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012A - 이온-전도막 - Google Patents

이온-전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012A
KR20150036012A KR1020157000323A KR20157000323A KR20150036012A KR 20150036012 A KR20150036012 A KR 20150036012A KR 1020157000323 A KR1020157000323 A KR 1020157000323A KR 20157000323 A KR20157000323 A KR 20157000323A KR 20150036012 A KR20150036012 A KR 2015003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conducting
layer
graphen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단 찰스 프로스트
조나단 데이비드 브레러턴 셔먼
나디아 미셸 페르모고로브
Original Assignee
존슨 맛쎄이 푸엘 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맛쎄이 푸엘 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존슨 맛쎄이 푸엘 셀스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0703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75Heterogeneous membranes
    • C08J5/2281Heterogeneous membranes fluorine containing heterogeneous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3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consisting of layers of polym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5Inorganic layers on the polymer electrolytes, e.g. inorgan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i) 1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이온-전도층; 및 (ii)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이온-전도막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온-전도막 {ION-CONDUCTING MEMBRANE}
본 발명은 연료 전지와 같은 전기화학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신규 이온-전도막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전해질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이다. 연료, 예컨대 수소 또는 메탄올이나 에탄올과 같은 알콜은 애노드에 공급되고,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산화제는 캐쏘드에 공급된다. 전기화학 반응이 전극에서 일어나며,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 및 열로 전환된다. 전극촉매가 사용되어 애노드에서 연료의 전기화학적 산화와, 캐쏘드에서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촉진한다.
수소-연료 또는 알콜-연료 양성자 교환막 연료 전지 (PEMFC)에 있어서, 전해질은 고체 중합체 막이고, 이는 전자 절연성 및 양성자 전도성이다. 애노드에서 생성된 양성자는 막을 통과하여 캐쏘드에 이르며, 여기서 산소와 결합하여 물을 형성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알콜 연료는 메탄올이며, PEMFC의 이와 같은 변형 장치는 종종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 (DMFC)라 불리운다.
수소-연료 PEMFC 또는 DMFC의 주된 부품은 막 전극 어셈블리 (MEA)로 알려져 있으며, 본질적으로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의 층은 중합체 이온-전도막이다. 이온-전도막의 양측에는, 특정 전기화학 반응을 위해 설계된 전극촉매를 함유하는 전극촉매층이 있다. 마지막으로, 각 전극촉매층에 인접하여, 가스 확산층이 있다. 가스 확산층은 반응물이 전극촉매층에 도달하여,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산된 전류를 전도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스 확산층은 다공성이며 전기 전도성이어야 한다.
MEA는 몇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극촉매층이 가스 확산층에 도포되어 가스 확산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가스 확산 전극이 이온-전도막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전극과 막이 함께 라미네이트되어 5층 MEA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극촉매층이 이온-전도막의 양 표면에 도포되어 촉매 코팅된 이온-전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가스 확산층이 촉매 코팅된 이온-전도막의 양 표면에 도포된다. 마지막으로, MEA는 한 쪽이 전극촉매층으로 코팅된 이온-전도막, 상기 전극촉매층에 인접한 가스 확산층, 및 이온-전도막의 다른 쪽에 있는 가스 확산 전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용도에 충분한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수 십개 또는 수 백개의 MEA가 필요하므로, 다수의 MEA를 합하여 연료 전지 스택을 제조한다. MEA를 분리하는데는 유로판이 사용된다. 유로판은 몇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반응물을 MEA에 공급하고, 생성물을 제거하며, 전기 접속과 물리적 지지를 제공한다.
