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200A -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200A
KR20150036200A KR1020157002020A KR20157002020A KR20150036200A KR 20150036200 A KR20150036200 A KR 20150036200A KR 1020157002020 A KR1020157002020 A KR 1020157002020A KR 20157002020 A KR20157002020 A KR 20157002020A KR 20150036200 A KR20150036200 A KR 2015003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insulating film
adhesive layer
pri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435B1 (ko
Inventor
유타카 후쿠다
쇼에이 요네자와
고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3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09J2463/003Presence of epoxy resin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Abstract

제조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지 필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절연 필름으로서, 프라이머층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이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이다.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좋다. 프라이머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하면 좋다. 프라이머층이 필러를 더 포함하고, 필러의 함유량이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가 좋다. 접착제층의 주성분은 폴리올레핀 수지가 좋다. 접착제층이 난연제를 포함하면 좋다. 접착제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층이 외층 및 이 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내층을 포함하고, 난연제가 상기 내층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Description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본 발명은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내부 배선용 전선으로서 다심평형(多心平型)의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플랫 케이블은, 2장의 절연 필름 사이에 복수 라인의 도체를 병렬하여 사이에 끼우고, 열라미네이트 공정 등의 가압 가열 공정에서 일체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절연 필름은 일반적으로 접착제층이 앵커코트층을 통해 수지 필름에 적층된 것이다. 접착제층은, 절연 필름을 이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형성했을 때에, 도체에 접하는 부분이다. 앵커코트층은 접착제층과 수지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접착제층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이 우수한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앵커코트층으로서는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앵커코트층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를 혼합한 상온 경화형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9-272249호 공보 참조). 또한, 플랫 케이블용 절연 필름의 앵커코트층으로서, 무수말레산으로 변성된 비결정성 프로필렌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9-272083호 공보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27224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9-27208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절연 필름의 제조는,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앵커코트층을 형성한 후, 앵커코트층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적층하고, 가압 가열하여 접착제층과 앵커코트층을 접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앵커코트층을 얇은 막 두께로 형성하는 경우, 원재료가 되는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휘발성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 용액의 도포 공정 및 유기 용제의 건조 공정의 두 가지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앵커코트층으로서, 예컨대 우레탄계의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열라미네이트 공정만으로는 충분히 수지가 경화되지 않아 필요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앵커코트층의 접착력이 불충분하면, 수지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절연 필름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에서는, 수지 필름이 박리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열라미네이트 공정 후에 40℃에서 3일간 정도의 가열 처리(에이징 처리)가 더 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효율이 나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수지 필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절연 필름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다른 발명은,
한 쌍의 피복재와, 이들 피복재 사이에 협지된 도체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한 쌍의 피복재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절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연 필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 케이블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선에 따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X2-X2선에 따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한 쌍의 적층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한 쌍의 절연 필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가열 라미네이터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척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척 케이블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절연 필름과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절연 필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은,
수지 필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절연 필름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 필름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기 때문에, 프라이머층과 수지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지 필름의 표면에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갖고 있으면, 이 극성 작용기와 글리시딜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지 필름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지 필름과 프라이머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결과,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단시간에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인 수지 조성물의 경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휘발성 용제에 용해시키는 일없이 박막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프라이머층을 박막 형성하는 경우라도, 휘발성 용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아울러, 프라이머층의 형성에 있어서 용제의 건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 비용의 삭감 및 제조 프로세스의 간략화에 의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가 열가소성 수지이면 좋다. 이와 같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가 열가소성 수지이면, 가열·냉각이라는 프로세스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프라이머층을 박막으로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제조 비용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하면 좋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수지 성분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사용량을 저감하면서도 원재료에 용매를 포함시키지 않고서 프라이머층을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일반적으로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에 비해서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많다. 그 때문에,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효과를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라이머층이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층이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예컨대 수지 필름에 프라이머층을 단독으로 또는 프라이머층을 접착제층과 함께 적층할 때에, 프라이머층과 수지 필름과의 층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필러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그 절연 필름에 내열성, 난연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상기 절연 필름의 성형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필러 첨가의 효과를 적절히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착제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이 접착제층과 프라이머층 사이의 밀착성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도체를 협지하여 플랫 케이블을 형성하는 경우에, 한쪽의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과 다른 쪽의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과의 밀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이 난연제를 포함하면 좋다. 이와 같이 접착제층이 난연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절연 필름의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착제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층이, 외층 및 이 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가 상기 내층에 포함되고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난연제가 내층에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외층의 밀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접착제층의 난연성 나아가서는 당해 절연 필름의 난연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외층의 주성분으로서는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층의 주성분이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임으로써, 당해 절연 필름을 사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형성할 때에, 다른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과 당해 절연 필름과의 접착성 및 도체와의 접착성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본 발명은,
한 쌍의 피복재와, 이들 피복재 사이에 협지된 도체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한 쌍의 피복재 중 적어도 한쪽이 당해 절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플랫 케이블에 따르면, 도체를 협지하는 한 쌍의 피복재 중 적어도 한쪽이 당해 절연 필름이기 때문에, 간이하고 또 제조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프라이머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플랫 케이블은 수지 필름 등의 박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가장 함유량이 많은 성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이 포함하는 것을 의도된다.
