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825A -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825A
KR20150023825A KR20157001542A KR20157001542A KR20150023825A KR 20150023825 A KR20150023825 A KR 20150023825A KR 20157001542 A KR20157001542 A KR 20157001542A KR 20157001542 A KR20157001542 A KR 20157001542A KR 20150023825 A KR20150023825 A KR 2015002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paration chamber
oil
distillat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172B1 (ko
Inventor
모세 발라스
Original Assignee
아로메이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로메이터 엘엘씨 filed Critical 아로메이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2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38Steam dist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6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0Reducing or removing alkaloid conten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7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using additives, specific extraction media or specific coffe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distilling, stripping, or recovering of vola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15Solid material in other stationary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15Solid material in other stationary receptacles
    • B01D11/0219Fixed bed of sol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92Treatment of the solvent
    • B01D11/0296Condensation of solvent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7Recovery of volatiles by distillation or str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2011/007Extraction using a solvent in the ga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9/025Recovery by solvent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을 위해 원료를 수용하는 제거가능한 캡슐을 포함하는 모듈식 증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전반에 걸쳐, 본 명세서에 설명된 수증기 증류 공정은 밀봉된 모듈식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증류 시스템보다 실질적으로 더 많은 양의 휘발성 오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소량의 식물 성분을 수용하는 폐쇄식 이동가능한 캡슐의 사용을 통해 증류 공정 동안 수증기와 식물 성분 간의 더 많은 접촉을 허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제거가능한 캡슐을 통해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응축된 액체가 통 안의 끓는 물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증류액과 상당히 양질의 휘발성 오일 추출물들의 생성을 허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DISTILLATIO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AND HYDROSOLS FROM PLANT MATTER WITHIN A CAPSULE}
본 출원은 2012년 6월 21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61/662,408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전문이 인용 참조된다.
본 발명은 캡슐 내에 배치된 유기 성분(organic matter)으로부터 상당히 양질의 휘발성 오일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증류액, [각각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s) 및 하이드로졸(hydrosol)과 같은]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hydrodistillates)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식 증류 및 분리 시스템(modular distillation and separation system)의 사용을 통해 고품질의 재료를 추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식물 성분(plant matter)으로부터의 휘발성 오일의 추출은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BALASS의 WO 2008/068757(본 명세서에서 인용 참조됨)은 개방형 입구(open mouth)를 갖는 용기를 이용하여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소형 증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는 제거가능한 그리드에 의해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로 나뉜다. 하부 챔버는 부분적으로 물로 채워진다. 나뭇잎, 잔가지, 씨앗, 열매, 뿌리, 꽃 등과 같은 식물 성분이 그리드 위의 상부 챔버에 배치된다.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만들어지며, 증류 공정이 시작된다. 식물 성분으로부터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증기는 챔버를 빠져나가 응축기로 지향되며, 이 응축기는 증기가 액체로 바뀌게 한 후 분리 관(separating column)에 들어가게 한다. 관의 최하부에 연결된 재순환 튜브는 (통이 연결된 하부를 따라) 수성-증류액(water-distillate)을 용기로 다시 돌려보낸다. 이 공정 동안, 에센셜 오일은 관 내에 소량(수 밀리미터) 남아 수성-증류액 위에 축적된다. 이후, 에센셜 오일은 수동으로 수집된다. 하지만, WO 2008/068757에 의해 기술된 디바이스에서는 증기가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분산됨에 따라, 잠재 효율이 불필요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유기 성분으로부터 양질의 휘발성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단기간 증류하는 작고 콤팩트하며 작동이 간단하고 가장 효율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성분으로부터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식 증류 및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식물 성분으로부터 휘발성 오일 및 상당한 양의 수-증류액을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장치의 요소들의 일 예시적인 구성방식(arrangement)에서는, 주어진 양의 식물 성분이 제거가능한 캡슐에 배치된다. 장치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가 캡슐을 통과하여, 식물 성분으로부터 휘발성 오일이 추출된다. 혼합된 수증기는 캡슐을 빠져나가 응축기 내로 진행하며, 상기 장치와 동일 공간에 있는(coextensive) 분리 유닛에서 회수된다. 응축기의 작용을 통해, 수증기는 물, 하이드로졸 및 휘발성 화합물들을 함유한 증류액으로 바뀐다. 이 액체는 응축기로부터 분리 유닛으로 유동하며, 이 분리 유닛에서 수성-하이드로졸이 휘발성 오일로부터 분리된다. 하이드로졸 및 오일은 이후 상기 장치로부터 별도로 수집된다.
본 발명의 작용을 통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수증기 증류 공정은 밀봉된(enclosed) 모듈식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지 않는 증류 시스템보다 상당히 더 많은 양의 오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달성가능한 것보다, 증류 시 수증기와 식물 간의 더 많은 접촉을 허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유사한 부피의 종래의 디바이스들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고품질의 하이드로졸 추출물의 생성을 허용하는 시스템을 지향한다. 또한, 설명된 장치는 당업계에 제공되는 것보다 더 적은 식물 재료 및 더 적은 에너지를 요구하는 더 효율적인 증류 공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짧은 증류 시간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는, 단시간의 증류 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고품질의 추출 및 에센셜 오일을 얻는데 중요하다. 이러한 단축된 기간을 통해, 증류 공정은 휘발성 재료의 자연 발생적 가수분해를 줄이고,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왁스(wax)[이는 오일 클리어런스(oil clearance)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의 축적을 최소화한다.
또한, 설명된 방법 및 장치는 물통(water vessel)에 결합되도록 적응된(adapted) 탈착식 캡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의 최하부 바닥을 둘러싸고 응축된 액체가 물통에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외주 액체 수집 채널(peripheral liquid collecting channel)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은 응축기에 연결된 유출구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설명된 방법은 주어진 양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회수되는 오일의 품질 및 양을 최대화하도록 구성된 특수한 모듈식 용기의 사용을 통해 식물 재료로부터 휘발성 오일을 추출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전 및 다른 특징들은 설명된 디바이스의 요소들의 예시적인 구성방식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의 부분 확대도;
-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 도 1c는 도 1a에 설명된 장치의 대안적인 도면;
-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의 부분 확대도;
- 도 1e는 도 1b에 설명된 장치의 대안적인 도면;
-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도면;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소들의 개략도;
-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의 개략도;
- 도 4b는 도 4a에 제공된 요소의 단면도;
- 도 4c는 도 4a에 제공된 요소의 대안적인 단면도;
-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사시도;
-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소의 사시도;
-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소의 사시도;
-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의 개략도;
- 도 5b는 도 5a에 제공된 요소의 단면도;
- 도 5c는 도 5a에 제공된 요소의 사시도;
-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단면도;
-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사시도;
- 도 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사시도;
-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요소의 개략도;
- 도 6b는 도 6a에 제공된 요소의 여러 도면;
- 도 6c는 도 6a에 제공된 요소의 개략도;
-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개략도;
-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개략도;
-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요소의 개략적 측면도;
-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의 개략적 측면도;
-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요소의 평면도;
- 도 6i는 도 6h에 제공된 요소의 측면도;
- 도 6j는 도 6h에 제공된 요소의 평면도;
- 도 6k는 도 6h에 제공된 요소의 단면도;
- 도 6l은 본 발명의 일 요소의 사시도;
- 도 6m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 7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 도 8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요소들을 예시한 도면;
-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요소들을 예시한 도면;
- 도 10a는 본 발명의 공정과 종래 기술 간의 효율성의 비교를 예시한 도면;
- 도 10b는 본 발명의 공정과 종래 기술 간의 효율성의 비교를 예시한 도면; 및
- 도 10c는 본 발명의 공정과 종래 기술 간의 효율성의 비교를 예시한 도면이다.
