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704A -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704A
KR20150042704A KR20140130652A KR20140130652A KR20150042704A KR 20150042704 A KR20150042704 A KR 20150042704A KR 20140130652 A KR20140130652 A KR 20140130652A KR 20140130652 A KR20140130652 A KR 20140130652A KR 20150042704 A KR20150042704 A KR 2015004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operating
motion
operating system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706B1 (ko
Inventor
켄지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조작 시스템은,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의 조작시에 확보해야 할 통상 동작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동작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ANIPULATING SYSTEM CONSISTING OF WIRELESSLY CONNECTED MANIPUL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MANIPULA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LCD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는 사이에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조작도 행해지지 않으면 이미지의 표시를 정지하고, 그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 또는 표시 스위치가 조작되면 이미지의 표시를 재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사용자가 구도를 정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자세를 종횡 상하로 바꾸고 있을 때에는, 카메라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어도,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오토 파워 오프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0-50124호. 2000.2.18.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6-165842호. 2006.6.22.
그렇지만, 상기한 기술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형태를 고려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한 기술을, 촬영 렌즈나 촬상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부와, 모니터 및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고, 조작부로부터 무선으로 촬상부를 조작 가능하게 한 조작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소비 전력을 반드시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조작부가 외부에 준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는, 그 사용 형태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다르고, 촬영시에 촬상부와 조작부가 분리된 특유의 사용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촬상부와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카메라 장치 등의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조작 시스템은,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의 조작시에 확보해야 할 통상 동작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동작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은,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의 조작시에 확보해야 할 통상 동작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동작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조작 장치는,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조작 장치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은,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컴퓨터를,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소비 전력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컴퓨터를,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장치를 구성하는 촬상 장치 및 조작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조작 장치(리모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촬상 장치(카메라) 및 조작 장치(리모콘)의 전원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어 테이블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나 촬상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부에 대하여, 모니터 및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가 외부에 준비된 구성의 물건에 상당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만을 단독으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고,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부로부터 무선에 의해 촬상부를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이며, 조작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갖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시하는 카메라 장치의 전기적 구성의 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는,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기 촬상부에 상당하는 촬상 장치 1과 상기 조작부에 상당하는 조작 장치 2로 구성된다.
먼저, 촬상 장치 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 장치 1은, 크게 MCU(Micro Controller Unit) 11,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2, 촬상부 13, 외부 기억 장치 14, 가속도 센서 15, 통신부 16, 및 전원부 17로 구성된다.
MCU 11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 작업용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이고,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촬상 장치 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촬상부 13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촬상 소자와, 그 구동 회로와,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의 증폭,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AFE(Analog Front End)로 구성된다.
DSP 12는, 촬상부 13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변환 후의 촬상 신호에 소정의 프로그램에 기초한 복수 단계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촬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촬영시에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방식 등으로 압축한 기록용의 이미지 데이터도 생성한다.
외부 기억 장치 14는, 촬상 장치 1의 본체에 탈착가능한 각종 메모리 카드이고, 촬영시에 DSP 12에 의해 생성된 기록용의 이미지 데이터가 기억된다.
가속도 센서 15는, 촬상 장치 1에 있어서의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 15의 검출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앰프나 A/D 변환기를 통해서 MCU 11에 공급된다.
통신부 16은, 조작 장치 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등록상표)에 의한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조작 장치 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전원부 17은, 전원 전지(예를 들면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충전지), 및 DC/DC 컨버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각 부에 대하여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 17에는 전원 스위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촬상 장치 1에 있어서는, MCU 11이, 촬상부 13을 구동시키고 있는 동안에, DSP 12가 생성한 촬상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부 16을 통해서 조작 장치 2로 송신하고, 또, 조작 장치 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외부 기억 장치 14로부터 읽어낸 이미지 데이터도 조작 장치 2로 송신한다. 그리고, MCU 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 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촬상 장치 1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등을 행한다.
