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09B1 -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09B1
KR101973909B1 KR1020180119816A KR20180119816A KR101973909B1 KR 101973909 B1 KR101973909 B1 KR 101973909B1 KR 1020180119816 A KR1020180119816 A KR 1020180119816A KR 20180119816 A KR20180119816 A KR 20180119816A KR 101973909 B1 KR101973909 B1 KR 10197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er
grinding
pulveriz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성
Original Assignee
김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성 filed Critical 김금성
Priority to KR102018011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는, 증삼/추출/고농축/분쇄/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 중부 구조, 하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를 일정 진공압으로 유지하는 진공제어장치부, 및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 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부 구조는 증삼용 용기, 추출/농축용 용기, 및 초미세 분쇄/믹서 용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구조는 가열히터부와 분쇄 회전모터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히터부가 형성되는 원형열판기의 중심부에 회전모터축이 안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CONCEN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MULTI FUNCTION}
본 출원은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증삼/추출/고농축/분쇄 및 믹서기 기능 등을 첨단 기술로 압축 융합시켜 다기능이 내장된 가정용 농축액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농축 공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내부 용기를 교체하거나 내부 용기를 별도의 외부 용기에 체결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는, 크게, 상부, 중부, 하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구조는 증삼시 사용되는 고온 및 가압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와 고농축에 필요한 진공제어장치부 및 중부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부구조는 증삼용 용기 또는 추출/농축용 겸용 용기 또는 초미세 분쇄/믹서기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구조는 원형열판기의 중심을 뚫어서 회전모터축을 안착시키는 구조로 작은 공간으로 증삼/추출/ 고농축/분쇄 및 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열히터부와 분쇄 회전모터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약탕기나 중탕기, 또는 홍삼액 추출기 등은, 일반 가정에서 건삼이나 수삼을 증숙하고, 증숙된 증삼을 다시 달여서 추출된 인삼액을 음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건강 식품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홍삼은 많은 수요자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약탕기와 중탕기, 홍삼액 추출기 등이 시판되고 있다.
홍삼은 인삼을 쪄서 증포시킨 것으로, 증포 과정에서 인삼의 성분이 농축된다. 인삼 사포닌 중에는 수삼을 증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홍삼에만 특유하게 존재하는 사포닌이 있는데, 이러한 홍삼에 소량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Rs3와 같은 특유성분이 암 예방작용, 암세포 성장 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작용, 항혈전작용, 항산화작용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점이 밝혀져 홍삼만이 가지는 장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홍삼 및 각종 진귀한 생약재를 이용한 고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진공 장치와 결합된 농축 과정이 필요하며, 한약재(홍삼 등)와 물이 들어 있는 내부 용기를 별도의 외부 용기에 넣고, 내부 용기를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중탕 방식이 요구된다.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28594호는 중탕을 위해 조리대상물이 담긴 내부 용기를 외부 중탕용기 내에 착탈시키는 기술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홍삼액 제조기는 농축을 위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따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홍삼의 제조 공정에 따라 농축 모드에는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 내에 장착하고, 농축 이외의 공정(예를 들어, 가열 모드)에서는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홍삼액 제조기는 증삼 공정에서 단순히, 찜기에 물을 적정량 채우고 채반 등에 올린 수삼 등을 찜기에 넣어 찌는 기술에 대해 제안하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8594호
본 출원은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들을 첨단 기술로 압축 융합시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기능성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한 제품으로 내부 용기를 교체하거나 내부 용기를 별도의 외부 용기에 체결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농축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농축 대상물인 수삼 등을 증삼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증삼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농축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진귀한 생약재들을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하는 과정에서 성분 및 시간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진공분쇄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진귀한 생약재들이 