개요 및 소개로서, 본 발명은 작은 분량의(small batches) 유기 재료로부터 소량의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을 안전하게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준 가정용 조건들(standard domestic conditions) 하에서 짧은 처리 시간에 소규모로 휘발성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공정 및 디바이스들은 하이드로졸 및 휘발성 오일을 추출하는 더 단순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특수한 기술적 지식 또는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종래 기술을 넘어서는 개선점들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액체(예를 들어, 물)를 담는 통(10), 재료(예를 들어, 식물 성분과 같은 유기 성분)을 담는 캡슐(20), 증기(수증기)를 액체로 바꾸는 응축 유닛(응축기: 30), 및 얻어진 증류액을 수-증류액(예를 들어, 하이드로졸) 및 휘발성 오일로 분리시키는 분리 유닛(40)을 포함한다. 설명된 요소들의 일 구성방식에서, 이러한 장치는 표준 가정용 조리대 또는 저장 설비(standard domestic counter top or storage hardware)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치수 및 무게를 갖는다. 본 장치는 디바이스의 작동 조건들을 견딜 수 있는 여하한의 표준 상업 등급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증류 장치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 탄소 섬유, 합성 재료 또는 섬유 또는 다른 천연 소재로 형성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통(10)은 본 명세서에서 물통으로 설명되며, 액체는 물이다. 이는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이지만, 액체가 물이 아닌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통(10)은 특정한 구성방식에서 증류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필요한 부피의 액체를 담도록 구성된다. 일 구성에서 물통은 수증기를 생성하는 선택적 가열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일 재료 구성에서, 가열기는 전기 가열기이다. 또 다른 구성에서, 가열기는 연소 기반 가열기이다. 요소들의 특정한 구성방식에서, 가열기는 물통(10)의 최하부에 위치된다. 이 가열 유닛(11)은 일 예시에서 물통에 저장된 물의 양으로부터 수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열기(11)는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물의 입방 부피(cubic volume)를 증발시키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열기는 표준 가열 기술들 및 실행방식들(practices)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어진 구성방식에서, 가열기는 증류 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모듈 또는 추가부이다. 작동 시, 수증기는 유출 튜브(6)에서 물통을 빠져나가도록 설계된다.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는, 전체 장치에 대해 캡슐에 고정하기 전에 물통(10)이 채워진다. 하지만, 대안적인 과정들이 가능하며 또한 구상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물의 가열은 가열 유닛과 동일 공간에 있도록 구성된 선택적 서모스탯(thermostat)에 의해 제어된다. 가열 유닛은 필요한 안전 조치를 갖도록 구성되어, 과열 또는 기능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유닛이 가동되지 않는다(deactiv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은 캡슐(20)에 바로 결합된다. 몇몇 구성방식들에서, 물통(10)은 어댑터의 사용을 통해 결합된다. 예시된 구성방식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튜브(6)는 어댑터(7)에 연결된다. 어댑터(7)는 캡슐(20)에 결합된다. 예시된 대안적인 구성방식에 따르면, 유출 튜브(6)를 빠져나가는 수증기는 어댑터(7)에 구성된 복수의 튜브들(8) 내로 분산된다. 이는 수증기가 캡슐(20) 내에서 고르게 분산되게 한다. 요소들의 특정 구성에서, 유출 튜브(6) 및 어댑터(7)는, 응축기로 전달되는 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열 플라스틱을 사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탈착식 캡슐(20)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은 나뭇잎, 잔가지, 씨앗, 열매, 뿌리, 꽃 등과 같은 재료로 채워지는 중공의 내부(hollow interior: 24)를 갖는다. 일 구성방식에서, 식물 성분은 캡슐 내에 압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캡슐의 부피는 건식(대개 분쇄 또는 파쇄된) 식물 재료로 채워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캡슐(20)은 복수의 튜브들(21)을 포함하며, 대응하는 캡슐 튜브들(21) 내에 어댑터 튜브들(8)이 배치됨으로써 어댑터(7)에 연결된다. 각각의 캡슐 튜브(21)는 그 내측 상부에 O-링(ring)(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함에 따라, 캡슐 튜브들(21)과 그 대응하는 어댑터 튜브들(8) 사이에 기밀식 밀폐(hermetic sealing)를 유도한다. 이 기밀식 밀폐는 수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증기 전부가 캡슐에 들어가는 것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실시예에 따르면, 캡슐 튜브들은 어댑터 튜브들보다 더 좁다. 좁은 캡슐 튜브들이 더 넓은 어댑터 튜브들에 들어가고, 어댑터 튜브들은 내측 최하부에 O-링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망사 또는 격자(22)가 캡슐 튜브들(21)의 최상단에 배치된다. 망사(22)는 식물 성분이 튜브들(21)을 통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메시 크기를 갖는다. 수증기는 캡슐(20)에 위치된 튜브들(21)을 통해 캡슐(20)에 들어가고 식물 재료를 통과한다. 이 작용은 식물 재료에 존재하는 휘발성 오일 및 휘발성 수용성 화합물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휘발성 오일 및 다른 휘발성 재료는 이후 수증기와 혼합된다. 수증기 혼합물은 유출구(26)에서 캡슐(20)을 빠져나가며, 응축기(30)에 도달한다.
캡슐(20)은 둥근 돔 형상의 최상부(25)를 포함한다. 수증기 혼합물의 대부분은 유출구(26)에서 캡슐을 빠져나간다. 때로는 소량의 수증기가 다시 액체로 바뀌며, 원뿔 형상의 최상부 벽으로 인해 캡슐(20)의 측면 및 최상부 에지들에 모이게 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최상부(25)에서 액체는 캡슐의 측면 에지들(27)로 유동하며, 측면 에지들(27)을 따라, 캡슐의 최하부를 둘러싸고 또한 유입 위치들[및 망사들(22)]을 둘러싸는 액체 수집 외주 채널부(28)로 유동한다. 이 채널부(28)는 캡슐 내부에서 응축된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이 액체가 다시 물통(10)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액체가 물통으로 되돌아갈 것이며, 이러한 액체는 다시 수증기로 바뀌기는 하지만 식물들로부터 이미 추출된 다수의 재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증류 공정의 품질이 저하될 것이다. 이는, 순도 100 %의 수증기 증류 공정을 가능하지 않게 함으로 진행중인 증류 공정의 품질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캡슐은 100 %의 유입 수증기로 100 %의 수증기 증류를 허용하며, 물통으로의 (이전의 수증기 및 이전의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액체의 복귀를 방지(또는 최소화)한다. 이 특징은 고품질의 오일 추출물 및 하이드로졸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2a에 더욱 예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vent: 500)가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더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슐(20)의 측면 에지들(27)은 일 예시에서 경사져 있음에 따라 액체가 [측면 에지들(27)을 따라] 액체 수집 외주 채널부(28)로 유동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캡슐의 최하부 표면은 일 예시에서 경사져 있음에 따라 최하부 표면에 축적된 액체가 외주 채널부(28)로 유동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캡슐(20)은 폐쇄 및 밀폐를 위해 유출구(26)의 에지에 제거가능한 재료(29)를 더 포함한다. 이 재료(29)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포일이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설명된 작용들에 적합한 여하한의 재료가 구상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특정한 작업 순서에서는, 타이트닝 레버(tightening lever: 15)가 해제되어(들어 올려져) 응축기(30) 및 물통(10)이 서로(one from the other) 분리되게 한다. 캡슐(20)은 이 구성방식에서 일회용이거나 재충전가능하다. 캡슐(20)은, 캡슐 튜브들(21)이 어댑터 튜브들(8)에 끼워지도록 어댑터(7)에 배치된다. 제거가능한 재료(29)가 제거되며, (튜브형 부재인) 유출구(26)가 응축기(30)의 유입구(31) 아래에 배치된다. 예시된 구성에서는, 유입구(31) 또한 튜브형 부재이다. 유출구(26)는 [요소들(8 및 21)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밀폐를 위해 내부 최하측에 O-링을 포함한다. 특정한 작업 순서에서는, 레버(15)가 내려지고, 유입구(31)가 유출구(26)에 끼워져, 기밀한 밀폐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어댑터 튜브들(8) 및 캡슐 튜브들(21)은 기밀하게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충분히 증류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순서의 작동 단계들의 계속은 캡슐(20)의 추출을 제공하고, 레버(15)를 이용하여 요소들을 서로 들어올림에 따라, 캡슐(20)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예시된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물통(10)은 캡슐에 바로 결합됨에 따라, 도 4b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가 필요하지 않다. 캡슐 몸체(120)는 캡슐(120)의 바닥에 부착된(또는 그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복수의 스텝-섹터 요소들(step-sector elements: 121)[바퀴살-모양의(spoke-like) 구성에서 올라온 부분들(raised landings)]을 포함하며, 그 각각에는 복수의 구멍들(122)이 제공된다(일 예시에서, 각각의 구멍은 약 2 mm의 직경을 갖는다). 캡슐 몸체(120)는 원형 캡슐 기저 요소(circular capsule base element: 123)에 위치된다. 캡슐 기저 요소는, 스텝-섹터 요소들(121)에 대응하고 그 아래에 배치되는 복수의 트랙형 섹터 요소들(track-like sector elements: 125)(바닥에 비해 높임 가공됨)을 포함한다. 물통(10)으로부터 나온 수증기는 (개구부들을 지나) 트랙형 섹터 요소들(125)을 통과한 후, 구멍들(122)을 통해 캡슐 몸체(120)의 내부로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캡슐(20)은 원형 캡슐 기저 요소(123) 아래에 배치된 액체 수집 트레이(126)를 포함하며, 이는 외주 채널부(28)로부터의 원치않는 응축된 액체가 [예를 들어, 채널부(28)의 구멍에 의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20)은 응축기(30)에 결합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는 캡슐(20)의 유출구(26)로부터 지향되어 응축기(30)의 유입구에 들어간다. 유입구(31)는 비교적 짧은 튜브형 부재이다. 수증기는 유입구(31)를 빠져나가, 수증기의 증기가 액체로 응축되는 내측 챔버(32)에 들어간다. 응축기는 챔버(32)의 외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들(35)을 포함한다(도 1 내지 3, 도 5 및 도 7 참조). 챔버(32)의 벽은 얇으며, 일 예시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날개부들(35)(일 실시예에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짐)은, 챔버(32)에 생성된 열을 흡수하고 열 에너지를 대기로 방사시킴으로써 수증기 혼합물의 냉각을 돕는다. 따라서, 날개부들(35)은 열 교환 요소들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유닛(205)은, 도 1a 내지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통 내에 배치되지 않고 메인 장치 구조체(200) 내에 배치된다. 메인 장치 구조체(2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응축기 및 분리 유닛(7)을 포함한다. 하지만, 캡슐(220)은 물통(210) 위에 배치되어, 손잡이(202)를 포함하는 물병 모양 구조체(jug like structure: 203)[이후, 물병(203)이라고 함]를 형성한다. 메인 구조체는 가열 유닛(205)을 더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물병 모양 구조체(203)는 가열 유닛(205) 위에서 메인 구조체(200) 안쪽으로 넣어진다. 가열 유닛(205)은 물통(210) 내의 물을 가열하며, 수증기를 유도한다. 캡슐(22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형 캡슐 기저 요소(223) 상에 배치된다. 또한, 원형 캡슐 기저 요소(223)는 물통(210)용 덮개로도 사용된다.