PEMFC 및 DMFC에 사용되는 통상의 이온-전도막은 일반적으로 퍼플루오르화 술폰산 (PFSA) 이오노머로부터 형성되며, 이들 이오노머로부터 형성된 막은 상표명 나피온 (Nafion)®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퍼니 (E.I. DuPont de Nemours and Co.) 제조), 아시플렉스 (Aciplex)® (아사히 가세이 (Asahi Kasei) 제조), 아퀴비온 (Aquivion)® (솔베이 (Solvay) 제조) 및 플레미온 (Flemion)® (아사히 글래스 (Asahi Glass) KK 제조)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그러한 PFSA계 이온-전도막은 중합체 골격에 에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된 측쇄를 갖는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PFSA 이오노머의 전형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PFSA 이오노머의 전형적인 구조>
Figure pct00001
PFSA 이온-전도막은 인열 저항의 증가, 수화 및 탈수시 크기 변화의 감소와 같은 기계적 특성의 개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보강재는 US 6,254,978, EP 0814897 및 US 6,110,33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과 같은 플루오로중합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또는 PEEK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대체재로 된 미세다공성 웹 또는 섬유를 기재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소-연료 PEMFC가 부분적으로는 이온 저항을 최소함으로써 오옴 손실에 따른 전지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전형적으로는 두께 50 μm 미만의) 이오노머성 막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막을 통한 반응물 가스 H2 및 02의 어느 정도의 투과 (이른바, 가스 침투)는 일반적으로 불가피하다. 가스 침투에 이어 침투된 가스의 촉매화된 화학 또는 전기화학 반응은 막의 사용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PEMFC 전극의 촉매화 또는 비-촉매화된 탄소 표면 상에서 침투된 가스의 반응에 의해서 과산화수소 (H202)가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어 왔다. 이어서, 과산화수소는 막 내에서 분해되어 하이드로퍼옥실 (H02·) 및 히드록실 (HO·) 종과 같은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산화 라디칼 종은 막의 이오노머 성분을 공격하여 쇄의 절단, 분해 (unzipping) 및 관능기의 손실을 가져온다. 02 또는 H2 가스 침투는 막의 화학적 분해를 야기하는 가장 근본적인 메카니즘이다. 이러한 화학적 분해는 기계적 및 열적 분해와 동반되거나 동반되지 않은 채로 막의 박화 및 핀홀 (pinhole) 형성을 일으키며, 이에 의해 다시 가스 침투를 더욱 가속시킨다. 그러한 분해의 영향은 전도성 손실 및 결과적인 성능 손실 (중간 정도로 화학적 분해가 일어난 경우)에서 개개의 전지, 궁극적으로는 스택 전체의 불량에 이르는 범위일 수 있다. 반응물 가스의 대향 전극으로의 침투는 기생 반응으로 그 전극을 분극시킴으로써 전지 성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응물 가스의 침투는 연료 전지 전기 효율의 직접적인 손실을 가져오는데, 이는 반응물이 소비된다하더라도 전기 작용이 포획되지 않기 때문이다. PEMFC 막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고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다 얇은 막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연료 전지 개발의 핵심이 되어왔다. 이러한 막 두께의 감소는 가스 침투의 직접적인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PEMFC 성능을 상쇄하지 않으면서 가스 침투를 감소시킬 필요가 확실히 있다. 또한, 이들 얇은 막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DMFC에 있어서는, 연료 전지의 전기 효율 또는 전력 밀도의 저하없이 애노드로부터 캐쏘드로 MEA의 고체 중합체 막을 통한 메탄올 침투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연료 효율을 높이고, 캐쏘드 상에서 메탄올에 의한 산소 환원 반응의 독성에 기인한 MEA 성능의 저하, 캐쏘드 상에서 메탄올의 직접적인 화학적 산화에 의한 산소의 유용하지 못한 소비, 및 침투된 메탄올의 전기화학적 산화에 의한 캐쏘드 전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는, 메탄올 침투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두꺼운 (전형적으로는 125 μm 두께의) PFSA-계 막이 사용되지만, 이와 같은 두께의 막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높은 이온 저항이 불가피하며, 막은 근본적으로 더 비싸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화학 장치, 특히 수소-연료 PEMFC 및 DMFC 모두에 사용되는 개선된 이온-전도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물 침투가 감소되어 내구성 및 연료 효율이 증가된 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i) 1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이온-전도층; 및 (ii) 그래핀-계 소판(graphene-based platelets)을 포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이온-전도막을 제공한다.
제1 이온-전도층은 적절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인 1종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중합체는 상표명 나피온®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퍼니), 아시플렉스® (아사히 가세이), 아퀴비온® (솔베이) 및 플레미온® (아사히 글래스 KK)으로 시판되고 있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이온-전도층은 폴리아릴렌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테르 술폰 (예를 들어, 폴리아릴렌 술폰 (PSU, 우델 (Udel)®),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 (PES, 빅트렉스 (Victrex)®) 및 폴리에테르 케톤 (예를 들어, 폴리아릴렌 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빅트렉스®), 폴리아릴렌 에테르 에테르 케톤 케톤 (PEEKK, 호스타텍 (Hostatec)®),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에테르 케톤 케톤 (PEKEKK, 울트라펙 (Ultrapec)®) 및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PEK, 빅트렉스®))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중합체인 1종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탄화수소 중합체는 술폰화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이다.
