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810A -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810A
KR20150054810A KR1020157006051A KR20157006051A KR20150054810A KR 20150054810 A KR20150054810 A KR 20150054810A KR 1020157006051 A KR1020157006051 A KR 1020157006051A KR 20157006051 A KR20157006051 A KR 20157006051A KR 20150054810 A KR20150054810 A KR 2015005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s
pattern
tire
side wall
cav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르 물호프
쟝-끌라우데 데스빅네
안또인 빠뚜르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ublication of KR2015005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B23K26/384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of specially shape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2Means for forming recesses or protrusions in the tyres, e.g. grooves or ribs, to create the tread or sidewalls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과 상기 측벽 상에 형성된 패턴(5)을 포함하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턴은 복수의 개방부들(7)과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9)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이 상기 측벽과 대조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들(7)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60%를 점유하고,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다.

Description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TYRE COMPRISING A HIGH CONTRAST PATTERN COMPRISING A PLURALITY OF CAVITIES}
본 발명은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패턴을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측벽들은 첫째 기술적 및 문자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둘째 소비자들이 제품의 기원을 알 수 있도록 고안된 다량의 패턴들을 가지고 있다.
타이어 측벽들 상의 상기 패턴들의 가시성 및 문자판독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들이 항상 행해졌다.
문헌 WO2007/045425호는 복수의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기술하고 있고 그 단면은 각 스트랜드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스트랜드의 팁을 향하여 감소한다. 상기 패턴에서 스트랜드의 밀도는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로 기술된 패턴의 단위 면적 당 5 가닥들과 동일하다.
상기 스트랜드의 효과는 상기 패턴 상에 가해지는 다량의 입사광 복사물을 "포획(trap)"하는 것이다. 이는 패턴이 타이어의 측벽의 나머지와 비교함으로써 더욱 어두운 외형으로 주어질 수 있게 한다. 스트랜드는 또한 "벨루어(velour)" 유형의 특히 좋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패턴은 노면의 마찰과 같은 임의의 기계적 공격면에서 비교적 취약하다. 이러한 마찰의 영향 상태에서, 패턴의 스트랜드는 타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정의
"타이어"는 내부 압력에 영향을 받거나 또는 받지 않는 탄성 트래드를 갖는 임의의 타이어를 의미한다.
타이어의 "트래드"는 측방향 표면들과 2개의 주요 표면들에 의해서 형성된 일정량의 고무 재료를 의미하고, 상기 주요 표면들 중 하나는 타이어가 주행할 때 도로와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타이어의 "비드"는 휠 테두리 상에 안착되도록 의도된 타이어의 일부를 의미한다.
타이어의 "측벽"은 타이어의 트래드와 상기 타이어의 비드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측방향 표면을 의미한다.
측벽 상의 "패턴"은 개방부들의 집합체와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을 의미한다. 상기 개방부들은 측벽들 안으로 오목해지고 상기 중간 구역들은 고무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캐비티의 개방부의 또는 돌출부의 베이스의 "상당 직경(equivalent diameter)"은 각각 상기 개방부 또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새겨진 원의 직경을 각각 의미한다.
"몰드"는 비교적 함께 밀착될 때 환형 몰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개별 몰드 요소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몰드에서의 "마킹부"는 상기 몰드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상기 돌출부들을 분리시키는 상기 몰드의 중간 부분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어의 측벽에 대한 명암(contrast)이 더욱 지속될 수 있는 고명암 패턴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측벽과 상기 측벽 상에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턴은 복수의 개방부들과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이 상기 측벽과 대조(contrast)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60%를 점유하고,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서 타이어의 측벽에 대해서 명암을 나타내고 동시에 더욱 지속성이 있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은 측벽 안으로 오목한 개방부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노면에 대한 마찰 패턴 상의 충격은 작다. 상기 측벽 상의 패턴의 내구성이 개선된다.
참고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70%, 적어도 상기 패턴의 80%, 적어도 상기 패턴의 90%, 적어도 상기 패턴의 95%를 점유한다.
상기 패턴에서 개방부들의 비율이 높을 수록, 상기 측벽을 향한 상기 패턴의 명암이 더욱 우수하다.
하나의 대안 형태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각형 형상이다.