[절연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연 필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의 절연 필름(1)은, 수지 필름(2), 프라이머층(3) 및 접착제층(4)가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
<수지 필름>
수지 필름(2)은, 예컨대 후술하는 플랫 케이블(5)(도 2부터 도 4 참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 등의 보호막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 수지 필름(2)은, 내마모성, 내전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절연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연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플랫 케이블용으로서 범용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2)은, 프라이머층(3)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라도 좋다. 표면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코로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지 필름(2)의 표면에 수산기, 카르보닐기 등의 극성 작용기가 도입되어, 친수성이 부여된다. 코로나 처리는, 절연 수지 재료로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를 사용할 때에 유효하다. 표면 처리는 약제 처리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물론,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를 절연 수지 재료로 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절연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임의로 행하면 된다.
수지 필름(2)의 길이 치수 및 폭 치수는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수지 필름(2)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6 ㎛가 바람직하고, 9 ㎛가 보다 바람직하고, 12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수지 필름(2)의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75 ㎛가 바람직하고, 50 ㎛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상기 상한보다도 크면,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3)은 수지 필름(2)과 접착제층(4)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프라이머층(3)은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수지 성분으로서는, 필수 성분으로서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다른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3)은, 상기 수지 성분 이외에,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프라이머층(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또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프라이머층(3)의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5 ㎛가 바람직하고, 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난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프라이머층(3)의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 ㎛가 바람직하고, 3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수지 필름(2)과 접착제층(4)과의 접착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는 프라이머층과 수지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다.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글리시딜기를 도입한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글리시딜기를 도입한 모노머와 코모노머와의 코폴리머, 폴리머 분자쇄의 불포화 결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폭시화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시딜기는 폴리머의 주쇄 및 측쇄 중 어디에 도입하여도 좋다.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실부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4-히드록실부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코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 및 에틸렌 및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예컨대 「본드파스트 E」(스미토모가가쿠 제조), 「에포프렌드 AT-501」(다이셀 제조), 「ARUFON UG4070」(도아고세이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3)의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이다.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프라이머층(3)과 수지 필름(2)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상기 수지 성분 중의 100 질량%가 바람직하다. 밀착성 및 재료 비용 양쪽을 고려한 경우, 상기 수지 성분 중의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은, 상기 수지 성분 중의 8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는 임의의 성분이지만, 프라이머층(3)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사용량을 저감하면서도, 원재료에 용매를 포함시키지 않고서 프라이머층(3)을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수지는, 일반적으로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에 비해서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많으므로,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효과를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의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등, 프라이머층(3)에 여러 가지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상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폴리에틸렌-에틸렌/부텐-폴리에틸렌 트리블록 공중합체(CEBC) 등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프로필렌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예컨대 「WELNEX RFG4VA」(닛폰폴리프로 제조), CEBC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다이나론 6200P」(JSR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3)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프라이머층(3)의 수지 성분 중의 20 질량%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하면서 프라이머층(3)을 박막으로서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1 질량%가 바람직하고, 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
필러는, 예컨대 수지 필름(2)에 프라이머층(3)을 단독으로 또는 프라이머층(3)을 접착제층(4)과 함께 적층할 때에, 프라이머층(3)과 수지 필름(2)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필러는, 프라이머층(3)의 내열성, 강성, 난연성 등을 높일 목적으로 첨가하여도 좋다.