제거가능한 알루미늄 포일(229)은 제거되며, 물병(203)은 메인 구조체(200) 내의 적절한 챔버(273) 내로 삽입된다. [챔버(273)의 최하부에 있는] 가열 유닛(205)은 물통을 가열하고, 수증기가 상승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캡슐 기저 요소(223)를 통해 캡슐(220)에 들어간다. 증류 수증기는 상승하여 캡슐을 빠져나가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내로 가는데, 메인 구조체(20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응축기에 캡슐이 결합되고 고정된다(예를 들어, 클릭킹(clicking)/고정 요소에 의함).
가열 유닛(205)은 챔버(273)의 최하부 바닥면 아래에 매입되어 있거나 최하부 표면 위에서 챔버(273)의 최하부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가열 유닛(205)의 길이 및 폭은 일 예시에서 각각 3 cm 내지 5 cm이다.
응축기 및 분리 유닛 그리고 그 사이의 연결부는 메인 구조체(200)의 덮개(일 예시에서는 플라스틱)에 의해 덮여 있고 그 안에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들의 기능 및 상호작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오일 수집 병(271) 및 하이드로졸 수집 병(277)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분리 챔버는 투명한 윈도우(272)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선택적인 팬(fan: 36)이 응축기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이는 날개부들(35)을 향해 공기 기둥을 지향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팬(36)은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공기의 기류를 생성함에 따라, 공기가 팬(36)을 향해 위쪽으로 날개부들(35)을 비켜 그리고 팬 밖으로 이동하며, 상기에서와 같이 냉각 공정이 달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30)는 도 5c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응축기를 덮는 원통형 덮개 외측 벽(39)을 더 포함한다. 이는, 팬(36)이 외측 벽(39) 안을 지나가도록 대량의 공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날개부들(35)을 비켜 지나가는 공기의 기류를 증가시켜 이들을 더 높은 효율성으로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각의 효율성에 기여한다. 날개부들 옆에 축적되는 뜨거운 공기가 송풍된다(blown out). 외측 벽(39)은 일 예시에서 금속과 같은 열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챔버(32)의 냉각으로 인해, 수증기의 증기 혼합물은 본 명세서에서 증류액이라고 칭해지는 액체 혼합물로 바뀌며, 증류액은 분리 유닛(40)에 연결된 유출 튜브(38) 내로 모인다. 챔버(32)의 최하부 바닥(37)이 경사져 있음에 따라, 얻어진 증류액 전부를 유출 튜브(38) 아래로 유동시키며, 이는 바닥(37)의 가장 최하부 에지에 배치된다. 챔버(32)의 천정부(33) 또한 경사져 있으며, 일 예시에서 원뿔 형상이다(도 5a 참조). 이는 액체가 챔버(32)의 측면 에지들 아래로 유동하게 함에 따라 액체의 물방울들이 천정부(33)로부터 떨어져 다시 유입구(31)로 가 캡슐(20)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액체로 바뀌는 증기의 거의 전부가 수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가장 효율적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 도 5d 및 도 5e에 도시된) 천정부(33a)는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돔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구성에 따르면, 바닥(37a)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향해 경사져 있다(중심 쪽이 낮음). 증류액은 안쪽으로 유동하여, 바닥 중심부에 위치된 원형 중심 채널부(34) 내로 떨어진다. 이후, 액체 증류액은 유출 튜브(38)에서 채널부(34)를 빠져나간다. 유출 튜브(38)는 일 예시에서 약 2 내지 5 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일 예시에서 약 1 cm의 직경을 갖는다. 이는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지만,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채널부(34)가 경사져 유출 튜브(38)가 채널부(34)의 가장 낮은 지점에 배치되어, 얻어진 증류액 전부가 응축기(30)를 빠져나갈 것이다. 응축기(30)의 내측 표면 및 튜브(38)의 내측 표면은 매끄러우므로, 액체의 이동을 돕는다. 바닥(37a) 및 채널(34)은 일 예시에서 액체를 가능한 한 차갑게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일 예시에서, 응축기(30)는 7 cm 내지 13 cm(예컨대, 10 cm)의 [덮개 외측 벽(39)의] 일반적인 직경을 갖는다. 응축기(30)는 일 예시에서 6 cm 내지 10 cm(일 예시에서, 8 cm)의 일반적인 높이를 갖는다. 덮개 외측 벽(39)은 일 예시에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날개부들(35)은 일 예시에서 연장되며 덮개 외측 벽(39)의 일반적인 직경의 길이를 갖는다. 복수의 날개부들(35)은 일 예시에서 서로 약 2 mm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시에서, 팬(36)은 일 예시에서 7 cm 내지 13 cm(일 예시에서, 10 cm)의 일반적인 직경을 갖는다. 또한, 팬(36)은 1.5 cm 내지 2.5 cm(예를 들어, 2 cm)의 일반적인 높이를 갖는다. 팬(36)은 일 예시에서 (가정용 컴퓨터 및 랩톱에 사용되는 팬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내측 챔버(32)의 내측 벽은 또 다른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매끄럽게 연마된다. 이 특징부는 세정을 돕고, 찌꺼기의 축적을 방지한다. 내측 챔버(32)의 내측 벽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3 cm 내지 5 cm(또 다른 예시에서, 4 cm)이다. 내측 챔버(32)의 내측 벽의 일반적인 높이는 일 예시에서 5 cm 내지 9 cm(일 예시에서, 7 cm)이다.
일 예시에서, 튜브(38)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이 예시에서, 튜브의 일반적인 직경은 0.5 cm 내지 1.5 cm(예컨대, 1 cm)이다. 튜브(38)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3 cm 내지 5 cm(예컨대, 4 cm)이다.
튜브(31)는 일 예시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이에 따라, 응축기(30)로의 열 전도도를 감소시킨다]. 튜브(31)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2 cm(예컨대, 1.6 cm)이다. 튜브(31)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2.5 cm(예컨대, 1.5 cm)이다.
천정부(33a)는 또 다른 예시에서 매끄럽게 연마된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그 최하부 부분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3 cm 내지 5 cm(일 예시에서, 4 cm)이다. 천정부(33a)의 높이는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2 cm(일 예시에서, 1.5 cm) 사이이다.
원형 채널부(34)는 일 예시에서 내비등성 플라스틱(boiling resistant plastic)으로 만들어진다(이에 따라, 열 전도도를 감소시킨다). 원형 채널부(34)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2 cm 내지 5 cm(일 예시에서, 3 cm)이다. 원형 채널부(34)의 깊이는 일 예시에서 0.5 cm 내지 1.5 cm(예를 들어, 1 cm)이다.
증류 공정 전반에 걸쳐, 장치 시스템은 폐쇄된 시스템이 아니라 공기에 개방된 시스템이며, 즉 장치 시스템 내의 압력(예를 들어, 수증기 압력)의 축적을 방지하는 장치의 요소들 전반에 걸쳐 구멍들이 존재한다. 이 시스템에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얻고자 하는 일부 식물 성분의 가수분해를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이는 휘발성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일 예시에서, 3 mm 내지 5 mm의 직경을 갖는) 이러한 구멍들의 예시들은, 예를 들어 채널(34)의 상부 또는 튜브(38)의 상부 등에 적용된다.
응축기(30)는 분리 유닛에 결합된다. 응축기(30)의 유출 튜브(38)로부터 나온 액체는 분리 유닛(40)의 유입구(41)에 들어가며, 도 3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유닛에 유출구(38)가 결합된다. 유입구(41)는 비교적 짧은 튜브형 부재이다. 액체 증류액은 유입구(41)를 빠져나와 분리 챔버(42)(일 예시에서는 유리로 만들어짐)에 들어가며, 이 분리 챔버에서 (혼합된) 하이드로졸과 오일 추출물들을 함유한 증류액이 분리된다. 휘발성 오일(70)의 낮은 밀도는 오일이 하이드로졸(75) 위에 축적되고 떠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분리가 달성된다.
특정한 일 작동 순서에서, 분리는, 병 안으로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분리 챔버의 저부에서 밸브를 열고 닫고, 오일 병을 가져오고, 밸브를 열며, 오일 병에 오일을 수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오일을 엎지르고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개선된 에센셜 오일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대안적인 일련의 단계들에 따르면, 분리 유닛(40)은 분리 챔버(42)(도 6a)를 통해 피스톤(44)을 구동시키는 전기 모터(43)를 더 포함하며, 피스톤(44)의 헤드부는 분리 챔버(42) 직경의 크기의 직경을 가져, 그 에지들이 분리 챔버(42)의 측면들에 기밀하게 가압됨에 따라 그 측면으로부터 액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부유된 오일(70)을 갖는 하이드로졸(75)은 피스톤(44)의 상부에 위치된다. 하이드로졸(75) 및 오일(70)의 양이 수집된 후, 증류 공정이 중지된다. 수증기 전부가 액체로 바뀌고 분리 챔버(42)에서 유동한 후, 오일이 분리될 수 있다.