이 방식에서, 상기 개방부들 사이에서 상기 중간 구역들의 표면적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 상기 개방부들을 더욱 용이하게 조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개방부에 의해서, 높은 비율의 개방부들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대안 형태의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들은 캐비티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의 깊이부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캐비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측벽의 깊이부 안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갖는다.
이 방식에서, 입사광 복사물의 흡수하는 패턴의 능력은 개선된다.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0.2mm 내지 0.6mm의 깊이를 갖는다.
이 방식에서, 상기 패턴과 직면하는 다량의 입사광 복사물이 상기 패턴에 의해서 포획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상기 캐비티들의 깊이는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측벽의 기계적 강도의 과도한 손상이 회피된다.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패턴에 직각인 방향 (z)에 대해서 10˚ 내지 45˚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다.
각각의 시간에, 광선이 상기 캐비티의 벽과 마주하고, 상기 광선은 상기 벽에 의해서 반사된다. 상기 광선이 반사되는 방향은 상기 광선의 초기 방향과 상기 벽의 입사각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초기 방향과 상기 입사각에 따라서, 상기 광선은 캐비티의 다른 벽 상으로 반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광선은 상기 캐비티로부터 예를 들어 직접 관측자에게로 반사될 수 있다. 전자의 예에서, 광선은 캐비티에서 소실되고 더이상 관측자에게 보여지지 않는다. 후자의 예에서, 관측자는 광선을 볼 수 있고 따라서 패턴은 더욱 밝게 보이고 측벽에 대해서 덜 강하게 대조된다. 10˚ 내지 45˚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캐비티를 채택함으로써, 캐비티로 진입하는 큰 비율의 광선은 캐비티 내에서 다수의 반사 영향 하에서 상기 캐비티에 의해서 흡수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상기 측벽에 대한 패턴의 명암은 동시에 상기 패턴에서 동일한 비율의 캐비티들을 유지하면서 개선된다. 또한, 상기 벽의 경사에 의해서, 상기 패턴의 강도는 특히 노면에 대한 반복된 마찰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타이어를 몰딩하고 가황하기 위한 몰드이다. 이 몰드는 상기 타이어의 측벽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 요소와 상기 몰드 요소 상에 형성된 마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킹부는 상기 몰드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상기 돌출부들을 분리시키는 상기 몰드 요소의 중간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마킹부의 적어도 60%를 점유한다. 상기 돌출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돌출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마킹부에 걸쳐 분포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몰드 요소와 접촉하는 베이스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타이어의 측벽에 대해서 대조되는 패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타이어를 가황하는 것에 이어서, 복수의 개방부들과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을 포함하는 패턴을 상기 타이어의 측벽 상에 생성하기 위하여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60%를 점유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타이어의 측벽에 대해 대조되는 견고한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타이어가 가황된 후에 그렇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패턴에 적합한 몰드 요소를 제공할 필요성이 없이 상기 타이어를 고도로 주문화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요소들은 항상 제조하기에 고비용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 예를 통해서 주어진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타이어의 측벽과 상기 측벽에 대조되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패턴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패턴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패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캐비티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패턴을 몰딩할 수 있는 몰드의 일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타이어를 가황한 후에 도 1의 타이어의 측벽 상에서 도 4의 패턴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기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 도면부호로 지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의 부분 도면이다. 특히, 도 1은 상기 타이어의 측벽(3)과 상기 측벽(3)에 형성된 패턴(5)을 도시한다. 측벽(3)은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를 가져서, 입사광을 반사할 수 있는 우수한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정상 밝기 상태에서, 측벽은 전체적으로 빛나는 것 같이 관측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패턴(5)은 측벽(3)에 대조되는 어두운 매트 외형을 가진다.
도 2는 도 1의 패턴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5)은 측벽(3)의 깊이 안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들은 측벽 상으로 개방되어서 직경(D)의 원형 개방부들(7)을 형성한다. 상기 패턴은 또한 개방부들(7)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9)을 포함한다. 각각의 개방부(7)는 사각형(10)의 내부에 각인되고, (점선으로 그려진) 사각형의 측변들은 개방부들의 직경(D)과 동일 길이를 가진다. 사각형(10)의 측변들의 일부에 놓여지는 세그먼트(WX,XY,YZ,ZW)는 패턴(5)을 형성한다. 여기서 패턴(5)은 사각형 형상이다.
