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726A -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726A
KR20150032726A KR1020157001979A KR20157001979A KR20150032726A KR 20150032726 A KR20150032726 A KR 20150032726A KR 1020157001979 A KR1020157001979 A KR 1020157001979A KR 20157001979 A KR20157001979 A KR 20157001979A KR 20150032726 A KR20150032726 A KR 2015003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tainer
tube
pouch contain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미츠이
켄지 카와사키
오사오 우에다
토시오 이시키
타다시 타카노
준페이 사코
마나부 이시하라
유타 사토
히로유키 나카가미
마사유키 우에니시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12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37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29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10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029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4207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for facilitating the separation of the two walls, e.g. walls of inequal height, tabs; for maintaining the mouth of the sack or ba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93Containers with shape retaining means, e.g. to support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during emptying 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파우치 용기(10)는,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를 구비하고, 이 시트로 둘러싸인 충전부(14)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충전부(14)에 이어지는 개구부(15)가 용기 상부의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기이다. 파우치 용기(10)는,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구비하고,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충전부(14)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22A, 22B)을 각각 가지고, 용기 폭방향으로부터 이 공간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24A, 24B)를 각각 가진다.

Description

파우치 용기{POUCH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 용기는 밀봉성 및 취급성이 뛰어난 점에서, 식료품 또는 화장 제품은 물론, 경장 영양제 또는 정맥 영양제, 수액 등의 용기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시 사용되는 의료용 파우치 용기에는, 영양제 또는 그 희석액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개구부로부터 영양제 등을 주입할 경우에는, 용기의 개구부 주변을 한 손으로 파지(把持)하면서 개구부를 벌린다고 하는 불안정한 작업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벽면 시트와 이 시트의 외면에 고정된 연질 플라스틱 시트의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로를 형성하는 1 쌍의 개폐 조작부를 구비한 의료용 파우치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튜브를 만곡시켜 삽입 가능한 개구를 밀봉 영역에 형성한 의료용 파우치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11-078737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125162호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파우치 용기에 의하면, 관통로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기를 보지(保持)함으로써 상기 작업성이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파우치 용기의 경우, 동일 문헌의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를 보지했을 때 관통로로부터 손가락 끝이 나오기 때문에, 영양제 등의 충전물이 손가락에 묻을 우려가 있는 등, 아직도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는, 적어도 표면부 및 이면부를 구성하는 벽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로 둘러싸인 충전부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상기 충전부에 이어지는 개구부가 용기 종방향 일단측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 및 상기 이면부의 상기 용기 종방향 일단측에 각각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용기 횡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간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 횡방향으로부터 주머니 형상부의 내부 공간으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주머니 형상부 내에 삽입되는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은 용기 횡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개구부를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
엄지와 검지는 주머니 형상부 내에 완전히 삽입되기 때문에, 용기의 보지성이 뛰어나, 내용물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라도 손가락이 빠지기 어려워 용기를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엄지와 검지는 손가락 끝까지 주머니 형상부로 덮여 있기 때문에, 충전물이 손가락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려 두는 것만으로 개구 상태가 유지되므로, 예를 들면 주입 작업 중에 개구부가 닫혀 충전물이 흘러 넘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 시트에는, 상기 개구부를 닫는 지퍼가 마련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는, 상기 지퍼보다 상기 용기 종방향 일단측으로 연장된 플랩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기를 보지하는 손에 의해 충전부가 가려지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물의 양을 확인하기 쉽다.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가 상기 지퍼보다 상방에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상기 용기 횡방향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각 플랩 형상부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기 용기 횡방향 타단부끼리를 접합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한 쌍의 플랩 형상부는, 용기 횡방향 타단측이 일체화되어 폐지부(閉止部)가 되고, 일단측이 접합되지 않고 개방부가 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를 보다 벌리기 쉬워진다. 한 쌍의 플랩 형상부의 용기 횡방향 타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렸을 때 각 주머니 형상부가 그 부착 부분에서 외측으로 꺾이기 쉬워지는데, 밀봉부(폐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꺾임을 억제할 수 있어, 개구부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한 쌍의 플랩 형상부는, 개방부에서 크게 벌려짐으로써 충분한 폭을 가지고 확개되고, 또한 폐지부에서 홈통 형상의 안내로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폐지부가 개방부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도록 개구부를 기울임으로써, 폐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통 형상의 안내로를 한층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밀봉부가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지퍼를 향해 점차 상기 각 플랩 형상부의 확개량이 작아지도록, 상기 용기 종방향 및 상기 용기 횡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통 형상의 안내로가, 안내구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지퍼를 향해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부를 크게 기울이지 않아도, 이러한 홈통 형상의 안내로에 의한 안내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어, 액상물을 한층 용이하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에는, 상기 각 삽입구를 폐색하는 설편(舌片)이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설편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접어 넣어짐으로써 개구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머니 형상부 내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내부 공간내에 접어 넣어진 설편에 의해, 예를 들면 삽입구의 가장자리부가 떠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종방향 타단측에 형성된, 가요성(可撓性)의 장척 형상 튜브가 장착되는 충전물의 배출부와, 상기 표면부 및 상기 이면부의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가장자리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에는, 상기 튜브를 보지 가능한 튜브 보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의 외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튜브의 직경 이상의 길이로 상기 벽면 시트를 절개하거나 또는 잘라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튜브 보지부에 의해 튜브를 보지함으로써, 예를 들면 튜브가 이동 중에 다른 물건에 감기거나 걸리거나 혹은 탈락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튜브 보지부는, 가장자리 밀봉부의 외단으로부터 벽면 시트를 절개하거나 또는 잘라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의 보지 조작, 분리 조작이 용이하며, 한 손의 작업이라도 튜브의 원활한 취급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튜브 보지부가 형성된 가장자리 밀봉부의 외단에 튜브를 가져다 댐으로써 튜브를 상기 보지부에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보지부로부터 튜브를 분리할 시에는, 튜브를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보지부가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와 연통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과 동등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튜브의 보지성이 향상되어, 예를 들면 튜브 보지부로부터의 튜브의 누락 등을 보다 고도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보지부가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수용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튜브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튜브에 접하는 설편을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설편이 튜브를 누르므로 튜브의 보지성이 더 향상된다.
상기 튜브 보지부가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는, 국부적으로 폭을 크게 하여 형성된 확폭 밀봉부를 가지고, 상기 확폭 밀봉부 중 하나에 현수홀과 상기 튜브 보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확폭 밀봉부를 1 개소로 할 수 있어, 용기 용량을 크게 설계하기 쉽다. 또한, 현수홀을 행거 등에 걸어 용기를 현수한 상태에서 튜브의 보지 조작 등을 행할 경우, 지지점으로부터 튜브 보지부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파우치 용기 본체의 요동이 발생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폭방향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의 상기 삽입구보다 폭방향 타단측의 상부에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내면끼리를 접합하는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에, 예를 들면 엄지의 끝을 걸 수 있으므로, 주머니 형상부에서의 엄지의 걸기가 좋아져 개구부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은, 특히 손이 작은 여성 등의 사용에 유용하다.
상기 밀봉부가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에는, 상기 용기 종방향을 따른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형성부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특히, 주머니 형상부 내에 삽입되는 손가락이 닿지 않는 폭방향 타단부측에 절곡 형성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를 보다 벌리기 쉬워진다. 파우치 용기는 유연성이 높은 점에서, 주머니 형상부의 손가락이 삽입된 부분은 손가락을 따른 형상을 나타낸다. 한편, 손가락 끝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의 위치로부터 용기 횡방향 타단부에 걸쳐 만곡하는 또는 손가락 끝의 위치에서 꺽여지는데, 절곡 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를 벌렸을 때 절곡 형성부에서 주머니 형상부가 우선적으로 꺽여, 용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예를 들면, 절곡선 등)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손가락 끝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손가락을 따라 절곡선(절곡 형성부)까지 똑바로 연장되어, 개구부가 보다 벌려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물이 손가락에 묻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를 벌리면서 용기를 안정적으로 보지하는 것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는, 예를 들면 장척 형상의 시트를 이용한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간편 또한 염가로 제조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주머니 형상부 확대도)로서, 설편을 주머니 형상부 내에 접어 넣은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상면도로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주머니 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상면도로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주머니 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상면도로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주머니 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주머니 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로서, 주머니 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22는 도 8의 파우치 용기에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파우치 용기의 사시도로서, 충전구를 개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A­A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사용 상태를 상방에서 본 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튜브 보지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제 1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1은 제 1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1, 12, 1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1, 12, 1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파우치 용기에 주입되는 충전물로서 액상의 영양제(도시하지 않음)를 예시한다. 단, 충전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영양제를 희석하기 위한 물 등이어도 되고, 젤리 상태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는, 내부에 영양액 또는 수액 등의 액상물이 수용되어 영양제 보급용 백 또는 수액 백 등의 의료용 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되는데, 본 발명의 구성은 의료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식료품 등의 용기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주머니 형상부(손가락용 주머니 형상부)를 제외한 부분이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만으로 구성되는 플랫 파우치를 예시하는데, 스탠딩 파우치 또는 사이드 가제트 파우치 등, 다른 파우치 형태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가제트를 가지는 파우치 용기에서, 당해 가제트부의 밀봉부에 본 발명의 튜브 보지부를 형성할 경우에는, 표면부 또는 이면부 중 어느 일방에 당해 가제트부를 포함한다. 즉, 표면부 및 이면부의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가장자리 밀봉부는, 예를 들면 표면부와 가제트부(이면부의 일부)의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가장자리 밀봉부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용기 종방향'을 '용기 상하 방향'이라 하고, 개구부(15)가 형성되는 '종방향 일단측'을 '위', 배출부(17)가 형성되는 '용기 종방향 타단측'을 '아래'로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시트가 적층되는 방향을 '용기 표리 방향'이라 하고, 용기 상하 방향 및 용기 표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용기 폭방향)을 '용기 횡방향 또는 용기 폭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단순히 상하 방향, 표리 방향, 횡방향 또는 폭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삽입구(24A, 24B)는 횡방향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 ~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0)에 대하여 상설한다.