모터가 가동되어(activated) 피스톤을 위쪽으로 구동시켜, 오일이 유출 튜브(46)를 빠져나간다. 센서(예를 들어, 전극)(45)는 유출구(46)의 최하부에 거의 닿는 분리 챔버(42)의 내측 에지에 배치된다. 센서(45)는 물/하이드로졸 또는 휘발성 오일의 존재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센서는 오일과 물 하이드로졸 혼합물 사이에 존재하는 전도도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센서에 의한 오일의 검출 시, 피스톤(44)이 위쪽으로 구동됨에 따라, 오일이 유출 튜브(46)를 빠져나와 수집 병(71)에 담긴다. 오일의 거의 전부가 튜브 유출구(46)를 빠져나간 순간에, 하이드로졸이 도달하며, 이 지점에서 오일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도록 센서를 트리거링한다(triggers). 이는 전기 회로의 폐쇄(closing)를 유도하고, 모터(43)가 정지되게 한다. 이후, 모터(43)는, 하이드로졸이 수집될 수 있는 지점에 다다를 때까지 피스톤(44)을 구동시켜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일 예시에서, 유출 튜브(76)에 연결된 밸브가 개방되고, 하이드로졸이 유출 튜브(76)를 빠져나가 수집 병(77)에 담긴다. 또한, 제 2 센서가 제 2 유출 튜브(76) 아래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서 액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공정의 완료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액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또한, 응축기의 바닥(37)의 특징부는, 경사져 있어 증류액 전부의 유동을 유도하고 오일의 추출 공정 동안 증류액의 물방울들이 오일 층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이다. 한편, 전체 오일 상(entire oil phase)를 제거한 후 하이드로졸 상을 수집하는 것은, 아로마테라피와 같은 용도에 바람직한 하이드로졸 제품을 산출한다.
대안적인 일련의 단계들에 따르면, 피스톤(44)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튜브(76)의 출구 지점 위에 위치된다(단계 1). (일 예시에서, 타이머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 시간 이후에) 오일이 유출 튜브(76)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상당량의 증류액이 수집될 때, 피스톤(44)은 [모터(43)에 의해] 유출 튜브(76)의 출구 지점 밑으로 내려가(단계 2), 하이드로졸이 유출 튜브(76)에 들어가고 그 다른 단부로부터 튜브(76)를 빠져나가 분리 챔버(42)의 액체 최고 높이(즉, 윗부분에는 오일 + 아랫부분에는 하이드로졸)가 '연결된 통 법칙(connected vessels law)'에 따라 튜브(76)의 거의 최상부와 동일한 높이가 된다. 증류 작업 시, 증류액이 분리 챔버(42)에 들어가고, [연결된 통 법칙에 따라 출구 튜브(76) 및 분리 챔버(42)에 남아 있는 하이드로졸을 제외하고] 하이드로졸이 수집되며, 증류 공정의 종료 시 분리 챔버(42)는 일 예시에서 거의 2.5 cc의 오일 밑에 거의 1.5 cc의 하이드로졸을 유지한다. 단계 3에서, 피스톤(44)이 상승되며, 피스톤(44)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재료들의 구별에 따라 센서에 의해 중지될 때까지 오일이 수집된다. 이후, 단계 4에서 피스톤(44)은 유출 튜브(76)의 출구 밑으로 그리고 액체 수집 트레이(78) 밑으로 내려가며, 분리 챔버(42) 및 유출 튜브에 남아 있는 하이드로졸은 액체 수집 트레이(78)에 방출된다. 선택적으로, 이 작동 모드는 [작동을 시작할 때, 상이한 단계들의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가열 유닛 및 팬을 끌 때(turn off), 오일을 수집할 때 등]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자동 기능은 저장된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유닛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b는 설명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기능을 제공한다.
분리 챔버(42) 내의 증류액은 (하부의) 하이드로졸과 상부의 아로마 오일로 분리된다. 고품질의 증류를 이루려 노력해도 흔히 소량의 식물 재료 왁스가 축적된다. 왁스는 주로 오일 층과 하이드로졸 층 사이에 축적되지만, 이 왁스가 오일과 섞이면, 왁스가 오일 층 밑에 쌓일 때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그 동안에 오일은 다소 혼탁해진다. 증류액이 최상부 오일 층 상에 튀면서 유입구(41)로부터 떨어질 때, 이는 오일과 왁스를 혼합시킨다. (오일이 왁스와 혼합되지 않고 순수하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증류액은 응축기(30)로부터 분리 챔버로 전달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형 요소(85)(일 예시에서,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짐)가 유입구(41)의 최하부 단부에 연결되어, 증류액이 복수의 구멍들(81)을 통해 디스크 요소(85)의 표면으로 빠져나간다. 각각의 홀(81)은 일 예시에서 2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41)는 일 예시에서 거의 8 mm의 직경을 갖는 튜브로서 형상화된다. 디스크 요소(85)는 분리 챔버(42)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져, 증류액(82)이 디스크 요소(85) 상에서 그 에지들로 유동하고, 작은 갭(일 예시에서, 거의 1 mm)을 지난 후, 분리 챔버(42)의 내측 벽 아래로 완만하게 유동하게 한다. 증류액은, 왁스 층이 아로마 오일과 거의 섞이지 않도록 완만하게 분리 챔버(42) 내의 상부 오일 레벨에 도달한다. 따라서, 오일은 원하는 바대로 왁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혼탁해지지 않은 순수한(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순수하고 깨끗한 아로마 오일은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요소(86)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챔버(4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유입구(41)는 분리 챔버(42)의 내측 표면을 향해 지향된 복수의 구멍들(83)을 포함한다. 증류액은 구멍들(83)을 빠져나가 디스크 요소(86) 상에서 아래로 유동하며, 이는 분리 챔버(42)와 디스크 요소(86) 사이에 갭을 가지면서 분리 챔버(42)의 내측 표면에 인접해 있다. 결과적으로, 증류액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서 분리 챔버(42)의 내측 벽 아래로 유동하며,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완만한 유동 효과가 달성된다. 압력의 축적을 회피하여 완만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분리 챔버(42)에 1 이상의 구멍들(84)이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38)는, 튜브(38)의 단부 아래에 배치되고 분리 챔버(42)의 최상부에 배치된 깔때기형 요소(funnel element: 90) 내로 증류액을 방출한다. 증류액은 깔때기형 요소(90)의 좁은 최하부로부터 고정 축에 의하여 깔때기 요소 아래에 배치된 원뿔형 요소(91) 상으로 떨어진다. 증류액은 원뿔형 요소(91)의 뒷 표면을 따라 유동한다. 원뿔형 요소(91)의 넓은 최하부는 분리 챔버(42)의 직경보다 약간만 작은 직경을 가져, 증류액은 분리 챔버(42)와 원뿔형 요소(91)의 최하부 사이의 작은 갭을 통해 분리 챔버(42)의 내측 표면에서 아래로 유동할 수 있다(상기 갭은 일 예시에서 약 0.3 mm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뿔형 요소(91)는 종-모양의 요소로 대체된다. 이는 증류액의 일원화된 느린 유동을 돕고, 왁스와 오일의 혼합을 방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38)는 튜브(38)의 단부 아래에 배치된 깔때기형 요소(93) 내로 증류액을 방출하며, 깔때기형 요소(93)의 좁은 최하부는 분리 챔버(42)의 외측 표면에 부착(밀폐)된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챔버(42)는 깔때기형 요소(93)와의 부착 지점 바로 위의 측벽들에 복수의 구멍들(94)을 갖는다. 증류액은 깔때기형 요소(93)의 좁은 최하부에 축적되며, 구멍들(94)을 통해 분리 챔버(42)의 내측 벽들 아래로 서서히 흐름에 따라, 증류액의 일원화된 느린 유동을 돕고, 왁스와 오일의 혼합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필터 유닛(92)을 더 포함하고, 튜브(38)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유닛(92)을 통해 깔때기형 요소(93) 내로 증류액을 방출한다[필터 유닛(92)은 튜브(38)의 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필터 유닛(92)은 복수의 유리 볼들(96)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서, 각각의 유리 볼은 약 2 mm의 직경을 갖는다. 유리 볼들은 그들의 표면에 식물 성분의 왁스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더 순수한 증류액이 만들어지게 된다. 망사 또는 메시 스크린(95)이 필터 유닛(92)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필터 유닛(92)에 볼들(96)을 유지하며, 볼들(96)이 필터 유닛(9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는, 필터 섬유가 허브 위에 배치되어 증류 공정 내의 왁스성분 재료를 흡수한다.
