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88B1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88B1
KR100854088B1 KR1020060018324A KR20060018324A KR100854088B1 KR 100854088 B1 KR100854088 B1 KR 100854088B1 KR 1020060018324 A KR1020060018324 A KR 1020060018324A KR 20060018324 A KR20060018324 A KR 20060018324A KR 100854088 B1 KR100854088 B1 KR 10085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time
pap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122A (ko
Inventor
오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88B1/ko
Priority to US11/521,408 priority patent/US20070201890A1/en
Priority to CNA2006101468122A priority patent/CN101025597A/zh
Priority to EP06125090A priority patent/EP1826629A1/en
Publication of KR2007008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은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용지 급지과정에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 스큐발생 여부에 따라 히터램프를 제어함으로써 인쇄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 용지에 대한 전력손실 및 토너낭비를 줄일 수 있다.
Figure R1020060018324
정착유닛, 용지 스큐(skew), 정착롤러, 히터램프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5 : 감지부 170 : 저장부
175 : 검출부 180 : 전원공급부
185 : 제어부 145 : 정착유닛 감지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 급지과정에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 스큐(skew)발생 여부에 따라 히터램프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되는 원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인쇄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인쇄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나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자사진방식은 레이저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PH(LED Print Head) 프린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을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시켜 감광드럼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키는 대전과정, 대전된 감광드럼에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을 통해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과정, 감광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과정, 감광드럼에 형성된 가시상을 전사롤러를 통해 기록용지 전사하는 전사과정, 및 기록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소정의 열과 압력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기록용지 상에 융착 시키는 정착과정 등을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정착 시스템은 정착유닛(10), 써미스터(16), 전원공급부(20), 및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정착유닛(10)은 내부에 가열원으로 채용된 히터램프(12a)를 구비한 정착롤러(12)와, 상기 정착롤러(12)와 접촉하여 회전되며, 기록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가압하여 정착시키는 가압롤러(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착롤러(12)는 전원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램프(12a)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전사과정을 통해 기록용지에 형성된 가시상은 정착롤러(12)와 가압롤러(14)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열과 압력에 의해 가압 및 가열된다.
써미스터(16)는 정착롤러(12)의 외측에 설치되어, 히터램프(12a)에 의해 가열되는 정착롤러(12)의 표면온도를 감지한다. 써미스터(16)는 정착롤러(12)의 표면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제어부(30)는 써미스터(16)에 의해 감지된 정착롤러(12)의 표면온도에 기초하여 히터램프(12a)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는 써미스터(16)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기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히터램프(12a)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그런데, 용지가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 스큐가 발생될 수 있다. 스큐가 발생되면 용지 외곽과 인쇄 내용이 정렬되지 않거나 틀어짐으로써 인쇄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고 인쇄 품질이 저하된다. 이때, 스큐가 발생한 용지에 현상, 전사 및 정착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토너 및 전력낭비가 초래되므로, 용지 스큐 발생에 따른 전력손실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급지과정에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 스큐발생 여부에 따라 히터램프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은,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착유닛에 마련된 정착롤러에 구비되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감광매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레이저 스케닝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현상제로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및 전사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 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검출결과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검출부는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전사유닛의 전압이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결과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지가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시간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착유닛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정상인 경우, 정착유닛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정착시간이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준정착시간은 용지가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 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은,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정착유닛에 마련된 정착롤러에 구비되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감광매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현상제로 현상된 이미지를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단계는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송단계는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전사유닛의 전압이 전사유 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지가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단계는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정상인 경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정착시간이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단계는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인가된 가열원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차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기록매체가 용지 이송 경로로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경우, 상기 현상제 및 전력이 상기 기록매체에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감광드럼(105), 대전유닛(110), 레이저 스캐닝 유닛(115),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25), 및 정착유닛(140)을 포함한다.