또는, 2종 이상 (적절하게는 2종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제1 이온-전도층에 존재하며, 2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 탄화수소 중합체 또는 퍼플루오로술폰산과 탄화수소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2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는 제1 이온-전도층 전체에 걸쳐 균질하거나, 또는 비균질하여 제1 이온-전도층과 차단층의 계면에서 1종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풍부할 수 있다. 또는, 2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제1 이온-전도층에 개별 층들로 존재할 수 있다.
차단층은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하며, 차단층의 80% 이상, 적절하게는 90% 이상이 그래핀-계 소판으로 이루어진 그래핀-풍부층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차단층은 그래핀-계 소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층의 100%가 그래핀-계 소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래핀-계 소판이 차단층 내에 어떠한 방식으로 채워져 있는가에 따라서, 그래핀-계 소판 사이에 공극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공극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2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차단층은 그래핀-계 소판 이외에 제2 성분을 포함한다. 제2 성분은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며, 양성자와 액상의 물을 수송할 수 있다. 제2 성분은 물 또는 수성 전해질 (예를 들어, 인산, 황산 등) 또는 이오노머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술폰산 이오노머, 예를 들어, 나피온® 또는 탄화수소 이오노머)일 수 있다. 제2 성분이 이오노머인 경우, 제1 이온-전도층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그래핀-계 소판은 웨이퍼-유사 형태로서, x:y 종횡비가 0.1 내지 10, x:z 종횡비가 10 이상, y:z 종횡비가 10 이상이다. "그래핀-계 소판"이란 그래핀 층으로 된 단일 또는 다수의 층들로 된 구조를 갖는 소판을 의미하며; 그래핀 층은 IUPAC에 정의된 바와 같은 흑연 구조의 단일 탄소층이다. 다른 용어 사용법은 다수의 그래핀 층을 "흑연"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용어 사용법에 따르는 경우, 탄소 원자로 된 하나 초과의 평면층을 갖는 그래핀 옥사이드는 "흑연 옥사이드"로 불리울 것이다. 용어와 상관 없이, 외부 표면에 관능기 (예를 들어, 산소 (옥사이드), 술폰산 (술폰화), 황 (술파이드) 등)를 갖는 탄소 원자로 된 단일 또는 다수의 평면층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계 소판이다.
그러한 그래핀-계 소판의 예는 그래핀 옥사이드 (ACS Nano, 2010, 4, 4806-4814), 술폰화 그래핀 옥사이드 (Carbon, Vol. 50(3), March 2012, pp. 1033-1043), 그래핀 술파이드 (Carbon, 2009, 47, 8, 2054-2059), 그래핀 히드록사이드 (J. Phys. Chem. Lett. 2012 1310-1314), 그래핀 카르보네이트 (Dalton Trans., 2012, 41, 14345-14353), 그래핀 니트라이드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201 1, 130, 3, 1094-1102)를 포함한다. 그래핀 옥사이드 및 술폰화 그래핀 옥사이드의 소판이 바람직하며, 그래핀 옥사이드의 소판이 특히 바람직하다. 차단층은 하나 초과의 종류의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 내의 그래핀-계 소판은 순서가 질서형 방식으로, 랜덤하게, 또는 질서형과 랜덤형이 혼합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은 또한 1종 이상의 (적절하게는 1종 또는 2종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이온-전도층을 포함하며, 제2 이온-전도층은 제1 이온-전도층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차단층의 표면에 도포된다.
제2 이온-전도층은 1종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합체는 적절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로서, 상표명 나피온®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컴퍼니), 아시플렉스® (아사히 가세이), 아퀴비온® (솔베이) 및 플레미온® (아사히 글래스 KK)으로 시판되고 있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이온-전도층은 폴리아릴렌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테르 술폰 (예를 들어, 폴리아릴렌 술폰 (PSU, 우델®),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 (PES, 빅트렉스®) 및 폴리에테르 케톤 (예를 들어, 폴리아릴렌 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빅트렉스®), 폴리아릴렌 에테르 에테르 케톤 케톤 (PEEKK, 호스타텍®),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에테르 케톤 케톤 (PEKEKK, 울트라펙®) 및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PEK, 빅트렉스®))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중합체인 1종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탄화수소 중합체는 술폰화 폴리아릴렌 에테르 술폰이다.
또는, 2종 이상의 (적절하게는 2종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제2 이온-전도층에 존재하며, 2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는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 탄화수소 중합체 또는 퍼플루오로술폰산과 탄화수소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2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는 제2 이온-전도층 전체에 걸쳐 균질하거나, 또는 비균질하여 제2 이온-전도층과 차단층의 계면에서 1종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풍부할 수 있다. 또는, 2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가 제2 이온-전도층에 개별 층들로 존재할 수 있다.
