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740A - 전자기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740A
KR20150029740A KR20157003157A KR20157003157A KR20150029740A KR 20150029740 A KR20150029740 A KR 20150029740A KR 20157003157 A KR20157003157 A KR 20157003157A KR 20157003157 A KR20157003157 A KR 20157003157A KR 20150029740 A KR20150029740 A KR 2015002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ousing
spring
pass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 사토
아키히로 야마다
마사키 나나하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16K31/0693Pressure equilibration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전자기 밸브는, 하우징, 플런저, 스프링,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플런저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에 부착되어서 밸브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와, 고정 코어의 단부 외주와 가이드 부재의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서 고정 코어와 가이드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통로(유입구와 유출구에 연통하고 있음)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과, 슬리브 내에서 고정 코어의 단부와 가이드 부재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부와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작동 액체를 흐르게 하면, 경로를 통하여 연통 구멍으로 흐르고, 통로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기 밸브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전자기 밸브,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작동 액체)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전자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 밸브는, 일반적으로,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가압력)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전자기 밸브에서는, 내부에 에어(기포)가 존재하면, 이에 기인하여 자려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당해 전자기 밸브에서는, 사용 전(즉, 당해 전자기 밸브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내부에 체류(잔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고, 그 중 하나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에서는, 플런저의 스프링 측단부에, 플런저와 하우징 사이에 발생하는 축 방향의 간극(스프링의 수용부의 축 방향 단부에 발생하는 간극)을 매립하기 위한 와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에서는, 플런저에,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런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와셔도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당해 부위에 체류하는 에어가 연통 구멍을 향해 압출되고, 연통 구멍을 통하여 통로를 향해 배출된다. 또한, 통로로 배출된 에어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는 작동 액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8542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에서는, 상기한 와셔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위에 체류하는 에어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지만, 당해 부위 이외의 부위(예를 들어, 하우징 자체에 형성되는 간극부나 스프링의 수용부 전체)에 체류하는 에어는 외부로 배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예를 들어, 하우징 자체에 형성되는 간극부나 스프링의 수용부에 체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1)에 관한 전자기 밸브는,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플런저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이 가이드 부재에 부착되어서 상기 밸브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와, 이 고정 코어의 단부 외주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슬리브 내에서 상기 고정 코어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부와 상기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청구항 1의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밸브부가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구멍을 통하여 작동 액체를 플런저를 향해 유동시키면, 작동 액체의 일부가 플런저와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간극부와 경로의 접속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와 경로의 접속부에 흐른 작동 액체는, 경로와 연통 구멍을 통하여 통로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간극부와 경로의 접속부로부터 경로와 연통 구멍을 통하여 통로를 향해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간극부에 체류하는 에어(기포)가 통로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하우징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시트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유입구와 밸브 구멍이 직접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간극부에 체류하는 기포를 포함함)를 외부(하우징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어 배출 작업 시만 작동 액체를 유출구로부터 유입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플런저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이 가이드 부재에 부착되어서 상기 밸브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와, 이 고정 코어의 단부 외주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가이드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슬리브 내에서 상기 고정 코어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의 단부 사이에 간극부(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가 형성되는 전자기 밸브에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전자기 밸브에서는, 가이드 부재, 고정 코어, 플런저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하우징과 플런저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관한 전자기 밸브는,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수용 구멍과 상기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경로가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청구항 2의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연통 구멍이 스프링 수용 구멍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스프링 수용 구멍에 체류하는 에어(기포)를 그 부력에 의해 경로를 통하여 연통 구멍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부가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구멍을 통하여 작동 액체를 플런저를 향해 유동시키면, 작동 액체의 일부가 플런저와 가이드 부재 사이의 간극(연통 구멍이 복수일 경우에는, 그 일부의 연통 구멍)을 통하여 플런저의 타단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플런저의 타단부에 흐른 작동 액체는, 연통 구멍(연통 구멍이 복수일 경우에는, 그 나머지 연통 구멍)을 통하여 통로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으로부터 경로를 통하여 연통 구멍으로 유도된 에어(기포)가, 연통 구멍을 통하여 통로를 향해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통로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하우징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시트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어 있어, 유입구와 밸브 구멍이 직접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스프링 수용 구멍에 체류하는 기포를 포함함)를 외부(하우징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어 배출 작업 시만 작동 액체를 유출구로부터 유입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런저에,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에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관한 전자기 밸브는,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의 일부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의 일단부를 연통시키는 제1 경로가 설치됨과 함꼐,
상기 연통 구멍의 타부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의 타단부를 연통시키는 제2 경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청구항 3의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밸브부가 밸브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구멍을 통하여 작동 액체를 플런저를 향해 유동시키면, 작동 액체의 일부가, 복수의 연통 구멍의 일부와 제1 경로를 통해서, 스프링 수용 구멍의 일단부로 흐르고, 스프링 수용 구멍의 타단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스프링 수용 구멍의 타단부로 흐른 작동 액체는, 제2 경로와 복수의 연통 구멍의 타부를 통하여 통로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스프링 수용 구멍의 일단부로부터 스프링 수용 구멍의 타단부를 향해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스프링 수용 구멍에 체류하는 에어(기포)가 통로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하우징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시트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어 있어, 유입구와 밸브 구멍이 직접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스프링 수용 구멍에 체류하는 기포를 포함함)를 외부(하우징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어 배출 작업 시만 작동 액체를 유출구로부터 유입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 수용 구멍에 에어가 체류하기 쉽고 배출하기 어려운 전자기 밸브에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스프링 수용 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코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본 발명(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이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 수용 구멍은,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본 발명(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이 실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6)에 관한 전자기 밸브는,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 코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가,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연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인력은,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흡인력에 의해 흡인되는 축직 방향과 동일한 측에만 상기 유출구 또는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청구항 6의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에의 통전에 의해 얻어지는 흡인력이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시에는, 플런저가 그 축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스프링에 저항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플런저가 그 축직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플런저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직경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한쪽(유출구 또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측)에서 작아지고 다른 쪽에서 커지게 되어, 한쪽에서의 유로 저항이 다른 쪽의 유로 저항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한 경우에는, 한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복수의 연통 구멍의 일부)에, 다른 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복수의 연통 구멍의 잔량부)으로부터 작동 액체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당해 전자기 밸브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솔레노이드에 통전(필요에 따라서 통전·비통전을 반복함)하고,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하면, 작동 액체의 일부가 플런저의 일단부로부터 다른 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복수의 연통 구멍의 잔량부)을 통하여 플런저의 타단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플런저의 타단부에 흐른 작동 액체는, 플런저의 타단부로부터 한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복수의 연통 구멍의 일부)을 통하여 플런저의 일단부를 향해 흘러서, 통로를 통하여 유출구로 흐른다. 