패턴(5)에서 일정 비율의 개방부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의 개방부들은 상기 개방부들에 의해서 점유된 표면적 대 패턴의 전체 표면적의 비율에 대응한다. 도 2의 예에서, 9개의 개방부들(7)은 9 ×π×D2/4에 해당하는 표면적을 점유하고 상기 패턴의 표면적은 9 ×D2에 해당한다. 따라서, 개방부들의 비율은 π/4 즉 78.5%와 동일하다.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직경들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물론, 원하는 비율의 개방부들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범위 값들 내에서 상기 개방부의 밀도 및/또는 직경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율은 60%, 70%, 80%, 90% 또는 9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들(7)은 여기서 상기 개방부들 사이에 제공된 측벽의 표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촉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3은 상기 개방부들(7)이 다각형이 되는 상기 패턴(5)의 제 2 대안 형태를 도시한다. 특히, 개방부들은 육각형일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의 개방부들에 의해서 개방부들 사이의 중간 구역의 표면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개방부들을 더욱 용이하게 조직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에서 높은 비율의 개방부들을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패턴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대안 형태에서, 캐비티들(13)은 측벽(3)의 깊이에서 결정 원뿔체(cone frustum)를 형성한다. 이 방식에서, 측벽에 대한 패턴의 명암은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비티들(13)의 개방부들(7)은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개방부들은 패턴(5)의 각 개방부(7) 사이의 거리(D)가 동일한 방식으로 측벽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도 5는 도 4의 캐비티(13)의 확대부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캐비티는 벽들(14)을 가진다. 각 벽은 상기 패턴에 직각인 방향 (z)에 대해서 10˚ 내지 45˚의 각도(α)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에 의한 입사광선의 흡수는 개선된다.
상기 패턴의 캐비티들은 또한 적어도 0.1mm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양호하게는, 캐비티들의 깊이는 0.2mm이상이고 0.6mm 이하이다.
도 6은 몰드 요소(25)와 상기 몰드 요소 상에 형성된 마킹부(26)를 도시한다. 이 마킹부는 도 4의 패턴을 몰딩할 수 있다. 이 마킹부는 몰드 요소(25)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들(27)과 상기 돌출부들(27)을 분리시키는 중간 부분들(29)을 포함한다. 돌출부들(27)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돌출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패턴을 거쳐 분포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몰드 요소와 접촉하는 베이스(31)를 가진다. 여기에서 각각의 베이스는 0.03mm 내지 0.5mm의 직경들을 구비한 원형 전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돌출부들의 밀도 및/또는 그 베이스의 직경은 돌출부들이 마킹부의 적어도 60%를 점유하도록 상기 범위 값들 내에서 선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은 마킹부의 적어도 70%, 80%, 90% 또는 95%를 점유한다.
도 7은 타이어 측벽 상에 패턴(5)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30)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타이어(35)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안정기(plateau;33), 레이저 빔(32)을 사용하여 타이어 상에 마킹부를 새길 수 있는 레이저 수단(37) 및 상기 레이저 빔을 제어하는 수단(39)을 포함한다. 설명을 통해서, 상기 레이저 수단은 50W의 파워를 갖는 IPG 메이크(make)의 펄스형 레이저를 포함한다.
장치(30)는 타이어의 측벽과 대조되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이행할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의 제 1 단계는 안정기(33) 상에 타이어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레이저 수단(37)은 그 다음 상기 타이어에 대해 배치되고 패턴은 측벽 상에 새겨진다. 특히, 레이저 수단은 측벽의 깊이부에 복수의 캐비티들을 형성한다. 사용된 방법으로 인하여, 상기 캐비티들은 레이저 수단과 대면하는 측벽의 외면 상으로 개방되고 개방부들을 형성한다. 상기 개방부들은 새겨지지 않은 중간 구역들에 의해서 분리된다.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을 가진다. 레이저 수단은 레이저 빔에 의해서 형성된 개방부들이 패턴의 적어도 60%를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개방부들은 적어도 70%, 80%, 90% 또는 95%를 점유한다.