열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휘발 유실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추출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열에 유효성분 채집 및 회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수위 감지용 센서를 이용하여, 농축 정도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는 농축액 제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경고용 센서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물이 넘치거나 용기의 바닥이 타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는, 농축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갖는 메인 수용부와, 상기 메인 수용부의 측부에 마련되어 중탕용 물이 수용되는 보조 수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메인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인 수용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수단; 및 상기 보조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수용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용부는 내부에 단계별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단계별 수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수위 감지 센서의 최하단부에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단계별 수위 감지 센서의 상부 또는 중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수용부 내의 용액의 수위와 상기 보조 수용부 내의 용액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부는 상부에 넘침방지용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하부에 물 고갈방지용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고갈방지용 수위 센서는 가열 모드 시 물이 소정 수위 이하로 감지되면 경고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농축 대상물을 찔 수 있도록 하는 찜용 플레이트부가 상기 메인 수용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찜용 플레이트부는, 사이폰 구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끌어올린 용액을 기계적으로 분사하는 기계적 분사 방식으로 작동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찜용 플레이트부는, 하단에 위치하는 흡입부에서 용액을 흡입하여 수분배출패널을 통해 분사하는 전기적 분사 방식으로 작동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는, 증삼/추출/고농축/분쇄/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 중부 구조, 하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를 일정 진공압으로 유지하는 진공제어장치부, 및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 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부 구조는 증삼용 용기, 추출/농축용 용기, 및 초미세 분쇄/믹서 용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구조는 가열히터부와 분쇄 회전모터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히터부가 형성되는 원형열판기의 중심부에 회전모터축이 안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부 구조는 외통 및 내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회전 결합 방식으로 상기 외통에 체결가능하며, 상기 외통은 분리 가능하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는 단차가 마련되어 상기 내통이 상기 단차에 걸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농축통, 증삼통, 분쇄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농축통과 상기 증삼통과 상기 분쇄통은 상부 사이즈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뚜껑부에 1개의 상부 패킹 구조로서 결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내부에 분쇄칼날이 마련되어 분쇄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는 상기 분쇄통이며, 상기 분쇄통은 상기 뚜껑부와 상기 모터축부 사이에 직접 결합되며, 상기 분쇄통의 상부 중앙에는 홀을 포함하는 진공압형성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분쇄통은 상부 분쇄통과 하부 분쇄통의 2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분쇄통과 상기 하부 분쇄통은 탈착가능한 분쇄막으로 서로 분리되며, 분쇄 모드로서, 상기 하부 분쇄통만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초미세 분쇄 모드와, 상기 분쇄막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분쇄통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일반 분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에 의하면, 내부 용기를 교체하거나 내부 용기를 별도의 외부 용기에 체결할 필요없이 중탕모드와 가열모드를 포함하는 일련의 증삼 공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축대상물인 수삼 등을 증삼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증삼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농축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농축 정도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고, 용기 내의 용액이 넘치거나 가열모드 시에 용기 바닥이 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3c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찜용 플레이트와 수분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수위 감지용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수위 감지용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일반분쇄모드와 초미세분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3c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찜용 플레이트와 수분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수위 