이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르는 작동 액체에 의해,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가 각 부로부터 유출구로 유도되고, 유출구로부터 당해 전자기 밸브 밖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작동 액체를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실시 시에,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고정 코어는 비축대칭 형상(예를 들어,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절결을 형성하고, 동일 부위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을 다른 부위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에 비하여 저감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청구항 7에 관한 발명)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1 실시 형태(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플런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플런저의 제1 변형 실시 형태(연통 구멍과 경로를 8개로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플런저의 제2 변형 실시 형태(연통 구멍을 8개로 하고 경로를 2개로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자기 밸브의 플런저에 있어서의 가동 코어의 외주에 환상의 플랜지부를 설치한 실시 형태의 주요부 종단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플런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플런저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플런저의 변형 실시 형태(상방의 연통 구멍에만 대응하여 경로를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고정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고정 코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한 전자기 밸브의 변형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떼어낸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5 실시 형태[플런저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도시 우측 방향 하측)에 절결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전자기 밸브의 변형 실시 형태[고정 코어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도시 좌측 방향 하측)에 절결을 설치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1)는,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이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V1)에서는, 하우징(10)에 플런저(20), 스프링(30), 솔레노이드(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플런저(20), 스프링(3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플런저(20)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11)와, 이 가이드 부재(11)의 도 1의 좌측 단부 내주에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액밀적으로 부착한 통 형상의 시트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가이드 부재(11)의 도 1의 우측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13)와, 이 고정 코어(13)와 가이드 부재(11)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1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구(11a)가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12)는 자성체(비자성체라도 실시 가능)로 이루어지고, 축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액의 유입구(12a)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 구멍(12b)과 밸브 시트(12c)가 유입구(12a)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12a)와 유출구(11a)는 하우징(10) 내에 설치한 통로(P1)를 통하여 연통 가능하고, 이 통로(P1) 중에는 일단부(도 1 우측 단부)에 밸브 시트(12c)를 갖는 밸브 구멍(1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밸브(V1)가 개방되었을 때[플런저(20)의 밸브체(21)에 있어서의 밸브부(21a)가 밸브 시트(12c)로부터 떨어졌을 때], 하우징(10) 밖에서 유입구(12a)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통로(P1)에 설치한 밸브 구멍(12b)과 밸브 시트(12c)를 통하여 유출구(11a)로 흘러서 하우징(10) 밖으로 흐른다.
고정 코어(1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1 좌측 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스프링(30)과 스토퍼(31)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부재(11)의 도 1 우측 단부 외주와 고정 코어(13)의 도 1 좌측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구성에 의해, 슬리브(14) 내에는 가이드 부재(11)의 단부와 고정 코어(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1)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21)와, 원기둥 형상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코어(2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1)는 시트 부재(12)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12c)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21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체(21)는 가동 코어(22)의 도 1 좌측 단부 축 중심에 마련한 설치 구멍(22a)에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고, 가동 코어(22)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코어(22)는 가이드 부재(1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 1의 좌우 방향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코어(2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육 슬리브(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와 박육 슬리브(23)[플런저(20)] 사이에는, 원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어, 플런저(20)의 가이드 부재(11)에 대한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유동성(유통성)이 확보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22)에, 도 1에 도시한 좌측 단부(좌측 방향의 유체실)와 도시한 우측 단부(우측 방향의 유체실)를 연통시키는 6개(도 2, 도 4 참조)의 연통 구멍(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22b)은 일단부(도 1 좌측 단부)에서 통로(P1)에 연통하고, 타단부(도 1 우측 단부)에서 스프링(30)의 수용부에 연통하고 있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22)의 도 1 우측 단부에는, 각 연통 구멍(22b)의 단부와 하우징(10) 내의 환상의 간극부(S1)를 연통시키는 6개의 절결[경로(22c)]이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스프링(30)은 플런저(20)를 밸브 시트(12c)에 대하여 부착 방향(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며, 고정 코어(13)에 설치한 수용 구멍(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코어(13)와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31)는 막대 형상체로, 스프링(30)의 축 중심부에 수용되어 있고, 플런저(20)의 하우징(10)에 대한 축 방향 이동량을 소정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솔레노이드(40)는 코일(41)을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 부재(11)의 도 1 우측 단부 외주와, 슬리브(14)의 외주와, 고정 코어(1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41)은 통전 시에, 하우징(10)의 가이드 부재(11) 및 고정 코어(13)와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 등에 의해 자로[플런저(20)에 대하여 스프링(30)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코일(41)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V1)에서는, 가이드 부재(11), 고정 코어(13),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14)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리브(14) 내에서 가이드 부재(11)의 단부와 고정 코어(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1)(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과 플런저(20)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제1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1)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밸브체(21)의 밸브부(21a)가 밸브 시트(12c)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입구(12a)와 밸브 구멍(12b)을 통하여 브레이크액을 플런저(20)를 향해 유동시키면,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상세하게는, 박육 슬리브(23)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환상의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에 흐른 브레이크액은, 절결[경로(22c)]과 연통 구멍(22b)을 통하여 통로(P1)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에 흐른 브레이크액의 일부는, 고정 코어(13)의 수용 구멍(13a) 등을 유동한 후에 절결[경로(22c)]과 연통 구멍(22b)을 통하여 통로(P1)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로부터 절결[경로(22c)]과 연통 구멍(22b)을 통하여 통로(P1)(도 3의 좌측 방향)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도 3의 백색 화살표 참조)에 의해, 간극부(S1)에 체류하는 기포(도 3의 흰색 동그라미 참조)가 통로(P1)로 유도된다. 또한, 이때에는, 통로(P1)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스프링(30)의 수용부 상방[예를 들어, 수용 구멍(13a)의 상방]에 체류하는 기포도 통로(P1)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P1)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P1)로부터 하우징(10) 밖으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하우징(10)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액을 유입구(12a)로부터 유출구(11a)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의 에어[간극부(S1)나 스프링(30)의 수용부 상방에 체류하는 기포를 포함함]를 외부[하우징(10)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작동은,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에서 브레이크액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예를 들어 도 1의 하방에 있는 연통 구멍(22b)을 통하여 스프링(30)의 수용부로 흐르고, 이 수용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른 후에, 도 1의 상방에 있는 연통 구멍(22b)을 통하여 통로(P1)로 흐를 수도 있다. 