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0435A1 -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0435A1
WO2022260435A1 PCT/KR2022/008093 KR2022008093W WO2022260435A1 WO 2022260435 A1 WO2022260435 A1 WO 2022260435A1 KR 2022008093 W KR2022008093 W KR 2022008093W WO 2022260435 A1 WO2022260435 A1 WO 20222604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group
branched
unsubstituted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0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상구
박형순
이형민
전현주
최레오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라세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라세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라세움
Priority to EP22820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53226A1/en
Publication of WO20222604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04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Definitions

  • Formula III-1 is a pyrano[2,3-f]chromene deriva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III-1, wherein R 1 is a hydrogen atom and R 2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 Formula III,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cceptable salt thereof or a solvate thereof is chemically stable, and may have excellent effects in preventing and treating degenerative eye diseases. In particular, it can have excellent effects in preventing and treat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the pyrano[2,3-f]chromene derivative compound of Formula I can be prepared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2015-0075030 and 10-2018-0002539. ca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RPE cells were isolated from the same model as in Experimental Example 3, and changes in mitochondrial active oxygen in RPE cells were confirmed through a fluorescence microscope in the cells stained with Mito-SOX, and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명세서는 2021년 6월 8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074192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퇴화를 유도하여 실명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나이 관련 안과 질환 중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황반변성은 습성 황반변성과 건성 황반변성으로 나누어지며, 신생혈관의 생성과 관련하여 망막 황반의 퇴화가 일어나는 것을 습성 황반변성(Wet 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이라고 하며, 신생혈관관련 황반변성이라고도 한다. 반면 신생혈관 생성과 관련 없이 황반이 퇴화되는 것을 건성 황반변성(dry AMD)이라고 한다.
신생혈관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치료법에는 주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를 차단하기 위한 약물을 안구 안으로 주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라니비주맙(Ranibizumab, Lucentis®)은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신생혈관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임이 보고되어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병변이 자주 재발함에 따라 주사횟수가 많아져 환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준다. 일부 환자에서는 주사술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한편,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차단은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과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은 군들에서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성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부작용의 위험성을 줄이고 황반변성에 대해 효율적 치료 효과를 가져오는 새로운 치료조성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필름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퇴행성 안질환,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wet-AMD 동물모델에서 Z-Stack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구조로 입체화 된 병변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병변의 양을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 따라 wet-AMD 동물모델에서 Z-Stack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구조로 입체화 된 병변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병변의 양을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4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5에 따라 wet-AMD 동물모델에서 Z-Stack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구조로 입체화 된 병변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병변의 양을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7에 따라 wet-AMD 동물모델에서 Z-Stack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구조로 입체화 된 병변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병변의 양을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8은 실험예 8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예 9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병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예 10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RPE 세포의 골격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예 11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실험예 12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RPE 세포 내 염증인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2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한 "선택적 이중결합"이라 함은 경우에 따라 단일결합이거나 이중결합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퇴행성 안질환,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백내장,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과 같이 시력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하다. 상기 퇴행성 안질환 중 황반변성은 습식 황반변성 또는 건식 황반변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상기 R2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또는 히드록시기이며, 상기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고, 상기 R5 및 R6은 각각 메틸기일 수 있다. 상기 R1 내지 R6가 상기한 것인 경우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3
상기 화학식 I-1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1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1은 상기 화학식 I에서 R1이 수소 원자이고, R2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화학식 I-1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4
상기 화학식 II에서,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 중에서, 상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5
상기 화학식 II-1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I-1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1은 상기 화학식 II에서 R1이 수소 원자이고, R2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화학식 II-1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 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1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1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6