먼저, 도 1 ~ 도 3을 참조한다. 도 1, 2는 파우치 용기(10)의 정면도로서, 도 2에서는 설편(26A, 26B)을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내측(내부 공간(22A, 22B))에 접어 넣은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폭방향으로 평행한 도 2의 A­A선으로,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표리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다.
파우치 용기(10)는, 서로 중첩된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11) 및 이면 시트(12)는 용기의 표면부 및 이면부를 각각 구성하는 한 쌍의 벽면 시트이다. 파우치 용기(10)는, 각 시트의 상단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된 가장자리 밀봉부(13)를 가진다. 즉, 표리면 시트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측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가장자리 밀봉부(13)가 형성되고, 용기 상부에는 충전부(14)에 이어지는 개구부(15)(후술하는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5)는, 상방을 향한 개구부로서,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가 접합되지 않음으로써 각 시트의 사이에 형성된다.
파우치 용기(10)에는 개구부(15)를 닫는 지퍼(16)(지퍼 형상 밀봉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가장자리 밀봉부(13)와 지퍼(16)에 의해, 벽면 시트로 둘러싸인 용기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이 밀폐되는 용기 내부 공간이 영양제가 충전되는 충전부(14)(수용 영역)이다. 지퍼(16)는, 예를 들면 볼록부 부착의 제 1 시트와, 볼록부에 감합되는 오목부 부착의 제 2 시트를 대향 배치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트가 표면 시트(11)의 내면에 접합되고, 제 2 시트가 이면 시트(12)의 내면에 접합된다.
지퍼(16)의 교합력은 그 형상 또는 크기 등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지퍼(16)의 교합력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후술하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확개(擴開) 작용력만으로 지퍼(16)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지퍼(16)의 교합력이 너무 약할 경우에는, 액상물의 충전부(14)에의 주입 후, 지퍼(16)를 폐쇄 상태로 했을 시, 충전부(14)를 밀봉 상태로 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파우치 용기(10) 사용자에 따라, 혹은 한 쌍의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위치에 따라 지퍼(16)의 교합력이 조절될 수 있다. 지퍼(16)의 교합력이 강할 경우에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 손을 넣을 시, 미리 지퍼(16)를 개방 상태로 해두면 좋다.
파우치 용기(10)에는, 충전부(14)에 충전된 영양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7)(포트부)가 형성된다. 배출부(17)는, 예를 들면 마개 부착의 플라스틱관으로서, 벽면 시트의 비스듬하게 커트된 하단과 측단의 모서리부에 장착되어 있다. 배출부(17)는 후술하는 현수홀(18)과 대각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의 사이에 배출부(17)를 개재한 상태로 각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배출부(17)가 장착된다.
배출부(17)에는, 예를 들면 충전부(14)에 연통 접속되는 내측 개구부와 반대의 외측 개구부에 대하여 장척 형상의 튜브(103)(후술하는 도 24 등 참조)가 접속된다. 튜브(103)는 종래 공지의 것이 사용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데, 가요성의 튜브이며, 필요에 따라 챔버(수액관) 또는 수액 조절기(유량 조정기), 커넥터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비강 등으로부터 삽입되어 위 또는 십이지장 등의 환자 체내(도시하지 않음)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충전부(14)에 수용되는 액상물이 튜브(103)를 통하여 환자의 체내에 투여된다.
파우치 용기(10)에는, 배출부(17)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현수홀(18)이 형성된다. 현수홀(18)은 가장자리 밀봉부(13)의 일부를 폭 넓게 형성하고, 당해 폭 넓은 밀봉부를 표리 방향으로 뚫음으로써 형성된다. 파우치 용기(10)에 충전된 영양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시에는, 현수홀(18)을 훅 등에 걸어 배출부(17)의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고, 영양제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파우치 용기(10)에서는, 현수홀(18)이 형성되는 폭방향 단부와 반대측에 커트부(19)가 형성되어, 용기 상부의 폭이 용기 하부의 폭보다 좁아져 있다. 용기 상부의 폭을 좁게 하는, 특히 삽입구(24A, 24B)측을 커트하여 폭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용기의 보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부(14)의 상하 방향 중간 부분으로부터 하방이, 폭방향에서, 상방보다 후술하는 삽입구(24A, 24B)측에 크게 된 확폭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폭방향의 중심이 삽입구(24A, 24B)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있어, 현수 훅을 현수홀(18)에 삽입 관통시켜, 파우치 용기(10)를 스탠드에 매달 때, 파우치 용기(10)가 도 1의 상태로부터 현수홀(18)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 결과, 배출부(17)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충전부(14)에서의 배출부(17)의 주변 부분이 좁은 폭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10)가 스탠드에 현가되었을 시, 충전부(14)에 수용되는 액상물이 배출부(17)로 흘러가기 쉽게 되어 있어, 액상물의 배출부(17)에 남는 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용기(10)는, 표면부의 상부에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20A), 및 이면부의 상부에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20B)를 구비한다.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개구부(15)를 벌려 영양제를 충전부(14)에 주입할 시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벽면 시트와, 그 사이에 삽입된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21A, 21B)(이하, 단순히 '시트(21A, 21B)'라고 함)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시트(21A)와 표면 시트(11)가 가장자리 밀봉부(23A)에 의해, 시트(21B)와 이면 시트(12)가 가장자리 밀봉부(23B)에 의해 각각 접합되어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형성된다.
각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벽면 시트에는, 각각 개구부(15)의 외방(상방)에 소정의 영역만큼 연장된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중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는, 한 쌍의 벽면 시트의 중첩부인 지퍼(16)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는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한 쌍의 플랩 형상부는 형상이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플랩 형상부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고 외방으로 돌출되는 당김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당김부를 손가락으로 당김으로써 한 쌍의 플랩 형상부를 벌리는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랩 형상부(28A, 28B)의 전체가 각각 주머니 형상부(20A, 20B)라고 할 수 있다.
파우치 용기(10)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통상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에는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열성 등, 포장체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각 밀봉부는, 통상, 히트 밀봉에 의해 형성되므로, 시트에는 히트 밀봉성도 요구된다. 시트로서는, 베이스 필름층과, 히트 밀봉성을 부여하는 실런트층을 가지는 복층 시트가 적합하며, 높은 가스 배리어성 또는 차광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층과 실런트층의 사이에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베이스 필름층 그 자체에 배리어성을 부여해도 된다. 이 경우는, 배리어층을 베이스 필름층으로서 이용하여, 배리어층과 실런트층을 가지는 복층 시트가 된다. 또한, 시트의 양면에 히트 밀봉성을 부여할 경우는, 후술하는 실런트층을 형성하는 단층 필름을 이용해도 되고, 복층 시트의 경우는, 동종 또는 이종의 실런트층을 2 층 가지거나(이 때, 실런트층의 1 층을 형식적으로 베이스 필름층으로서 이용하게 됨), 혹은 베이스 필름층의 양면에 실런트층을 가지는 시트를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21A, 21B)로서, 양면 히트 밀봉성의 적층 시트, 구체적으로 이종의 실런트층을 2 층 적층한 적층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층, 실런트층 및 가스 배리어층의 구성 재료를 예시한다. 또한, 이들 각 층의 적층은, 관용의 래미네이트법,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드라이 래미네이션, 열 접착성층을 개재하여 열에 의해 접착시키는 열 래미네이션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층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PC) 등), 폴리오레핀(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폴리아미드(나일론-6, 나일론-66 등),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이미드(PI),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에테르술폰(PES) 등으로 구성되는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연신 또한 미연신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실런트층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2 축 연신 나일론(ON), 에틸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으로 구성되는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연신 또한 미연신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 또는 염화비닐리덴(PVDC),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 등의 수지 필름, 혹은 임의의 합성 수지 필름(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층이어도 됨)에 알루미늄, 산화 알류미늄 또는 실리카 등의 무기산화물 등을 증착(또는 스퍼터링)한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벽면 시트에는, 예를 들면 영양제의 액량을 계측하기 위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눈금 외에도 상품명 또는 원재료, 사용 상의 주의 사항 등을 표시하는 인쇄층을 마련해도 된다.