필러로서는, 예컨대 탈크, 실리카, 탄산칼슘, 알루미나, 운모, 붕산알루미늄, 티탄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탈크가, 접착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필러로서는 또한, 예컨대 에틸렌비스(펜타브로모벤젠) 등의 난연제를 들 수 있다. 필러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구상(球狀), 판상, 침상 등을 들 수 있다.
필러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예컨대 탈크로서 「미크로에이스 K-1」(닛폰탈크 제조), 난연제로서 「SAYTEX8010」(알베말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필러의 평균 입경의 상한으로서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프라이머층(3)과 수지 필름(2)과의 접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필러의 평균 입경의 하한으로서는, 0.1 ㎛가 바람직하고, 1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필러 첨가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 평균 입경은, JIS Z8901: 2006 「시험용 분체 및 시험용 입자」에 준거하여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한 구(球) 상당 직경이다.
프라이머층(3)에 있어서의 필러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상기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보다 크면, 수지 필름(2)에 대한 프라이머층(3)의 접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필러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불충분하면,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접착제층>
접착제층(4)은 절연 필름(1)을 다른 부재와 접착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이 접착제층(4)은, 예컨대 후술하는 플랫 케이블(5)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체(6) 또는 다른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과 접착되고(도 2부터 도 4 참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FPC)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접착된다.
이 접착제층(4)은, 수지 성분 중의 주성분이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에, 적합 성분으로서의 난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컨대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내열성 및 후술하는 플랫 케이블(5)의 도체(6)(도 3 및 도 4참조)와의 접착 강도의 관점에서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타콘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도입한 것이라도 좋다.
(난연제)
난연제는, 접착제층(4)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난연제의 첨가에 의해, 절연 필름(1)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5)이나 FPC 등에 UL 규격의 수직 연소 시험(VW-1 시험)에 합격하는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염소화파라핀,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페닐, 퍼클로로펜타시클로데칸 등의 염소계 난연제;
에틸렌비스펜타브로모벤젠, 에틸렌비스펜타브로모디페닐, 테트라브로모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헥사브로모벤젠, 데카브로모비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무수프탈산, 폴리디브로모페닐렌옥사이드, 헥사브로모시클로데칸, 브롬화암모늄 등의 브롬계 난연제;
트리알릴포스페이트, 알킬알릴포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디메틸포스포네이트, 포스폴리네이트, 할로겐화포스폴리네이트에스테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딜포스페이트, 크레딜페닐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브로모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비스(2,3디브로모프로필)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비스(클로로프로필)모노옥틸포스페이트, 폴리포스포네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방향족폴리포스페이트, 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 트리스(디에틸포스핀산)알루미늄 등의 인산에스테르 또는 인 화합물;
포스포네이트형 폴리올, 포스페이트형 폴리올, 할로겐 원소 함유 폴리올 등의 폴리올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삼산화안티몬, 삼염화안티몬, 붕산아연, 붕산안티몬, 붕산, 몰리부텐산안티몬, 산화몰리부텐, 인·질소 화합물, 칼슘·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화합물, 주석 화합물, 도오소나이트, 알루민산칼슘 수화물, 산화구리, 금속 구리분, 탄산칼슘, 메타붕산바륨 등의 금속분 또는 무기 화합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트리아진, 이소시아누레이트, 요소, 구아니딘 등의 질소 화합물;
실리콘계 폴리머, 페로센,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그 밖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브롬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브롬계 난연제 및 염소계 난연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양자를 병용하여도 좋다.