상기 화학식 II-1a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I-1a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1a은 상기 화학식 II-1의 (S) 이성질체에 해당된다. 상기 화학식 II-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광학활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화학식 II-1a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7
상기 화학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I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8
상기 화학식 III-1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III-1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I-1은 상기 화학식 III에서 R1이 수소 원자이고, R2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화학식 III-1로 표시되는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1 내지 화합물 1-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09
<화합물 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0
<화합물 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1
<화합물 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2
<화합물 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3
<화합물 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4
<화합물 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5
<화합물 1-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6
<화합물 1-8>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7
<화합물 1-9>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8
<화합물 1-10>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19
<화합물 1-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0
<화합물 1-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1
<화합물 1-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2
<화합물 1-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3
<화합물 1-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4
<화합물 1-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5
<화합물 1-1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6
<화합물 1-18>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 중에서,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은 퇴행성 안질환,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1a 내지 화합물 1-17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7
<화합물 1-1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8
<화합물 1-2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29
<화합물 1-3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0
<화합물 1-4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1
<화합물 1-5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2
<화합물 1-6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3
<화합물 1-7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4
<화합물 1-8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5
<화합물 1-9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6
<화합물 1-10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7
<화합물 1-11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8
<화합물 1-12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39
<화합물 1-13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0
<화합물 1-14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1
<화합물 1-15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2
<화합물 1-16a>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3
<화합물 1-17a>
이때, 상기 화합물 1-3a는 상기 화합물 1-18과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2-1 내지 화합물 2-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4
<화합물 2-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5
<화합물 2-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6
<화합물 2-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7
<화합물 2-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8
<화합물 2-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49
<화합물 2-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0
<화합물 2-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1
<화합물 2-8>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2
<화합물 2-9>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3
<화합물 2-10>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4
<화합물 2-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5
<화합물 2-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6
<화합물 2-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7
<화합물 2-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8
<화합물 2-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59
<화합물 2-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0
<화합물 2-17>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퇴행성 안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1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퇴행성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2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퇴행성 안질환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일 수 있다. 상기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신생혈관의 생성과 관련하여 망막 황반의 퇴화가 일어나는 습성 황반변성(Wet 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또는 신생혈관 생성과 관련 없이 황반이 퇴화되는 건성 황반변성(dry AMD)일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R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을 보호하며, RPE 세포의 구조를 회복하여 세포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퇴행성 안질환 특히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유리산과 함께 염을 형성하여, 산 부가염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롤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5-0075030 및 10-2018-0002539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용 제제 및 주사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약학적 활성 성분을 제외한 임의의 구성 성분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다른 구성 성분들과 상호작용하여(예를 들면, 담체들 상호 간 또는 약학적 활성 성분과 담체 간의 상호작용) 약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의 선택은 특정한 투여 제형의 특성, 투여 방식, 용해도 및 안정성에 대한 상기 담체의 효과와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또는 윤활제), 흡착제, 안정화제, 용해 보조제, 감미제, 착색제 및 착향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희석제(diluent)는 조성물의 부피를 증량하여 제형에 따른 적절한 크기로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임의의 부형제를 지칭한다. 