어쨌든, 당해 전자기 밸브(V1)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각 연통 구멍(22b),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1)에 연통하는 절결[경로(22c)], 스프링(30)의 수용부 등을 통하여 통로(P1)로 흐른다. 이로 인해, 각 연통 구멍(22b),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 절결[경로(22c)], 환상의 간극부(S1), 스프링(30)의 수용부 등에 체류하는 에어는, 브레이크액과 함께 통로(P1)로 유도되어서, 통로(P1)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에 6개의 연통 구멍(22b)과 절결[경로(22c)]을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연통 구멍(22b)과 절결[경로(22c)]의 개수는 적절히 증감 가능하며, 도 5에 도시한 제1 변형 실시 형태와 같이,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에 8개의 연통 구멍(22b)과 절결[경로(22c)]을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22b)에 절결[경로(22c)]을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도 6에 도시한 제2 변형 실시 형태와 같이, 8개의 연통 구멍(22b)의 상하 2개에만 절결[경로(22c)]을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낸 제2 변형 실시 형태에서는, 브레이크액의 충전 시에,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을 통해, 환상의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를 향해 흐름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타부가, 절결(22c)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연통 구멍(22b)과 플런저(20)와 고정 코어(13) 사이의 간극[스프링(30)의 수용부]을 통해, 환상의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를 향해 흘러서 합류한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런저(20)에 있어서의 가동 코어(22)의 외주가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와 같이, 플런저(20)에 있어서의 가동 코어(22)의 외주에 환상의 플랜지부(22d)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의 플랜지부(22d)가 환상의 간극부(S1)에 수용되도록, 환상의 간극부(S1)의 축 방향 길이가, 상기한 각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환상의 간극부(S1)의 축 방향 길이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환상의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의 접속부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플런저(20)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환상의 플랜지부(22d)와 슬리브(14) 사이의 간극을 통해, 환상의 간극부(S1)와 절결[경로(22c)]로 흐른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실시 형태에 비하여, 에어 배출성이 양호하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9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플런저(20)의 가동 코어(22)에 설치되는 연통 구멍(22b)과 절결[경로(22c)]의 개수가 각각 2개로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2)는,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이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V2)에서는 하우징(110)에 플런저(120), 스프링(130), 솔레노이드(1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플런저(120), 스프링(13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플런저(120)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111)와, 이 가이드 부재(111)의 도 10의 좌측 단부 내주에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액밀적으로 부착한 통 형상의 시트 부재(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가이드 부재(111)의 도 10의 우측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113)와, 이 고정 코어(113)와 가이드 부재(111)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11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구(111a)가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11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축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액의 유입구(112a)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 구멍(112b)과 밸브 시트(112c)가 유입구(112a)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112a)와 유출구(111a)는 하우징(110) 내에 설치한 통로(P2)를 통하여 연통 가능하고, 이 통로(P2) 중에는 일단부(도 10의 우측 단부)에 밸브 시트(112c)를 갖는 밸브 구멍(11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밸브(V2)가 개방되었을 때[플런저(120)의 밸브체(121)에 있어서의 밸브부(121a)가 밸브 시트(112c)로부터 떨어졌을 때], 하우징(10) 밖에서 유입구(112a)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통로(P2)에 설치한 밸브 구멍(112b)과 밸브 시트(112c)를 통하여 유출구(111a)로 흘러서 하우징(110) 밖으로 흐른다.
고정 코어(11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10의 좌측 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스프링(130)의 단부가 항상 결합하고 스토퍼(131)의 단부가 필요에 따라서 결합하는 오목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1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부재(111)의 도 10의 우측 단부 외주와 고정 코어(113)의 도 10의 좌측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구성에 의해, 슬리브(114) 내에는, 가이드 부재(111)의 단부와 고정 코어(1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2)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12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121)와, 원기둥 형상으로 자성체로부터 가동 코어(12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121)는 시트 부재(112)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112c)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121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체(121)는 가동 코어(122)의 도 10의 좌측 단부 축 중심에 마련한 설치 구멍(122a)에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고, 가동 코어(122)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코어(122)는 가이드 부재(11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 10의 좌우 방향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코어(12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육 슬리브(1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1)와 박육 슬리브(123) 사이에는, 원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어서, 플런저(120)의 가이드 부재(111)에 대한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유동성(유통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130)과 스토퍼(131)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122b)이 가동 코어(122)의 도 10의 우측 단부 축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122)에, 도 10에 도시한 좌측 단부(좌측 방향의 유체실)와 도시한 우측 단부(우측 방향의 유체실)를 연통시키는 4개(도 11, 도 12 참조)의 연통 구멍(122c)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122c)은 일단부(도 10의 좌측 단부)에서 통로(P2)에 연통하고, 타단부(도 10의 우측 단부)에서 스프링(130)의 수용부에 연통하고 있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122)의 도 10의 우측 단부에, 수용 구멍(122b)과 각 연통 구멍(122c)을 연통시킴과 함꼐, 각 연통 구멍(122c)의 단부와 하우징(110) 내의 환상 간극부(S2)를 연통시키는 4개의 절결[경로(122d)]이 설치되어 있다(도 11, 도 12 참조).
스프링(130)은 플런저(120)를 밸브 시트(112c)에 대하여 부착 방향(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며, 가동 코어(122)의 수용 구멍(122b)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코어(113)와 가동 코어(122)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131)는 막대 형상체로, 스프링(130)의 축 중심부에 수용되어 있고, 플런저(120)의 하우징(110)에 대한 축 방향 이동량을 소정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솔레노이드(140)는 도 10에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코일(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111)의 도 10의 우측 단부 외주와, 슬리브(114)의 외주와, 고정 코어(11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도시 생략)은 통전 시에, 하우징(110)의 가이드 부재(111) 및 고정 코어(113)와 플런저(120)의 가동 코어(122) 등에 의해 자로[플런저(120)에 대하여 스프링(130)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V2)에서는, 가이드 부재(111), 고정 코어(113), 플런저(120)의 가동 코어(122)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114)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리브(114) 내에서 가이드 부재(111)의 단부와 고정 코어(1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2)(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10)과 플런저(120)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2)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연통 구멍(122c) 중 하나가 수용 구멍(122b)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용 구멍(122b)에 체류하는 기포(에어)를 그 부력에 의해 절결[경로(122d)]을 통하여 연통 구멍(122c)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체(121)의 밸브부(121a)가 밸브 시트(112c)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입구(112a)와 밸브 구멍(112b)을 통하여 브레이크액을 플런저(120)를 향해 유동시키면,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플런저(120)와 가이드 부재(111) 사이의 간극[상세하게는, 박육 슬리브(23)와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환상의 간극부(S2)와 절결[경로(122d)]의 접속부[플런저(120)의 도 10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2)와 절결[경로(122d)]의 접속부에 흐른 브레이크액은, 절결[경로(122d)]과 연통 구멍(122c)을 통하여 통로(P2)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2)와 절결[경로(122d)]의 접속부에 흐른 브레이크액의 일부는, 절결[경로(122d)]을 통하여 수용 구멍(122b)을 유동한 후에 절결[경로(122d)]과 연통 구멍(122c)을 통하여 통로(P2)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간극부(S2)와 절결[경로(122d)]의 접속부로부터 절결[경로(122d)]과 연통 구멍(122c)을 통하여 통로(P2)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간극부(S2)에 체류하는 기포(에어)와, 수용 구멍(122b)으로부터 절결[경로(122d)]을 통하여 연통 구멍(122c)으로 유도된 기포가, 연통 구멍(122c)을 통하여 통로(P2)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P2)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P2)로부터 하우징(110) 밖으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하우징(110)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액을 유입구(112a)로부터 유출구(111a)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의 에어[간극부(S2)와 수용 구멍(122b) 내의 에어를 포함함]를 외부[하우징(110)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의 작동은,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에서 브레이크액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통로(P2)로부터 절결[경로(122d)]을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은, 예를 들어 통로(P2)로부터 도 10 하방의 연통 구멍(122c)을 통하여 절결[경로(122d)]을 향해 흐를 수도 있다. 