감지용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수위 감지용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일반분쇄모드와 초미세분쇄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1)는 크게, 상부, 중부, 하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구조는 증삼시 사용되는 고온 및 가압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와 고농축에 필요한 진공제어장치부 및 중부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부 구조는 증삼용 용기 또는 추출/농축 겸용 용기 또는 초미세 분쇄/믹서기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구조는 원형열판기의 중심을 뚫어서 회전모터축을 안착시키는 구조로 작은 공간으로 증삼/추출/ 고농축/분쇄 및 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열히터부(20)와 분쇄 회전모터축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중부 구조로서 증삼용 용기를 채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1)를 구성하는 증삼용 용기(10)는 상부 증삼용 용기(t), 중부 증삼용 용기(m), 하부 증삼용 용기(b)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중부 증삼용 용기(m)와 하부 증삼용 용기(b)는 탈착가능하며, 상부에는 대략 2개의 소공이 뚫려 있어 증기의 순환을 활성화시키며 용기 내에 차오르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부 증삼용 용기(m)와 하부 증삼용 용기(b)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착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측 증삼용 용기에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타측 증삼용 용기에는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마련되어 양측 용기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리 또는 누름핀을 이용하여 양측 증삼용 용기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중부 증삼용 용기(m)와 하부 증삼용 용기(b) 사이에는 복수 개의 홀(h)이 마련되어, 증삼시에 수증기가 복수 개의 홀(h)을 통해 유입되어 생약재의 표피에 안착되어 효율적인 성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효과적인 수증기 유입을 위해, 하부 증삼용 용기(b)를 제거하고 중부 증삼용 용기(m) 만을 이용하여 증삼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하부 증삼용 용기(b)를 결합시켜 사용할 때는, 분말 생약재를 증삼할 때 사용하는 용기로 수증기가 직접 분말에 착수되면 분말이 젖어서 증삼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여 초미세 수증기로 분말을 증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1)는 크게 증삼용 용기 몸체(10)와 가열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삼용 용기 몸체(10)는 메인 수용부(12)와 보조 수용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수용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증삼 대상물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며, 보조 수용부(14)는 농축액 제조기(1)의 측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보조 수용부(14)의 내부에는 중탕을 위한 중탕액(예를 들어, 물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용부(12)와 보조 수용부(14)는 측벽(16)을 통해 서로 격리된 수용 공간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1)의 몸체(10)는 측벽(16)을 통해 구분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포함하는 일체형 팟(po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측벽(16)은 농축액 제조기(1)에 부착되어 있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착탈가능한 분리형일 수도 있다.
한편, 가열수단(20)은 제1가열수단(22)과 제2가열수단(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가열수단(22)은 메인 수용부(12)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메인 수용부(12)를 가열하고, 제2가열수단(24)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조 수용부(14)를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수단(24)은 보조 수용부(14)의 하부 또는 보조 수용부(14)의 외측부 또는 하부 및 외측부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열수단(24)이 보조 수용부(14)의 외측부에 마련되는 실시예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가열수단(24)이 보조 수용부(14)의 하부와 외측부 모두에 마련되는 실시예가 도2(c)에 도시되어 있다. 제1가열수단(22)과 제2가열수단(24)의 ON/OFF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증삼용 용기 몸체(10)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면과 밑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a), 도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옆면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원통 형상 또는 사각 기둥을 포함하는 다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가열수단(20)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가로 방향 단면은 몸체(10)의 가로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10)와 가열수단(20)의 평면도가 도 3a 내지 도3c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가열수단(20)의 가로 방향 단면 형상은 원형(도 3a) 또는 정사각형(도 3b) 또는 직사각형(도 3c) 또는 타원형(도 3d)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1)의 찜용 플레이트(30)와 수분 공급부(40)에 대해 설명한다. 찜용 플레이트(30)는 찌고자 하는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플레이트로서, 통상적으로,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플레이트 위에 놓여진 대상물을 찔 수 있다. 