다음으로, 조작 장치 2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장치 2는, 크게 MCU 21과, 표시 장치 22, 조작부 23, 가속도 센서 24, 통신부 25, 전원부 26으로 구성된다.
MCU 21의 구성은, 촬상 장치 1이 갖는 MCU 11과 기본적으로는 같고,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 장치 2의 각 부를 제어한다.
표시 장치 22는 컬러 액정 모니터(이하, LCD라고도 한다)이며, 상기한 촬상 이미지를 스루 이미지(through-the-lens image)로서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촬영 조건이나, 카메라 장치가 갖는 각종 기능을 설정하게 하기 위한 메뉴 화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또, 표시 장치 22는 촬상 장치 1로부터 보내진 기록용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이미지, 즉 과거에 촬영되어, 기억되어 있는 촬영 이미지도 표시한다.
조작부 23은, 전원 스위치나 셔터 버튼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속도 센서 24는, 조작 장치 2에 있어서의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 24의 검출 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앰프나 A/D 변환기를 통해서 MCU 21에 공급된다.
통신부 25는, 촬상 장치 1과의 사이에서 블루투스(등록상표)에 의한 근거리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촬상 장치 1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전원부 26은, 전원 전지(예를 들면,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충전지), 및 DC/DC 컨버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각 부에 대하여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조작 장치 2에 있어서는, MCU 21이, 조작부 23의 소정의 조작 스위치에 의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의 내용을 통신부 25를 통해서 촬상 장치 1에 송신하거나, 통신부 25를 통해서 촬상 장치 1로부터 수신한 스루 이미지를 표시 장치 22에 표시시키거나 한다. 또, MCU 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 1에 대하여 전원 제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요구하는 동시에, 조작 장치 2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의 본 발명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촬상 장치 1과 조작 장치 2가 미리 블루투스에 있어서의 페어링(pairing)이 완료되어 있고, 쌍방의 전원이 온(ON)이 되면 카메라 장치가 즉시 촬영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촬상 장치 1이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로 촬상 동작을 시작하고, 피사체의 촬상 이미지 데이터를 조작 장치 2에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한편, 조작 장치 2가 이를 수신하고, 표시 장치 22에 스루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촬상 장치 1을 카메라라고 부르고, 조작 장치 2를 리모콘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리모콘의 동작)
먼저,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리모콘(조작 장치) 2의 본 발명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MCU 21이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MCU 21은, 스루 이미지의 표시를 시작한 후, 즉시 내부 클록에 의해 실현되는 1초 타이머를 스타트시켜(단계 SA1), 1초마다(단계 SA2: 예), 전원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A3). 이러한 처리는, 리모콘 2와 카메라 1의 쌍방의 전원을 제어하는 처리이며,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MCU 21은, 1초 타이머의 카운트 시간이 1초에 달할 때까지는(단계 SA2: 아니오), 사용자로부터의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전원 오프(power off) 지시의 유무, 및 셔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촬영 지시의 유무를 차례로 확인한다(단계 SA4, SA5).
MCU 21은, 상기 어느 쪽의 조작도 없으면(단계 SA4, SA5가 모두 아니오), 단계 SA2의 처리에 돌아가고, 1초마다(단계 SA2: 예), 전원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A3).
또, 그 사이에 MCU 21은, 촬영 지시가 있으면(단계 SA5: 예), 카메라 1에 촬영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한 후(단계 SA6), 단계 SA2의 처리로 돌아가고, 전원 오프 조작이 있으면(단계 SA4: 예), 카메라 1에 전원 오프를 통지한 후(단계 SA7), 리모콘 2의 전원을 오프해서(단계 SA8),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단계 SA3에 있어서 MCU 21이 실행하는 1초마다의 전원 제어 처리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 3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원 제어 처리시에 MCU 21은, 먼저 카메라(촬상 장치) 1에 대하여 상태의 취득을 요구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한다(단계 SA31). 여기서, 상태란, 카메라에 있어서의 움직임의 유무에 관한 상태이며, 움직임이 있는 동작 상태와, 정지되어 있는 정지 상태의 어느 하나이며, 단계 SA31에 있어서의 통지는, 이러한 상태를 취득하는 동시에 그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리모콘 2에 송신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 1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구에 응답하여, 가속도 센서 15의 검출값으로부터 자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리모콘 2로 송신하게 된다.