이온-전도막의 총 두께 (즉, 제1 이온-전도층, 차단층 및 존재하는 경우 제2 이온-전도층의 두께)는 막의 최종 용도에 따라 5 내지 200 μm이다. 예를 들어, PEM 연료 전지에 사용하기 위하여, 두께는 5 내지 50 μm, 보다 적절하게는 10 내지 30 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μm인 것이 적절하다. DMFC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50 내지 200 μm, 적절하게는 50 내지 150 μm인 것이 적절하다. 어떠한 용도에서든 가장 적절한 두께는 당업자에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차단층은 두 개의 그래핀-계 소판, 예컨대, 0.7 nm 정도의 최소 두께를 가지며, 적절하게는 1 nm 내지 5 μm, 보다 적절하게는 1 nm 내지 1 μm, 보다 더 적절하게는 5 nm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250 nm이다.
막의 필요한 총 두께 및 차단층의 두께 범위를 알고 있으므로, 당업자는 제1 이온-전도층, 및 존재하는 경우 제2 이온-전도층의 두께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제2 이온-전도층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이온-전도층의 두께는 제1 이온-전도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이온-전도층의 두께보다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이온-전도층은 또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보강재는 US 6,254,978, EP 0814897 및 US 6,110,33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과 같은 플루오로중합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또는 PEEK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대체재로 된 미세다공성 웹 또는 섬유를 기재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하게는, 보강재는 팽창된-PTFE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 특히 수소-연료 PEMFC 용도에서, 이온-전도막은 또한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 및/또는 라디칼 제거제를 포함하며, 이들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WO 2009/109780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는 제1 및/또는 제2 이온-전도층 내에 매립되거나, 제1 이온-전도층/차단층 및/또는 제2 이온-전도층/차단층의 계면에 존재하거나, 또는 제1 및/또는 제2 이온-전도층의 외측 표면에 코팅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차단층은 제1 이온-전도층과 동일한 평면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제1 이온-전도층과 차단층은 함께 연장된다. 또는, 차단층은 반응물의 침투가 최고인 것으로 여겨지는 지점에 하나 이상의 패치 (patch)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단층은 연료 (예를 들어, 수소 또는 메탄올) 유입구에 패치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과산화수소 형성이 일어날 수 있는 지점, 특히 애노드와 캐쏘드 촉매층이 정확하게 함께 연장되지 않는 지점에서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이온-전도층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경계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차단층은 이온-전도막이 MEA에 사용되는 경우 활성 면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즉, MEA 중 활성 촉매 면적에 대응하는 제1 이온-전도층의 중앙에 패치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제2 이온-전도층은, 존재하는 경우, 적절하게는 제1 이온-전도층과 동일한 평면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제1 이온-전도층과 제2 이온-전도층은 함께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은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하는 수성, 유기용매-계 또는 이오노머 분산액을 기존의 이온-전도성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술폰산 또는 탄화수소) 막 (제1 이온-전도층)의 한쪽 면에, 분무, k-바 코팅 및 닥터 블레이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방법으로 도포하여 차단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래핀-계 소판이 분산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은 물,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인산, 황산,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 및 술폰화 탄화수소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핀-계 소판이 분산되는 물질의 선택은 임의의 그러한 물질이 차단층 내에 제2 성분으로서 잔류해야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핀-계 소판이 분산되는 물질이 차단층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제거되어야 한다면, 물질은 당업자에 알려진 적절한 기술, 예를 들어, 가열, 증발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2 이온-전도층이 존재하는 경우, 1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분산액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차단층에 도포될 수 있다. 1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절한 용액/분산액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기존의 이온-전도성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술폰산 또는 탄화수소) 막은, 예컨대, 고온 압착, 롤 결합 또는 기타 적절한 열-기계적 방법에 의해 차단층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1 이온-전도층은 1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절한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부터 (예를 들어, PTFE 또는 유리 시트와 같은전사 박리 기재 상으로) 캐스팅될 수 있다. 제1 이온-전도층이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 모두와 상용성인 용매계가 필요하다. 그러한 용매계의 선택은 당업자의 기술적 능력 내에 있다. 제1 이온-전도층이 충분히 건조되었을 때, 상기한 바와 같은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하는 분산액이, 예컨대, 상기한 기술 중 한 가지 방법으로 도포되어 차단층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 1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이온-전도층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차단층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각각 제1 이온-전도층과 차단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이온-전도막이, 예를 들어, 고온 압착에 의해 결합되어 단일 이온-전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이온-전도막의 차단층과 제2 이온-전도막의 차단층이 결합된다. 