수분 공급부(40)는 수분배출패널(42)과 회전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분배출패널(42)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미도시)이 마련되어 회전부(44)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배출공은 수분배출패널(42)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분을 아래 방향으로 배출할 수도 있고, 수분배출패널(42)의 측부에 마련되어 수분을 수분배출패널(42)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회전부(44)는 중공의 긴 관 형상으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작동에 의해 하부의 물을 상부측으로 끌어올려 수분배출패널(42)로 전달하며, 모터 등의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일 예로, 수분공급부(40)는 사이폰 구조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끌어올린 용액을 수분배출패널(42)을 통해 기계적으로 분사하는 기계적 분사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분공급부(40)는 하단에 위치하는 흡입부에서 용액을 흡입하여 회전부(44)를 통해 액을 전달받아 수분배출패널(42)을 통해 분사하는 전기적 자동 분사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제조기의 센서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센서부(30)는 농축액 제조기(1)의 몸체(10) 중 메인 수용부(12) 측벽(16)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30)는 메인 수용부(12) 내에 수용되는 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용 센서란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로, 공기 및 액체의 유전율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정전용량형 수위 센서, 초음파 발생기 및 센서를 이용한 초음파 수위 센서, 압력 센서를 이용한 수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위 감지용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는 메인 수용부(12) 내의 용액의 농축 정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수위 감지용 센서는 메인 수용부(1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단계별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단계별 수위 감지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상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32)는 제1경고용 센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수용부(12) 내의 용액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32)에서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가열수단을 OFF하거나, 가열 정도를 낮추도록 제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c)는 최상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32)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제1가열수단(22)의 ON/OFF 또는 가열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0)는 최하단부에 수위 감지용 센서에 더하여,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최하단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와 온도 센서는 제2 경고용 센서(34)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열수단(22)이 ON되어 있는 가열 모드에서 메인 수용부(12) 내의 용액이 거의 증발한 경우에는 메인 수용부(12)의 바닥부가 탈 위험이 있는데, 최하단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와 온도 센서를 경고용 센서로서 함께 활용하여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최하단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최하위 수위를 감지하고, 온도 센서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타는점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c)는 메인 수용부(12)의 바닥부가 타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가열수단(22)을 OFF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는 단계별 수위 감지 센서의 상부 또는 중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는 메인 수용부(12)의 측벽(16) 외측에 마련되어 보조 수용부(14)의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부(32)는 보조 수용부(14)의 외벽 내측에 마련되어 보조 수용부(14)의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보조 수용부(14)는 상부에 넘침방지용 수위 센서를 포함하고, 하부에 물 고갈방지용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수용부(14) 상부의 수위 감지용 센서는 중탕 모드에서 보조 수용부(14) 내의 용액이 넘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하부의 물 고갈방지용 수위 센서는 가열 모드 시 보조 수용부(14) 내의 물이 소정 수위 이하로 감지되면 경고를 알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위 감지용 센서(34)는 메인 수용부(12)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와 보조 수용부(14)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 수용부(12) 내의 용액의 수위와 보조 수용부(14) 내의 용액의 수위를 함께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는 크게 상부 구조, 중부 구조, 하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 구조는 증삼시 사용되는 고온 및 가압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와 고농축에 필요한 진공제어장치부 및 중부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부 구조는 증삼용 용기 또는 추출/농축용 용기 또는 초미세 분쇄/믹서기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구조는 원형열판기의 중심을 뚫어서 회전모터축을 안착시키는 구조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증삼/추출/ 고농축/분쇄 및 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열히터부와 분쇄 회전모터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뚜껑부(100), 외통(200), 내통(300), 히터(400) 및 모터축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뚜껑부(100)는 압력밥솥 뚜껑부와 같이, 회전하면서 외통(200)에 체결가능하다. 