접착제층(4)에 있어서의 난연제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3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을 넘으면, 첨가량의 증가에 비하여 충분한 난연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접착제층(4)의 접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접착제층(4)에 있어서의 난연제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접착제층(4)에 난연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밖의 성분)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난연조제, 안료, 산화방지제, 은폐제, 윤활제, 가공안정제, 가소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조제는 수지 필름의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난연조제로서는 삼산화안티몬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4)의 난연조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상 6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난연조제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제층(4)의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난연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안료는 접착제층(4)을 착색하는 것이다. 안료로서는, 공지된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4)의 안료 함유량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는 접착제층(4)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산화방지제로서는, 공지된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접착제층(4)의 산화방지제 함유량으로서는,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0 ㎛가 바람직하고, 8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다른 접착제층, 도체 등과의 사이의 접착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접착제층(4)의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 ㎛가 바람직하고, 3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접착제층(4) 자체의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플랫 케이블]
도 2부터 도 4의 플랫 케이블(5)은, 한 쌍의 절연 필름(1A, 1B) 사이에 복수의 도체(6)를 협지한 것이다.
한 쌍의 절연 필름(1A, 1B)은 도 1의 절연 필름(1)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절연 필름(1A)은, 수지 필름(2A),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3A) 및 접착제층(4A)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 이 절연 필름(1A)은, 절연 필름(1B) 및 도체(6)보다도 길이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절연 필름(1B)은, 수지 필름(2B),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3B) 및 접착제층(4B)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다. 이 절연 필름(1B)은, 도체(6)와 같은 정도의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수지 필름(2A, 2B), 프라이머층(3A, 3B) 및 접착제층(4A, 4B)은, 도 1의 절연 필름(1)의 수지 필름(2), 프라이머층(3) 및 접착제층(4)과 같은 조성, 두께, 특성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도체(6)는, 절연 필름(1B)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도체(6)의 양 단부(6a)는 절연 필름(1A)으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단부(6a)는, 플랫 케이블(5)의 도체(6)를 프린트 기판, 전자 부품 등에 설치된 접속 단자와 접속하는 부분이다.
이들 도체(6)는, 예컨대 구리, 주석 도금 연동(軟銅), 니켈 도금 연동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체(6)로서는 박(箔) 형상의 도전성 금속이 바람직하다. 도체(6)의 두께는, 사용하는 전류량 등에 따라서 결정하면 되며, 예컨대 도체(6)를 박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0 ㎛ 이상 100 ㎛ 이하가 된다.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플랫 케이블(5)의 제조 방법은 도 5∼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이하의 공정을 갖는다.
프라이머층(30A)과 접착제층(40A)이 적층된 적층체(7A), 및 프라이머층(30B)과 접착제층(40B)이 적층된 적층체(7B)를 형성하는 공정
수지 필름(20A)과 적층체(7A)를 적층하여, 가압 가열에 의해 일체화한 절연 필름(10A), 및 수지 필름(20B)과 적층체(7B)를 적층하여, 가압 가열에 의해 일체화한 절연 필름(10B)을 형성하는 공정
절연 필름(10A), 도체(60) 및 절연 필름(10B)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가압 가열에 의해 일체화하여 장척 케이블(50)을 형성하는 공정
장척 케이블(50)을 절단하는 공정
(적층체 형성 공정)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층체 형성 공정은, 프라이머층(30A)(또는 프라이머층(30B))과 접착제층(40A)(또는 접착제층(40B))을 동시에 필름형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압출 성형에 의해, 프라이머층(30A)(또는 프라이머층(30B))과 접착제층(40A)(또는 접착제층(40B))이 적층된 적층체(7A, 7B)를 얻을 수 있다.
