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771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771A
KR20150066771A KR1020130152234A KR20130152234A KR20150066771A KR 20150066771 A KR20150066771 A KR 20150066771A KR 1020130152234 A KR1020130152234 A KR 1020130152234A KR 20130152234 A KR20130152234 A KR 20130152234A KR 20150066771 A KR20150066771 A KR 2015006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dew point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077B1 (ko
Inventor
성정재
박진호
윤영민
이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077B1/ko
Priority to US14/313,023 priority patent/US9285767B2/en
Priority to EP14177237.6A priority patent/EP2881802B1/en
Priority to CN201410515086.1A priority patent/CN104698799B/zh
Publication of KR2015006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3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유닛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내부 온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이슬점 계산 공식에 적용하여 이슬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슬점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결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인쇄 용지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가 구비되며, 그와 같은 정착기는 인쇄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화상형성장치가 결로 조건 환경에 놓인 경우, 정착기의 열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공기가 주변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 주변 부품(예로써, 이송 롤러 또는 배지 롤러)에 이슬이 맺힐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되는 인쇄 용지에 이슬이 묻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방안들은 대부분은 결로 현상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결로 현상이 이미 발생된 이후에 그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안들을 적용할 경우, 결로 조건 환경이 사라지기 이전에 이미 인쇄된 인쇄 용지들에는 이슬이 묻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인쇄 작업이 개시되기 이전에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착유닛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내부 온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이슬점 계산 공식에 적용하여 이슬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슬점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내부 온도 간의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을 비교하여 상기 온도 차이가 상기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슬점의 계산을 진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이슬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마진은 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에 인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슬점 계산 공식으로는 마그너스 공식(Magnus formula)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정착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내부 온도 및 상기 내부 습도를 이슬점 계산 공식에 적용하여 이슬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슬점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내부 온도 간의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을 비교하여 상기 온도 차이가 상기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슬점의 계산을 진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이슬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마진은 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에 인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결로 예방을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제2 온도 센서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팬의 동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 결로 예방을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제2 온도 센서 및 제2 습도 센서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팬의 동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결로 예방을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제2 온도 센서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는 레이저 프린터로 예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레이저 프린터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사진인쇄 방식을 채택하는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과 같은 다른 화상형성장치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그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지공급유닛(20)을 포함한다. 용지공급유닛(20)에는 인쇄될 다수의 인쇄 용지들이 수용되며, 본체(10) 내에서는 용지공급유닛(20)으로부터 픽업된 인쇄 용지들에 대한 인쇄가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내에는 노광유닛(17), 현상유닛(30), 토너공급유닛(40), 전사롤러(16), 및 정착유닛(50)이 구비되어 있다.
현상유닛(30)은 감광체(31) 및 현상롤러(32) 등을 포함한다. 감광체(31)의 표면에는 노광유닛(17)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인쇄 데이타를 반영한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며, 그 정전 잠상은 현상롤러(32)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인쇄 용지가 감광체(31)와 전사롤러(16) 사이에 형성되는 닙(nip)을 통과할 때, 감광체(3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 용지로 전사된다. 토너공급유닛(40)은 그 내부에 저장된 토너를 현상유닛(3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착유닛(50)은 가열롤러(51) 및 가압롤러(52)를 구비함으로써 인쇄 용지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열과 압력을 통해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내에는 이송롤러들(11a,11b,12a,12b,13a,13b,14a,14b) 및 배지롤러들(15a,15b)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이송롤러들(11a,11b,12a,12b,13a,13b,14a,14b)은 용지공급유닛(20)으로부터 픽업된 인쇄 용지들을 용지 이송 경로(P)를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는 네 쌍의 이송롤러들(11a,11b,12a,12b,13a,13b,14a,14b)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송롤러들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배지롤러들(15a,15b)은 인쇄 과정이 종료된 인쇄 용지를 본체(10)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가동 초기에, 정착유닛(50) 주변에 생성되는 고온의 공기와 화상형성장치(1) 내에 미리 존재하던 저온의 공기와 만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 내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결로 발생시, 용지 이송 경로(P)에 배치된 주변 부품들(예로써, 이송 롤러(13a,13b,14a,14b) 또는 배지 롤러(15a,15b))에 맺힌 이슬이 인쇄 용지에 묻어 인쇄된 화상의 품질이 악화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결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는 제1 온도 센서(61), 습도 센서(62), 제2 온도 센서(71), 팬(80), 및 제어부(controller: 80)가 또한 구비된다.