감광드럼(105)은 대전유닛(110)에 인가되는 대전전압(예컨대, -1400[V])에 의해 대전된다. 즉, 대전유닛(110)에 인가되는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유닛(110)의 표면을 대전시킨 후, 회전에 의해 감광드럼(105)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이에 의해, 감광드럼(105)의 표면에는 균일한 전하가 형성된다.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125)은 대전전압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드럼(105)의 표면에 인쇄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광을 주사한다. 이에 의해, 감광드럼(105)의 표면에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여기서,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미도시)와 같은 인쇄데이터 발생장치로부터 전송된다.
현상유닛(120)은 감광드럼(105)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와 같은 현상제로 현상한다. 즉, 현상제 공급기(122)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는 현상롤러(124)에 의해 마찰대전 되어 현상영역으로 이동되며, 현상영역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감광드럼(105)의 노광 전위와 현상롤러(124)의 현상전위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드럼(105) 상의 노광영역으로 이동되어 부착됨으로써 현상된다.
전사유닛(125)은 현상과정을 통해 감광드럼(105)에 부착된 현상제를 기록용지(C)에 전사시킨다. 즉, 전사유닛(125)은 감광드럼(105)과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05)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용지(C)에 전사시킨다. 이때, 기록용지(C)는 정전기력에 의해 감광드럼(105)에 밀착된다.
분리기(130)는 감광드럼(105)에 밀착된 기록용지(C)를 분리시킨다.
정착유닛(140)은 정착롤러(142)와 가압롤러(144)를 포함하며, 기록용지(C)에 전사된 현상제는 정착유닛(140)의 정착롤러(142)와 가압롤러(144) 사이를 통과하면서 기록용지(C) 상에 정착된 후, 배지롤러(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원하는 화상에 대한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착 시스템은 감지부(135), 저장부(170), 검출부(175), 전원공급부(180), 제어부(185), 표시부(190), 및 정착유닛 감지부(145)를 포함한다.
감지부(135)는 급지카세트(115)에 적재된 기록용지(C)의 급지 여부를 검출하고, 픽업롤러(160)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C)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감지부(135)는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 시 스큐발생신호를 후술될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여기서, 기록용지(C)의 스큐는 픽업롤러(160)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C)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롤러(165)에 의해 용지이송경로(100a)를 따라 이송되는 것이다.
저장부(17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구현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 및 기준정착시간이 저장된다. 여기서,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는 전사유닛(125)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소정의 한계전압범위로 기설정되며, 기준정착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도um기록용지(C)가 정착유닛(140)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된다.
검출부(175)는 전사유닛(125)의 전압을 측정하고, 저장부(170)를 참조하여, 측정된 전사유닛(125)의 전압이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검출부(175)는 판단결과에 따라 전사유닛(125)의 전압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포함하는 검출결과신호를 후술될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즉, 검출부 (175)는 측정된 전사유닛의(125) 전압이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고압불량으로 인한 전사유닛(125)의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전사유닛의(125) 전압이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검출부는(175)는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결과신호를 후술될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전원공급부(180)는 후술될 제어부(185)의 제어에 따라 감광드럼(105), 대전유닛(110), 현상유닛(120), 전사유닛(125), 및 정착유닛(140)에 각각 설정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정착유닛(140)은 정착롤러(142)와 가압롤러(144)를 포함한다.
정착롤러(142)는 2층 또는 3층의 복층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가열원으로 채용된 히터램프(142a)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히터램프(142a)로는 할로겐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착롤러(142)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램프(142a)에 의해 가열된다.