프라이머층(30A, 30B)의 압출 성형은, 미리 조제한 수지 조성물 A를 이용한 용융압출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A는,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에, 필요에 따라서 폴리올레핀 수지, 또한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임의 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혼련기에 의해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혼련기로서는, 예컨대 오픈 롤, 니이더, 2축 혼합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용융압출법으로서는, 예컨대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40A, 40B)의 압출 성형은, 프라이머층(30A, 30B)의 압출 성형과 마찬가지로 미리 조제한 수지 조성물 B를 이용한 용융압출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B는,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필요에 따라서 난연제, 또 필요에 따라서 난연조제, 안료, 산화방지제 등을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혼련기에 의해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혼련기 및 용융압출법은, 프라이머층(30A, 30B)의 압출 성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절연 필름 형성 공정)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 필름 형성 공정은, 적층체(7A)(또는 적층체(7B))와, 수지 필름(20A)(또는 수지 필름(20B))의 위치를 맞춰 이들을 가압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공정에 의해, 적층체(7A)(또는 적층체(7B))에 수지 필름(20A)(또는 수지 필름(20B))이 일체화된 절연 필름(10A)(또는 절연 필름(10B))을 얻을 수 있다. 가압 가열은, 예컨대 가열 롤러를 갖춘 가열 라미네이터, 가열 프레스기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예컨대 80℃∼200℃ 정도가 된다.
한편, 절연 필름(10A)에는 일정 간격으로 개구(10Aa)(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이 개구(10Aa)는, 도체(60)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펀칭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절연 필름(10A, 10B)은, 예컨대 롤 형상으로 되고, 이어서 행해지는 장척 케이블 형성 공정에 제공되게 된다.
(장척 케이블 형성 공정)
장척 케이블 형성 공정은,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한 쌍의 가열 롤러(80A, 80B)를 갖춘 가열 라미네이터(8)를 이용한 가압 가열 처리에 의해, 도체(60)의 양면을 한 쌍의 절연 필름(10A, 10B)으로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필름 롤(11A, 11B)로부터 인출한 한 쌍의 절연 필름(10A, 10B)의 사이에 도체(60)를 위치시키고 가열 롤러(80A, 80B)를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한 쌍의 절연 필름(10A, 10B)의 접착제층(40A, 40B)의 사이에 도체(6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접착제층(40A, 40B)끼리 일체화하여, 도 9에 도시하는 장척 케이블(50)을 얻을 수 있다. 장척 케이블(50)은, 절연 필름(10A)에 개구(10A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개구(10Aa)에 의해 도체(60)의 일부(61)가 노출된 것이 된다.
(절단 공정)
절단 공정은,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10Aa)에 의해 도체(60)의 일부(61)가 노출된 부분에 있어서 장척 케이블(50)을 절단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절단은, 도체가 노출된 부분의 D1, D2 방향의 중심(또는 대략 중심)(L)에 있어서 폭 방향(D3, D4)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절단 공정을 행함으로써, 도 2∼도 4에 도시하는 플랫 케이블(5)을 얻을 수 있다.
<이점>
절연 필름(1) 및 플랫 케이블(5)에 따르면, 프라이머층(3)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기 때문에, 프라이머층(3)과 수지 필름(2)과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지 필름(2)의 표면에 수산기, 카르복실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갖고 있으면, 이 극성 작용기와 글리시딜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지 필름(2)에 대한 프라이머층(3)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지 필름(2)과 프라이머층(3)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에이징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결과,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하면서 단시간에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인 수지 조성물의 경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휘발성 용제에 용해시키는 일없이 박막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프라이머층(3)을 박막 형성하는 경우라도, 휘발성 용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아울러, 프라이머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 용제의 건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재료 비용의 삭감 및 제조 프로세스의 간략화에 의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절연 필름의 다른 실시형태)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 필름(10C)은, 접착제층(40C)이 복수의 층(40Ca, 40C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이 절연 필름(10C)은, 예컨대 플랫 케이블, FPC를 작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며, 접착제층(40C) 이외의 구성은 도 1의 절연 필름(1)과 같게 된다.
복수의 층(40Ca, 40Cb)은, 외층(40Ca) 및 이 외층(40Ca)과 프라이머층(30C) 사이의 내층(40Cb)을 포함한다. 외층(40Ca) 및 내층(40Cb)의 수지 성분의 주성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컨대,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는, 내열성 및 도체(6)와의 접착 강도의 관점에서,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타콘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에폭시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을 도입한 것이라도 좋다.