이 실시양태에서, 두 개의 차단층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하여 결합제, 예컨대, 상기한 타입의 이온-전도성 중합체의 박막과 같은 양성자 전도성 결합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두번째 실시양태에서, 제1 이온-전도막의 차단층과 제2 이온-전도막의 제1 이온-전도층이 결합된다. 세번째 실시양태에서, 제1 이온-전도막의 제1 이온-전도층과 제2 이온-전도막의 제1 이온-전도층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은 이온-전도막, 특히 양성자-전도막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전기화학 장치에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이온-전도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이온-전도막의 전기화학 장치에서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이 사용될 수 있는 전기화학 장치의 예는 연료 전지 (예를 들어, (양성자가 전하 캐리어인 경우 산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PEM 연료 전지 또는 (히드록실 이온이 전하 캐리어인 경우에 알칼리 전해질을 사용하는) 알칼리 교환막 연료 전지), 직접 알콜 연료 전지, 인산 연료 전지 (특히, 인산으로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막과 같은, 지지 중합체 막이 있는 종류), 금속-공기 전지 (Li+, Zn2+와 같은 금속 이온이 전하 캐리어로 사용됨), 수소 펌프 및 전기분해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온-전도막은 연료 전지, 예를 들어, 수소-연료 PEMFC 또는 DAFC (직접 알콜 연료 전지), 예를 들어, DMFC 또는 직접 에탄올 연료 전지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이 수소-연료 PEMFC 또는 DAFC에 사용될 때, 반응물 침투의 감소가 관찰되어 캐쏘드 상에서 혼합 전위가 감소되며, 반응물 연료의 낭비가 줄어들고, 수소-연료 PEMFC에 있어서는, 막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과산화물의 생성이 감소되거나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막과, 이온-전도막의 적어도 한 쪽에 부착된 전극촉매층을 포함하는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 구조는 이온-전도막의 양측에 부착된 전극촉매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이 단지 제1 이온-전도층을 가질 뿐 제2 이온-전도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차단층은 애노드 전극촉매나 캐쏘드 전극촉매에 인접할 수 있다.
전극촉매층은 미분쇄된 금속 분말 (메탈 블랙)일 수 있는 전극촉매를 포함하거나, 작은 금속 입자가 전기전도성 입자상 지지체 상에 분산되어 있는 지지된 촉매일 수 있다. 지지체 재료는 탄소, 금속 산화물, 질화물 또는 탄화물, 또는 적절하게는 높은 표면적의 임의의 다른 불활성 전기 전도성 지지체일 수 있다. 전극촉매 금속 (주금속)은 적절하게는
(i) 벡금족 금속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 이리듐 및 오스뮴), 또는
(ii) 금 또는 은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주금속은 합금되거나 1종 이상의 다른 금속, 예를 들어, 루테늄과 같은 귀금속, 또는 몰리브덴, 텅스텐, 코발트, 크롬, 니켈, 철, 구리와 같은 비천 금속 또는 그들의 산화물과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금속은 백금이다. 전극촉매가 지지된 촉매인 경우, 탄소 지지체 재료 상의 주금속 입자의 함량(loading)은 적절하게는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 중량%이다.
전극촉매층(들)은 적절하게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포함되어 층 내의 이온 전도도를 개선시킨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전극촉매층(들)은 또한 애노드 및/또는 캐쏘드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과산화수소 분해 촉매 및/또는 1종 이상의 라디칼 제거제 및/또는 1종 이상의 산소 방출 반응 촉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포함하는 전극촉매층을 제조하는 제조 경로는 당업자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이온-전도막 또는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을 포함하는 MEA를 제공한다. MEA는 다음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은 두 개의 가스 확산 전극 (하나의 애노드 및 하나의 캐쏘드)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ii) 한 쪽에만 촉매층으로 코팅된 본 발명의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이 가스 확산층과 가스 확산 전극 사이에 샌드위치되며, 가스 확산층은 이온-전도막의 촉매층으로 코팅된 쪽과 접촉하고 있다; 또는
(iii) 양측 모두에 촉매층으로 코팅된 본 발명의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이 두 개의 가스 확산층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애노드 및 캐쏘드 가스 확산층은 적절하게는 통상의 부직 탄소 섬유 가스 확산 기재를 기재로 하며, 이러한 기재의 예는 경질 시트 탄소 섬유 종이 (예를 들어, 일본 토레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Toray Industries Inc.)의 TGP-H 계열 탄소 섬유지) 또는 롤-제품 탄소 섬유지 (예를 들어, 독일 프로이덴베르크 (Freudenberg) FCCT KG로부터의 H2315 계열; 독일 SGL 테크놀로지즈 GmbH로부터의 시그라셋 (Sigracet)® 계열; 미국의 발라드 머티리얼 프로덕츠 (Ballard Material Products)로부터의 아브카르브 (AvCarb)® 계열; 또는 대만의 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CeTech Co., Ltd.)로부터의 NOS 계열), 또는 탄소 섬유 부직포 기재 (예를 들어, 이태리의 SAATI 그룹 S.p.A.로부터의 탄소 직물 SCCG 계열; 또는 대만의 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로부터의 WOS 계열)이다. 여러 가지 PEMFC (DMFC 포함) 용도에 있어서, 부직 탄소 섬유지, 또는 탄소 직포 기재는 전형적으로는 소수성 중합체 처리 및/또는 기재 내에 매립되어 있거나 평면 상으로 코팅되거나 이들이 조합된 과립상 입자상 재료를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층의 도포로 개질되어 가스 확산층을 형성한다. 입자상 재료는 전형적으로는 카본 블랙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과 같은 중합체의 혼합물이다. 적절하게는, 가스 확산층은 두께가 100 내지 300 μm이다. 바람직하게는, 전극촉매층과 접촉하고 있는 가스 확산층의 표면 상에 PTFE와 조합된 카본 블랙과 같은 입자상 재료의 층이 있다.