본 발명은 기술되고 도시된 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그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측벽(3)과 상기 측벽 상에 형성된 패턴(5)을 포함하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 타이어로서, 상기 패턴은 복수의 개방부들(7)과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9)을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상기 측벽과 대조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들(7)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60%를 점유하고,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7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8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9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95%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7)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들은 캐비티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의 깊이부 안으로 연장되고, 상기 캐비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측벽의 깊이부 안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들(13)의 일부 또는 전부는 0.2mm 내지 0.6mm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패턴에 직각인 방향 (z)에 대해서 10˚ 내지 45˚의 각도(α)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0. 타이어의 측벽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 요소와 상기 몰드 요소 상에 형성된 마킹부(26)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를 몰딩 및 가황하기 위한 몰드로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몰드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들(27)과 상기 돌출부들을 분리시키는 상기 몰드 요소의 중간 부분들(29)을 포함하는 상기 몰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27)은 상기 마킹부의 적어도 60%를 점유하고, 상기 돌출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돌출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마킹부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몰드 요소와 접촉하는 베이스들(31)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11. 타이어(35)의 측벽에 대해서 대조되는 패턴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이어의 가황에 이어서, 복수의 개방부들과 상기 개방부들을 분리시키는 중간 구역들을 포함하는 패턴(5)을 상기 타이어의 측벽 상에 생성하기 위하여 레이저 빔(32)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상기 패턴의 60%를 점유하고, 상기 개방부들은 적어도 평방 밀리미터(㎟) 당 5개의 개방부들과 동일한 밀도에서 상기 패턴에 걸쳐 분포되고, 상기 개방부들은 0.03mm 내지 0.5mm의 상당 직경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06051A 2012-09-12 2013-09-10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 KR20150054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8550A FR2995254B1 (fr) 2012-09-12 2012-09-12 Pneumatique comportant un motif a fort contrast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cavites
FR1258550 2012-09-12
PCT/EP2013/068666 WO2014040967A1 (fr) 2012-09-12 2013-09-10 Pneumatique comportant un motif a fort contrast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cavi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810A true KR20150054810A (ko) 2015-05-20

Family

ID=4721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051A KR20150054810A (ko) 2012-09-12 2013-09-10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105995B2 (ko)
EP (1) EP2895340B1 (ko)
JP (1) JP6150310B2 (ko)
KR (1) KR20150054810A (ko)
CN (1) CN104718092B (ko)
BR (1) BR112015003965A2 (ko)
DE (1) DE202013012423U1 (ko)
FR (1) FR2995254B1 (ko)
IN (1) IN2015DN01472A (ko)
RU (1) RU2652313C2 (ko)
WO (1) WO2014040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594B1 (fr) * 2014-04-30 2018-01-05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comportant un symbole matriciel a fort contraste sur le flanc
JP6339855B2 (ja) * 2014-05-14 2018-06-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レス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FR3022851B1 (fr) * 2014-06-30 2018-05-1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comportant un marquage a fort contraste
FR3022830B1 (fr) * 2014-06-30 2017-05-19 Michelin & Cie Element de moule pour pneumatique comportant une texture a fort contraste
FR3023507B1 (fr) * 2014-07-11 2017-12-08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un marquage comportant une pluralite de niveaux de gris
FR3023508B1 (fr) * 2014-07-11 2017-12-08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un marquage a fort contraste
DE102014215094A1 (de) * 2014-07-31 2016-02-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Polymerprodukt, vorzugsweise Fahrzeugreifen
FR3034358B1 (fr) * 2015-03-30 2018-03-2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a bande de roulement pourvue de textures
US10850572B2 (en) 2015-05-14 2020-12-01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CN107614292A (zh) 2015-05-14 2018-01-19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
EP3095596A1 (en) 2015-05-21 2016-11-23 4JET Technologies GmbH Recess pattern in a rubber article