가압롤러(144)는 정착롤러(142)와 접촉회전되며, 기록용지(C)를 정착롤러(142)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압롤러(144)는 스프링장치(미도시)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정착롤러(142)와 가압롤러(144)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용지(C)를 정착롤러(142)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정착유닛 감지부(145)는 기록용지(C)가 정착유닛(142)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시간을 후술될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그리고, 정착유닛 감지부(145)는 한 번의 인쇄 명령에 따른 정착유닛을 통 과하는 기록용지(C)의 매수인 정착용지매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용지매수를 후술될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제어부(185)는 감지부(135)에서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정착유닛(1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고, 레이저 광을 주사하지 않도록 레이저 스캐닝 유닛(115)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5)는 감지부(135)로부터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정착롤러(142)의 가열원인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고, 감광드럼(105)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레이저 스캐닝 유닛(115)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5)는 검출부(175)로부터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사유닛(125)의 전압이상인 경우, 정착유닛(14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85)는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여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정착유닛(140)의 정착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5)는 검출부(175)로부터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사유닛(125)의 전압정상인 경우, 저장부(170)를 참조하여, 기준정착시간과 정착유닛 감지부(145)로부터 수신된 정착시간을 비교한다. 이때, 비교결과 정착시간이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제어부(185)는 정착유닛(140)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부(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5)는 정착유닛 감지부(145)로부터 수신된 정착용지매수와 인쇄요청매수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하면 인쇄요청에 대한 인쇄작업을 완료처 리한다. 여기서, 인쇄요청매수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인쇄용지 매수(예를 들면, 10장)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시스템에 대한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먼저, 감지부(135)는 픽업롤러(160)에 의해 급지카세트(115)로부터 급지된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스큐발생신호를 제어부(185)로 전송한다(S410). 여기서, 기록용지(C)의 스큐는 픽업롤러(160)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C)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롤러(165)에 의해 용지이송경로(100a)를 따라 이송되는 것이다.
이어, 스큐발생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85)는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S415). 이에 의해, 제어부(185)는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킴으로써, 히터램프(142a)를 구비한 정착유닛(140)은 정착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85)는 레이저 광을 주사하지 않도록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125)을 제어한다(S420).
즉, S415단계 및 S420 단계에서, 기록용지(C)의 스큐발생 시, 제어부(185)는 정착롤러(142)의 가열원인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하고, 감광드럼(105)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레이저 스캐닝 유닛(115)을 제어함으로써 현상제가 기록용지(C)에 전사되지 않은 백지화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425).
한편, S410단계에서 기록용지(C)의 스큐가 감지되지 않으면, 검출부(175)는 전사유닛(125)의 전압을 측정한다(S430).
이어, 검출부(175)는 측정된 전사유닛(125)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검출결과신호를 제어부(185)로 전송한다(S435). 즉, 검출부(175)는 측정된 전사유닛의(125) 전압이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전사유닛의(125) 전압이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검출부는(175)는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검출결과신호를 제어부(185)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85)는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사유닛(125)의 전압이상인 경우,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S440). 즉, 제어부(185)는 S430단계에서 측정된 전사유닛(125)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125)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히터램프(142a)를 오프(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18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히터램프(142a)를 구비한 정착유닛(140)은 정착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어, 제어부(185)는 수신된 검출결과신호가 전사유닛(125)의 전압정상인 경우,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과 정착유닛 감지부(145)로부터 수신된 정착시간을 비교한다(S445). 여기서, 정착시간은 기록용지(C)가 정착유닛(142)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이고, 기준정착시간은 정착유닛(140)이 정상동작하는 경우에 기록용지(C)가 정착유닛(140)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화상형성장치 (100)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된다.
그리고, 정착시간이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제어부(185)는 정착유닛(140)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90)를 제어한다(S450).
즉, 정착유닛(140)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를 초과하여, 정착유닛(140)의 과열로 인해 기록용지(C)가 정착유닛(140)에 들러붙어 기록용지(C)의 정착시간이 기준정착시간을 초과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85)는 정착유닛(140)의 온도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정착유닛(140) 온도점검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90)를 제어한다.
이어, 제어부(185)는 정착유닛 감지부(145)로부터 수신된 정착용지매수와 인쇄요청매수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하면 인쇄요청에 대한 인쇄작업을 완료처리한다(S455). 즉, 정착용지매수와 인쇄요청매수가 일치할 때까지 인쇄할 매 번의 기록용지(C)마다 S410단계 내지 S45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인쇄요청매수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인쇄용지 매수(예를 들면, 10장)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급지과정에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용지 스큐발생 여부에 따라 히터램프를 제어함으로써 인쇄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 용지에 대한 전력손실 및 토너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6)

  1.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스큐가 발생한 용지에 대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에 마련된 정착롤러에 구비되며, 상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
    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레이저 스케닝 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현상제로 현상된 이미지를 상기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검출결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상기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상기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결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정착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착유닛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정상인 경우, 상기 정착유닛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정착시간이 상기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상기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착시간은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 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착유닛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정착시간이 상기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상기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10.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정착유닛에 마련된 정착롤러에 구비되며, 상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에 상기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aser Scanning Unit : LSU)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현상제로 현상된 이미지를 상기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른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결과신호 출력단계는,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상기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전압이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상기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면 전압정상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정착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정상인 경우, 상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정착시간이 상기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상기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착시간은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검출결과신호가 전압이상인 경우, 상기 정착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착시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정착시간이 상기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상기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제어방법.