MEA는 MEA의 말단 영역을 밀봉하고/거나 보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WO 2005/02035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MEA는 당업자에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온-전도막,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 또는 MEA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기재되며, 이러한 기재는 모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수소가 공급되는 애노드 측과 산소가 공급되는 캐쏘드 측을 갖는 이온-전도막 (1)을 도시하고 있다. 이온-전도막 (1)은 제1 이온-전도층 (2), 차단층 (3) 및 제2 이온-전도층 (4)을 포함한다. 제1 이온-전도층 (2)과 제2 이온-전도층 (4)은 상기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양성자 전도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며, 보강되거나 보강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층 (3)은 그래핀-계 소판 및 임의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2 성분을 포함한다.
도 1이 제1 이온-전도층 (2)과 제2 이온-전도층 (4)을 갖는 막을 도시하고 있으나, 막이 단지 제1 이온-전도층 (2)과 차단층 (3) 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실이며, 이 경우에, 차단층 (3)은 캐쏘드 측에 인접하거나 애노드 측에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제1 이온-전도층 (2)과 제2 이온-전도층의 두께가 유사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이온-전도층 중 어느 한 층이 다른 층보다 상당히 얇을 수 있다는 것 또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이 아니더라도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른 모든 실시양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실시예>
그래핀 옥사이드를 문헌 [Tour et al., ACS Nano, 2010, 4 (8), pp 4806-4814]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물 중 그래핀 옥사이드의 분산액은 1.3 중량% 분산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이어서, 1 부피의 분산액에 3 부피의 물을 가하여 분산액을 더욱 희석하였다.
15 g의 50/50 중량% 물/이소프로판올 중의 2 중량% 아퀴비온® PFSA 이오노머 (솔베이) 분산액을 진공 베드 상에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가열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상으로 분무-코팅하였다. 약 1 μm 두께의 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의 그래핀 옥사이드 분산액을 이오노머 층 상으로 분무-코팅하였다. 마지막으로, 추가로 15 g의 상기한 아퀴비온® PFSA 이오노머 분산액을 그래핀 옥사이드 층 상으로 분무-코팅하여 본 발명의 이온-전도막 (실시예 1)을 형성하였다.
표준 이온-전도막 (비교 실시예 1)은 30 g의 상기한 바와 같은 아퀴비온® PFSA 분산액을 가열된 PTFE 시트 상으로 분무-코팅하여 제조하였다.
두 종류의 이온-전도막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을 승온 및 승압에서 10분 동안 고온-압착하였다.
Pt 함량이 3 내지 3.85 mg/cm2인 Pt 블랙 전극에 막을 승온 및 승압에서 2분 동안 고온 압착시켜 막 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하였다. 두 경우에 막 두께는 모두 약 40 μm였다.
전기화학 시험을 주위 압력 및 7 psig 압력을 사용하여 80 ℃에서 6 cm2 활성 면적 연료 전지에 대해 수행하였다. 가스를 75 ℃에서 습윤화시켰다. 전지에 0.35 내지 0.45 V를 인가하고, 한 쪽 전극에 200 ml/min의 H2를 공급하고, 다른 전극에 400 ml/min의 N2를 공급할 때 통과되는 전류를 기록하여 수소 침투를 측정하였다. 막을 통과한 수소의 몰 수를 전류로부터 계산하였다. 주위 압력에서 H2/공기에 대하여 0.5 A/cm2에서 전류 차단 기술에 의하여 막 저항을 측정하였다. 전류, 계산된 H2 침투 및 막 저항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 (차단층 존재)은 비교 실시예 1 (차단층 부존재)과 비교하여 애노드로부터 캐쏘드로의 H2의 침투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비교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의 막 저항이 단지 약간만 증가한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준다.