제1 온도 센서(61) 및 습도 센서(6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를 각각 측정한다. 제1 온도 센서(61) 및 습도 센서(62)에 의해 측정된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는 제어부(90)로 전송된다.
제2 온도 센서(71)는 정착유닛(50)의 상측에 정착유닛(5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71)는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 사이에 형성되는 닙(nip)보다 더 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71)는 정착유닛(50)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P1)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온도 센서(71)는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내부 온도는 제어부(90)로 전송된다.
팬(80)은 화상형성장치(1) 내에 형성되는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80)은 정착유닛(50) 주변에 형성된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정착유닛(50)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단지 하나의 팬(80)이 도시되어 있지만,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팬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90)는 화상형성장치(1)의 인쇄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의 결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팬(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결로 예방을 위한 팬(80)의 동작 제어는 제1 온도 센서(61), 습도 센서(62), 및 제2 온도 센서(71)로부터 제공되는 측정 데이타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팬 동작 제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팬 동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10 단계에서는, 제1 온도 센서(61), 습도 센서(62), 및 제2 온도 센서(71)에 의해 외부 온도(T1), 외부 습도(RH1), 및 내부 온도(T2)를 측정한다.
S20 단계에서는,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마진(M1)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 이하일 경우에는 다음 단계(S30)를 진행하며, 그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보다 클 경우에는 S10 단계로 복귀한다. 예로써, 제1 온도 마진(M1)은 3℃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보다 큰 경우는 정착유닛(50)의 가열롤러(51)가 충분히 가열되어 외부 온도(T1)에 비해 내부 온도(T2)가 제1 온도 마진(M1) 이상으로 더 높아진 경우를 의미한다. 이처럼 정착유닛(50)의 가열롤러(51)가 이미 충분히 가열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 결로 발생될 우려가 없으므로 다음 단계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한편,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 이하일 경우는 정착유닛(50)의 가열롤러(51)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화상형성장치(1)의 가동 초기에 나타나며, 이러한 가동 초기에 가열롤러(51)를 목표 온도로 가열하는 도중 화상형성장치(1) 내에 결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 이하일 경우 다음 단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S30 단계에서는 측정된 내부 온도(T2)와 측정된 외부 습도(RH1)를 이슬점 계산 공식에 적용하여 이슬점 온도(Td)를 계산한다. 이슬점 계산 공식으로는 아래와 같은 공지의 마그너스 공식(Magnus formula)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마그너스 공식에서 Td는 공기의 이슬점, T는 공기의 온도, RH는 공기의 상대 습도이며, a=12.271, b=237.7이다. 예로써, 상기 공식에 T=30℃ 및 RH=80% 를 대입하면 Td=27℃ 가 산출된다.
S40 단계에서는 S10 단계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T1)와 S30 단계에서 계산된 이슬점(Td)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외부 온도(T1)와 이슬점(Td)의 차이가 제2 온도 마진(M2)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내부 온도(T2)를 재측정하는 S50 단계를 거쳐 S30 단계로 복귀한다. 이 경우 결로 예방을 위한 다음 단계(S60)로 진행하지 않는 이유는, 외부 온도(T1)가 이슬점(Td)보다 상당히 높으므로 결로 발생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비교 결과, 외부 온도(T1)와 이슬점(Td)의 차이가 제2 온도 마진(M2)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결로 예방을 위한 다음 단계(S60)를 진행한다. 이 경우 결로 예방을 위한 다음 단계(S60)로 진행하는 이유는, 외부 온도(T1)에 이슬점(Td)이 거의 가까워져서 결로 발생 시기가 임박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2 온도 마진(M2)은 예로써 3℃ 이상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로써 제2 온도 마진(M2)은 3℃, 4℃, 5℃, 6℃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온도 마진(M2)이 너무 작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결로 예방을 위한 S60 단계가 진행되기 이전에 이미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제2 온도 마진(M2)이 너무 큰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S60 단계의 수행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음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S60 단계에서는 팬(80)을 가동하여 내부 온도(T2)의 상승을 억제한다. 