상기 희석제는, 전분(예를 들면, 감자전분, 옥수수전분, 밀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예를 들면, 저수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예를 들면, 유당 일수화물, 무수유당, 분무유당), 포도당, 소르비톨, 만니톨, 수크로오스,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칼슘포스페이트, 무수인산수소칼슘 및 이산화규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희석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조성물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3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binder)는 분말상의 물질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압착을 용이하게 하고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결합제는 전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락토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포비돈, 코포비돈 및 젤라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1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1 중량% 내지 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disintegant)는 생체 투여 후 고체 제형의 붕괴 또는 붕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붕해제는 나트륨전분글리콜레이트,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젤라틴화전분과 같은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비검(veegum)과 같은 클레이(clay), 미세결정성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과 같은 알긴류, 크로스카르멜로스(croscarmellose) 나트륨과 같은 가교 셀룰로오스, 구아검, 잔탄검과 같은 검,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과 같은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과 같은 비등성 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붕해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4 중량%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활택제(glidant) 또는 윤활제(lubricant)는 압착 설비에 대한 분말의 부착을 방지하고 과립의 유동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활택제는 경질 무수 규산,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의 금속염(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등),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 글리세릴비헤네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택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화 및 품질 유지를 위해 1 중량% 내지 3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흡착제(adsorbant)는 함수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또는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제(stabilizer)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카로틴, 레티놀,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폴리에틸렌글리콜 숙신산 또는 프로필갈레이트와 같은 항산화제, 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에틸 사이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술포부틸에테르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당류의 환상화합물, 인산, 젖산, 초산, 구연산, 주석산, 숙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또는 글루쿠론산과 같은 유기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미각을 돋구어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공지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크랄로오스,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에리스리톨, 아세설팜 칼륨, 당 알코올, 벌꿀, 소르비톨 또는 아스파르탐과 같은 감미제를 첨가하여, 쓴맛을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시키고 제제의 안정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과 같은 산미제,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 반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제, 산제, 세립, 과립, 용액 또는 현탁액 재구성용 분말, 로젠지, 웨이퍼, 구강필름(oral strip) 드라제(dragee), 츄잉검(chewable gu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액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제, 엘릭서제, 주정제, 방향수제, 레모네이드제, 엑스제, 침전제, 틴크제 및 약유제를 포함한다. 반고형 제제는 에어로졸, 크림, 겔(gel)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주사제로 제제화될 경우 혈액과 등장인 무독성 완충용액을 희석제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H 7.4의 인산완충용액 등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완충용액 이외에 기타 다른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제에 사용되는 담체와 제제의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바에 따라 선택하고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신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시기는 투여대상의 나이, 성별, 상태, 체중, 투여경로, 투여 횟수, 약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유효성분 즉, 화학식 I의 화합물 기준으로 약 0.1 내지 3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mg/kg 이다. 상기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진행 정도, 투여 경로, 성별, 나이, 체중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효성분으로서 성인을 기준으로 1 일 총 투여량이 유효성분인 화학식 I의 화합물 기준으로 1 내지 20 ㎎/㎏이 되도록 임의로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화학식 1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이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5-0075030 및 10-2018-0002539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에 대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CNV를 이용한 wet-AMD 모델에서 예방 및 치료 효과 확인
수컷의 C57BL/6 마우스를 졸레틸과 럼푼을 사용하여 마취하고 세극등 현미경 (Slit lamp)을 사용하여, 쥐 안구 내 망막 2시, 6시, 10시 방향 위치에 3개의 레이져 광응고술 (Photocoagulation)을 시행하여 망막에 병변을 유도(wet-AMD)하였다.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는 wet-AMD를 유도하기 6일 전부터 경구 투여하였으며, 질환 유도 후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ylea(Bayer,Germany)는 질환 모델 유도 직후 안구에 직접 주사하여 투여하였다.
Wet-AMD 모델 유도 후 7일간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을 투여한 마우스에 FITC-Dextran (SIGMA, #46944)을 5 mg/kg의 농도로 식염수와 배합하여 쥐 무게 측정 후 꼬리정맥에 주사하였으며, Z-Stack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 구조로 입체화 된 병변의 이미지에서 정량적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병변의 이미지 및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을 투여함에 따라 wet-AMD 모델에서 병변 형성이 억제된 것을 3차원 이미지 및 정량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양성대조군인 Anti-VEGF와 동등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CNV 동물 모델(wet-AMD)에서 예방 효과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변화 분석
실험예 1과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Mito-SOX를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쥐 안구 적출 후 바로 MitoSOX쪠 (Invitrogen, #M36008) kit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와 핵을 염색하여 형광현미경내 510/580 nm 파장의 형광으로 촬영을 실시하고,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 산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실험 예 2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의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을 투여함에 따라 wet-AMD 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성대조군인 Anti-VEGF와 동등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CNV를 이용한 wet-AMD 모델에서 치료 효과 확인
실험예 1과 동일하게 wet-AMD 를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 화합물 1-2의 질환 유도 전 투여 없이, 질환 유도 후 7일 간 투여한 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병변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그 양을 정량하였다.
