロメニルフェノール誘導体、及び代謝症候群または炎症疾患治療用医薬組成物
DK14873860.2T DK3098224T3 (da)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phenolderivat og farmaceutisk sammensætning til behandling af metabolisk syndrom eller inflammationssygdom
HUE14873860 HUE043902T2 (hu) 2013-12-24 2014-12-23 Piranokromenil-fenol származék, és gyógyszerészeti kompozíció metabolikus szindróma vagy gyulladásos betegség kezelésére
NZ720328A NZ720328A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US15/037,230 US9783551B2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MX2016008429A MX2016008429A (es) 2013-12-24 2014-12-23 Derivado de piranocromenil fenol, y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tratar un sindrome metabolico o enfermedad inflamatoria.
PCT/KR2014/012688 WO2015099392A1 (ko) 2013-12-24 2014-12-23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L14873860T PL3098224T3 (pl) 2013-12-24 2014-12-23 Pochodna piranochromenylofenolu i kompozycja farmaceutyczna do leczenia zespołu metabolicznego lub choroby zapalnej
PT14873860T PT3098224T (pt) 2013-12-24 2014-12-23 Derivado de piranocromanilfenol,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tratar a síndrome metabólica ou doença inflamatória
SG11201604371PA SG11201604371PA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CA2929001A CA2929001C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EP14873860.2A EP3098224B1 (en) 2013-12-24 2014-12-23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ES14873860T ES2718878T3 (es) 2013-12-24 2014-12-23 Derivado de piranocromenilfenol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el tratamiento del síndrome metabólico o la enfermedad inflamatoria
TW103145316A TWI585093B (zh) 2013-12-24 2014-12-24 供治療代謝症候群或發炎性疾病的吡喃苯并吡喃基苯酚衍生物及醫藥組成物
IL245908A IL245908B (en) 2013-12-24 2016-05-29 Consequences of pyranochromanil phenol and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JP2018056783A JP2018135343A (ja) 2013-12-24 2018-03-23 ピラノクロメニルフェノール誘導体、及び代謝症候群または炎症疾患治療用医薬組成物
HRP20190573TT HRP20190573T1 (hr) 2013-12-24 2019-03-25 Piranokromenil fenol derivat, i farmaceutska kompozicija za liječenje metaboličkog sindroma ili inflamatorne bolesti
CY20191100423T CY1121554T1 (el) 2013-12-24 2019-04-16 Παραγωγο πυρανοχρωμενυλ-φαινολης, και φαρμακευτικη συνθεση για αγωγη μεταβολικου συνδρομου ή φλεγμονωδους παθηση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2909 2013-12-24
KR1020130162909 201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030A true KR20150075030A (ko) 2015-07-02
KR102344479B1 KR102344479B1 (ko) 2021-12-29

Family

ID=5378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951A KR102344479B1 (ko) 2013-12-24 2014-12-17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783551B2 (ko)
EP (1) EP3098224B1 (ko)
JP (2) JP6620096B2 (ko)
KR (1) KR102344479B1 (ko)
CN (1) CN105849111B (ko)
AU (1) AU2014370697B2 (ko)
CA (1) CA2929001C (ko)
CY (1) CY1121554T1 (ko)
DK (1) DK3098224T3 (ko)
ES (1) ES2718878T3 (ko)
HR (1) HRP20190573T1 (ko)
HU (1) HUE043902T2 (ko)
IL (1) IL245908B (ko)
MX (1) MX2016008429A (ko)
NZ (1) NZ720328A (ko)
PL (1) PL3098224T3 (ko)
PT (1) PT3098224T (ko)
SG (1) SG11201604371PA (ko)
TW (1) TWI585093B (ko)
WO (1) WO201509939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53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8066872A1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합성 방법
WO2019194582A1 (ko)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의 합성 방법
WO2019194583A1 (ko) *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0175962A1 (ko) 2019-02-28 2020-09-03 주식회사 글라세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20788A2 (ko)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글라세움 2-((6-(히드록시메틸)크로멘-5-일)옥시)-1-페닐에타논 유도체의 합성 방법
WO2022260435A1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글라세움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479B1 (ko) * 2013-12-24 2021-12-29 주식회사 글라세움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3616548B (zh) * 2021-09-02 2023-04-28 河南科技大学 一种水溶性光甘草定包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903879B (zh) * 2022-06-23 2023-10-31 东北大学 3-烃基苯酚衍生物在制备预防或治疗高脂血症及相关代谢性疾病产品中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211A (ko) * 2005-11-16 2007-05-21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글라브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환 증후군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60134A1 (en) 2001-10-11 2003-05-08 Kaneka Corporation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ligan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65423B1 (ko) * 2003-10-20 2006-03-30 빅 바이오 주식회사 이소플라반 유도체 또는 이소플라벤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006008604A (ja) * 2004-06-25 2006-01-12 Kuraray Co Ltd イソフラバ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2344479B1 (ko) * 2013-12-24 2021-12-29 주식회사 글라세움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211A (ko) * 2005-11-16 2007-05-21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글라브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환 증후군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7058480A1 (en) 2005-11-16 2007-05-24 Md Bioalpha Co., Ltd. Composition having effect 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syndrome treatment with glabridin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P. Combs; J. Med. Chem.53 (2010), 2333~2344.