외층(40Ca) 및 내층(40Cb)은,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지만, 첨가제는 내층(40Cb)에 선택적으로 함유시키거나, 혹은 외층(40Ca)보다도 내층(40Cb)의 배합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층(40Cb)에만 선택적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내층(40Cb)에만 선택적으로 난연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외층(40Ca)의 밀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접착제층(40C)의 난연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난연제로서는, 도 1의 절연 필름(1)의 접착제층(4)에 사용하는 난연제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브롬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브롬계 난연제 및 염소계 난연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양자를 병용하여도 좋다. 난연제는, 외층(40Ca)에는 함유시키지 않고, 내층(40Cb)에 선택적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40C)의 전체 두께는, 도 1의 절연 필름(1)의 접착제층(4)의 두께와 같은 범위가 된다.
외층(40Ca)의 두께는 내층(40Cb)의 두께보다도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외층(40Ca)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0 ㎛가 바람직하고, 8 ㎛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층(40Ca)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내층(40Cb)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난연제 등의 첨가량의 제약이 커지는 동시에,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외층(40Ca)의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 ㎛가 바람직하고, 3 ㎛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층(40Ca)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내층(40Cb)에 첨가제를 첨가했을 때에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내층(40Cb)의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90 ㎛가 바람직하고, 7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40Cb)의 두께가 상기 상한을 넘으면, 외층(40Ca)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내층(40Cb)에 첨가제를 첨가했을 때에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내층(40Cb)의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 ㎛가 바람직하고, 3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층(40Cb)의 두께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난연제 등의 첨가량의 제약이 커지는 동시에,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절연 필름(10C)은, 접착제층(40C)의 내층(40Cb)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접착제층(40C)과 프라이머층(30C) 사이의 밀착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층(40Ca)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도체를 협지하여 플랫 케이블을 형성하는 경우에, 한쪽의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과 다른 쪽의 절연 필름의 접착제층의 밀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플랫 케이블은, 한 쌍의 절연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프라이머층의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의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한 쌍의 절연 필름의 양쪽의 프라이머층이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의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절연 필름은, 수지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형성한 후에, 이 적층체에 접착제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장척 케이블은, 수지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한 쌍의 적층체를 형성한 후에, 이들 적층체 사이에, 한 쌍의 접착제층 및 도체를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의 장척 케이블 형성 공정(도 7 및 도 8 참조)은 열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절연 필름 형성 공정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대신에, 상기 장척 케이블 형성 공정에서, 도체를 절연 필름에 라미네이트하기 직전에 장척 절연 필름에 개구를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실시예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변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 A1의 제작>
수지 성분으로서의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 90 질량부 및 폴리프로필렌(PP) 10 질량부를, 이축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수지 조성물 A1을 제작했다.
<프라이머층용 수지 조성물 A2∼A9의 제작>
수지 조성물 A2∼A9는,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수지 성분 및 필러를 배합한 것 이외에는, 수지 조성물 A1과 같은 조작에 의해서 제작했다.
Figure pct00001
<단층의 접착제층용 및 2층의 접착제층의 내층용 수지 조성물 B>
폴리프로필렌(PP) 100 질량부에 대하여, 난연제 70 질량부, 난연조제 35 질량부, 안료 5 질량부 및 산화방지제 1 질량부를 배합하고, 이축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외층용 수지 조성물 B1을 제작했다.
Figure pct00002
<2층의 접착제층의 외층용 수지 조성물 C>
무수말레산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을, 이축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의 수지 조성물 C1 또는 수지 조성물 C2를 제작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절연 필름의 제작>
수지 조성물 A1을 재료로 하는 두께 5 ㎛의 프라이머층과, 수지 조성물 B1을 재료로 하는 두께 45 ㎛의 접착제층을 용융압출법으로 동시에 압출 성형하여, 300 mm 폭의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PET제의 두께 12 ㎛의 수지 필름(상품명 「루미라 S10」: 도레이 제조),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150℃로 가열된 가열 라미네이터에 의해 가압 가열 처리함으로써 두께 50 ㎛, 폭 300 mm의 절연 필름을 제작했다.