팬(80)이 작동되면 정착유닛(50) 주변의 공기가 냉각됨으로써 정착유닛(50) 주변의 온도를 가리키는 내부 온도(T2)의 상승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슬점(Td)의 상승도 함께 억제됨으로써 이슬점(Td)이 외부 온도(T1)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슬점(Td)이 외부 온도(T1)와 같아질 때 결로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S60 단계에서 팬(80)을 가동하는 것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의 결로 발생이 사전적으로 방지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의 결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결로 발생을 예방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1) 내의 부품들(예로써, 이송롤러 또는 배지롤러)에 맺힌 이슬이 인쇄 용지에 묻어 나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의 결로 발생에 따른 인쇄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 결로 예방을 위해 구비된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제2 온도 센서 및 제2 습도 센서의 대안적인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와 거의 유사하다. 다만,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는 외부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 센서(62)와 더불어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 센서(72)를 구비하는 점에서 단지 외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62) 만을 구비한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와 구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습도 센서(72)는 정착유닛(50)의 상측에 정착유닛(50)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습도 센서(72)는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 사이에 형성되는 닙(nip)보다 더 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습도 센서(72)는 정착유닛(50)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P1)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습도 센서(72)는 화상형성장치(2)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내부 습도는 제어부(90)로 전송된다.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90)와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장치(2)의 경우에도 제어부(90)는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팬(8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90)가 습도 센서(62)에 의해 측정된 외부 습도를 적용하는 것과 달리, 화상형성장치(2)의 제어부(90)는 제2 습도 센서(72)에 의해 측정된 내부 습도를 적용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화상형성장치(2)의 제어부(90)에 의해 수행되는 팬 동작 제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팬 동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S10' 단계에서는, 제1 온도 센서(61), 제2 온도 센서(71), 및 제2 습도 센서(72)에 의해 외부 온도(T1), 내부 온도(T2), 및 내부 습도(RH2)를 측정한다.
S20 단계에서는, 외부 온도(T1)와 내부 온도(T2) 간의 차이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마진(M1)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 이하일 경우에는 다음 단계(S30' 단계)를 진행하며, 그 차이가 제1 온도 마진(M1)보다 클 경우에는 S10' 단계로 복귀한다. 예로써, 제1 온도 마진(M1)은 3℃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는 측정된 내부 온도(T2)와 측정된 내부 습도(RH2)를 이슬점 계산 공식에 적용하여 이슬점 온도(Td)를 계산한다. 이슬점 계산 공식은 전술한 마그너스 공식(Magnus formula)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S30' 단계는 이슬점 계산 공식에 내부 습도(RH2)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이슬점 계산 공식에 외부 습도(RH1)를 적용하는 전술한 도 4의 S30 단계와 구별된다. S30' 단계는 정착유닛(50) 주변에 형성된 고온의 내부 공기의 이슬점을 계산하는 단계이므로, 정확한 이슬점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슬점 계산 공식에 내부 습도(RH2)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 습도 센서(7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은 비용 상승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면, 전술한 도 1의 화상형성장치(1)에서처럼 이슬점 계산 공식에 내부 습도(RH2) 대신 외부 습도(RH1)를 적용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는 유리하다.
S40 단계에서는 S10' 단계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T1)와 S30' 단계에서 계산된 이슬점(Td)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외부 온도(T1)와 이슬점(Td)의 차이가 제2 온도 마진(M2)보다 큰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내부 온도(T2) 및 내부 습도(RH2)를 재측정하는 S50' 단계를 거쳐 S30' 단계로 복귀한다. 비교 결과, 외부 온도(T1)와 이슬점(Td)의 차이가 제2 온도 마진(M2) 이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결로 예방을 위한 다음 단계(S60)를 진행한다.