도 3은 실험예 3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병변의 이미지 및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합물 1-2를 질환 유도 후에 투여함에도 병변 형성이 억제된 것을 3차원 이미지 및 정량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양성대조군인 Anti-VEGF와 동등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CNV 동물 모델(wet-AMD)에서 치료 효과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변화 분석
실험예 3과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Mito-SOX를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4은 실험예 4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의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화합물 1-2를 질환 유도 후에 투여함에도 wet-AMD 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성대조군인 Anti-VEGF와 동등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CNV를 이용한 wet-AMD 모델에서 anti-VEGF와의 병용투여 효과 확인
실험예 1과 동일하게 wet-AMD 를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 화합물 1-2의 질환 유도 전 투여 없이, 질환 유도 후 7일 간 Anti-VEGF (Eylea)와 병용투여한 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병변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그 양을 정량하였다.
도 5는 실험예 5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병변의 이미지 및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화합물 1-2와 Anti-VEGF를 병용 투여할 때, 병변 형성이 억제된 것을 3차원 이미지 및 정량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6: CNV 동물 모델(wet-AMD)에서 Anti-VEGF와의 병용투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변화 분석
실험예 5와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Mito-SOX를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6은 실험예 6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의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화합물 1-2와 Anti-VEGF를 병용 투여할 때,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가 대부분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CNV를 이용한 wet-AMD 모델에서 치료 효과 확인 및 농도 상관성에 따른 치료 효과 확인
실험예 1과 동일하게 wet-AMD 를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 화합물 1-2의 질환 유도 전 투여 없이, 질환 유도 후 화합물 1-2를 25, 50, 100mg/kg 의 농도로 7일 간 투여한 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병변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그 양을 정량하였다.
도 7은 실험예 7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병변의 이미지 및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화합물 1-2를 질환 유도 후에 투여함에도 병변 형성이 억제된 것을 3차원 이미지 및 정량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농도 상관성을 보이며 병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CNV 동물 모델(wet-AMD)에서 치료 효과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변화 분석
실험예 7과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Mito-SOX를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2와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8은 실험예 8에 따른 wet-AMD 동물모델의 RPE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촬영한 결과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화합물 1-2를 질환 유도 후에 투여함에도 wet-AMD 모델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농도 상관성 있게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가 감소하여, 100mg/kg에서 최대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Alu-RNA 동물 모델(dry-AMD) 구축 및 안저 촬영
수컷의 C57BL/6 마우스를 마취하고 쥐 안구의 각막윤부에 구멍을 뚫고 해밀튼 주사기(Hamilton syringe)를 사용하여 Alu-RNA 1.2 μg을 망막 밑 공간 (Subretinal-space)에 주사하여, 병변을 유도하였다.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는 dry-AMD 모델 유도 6일 전부터 경구 투여하였으며, 질환 유도 후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에 의한 dry-AMD 예방 및 치료 효과를 TOPCON #TRC-50DX 사를 이용한 안저 촬영을 통하여 병변의 형태를 평가하였다.
도 9는 실험예 9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안구 내 병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를 투여함에 따라 dry-AMD 모델의 안구 내 병변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0: Alu-RNA 동물 모델(dry-AMD)의 RPE 세포 구조 분석
실험예 9와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ZO-1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 (Olympus SZ51, Tokyo,Japan)을 통해 RPE 세포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쥐 안구 적출 후 바로 zonula occludens-1 (ZO-1) 염색을 이용하여 RPE 세포 골격을 염색하여 Z-Stack 촬영기법을 통해 형광현미경으로 촬영을 실시하고, RPE 세포 골격의 변화를 이미지로 촬영하였다.