EP3130485B1 (de) 2015-08-10 2018-04-1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6768300B2 (ja) * 2016-01-25 2020-10-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694282B2 (ja) * 2016-01-27 2020-05-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7136958A (ja) * 2016-02-03 2017-08-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R3057209A1 (fr) * 2016-10-11 2018-04-1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pourvu d’un anneau texture
FR3063455B1 (fr) * 2017-03-06 2021-11-26 Michelin & Cie Pneumatique pourvu d'une texture sur un flanc
FR3065383B1 (fr) * 2017-04-20 2019-06-0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rocede de gravure au laser d'un element de moule pour moule de pneumatique
US10919348B2 (en) 2018-09-05 2021-02-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RFID locator
CN112789181B (zh) * 2018-09-20 2022-07-05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FR3097166B1 (fr) * 2019-06-13 2021-11-19 Michelin & Cie Procédé pour déposer une couche colorée et pneumatique
DE102019220004A1 (de) 2019-12-18 2021-06-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aufweisend eine Oberflächenkontraststruktur mit Stegen
KR102530621B1 (ko) 2021-01-14 2023-05-08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JP2023030591A (ja) 2021-08-23 2023-03-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DE102022203474A1 (de) 2022-04-07 2023-10-1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aerodynamisch vorteilhafter Oberflächen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755B (en) * 1977-12-23 1982-06-16 Dunlop Ltd Shallow relief patterns on tyre sidewalls
GB8617409D0 (en) * 1986-07-16 1986-08-20 Sp Tyres Uk Ltd Tyre sidewalls
JP3072921B2 (ja) * 1991-07-04 2000-08-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007825B2 (ja) * 1995-09-28 2000-02-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1076815A (ja) * 1996-09-05 1998-03-2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3652824B2 (ja) * 1996-11-15 2005-05-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01239810A (ja) * 2000-03-02 2001-09-04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サイド表示付きタイヤ及びタイヤ製造用成形型
GB2381367A (en) * 2001-10-26 2003-04-30 Writespeed Ltd Information display
JP4371625B2 (ja) * 2002-02-22 2009-1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およびその金型
JP2007022367A (ja) * 2005-07-19 2007-02-0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FR2892336B1 (fr) * 2005-10-21 2009-10-09 Michelin Soc Tech Marquage offrant une meilleure visibilite et procede de marquage.
JP2008001249A (ja) * 2006-06-23 2008-01-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9043900A1 (de) * 2009-08-28 2011-03-03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eifenvulkanisierform und mit dieser Reifenvulkanisierform hergestellter Fahrzeugreifen
DE102010050077B4 (de) * 2010-10-29 2023-05-25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scher Reifen
US8381786B2 (en) * 2010-11-17 2013-02-26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5890196B2 (ja) * 2012-02-17 2016-03-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及びタイヤ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95254B1 (fr) 2015-07-17
BR112015003965A2 (pt) 2017-07-04
JP6150310B2 (ja) 2017-06-21
FR2995254A1 (fr) 2014-03-14
DE202013012423U1 (de) 2016-11-04
CN104718092A (zh) 2015-06-17
US10105995B2 (en) 2018-10-23
US20150246587A1 (en) 2015-09-03
RU2015113445A (ru) 2016-11-10
IN2015DN01472A (ko) 2015-07-03
CN104718092B (zh) 2017-08-08
WO2014040967A1 (fr) 2014-03-20
RU2652313C2 (ru) 2018-04-25
JP2015529170A (ja) 2015-10-05
EP2895340A1 (fr) 2015-07-22
EP2895340B1 (fr)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4810A (ko) 복수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고명암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
US9975203B2 (en) Tire comprising a high-contrast pattern and ribs for protecting the pattern
US20140166177A1 (en) High contrast tire pattern
JP6574770B2 (ja) サイドウォール部に特定のテクスチャを有するタイヤ
USD534858S1 (en) Tire tread
KR102010748B1 (ko) 타이어 트래드를 가황하기 위한 몰드 요소
USD550148S1 (en) Tire tread
CN108430806B (zh) 车辆轮胎
CN106457928A (zh) 在侧壁上包括高反差矩阵符号的轮胎
RU2675157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3698988B1 (en) Tire
JP2009512584A (ja) 視認性の良いマーキング及びマーキング方法
US20170066292A1 (en) Tread Comprising A Strong-Contrast Texture In A Groove
CN105538599A (zh) 双色成形法和双色成形用模具以及双色成形品
CN104684719A (zh) 轮胎模具的包括多个孔的模制元件
CN105517769B (zh) 通气构件以及充气轮胎的制造方法
CN106470826B (zh) 包括高反差纹理部的模具插入件
USD581863S1 (en) Tire for automobile
CN106470827B (zh) 包括高反差纹理部的模具元件
USD559771S1 (en) Tire tread
JP201507793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89357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加硫金型
USD547258S1 (en) Tire tread
USD549158S1 (en) Tire tread
CN105793070B (zh) 包括侧壁上的缺陷掩饰图案的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