이하,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0)는 지퍼(16)보다 상방에 주머니 형상부(20A, 20B)(플랩 형상부(28A, 28B))를 구비한다. 지퍼(16)는 폭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지퍼(16)(폭방향)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파우치 용기(10)는, 지퍼(16)보다 하부는 2 매의 벽면 시트로 구성되는 플랫 파우치의 형태이지만, 지퍼(16)보다 상부는 4 매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주머니 형상부(20A)는 표면 시트(11)의 내면에 시트(21A)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주머니 형상부(20B)는 이면 시트(12)의 내면에 시트(21B)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표리 방향으로 중첩되고, 개구부(15)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21A, 21B)가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고,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분리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 20B)는, 상하 방향보다 폭방향으로 길게 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서로 동일한 형상,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하,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서 공통되는 내용은, 주머니 형상부(20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주머니 형상부(20A)는 벽면 시트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벽면 시트의 지퍼(16)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방향 길이와, 시트(21A)의 폭방향 길이가 동일하다. 시트(21A)의 폭방향 길이는 보다 짧아도 되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당해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장척 형상 시트를 이용한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간편 또한 염가로 파우치 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는, 충전부(14)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22A)을 가진다. 또한 주머니 형상부(20A)는, 폭방향으로부터 내부 공간(22A)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24A)를 가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삽입구(24A)가 후술하는 설편(26A)에 의해 닫혀 있다.
내부 공간(22A)은, 충전부(14)와 연통하지 않는 독립된 공간으로서, 정면에서 봤을 때의 상태(도 1 참조)에서의 주연이 가장자리 밀봉부(23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내부 공간(22A)은 적어도 1 개의 손가락, 예를 들면 엄지를 수용 가능한 치수를 가진다(내부 공간(22B)에는 예를 들면 검지가 수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끝으로부터 끝까지 완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내부 공간(22A)에는, 손가락이 폭방향을 따른 상태로 수용되기 때문에,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내부 공간(22A)은, 삽입구(24A)만이 외부와의 접속구이며, 그 외의 부분은 시트 및 가장자리 밀봉부(23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삽입구(24A)는, 커트부(19)가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20A)의 폭방향 일단부측, 즉 현수홀(18)이 형성된 폭방향 타단부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24B)는 삽입구(24A)의 정확히 이면측에 형성된다. 삽입구(24A)는 폭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삽입되는 설계로서, 삽입구(24A)로부터 삽입된 손가락은 내부 공간(22A)에서 손가락 끝이 폭방향 타단부측을 향한 상태로 수용된다.
삽입구(24A)는, 표면부의 외면(주머니 형상부(20A)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11))에 절개선(25A)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용기의 보지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폭방향 일단부에 근접하여 절개선(25A)을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절개선(25A)은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고, 그 양단(이하, '절개단'이라고 함)이 폭방향 타단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절개선(25A)의 대략 직선 형상의 부분이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절개선(25A)의 원호 형상의 부분이 폭방향 일단부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에는, 절개선(25A)과 절개단끼리를 연결한 가상선(이하, 설편(26A)의 '기초선'이라고 함)으로 둘러싸인 부분인 설편(26A)이 형성되어 있고(도 1 참조), 기초선으로 설편(26A)을 꺾음으로써 삽입구(24A)가 개구된다(도 2 참조). 또한, 삽입구(24A)에 폭방향 일단부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할 경우, 폭방향 타단부측의 가장자리부(즉, 기초선 부분)와 시트(21A)의 사이로부터 삽입된다.
절개선(25A)은,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게 하면서 용기의 보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측의 직선 부분보다 하측의 직선 부분이 길어져 있다. 그리고, 기초선은, 그 하단이 상단보다 폭방향 타단측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용기의 중량이 걸리지 않는 손가락의 하측에서는 삽입구(24A)의 치수를 크게 취하고, 용기의 중량이 걸리는 손가락의 상측에서는 삽입구(24A)의 치수를 작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손가락에 걸리는 부담이 저감되고, 또한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설편(26A)은, 내측(내부 공간(22A) 내)으로 접어 넣어져 있는 것이 적합하다(도 2, 3 참조). 설편(26A)은 삽입구(24A)의 폭방향 타단부측의 가장자리에 이어져 있고, 이를 내측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당해 가장자리부가 뜨기 쉬워진다. 즉, 당해 구성에서는, 손가락의 삽입성을 높이기 위하여, 설편(26A)을 이용하여 손가락을 삽입하는 극간(당해 가장자리부와 시트(21A)의 극간)을 벌리고 있다. 또한, 설편(26A)은 사용 시에 접어 넣어져도 되고, 제조 시에 접어 넣어져도 된다. 또한, 설편(26A)은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상태로 표면 시트(11)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기울기 상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시트(21A, 21B) 대신에, 가제트 시트(21G)를 이용하여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형성하고 있다. 가제트 시트(21G)는 하방을 향해 바깥쪽 접어진 단면에서 봤을 때 V 자 형상의 시트이다. 가제트 시트(21G)는, 접기선(27)이 폭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한 쌍의 벽면 시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접기선(27)에 의해 2 분된 일방의 시트 부분이 표면 시트(11)의 내면에 접합되고, 타방의 시트 부분이 이면 시트(12)의 내면에 접합되어, 2 개의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벽면 시트 및 1 매의 가제트 시트(21G)에 의해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되기 전(개봉 전)에 각 주머니 형상부는 서로 이어져 있다. 이에 의해, 개봉 전에서의 충전부(14)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가제트 시트(21G)에는, 예를 들면 접기선(27) 상에, 하프 커트선 또는 절취선 등의 절단 보조선을 형성할 수 있어, 사용 시에 절단 보조선을 따라 가제트 시트(21G)를 절단함으로써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당해 분리에 의해, 시트(21A, 21B)를 이용한 경우와 동일한 형태가 되어, 개구부(15)의 개구가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도 1의 구성을 구비하는 파우치 용기(1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파우치 용기(10)의 제조 공정 중, 각 시트의 장척(長尺)체를 적층하여, 각 밀봉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표면 시트(11), 이면 시트(12), 지퍼(16)를 구성하는 시트(예를 들면, 볼록부 부착의 제 1 시트 및 오목부 부착의 제 2 시트), 및 시트(21A, 21B)의 장척체(이하, '장척체(11z, 12z, 16z, 21Az, 21Bz)'라고 함)를 각각 준비하여 서로 적층한다. 장척체(16z)는, 제 1 시트의 볼록부와 제 2 시트의 오목부가 감합된 상태로 적층되고, 장척체(21Az, 21Bz)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적층된다.
각 장척체의 적층 공정에서는, 먼저, 서로 중첩된 장척체(11z, 12z)의 사이에 장척체(16z, 21Az, 21Bz)를 각각 삽입한다. 이 때, 장척체(11z, 12z)는 각각의 실런트층끼리가 마주보도록 적층되고, 장척체(21Az)의 실런트층은 장척체(11z)의 실런트층과 마주보도록, 장척체(21Bz)의 실런트층은 장척체(12z)의 실런트층과 마주보도록 적층된다. 이에 의해, 히트 밀봉 공정에서 장척체(21Az, 21Bz)끼리가 접합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각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적층 공정을 거친 상기 각 장척체에는, 히트 밀봉 공정에서 각 밀봉부가 형성된다. 히트 밀봉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배출부(17)를 장착하는 부분을 남기고, 장척체(11z, 12z)의 하단 가장자리, TD 방향을 따라 소정 부위를 히트 밀봉함으로써 가장자리 밀봉부(13z)를 형성한다. 여기서, 장척체의 하단 가장자리는, 파우치 용기(10)의 하단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이며, 소정 부위는, 파우치 용기(10)의 측단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이다. 히트 밀봉 공정에서는, 또한 장척체(16z, 21Az, 21Bz)를 장척체(11z, 12z)에 각각 접합한다. 이에 의해, 개구부(15)가 닫히고, 또한 가장자리 밀봉부(23A, 23B)가 형성된다. 또한, 양면 히트 밀봉성의 장척체(21Az, 21Bz)를 사용할 경우, 확폭 밀봉부(13z) 이외의 가장자리 밀봉부(23A, 23B)에서 장척체(21Az, 21Bz)끼리가 접합하지 않도록, 그들 사이에 금속판 또는 비용융 수지 시트를 개재하여 히트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다이 커트 롤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절단 예정선(X)을 따라 상기 장척체를 커트하여, 개개의 용기 사이즈로 분할한다. 또한, 상기 히트 밀봉 및 당해 커트는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이 때 또는 별도 공정에서, 현수홀(18) 및 절개선(25A, 25B)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22A, 22B)에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배출부(17)를 장착하여 파우치 용기(10)가 얻어진다.