Claims (14)

  1. (i) 1종 이상의 제1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이온-전도층; 및 (ii) 그래핀-계 소판을 포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이온-전도막.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층이 층의 80% 이상이 그래핀-계 소판으로 이루어진 그래핀-풍부층인 것인 이온-전도막.
  3. 제2항에 있어서, 차단층이 그래핀-계 소판으로 이루어진 것인 이온-전도막.
  4. 제3항에 있어서, 차단층이 그래핀-계 소판 이외에 제2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이온-전도막.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물, 수성 전해질 및 이오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온-전도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핀-계 소판의 x:y 종횡비가 0.1 내지 10이고, x:z 종횡비가 10 이상이며, y:z 종횡비가 10 이상인 것인 이온-전도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핀-계 소판이 그래핀 옥사이드, 술폰화 그래핀 옥사이드, 그래핀 술파이드, 그래핀 히드록시드, 그래핀 카르보네이트 및 그래핀 니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온-전도막.
  8. 제7항에 있어서, 그래핀-계 소판이 그래핀 옥사이드인 것인 이온-전도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제2 이온-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이온-전도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2 이온-전도층이 제1 이온-전도층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 차단층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인 이온-전도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층의 두께가 1 nm 내지 5 μm인 것인 이온-전도막.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온-전도막 및 상기 이온-전도막의 적어도 한쪽 면에 침착된 전극촉매층을 포함하는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
  12. 제11항에 있어서, 전극촉매층이 이온-전도막의 양면에 침착되어 있는 것인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온-전도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어셈블리.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촉매-코팅된 이온-전도막을 포함하는 막 전극 어셈블리.
KR1020157000323A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KR20150036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0157A KR102300275B1 (ko)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12229.7 2012-07-10
GBGB1212229.7A GB201212229D0 (en) 2012-07-10 2012-07-10 Ion-conducting membrance
PCT/GB2013/051820 WO2014009721A1 (en) 2012-07-10 2013-07-10 Ion-conducting membra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157A Division KR102300275B1 (ko)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012A true KR20150036012A (ko) 2015-04-07

Family

ID=467664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323A KR20150036012A (ko)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KR1020207030157A KR102300275B1 (ko)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157A KR102300275B1 (ko) 2012-07-10 2013-07-10 이온-전도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11716B2 (ko)
EP (1) EP2873109B1 (ko)
JP (1) JP6312666B2 (ko)
KR (2) KR20150036012A (ko)
CN (1) CN104428938B (ko)
GB (1) GB201212229D0 (ko)
WO (1) WO2014009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52A (ko) * 2017-12-28 201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구성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7026A (ja) * 2012-11-22 2014-06-09 Asahi Glass Co Ltd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GB201416527D0 (en) * 2014-09-18 2014-11-05 Univ Manchester Graphene membrane
EP3104433B1 (en) * 2015-06-12 2019-10-02 Nokia Technologies Oy Proton battery based on two-dimensional materials
US10784516B2 (en) * 2015-06-25 2020-09-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nductor, power storage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conductor
GB201513288D0 (en) 2015-07-28 2015-09-09 Univ Manchester Graphene membrane
US20170093001A1 (en) * 2015-09-25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electrolyte film,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composite electrolyte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e electrolyte film
DE102016102088A1 (de) 2016-02-05 2017-08-10 Volkswagen Ag Membran, Membran-Elektroden-Einheit,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mbran
GB201621963D0 (en) 2016-12-22 2017-02-08 Johnson Matthey Plc Catalyst-coated membrane having a laminate structure
JP6858364B2 (ja) * 2016-12-27 2021-04-14 Agc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18106956A (ja) * 2016-12-27 2018-07-05 旭硝子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7120570B2 (ja) * 2018-08-31 2022-08-17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積層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GB201816575D0 (en) 2018-10-11 2018-11-28 Seeds Capital Ltd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GB201900646D0 (en) 2019-01-17 2019-03-06 Johnson Matthey Fuel Cells Ltd Membrane
CN113823820B (zh) * 2021-09-09 2023-03-21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电池隔膜用材料、材料制备方法及电池隔膜
WO2023121854A1 (en) * 2021-12-23 2023-06-29 Hyzon Motors Inc. Reinforced proton exchange membran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614A (en) 1995-03-15 1997-02-04 W. L. Gore & Associates, Inc. Integral composite membrane