D. Popov; Biochem Biophys Res Commun. 410 (2011), 377~381.
M. Ao,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 5 (2010), 1907~1912.
M. Feldhammer, N. Uetani, D. Miranda-Saavedra, M. L. Tremblay; Crit. Rev. Biochem. Mol. Biol. 48 (2013) 430~445.
T. O. Johnson, J. Ermolieff, M. Jirousek; Nature Reviews 1 (2002), 696~709.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651A1 (en) 2016-06-29 2022-07-06 Glaceum, Inc. Optically active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18000253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11332475B2 (en) 2016-06-29 2022-05-17 Glaceum, Inc. Optically active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0669282B2 (en) 2016-10-04 2020-06-02 Glaceum, Inc. Method for synthesizing 3-phenyl-2,3,4,8,9,10-hexahydropyrano[2.3-f]chromene derivative and optical isomer of thereof
WO2018066872A1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합성 방법
KR20180091803A (ko) 2016-10-04 2018-08-16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합성 방법
US10947250B2 (en) 2016-10-04 2021-03-16 Glaceum, Inc. 3-phenyl-2,3,4,8,9,10-hexahydropyrano[2,3-f]chromene derivative and method for synthesizing optical isomer thereof
JP2019529577A (ja) * 2016-10-04 2019-10-17 グラセウ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3−フェニル−2,3,4,8,9,10−ヘキサヒドロピラノ[2,3−f]クロメン誘導体およびその光学異性体の合成方法
WO2019194583A1 (ko) *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116099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116100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의 합성 방법
WO2019194582A1 (ko) 2018-04-03 2019-10-10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의 합성 방법
WO2020175962A1 (ko) 2019-02-28 2020-09-03 주식회사 글라세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5198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글라세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20788A2 (ko)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글라세움 2-((6-(히드록시메틸)크로멘-5-일)옥시)-1-페닐에타논 유도체의 합성 방법
KR20210014521A (ko)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글라세움 2-((6-(히드록시메틸)크로멘-5-일)옥시)-1-페닐에타논 유도체의 합성 방법
WO2022260435A1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글라세움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1163A (ja) 2017-01-12
AU2014370697A1 (en) 2016-06-16
EP3098224B1 (en) 2019-01-30
ES2718878T3 (es) 2019-07-05
CN105849111B (zh) 2018-05-04
IL245908A0 (en) 2016-08-02
MX2016008429A (es) 2017-02-23
SG11201604371PA (en) 2016-07-28
JP2018135343A (ja) 2018-08-30
HUE043902T2 (hu) 2019-10-28
US9783551B2 (en) 2017-10-10
EP3098224A1 (en) 2016-11-30
PT3098224T (pt) 2019-04-26
NZ720328A (en) 2018-02-23
CN105849111A (zh) 2016-08-10
DK3098224T3 (da) 2019-05-13
CA2929001C (en) 2018-02-20
EP3098224A4 (en) 2017-07-05
CY1121554T1 (el) 2020-05-29
KR102344479B1 (ko) 2021-12-29
TWI585093B (zh) 2017-06-01
US20160272650A1 (en) 2016-09-22
JP6620096B2 (ja) 2019-12-11
TW201607949A (zh) 2016-03-01
IL245908B (en) 2020-08-31
AU2014370697B2 (en) 2017-01-19
WO2015099392A1 (ko) 2015-07-02
PL3098224T3 (pl) 2019-07-31
CA2929001A1 (en) 2015-07-02
HRP20190573T1 (hr)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479B1 (ko)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80027191A (ko) 신규한 벤즈옥사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A023435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новый холиновый сокристалл эпалрестата
JP7036871B2 (ja) 光学活性ピラノクロメニルフェノー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CN114225037B (zh) 一种预防或治疗骨质疏松症的组合物及其制剂和用途
JP6977053B2 (ja) ギ酸または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または肥満によって惹起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TWI782301B (zh) 包含檸檬苦素類化合物和dpp-4抑制劑的組合產品
EP2650288A1 (en) Sleep-improving agent
KR100957205B1 (ko)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를 저해하는벤조나프토크산테논계 화합물 및 그 용도
CN1688566A (zh) 治疗药
CN100350902C (zh) 含有来自红豆杉的木聚糖类的降血糖剂、保肝药、抗癌剂
KR100627643B1 (ko)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767051B1 (ko)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의 분리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의정제방법
KR101620022B1 (ko) 닥나무로부터 추출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60053227A1 (en) Agent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white adipocytes into brown-like adipocytes
BR112016011281B1 (pt) Composto da seguinte fórmula (i)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este e composto da seguinte fórmula (i)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este
KR20070001326A (ko) 핵수용체 피피에이알감마의 신규한 리간드
KR20060121273A (ko) 치료제
TW200528093A (en) Novel mixture and compounds from mycelia of antrodia camphorata and use thereof
NZ749461B (en) Optically active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TW200950774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nd the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