S60 단계에서는 팬(80)을 가동하여 내부 온도(T2)의 상승을 억제한다. 팬(80)이 작동되면 정착유닛(50) 주변의 공기가 냉각됨으로써 정착유닛(50) 주변의 온도를 가리키는 내부 온도(T2)의 상승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슬점(Td)의 상승도 함께 억제됨으로써 이슬점(Td)이 외부 온도(T1)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슬점(Td)이 외부 온도(T1)와 같아질 때 결로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S60 단계에서 팬(80)을 가동하는 것에 의해 화상형성장치(2) 내에서의 결로 발생이 예방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2) 내에서의 결로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여 결로 발생을 사전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2) 내의 부품들(예로써, 이송롤러 또는 배지롤러)에 맺힌 이슬이 인쇄 용지에 묻어 나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 내에서의 결로 발생에 따른 인쇄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1 : 화상형성장치(제1 실시예)
10 : 본체
20 : 용지공급유닛
30 : 현상유닛
40 : 토너공급유닛
50 : 정착유닛
51 : 가열롤러
52 : 가압롤러
61 : 제1 온도 센서(외부 온도 센서)
62 : 습도 센서(외부 습도 센서)
71 : 제2 온도 센서(내부 온도 센서)
80 : 팬
90 : 제어부
2 : 화상형성장치(제2 실시예)
72 : 제2 습도 센서(내부 습도 센서)

Claims (11)

  1. 정착유닛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내부 온도 및 상기 외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슬점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을 비교하여 상기 온도 차이가 상기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슬점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이슬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마진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슬점 계산 공식으로는 마그너스 공식(Magnus formula)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정착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내부 온도 및 상기 내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이슬점에 기초하여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내부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을 비교하여 상기 온도 차이가 상기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슬점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온도와 상기 이슬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온도 마진 이하인 경우 상기 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마진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정착유닛의 하류에 배치되는 용지 이송 경로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30152234A 2013-12-09 2013-12-09 화상형성장치 KR10192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34A KR101923077B1 (ko) 2013-12-09 2013-12-09 화상형성장치
US14/313,023 US9285767B2 (en) 2013-12-09 2014-06-24 Image forming apparatus
EP14177237.6A EP2881802B1 (en) 2013-12-09 2014-07-16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410515086.1A CN104698799B (zh) 2013-12-09 2014-09-29 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34A KR101923077B1 (ko) 2013-12-09 2013-12-0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771A true KR20150066771A (ko) 2015-06-17
KR101923077B1 KR101923077B1 (ko) 2018-11-28

Family

ID=5117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234A KR101923077B1 (ko) 2013-12-09 2013-12-0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5767B2 (ko)
EP (1) EP2881802B1 (ko)
KR (1) KR101923077B1 (ko)
CN (1) CN104698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8614B2 (ja) * 2014-01-17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印字制御方法
JP6155225B2 (ja) * 2014-05-20 2017-06-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791828B2 (en) * 2015-05-19 2017-10-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lower to perform an operation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a detector
CN107526235B (zh) * 2016-06-20 2020-07-2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摄像机镜头前盖起雾的方法、装置及摄像机
JP6732573B2 (ja) * 2016-07-04 2020-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060177A (ja) * 2016-09-29 2018-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9847B2 (ja) * 2016-12-07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14652B2 (ja) * 2016-12-26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21552B2 (ja) * 2017-02-24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8203876A1 (en) * 2017-05-01 2018-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use start-up routine of imaging device
JP6751270B2 (ja) * 2017-06-30 2020-09-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58975B2 (ja) * 2017-10-26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06920B2 (en) * 2022-03-09 2024-02-2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3432B2 (ja) 1991-11-08 1999-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292820A (ja) 1996-04-26 1997-11-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38861A (ja) 1997-07-18 1999-02-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249534A (ja) 1998-02-27 1999-09-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357965A (ja) 2001-06-04 2002-12-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98938A (ja) 2001-09-20 2003-04-04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4013015A (ja) 2002-06-10 2004-01-15 Kyocera Corp 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結露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41162A (ko) 2003-10-30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상부표면 결로방지 방법 및 장치
JP2005181779A (ja) * 2003-12-22 2005-07-0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177561B2 (en) * 2005-03-31 2007-02-1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dew formation ins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DE202005015397U1 (de) * 2005-09-29 2007-02-08 Testo Ag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Oberflächenfeuchte eines Messobjekts
JP2009204935A (ja) 2008-02-28 2009-09-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8045879B2 (en) 2008-09-11 2011-10-25 Xerox Corpo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a corresponding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5243196B2 (ja) 2008-11-18 2013-07-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20120162343A1 (en) 2010-12-27 2012-06-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983431B2 (ja) * 2013-01-28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98799B (zh) 2019-09-06
EP2881802B1 (en) 2018-09-26
US9285767B2 (en) 2016-03-15
CN104698799A (zh) 2015-06-10
EP2881802A1 (en) 2015-06-10
KR101923077B1 (ko) 2018-11-28
US20150160609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077B1 (ko) 화상형성장치
US201902719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hea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t generating quantity of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JP6800667B2 (ja) 画像形成装置
US997738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285253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2242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86359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108383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a setting used for temperature control based on thermal history information
JP532250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8370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JP61866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44051A (ja) 定着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定着装置の異常検知方法
JP20090751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98361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方法
JP2007058061A (ja) 画像記録装置
JP705708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14860A (ja) 定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06235477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487063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54088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JP7250550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05157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制御方法
JP2007256693A (ja) 加熱ローラの温度制御装置
JP523928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方法
JP201620632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