MCU 21은, 카메라 1로부터 상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카메라 1의 상태를 취득할 수 있을 때까지 처리 대기를 행하고(단계 SA32: 아니오), 카메라 1의 상태를 취득할 수 있으면(단계 SA32: 예), 다음으로, 리모콘 2의 상태를 취득한다(단계 SA33). 즉, 리모콘 2가 동작 상태 또는 정지 상태의 어느 쪽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MCU 21은, 리모콘 2가 정지 상태일 때에는(단계 SA34: 정지),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사용자가 카메라 1을 임의의 장소에 세팅중인 상태 또는 미사용의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하고, 카메라 1 측에 다음 내용의 전원 제어 요구를 통지한다.
즉, MCU 21은,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DSP 12과 촬상부(촬상 소자) 13(복수의 디바이스)의 전원을 끄는 내용의 전원 제어를 요구한다(단계 SA35). 다시 말해,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를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쌍방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제1 소전력 모드로 이행하도록 요구한다.
그 후, MCU 21은, 통신부 25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를, 상대측(카메라 1)으로부터의 송신의 유무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서만 확인하는 소전력 모드(소위 스니프(sniff)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A36). 또한, 이미 통신 모드가 소전력 모드인 경우에는, 그 통신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MCU 21은, 소정의 디바이스인 LCD 22의 전원을 끄는 전원 제어를 행한다(단계 SA37). 즉,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LCD 22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소전력 모드로 한다. 여기에서도, 이미 LCD 22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MCU 21은, 상기와는 달리 리모콘 2가 동작 상태일 때에는(단계 SA34: 동작), 카메라 1의 상태에 따라서 이하의 다른 처리를 행한다.
먼저, MCU 21은, 카메라 1이 정지 상태라면(단계 SA38: 정지),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전원 공급을 시작 또는 속행한다)는 내용의 전원 제어를 요구한다(단계 SA39). 즉,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동작 모드를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온으로 한 통상 모드로 이행하도록 요구한다.
그 후, MCU 21은, 통신부 25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를 통상 모드(소위 액티브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A40). 또한, 이미 통신 모드가 통상 모드일 경우에는, 그 통신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MCU 21은,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전원 제어를 행한다(단계 SA41). 즉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한 통상 모드로 한다. 여기에서도, 이미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또, 상술한 경우와 달리 카메라 1이 동작 상태라면(단계 SA38: 동작), MCU 21은,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사용자가 카메라 1을 가지고 이동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DSP 12의 전원을 온으로,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하는 내용의 전원 제어를 요구한다(단계 SA42). 즉 카메라 1 측에 대하여, 동작 모드를 촬상부(촬상 소자) 13만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제2 소전력 모드로 이행하도록 요구한다.
그 후, MCU 21은, 통신부 25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를 상기한 소전력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SA43). 또한, 이미 통신 모드가 소전력 모드인 경우에는, 그 통신 모드를 유지한다.
그리고, MCU 21은,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전원 제어를 행한다(단계 SA41). 즉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한 통상 모드로 한다. 여기서도, 이미 LCD 22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카메라의 동작)
다음으로, 리모콘 2측의 MCU 21에 의한 상기한 처리에 대응하는 카메라(촬상 장치) 1의 본 발명에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카메라 1에 있어서 MCU 11이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MCU 11은,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에서의 촬상, 및 촬상 이미지의 리모콘 2로의 송신을 시작한 후에는,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 대기 상태에 있고, 리모콘 2로부터 무선으로 보내지는 상기한 전원 오프의 통지(전원 오프 요구), 및 촬영 요구를 포함하는 각종 요구의 유무를 수시로 확인한다(단계 SB1).