본 제조 공정에서는, 도 1에 도시한 파우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장척체(21Az, 21Bz)를 이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4에 도시한 형태의 파우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들 장척체(21Az, 21Bz) 대신에, 장척 형상의 가제트 시트(21G)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파우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장척 형상의 가제트 시트(21G)를 제조 장치로 공급하고, 벽면 시트에 히트 밀봉하기 전 또는 히트 밀봉한 후, 접기선을 따라 가제트 시트(21G)를 절단하여 장척체(21Az, 21Bz) 또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로 분리해도 되고, 벽면 시트의 상부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되접어 꺾어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6, 7에 도시한 파우치 용기(10)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참조하여, 파우치 용기(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0)의 개구부(15)로부터 충전부(14)에 영양제를 주입할 시에는, 예를 들면, 한 손(이하, 오른손으로 함)으로 용기를 보지하면서 지퍼(16)를 열어 개구부(15)를 벌린다. 먼저 처음으로, 주머니 형상부(20A)의 내부 공간(22A)에는 엄지를 삽입하고, 주머니 형상부(20B)의 내부 공간(22B)에는 검지를 삽입하여 용기를 보지한다. 이 때, 엄지와 검지는, 폭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삽입구(24A, 24B)를 통하여 각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삽입구(24A, 24B)는 폭방향 일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측보다 하측이 길게 된 대략 U 자 형상의 절개선(25A, 25B)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설편(26A, 26B)이 내측에 접어 넣어져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구(24A, 24B)로부터 손가락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주머니 형상부(20A, 20B) 내에 삽입된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려 지퍼(16)를 열어 개구부(15)를 벌린다. 즉, 엄지를 표면측으로 움직이고, 검지를 이면측으로 움직인다.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더 벌림으로써, 개구부(15)를 크게 벌릴 수 있다.
이어서,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려 개구부(15)를 크게 넓힌 상태에서, 영양제의 주입을 개시한다.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려 두는 것만으로 개구 상태가 유지되므로, 예를 들면 영양제를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끝 부근까지 근접하여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주입 작업 중에 개구부(15)가 닫혀 영양제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양제를 주입함으로써 용기의 중량이 증가하는데, 용기를 보지하는 손가락은 주머니 형상부(20A, 20B)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빠지기 어려워, 용기를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영양제가 잘못하여 용기의 외측으로 흘러나왔을 경우라도, 엄지와 검지는 손가락 끝까지 각 주머니 형상부로 덮여 있기 때문에, 영양제가 손가락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영양제 등의 액상물을 충전부(14)에 주입한 후, 지퍼(16)를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충전부(14)를 밀봉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우치 용기(10)의 상부로부터의 액상물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액상물이 세균 등에 오염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파우치 용기(10)에 의하면, 한 손으로 용기를 보지하면서 영양제의 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당해 주입 작업의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한 손으로 파우치 용기(10)를 파지하여, 이 손가락으로 개구부(15)를 개봉 가능하게 하고, 또한 당해 손가락의 이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파우치 용기(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른 한 손으로 액상물을 충전부(14)에 주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작업의 종사자가 혼자라도 충분히 고정밀도 및 고효율인 작업이 실시 가능해진다.
<제 2 실시예>
도 8 ~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30)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플랩 형상부(28A, 28B))의 폭방향 타단부끼리가 접합되어 밀봉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10)와 상이하다. 밀봉부(31)는 삽입구(24A, 24B)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시트(21A, 21B)의 폭방향 타단부에 노치(32A, 3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31)는 노치(32A, 32B)가 형성된 부분에만 마련되는 포인트 밀봉부다. 구체적으로, 밀봉부(31)는, 노치(32A, 32B)를 개재하여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의 내면끼리가 접합된 형태이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폭방향 타단부가 서로 일체화된 봉합부(33)로 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폭방향 일단부는 서로 분리된 개방부(34)로 되어 있다.
도 9, 10에, 도 8에 도시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 10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밀봉부(31)는, 각 주머니 형상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극간 없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밀봉부(31)는 시트(21A, 21B)끼리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당해 밀봉부(31)는, 예를 들면 양면 전역 또는 일부의 영역에 실런트층을 가지는 소위 양면 히트 밀봉성의 시트(21A, 21B)를 이용하여 히트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폭방향 타단부만으로 시트(21A, 21B)가 히트 밀봉되도록, 예를 들면 시트(21A, 21B)가 마주보는 면의 실런트층의 연화 온도를, 벽면 시트와 마주보는 면의 실런트층의 연화 온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21A, 21B)끼리를 접착제로 접합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31)를 형성하여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폭방향 타단부끼리를 접합하여 폐지부(33)로 함으로써, 개구부(15)를 보다 벌리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폭방향 타단부끼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제 1 실시예)보다 작은 힘으로 개구부(15)를 보다 크게 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렸을 때에 각 주머니 형상부가 그 부착 부분 등에서 외측으로 꺾여 각 주머니 형상부만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밀봉부(31)에서 폭방향 타단부끼리를 고정하여 폭방향 타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개구부(15)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개구부(15)의 개구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각 주머니 형상부의 상하 방향을 따라 극간 없이 밀봉부(31)를 형성함으로써, 영양제를 주입할 시, 폭방향 타단부로부터 영양제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타단부 영역이 마치 깔때기와 같이 기능하여, 당해 밀봉부(31)를 따르게 하여 영양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도 12 ~ 도 16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와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40)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상단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밀봉부(23A, 23B)에 절곡 형성부인 노치(41A, 41B)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30)와 상이하다. 노치(41A, 41B)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폭방향 타단부와의 사이의 주머니 형상부 내에 삽입된 손가락 끝이 닿지 않는 위치,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부 내에 삽입된 손가락 끝의 위치와 폭방향 타단부와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절곡 형성부는, 주머니 형상부의 강성을 국부적으로 낮게 하거나 또는 높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예를 들면, 절곡선 등)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절곡 형성부로서는 노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상하 방향을 따른 절취선(42), 도 14에 도시한 상하 방향을 따른 밀봉부(43)여도 된다. 또한, 절취선(42) 대신에 하프 커트선을 형성해도 되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43)의 위치로부터 폭방향 타단부에 걸쳐 폭 넓은 밀봉부(44)를 형성해도 된다. 밀봉부(43, 44)는,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부의 내면끼리를 히트 밀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취선(42), 밀봉부(43, 44) 등은 주머니 형상부(20A)뿐 아니라 주머니 형상부(20B)에도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 삽입되는 손가락 끝보다 전방에 노치(41A, 41B)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15)의 개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손가락 끝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의 위치로부터 폭방향 타단부에 걸쳐 만곡하는 또는 손가락 끝의 위치에서 꺾인다(도 11 참조). 따라서, 노치(41A, 41B)를 형성함으로써, 그것이 형성된 부분에서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우선적으로 꺾여, 상하 방향을 따른 절곡선(42A, 42B)이 형성되기 쉬운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손가락 끝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손가락을 따라 절곡선(42A, 42B)의 위치까지 곧바로 연장되어 개구부(15)가 보다 벌려지기 쉬워진다. 개구부(15)의 개구 형상은, 예를 들면 위에서 보면 대략 홈 베이스 형상을 나타낸다.