어쨌든, 당해 전자기 밸브(V2)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각 연통 구멍(122c), 플런저(120)와 가이드 부재(1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2), 절결[경로(122d)], 수용 구멍(122b) 등을 통하여 통로(P2)에 흐른다. 이로 인해, 각 연통 구멍(122c), 플런저(120)와 가이드 부재(1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2), 절결[경로(122d)], 수용 구멍(122b) 등에 체류하는 에어는, 브레이크액과 함께 통로(P2)로 유도되어서, 통로(P2)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120)의 가동 코어(122)에 4개의 연통 구멍(122c)과 절결[경로(122d)]을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연통 구멍(122c)과 절결[경로(122d)]의 개수는 적절히 증감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122c)에 대응하여 절결[경로(122d)]을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도 13에 나타낸 변형 실시 형태와 같이,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상방에 배치되는 하나의 연통 구멍(122c)에만 대응하여 절결[경로(122d)]을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122c)에 대응하여 절결[경로(122d)]을 설치하여, 환상의 간극부(S2)에 체류하는 기포(에어)를 통로(P2)로 유도하기 쉽게 하여 실시했지만, 하우징(110)으로부터 환상의 간극부(S2)를 없애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즉, 하우징(110)이 환상의 간극부(S2)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절결[경로(122d)] 대신에, 수용 구멍(122b)과 각 연통 구멍(122c)을 연통만 시키는 절결(경로)을 채용하면 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3)는,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이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V3)에서는 하우징(210)에 플런저(220), 스프링(230), 솔레노이드(2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플런저(220), 스프링(23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플런저(220)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211)와, 이 가이드 부재(211)의 도 14의 좌측 단부 내주에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액밀적으로 부착한 통 형상의 시트 부재(2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가이드 부재(211)의 도 14의 우측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213)와, 이 고정 코어(213)와 가이드 부재(211)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21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2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 중간부(도 14 상방)에는 하나의 유출구(211a)[유출구(211a)의 개수는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함]가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1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축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액의 유입구(212a)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 구멍(212b)과 밸브 시트(212c)가 유입구(212a)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212a)와 유출구(211a)는 하우징(210) 내에 설치한 통로(P3)를 통하여 연통 가능하고, 이 통로(P3) 중에는 일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에 밸브 시트(212c)를 갖는 밸브 구멍(21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밸브(V3)가 개방되었을 때[플런저(220)의 밸브체(221)에 있어서의 밸브부(221a)가 밸브 시트(212c)로부터 떨어졌을 때], 하우징(210) 밖에서 유입구(212a)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통로(P3)에 설치한 밸브 구멍(212b)과 밸브 시트(212c)를 통하여 유출구(211a)로 흘러서 하우징(210) 밖으로 흐른다.
고정 코어(21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14의 좌측 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스프링(230)과 스토퍼(231)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2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코어(213)는 외측 부재(213A)와 내측 부재(213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양 부재(213A, 213B)를 끼워 맞춤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슬리브(21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부재(211)의 도 14의 우측 단부 외주와 고정 코어(213)의 도 14의 좌측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210)의 구성에 의해, 슬리브(214) 내에는 가이드 부재(211)의 단부와 고정 코어(2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3)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2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221)와, 원기둥 형상으로 자성체로부터 가동 코어(22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221)는 시트 부재(212)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212c)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221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체(221)는 가동 코어(222)의 도 14의 좌측 단부 축 중심에 마련한 설치 구멍(222a)에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고, 가동 코어(222)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코어(222)는 가이드 부재(21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 14의 좌우 방향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코어(22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육 슬리브(2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11)와 박육 슬리브(223) 사이에는, 원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고, 플런저(220)의 가이드 부재(211)에 대한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유동성(유통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222)에, 도 14에 도시한 좌측 단부(좌측 방향의 유체실)와 도시한 우측 단부(우측 방향의 유체실)를 연통시키는 4개의 연통 구멍(2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222b)은 일단부(도 14의 좌측 단부)에서 통로(P3)에 연통하고,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에서 스프링(230)의 수용부에 연통하고 있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코어(213)에, 연통 구멍(222b)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와 스프링(230)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213a)의 일단부(도 14의 좌측 단부)를 연통시키는 제1 경로(213b)가 설치됨과 함꼐, 연통 구멍(222b)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와 스프링(230)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213a)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를 연통시키는 제2 경로(213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코어(213)에는, 환상의 간극부(S3)를 연통 구멍(222b)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와 제2 경로(213c)를 연통시키는 제3 경로(213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경로(213b)는 고정 코어(213)에 있어서의 내측 부재(213B)의 일단부(도 14의 좌측 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 경로(213c)는 고정 코어(213)에 있어서의 내측 부재(213B)의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13c1)을 형성함과 함께, 내측 부재(213B)의 타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13c2)을 형성함으로써, 외측 부재(213A)와 내측 부재(213B) 사이에 4개 설치되어 있다. 제3 경로(213d)는 고정 코어(213)에 있어서의 외측 부재(213A)의 일단부에 절결을 형성함으로써 4개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30)은 플런저(220)를 밸브 시트(212c)에 대하여 부착 방향(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며, 고정 코어(213)의 수용 구멍(2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코어(213)와 가동 코어(222)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231)는 막대 형상체로, 스프링(230)의 축 중심부에 수용되어 있고, 플런저(220)의 하우징(210)에 대한 축 방향 이동량을 소정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솔레노이드(240)는 도 1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코일(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211)의 도 14의 우측 단부 외주와, 슬리브(214)의 외주와, 고정 코어(21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도시 생략)은 통전 시에, 하우징(210)의 가이드 부재(211) 및 고정 코어(213)와 플런저(220)의 가동 코어(222) 등에 의해 자로[플런저(220)에 대하여 스프링(230)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V3)에서는, 가이드 부재(211), 고정 코어(213), 플런저(220)의 가동 코어(222)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214)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리브(214) 내에서 가이드 부재(211)의 단부와 고정 코어(2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3)(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210)과 플런저(220)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제3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3)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밸브체(221)의 밸브부(221a)가 밸브 시트(212c)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입구(212a)와 밸브 구멍(212b)을 통하여 브레이크액을 플런저(220)를 향해 유동시키면,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플런저(220)와 가이드 부재(21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환상의 간극부(S3)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3)에 흐른 브레이크액의 일부는, 제3 경로(213d)와 제2 경로(213c)를 통하여 수용 구멍(213a)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른다. 