구멍들(94, 81 및 83)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1 mm 내지 3 mm(예컨대, 2 mm)이다. 분리 챔버(42)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0.8 cm 내지 1.5 cm(예컨대, 1 cm)이다. 분리 챔버(42)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4 cm 내지 9 cm이다. 깔때기형 요소(90)는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깔때기형 요소(90)의 큰 상부 직경은 일 예시에서 0.8 cm 내지 1.5 cm(예컨대, 1 cm)이다. 깔때기형 요소(90)의 작은 하부 직경은 일 예시에서 0.3 cm 내지 0.7 cm(예컨대, 0.5 cm)이다. 깔때기형 요소(90)의 높이는 일 예시에서 0.3 cm 내지 0.7 cm(예컨대, 0.5 cm)이다.
원뿔형 요소(91)는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언급된 바와 같이, 원뿔형 요소(91)의 넓은 최하부는 분리 챔버(42)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원뿔형 요소(91)의 작은 상부 직경은 일 예시에서 0.3 cm 내지 0.7 cm(예컨대, 0.5 cm)이다. 깔때기형 요소(90)의 높이는 일 예시에서 0.3 cm 내지 0.7 cm(예컨대, 0.5 cm)이다.
상기 요소(93)의 큰 직경은 특정 예시에서 1.2 cm 내지 2 cm(예컨대, 1.5 cm)이다. 상기 요소의 작은 직경은 일 예시에서 0.5 cm 내지 1.4 cm(예컨대, 1 cm)이다. 필터 유닛(92)의 일반적인 직경은 특정 예시에서 0.7 cm 내지 1.3 cm(예컨대, 1 cm)이다. 필터 유닛(92)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2 cm 내지 5 cm(예컨대, 3 cm)이다. 필터 유닛(92)은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요소(86)는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요소(86)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8 mm 내지 15 mm(예컨대, 9.5 mm)이다.
유입구(41)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0.2 cm 내지 0.6 cm(일 예시에서, 0.4 cm)이다. 유입구(41)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5 cm(일 예시에서, 3 cm)이다.
도 6a 내지 도 6m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튜브(38)는 [분리 챔버(42)의 상부를 둘러싸는] 둥근 원형 채널(87)에 결합된다. 증류 액체는 튜브(38)로부터 지향되고, 둥근 원형 채널(87)에 축적된다. 액체는 도 6h 내지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챔버(42)의 최상부의 슬릿들(88)을 통과한다. 또한, 액체는 슬릿들(88)을 통과하여 챔버(42)의 둘러싼 벽의 내측을 따라 아래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들에 따르면, 튜브(38)로부터 지향되는 증류 액체는 도 6k 내지 도 6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87)에 들어가기 전에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이유로) 복수의 유리 볼들(96)을 통과한다.
도 6j는 볼들이 챔버(42) 내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또한 액체가 그 안에서 바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볼 차단 요소(97)를 예시한다. 볼들(96)을 통과한 액체는 채널(87)에 축적되고, 슬릿들(89)을 통과하며, 챔버(42)의 둘러싼 벽의 내측을 따라 아래로 유동한다. 각 볼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약 2 mm이며, 복수의 볼들의 부피는 일 예시에서 약 5 cc이다.
하이드로졸 수집 병(77) 및 오일 수집 병(71)은 유리, 또는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 튜브들(76, 46 및 38)은 일 예시에서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Teflon® 코팅 재료로 구성된다. 분리 유닛의 피스톤 튜브는, 분리 공정을 따르고 장치 사용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보이게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튜브(46)는 더 나은 방식으로 오일 유동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돋보기를 갖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 일회용 튜브(onetime disposable tube)이다.
이 실시예는, 특히 오일 분리 특징부들(전극, 피스톤 등)의 관점에서 유용하다. 생성된 오일은 어떠한 수성-증류액(하이드로졸)도 갖지 않는 순수 오일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일을 생성하면, 오일과 혼합된 하이드로졸로부터 축적된 오일을 추가로 세정하는 등의 과정을 거칠 필요성을 방지한다.
깔때기 요소(90)의 작은 하부 직경은 일 예시에서 12 mm 내지 20 mm(예컨대, 16 mm)이다.
튜브(76)의 두께는 특정 예시에서 4 mm 내지 8 mm(예컨대, 6 mm)이다. 그 길이의 예시는 약 8 cm이다(그 4 개의 부분들은 각각 약 1 cm, 4 cm, 2 cm 및 0.5 cm이다).
튜브(46)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3 mm 내지 6 mm(일 예시에서, 4 mm)이다. 튜브(46)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1.5 cm 내지 3 cm(일 예시에서, 2 cm)이다.
일 예시에서, 병(77)은 일 예시에서 100 cc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유리로 만들어진다. 그 길이는 일 예시에서 8 cm이다.
일 예시에서, 병(71)은 일 예시에서 2.5 cc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햇빛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갈색 유리로 만들어진다. 그 길이는 일 예시에서 3 cm이며, 일 예시에서 직경은 1 cm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12 분의 작동 시간 내에 약 80 cc의 하이드로졸 워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간 내에 거의 모든 아로마 오일이 식물 성분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있다 하더라도) 최소량의 식물 재료 왁스가 이 시간 내에 방출된다. 또한, 약 3 cc의 아로마 오일이 이 작동 시간 동안 생성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치는 가열 유닛의 가동을 위해 가열 유닛에 연결된 가동 스위치(6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60)는 상이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가열 유닛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열 조절기를 가동시킨다. 가열 유닛은 전기 플러그(61)를 통해 전기 소켓에 연결된다. 전기 플러그(65)는 전기 소켓에 연결되며, 장치의 다른 전기 유닛들, 즉 응축기 팬(36) 및 분리 유닛 모터(43)에 동력을 공급한다. 응축기(30)는 팬(36)을 가동/비가동시키는 스위치(69)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분리 챔버(42)에 축적된 오일 전부를 병(71) 안에 추출 및 수집하기 위해 모터(43)를 가동시키는 스위치(67)를 더 포함한다. 피스톤(44)은 모터(43)의 작동 전에 시작 상태에 위치된다. 스위치(67)를 누르면, 모터(43)가 구동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졸이 전극/들에 닿을 때까지 피스톤(44)을 이동시킨다. 이후, 모터가 구동되며, 오일 전부가 제거된 후에는 피스톤(44)을 다시 시작 상태로 이동시킨다.
일 예시에서, 응축기 팬(36)은 스위치(69)를 누름으로써 가동된다. 몇 분 가동된 후, 가열 유닛이 꺼진다. 이후, 응축기 팬(36) 또한 비가동된다. 후속하여, 스위치(67)를 누름으로써 오일이 수집된다.
상기 장치는 선택적으로 모든 전기 요소들을 자동으로 가동 및 비가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그 스위치를 한 번 누름으로써 전체 공정이 실행된다. 이는 가열 유닛 및 팬(36)의 가동 및 비가동,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분리 유닛 모터의 가동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이는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제어 유닛, 타이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오일이 수집된 후에 가동되는 LED와 같이 공정의 종료를 알리는 표시 유닛을 포함한다.
요소의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자가-세정을 위한 유리한 특징부를 제공한다. 이 모드에서는, 가열 유닛이 가동된다. 수증기는 식물 성분을 여전히 담고 있는 사용된 캡슐(20)을 통해 또는 빈 캡슐(20)을 통해 이동한다. 수증기는 유입구(31)를 통해 지향된다. 팬(36)이 꺼짐에 따라, 수증기는 대부분 응축기 챔버(32)에서 물로 바뀌지 않으며, 챔버(32)를 세정하고, 튜브(38)를 통해 분리 유닛으로 계속 진행한다(또한, 이를 세정한다). 수증기는 분리 유닛의 모든 튜브들/챔버들을 통해 이동하며, 이들을 세척 및 세정한다. 선택적으로, 팬은 상호교환가능하게(interchangeably) 켜지고 꺼지며, 일부의 시간에는 수증기가 그리고 일부의 시간에는 물이 일부분이 응축기를 통해 분리 유닛(40)을 통해 지나간다. 따라서, 모든 튜브들, 챔버들 및 통로들을 세척 및 세정한다. 세척 공정의 종료 시, 세정수가 액체 수집 트레이(78)를 통해 방출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아로마 세척 스위치 또는 버튼이 세척 공정을 가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작동 모드는 음료의 증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캡슐은 커피 또는 차 분말과 같은 증류에 바람직한 고체 유기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를 이용하면, 수증기가 분말이 섞이지만, 커피는 휘발성이 아니므로 수증기와 함께 캡슐을 빠져나가지 않는다. 하지만, 커피의 다른 재료들은 휘발성이므로, 수증기와 함께 추출되어, (응축 후) 얻어진 액체는 커피 향과 커피 맛을 갖는 투명한 액체이다(액체는 주로 휘발성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분리 챔버는 (분리 용도가 아니라) 얻어진 액체를 수집 및 분산시키는 데에만 사용된다. 종래의 커피 캡슐들은, 수증기/온수가 커피와 섞여 휘발성 그리고 대부분 비-휘발성 재료들을 갖는 커피를 생성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예를 들어 물 증류 하에서 비-휘발성인 카페인이 수증기로 추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카페인 없는 음료가 얻어진다. 대안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커피 기반의 음료를 추출 및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차 기반의 음료를 생성하도록 구성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는 물 희석 디바이스(water dilution device: 도시되지 않음)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공된 구성에서, 물 희석 디바이스는 농축된 하이드로졸로부터 음료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설명된 디바이스의 또 다른 구성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특정 온도 범위에 따라) 차가운 또는 뜨거운 여과된 수돗물(filtered tap water)로 수-증류액을 희석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냉각 장치와 가열기 그리고 표준 정수기와 함께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디바이스에는 탄소-필터, 전기 가열기, 및 압축기 모듈이 제공되며, 상기 모듈은 수-증류액 및 다른 추출물들 그리고 추출 공정들로부터 유도된 여타의 화합물들의 (특정 농도 범위에 따라) 희석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여과수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이러한 구성은 시원한 또는 따뜻한 수-증류액 기반의 음료를 생성하며, (예컨대, 간단한 자연 음료 및 테라피 치료에)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설명된 디바이스는 첨가물 카트리지(additive cartridge)를 갖도록 구성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디바이스는, 물/하이드로졸 혼합물이 첨가물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향(flavor), 감미료, 또는 다른 추출물로 가미되도록 구성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디바이스는 하이드로졸 농축액의 사전-감미 용기들(pre-sweetened containers)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방식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회수된 물이 카트리지 및 하이드로졸 내에 함유된 사전-감미 농축액과 혼합 또는 조합되는 방식으로 사전-감미 카트리지에 결합된다.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첨가물 카트리지는 전체 혼합물을 탄산수로 만들기 위해 적합한 요소를 포함한다.