도 10은 실험예 10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RPE 세포 골격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를 투여함에 따라 dry-AMD모델의 손상된 RPE 세포 골격이 복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1: Alu-RNA 동물 모델(dry-AMD)의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분석
실험예 9와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Mito-SOX를 염색한 세포를 형광현미경을 통해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도 11은 실험예 11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화합물 1-2 및 화합물 1-18를 투여함에 따라 dry-AMD모델의 RPE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2: Alu-RNA 동물 모델(dry-AMD)의 염증 인자 분석
실험예 9와 동일한 모델로부터 RPE 세포를 분리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염증과 관련된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RPE 세포에 트리졸(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첨가한 후 균질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총 RNA를 추출하였다. 1 μg의 총 RNA에 올리고 Dt17 프라이머(oligo Dt17 proimer) 100 pmol을 첨가하고, 74 ℃에서 10 분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30 U RNasin(RNase inhibitor), 10 U AMV-RT(avian myeloblastosis virus reverse transcriptase), AMV-RT 버퍼(프로메가社, 이스라엘)을 첨가한 뒤, 42 ℃에서 2 시간, 52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간 조직에서 추출한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다. cDNA는 (주)타카라 바이오社의 SYBR Premix Ex Taq 키트와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社의 StepOnePlus Real-time PCR 시스템을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도 12는 실험예 12에 따른 dry-AMD 동물모델에서 RPE 세포 내 염증인자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화합물 1-2를 투여함에 따라 dry-AMD 모델의 RPE 세포에서 염증 인자가 효과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퇴행성 안질환, 특히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3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상기 R2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so-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so-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또는 히드록시기이며,
    상기 R3 및 R4는 각각 수소 원자이고,
    상기 R5 및 R6은 각각 메틸기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4
    상기 화학식 I-1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5
    상기 화학식 II에서,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6
    상기 화학식 II-1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7
    <화합물 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8
    <화합물 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69
    <화합물 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0
    <화합물 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1
    <화합물 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2
    <화합물 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3
    <화합물 1-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4
    <화합물 1-8>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5
    <화합물 1-9>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6
    <화합물 1-10>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7
    <화합물 1-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8
    <화합물 1-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79
    <화합물 1-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0
    <화합물 1-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1
    <화합물 1-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2
    <화합물 1-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3
    <화합물 1-1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4
    <화합물 1-18>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I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5
    상기 화학식 III에서,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III-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6
    상기 화학식 III-1에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7
    <화합물 2-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8
    <화합물 2-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89
    <화합물 2-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0
    <화합물 2-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1
    <화합물 2-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2
    <화합물 2-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3
    <화합물 2-7>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4
    <화합물 2-8>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5
    <화합물 2-9>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6
    <화합물 2-10>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7
    <화합물 2-11>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8
    <화합물 2-12>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099
    <화합물 2-13>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0
    <화합물 2-14>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1
    <화합물 2-15>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2
    <화합물 2-16>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3
    <화합물 2-17>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안질환은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및 백내장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습식 황반변성 또는 건식 황반변성인 것인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퇴행성 안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4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13. 하기 화학식 I의 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퇴행성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화학식 I]
    Figure PCTKR2022008093-appb-img-000105
    상기 화학식 I에서,
    점선은 선택적 이중결합이고,
    R1은 수소 원자;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및 히드록시기 중 어느 하나이고,