Figure pct00004
<플랫 케이블의 제작>
80 가닥의 도체를 0.5 mm 피치로 평행하게 늘어놓고, 이들 도체를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끼워넣어, 150℃로 가열된 가열 라미네이터에 의해 가압 가열 처리함으로써 두께 150 ㎛의 장척 케이블을 얻었다. 도체로서는, 주석 도금 연동박(두께 0.035 mm, 폭 0.3 mm)을 사용했다. 그 후, 장척 케이블을 길이 500 mm로 절단함으로써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실시예 2]
수지 조성물 A1을 재료로 하는 두께 5 ㎛의 프라이머층과 수지 조성물 B1을 재료로 하는 두께 40 ㎛의 내층과, 수지 조성물 C1을 재료로 하는 두께 5 ㎛의 외층을 용융압출성형기에 의해서 동시에 압출 성형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실시예 3]
수지 조성물 A2를 재료로 하는 두께 5 ㎛의 프라이머층과, 수지 조성물 B1을 재료로 하는 두께 40 ㎛의 내층과, 수지 조성물 C2를 재료로 하는 두께 5 ㎛의 외층을 용융압출성형기에 의해서 동시에 압출 성형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실시예 4∼9 및 비교예 1]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 수지 조성물 A1 대신에, 수지 조성물 A3∼A9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평가 항목>
(접착력)
접착력은,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두께 12 ㎛의 PET 기재(상품명 「루미라 P60」; 도레이 제조)에 적층 필름을 접착하여 작성한 샘플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박리 강도는, JIS K 6854-2(1999)「접착제-박리 접착 세기 시험 방법-제2부: 180도 박리」에 준하여 측정했다.
(내열성)
내열성은, 플랫 케이블을 둘로 접은 상태에서, 105℃의 항온조 내에 7일간 방치한 후, 절연 필름끼리 혹은 수지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했다. 박리되지 않은 경우를 합격, 박리된 경우를 불합격으로 했다.
(난연성)
난연성은, 플랫 케이블에 관해서, 「UL 규격 1581의 VW-1」에 규정되는 수직 연소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
실시예 1∼9 및 비교예 1의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에 관해서, 접착력, 내열성 및 난연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9의 절연 필름은, 코로나 처리된 PET 기재와의 접착력이 10 N/cm을 넘고 있어, 접착력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의 절연 필름은, 코로나 처리된 PET 기재를 사용한 경우라도, 이 PET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실시예 1∼9의 플랫 케이블은, 내열성 및 난연성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의 플랫 케이블은, 난연성에 관해서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지만, 접착력이 낮기 때문에 내열성을 평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비용면에서 우수하고,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이 제공된다.
1, 1A, 1B, 10A, 10B, 10C: 절연 필름. 10Aa: 개구, 11A, 11B: 절연 필름 롤, 2, 2A, 2B, 20A, 20B: 수지 필름, 3, 3A, 3B, 30A, 30B, 30C: 프라이머층, 4, 4A, 4B, 40A, 40B, 40C: 접착제층, 40Ca: 외층, 40Cb: 내층, 5: 플랫 케이블, 50: 장척 케이블, 6, 60: 도체, 6a: 단부, 7A, 7B: 적층체, 8: 가열 라미네이터, 80A, 80B: 가열 롤러

Claims (9)

  1. 수지 필름,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절연 필름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 수지 성분 중의 80 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폴리머가 열가소성 수지인 절연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더 포함하는 절연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필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수지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 질량부 이하인 절연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주성분이 폴리올레핀 수지인 절연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난연제를 포함하는 절연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층이, 외층 및 이 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의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가 상기 내층에 포함되어 있는 절연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주성분이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절연 필름.