이전 중 어느 하나에서, 생성된 음료는 제거가능한 저장 용기에 보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음료 용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원해지거나 따뜻해질 수 있다.
요소들의 또 다른 구성방식에서, 본 디바이스는, 물 용기에 저장된 여하한의 종류의 발효된 유기 재료(대개 효모에 의해 발효됨)로부터 음료-등급 알코올을 추출 및 증류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 순수 증류 알코올을 얻기 위해 빈 캡슐이 디바이스에 삽입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휘발성 식물 화합물들을 함유한 에탄올을 얻고자하는 경우, 적절한 식물 성분을 담는 캡슐이 사용되어야 한다. 일 구성방식에서, 예를 들어 온도계에 의해 제어되는 가열 요소는 증류 공정 동안 액체를 증류하기 위해 끓는점 이상으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 예시에서, 발효 액체로부터 에탄올을 증류하기 위해, 에탄올이 78 ℃(에탄올 끓는점)로 상승된다. 이 경우, 증류된 알코올은 하이드로졸 병 위치에 배치된 병에 수집된다. 온도계가 제공된 디바이스는, 64 이상(즉, 메탄올 끓는점) 또한 78 이하(에탄올 끓는점)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 짧은 사전-증류 공정에 의해 미량의 메탄올(때때로 효모로부터 생성되는 매우 유독성의 알코올)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라면, 사전-증류 및 증류 온도의 상이한 구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액체들이 증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조제된(prepared) 휘발성 오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바로 이용이 가능한 휘발성 오일을 생성하기 위해 첨가물 카트리지 포트에 저장된다. 휘발성 오일 추출물은 아로마테라피에 많이 사용되는(rottenly used) 캐리어 오일과 같은 유용성 화합물(oil-soluble compounds)로 희석될 수 있으며, 조제된 조성물들은 저장 희석 오일 용기로 지향되어, 주어진 조성 및 농도를 갖는 조제된 오일이 당해(in question)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오일의 적절한 혼합 및 농도(consistency)가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설명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는 조제된 휘발성 오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천연 향수를 생성하기 위해 첨가물 카트리지에 저장된다. 휘발성 오일(또는 다른 추출물들)은 캐리어 알코올(또는 다른 유용성 화합물들)로 희석될 수 있다. 향수 및 조제된 조성물들은 저장 희석 알코올 향수 용기로 지향되어, 주어진 조성 및 농도의 조제된 향수가 당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오일의 적절한 혼합 및 농도가 유지된다.
이전의 구성방식들에서, 설명된 디바이스는 가정용으로 적합하고 작동이 간단한 통합된 음료 생성 설비로서 제공된다. 또한, 설명된 본 발명은, 맞춤 가능한 첨가물(customizable additives) 및 착향료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 다양한 단일 기능 디바이스들에 대한 적합한 대체물이다.
예시들
이전의 예시들은 본 발명의 공정들 및 설명된 장치의 요소들의 특정 치수 둘 모두에 대한 예시적인 특정 설명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이전의 예시들은 예시적이며, 다른 재료, 치수 및 과정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 1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캡슐 내에 배치된 허브를 증류하면, 그리드에 배치된 것보다 더 많은 양의 휘발성 오일을 산출한다. 캡슐은, GCMS 방법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상에서보다 더 높은 품질을 갖는 휘발성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산출한다. 탱크에 남겨진 물은 그리드를 이용한 것에 비해 맑고 깨끗하다.
주어진 예시에서, 설명된 장치는 유출 튜브(6)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2 cm(예컨대, 1.6 cm)이다. 캡슐의 부피는 일 예시에서 300 cc 내지 500 cc(예컨대, 400 cc)이다. 캡슐의 최하부 직경은 일 예시에서 6 cm 내지 10 cm(예컨대, 8 cm)이다. 캡슐의 높이는 일 예시에서 4.5 cm 내지 7.5 cm(예컨대, 6 cm)이다. 어댑터(7)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4.5 cm 내지 7.5 cm(예컨대, 6 cm)이며, 금속 또는 내비등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유출구(26)의 일반적인 직경은 일 예시에서 1 cm 내지 2 cm(예컨대, 1.6 cm)이다. 유출 튜브(26)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0.3 cm 내지 4 cm(예컨대, 0.5 cm)이다. 유출구(26)는 일 예시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튜브(8)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3 mm 내지 7 mm(예컨대, 5 mm)이다. 튜브(8)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3 mm 내지 7 mm(예컨대, 5 mm)이다. 튜브(8)는 일 예시에서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튜브(21)의 직경은 일 예시에서 2.8 mm 내지 5.2 mm(일 예시에서, 4.1 mm)이다. 튜브(21)의 길이는 일 예시에서 4.5 mm 내지 7.5 mm(일 예시에서, 6 mm)이다. 캡슐(20)은 선택적으로 투명하고(또는 그 일부가 투명함), 일 예시에서 플라스틱(예를 들어, 재생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그 안에 담기는 식물 재료는 이를 캡슐을 통해 보여질 수 있다. 캡슐(20)은 일 예시에서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작동 시, 80 g의 신선한 라벤더 잎이 앞서 설명된 오일 추출 장치의 그리드에 넣어졌다. 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끓는 물 이상에서 그리드에 배치된 라벤더 잎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0.7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또한, 80 g의 신선한 라벤더 잎이 본 발명의 캡슐에 넣어졌다. 물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캡슐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분리 유닛에서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0.9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을 포함한 본 발명이 29 %의 더 높은 효율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시 2
예시 1에서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120 g의 신선한 오로블랑코(oroblanco)[시트러스 파라디시(Citrus paradisi)와 시트러스 맥시마(Citrus maxima)의 교배종]의 껍질이 앞서 설명된 오일 추출 장치의 그리드에 넣어졌다. 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끓는 물 이상에서 그리드에 배치된 라벤더 잎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0.8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또한, 120 g의 신선한 오로블랑코의 껍질이 본 발명의 캡슐에 넣어졌다. 물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캡슐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분리 유닛에서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1.2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을 포함한 본 발명이 50 %의 더 높은 효율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시 3
120 g의 신선한 네이블 오렌지의 껍질이 앞서 설명된 오일 추출 장치의 그리드에 넣어졌다. 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끓는 물 이상에서 그리드에 배치된 라벤더 잎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0.35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또한, 120 g의 신선한 네이블 오렌지의 껍질이 본 발명의 캡슐에 넣어졌다. 물통의 물이 가열되고 수증기가 생성되어 캡슐을 통과하였다. 수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었으며, 얻어진 액체는 분리 유닛에서 하이드로졸 및 아로마 오일로 분리되었다. 10 분의 작동 후, 100 ml의 하이드로졸과 0.9 ml의 오일이 얻어졌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157 %의 더 높은 효율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조합, 대안예 및 변형예가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대안예, 변형예 및 변경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액체를 물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이 실현되는 한 다른 액체들도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 안에서 형태 및 세부사항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 4
Figure pct00001
결론:
캡슐 내의 소량의(약 60 g) 라벤더의 증류는 그리드에서보다 33 % 더 높은 오일 양을 산출한다.
대량의(약 180 g) 허브(라벤더)를 이용할 때, 캡슐 또는 그리드가 사용되는 경우 오일 산출량의 검출가능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는다.
예시 5
캡슐 내에 배치되거나 그리드 상에 놓인 신선한 스위트 마조람(sweet marjoram)[오리가늄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의 가지를 증류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결론:
1 - '사비넨 하이드레이트'의 2 개의 이성질체(시스 및 트랜스)는 [탈수(dehydration)에 의한] 저하에 매우 민감한 화합물들로서 고려됨에 따라, 마조람은 증류 공정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2 - 상기의 결과는, 캡슐을 갖는 공정이 두 이성질체를 보유하며, 식물 성분이 그리드에 놓일 때 일어나는 완전한 저하에 비해 이들의 저하를 방지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3 - 캡슐도 그리드도 사용하지 않고 얻어진 하이드로졸 내에서는 두 이성질체의 검출가능한 양이 발견되지 않았다.