그리고, MCU 11은, 리모콘 2로부터 어떠한 요구가 있으면(단계 SB1: 예), 그 요구에 따른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MCU 11은,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가 전원 오프 요구라면(단계 SB2: 예), 카메라 1의 전원을 오프해서(단계 SB3),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또, MCU 11은,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가 촬영 요구라면(단계 SB4: 예), 촬영 처리를 행한다(단계 SB5). 즉, 촬상부 13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고, DSP 12가 생성한 기록용의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 기억 장치 14에 기억한다.
또, MCU 11은,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가 상기한 전원 제어 요구가 아니고, 카메라 1의 상태 취득 요구인 때에는(단계 SB6: 아니오), 가속도 센서 15의 검출값으로부터 카메라 1의 상태를 확인(취득)하고(단계 SB7), 확인한 상태를 리모콘 2에 통지한다. 즉, 확인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리모콘 2에 송신한다(단계 SB8). 그 후, MCU 11은, 단계 SB1으로 돌아가고, 다시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 대기를 행한다.
또, MCU 11은,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가 상기한 전원 제어 요구인 때에는(단계 SB6: 예),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DSP 12과, 촬상 소자, 즉, 촬상부 13에 있어서의 전원 처리를 행한다(단계 SB9).
다시 말해, 단계 SB9의 처리에 있어서 MCU 11은, 리모콘 2가 정지 상태이고, 리모콘 2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카메라 1의 세팅중, 또는 미사용의 상태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되고 있었던 때에는, DSP 12과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즉, MCU 11은,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소비 전력이 가장 적은 제1 소전력 모드로 한다. 한편, 이미 카메라 1의 동작 모드가 제1 소전력 모드인 경우에는, 그 동작 모드를 유지한다.
또, 리모콘 2가 동작 상태이고, 카메라 1이 정지 상태이며, 리모콘 2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사용자가 촬영을 실시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고 있었을 때에는,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즉, MCU 11은,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로 한다. 또한, 이미 카메라 1의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일 경우에는, 그 동작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리모콘 2와 카메라 1이 모두 동작 상태이고, 리모콘 2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사용자가 카메라 1을 가지고 이동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고 있었을 때에는, DSP 12의 전원을 온으로,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즉, MCU 11은,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소비 전력이 통상 모드와 제1 소전력 모드의 사이가 되는 제2 소전력 모드로 한다. 한편, 이미 카메라 1의 동작 모드가 제2 소전력 모드인 경우에는, 그 동작 모드를 유지한다.
도 5는, 상기의 전원 처리에 의한 카메라 1의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 제어 내용, 및 상기한 리모콘 2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처리에 의한 LCD 22의 전원 제어 내용을, 각각이 대응하는 카메라 1 및 리모콘 2의 상태, 및 상정되는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와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 처리를 행한 후, MCU 11은, 리모콘 2에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B10).
또한, MCU 11은, 통신부 16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를 리모콘 2측과 동등한 모드로 변경하는 통신 모드 처리를 행한다(단계 SB11). 다시 말해, 단계 SB9의 처리 시에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처리를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온으로 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처리를 통상 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MCU 11은, 단계 SB1으로 돌아가고, 다시 리모콘 2로부터의 요구 대기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한 처리를 되풀이한다. 한편, 그 사이에는, 리모콘 2측에 있어서 1초마다 전원 제어 처리(도 3)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MCU 11은, 1초마다 상기한 단계 SB6~단계 SB11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카메라 1과 리모콘 2에 각각 설치된 가속도 센서 15, 24의 정보로부터,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상태(동작 상태, 또는 정지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제1 소전력 모드 및 제2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설정한다. 다시 말해,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가, 카메라 1의 세팅중, 또는 미사용인 상태나, 사용자가 카메라 1을 가지고 이동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 때에는, 즉시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제1 또는 제2 소전력 모드로 하고,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한다. 즉, 미리 상정되는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에 의거해서 카메라 장치로서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설정한다(도 5 참조).