<제 4 실시예>
도 17을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50)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U 자 형상의 절개선(25A) 대신에, 무단 형상의 절개선(52A)에 의해 삽입구(51A)가 형성되어 있는 점(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에서 파우치 용기(30)와 상이하다. 즉, 삽입구(51A)는 표면 시트(11)를 뚫어 형성된 관통홀이며, 그 가장자리부에는 설편이 존재하지 않는다. 삽입구(51A)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타원 형상을 나타내고, 그 장축은 폭방향을 따르고 있다. 단, 삽입구(5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면에서 봤을 때 정원 형상 또는 반원 형상,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제 5 실시예>
도 18을 참조하여, 제 5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6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60)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폭방향 일단부에 가장자리 밀봉부(23A)를 형성하지 않고, 폭방향 일단부로부터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 삽입구(61A)를 가지는 점(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에서 파우치 용기(30)와 상이하다. 삽입구(61A)는, 폭방향을 향한 개구부로서, 표면 시트(11)와 시트(21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부(20A)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11)의 폭방향 일단부에는, 노치(62A)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삽입구(61A)를 벌리기 쉬워져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된다.
<제 6 실시예>
도 19를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7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70)는, 용기 상부의 폭방향 양측에 커트부(71, 72)가 형성되어 용기 상부의 폭이 용기 하부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는 점, 및 주머니 형상부(20A)에 2 개 삽입구를 형성하는 절개선(25A, 73A)이 형성되어 있는 점(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에서 파우치 용기(10)와 상이하다. 절개선(73A)은, 주머니 형상부(20A)의 폭방향 타단측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절개선(25A)과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절개선(25A)은 폭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삽입되는 설계이며, 절개선(73A)은 폭방향 타단부측으로부터 손가락이 삽입되는 설계이다. 파우치 용기(70)는, 상반분의 폭이 좁고 각 주머니 형상부의 폭방향 길이도 짧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부 내에 삽입되는 손가락 끝이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한다. 혹은, 폭방향 중앙부를 넘어 반대측의 폭방향 단부의 근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개구부(15)를 벌리는 힘이 개구부(15)의 전체 폭에 걸쳐 작용하여, 작은 힘으로 개구부(15)를 크게 벌릴 수 있다. 또한, 개구부(15)의 개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제 7 실시예>
도 20을 참조하여, 제 7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8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80)는, 파우치 용기(70)와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가지는데, 지퍼(16)보다 하방에 주머니 형상부(20A)가 형성되어 있는 점(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에서 파우치 용기(70)와 상이하다. 주머니 형상부(20A)는, 예를 들면 표면 시트(11)의 내면에 시트(21A)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선(25A)은 표면 시트(11)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벽면 시트의 지퍼(16)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충전부(14)의 밀봉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자리 밀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가장자리 밀봉부(13)와 지퍼(16)의 사이에는 개봉용의 노치(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를 벽면 시트의 내면에 마련하여 주머니 형상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를 벽면 시트의 외면에 마련하여 주머니 형상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8 실시예>
도 21 ~ 도 23을 참조하여, 제 8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90)에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내면끼리를 접합하는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가 형성되어 있다(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 구체적으로, 삽입구(24A)보다 폭방향 타단측의 상부에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삽입구(24A)보다 폭방향 타단측으로서, 삽입구(24A)의 상단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는, 주머니 형상부(20A)에서, 설편(26A)이 내측으로 접어 넣어졌을 때 이 설편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 즉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설편(26A)보다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설편(26A)을 갖지 않을 경우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상반분, 바람직하게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상단으로부터 이 주머니 형상부의 상하 방향 길이의 1 / 3 정도의 범위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는, 주머니 형상부(20A)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가장자리 밀봉부(23A)의 일부가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는, 삽입구(24A)로부터 삽입되는 엄지가 걸리기 쉬운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90)에서는,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에, 엄지의 끝을 걸 수 있다. 엄지는 검지보다 주머니 형상부의 내측까지 들어가기 어렵지만,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1A)를 형성함으로써, 주머니 형상부(20A)에서의 엄지의 걸림이 좋아져 개구부(15)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파우치 용기(90)는 특히 손이 작은 여성 등의 사용에 유용하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밀봉부(23A)로부터 먼 위치에 포인트 밀봉부로서,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2A)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삽입구(24A)의 상단 근방으로서,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설편(26A)보다 상부측에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92A)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 9 실시예>
도 24 ~ 도 28을 참조하여, 제 9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6, 27에서의 파우치 용기(100)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에 비해 표리 방향의 축척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4,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100)에서는, 폐지부(33)를 형성하는 밀봉부(101)가, 플랩 형상부(28A, 28B)의 상단으로부터 내방(하방)으로 감에 따라, 폐지부(33)측으로부터 개방부(34)측(도 24 중의 좌방으로부터 우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폐지부(33)측이 경사져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각 플랩 형상부(28A, 28B)의 확개 시에 개구부(15)를 향해 상방으로부터 점차 폭방향에서의 확개량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 안내부(102)가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개방부(34)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가, 상단 부분(지퍼(16)로부터의 연장 방향에서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하방(지퍼(16) 방향)을 향해 적어도 반 이상의 영역이 서로 접합되지 않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에, 손가락을 개방부(34)측으로부터 폐지부(33)측을 향해 삽입 가능한 삽입구를 가지는 주머니 형상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다. 곡절부(설편(26A)의 기초선)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각도, 즉 삽입하는 손가락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구부(15)의 외방(상방)에는 관통홀인 현수홀(1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수홀(18)이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에서의 폐지부(33)측에, 서로 중첩 상태로 고착된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수홀(18)은 예를 들면 일방의 플랩 형상부에만 외주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을 형성하고, 이러한 연장편에 형성해도 된다. 현수홀(18)에 현수 훅 등을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점적 스탠드 등에 대하여, 파우치 용기(100)를 현수 지지시킬 수 있다.
도 28에서는, 왼손으로 파우치 용기(100)를 파지하여, 엄지와 검지를 한 쌍의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 삽입하여 플랩 형상부(28A, 28B)를 확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오른손 잡이의 사람이라면, 도 28과 같은 상태에서 액상물을 충전부(14)에 주입시킬 경우, 보다 고정밀도로 주입시킬 수 있다. 혹은, 좌우의 손을 반대로 하면, 보다 확실히 파우치 용기(100)를 확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 용기(100)는 표리 대상인 것이 적합하다. 한 쌍의 주머니 형상부(20A, 20B)에 삽입되는 손가락도 엄지와 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엄지와 중지 등도 가능하다. 한 쌍의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형상은 실제로 삽입되는 손가락의 형상에 맞추는 것이 적합하다.
파우치 용기(100)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와 마찬가지로, 엄지와 검지를 서로 벌리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플랩 형상부(28A, 28B)끼리의 간격이 확개되어, 플랩 형상부(28A, 28B)가 중첩 방향과 반대의 분리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또한 확개 작용력을 미치게 하면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에 이어지는 지퍼(16)가 마련된 개구부(15)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폭방향 타단측에 폐지부(33)가, 폭방향 일단측에 개방부(3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34)측으로부터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끼리의 간격을 확개시킨다. 이 때문에, 플랩 형상부의 양단이 밀봉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 상부를 크게 확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액상물을 충전부(14)에 주입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정신적 및 노력적인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파우치 용기(100)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폐지부(33)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경사져 있어, 한 쌍의 플랩 형상부(28A, 28B)의 확개 시에, 개구부(15)를 향해 점차 확개량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진 경사 안내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상물을 경사 안내부(102)의 경사면을 흐르게 하여 충전부(14)에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액상물이 개구부(15)에 집약되기 쉬어 액상물이 흘러넘칠 우려가 저감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에게 가일층의 부담을 주지 않아, 보다 고정밀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경사 안내부(102)가 깔때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도 29를 참조하여, 제 10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10)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111A, 111B)의 폭방향 길이가 지퍼(16)보다 아래의 부분인 주머니 본체의 폭방향 길이보다 폐지부(33)측으로 길게 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100)와 상이하다. 또한 파우치 용기(110)에서는, 현수 훅 등이 삽입 관통되는 현수홀(18)이, 한 쌍의 플랩 형상부(111A, 111B)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편(112)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112)과 현수홀(18)은, 폭방향에서 충전부(14) 및 지퍼(16)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우치 용기(110)에서는, 주머니 본체에 확폭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파우치 용기(110)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111A, 111B)의 폐지부(33)측의 가장자리 부분인 경사 안내부(102)가, 개구부(15)의 상방에서, 지퍼(16)보다 폭방향 외방을 향해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랩 형상부(111A, 111B)를, 이와 같이 개구부(15)에서의 지퍼(16)보다 큰 개구폭을 가지고 형성함으로써, 파우치 용기(100) 등에 비해 플랩 형상부(111A, 111B)끼리의 간격의 확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5)로부터 충전부(14)에 액상물을 주입하기 위한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정신적 및 노력적 부담의 가일층의 경감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수홀(18)이 주머니 본체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배출부(17)도, 주머니 본체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폐지부(33)(경사 안내부(102))는, 지퍼(16)가 마련된 개구부(15)로부터 외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확장되는 경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만곡하여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형상 등도 채용 가능하다.