Claims (37)

  1. 유기 성분(organic matter)으로부터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hydrodistillate)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에 있어서,
    액체를 담는 통(vessel) - 상기 통은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를 가짐 -;
    상기 액체를 가열하고 증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유닛;
    식물 성분을 담고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를 갖는 탈착식 재료 용기(detachable material container) - 캡슐의 유입 포트는 물통의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에 결합되어, 증기를 수용하고 상기 증기와 식물 성분 간의 접촉을 허용하여 우려낸 증기(infused vapor)를 생성함 -;
    상기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유출 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우려낸 증기를 응축점으로 냉각시켜 응축된 액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된 액체로부터 상기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을 분리 및 제거하도록 상기 응축기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분리 유닛을 포함하는 증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유입 포트를 둘러싸고 상기 용기의 최하부 바닥의 외주 에지를 따라 형성되는 외주 액체 수집 채널부(peripheral liquid collecting channel portion)를 포함하는 증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최하부 바닥에 부착되고 상기 최하부 바닥으로부터 높임 가공된 복수의 스텝-섹터 요소들(step-sector elements)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텝-섹터 요소는 이를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증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최하부 바닥 밑에 배치되고 이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트랙형 섹터 요소(track-like sector)를 포함하는 기저 요소(base 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형 섹터 요소는 상기 스텝-섹터 요소들에 대응하고, 상기 스텝-섹터 요소들 아래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면들은 경사져 있고, 상기 용기의 최하부 바닥은 경사져 있는 증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둥근 돔형의 최상부(rounded dome shaped top portion)를 갖도록 구성되는 증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은:
    상기 응축기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응축된 액체를 수용하는 분리 챔버 - 상기 분리 챔버는 상부 유출구 및 하부 유출구를 포함함 -;
    모터;
    상기 분리 챔버 내에서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 -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응축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리 챔버의 내측 벽에 근접하게(intimately) 접촉함 -; 및
    상기 상부 유출구의 최하부 에지에 가깝게 상기 분리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의 전도도 간의 차이를 구별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증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 유입구 - 상기 튜브형 부재 유입구는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챔버는 상기 유입구의 최하부 단부에 연결된 디스크형 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형 요소는 상기 분리 챔버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는 증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요소는 상기 분리 챔버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 증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챔버는, 튜브의 일 단부 아래에 배치된 깔때기형 요소 및 상기 깔때기형 요소 아래에 배치된 원뿔형 요소를 포함하는 증류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튜브의 일 단부 아래에 배치된 깔때기형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형 요소의 좁은 최하부는 상기 분리 챔버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분리 챔버는 상기 깔때기형 요소와의 부착 지점 바로 위의 측벽들에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증류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튜브의 단부 아래에 배치된 필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복수의 유리볼들, 및 상기 필터 유닛의 최하부에 배치된 망사를 포함하는 증류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챔버의 상부를 둘러싸는 원형 채널에 결합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챔버의 최상부는 슬릿들(slits)을 포함하는 증류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슬릿들을 포함하는 차단 요소 위에 놓인 복수의 유리볼들 위에 배치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요소는 상기 분리 챔버 위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내측 챔버;
    상기 챔버의 외측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부들; 및
    상기 응축기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팬(fan)을 더 포함하는 증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날개부들을 덮는 길이로 응축기를 덮는 원통형 덮개 외측 벽을 더 포함하는 증류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의 최하부 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유출구는 상기 바닥의 최하부 에지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의 최하부 바닥은 둥글며 안쪽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내측 챔버의 바닥은 바닥 중심에 위치된 원형 채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부는 경사져 있고, 유출구는 상기 채널부의 최저 지점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의 천정부는 경사져 있는 증류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의 천정부는 원뿔 형상 및 돔 형상으로부터 선택된 일 형상을 갖는 증류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물통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 상기 응축기 및 상기 분리 유닛을 포함하는 메인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통 위에 배치되는 기저 요소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구조체 내의 메인 챔버 내로 삽입되어 맞추어지는 제거가능한 물병 모양 구조체(removable jug-like structure)를 형성하며,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메인 챔버의 최하부 표면의 일 위치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메인 챔버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메인 챔버의 표면 밑에 배치되는 증류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인 증류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물 카트리지(additive cartridge)를 수용하기 위한 첨가물 포트를 더 포함하는 증류 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물 카트리지는 상기 분리 챔버에 저장된 추출물의 특성을 바꾸도록 구성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증류 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무독성 음료수로서 이용하기 위해 수-증류액을 희석하도록, 저장된 수-증류액으로 물이 지향되는 증류 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용 무독성 오일로서 이용하기 위해 조제(preparation) 시 오일을 희석하도록, 저장된 휘발성 오일로 유용성 화합물들(oil-soluble compounds)이 지향되는 증류 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향수용 무독성 오일로서 이용하기 위해 조제 시 오일을 희석하도록, 저장된 휘발성 오일로 에탄올이 지향되는 증류 장치.
  31. 유기 성분으로부터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에 저장된 액체로부터 증기를 생성하는 단계;
    유기 성분을 담고, 우려낸 증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거가능한 캡슐을 통해 상기 증기를 지향시키는 단계;
    상기 증기가 상기 캡슐을 통과한 후 상기 우려낸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
    분리 챔버에서 응축된 수-증류액의 다른 구성물들로부터 휘발성 오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 챔버 외부에 있는 제 1 수집 영역에서 상기 오일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 챔버 외부에 있는 제 2 수집 영역에서 상기 응축된 수-증류액의 다른 구성물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이고, 상기 다른 구성물들은 수-증류액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분리 챔버의 제 1 사전설정 위치에서 상기 오일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증류액이 상기 사전설정 위치에서 검출될 때, 피스톤의 동작을 저지시키는 단계;
    제 2 사전설정 위치로 상기 피스톤을 철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 챔버로부터 잔여 액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출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휘발성 오일 및 수-증류액을 함유한 응축된 액체를 수용하는 분리 챔버를 통해 피스톤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분리 챔버의 제 1 사전설정 위치에서 수-증류액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
    수-증류액이 상기 사전설정 위치에서 검출될 때, 상기 피스톤의 동작을 저지시키는 단계;
    제 2 사전설정 위치로 상기 피스톤을 철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 챔버로부터 잔여 액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출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수-증류액의 존재를 판정하는 전극을 구성하는 단계;
    수-증류액이 검출될 때까지 작동을 계속하도록 상기 피스톤으로 제 1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수-증류액이 검출될 때, 작동을 반전시키도록(reverse) 상기 피스톤으로 제 2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출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일정 부피의 응축수를 수집할 때까지 수증기가 빈 캡슐로 이동하고 상기 응축기를 통해 상기 분리 유닛 쪽으로 모든 튜브들/챔버들을 세척할 때, 작동을 반전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으로 제 3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세정 응축수가 액체 수집 트레이에 방출되고, 세정 단계를 종료할 때, 작동을 반전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으로 제 4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출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추출된 오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첨가물 카트리지로부터 조성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된 오일과 상기 조성물을 조합하여, 최종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조성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출 방법.