한편, 외통(200)은 분리가능하며, 외통(200)을 분리한 경우에는, 히터(400)와 뚜껑부(100)만이 남아있게 된다. 즉, 히터(400)와 뚜껑부(100)가 본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외통(2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된다. 또한, 외통(200) 내부에는 단차가 마련되어, 내통(300)을 외통(200)의 단차에 걸칠 수 있다. 이 때, 내통(300)으로는 추출/농축용 용기, 증삼용 용기 등 다양한 용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통이 각각 다른 단차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가 외통(200) 내면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내통(300)은 농축통, 증삼통, 분쇄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내통(300)으로서 농축통, 증삼통, 분쇄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뚜껑부(100)에 장착시 상부 사이즈가 동일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농축통, 증삼통, 분쇄통 3종류의 용기를 1개의 상부 패킹 구조에 겸용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압력 및 진공압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내통(300)으로서 농축통을 장착한 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내통(300)으로서 분쇄통(310)을 장착한 예를 도시하며, 내통(300)으로서 증삼통을 장착한 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히터(400) 가장자리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외통(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축부(500)를 통해 회전모터축(510)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구조로서, 히터(400)의 중앙에 모터축부(500)를 마련함으로써 외통과 분쇄통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통(200) 및 분쇄통(310)과 관련된 일반 가압 및 진공압을 하나의 패킹 구조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 및 공간 창출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의 내통(300)으로서 분쇄통(310)을 장착한 예가 도시된다. 분쇄통(310) 장착시에는 외통(300)을 빼고 분쇄통(310)을 상부의 뚜껑부(100)와 하부의 모터축부(500) 사이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분쇄통(310) 내부에는 모터축(510)에 결합되는 분쇄칼날(330)이 마련되어, 분쇄통(310) 내부에 담긴 분쇄 대상물을 모터의 회전에 따라 분쇄할 수 있다. 히터(400)와 결합된 모터축부(500)가 분쇄구조의 하부축을 구성하며, 하부축과 분쇄통은 분리 탈착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분쇄통(310)의 상부 중앙에는 진공압 형성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진공믹서기능 또한 가능하다. 진공믹서기능에 따르면, 분쇄물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분쇄물의 신선도가 높으며 장기간 보관 가능한 점 등 분쇄의 효과가 좋다는 이점이 있다. 진공압형성부는 홀(hole)을 포함하여 마련되며, 홀(미도시)은 진공농축 모드와 분쇄 모드 이외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동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통(310)은 상부(t)와 하부(b)의 2단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1단인 하부 분쇄통(b)은 원통형으로서 초미세 분쇄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가능하다. 초미세 분쇄시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가능한 분쇄막(320)을 하부 분쇄통(b) 상부에 덮고, 분쇄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렇게 1단인 하부 분쇄통(b)만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모드를 초미세 분쇄 모드라고 한다. 초미세 분쇄 모드에서는 분쇄물이 일정 높이 아래에서 분쇄물을 가두면서 분쇄 칼날이 회전되면 분쇄물이 균일하고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분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2단인 상부 분쇄통(t)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의 구배가 있는 원통형상으로, 일반 믹서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쇄막(320)을 제거하고 1단과 2단 분쇄통 내부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1단과 2단 분쇄통을 모두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모드를 일반 분쇄 모드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1단 분쇄통(b)과 2단 분쇄통(t) 은 각각 마련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는 구조이거나, 일자형 분쇄통에 일자형 뚜껑을 안에서 넣고 지지대로 상부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거나, 2단 분쇄통(t)의 최상부에 나사돌림형태를 구축하는 차단막을 안에서 넣고 돌려서 고정하는 구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10: 몸체
12: 메인 수용부 14: 보조 수용부
16: 측벽 20: 가열수단
22: 제1가열수단 24: 제2가열수단
30: 찜용 플레이트 32: 수위 감지용 센서
34: 경고용 센서 40: 수분 공급부
42: 수분배출패널 44: 회전부
100: 뚜껑부 200: 외통
300: 내통 310: 분쇄통
320: 분쇄막 330: 분쇄칼날
400: 히터 500: 모터축부
510: 회전모터축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증삼/추출/고농축/분쇄/믹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 중부 구조, 하부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로서,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 내부를 일정 진공압으로 유지하는 진공제어장치부, 및 상기 중부 구조의 용기에서 발생되어 휘발되는 증기들을 채집하여 분리 액화시키는 유효성분 채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부 구조는 증삼용 용기, 추출/농축용 용기, 및 초미세 분쇄/믹서 용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구조는 가열히터부와 분쇄 회전모터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히터부가 형성되는 원형열판기의 중심부에 회전모터축이 안착되는 구조이며,