<제 11 실시예>
도 30 ~ 도 37을 참조하여, 제 11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20)는, 튜브(103)를 보지 가능한 튜브 보지부(121)(이하, 단순히 '보지부(121)'라고 함)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다. 보지부(121)는, 가장자리 밀봉부(13) 중, 현수홀(18)이 형성된 확폭 밀봉부(13z)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폭 밀봉부(13z)에 2 개의 보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보지부(121)는 1 개여도 되지만, 튜브(103)의 보지성 향상의 관점에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폭 밀봉부(13z)는, 가장자리 밀봉부(13)의 폭을 국부적으로 크게 한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상부의 횡방향 타단측에 1 개소 설치되어 있다. 확폭 밀봉부(13z)는, 지퍼(16)보다 하방으로부터 지퍼(16)를 넘어 용기 상단까지 형성되어 있고, 지퍼(16)의 상방에서는 용기 상단에 근접할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퍼(16)보다 상방(플랩 형상부(28A, 28B))에서는 4 매의 시트가 서로 접합되어 확폭 밀봉부(13z)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의 형상은 파우치 용기(100)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플랩 형상부(28A, 28B)의 폭방향 타단부는 폐지부(33)로 되어 있고, 경사 안내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보지부(121)는, 현수홀(18)이 형성된 확폭 밀봉부(13z)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2 개 형성되어 있다. 각 보지부(121)는, 현수홀(18)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현수홀(18)을 행거 등에 걸어 용기를 현수한 상태라도 보지부(121)에 튜브(103)를 장착하기 쉽다. 또한, 각 보지부(121)는 조작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서로의 간격을 튜브(103)의 직경(이하, '직경(d)'이라고 함)의 2 배 ~ 5 배 정도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지부(121)는,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으로부터 적어도 직경(d) 이상의 길이로 벽면 시트를 절개하거나 또는 잘라내 형성된다. 보지부(121)의 횡방향 길이는, 튜브(103)의 보지성 또는 충전부(14)의 용량 확보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직경(d)의 1.5 배 ~ 5 배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d)의 1.8 배 ~ 3 배 정도이다. 이에 의해, 보지부(121)에 대하여, 튜브(103)를 만곡시켜 삽입하는 것과 같은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해져, 튜브(103)의 중간 부분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이란, 벽면 시트의 외형선(윤곽선)을 따르는 단부이다. 또한, 확폭 밀봉부(13z)의 내단은, 충전부(14)의 외형선을 따르는 단부이다. 또한, '절개'란, 벽면 시트를 절제하지 않은 커트부를 의미하고, '노치'란, 벽면 시트를 절제하는 커트부를 의미한다.
보지부(121)는, 직경(d)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도입로(122)와, 직경(d)과 동등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수용홀(123)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입로(122)는,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당해 소정 길이는, 예를 들면 직경(d)의 0.5 배 ~ 3 배 정도이다. 수용홀(123)은 튜브(103)가 보지되는 부분으로서, 도입로(122)와 연통하여 형성된다. 즉, 튜브(103)는, 벽면 시트의 외단으로부터 도입로(122)를 통하여 수용홀(123)에 삽입되고, 수용홀(123)의 가장자리부에 걸린 상태로 보지된다. 또한, 벽면 시트 및 튜브(103)는 모두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입로(122)의 폭을 직경(d)보다 작게 해도 튜브(103)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입로(12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의 노치(125A), 및 직선 모양의 절개선(125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노치(125A)는,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 근방에서, 외측을 향해 도입로(122)의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튜브(103)의 원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입로(122)의 입구가 둥글게 되도록 노치(125A)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절개선(125B)은, 노치(125A)의 선단으로부터 수용홀(123)까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수용홀(123)은, 절개선(125B)에 이어진 원호 형상의 절개선(125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선(125c)이 대략 C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벽면 시트가 절제되지 않고 남아 있다. 즉, 보지부(121)에는, 절개선(125c)과 당해 절개단끼리를 연결한 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인 설편(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편(124)이 밀어내져 개구되는 수용홀(123)의 형상은, 튜브(103)의 형상에 맞추어 대략 원형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홀(123)의 치수(직경)는, 직경(d)과 대략 동등 또는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튜브(103)를 수용홀(123)에 삽입한 후라도, 튜브(103)의 보지 위치를 조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설편(124)은 튜브(103)가 수용홀(123)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용홀(123)을 덮고 있다. 즉, 당해 상태에서는, 수용홀(123)이 설편(124)에 의해 닫혀 있다. 설편(124)은, 튜브(103)를 수용홀(123)에 삽입하고자 할 때, 튜브(103)에 의해 표리 방향의 일방으로 밀어내지고, 이에 의해 수용홀(123)이 개구된다(도 38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설편(124)이 수용홀(123) 상연부에 이어져 있고, 튜브(103)가 수용홀(123)에 삽입되었을 때 당해 튜브(103)를 상방으로부터 누르게 되어, 튜브(103)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각 보지부(121)는, 횡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입로(122)의 중심과 수용홀(123)의 중심이 횡방향에 대하여 대략 일치한다. 이에 의해, 튜브(103)를 횡방향으로 움직여 보지 조작, 분리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보지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103)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도입로(122)와, 튜브(103)의 직경과 동등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수용홀(1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튜브(103)가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는다.
도 33에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파우치 용기(12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3은, 파우치 용기(120)의 제조 공정 중, 각 시트의 장척체를 적층하여, 각 밀봉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서는, 도 5에 도시한 예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층 공정을 거친 각 장척체에는, 히트 밀봉 공정에서 각 밀봉부가 형성된다. 히트 밀봉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배출부(17)를 장착하는 부분을 남기고, 장척체(11z, 12z)의 하단 가장자리, TD 방향을 따라 소정 부위를 히트 밀봉함으로써 확폭 밀봉부(13z)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밀봉부(13)를 형성한다. 여기서, 장척체의 하단 가장자리는, 파우치 용기(10)의 하단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이며, 소정 부위는, 파우치 용기(10)의 측단 가장자리가 되는 부분이다. 히트 밀봉 공정에서는, 또한 장척체(16z, 21Az, 21Bz)를 장척체(11z, 12z)에 각각 접합한다. 이에 의해, 개구부(15)가 닫히고, 또한 가장자리 밀봉부(23A, 23B)가 형성된다. 현수홀(18) 및 보지부(121)를 형성하는 확폭 밀봉부(13z)는, 장척체(11z, 12z, 16z, 21Az, 21Bz)에 걸쳐 형성된다.
이어서, 다이 커트 롤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절단 예정선(X)을 따라 상기 장척체를 커트하여, 개개의 용기 사이즈로 분할한다. 또한, 상기 히트 밀봉 및 당해 커트는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또한, 이 때 또는 별도 공정에서, 현수홀(18), 절개선(25A, 25B) 및 노치(125A), 절개선(125B, 125c)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내부 공간(22A, 22B)에 손가락이 삽입 가능한 주머니 형상부(20A, 20B) 및 튜브(103)를 삽입 가능한 보지부(121)가 각각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배출부(17)를 장착하여 파우치 용기(120)가 얻어진다.
이어서, 도 34 ~ 도 37에 도시한 파우치 용기(120)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참조하여, 파우치 용기(12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20)는,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부(20A, 20B)를 이용하여 개구부(15)가 벌려지고, 충전부(14)에 영양제가 충전된 후, 배출부(17)에 가요성이 있는 장척 형상의 튜브(103)를 장착하여 사용된다. 파우치 용기(120)는, 배출부(17)에 튜브(103)를 접속한 상태로 병실 등의 목적으로 하는 장소까지 옮겨진다. 이 때문에, 튜브(103)가 이동 중에 다른 물건에 감기거나, 걸리거나 혹은 탈락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지부(121)를 이용하여 튜브(103)를 보지한다.
도 34, 35는 충전부(14)에 영양제를 주입하기 위하여 개구부(15)를 벌린 상태를 도시한다.