    R3은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6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3-C6 알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C6-C12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지쇄 C1-C4 티오알킬기; 및 할로겐 원자 중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에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C6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치환 알킬기, 치환 알콕시기, 치환 알릴옥시기, 치환 아릴옥시기 및 치환 티오알킬기의 경우,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킬기; 직쇄 또는 분지쇄 C1-C5 알콕시기; 및 직쇄 또는 분지쇄 C1-C3 티오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PCT/KR2022/008093 2021-06-08 2022-06-08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2604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20562.1A EP4353226A1 (en) 2021-06-08 2022-06-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generative eye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4192 2021-06-08
KR10-2021-0074192 2021-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435A1 true WO2022260435A1 (ko) 2022-12-15

Family

ID=844252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093 WO2022260435A1 (ko) 2021-06-08 2022-06-08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2/008092 WO2022260434A1 (ko) 2021-06-08 2022-06-08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092 WO2022260434A1 (ko) 2021-06-08 2022-06-08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53226A1 (ko)
KR (2) KR20220166203A (ko)
WO (2) WO20222604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30A (ko) 2013-12-24 2015-07-02 (주)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0253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116099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5198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글라세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4192A (ko) 2019-12-10 2021-06-21 코마도 쏘시에떼 아노님 세팅 기술로 만든 장식 요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3161A (ja) * 2005-08-30 2007-03-15 Kaneka Corp 急性相反応タンパク質転写抑制活性剤。
KR100939052B1 (ko) * 2007-11-26 2010-01-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글라브리딘 또는 글라브리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수지상 세포 성숙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JP6153125B2 (ja) * 2012-08-20 2017-06-28 国立大学法人佐賀大学 抗ウイルス剤
KR20150019679A (ko) *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EP3634966A4 (en) * 2017-06-05 2020-11-2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OMPOUNDS FOR INHIBITION OF THE HUMAN CLOVER FACTOR 3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30A (ko) 2013-12-24 2015-07-02 (주)이룸바이오테크놀러지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60272650A1 (en) * 2013-12-24 2016-09-22 Erum Biotechnologies, Inc.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or inflammatory disease
KR20180002539A (ko)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90116099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글라세움 3-페닐-2,8-디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5198A (ko) *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글라세움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4192A (ko) 2019-12-10 2021-06-21 코마도 쏘시에떼 아노님 세팅 기술로 만든 장식 요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E IN YONG, CHOI MIN SUN, JI YOUNG SEOK, YOO SANG-KU, KIM KYUNGIL, YOO HYE HYUN: "Species Differences in Stereoselective Pharmacokinetics of HSG4112, A New Anti-Obesity Agent", PHARMACEUTICS, vol. 12, no. 2, pages 127, XP093012467, DOI: 10.3390/pharmaceutics12020127 *
RAHUL B. BIRARI; SHIKHAR GUPTA; C. GOPI MOHAN; KAMLESH K. BHUTANI;: "Antiobesity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chalcones: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ies", PHYTOMEDICINE, vol. 18, no. 8, AMSTERDAM, NL , pages 795 - 801, XP028227282, ISSN: 0944-7113, DOI: 10.1016/j.phymed.2011.01.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202A (ko) 2022-12-16
KR20220166203A (ko) 2022-12-16
EP4353226A1 (en) 2024-04-17
WO2022260434A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950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dole compound
WO2011159137A2 (ko) 신규한 티오우레아 또는 우레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id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3095060A1 (ko) 6-아미노피리딘-3-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4171801A1 (ko) 아미도피리딘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23195791A1 (ko) 신규한 크로마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골수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0611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s
WO2012134187A2 (ko)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07547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60435A1 (ko) 퇴행성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04263A1 (ko)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U2019224697B2 (en)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uveitis
WO2020096416A1 (ko) Yap-tead 결합을 저해하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101762A1 (ko) 트리시클릭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허혈성 급성 신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075780A1 (ko)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88378A1 (en) Lipolytic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choline derivatives
WO2021206455A1 (ko) 멜리사엽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규한 약학적 조성물
WO2016195361A1 (ko) 신규한 벤질리덴 디하이드로 인덴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00897A1 (ko) 바이구아나이드 계열, 및 페로센 또는 페로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060482A1 (ko) Cdk를 저해하는 피롤로피리미디논 카복사미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015661A2 (en) Novel prodrugs of 5-(2,4-dihydroxy-5-isopropylphenyl)-n-ethyl-4-(5-methyl1-1,2,4-oxadiazol-3-yl)isoxazole-3-carboxamide
WO2021054510A1 (ko) 셀레노사마필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016901A1 (ko)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045836A1 (ko) 신규 티오히단토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2092896A1 (ko) 시신경 보호 대상인 환자에게 점안제로 투여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WO2023048528A1 (ko)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0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20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20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