또한, 수용 구멍(213a)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에 흐른 브레이크액은, 수용 구멍(213a)과 제1 경로(213b)를 통하여 연통 구멍(222b)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흘러, 연통 구멍(222b)을 통하여 통로(P3)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간극부(S3)로부터 제3 경로(213d), 제2 경로(213c), 수용 구멍(213a), 제1 경로(213b), 연통 구멍(222b) 등을 통하여 통로(P3)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간극부(S3), 제3 경로(213d), 제2 경로(213c), 수용 구멍(213a), 제1 경로(213b), 연통 구멍(222b) 등에 체류하는 에어(기포)가 통로(P3)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P3)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P3)로부터 하우징(210) 밖으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하우징(210)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액을 유입구(212a)로부터 유출구(211a)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의 에어를 외부[하우징(210)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의 작동은,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서 브레이크액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통로(P3)로부터 수용 구멍(213a)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은, 예를 들어 통로(P3)로부터 도 14의 하방의 연통 구멍(222b)과 제2 경로(213c)를 통하여 수용 구멍(213a)의 타단부(도 14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를 수도 있다. 어쨌든,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각 연통 구멍(222b), 플런저(220)와 가이드 부재(2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3), 제1 경로(213b), 제2 경로(213c), 제3 경로(213d), 수용 구멍(213a) 등을 통하여 통로(P3)로 흐른다. 이로 인해, 각 연통 구멍(222b), 플런저(220)와 가이드 부재(2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3), 제1 경로(213b), 제2 경로(213c), 제3 경로(213d), 수용 구멍(213a) 등에 체류하는 에어는, 브레이크액과 함께 통로(P3)로 유도되어서, 통로(P3)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20)의 가동 코어(222)에 4개의 연통 구멍(222b)을 설치하고, 고정 코어(313)에 4개의 제2 경로(213c)와 제3 경로(213d)를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연통 구멍(222b), 제2 경로(213c), 제3 경로(213d) 등의 개수는 적절히 증감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222b)에 대응하여 제2 경로(213c), 제3 경로(213d)를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하나의 연통 구멍(222b)(예를 들어, 도 14의 하방의 연통 구멍)에만 대응하여 제2 경로(213c), 제3 경로(213d)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222b)에 대응하여 제3 경로(213d)를 설치하고, 환상의 간극부(S3)에 체류하는 에어를 통로(P3)로 유도하기 쉽게 하여 실시했지만, 하우징(210)으로부터 환상의 간극부(S3)를 없애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즉, 하우징(210)이 환상의 간극부(S3)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제3 경로(213d)에 상당하는 것을 없애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의 실시 시에는, 도 18에 나타낸 변형 실시 형태와 같이, 고정 코어(213)의 내측 부재(213B)에, 연통 홈(213e)을 마련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의 연통 홈(213e)은 수용 구멍(213a)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경로(213b)와 제2 경로(213c)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도 18에 나타낸 변형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전자기 밸브(V3)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수용 구멍(213a) 내에서 스프링(230)의 코일 사이에 체류하는 기포(에어)를 정확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4)는,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이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V4)에서는, 하우징(310)에 플런저(320), 스프링(330), 솔레노이드(3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310)은 플런저(320), 스프링(33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플런저(320)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311)와, 이 가이드 부재(311)의 도 19의 좌측 단부 내주에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또한 액밀적으로 부착한 통 형상의 시트 부재(3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310)은 가이드 부재(311)의 도 19의 우측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313)와, 이 고정 코어(313)와 가이드 부재(311)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31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구(311a)가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31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축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액의 유입구(312a)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 구멍(312b)과 밸브 시트(312c)가 유입구(312a)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312a)와 유출구(311a)는 하우징(310) 내에 설치한 통로(P4)를 통하여 연통 가능하고, 이 통로(P4) 중에는, 일단부(도 19에 도시한 우측 단부)에 밸브 시트(312c)를 갖는 밸브 구멍(31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밸브(V4)가 개방되었을 때[플런저(320)의 밸브체(321)에 있어서의 밸브부(321a)가 밸브 시트(312c)로부터 떨어졌을 때], 하우징(310) 밖에서 유입구(312a)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통로(P4)에 설치한 밸브 구멍(312b)과 밸브 시트(312c)를 통하여 유출구(311a)로 흘러서 하우징(310) 밖으로 흐른다.
고정 코어(31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19에 도시한 좌측 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스프링(330)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31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31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부재(311)의 도 19에 도시한 우측 단부 외주와 고정 코어(313)의 도 19에 도시한 좌측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310)의 구성에 의해, 슬리브(314) 내에는, 가이드 부재(311)의 단부와 고정 코어(3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32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321)와, 원기둥 형상으로 자성체로부터 가동 코어(32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321)는 시트 부재(312)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312c)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321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체(321)는 가동 코어(322)의 도 19의 좌측 단부 축 중심에 마련한 설치 구멍(322a)에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고, 가동 코어(322)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코어(322)는 가이드 부재(31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 19의 좌우 방향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외측 부재(322A)와 내측 부재(3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양 부재(322A, 322B)를 끼워 맞춤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육 슬리브(3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11)와 박육 슬리브(323) 사이에는, 원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고, 플런저(320)의 가이드 부재(311)에 대한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유동성(유통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322)에, 도 19에 도시한 좌측 단부(좌측 방향의 유체실)와 도시한 우측 단부(우측 방향의 유체실)를 연통시키는 4개의 연통 구멍(3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322b)은 일단부(도 19의 좌측 단부)에서 통로(P4)에 연통하고, 타단부(도 19의 우측 단부)에서 스프링(330)의 수용부에 연통하고 있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도 19의 우측 단부에는, 각 연통 구멍(322b)의 단부와 하우징(310) 내의 환상 간극부(S4)를 연통시키는 4개의 절결[경로(322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설치 구멍(322a)은 내측 부재(322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각 연통 구멍(322b)은 외측 부재(322A)와 내측 부재(322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각 절결[경로(322c)]은, 외측 부재(322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322)에, 스프링(330)의 수용 구멍(322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 코어(313)에, 제1 경로(313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경로(313a)는 고정 코어(313)의 도 19의 좌측 단부 축 중심부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고, 수용 구멍(322d)의 도 19의 우측 단부와, 각 연통 구멍(322b)의 도 19의 우측 단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에, 제2 경로(322e)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경로(322e)는 가동 코어(322)에 있어서의 외측 부재(322A)의 축 중심부에 연통 구멍(322e1)을 형성함과 함께, 가동 코어(322)의 외측 부재(322A)와 내측 부재(322B) 사이에 연통로(322e2)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고, 각 연통 구멍(322b)의 축 방향 중간부와 수용 구멍(322d)의 도 19의 좌측 단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가동 코어(322)의 수용 구멍(322d)은 외측 부재(322A)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330)은 플런저(320)를 밸브 시트(312c)에 대하여 부착 방향(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가동 코어(322)의 수용 구멍(322d)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코어(313)와 가동 코어(322)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40)는 도 19에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코일(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311)의 도 19의 우측 단부 외주와, 슬리브(314)의 외주와, 고정 코어(31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도시 생략)은 통전 시에, 하우징(310)의 가이드 부재(311) 및 고정 코어(313)와 플런저(320)의 가동 코어(322) 등에 의해 자로[플런저(320)에 대하여 스프링(330)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V4)에서는, 가이드 부재(311), 고정 코어(313), 플런저(320)의 가동 코어(322)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314)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리브(314) 내에서 가이드 부재(311)의 단부와 고정 코어(3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에 간극부(S4)(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310)과 플런저(320)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제4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4)에 있어서는,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밸브체(321)의 밸브부(321a)가 밸브 시트(312c)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구멍(312b)을 통하여 브레이크액을 플런저(320)를 향해 유동시키면,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플런저(320)와 가이드 부재(31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환상의 간극부(S3)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4)에 흐른 브레이크액의 일부는, 가동 코어(322)의 절결[경로(322c)]과 연통 구멍(322b)을 통하여 통로(P4)를 향해 흐른다. 또한, 간극부(S4)에 흐른 브레이크액의 타부는, 가동 코어(322)의 절결[경로(322c)]과 연통 구멍(322b)을 통하여 제1 경로(313a)로 흐르고, 다시 가동 코어(322)의 수용 구멍(322d)과 제2 경로(313e)와 연통 구멍(322b)을 통하여 통로(P4)를 향해 흐른다.