US6254978B1 (en) 1994-11-14 2001-07-03 W. L. Gore & Associates, Inc. Ultra-thin integral composite membrane
DE19629154C2 (de) 1996-07-19 2000-07-06 Dornier Gmbh Bipolare Elektroden-Elektrolyt-Einheit
DE19646487C2 (de) * 1996-11-11 1998-10-08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Elektroden-Elektrolyt-Einheit für eine Brennstoffzelle
US6110330A (en) 1999-06-28 2000-08-29 Trace Storage Technology Corp Process for bonding lubricant to magnetic disk
US7541308B2 (en) * 2001-04-11 2009-06-02 Cabot Corporation Fuel cells and other products containing modified carbon products
JP2005032520A (ja) * 2003-07-10 2005-02-03 Fujitsu Ltd 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GB0319780D0 (en) 2003-08-22 2003-09-24 Johnson Matthey Plc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0637169B1 (ko) * 2004-08-30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전해질막
KR100683790B1 (ko) 2005-07-12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기 전도체를 이용한 수소이온 전도성 복합막 및 그의제조방법
US20070128425A1 (en) 2005-12-07 2007-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inforced ion-conductive membranes
JP2007207651A (ja) * 2006-02-03 2007-08-16 Toppan Printing Co Ltd 結着剤、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DE102006012907A1 (de) * 2006-03-10 2007-09-13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Elektroden-Membran-Einheit und Brennstoffzelle
US8709213B2 (en) 2007-05-14 2014-04-29 Northwestern University Composite graphene oxide-polymer laminate and method
JP5292742B2 (ja) * 2007-08-21 2013-09-18 凸版印刷株式会社 固体酸を用いた燃料電池および固体酸の製造方法
GB0804185D0 (en) 2008-03-07 2008-04-16 Johnson Matthey Plc Ion-conducting membrane structures
WO2010114059A1 (ja) * 2009-04-01 2010-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5627198B2 (ja) * 2009-05-27 2014-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膜とそれを用いた膜−電極接合体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5482110B2 (ja) 2009-11-04 2014-04-23 富士電機株式会社 固体酸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59404A1 (en) 2009-12-29 2011-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olyolefin Support to Prevent Dielectric Breakdown in PEMS
GB201000743D0 (en) * 2010-01-18 2010-03-03 Univ Manchester Graphene polymer composite
US20120021224A1 (en) 2010-07-23 2012-01-26 Clean Energy Labs, Llc Graphene/graphene oxide platelet 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s and devices thereof
DE112011100340T5 (de) * 2010-12-17 2012-11-29 Panasonic Corporation Brennstoffzellen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TWI525881B (zh) * 2010-12-30 2016-03-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具低穿透率之有機無機混成之複合質子交換膜
KR20130027907A (ko) * 2011-09-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복합 전해질막
JP2014107026A (ja) * 2012-11-22 2014-06-09 Asahi Glass Co Ltd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52A (ko) * 2017-12-28 201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내구성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3109A1 (en) 2015-05-20
KR102300275B1 (ko) 2021-09-09
WO2014009721A1 (en) 2014-01-16
US10811716B2 (en) 2020-10-20
EP2873109B1 (en) 2018-11-14
US20150180073A1 (en) 2015-06-25
CN104428938B (zh) 2018-10-09
KR20200123276A (ko) 2020-10-28
JP2015529936A (ja) 2015-10-08
GB201212229D0 (en) 2012-08-22
JP6312666B2 (ja) 2018-04-18
CN104428938A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275B1 (ko) 이온-전도막
JP4410156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
US11862803B2 (en) Radical scaven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KR100717790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20150097024A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EP2250698A1 (en) Ion-conducting membrane structures
JP2017020107A (ja) メンブラン
KR102037828B1 (ko) 이온-전도성 막
KR20060082327A (ko)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98136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Scott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KR10111269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307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20230081631A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장치
KR20230080750A (ko) 패턴화된 금속 박막을 포함한 고분자 전해질 막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GB2464707A (en) Ion - Conducting Membrane Structures
KR20230080960A (ko) 이온전도체 분산액,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KR20230143051A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장치
CN115039262A (zh) 聚合物电解质膜和包括该聚合物电解质膜的膜-电极组件
KR20080047123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제조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EP2219257A1 (en) Fuel cell comprising an ion-conductive membrane
KR20080045456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1845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