파우치 용기(10)의 개구부(15)로부터 충전부(14)에 영양제를 주입할 시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머니 형상부(20A)의 내부 공간(22A)에 엄지를 삽입하고, 주머니 형상부(20B)의 내부 공간(22B)에 검지를 삽입하여 용기를 보지한다. 이 때, 엄지와 검지는, 횡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삽입구(24A, 24B)를 통하여 각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그리고, 주머니 형상부(20A, 20B) 내에 삽입된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지퍼(16)를 열어 개구부(15)를 벌린다. 이어서, 개구부(15)를 크게 벌린 상태에서 영양제의 주입을 개시한다. 엄지와 검지의 간격을 벌려 두는 것만으로 개구 상태가 유지되므로, 예를 들면 주입 작업 중에 개구부(15)가 닫혀 영양제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형상부(20A, 20B)의 횡방향 타단부끼리를 극간 없이 접합하고, 특히 용기 상단에 근접할수록 점차 폭이 작아지도록(밀봉부 형상이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접합함으로써, 영양제를 주입할 시 횡방향 타단부로부터 영양제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당해 타단부가 마치 깔때기와 같이 기능하여, 당해 밀봉부를 따르게 하여 보다 간편하게 영양제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 용기(120)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손으로 용기를 보지하면서 영양제의 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당해 주입 작업의 작업성을 큰 폭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영양제의 주입 작업이 완료된 파우치 용기(120)에는, 배출부(17)에 가요성의 장척 형상 튜브(103)를 장착한다. 예를 들면, 튜브(103)의 일단에는 조인트(104)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조인트(104)가 배출부(17)에 감합된다.
도 36, 37은 보지부(121)에 튜브(103)를 건 보지 상태를 도시한다.
보지부(121)를 이용하여 튜브(103)를 보지할 시에는, 예를 들면 튜브(103)를 보지부(121)가 형성된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 즉 도입로(122)의 입구에 가져다 댄다. 이에 의해, 튜브(103)가 도입로(122)를 통하여 수용홀(123)에 삽입되고, 수용홀(123)의 가장자리에 걸린다. 또한, 벽면 시트 및 튜브(103)는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입로(122)가 확장되고, 또한 튜브(103)가 변형되어 튜브(103)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튜브(103)의 보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삽입구(24A, 24B)가, 횡방향 타단측에 보지부(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입 작업 종료 직후에 오른손으로 용기를 보지한 채로, 왼손으로 튜브(103)를 보지부에 거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용기(120)는 행거 등에 현수된 상태여도 된다. 현수된 상태에서도, 지지점인 현수홀(18)과 보지부(121)의 거리가 가까우므로, 보지 조작이 용이하며, 한 손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브(103)가 삽입되기 전은, 수용홀(123)이 설편(124)에 의해 덮여 있지만, 튜브(103)를 삽입함으로써 설편(124)이 표리 방향의 일방으로 밀어내져 수용홀(123)이 개구 된다. 그리고, 밀어내진 설편(124)은, 튜브(103)를 상방으로부터 누른다. 이에 의해, 튜브(103)의 보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2 개의 보지부(121)에 튜브(103)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튜브(103)를 보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103)를 보지부(121)로부터 분리할 시에는, 튜브(103)를 횡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 튜브(103)가 수용홀(123)로부터 도입로(122)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지부(121)로부터 분리된다. 당해 분리 조작도 한 손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 용기(120)에 의하면, 용기 운반 시 또는 영양제의 투여 작업 시 등에서, 보지부(121)를 이용하여 튜브(103)를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튜브(103)가 다른 물건에 감기거나, 걸리거나 혹은 탈락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부(121)는 확폭 밀봉부(13z)의 외단으로부터 벽면 시트를 절개하거나 또는 잘라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103)의 보지 조작, 분리 조작이 용이하여, 튜브(103)의 원활한 취급이 가능해진다.
<제 12 실시예>
도 38을 참조하여, 제 12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30)는, 현수홀(18)이 형성되는 확폭 밀봉부(131)와는 상이한 확폭 밀봉부(132)에 보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120)와 상이하다. 파우치 용기(130)에서는, 확폭 밀봉부(13z)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확폭 밀봉부(131) 외에, 보지부(121)를 형성하기 위한 확폭 밀봉부(1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하단과 측단의 모서리 중 배출부(17)가 형성되는 모서리와 반대측의 모서리에 확폭 밀봉부(132)(복수의 보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3 실시예>
도 39 ~ 도 41을 참조하여, 제 13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140)에서는, 보지부(142)의 형상이 파우치 용기(120)의 보지부(121)의 형상과 크게 상이하다. 또한, 파우치 용기(140)는 현수홀(18)과 동일한 확폭 밀봉부(141)에 보지부(142)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파우치 용기(120)와 공통된다. 보지부(142)는, 확폭 밀봉부(141)에서, 직경(d)과 대략 동등 또는 약간 큰 폭으로 벽면 시트를 잘라내 형성되어 있다. 보지부(142)를 형성하는 노치는, 확폭 밀봉부(141)의 외단으로부터 배출부(17)측을 향해, 즉 기울기 하방을 향해 곧바로 형성되어 있다.
도 40, 41에 파우치 용기(14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0에 도시한 보지부(142x)는, 확폭 밀봉부(141)에서, 직경(d)과 대략 동등 또는 약간 큰 폭으로 벽면 시트를 잘라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보지부(142)와 공통되는데, 보지부(142x)가 중간부에서 접혀 있는 점에서 보지부(142)와 상이하다. 보지부(142x)를 형성하는 노치는, 중간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완만하게 꺾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지부(142x)는 그 시점(외단)과 종점(내단)이 횡방향을 따라 대략 일치되어 있는 점에서도 보지부(142)와 상이하다.
도 41에 도시한 보지부(142y)는, 꺾인 부분보다 외측에서 폭이 작아져 있는 점에서 보지부(142x)와 상이하다. 폭이 작아진 부분은, 직경(d)보다 작은 폭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해, 보지부(142x)에 비해 튜브(103)의 보지성이 향상된다.
<제 14 실시예>
도 42를 참조하여, 제 14 실시예인 파우치 용기(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 용기(150)는, 지퍼(16)보다 하방에 주머니 형상부(20A)가 형성되어 있는 점(주머니 형상부(20B)에 대해서도 동일)에서 파우치 용기(120)와 상이하다. 주머니 형상부(20A)는, 예를 들면 표면 시트(11)의 내면에 시트(21A)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개선(25A)은 표면 시트(11)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벽면 시트의 지퍼(16)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충전부(14)의 밀봉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자리 밀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가장자리 밀봉부(13)와 지퍼(16)의 사이에는 개봉용의 노치(1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1, 12, 14의 실시예에서는, 설편(124)이 수용홀(123) 상연부에 이어져 형성되고, 수용홀(123)에 삽입된 튜브(103)를 상방으로부터 눌렀는데,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C 자 형상의 절개선(125c)의 형성 패턴을 변경하여, 수용홀(123)의 하부 이어진 설편(124)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해 튜브(103)는 하방으로 처지기 때문에, 수용홀(123)에 삽입된 튜브(103)와 용기(설편(124))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125c)을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즉 절개선(125c)의 양단을 절개선(125B)에 이어 벽면 시트를 절제하여, 설편(124)을 제거해도 된다. 이 경우, 수용홀(123)이 상시 개구된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를 벽면 시트의 내면에 마련하여 주머니 형상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를 벽면 시트의 외면에 마련하여 주머니 형상부를 형성해도 된다.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를 벽면 시트의 외면에 마련하여, 지퍼(16)에 상당하는 위치에 주머니 형상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플랩 형상부의 폭방향 일방의 단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방부(34)로 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파우치 용기의 사용 전은 일체화되어 있어, 사용할 시, 개방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개방부에 상당하는 부분에서는, 절취선의 절단 용이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고착대를 작게 하는 것 등에 의해, 개방부(34)의 형성 부분의 강도를 폐지부(33)의 고착 강도보다 작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주머니 형상부에 삽입되는 손가락에 의한 확개 조작력을 당해 부분에 미치게 함으로써 개방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분리된다.