  9. 한 쌍의 피복재와, 이들 피복재 사이에 협지된 도체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한 쌍의 피복재의 적어도 한쪽이, 제1항에 기재한 절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KR1020157002020A 2013-05-10 2014-04-10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KR101690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0775 2013-05-10
JP2013100775A JP5741629B2 (ja) 2013-05-10 2013-05-10 絶縁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PCT/JP2014/060358 WO2014181630A1 (ja) 2013-05-10 2014-04-10 絶縁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200A true KR20150036200A (ko) 2015-04-07
KR101690435B1 KR101690435B1 (ko) 2016-12-27

Family

ID=5186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020A KR101690435B1 (ko) 2013-05-10 2014-04-10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1629B2 (ko)
KR (1) KR101690435B1 (ko)
CN (1) CN104541334B (ko)
TW (1) TWI584954B (ko)
WO (1) WO2014181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4201A4 (en) * 2017-11-01 2021-07-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COMBUSTIBILITY ADHESIVE COMPOSITION WITH LAMINATE STRUCTURE
CN109456713A (zh) * 2018-12-21 2019-03-12 深圳市摩码科技有限公司 一种abs屏幕保护膜及其制作方法
JP7353070B2 (ja) * 2019-06-04 2023-09-29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電線、ケーブル、及び電線の製造方法
CN117095856A (zh) * 2023-03-15 2023-11-21 特变电工山东鲁能泰山电缆有限公司 一种高压电缆制备方法、生产线以及高压电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563A (ja) * 1998-11-11 2000-05-23 Shin Etsu Polymer Co Ltd オレフィン系樹脂製木口材
JP2005132105A (ja) * 2003-10-10 2005-05-26 Jfe Steel Kk ポリオレフィン被覆重防食鋼材
JP2006156243A (ja) * 2004-11-30 2006-06-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7510788A (ja) * 2003-11-11 2007-04-26 ハンツマン・アドヴァンスト・マテリアルズ・(スイッツランド)・ゲーエムベーハー 重合可能な組成物のための開始剤系
JP2009272249A (ja) 2008-05-09 2009-1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272083A (ja) 2008-05-01 2009-1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341A (ja) * 1989-08-04 1991-03-20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体
JPH05101712A (ja) * 1991-05-16 1993-04-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テープ電線
JPH05342919A (ja) * 1992-06-11 1993-12-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テープ電線
JPH09161549A (ja) * 1995-12-07 1997-06-20 Nitto Denko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テ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H09187899A (ja) * 1995-12-26 1997-07-2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剥離フィルム、その製法およびロール状接着テープ
JP3710867B2 (ja) * 1996-01-29 2005-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体
JP3642895B2 (ja) * 1996-09-10 2005-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ブル
JP2002358837A (ja) * 2001-06-01 2002-12-13 Teiji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被覆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4189771A (ja) * 2002-12-06 2004-07-08 Fujikura Ltd 難燃性接着混和物
US20110236662A1 (en) * 2009-07-31 2011-09-29 Yutaka Fukuda Insulating film and flat cable using the same
JP2012036297A (ja) * 2010-08-06 2012-02-23 Hitachi Cable Ltd 接着フィルム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5664525B2 (ja) * 2011-04-07 2015-02-0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1563A (ja) * 1998-11-11 2000-05-23 Shin Etsu Polymer Co Ltd オレフィン系樹脂製木口材
JP2005132105A (ja) * 2003-10-10 2005-05-26 Jfe Steel Kk ポリオレフィン被覆重防食鋼材
JP2007510788A (ja) * 2003-11-11 2007-04-26 ハンツマン・アドヴァンスト・マテリアルズ・(スイッツランド)・ゲーエムベーハー 重合可能な組成物のための開始剤系
JP2006156243A (ja) * 2004-11-30 2006-06-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272083A (ja) 2008-05-01 2009-1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272249A (ja) 2008-05-09 2009-1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1629B2 (ja) 2015-07-01
KR101690435B1 (ko) 2016-12-27
TW201511952A (zh) 2015-04-01
TWI584954B (zh) 2017-06-01
CN104541334B (zh) 2017-07-21
JP2014218067A (ja) 2014-11-20
WO2014181630A1 (ja) 2014-11-13
CN104541334A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25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JP5578446B2 (ja) 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CN108026344B (zh) 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树脂组合物的层叠体
JP2008198592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690435B1 (ko) 절연 필름 및 플랫 케이블
JP6379606B2 (ja) 高速伝送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EP2594610B1 (en)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sheet
JP6953578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9272083A (ja)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5205748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
JP5277766B2 (ja)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9043601A (ja) 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ラットケーブル
KR102567078B1 (ko) 절연 시트 및 플랫 케이블
JP6428028B2 (ja) 接着剤組成物、絶縁フィルム、絶縁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JP487645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