이때에는, 간극부(S4)로부터 절결[경로(322c)]과 연통 구멍(322b)을 통하여 통로(P4)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간극부(S4), 절결[경로(322c)], 연통 구멍(322b) 등에 체류하는 기포가 통로(P4)로 유도된다. 또한, 간극부(S4)로부터 절결[경로(322c)]과 연통 구멍(322b)과 제1 경로(313a)와 수용 구멍(322d)과 제2 경로(322e)와 연통 구멍(322b)을 통하여 통로(P4)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간극부(S4), 절결[경로(322c)], 연통 구멍(322b), 제1 경로(313a), 수용 구멍(322d), 제2 경로(322e) 등에 체류하는 에어(기포)가 통로(P4)로 유도된다. 또한, 통로(P4)로 유도된 에어(기포)는 통로(P4)로부터 하우징(310) 밖으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하우징(310) 밖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액을 유입구(312a)로부터 유출구(311a)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의 에어를 외부[하우징(310) 밖]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의 작동은,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에서 브레이크액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 통로(P4)로부터 수용 구멍(322d)의 타단부(도 19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르는 브레이크액은, 예를 들어 통로(P3)로부터 도 19의 하방의 연통 구멍(322b)과 제1 경로(313a)를 통하여 수용 구멍(322d)의 타단부(도 19의 우측 단부)를 향해 흐를 수도 있다. 어쨌든, 당해 전자기 밸브(V4)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각 연통 구멍(322b), 플런저(320)와 가이드 부재(3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4), 제1 경로(313a), 수용 구멍(322d), 제2 경로(322e) 등을 통하여 통로(P4)로 흐르기 때문에, 각 연통 구멍(322b), 플런저(320)와 가이드 부재(311) 사이의 간극, 환상의 간극부(S4), 제1 경로(313a), 수용 구멍(322d), 제2 경로(322e) 등에 체류하는 에어는, 브레이크액과 함께 통로(P4)로 유도되어서, 통로(P4)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320)의 가동 코어(322)에 4개의 연통 구멍(322b)과 제2 경로(322e)를 설치하고, 고정 코어(313)에 제1 경로(313ac)를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연통 구멍(322b), 제1 경로(313a), 제2 경로(322e) 등의 개수는 적절히 증감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322b)에 대응하여 제2 경로(322e)를 설치하여 실시했지만, 하나의 연통 구멍(322b)(도 19 상방의 연통 구멍)에만 대응하여 제2 경로(322e)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322b)에 대응하여 절결[경로(322c)]을 설치하고, 환상의 간극부(S4)에 체류하는 에어를 통로(P4)로 유도하기 쉽게 하여 실시했지만, 하우징(310)으로부터 환상의 간극부(S4)를 없애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즉, 하우징(310)이 환상의 간극부(S4)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한 절결[경로(322c)]에 상당하는 것을 없애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5)는, 예를 들어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제어 기기에 부착되어, 브레이크액의 액압 제어에 사용되는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이다. 또한, 이 전자기 밸브(V5)에서는, 하우징(410)에 플런저(420), 스프링(430), 솔레노이드(440)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410)은 플런저(420), 스프링(430) 등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플런저(420)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411)와, 이 가이드 부재(411)의 도 21의 좌측 단부 내주에 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부착한 통 형상의 시트 부재(4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410)은 가이드 부재(411)의 도 21의 우측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413)와, 이 고정 코어(413)와 가이드 부재(411)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41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411)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 중간부(도 21의 상방)에는 하나의 유출구(411a)가 직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41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축 중심부에는 브레이크액의 유입구(412a)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밸브 구멍(412b)과 밸브 시트(412c)가 유입구(412a)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412a)와 유출구(411a)는 하우징(410) 내에 설치한 통로(P5)를 통하여 연통 가능하고, 이 통로(P5) 중에는, 일단부(도 21의 우측 단부)에 밸브 시트(412c)를 갖는 밸브 구멍(412b)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밸브(V5)가 개방되었을 때[플런저(420)의 밸브체(421)에 있어서의 밸브부(421a)가 밸브 시트(412c)로부터 떨어졌을 때], 하우징(410) 밖에서 유입구(412a)로 흐르는 브레이크액이, 통로(P5)에 설치한 밸브 구멍(412b)과 밸브 시트(412c)를 통하여 유출구(411a)로 흘러서 하우징(410) 밖으로 흐른다.