현수 훅 등이 삽입 관통되는 현수홀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삼각형 등으로 함으로써, 파우치 용기를 스탠드 등에 현가했을 시의, 파우치 용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파우치 용기의 형상도 대략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 형상, 타원 형상, 오벌(달걀) 형상, 삼각형(적합하게는 역삼각형), 다각형 등의 각종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10 : 파우치 용기
11 : 표면 시트
12 : 이면 시트
13, 23A, 23B : 가장자리 밀봉부
14 : 충전부
15 : 개구부
16 : 지퍼
17 : 배출부
18 : 현수홀
19 커트부
20A, 20B : 주머니 형상부
21A, 21B : 주머니 형상부 형성 시트
22A, 22B : 내부 공간
24A, 24B : 삽입구
25A, 25B : 절개선
26A, 26B : 설편
27 : 접기선
28A, 28B : 플랩 형상부

Claims (11)

  1. 적어도 표면부 및 이면부를 구성하는 벽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로 둘러싸인 충전부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상기 충전부에 이어지는 개구부가 용기 종방향 일단측의 상기 표면부와 상기 이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 및 상기 이면부의 상기 용기 종방향 일단측에 각각 형성된 주머니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용기 횡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간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시트에는, 상기 개구부를 닫는 지퍼가 마련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는, 상기 지퍼보다 상기 용기 종방향 일단측으로 연장된 플랩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상기 용기 횡방향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각 플랩 형상부의 사이에는, 각각의 상기 용기 횡방향 타단부끼리를 접합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지퍼를 향해 점차 상기 각 플랩 형상부의 확개량이 작아지도록, 상기 용기 종방향 및 상기 용기 횡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에는, 상기 각 삽입구를 폐색하는 설편이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설편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접어 넣어짐으로써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종방향 타단측에 형성된, 가요성의 장척 형상 튜브가 장착되는 충전물의 배출부와,
    상기 표면부 및 상기 이면부의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가장자리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에는, 상기 튜브를 보지 가능한 튜브 보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의 외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튜브의 직경 이상의 길이로 상기 벽면 시트를 절개하거나 또는 잘라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도입로와,
    상기 도입로와 연통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과 동등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보지부는, 상기 수용홀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튜브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튜브에 접하는 설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는, 국부적으로 폭을 크게 하여 형성된 확폭 밀봉부를 가지고,
    상기 확폭 밀봉부의 하나에 현수홀과 상기 튜브 보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구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상기 용기 횡방향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각 주머니 형상부의 상기 삽입구보다 상기 용기 횡방향 타단측의 상부에는, 상기 주머니 형상부의 내면끼리를 접합하는 손가락 걸이용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랩 형상부에는, 상기 용기 종방향을 따른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형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
KR1020157001979A 2012-06-26 2013-06-07 파우치 용기 KR20150032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3372 2012-06-26
JP2012143372 2012-06-26
JP2012201214A JP5943787B2 (ja) 2012-09-13 2012-09-13 医療用バッグ
JPJP-P-2012-201214 2012-09-13
JP2013029520A JP6131066B2 (ja) 2013-02-18 2013-02-18 パウチ容器
JPJP-P-2013-029520 2013-02-18
JP2013102972A JP6242076B2 (ja) 2012-06-26 2013-05-15 パウチ容器
JPJP-P-2013-102972 2013-05-15
PCT/JP2013/065793 WO2014002730A1 (ja) 2012-06-26 2013-06-07 パウチ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726A true KR20150032726A (ko) 2015-03-27

Family

ID=5281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979A KR20150032726A (ko) 2012-06-26 2013-06-07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04759B2 (ko)
EP (1) EP2873627A4 (ko)
KR (1) KR20150032726A (ko)
CN (1) CN104768854B (ko)
WO (1) WO20140027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67A (ko) 2016-09-22 2018-03-30 제이앤에이글로벌 유한회사 포장 용기
KR102277923B1 (ko) 2021-02-04 2021-07-16 오원색(주) 이지컷 포장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6868B2 (en) * 2013-08-26 2021-08-24 Lighthouse for Nurses Medical Devices LLC Pill pouch
US9180071B2 (en) * 2013-08-26 2015-11-10 Lighthouse for Nurses Medical Devices LLC Pill preparation device
NO20150142A1 (en) * 2015-01-30 2016-08-01 Pronova Biopharma Norge As Enteral feeding device
JP6859018B2 (ja) * 2015-02-24 2021-04-14 株式会社Mizkan Holdings 包装物品
US10092141B2 (en) * 2015-11-06 2018-10-09 My Family's Seasonings, LLC Disposable fluid separator
KR102468593B1 (ko) * 2016-08-10 2022-11-18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JP7003038B2 (ja) * 2016-08-10 2022-01-2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CN111114989B (zh) * 2016-11-07 2022-04-05 东洋制罐株式会社 带有流出口的袋
IT201700149752A1 (it) * 2018-01-09 2019-07-09 V Shapes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EP3814242A1 (en) * 2018-06-29 2021-05-05 Illinois Tool Works Inc. Child deterrent zipper closure
JP7155958B2 (ja) * 2018-11-30 2022-10-19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バッグ
JP7415253B2 (ja) * 2018-12-28 2024-01-17 ニプロ株式会社 経腸栄養バッグ及び経腸栄養バッグの製造方法
GB2582380A (en) * 2019-03-22 2020-09-23 Loopeeze Ltd Secure disposal bags
WO2021125026A1 (ja) * 2019-12-19 2021-06-2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パウチ容器用包材およびパウチ容器包装体
US11759035B2 (en) 2021-01-12 2023-09-19 Instant Brands Holdings Inc. Silicone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s
WO2022168653A1 (ja) * 2021-02-05 2022-08-11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パウチ
USD1022604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6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USD1022605S1 (en) 2022-01-11 2024-04-16 Instant Brands Holdings Inc. Combined food and beverage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7549A (en) * 1964-07-08 1967-03-0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enema bag
US3473532A (en) * 1966-06-15 1969-10-21 Melvin I Eisenberg Fluid container bag with self-closing one-way valve
US3491973A (en) * 1967-09-08 1970-01-27 Crown Zellerbach Corp Waste container and holder therefor
US3724461A (en) * 1971-10-20 1973-04-03 M Eisenberg Container with self-closing one-way valve
US3865165A (en) * 1973-10-25 1975-02-11 Daniel S Glass Universal faced body fluid drainage bag with universal drainage means
US4204526A (en) * 1978-08-31 1980-05-27 Samuels Peter B Arterial graft and package
US4305161A (en) * 1980-05-02 1981-12-15 Diaz Rudy J Urinating aid for women
US4838874A (en) * 1987-01-05 1989-06-13 Eisenberg Melvin I Fluid container having a one way valve
DK158254C (da) * 1987-06-01 1990-09-17 Schur Plastic As Pose i blokform og med baeregreb,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saadan pose
JPH09313518A (ja) 1996-03-26 1997-12-09 Shinji Ito 排出物採取具
US6324704B1 (en) * 2000-05-24 2001-12-04 Francesco C. Imo Flexible container for retaining fluid waste
US6922852B1 (en) 2003-09-16 2005-08-02 Alvin S. Blum Disposable female urinal
WO2006067880A1 (ja) 2004-12-20 2006-06-29 Toyo Seikan Kaisha, Ltd. 注出口付き袋状容器
WO2007010857A1 (ja) * 2005-07-20 2007-01-25 Yoshihiko Ichikawa 指支持傘収納袋
US9011003B2 (en) * 2006-02-08 2015-04-21 S.C. Johnson Home Storage, Inc. Reclosable pouch and zipper for a reclosable pouch
JP2007253977A (ja) 2006-03-22 2007-10-04 Idemitsu Unitech Co Ltd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70359B2 (en) 2007-05-15 2011-12-06 Thunderbird Global Enterprises, Llc Plastic bag with pour spout and reinforced bottom end
JP2009005720A (ja) * 2007-06-26 2009-01-15 Yoshihiko Ichikawa 濡れた傘収納袋
JP5177494B2 (ja) 2007-11-20 2013-04-03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容器セット
EP2336042A4 (en) 2008-09-03 2014-03-1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EJECTION ELEMENTS AND PACKAGING BAGS THEREFOR
JP5661331B2 (ja) 2009-05-18 2015-01-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CN102048488B (zh) 2009-11-06 2015-05-20 杨国煌 携带型排泄袋
JP5516139B2 (ja) * 2010-06-29 2014-06-1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WO2012066865A1 (ja) 2010-11-17 2012-05-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67A (ko) 2016-09-22 2018-03-30 제이앤에이글로벌 유한회사 포장 용기
KR102277923B1 (ko) 2021-02-04 2021-07-16 오원색(주) 이지컷 포장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3555A1 (en) 2015-07-02
WO2014002730A1 (ja) 2014-01-03
CN104768854A (zh) 2015-07-08
US9604759B2 (en) 2017-03-28
EP2873627A4 (en) 2016-01-27
EP2873627A1 (en) 2015-05-20
CN104768854B (zh)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2726A (ko) 파우치 용기
JP5984027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6427748B2 (ja) パウチ容器
JP2019006405A (ja) パウチ容器
JP6159063B2 (ja) パウチ容器
JP2014156277A (ja) パウチ容器
JP7092673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6414717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7273467B2 (ja) パウチ容器
JP2016040177A (ja) パウチ容器
JP2019064736A (ja) パウチ容器
JP2019043620A (ja) パウチ容器
JP2019018863A (ja) パウチ容器及びパウチ容器の製造方法
JP2008132302A (ja) 医療用容器及びポート
JP2010269132A (ja) 医療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