따라서, 카메라 장치가 카메라 1과 리모콘 2로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 1만을 단독으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고, 카메라 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리모콘 2를 조작하여 촬영을 한다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다른 특유의 사용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카메라 장치로서의 동작 모드를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있는 동안에는,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사이의 통신 모드도 소전력 모드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 카메라 1에 대해서는,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쌍방이 움직이고 있고, 사용자가 카메라 1을 가지고 이동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동작 모드로서 촬상부(촬상 소자) 13만의 전원을 오프하는 제2 소전력 모드를 설정하고, 동시에 리모콘 2를 통상 모드로 설정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 카메라 1을 설치한 후, 즉시 촬영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DSP 12의 기동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촬영을 할 수 있고, 편리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부터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 2의 MCU 21이 상기한 1초 마다의 전원 제어 처리를 행할 때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제어 처리를 도 6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전원 제어 처리 시에 MCU 21은, 먼저 카메라(촬상 장치) 1에 대하여 상태(동작 상태, 또는 정지 상태)의 취득을 요구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단계 SA131), 카메라 1로부터의 상태 정보의 수신 대기를 행한다(단계 SA132). 또한, MCU 21은, 카메라 1의 상태를 취득할 수 있으면(단계 SA132: 예), 다음으로, 리모콘 2의 상태를 취득한다(단계 SA133). 여기까지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그 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MCU 21은, 먼저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1초 전, 즉, 전회의 전원 제어 처리를 행한 시점부터 상태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단계 SA134).
여기서,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쌍방에 있어서 상태의 변화가 없었을 경우에는(단계 SA134: 아니오), MCU 21은, 최근 10초 동안에 있어서 쌍방의 상태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더 확인한다(단계 SA135). 또한, 이러한 처리는, MCU 21이 최근 10초 동안에 행한 전원 제어 처리에서 확인한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쌍방의 상태를 작업용의 RAM에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MCU 21은, 최근 10초 동안에 쌍방 중 어느 것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SA135: 예), 그대로 전원 제어 처리를 종료하고, 상기한 도 2의 처리로 돌아간다. 즉, 카메라 1과 리모콘 2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통상 모드 또는 소전력 모드)를 유지한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최근 10초 동안에 있어서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쌍방의 상태에 변화가 없었을 경우(단계 SA135: 아니오), MCU 21은, 카메라 장치가 미조작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카메라 1측에 대하여, DSP 12과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하는 내용의 전원 제어를 요구한다(단계 SA136).
즉, 카메라 1의 동작 모드가 통상 모드 또는 제2 소전력 모드라면, 동작 모드를 제1 소전력 모드로 이행시키고, 이미 제1 소전력 모드라면,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MCU 21은, LCD 22의 전원을 끄는 전원 제어를 행한다(단계 SA137). 즉, 리모콘 2의 동작 모드가, 그 시점에서 소전력 모드가 아니라면 소전력 모드로 한다.
한편, MCU 21은, 상기의 경우와는 달리,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어느 것에서, 1초 전의 시점부터 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SA134: 예), MCU 21의 ROM에 기억되어 있는 도 7에 도시된 제어 테이블을 참조해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이 제어 테이블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상태 변화(변화없음을 포함한다)의 패턴과, 미리 예측가능한 사용자의 행동 내용(행동 예측)과, 카메라 1의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 제어 내용과, 리모콘 2의 LCD 22의 전원 제어 내용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설명하면 MCU 21은, 먼저 상기의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고,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상태 변화로부터 사용자(촬영자)의 행동을 예측한다(단계 SA138). 즉 상기의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행동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한다.
여기서, MCU 21이 예측가능한 행동 내용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카메라의 이동 개시, 카메라의 이동중, 카메라의 설치 완료, 촬영자의 이동중, 촬영자 및 카메라의 이동중, 카메라의 설정 완료, 촬영자의 이동 완료의 7가지 패턴 중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 1의 상태 변화가 「정(靜)->정(靜)」인 경우에 있어서는, 리모콘 2의 상태가 「정->동(動)」이라면, 사용자가 「촬영하려고 하고 있다」고 예측하고, 카메라 1의 상태 변화가 「정->동」인 경우에 있어서는 리모콘 2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카메라의 이동을 개시」했다고 예측한다.