    상기 상부 구조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부 구조는 외통 및 내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회전 결합 방식으로 상기 외통에 체결가능하며, 상기 외통은 분리 가능하며 상기 외통의 내부에는 단차가 마련되어 상기 내통이 상기 단차에 결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농축통, 증삼통, 분쇄통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농축통과 상기 증삼통과 상기 분쇄통은 상부 사이즈가 동일하게 제작되어, 상기 뚜껑부에 1개의 상부 패킹 구조로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내부에 분쇄칼날이 마련되어 분쇄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는 상기 분쇄통이며, 상기 분쇄통은 상기 뚜껑부와 상기 분쇄 회전모터축부 사이에 직접 결합되며,
    상기 분쇄통의 상부 중앙에는 홀을 포함하는 진공압형성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분쇄통은 상부 분쇄통과 하부 분쇄통의 2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분쇄통과 상기 하부 분쇄통은 탈착가능한 분쇄막으로 서로 분리되며,
    분쇄 모드로서, 상기 하부 분쇄통만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초미세 분쇄 모드와, 상기 분쇄막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분쇄통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일반 분쇄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KR1020180119816A 2018-10-08 2018-10-08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KR10197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16A KR101973909B1 (ko) 2018-10-08 2018-10-08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16A KR101973909B1 (ko) 2018-10-08 2018-10-08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909B1 true KR101973909B1 (ko) 2019-04-29

Family

ID=6628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16A KR101973909B1 (ko) 2018-10-08 2018-10-08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430A (zh) * 2020-04-03 2021-10-1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食品加工机
KR20220085216A (ko) * 2020-12-15 2022-06-22 김금성 자동 물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원스톱 농축액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A (ja) * 1996-06-14 1998-01-0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KR200328594Y1 (ko) 2003-07-04 2003-09-29 김영진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용기
JP2005131138A (ja) * 2003-10-30 2005-05-26 Hoshizaki Electric Co Ltd 保温器
KR101669224B1 (ko) * 2016-06-03 2016-10-26 손성권 추출 및 농축 장치
KR101756705B1 (ko) * 2017-01-24 2017-07-11 곽영주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A (ja) * 1996-06-14 1998-01-0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KR200328594Y1 (ko) 2003-07-04 2003-09-29 김영진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용기
JP2005131138A (ja) * 2003-10-30 2005-05-26 Hoshizaki Electric Co Ltd 保温器
KR101669224B1 (ko) * 2016-06-03 2016-10-26 손성권 추출 및 농축 장치
KR101756705B1 (ko) * 2017-01-24 2017-07-11 곽영주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430A (zh) * 2020-04-03 2021-10-1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食品加工机
CN113491430B (zh) * 2020-04-03 2022-08-0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食品加工机
KR20220085216A (ko) * 2020-12-15 2022-06-22 김금성 자동 물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원스톱 농축액 제조 방법
KR102513235B1 (ko) 2020-12-15 2023-03-22 김금성 자동 물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원스톱 농축액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172B1 (ko)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KR101973909B1 (ko)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US7318371B2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CN101965144A (zh) 适于在饮料制作过程中使用的物品组件
CN101828680A (zh) 一种智能微压全自动豆浆机
KR101736220B1 (ko) 가정용 다기능 고농축 생약재 추출 약탕기
JP2007044162A (ja) 液状食品調理器
KR20100026476A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CN204931460U (zh) 一种多功能食品加工机
CN201790548U (zh) 一种电滤汁汤煲
US3527153A (en) Coffee maker
CN202477383U (zh) 多用途滴漏式咖啡机
CN103340561A (zh) 一种食物蒸煮搅拌装置及其蒸煮搅拌方法
KR101983339B1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CN201880031U (zh) 多功能中药煎熬器
CN107581900A (zh) 一种智能电水壶
CN100366204C (zh) 电热煮饮料水壶
KR200254720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KR102270443B1 (ko) 휴대용 커피머신
KR100474264B1 (ko) 약탕기 겸용 증류주기
KR101930624B1 (ko) 응축 진공을 이용한 식물 성분 축출 장치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CN217959696U (zh) 一种食材的电加热蒸煮装置
US20140030414A1 (en) Herb-butter cooker
CN206630505U (zh) 食物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