고정 코어(1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21의 좌측 단부의 축 중심부에는 스프링(430)과 스토퍼(431)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41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414)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부재(411)의 도 21의 우측 단부 외주와 고정 코어(413)의 도 21의 좌측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410)의 구성에 의해, 슬리브(414) 내에는 가이드 부재(411)의 단부와 고정 코어(4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5)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42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421)와, 원기둥 형상으로 자성체로부터 가동 코어(42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421)는 시트 부재(412)에 대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고, 밸브 시트(412c)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421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체(421)는 가동 코어(422)의 도 21의 좌측 단부 축 중심에 마련한 설치 구멍(422a)에 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고, 가동 코어(422)와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코어(422)는 가이드 부재(411)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 21의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가동 코어(422)의 외주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육 슬리브(42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11)와 박육 슬리브(423) 사이에는, 원하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고, 플런저(420)의 가이드 부재(411)에 대한 축 방향의 미끄럼 이동성이 확보되어 있음과 함께, 브레이크액의 유동성(유통성)이 확보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422)에, 도 21에 도시한 좌측 단부(좌측 방향의 유체실)와 도시한 우측 단부(우측 방향의 유체실)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연통 구멍(4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422b)은 일단부(도 21의 좌측 단부)에서 통로(P5)에 연통하고, 타단부(도 21의 우측 단부)에서 스프링(430)의 수용부에 연통하고 있어, 축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422)의 도 21의 우측 단부 상방에는, 각 연통 구멍(422b)의 단부와 하우징(410) 내의 환상 간극부(S5)를 연통시키는 절결[경로(422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코어(422)의 도 21의 우측 단부 하방이 소정량 절취되어 있고, 가동 코어(422)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절결(42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422d)은 솔레노이드(440)에의 통전 시에, 고정 코어(413)와 플런저(420) 사이에 발생하는 흡인력에, 소정량의 축 방향 성분이 얻어짐과 함꼐, 소정 방향[유출구(411a)가 설치되어 있는 도 21의 상방]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도 21의 하방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을 도 21의 상방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에 비하여 소정량 작게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솔레노이드(440)에의 통전 시에는, 고정 코어(413)와 플런저(420) 사이에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플런저(420)가 스프링(430)에 저항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도 21의 상방[유출구(411a)가 마련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430)은 플런저(420)를 밸브 시트(412c)에 대하여 부착 방향(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 코어(413)의 수용 구멍(4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코어(413)와 가동 코어(422)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431)는 막대 형상체로, 스프링(430)의 축 중심부에 수용되어 있고, 플런저(420)의 하우징(410)에 대한 축 방향 이동량을 소정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솔레노이드(440)는 도 2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코일(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 부재(411)의 도 21의 우측 단부 외주와, 슬리브(414)의 외주와, 고정 코어(41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도시 생략)은 통전 시에, 하우징(410)의 가이드 부재(411) 및 고정 코어(413)와 플런저(420)의 가동 코어(422) 등에 의해 자로[플런저(420)에 대하여 스프링(430)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것]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기 밸브(V5)에서는, 가이드 부재(411), 고정 코어(413), 플런저(420)의 가동 코어(422) 등을 자성재로 구성하고, 슬리브(414)를 비자성재로 구성함으로써, 슬리브(414) 내에서 가이드 부재(411)의 단부와 고정 코어(413)의 단부 사이에, 환상의 간극부(S5)(자로가 형성되기 어려운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410)과 플런저(420) 사이에서 원하는 자로를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기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제5 실시 형태의 전자기 밸브(V5)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440)에의 통전에 의해 얻어지는 흡인력이 소정 방향(도 21의 상방)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440)에의 통전 시에는, 플런저(420)가 그 축직 방향(도 21의 상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스프링(430)에 저항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플런저(420)가 그 축직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플런저(420)와 하우징(410) 사이에 형성되는 직경 방향의 클리어런스가 한쪽[도 21의 상방에서 유출구(411a)가 마련되어 있는 측]에서 작아지고 다른 쪽에서 크게 되어, 한쪽에서의 유로 저항이 다른 쪽의 유로 저항에 비하여 크게 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액을 유입구(412a)로부터 유출구(411a)를 향해 흐르게 한 경우에는, 한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422b)(도 21의 상방에 있는 연통 구멍)에, 다른 쪽에 배치되는 연통 구멍(422b)(도 21의 하방에 있는 연통 구멍)으로부터 브레이크액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에 작동 액체를 충전할 때에 솔레노이드(440)에 통전(필요에 따라 통전·비통전을 반복함)하고, 브레이크액을 유입구(412a)로부터 유출구(411a)를 향해 흐르게 하면, 브레이크액의 일부가, 통로(P5)로부터, 도 21의 하방에 있는 연통 구멍(422b)과, 도 21의 하방에 형성되는 플런저(420)와 가이드 부재(411)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도 21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흐른 후, 스프링(430)이 수용되고 있는 부위에서 도 21의 상방으로 흐르고, 그 후에 도 21의 상방에 있는 연통 구멍(422b)을 도 21의 우측 방향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흘러서 통로(P5)에 흐른다. 또한, 도 21의 상방에 있는 연통 구멍(422b)으로부터 통로(P5)에 흐른 브레이크액은 유출구(411a)를 통하여 당해 전자기 밸브(V5) 밖으로 흐른다.
이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르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에서 각 연통 구멍(222b), 수용 구멍(413a), 환상의 간극부(S5) 등에 체류하는 기포[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의 에어]가 각 부로부터 통로(P5)로 유도되고, 통로(P5)로부터 유출구(411a)로 유도되고, 유출구(411a)로부터 당해 전자기 밸브(V5) 밖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액을 유입구(412a)로부터 유출구(411a)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5 실시 형태의 작동은,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에서 브레이크액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흐른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어쨌든, 당해 전자기 밸브(V5) 내에 브레이크액을 충전하는 때에는, 브레이크액이, 각 연통 구멍(222b), 수용 구멍(413a), 환상의 간극부(S5) 등을 통하여 통로(P5)에 흐르기 때문에, 각 연통 구멍(222b), 수용 구멍(413a), 환상의 간극부(S5) 등에 체류하는 에어는 통로(P5)로 유도되고, 통로(P5)로부터 유출구(411a)로 유도되고, 유출구(411a)로부터 당해 전자기 밸브(V5)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코어(422)의 도 21의 우측 단부 하방이 소정량 절취되어 있고, 가동 코어(422)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절결(422d)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22에 나타낸 변형 실시 형태와 같이, 고정 코어(413)의 도 22의 좌측 단부 하방이 소정량 절취되어 있고, 고정 코어(413)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절결(413b)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코어(413)의 절결(413b)은 솔레노이드(440)에의 통전 시에, 고정 코어(413)와 플런저(420) 사이에 발생하는 흡인력에, 소정량의 축 방향 성분이 얻어짐과 함꼐, 소정 방향[유출구(411a)가 설치되어 있는 도 22의 상방]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도 22의 하방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을 도 22의 상방에서 얻어지는 흡인력에 비하여 소정량 작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변형 실시 형태의 작동은, 도 21에 나타낸 제5 실시 형태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시트 부재에 유출구가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에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어 배출 작업 시만 브레이크액을 유출구로부터 유입구를 향해 흐르게 함으로써, 당해 전자기 밸브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가 상시 폐쇄형 전자기 밸브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 밸브는 상시 개방형 전자기 밸브라도 된다.