그런 후에, MCU 21은,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의 예측 결과에 따른 카메라 1의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 제어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한 내용의 전원 제어 요구를 카메라 1측에 통지한다(단계 SA139). 구체적인 전원 제어 내용은 도 7에 도시한 대로다. 이에 의해, MCU 21은,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통상 모드와 제1 소전력 모드와 제2 소전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한다.
단, 단계 SA139의 처리 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예측 결과가 「카메라의 이동을 개시」인 경우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리모콘 2의 상태 변화를 감안해서 카메라 1의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 제어 내용이 결정된다. 즉, 리모콘 2의 상태 변화가 「정->동」, 「동->동」, 「동->정」인 때에는,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만을 오프로 하지만, 리모콘 2의 상태 변화가 「정->정」(변화없음)인 때에는, DSP 12와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쌍방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그런 후에, MCU 21은, 제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의 예측 결과에 따른 리모콘 2의 LCD 22의 전원 제어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한 내용의 전원 제어를 행한다(단계 SA140). 구체적인 전원 제어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대로다. 이후, MCU 21은 전원 제어 처리를 종료하고, 상기한 도 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제어 처리에 있어서는, MCU 21이, 카메라 1과 리모콘 2에 있어서의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서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제1 소전력 모드나 제2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동시에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해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형태에 입각한 더욱 정확한 전원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촬영자)의 행동을 예측해서 전원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촬영하려고 한 때에는 즉시 촬영 동작에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원 제어 처리에서는 카메라 1과 리모콘 2 사이의 통신 모드는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전원 제어 처리에 있어서도, 카메라 장치의 동작 모드를 소전력 모드로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1과 리모콘 2 사이의 통신 모드도 소전력 모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단계 SA136, 139의 처리에 있어서, 카메라 1의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오프로 제어할 때, 통신 모드도 소전력 모드로 하는 동시에, 단계 139의 처리에 있어서, 카메라 1의 촬상부(촬상 소자) 13의 전원을 온으로 할 때, 통신 모드도 통상 모드로 하도록 하면 좋다.
여기서, 이상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제1 소전력 모드나 제2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상시 통상 모드로 하거나, 반대로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상시 통상 모드로 하거나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카메라 1과 리모콘 2 사이의 통신 방식에 블루투스(등록상표)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신 방식은 임의이고, Wi-Fi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모콘 2의 MCU 21이 카메라 1의 동작 모드와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카메라 1의 MCU 11이 카메라 1의 동작 모드와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MCU 11에,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서 카메라 장치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동시에,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카메라 1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제1 소전력 모드 및 제2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고, 리모콘 2의 동작 모드를 적절히 소전력 모드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리모콘 2의 MCU 21에, 카메라 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리모콘 2의 상태를 취득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카메라 1에 송신하는 처리, 및 카메라 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LCD 22의 전원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면 좋다.