KR1020157001542A 2012-06-21 2013-06-20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KR102119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2408P 2012-06-21 2012-06-21
US61/662,408 2012-06-21
PCT/US2013/046806 WO2013192415A2 (en) 2012-06-21 2013-06-20 Distillatio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and hydrosols from plant matter within a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825A true KR20150023825A (ko) 2015-03-05
KR102119172B1 KR102119172B1 (ko) 2020-06-05

Family

ID=4976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542A KR102119172B1 (ko) 2012-06-21 2013-06-20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56501B2 (ko)
JP (2) JP6284932B2 (ko)
KR (1) KR102119172B1 (ko)
CN (2) CN104812453A (ko)
WO (1) WO201319241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11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약용작물을 이용한 방향성 하이드로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2230B2 (en) * 2011-02-18 2016-03-01 Richard Myers Oil extraction device for use at home and method of use
CA2926016C (en) 2013-10-04 2023-03-21 Natural Extraction Serv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otanical oils
US9592457B2 (en) * 2014-02-11 2017-03-14 Edwin Pajarillo DABAO Oil extractor
CA2981590C (en) * 2015-04-03 2023-07-25 Natural Extraction Systems, LLC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otanical oils
CA3221966A1 (en) * 2016-03-16 2017-09-21 Spogen Biotech Inc. Methods for promoting plant health using free enzymes and microorganisms that overexpress enzymes
CN109310931A (zh) 2016-05-02 2019-02-05 自然萃取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提取植物油的改良方法和设备
US20180014981A1 (en) * 2016-07-12 2018-01-18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atient fluid absorption and estimation
TR201612421A2 (tr) * 2016-09-02 2018-03-21 Arcelik As Bi̇r aroma çikartma ci̇hazi
TR201615859A2 (tr) * 2016-11-07 2018-05-21 Arcelik As Bi̇r aroma çikartma ci̇hazi
TR201618022A2 (tr) * 2016-12-07 2018-06-21 Arcelik As Bi̇r aroma çikartma ci̇hazi
TR201618049A2 (tr) * 2016-12-07 2018-06-21 Arcelik As Bi̇r aroma çikartma ci̇hazi
US10406451B2 (en) 2017-08-24 2019-09-10 Lab Society Llc High efficiency distillation head and methods of use
US10751638B2 (en) 2017-03-03 2020-08-25 Lab Society Llc High efficiency distillation head and methods of use
US10463983B2 (en) * 2017-03-31 2019-11-05 Picobrew, Inc. Distillation and essence extractor insert for beer brewing machine
US10596485B2 (en) * 2017-04-03 2020-03-24 Fritz Chess Multi-functional distiller
WO2018215520A1 (en) * 2017-05-24 2018-11-29 Drizzle Ip Ivs Domestic household device for plant extraction
CN107115690B (zh) * 2017-05-26 2023-10-10 深圳市兆福源科技有限公司 一种溶液制取装置
DE102017113284A1 (de) * 2017-06-16 2018-12-2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moto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US10010643B1 (en) 2017-08-30 2018-07-03 Remarkably Well, Inc Apparatus for dissolving a fragrance carrier
USD838826S1 (en) 2017-08-30 2019-01-22 Remarkably Well, Inc Aromatherapy shower tablet
USD848596S1 (en) 2017-08-30 2019-05-14 Remarkably Well, Inc Aromatherapy shower tablet dissolver
US10165906B1 (en) 2017-08-30 2019-01-01 Remarkably Well, Inc Apparatus for dissolving a fragrance carrier
US10596486B2 (en) * 2017-09-21 2020-03-24 Louis Phillip Nevitt Plant matter fractional distillation system using heated air induction into precisely heated chamber to extract a plant's organic compounds without use of solvents
CN107699353B (zh) * 2017-09-29 2020-07-03 晨光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蒸馏工艺
IL258287B (en) * 2018-03-21 2021-08-31 Leb David A home machine for extracting plants in a capsule
US10669248B2 (en) 2018-08-10 2020-06-02 Natural Extraction Systems, LLC Methods to chemically modify cannabinoids
US10822320B2 (en) 2018-08-10 2020-11-03 Natural Extraction Systems, LLC Methods to purify cannabinoids
WO2021034965A1 (en) * 2019-08-20 2021-02-25 Craig Scott E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essential oils
CN111205930B (zh) * 2020-03-16 2024-03-15 中山景泓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植物精油提取机及其操作方法
US20220167685A1 (en) * 2020-11-30 2022-06-02 Glassful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inhaling vapor
FR3130171A1 (fr) 2021-12-14 2023-06-16 Phytashen Appareil portatif à usage domestique pour la production d’eau aromatique et/ou l’extraction par distillation d’huile essentielle
CN114949918B (zh) * 2022-06-20 2023-09-01 江西润井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香精提炼的萃取设备
US11648489B1 (en) * 2022-06-22 2023-05-16 Liang Guo Automatic distiller and infus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801A (ja) * 1999-03-04 2000-11-07 Aoki Corp 抽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2047143A (ja) * 2000-07-31 2002-02-12 Reiko Tokuchi ローズマリー蒸溜水とその製造方法
JP3122582U (ja) * 2006-04-07 2006-06-15 純 野口 エキス抽出蒸留装置
JP3131339U (ja) * 2006-12-14 2007-05-10 昭三 谷口 蒸留器
KR100820344B1 (ko) * 2006-10-19 2008-04-07 주식회사 파인엠 식물체의 정유 추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9992B1 (ko) * 1974-05-06 1981-11-27 Hydronautics
US4022694A (en) * 1974-05-06 1977-05-10 Hydronautics, Incorporated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FR2388881A1 (fr) * 1977-04-27 1978-11-24 Martel Jean Pierre Procede de production acceleree, notamment en discontinu, d'huiles essentielles parfumees a partir de plantes a parfums ou de parties desdites plantes, telles que par exemple graine, bulbes, fleurs et installation pour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CH641832A5 (fr) 1980-01-07 1984-03-15 Etienne Legast Procede pour l'extraction a la vapeur d'eau de l'huile essentielle d'une matiere vegeta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547929B2 (ja) * 1992-10-19 1996-10-30 明豊精機株式会社 船舶のビルジ水分離・回収装置
JP3131339B2 (ja) * 1993-12-22 2001-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陰極、陰極線管および陰極線管の作動方法
GB2293776B (en) * 1994-08-04 1996-09-04 Nobuyoshi Kuboyama Health beverage with an extracted ingredient from plant, animal or mineral as major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6322704B1 (en) * 1996-05-23 2001-11-27 John D. Martin Radial-flow fluidizable filter
US5951825A (en) 1997-03-26 1999-09-14 Land; Glenn E. Convertible distillation apparatus
JPH11114302A (ja) * 1997-10-14 1999-04-27 Toyo Kouatsu:Kk 小型抽出装置
US5960563A (en) * 1998-01-12 1999-10-05 Big Beans Holding, Ltd. Extraction and drying apparatus
US6602060B2 (en) * 1998-12-11 2003-08-05 Ovation Products Corporation Compressor employing piston-ring check valves
GB2377218A (en) * 2001-05-04 2003-01-08 Gw Pharmaceuticals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active substances and enriched extracts from natural products
EP1338232B1 (en) 2002-02-19 2005-04-20 Simatelex Manufactory Company Limited Method of making coffee and coffee maker
US20080128260A1 (en) 2006-12-05 2008-06-05 Moshe Balass Small and efficient distillatio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from plant matter
WO2008130254A1 (en) * 2007-04-24 2008-10-30 Equus Environmental Limited Distillation apparatus
US7862730B2 (en) * 2007-07-10 2011-01-04 M-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water
EP2014345A1 (en) 2007-07-13 2009-01-14 Tommy Byskov Oil separator
CN201223738Y (zh) * 2008-07-11 2009-04-22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多功能双层挥发油提取釜
CN201353436Y (zh) * 2008-12-26 2009-12-02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具有多层隔板的挥发油提取装置
CN201400668Y (zh) * 2009-05-04 2010-02-10 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种植物挥发油提取装置
EP2316549B1 (en) 2009-08-03 2012-06-27 Latvijas Lauksaimniecibas Universitäte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water from bioethanol by combined adsorption and distillation
EP2294931A1 (en) * 2009-09-02 2011-03-16 Drom Fragrances GmbH & Co. KG Improved process and improved apparatus for yielding plant ingredients
CN102250689A (zh) * 2011-05-30 2011-11-23 新疆大学 一种减压水蒸气蒸馏提取香料植物精油的设备和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801A (ja) * 1999-03-04 2000-11-07 Aoki Corp 抽出装置および方法
JP2002047143A (ja) * 2000-07-31 2002-02-12 Reiko Tokuchi ローズマリー蒸溜水とその製造方法
JP3122582U (ja) * 2006-04-07 2006-06-15 純 野口 エキス抽出蒸留装置
KR100820344B1 (ko) * 2006-10-19 2008-04-07 주식회사 파인엠 식물체의 정유 추출 장치
JP3131339U (ja) * 2006-12-14 2007-05-10 昭三 谷口 蒸留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11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프라임오라 약용작물을 이용한 방향성 하이드로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2415A2 (en) 2013-12-27
CN105907470B (zh) 2020-02-04
JP6607980B2 (ja) 2019-11-20
KR102119172B1 (ko) 2020-06-05
JP2015523912A (ja) 2015-08-20
JP6284932B2 (ja) 2018-02-28
CN105907470A (zh) 2016-08-31
US10569193B2 (en) 2020-02-25
CN104812453A (zh) 2015-07-29
US20180214792A1 (en) 2018-08-02
JP2018099686A (ja) 2018-06-28
WO2013192415A3 (en) 2014-02-13
US9956501B2 (en) 2018-05-01
US20140001027A1 (en)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172B1 (ko)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US20120211697A1 (en) Oil Extraction Device For Use At Home And Method Of Use
US20120097042A1 (en) Infusion press lid assembly
US20060108348A1 (en) Steam cooker
WO2013074423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CA2671201A1 (en) Percolator device
KR101756705B1 (ko)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WO2006118668A1 (en) Moisture adding microwave lid apparatus
WO2004002278A9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US3595623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flavoring elements from vegetable matter
KR20110031893A (ko) 일회용 원두 커피 필터
JP2019197732A (ja) マイクロ波照射装置および方法
JP6496269B2 (ja) 調理器具を兼ねる蒸留装置
US11648489B1 (en) Automatic distiller and infuser
KR101973909B1 (ko)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WO2016061234A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with cleaning feature
BR102012032112B1 (pt) aparelho eletrodoméstico de preparação de bebida que compreende um recipiente de trabalho e um dispositivo de filtração
JP4831060B2 (ja) 電子レンジ用の小型抽出装置
WO2007079616A1 (en) A kettle for boiling beverage
CN103209624A (zh) 具有穿孔盖体的油炸锅
CN105147044B (zh) 使用食物榨汁的设备和方法
TW201315526A (zh) 純露香精油蒸餾設備
KR101744054B1 (ko) 전기약탕기 및 이를 이용한 한약액 추출방법
TR201618049A2 (tr) Bi̇r aroma çikartma ci̇hazi
TWI284026B (en) Counter-flow cookware having down opening for coo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