Claims (7)

  1.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플런저의 축 방향 이동을 보조하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이 가이드 부재에 부착되어서 상기 밸브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대향 배치되는 고정 코어와, 이 고정 코어의 단부 외주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외주에 각각 액밀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슬리브 내에서 상기 고정 코어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부와 상기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경로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2.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이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수용 구멍과 상기 연통 구멍을 연통시키는 경로가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3.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에는,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연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의 일부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의 일단부를 연통시키는 제1 경로가 설치됨과 함꼐,
    상기 연통 구멍의 타부와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구멍의 타단부를 연통시키는 제2 경로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 구멍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 코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 구멍은,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6. 작동 액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들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로 중에 설치되어서 일단부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구멍을 갖고 있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부착·분리 가능한 밸브부를 갖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서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한 고정 코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상기 스프링의 하중에 저항한 흡인력을 통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이며,
    상기 플런저가, 일단부에서 상기 통로에 연통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부에 연통하여 축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연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인력은, 소정 방향으로 소정량의 축직 방향 성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흡인력에 의해 흡인되는 축직 방향과 동일한 측에만 상기 유출구 또는 상기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고정 코어는 비축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전자기 밸브.
KR20157003157A 2012-08-10 2012-08-10 전자기 밸브 KR20150029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0471 WO2014024300A1 (ja) 2012-08-10 2012-08-10 電磁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740A true KR20150029740A (ko) 2015-03-18

Family

ID=5006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3157A KR20150029740A (ko) 2012-08-10 2012-08-10 전자기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37014A1 (ko)
EP (1) EP2884143A4 (ko)
JP (1) JP5858163B2 (ko)
KR (1) KR20150029740A (ko)
CN (1) CN104541094B (ko)
CA (1) CA2876372A1 (ko)
WO (1) WO2014024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8414A1 (de) 2016-05-17 2017-11-23 Robert Bosch Gmbh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und zugehöriges Magnetventil
DE102017207208A1 (de) * 2017-04-28 2018-10-31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Einstellen eines Fluidstroms
CN108131468B (zh) * 2018-01-11 2023-05-16 西华大学 一种用于清管器的直动旁通阀
CN108386403B (zh) * 2018-04-02 2023-06-20 宁波佳尔灵气动机械有限公司 一种电磁锁止阀
JP2022057491A (ja) * 2020-09-30 2022-04-11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141A (en) * 1972-04-13 1973-06-05 Control Concepts Normally closed solenoid operated valve
US4805870A (en) * 1983-02-03 1989-02-21 Emerson Electric Co. Coil retainer for solenoid
US4530486A (en) * 1983-02-09 1985-07-23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 Valve
US4712767A (en) * 1986-10-29 1987-12-15 Allied Corporation Solenoid control valve
US4989829A (en) * 1990-04-27 1991-02-05 Borg-Warner Automotive, Inc. Pressure balanced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US5145148A (en) * 1991-11-14 1992-09-08 Siemens Automotive L.P. Solenoid valve operating mechanism comprising a pin having a plastic sleeve molded onto a metal core
DE4202389A1 (de) * 1992-01-29 1993-08-05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brems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2000170945A (ja) * 1998-12-10 2000-06-23 Fuji Koki Corp 電磁弁
JP2001208233A (ja) * 2000-01-31 2001-08-03 Aisin Seiki Co Ltd 電磁弁
DE10038091B4 (de) * 2000-08-04 2009-01-15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2002174357A (ja) * 2000-12-04 2002-06-21 Mikuni Adec Corp 電磁弁
JP2005512877A (ja) * 2001-12-08 2005-05-12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電磁弁
JP2005308156A (ja) * 2004-04-23 2005-11-04 Toyota Motor Corp 液圧バルブ
DE102004048861A1 (de) * 2004-10-07 2006-04-20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insbesondere für Bremskraftanlagen in Kraftfahrzeugen
JP4492320B2 (ja) * 2004-11-30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
JP4293133B2 (ja) * 2005-01-12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弁
DE102005030957B4 (de) * 2005-06-30 2024-01-18 Robert Bosch Gmbh Einrichtung zur Dämpfung des Ankerhubs in Magnetventilen
JP2007064364A (ja) * 2005-08-31 2007-03-15 Denso Corp 電磁弁
JP4697088B2 (ja) * 2006-08-10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弁
JP4613907B2 (ja) * 2006-12-21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弁
DE102007043554A1 (de) * 2007-03-10 2008-09-1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baugruppe
DE102008004780A1 (de) * 2007-03-10 2008-09-1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baugruppe
JP4412343B2 (ja) * 2007-03-30 2010-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DE102008056854A1 (de) * 2008-11-12 2010-05-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EP2441995B1 (en) * 2009-06-11 2014-12-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device, and actuator
JP5240119B2 (ja) * 2009-08-06 2013-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弁
JP2011047483A (ja) * 2009-08-27 2011-03-10 Toyota Motor Corp 電磁弁
WO2011077506A1 (ja) * 2009-12-21 201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式リニア弁
JP5120419B2 (ja) * 2010-06-10 2013-01-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常閉型電磁弁
CN103038557B (zh) * 2010-09-06 2014-09-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磁式线性阀
US20130092855A1 (en) * 2011-10-12 2013-04-18 Envirotech Services, Inc. Corrosion resistant valve and plunger
KR101294674B1 (ko) * 2011-11-02 2013-08-09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JP5644757B2 (ja) * 2011-12-28 2014-12-24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圧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7014A1 (en) 2015-05-21
CN104541094B (zh) 2016-08-24
EP2884143A1 (en) 2015-06-17
JPWO2014024300A1 (ja) 2016-07-21
CN104541094A (zh) 2015-04-22
CA2876372A1 (en) 2014-02-13
EP2884143A4 (en) 2015-10-07
JP5858163B2 (ja) 2016-02-10
WO2014024300A1 (ja)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9740A (ko) 전자기 밸브
JP4465536B2 (ja) 電磁弁
KR10136203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5615286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EP2546543A1 (en) Damping valve
CN109386631B (zh) 止回阀
EP2320114A1 (en) Solenoid valve
US20200248829A1 (en) Electromagnetic valve
JP2004263856A (ja) 電磁弁
JP746310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6019243B2 (ja) ブレーキ装置
CN110621925A (zh) 先导式电磁阀
US20120244014A1 (en) Electromagnetic pump
JP6593300B2 (ja) 電磁弁
JP2019219006A (ja) 電磁弁
JP4768575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7046976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2010025217A (ja) 電磁弁
JP2004169920A (ja) 電磁式の弁
KR20140035460A (ko) 전자기 밸브 및 전자기 밸브 장치
JP2020041469A (ja) 電磁ポンプ
JP4442768B2 (ja) 電磁ポンプ
JP2019094916A (ja) 電磁弁
JP6061074B2 (ja) 燃料噴射弁
JP7129861B2 (ja) 電磁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