또, 상기한 카메라 1과 리모콘 2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카메라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기본적인 동작 모드인 촬영 모드와는 별도로, 또는 촬영 모드의 하위 동작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처리를 행하는 동작 모드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이에 더하여, 카메라 1은, 리모콘 2와 다른 장소에 설치가능한 것이라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몸에 지닐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의 보조 도구를 이용해서 머리에 장착가능한 헤드셋 타입인 것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카메라 1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아닌지의 사용 상태를 리모콘 2를 이용해서 설정하게 하고, 사용자가 카메라 1을 몸에 지니고 있지 않은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만, 카메라 1과 리모콘 2에 상기한 처리를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 리모콘 2에 대해서도,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사용자의 팔에 장착가능한 시계(watch)형의 휴대 정보 단말기나, 소위 스마트폰(고기능의 휴대 전화기) 등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카메라 1(촬상 장치)과 리모콘 2(조작 장치)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장치에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이라면, 임의의 조작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임의의 조작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면, 음악 플레이어(전자 기기)와, 음악 플레이어에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악 플레이어를 조작하는 조작 버튼 등을 구비한 헤드폰(조작 장치)이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3)

  1.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의 조작시에 확보해야 할 통상 동작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동작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조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시스템의 상기 소전력 동작으로의 제어 시에, 상기 조작 장치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과,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모두 정지시키는, 조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전원 공급의 정지 대상이 되는 복수의 소정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의 내용에 따라서, 하나 내지 복수의 상기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는,
    조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시스템의 상기 소전력 동작에 있어서의 동작 내용에는, 상기 조작 장치와 상기 전자 기기 사이의 무선에 의한 통신 모드를 통상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모드로 하는 내용이 포함되는, 조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한 촬상 이미지를 상기 조작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의 무선에 의한 조작에 따라 촬영 동작을 행하는 촬상 장치이고,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촬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촬상 장치로 하여금 촬영 동작을 행하게 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
  7.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상기 조작 장치에 의한 상기 전자 기기의 조작시에 확보해야 할 통상 동작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소전력 동작으로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 전력 제어 방법.
  8.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
    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
  9.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조작 장치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 전력 제어 방법.
  10.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컴퓨터를,
    상기 조작 장치에서 검출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1.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2.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단계에서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단계
    를 포함하는 소비 전력 제어 방법.
  13. 조작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무선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에서의 상기 전자 기기가 포함하는 컴퓨터를,
    상기 전자 기기에서 검출된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조작 장치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움직임이 있는 상태 또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수단,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인된 상기 조작 장치의 상태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조작 장치에 대하여,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조작 시스템의 사용 상태가 소정의 사용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조작 장치가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요구를 행하는 제어 요구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130652A 2013-10-11 2014-09-29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600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3391 2013-10-11
JP2013213391A JP5854334B2 (ja) 2013-10-11 2013-10-11 操作システム、消費電力制御方法、操作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776A Division KR20160024900A (ko) 2013-10-11 2016-02-17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704A true KR20150042704A (ko) 2015-04-21
KR101600706B1 KR101600706B1 (ko) 2016-03-07

Family

ID=528093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652A KR101600706B1 (ko) 2013-10-11 2014-09-29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018776A KR20160024900A (ko) 2013-10-11 2016-02-17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776A KR20160024900A (ko) 2013-10-11 2016-02-17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325900B2 (ko)
JP (1) JP5854334B2 (ko)
KR (2) KR101600706B1 (ko)
CN (2) CN1081840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385B2 (en) 2015-12-22 2020-07-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o implement power saving mode by stopp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0240B2 (en) * 2014-12-22 2018-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mera by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92967B1 (en) 2015-03-23 2017-06-27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boot time and power consumption in camera systems
US10009505B2 (en) * 2015-04-14 2018-06-26 Apple Inc. Asynchronously requesting information from a camera device
WO2018206091A1 (en) 2017-05-09 2018-11-15 Arcelik Anonim Sirketi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energy consump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based on pricing
JP2018191209A (ja) * 2017-05-10 2018-1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装置の制御方法