  19.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인가된 가열원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를 정차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기록매체가 용지 이송 경로로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경우, 상기 현상제 및 전력이 상기 기록매체에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전류를 변경함으로써 열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이송 경로로 급지된 용지가 비스듬이 틀어져 이송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스큐(skew)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로 현상된 이미지를 상기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상기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을 통과하는 시간인 정착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정착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착유닛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착유닛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착시간과 기설정된 기준정착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정착시간이 상기 기준정착시간보다 크면, 상기 정착유닛의 온도점검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문구 또는 경고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착시간은 상기 용지가 상기 정착유닛의 입측에서 출측까지 통과하는 시간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품 모델별로 기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사유닛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사유닛의 기준전압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램프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상기 정착유닛에 의한 정착동작이 미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작유닛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지의 수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용지의 수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용지의 수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용지의 수가 동일하면, 인쇄 작업을 완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18324A 2006-02-24 2006-02-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KR10085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24A KR100854088B1 (ko) 2006-02-24 2006-02-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US11/521,408 US20070201890A1 (en) 2006-02-24 2006-09-15 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A2006101468122A CN101025597A (zh) 2006-02-24 2006-11-24 成像设备的熔合系统及其控制方法
EP06125090A EP1826629A1 (en) 2006-02-24 2006-11-30 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324A KR100854088B1 (ko) 2006-02-24 2006-02-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122A KR20070088122A (ko) 2007-08-29
KR100854088B1 true KR100854088B1 (ko) 2008-08-25

Family

ID=3806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324A KR100854088B1 (ko) 2006-02-24 2006-02-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01890A1 (ko)
EP (1) EP1826629A1 (ko)
KR (1) KR100854088B1 (ko)
CN (1) CN1010255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9621B (zh) * 2018-08-15 2020-11-27 上海富士施乐有限公司 图像处理设备及其转写控制方法
JP7447423B2 (ja) * 2019-10-07 2024-03-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カール補正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050A (ja) * 1998-11-06 2000-05-23 Asahi Optical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7771B2 (ja) * 1996-03-28 2005-01-05 株式会社リコー 転写紙搬送装置
JP3442002B2 (ja) * 1999-06-28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110689B2 (en) * 2003-05-01 2006-09-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with mechanism to prevent twining recording material
JP2005041623A (ja) * 2003-07-25 2005-02-17 Fuji Xerox Co Ltd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47555A (ja) * 2005-08-11 2007-02-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050A (ja) * 1998-11-06 2000-05-23 Asahi Optical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122A (ko) 2007-08-29
US20070201890A1 (en) 2007-08-30
EP1826629A1 (en) 2007-08-29
CN101025597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376B2 (en) Sheet feeder and cop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9235182B2 (en) Fix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rap jam of recording she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97738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6224236A (ja) 画像形成装置
US82851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00081460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54088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시스템 및 그 정착제어방법
JP200812051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88934B2 (en) Fus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65225B2 (en) Image-forming apparatus setting upper limit of electric power based on detection result of sheet detector
US9122218B2 (en)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bnormality in temperature sensing member
KR101335991B1 (ko) 정착 시스템, 이의 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JP2010156751A (ja) 画像形成装置
JP460523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56402B1 (ko)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전사롤러 오염방지방법 및 장치
JP20032804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800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346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25256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58809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5612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81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988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221261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22

Effective date: 2008070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