WO2020186506A1 (zh) * 2019-03-21 2020-09-2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060A (ja) * 1998-03-30 1998-08-2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0050124A (ja) 1998-07-28 2000-02-1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85440A (ko) * 2002-12-09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제어기로서 사용가능한 착탈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JP2006165842A (ja) 2004-12-06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10153991A (ja) * 2008-12-24 2010-07-08 Panasonic Corp 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9759B1 (en) * 2000-06-19 2004-10-26 Benq Corporation Remote control unit with previewing device for an image-capturing device
JP2003198924A (ja) 2001-12-28 2003-07-11 Fuji Photo Film Co Ltd 遠隔操作機能付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3338980A (ja) * 2002-05-20 2003-11-2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影装置
JP2004328271A (ja) 2003-04-23 2004-11-1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データ送信制御方法
JP4364002B2 (ja) * 2004-02-06 2009-11-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カメラ及び頭部装着型カメラによる撮影方法
KR20060026228A (ko) * 2004-09-20 2006-03-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널을 리모콘으로 사용하는디지털 카메라 및 그 구동 방법
JP2007005915A (ja) 2005-06-21 2007-01-11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9027647A (ja) 2007-07-23 2009-02-05 Fujifilm Corp 撮影画像記録システム、撮影装置、撮影画像記録方法
JP2010109477A (ja) * 2008-10-28 2010-05-13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54070A (ja) * 2008-12-24 2010-07-08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JP2010258607A (ja) * 2009-04-22 2010-11-11 Sony Corp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JP5569319B2 (ja) * 2010-10-07 2014-08-13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12204862A (ja) * 2011-03-23 2012-10-22 Nikon Corp 撮像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5725949B2 (ja) * 2011-04-12 2015-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3197752A (zh) * 2012-01-09 2013-07-10 马维尔国际有限公司 用于减少电子设备功耗的方法和设备
US9749515B2 (en) * 2012-02-19 2017-08-29 Jack J. McCauley System and method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ver cameras with audio processing to generate a refined audio signal
US8934045B2 (en) * 2012-03-12 2015-01-13 Apple Inc.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CN102955479B (zh) * 2012-10-25 2015-09-30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电视机摄像头的运行控制装置
JP5746244B2 (ja) * 2013-03-06 2015-07-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操作端末、撮像システム、撮像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060A (ja) * 1998-03-30 1998-08-2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0050124A (ja) 1998-07-28 2000-02-18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50085440A (ko) * 2002-12-09 2005-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원격 제어기로서 사용가능한 착탈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JP2006165842A (ja) 2004-12-06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10153991A (ja) * 2008-12-24 2010-07-08 Panasonic Corp 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1385B2 (en) 2015-12-22 2020-07-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o implement power saving mode by stopping a first communication path
US11140307B2 (en) 2015-12-22 2021-10-0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at switches between a first communication path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th during capturing an image by an image pickup apparatus
US11588965B2 (en) 2015-12-22 2023-02-21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924544B2 (en) 2015-12-22 2024-03-05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5322A1 (en) 2016-07-14
US9325900B2 (en) 2016-04-26
CN108184069A (zh) 2018-06-19
CN108184069B (zh) 2020-08-18
KR20160024900A (ko) 2016-03-07
CN104580881A (zh) 2015-04-29
JP5854334B2 (ja) 2016-02-09
JP2015076821A (ja) 2015-04-20
US9591216B2 (en) 2017-03-07
US20150103235A1 (en) 2015-04-16
CN104580881B (zh) 2018-04-06
KR101600706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706B1 (ko) 무선 접속된 조작 장치와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조작 시스템, 소비 전력 제어 방법, 조작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45518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providing image processing by an external apparatus
US9176566B2 (en) Controlling supply of power to a communication unit of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user's activity of image capturing and transferring on the communication device
JPWO2013118487A1 (ja) 通信装置
JP5838852B2 (ja)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19538B2 (ja) カメラ装置、その消費電力制御方法、撮像装置、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18274B2 (ja) システム、消費電力制御方法、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0057495B2 (en)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558625B2 (ja) 電子機器、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87826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US8823805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6137285B2 (ja) 操作システム、消費電力制御方法、操作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594329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9225178A (ja) 撮影装置
JPWO2019088295A1 (ja) 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JP2017139787A (ja) 撮像装置、電子機器、その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システム
WO2022004573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CN108881764B (zh) 信息记录装置、信息记录系统和信息记录装置的控制方法
JP2014147028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5311982A (ja) コードレス電話子機
JP2006041679A (ja) カメラ機能制御装置
JP2018125736A (ja) 画像処理装置、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1721263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76756A (ja) 撮像装置
JP2016181772A (ja) 操作装置、操作方法とプログラム、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