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819A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819A
KR20150023819A KR20157001480A KR20157001480A KR20150023819A KR 20150023819 A KR20150023819 A KR 20150023819A KR 20157001480 A KR20157001480 A KR 20157001480A KR 20157001480 A KR20157001480 A KR 20157001480A KR 20150023819 A KR20150023819 A KR 2015002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ispersed phase
phase
modified elastomer
disper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569B1 (ko
Inventor
쥰페이 가와다
마코토 모우리
오사무 와타나베
아리미츠 우스키
마사유키 기토
아키오 아마리
오사무 기토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interpenetrating networ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 components which can react with one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제2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변성 엘라스토머의 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이며,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속상 A 중에 분산된 분산상 a,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a', 상기 연속상 B 중에 분산된 분산상 b, 및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b'를 갖고 있고,
상기 분산상 a는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분산상 a'와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지의 물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서로 성질이 상이한 수지끼리를 혼합하여 수지의 특성을 개질하고자 하는 중합체 블렌드 및 중합체 알로이(alloy)가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 블렌드 및 중합체 알로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미드(PA)와 같이 서로 극성이 상이한 수지끼리를 복합화시키는 경우에는, 수지끼리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얻어지는 복합 재료의 내충격성이 현저하게 낮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과 폴리아미드의 상용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변성 폴리올레핀 등의 상용화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912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2910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분리 구조가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상과 폴리아미드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97513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상대 점도가 특정한 범위 내에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예비 중합체와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일본 특허 공개 (평)7-316423호 공보(특허문헌 4) 및 일본 특허 공개 (평)9-59438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폴리아미드, 변성 폴리올레핀 및 미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가 매트릭스상을 형성하며,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과 상기 미변성 폴리올레핀이 코어-쉘형 입자 구조의 분산상을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7132호 공보(특허문헌 6)에는 폴리아미드 수지 성분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상 중에, 산 변성 엘라스토머를 쉘상으로 하고, 올레핀계 수지 성분 및 필러 성분을 코어상으로 하여 형성되는 코어-쉘형 입자 구조의 분산상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5853호 공보(특허문헌 7)에는, 폴리아미드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매트릭스상),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 및 열가소성 수지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립자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합체 블렌드 및 중합체 알로이에서는 충분한 물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은 아직 얻지 못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내장 부품이나 외장 부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특히 높은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고 있고, 내충격성과 강성(굽힘 탄성률)의 양립이 필수 불가결이 되고 있다. 그러나, 강성과 내충격성은 상반되는 성질이고, 또한 종래의 중합체 블렌드 및 중합체 알로이에 있어서는 복합화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 복합체의 물성은 복합시킨 어느 하나의 수지의 물성이 지배적이 되는 경향이 있어, 강성과 내충격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9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29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975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3164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5943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71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585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강성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서로 상용하지 않는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복합화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와 변성 엘라스토머를 특정한 비율로 미리 반응시킨 후에 상기 제2 수지와 복합화시킴으로써, 종래에 없는 독특한 구조, 즉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속상 A 중에 분산된 특정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분산상 a,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특정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 a', 상기 연속상 B 중에 분산된 특정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분산상 b, 및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특정한 성분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 b'를 갖는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놀랍게도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현저하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제2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변성 엘라스토머의 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속상 A 중에 분산된 분산상 a,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a', 상기 연속상 B 중에 분산된 분산상 b, 및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b'를 갖고 있고,
상기 분산상 a는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2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제1 수지가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분산상 a 중의 미세 분산상 a'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상기 분산상 b 중의 미세 분산상 b'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연속상 A 및 상기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속상 중에,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 중에,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을 더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강성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관찰시에 얻어진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X)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4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사진의 PA6으로 형성되는 상의 부분을 제외한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5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6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입각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제2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변성 엘라스토머의 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제1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연속상 A를 형성하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제1 수지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와 함께 공연속상을 형성하고, 우수한 강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수지일 필요가 있다. 또한, 용융 상태에서 혼합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1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 수지, PPS 수지, PPE 수지, PS 수지, PC 수지, ABS 수지, AES 수지, PET 수지, PBT 수지, PTT 수지, PLA 수지, PHB 수지, P(HB-co-HV) 수지, P(HB-co-HHX)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이 발휘된다는 관점에서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미드 결합(-NH-CO-)을 개재하여 복수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이루어지는 쇄상 골격을 갖는 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아미노도데칸산, 파라아미노메틸벤조산 등의 아미노산; ε-카프로락탐, 운데칸락탐, ω-라우릴락탐 등의 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공중합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단량체로서의 상기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1,7-디아미노헵탄, 1,8-디아미노옥탄, 1,9-디아미노노난, 1,10-디아미노데칸, 1,11-디아미노운데칸, 1,12-디아미노도데칸, 1,13-디아미노트리데칸, 1,14-디아미노테트라데칸, 1,15-디아미노펜타데칸, 1,16-디아미노헥사데칸, 1,17-디아미노헵타데칸, 1,18-디아미노옥타데칸, 1,19-디아미노노나데칸, 1,20-디아미노에이코산, 2-메틸-1,5-디아미노펜탄, 2-메틸-1,8-디아미노옥탄 등의 지방족 디아민; 시클로헥산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등의 지환식 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아민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단량체로서의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디오산, 도데칸디오산, 브라실산, 테트라데칸디오산, 펜타데칸디오산, 옥타데칸디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를 이용한 폴리아미드 수지(이하, 경우에 따라 이 폴리아미드 수지를 「PA11(폴리아미드 11)계 수지」라고 총칭함), 폴리아미드 6(PA6), 폴리아미드 66(PA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T(PA6T),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9T, 폴리아미드 M5T,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10T, 폴리아미드 MXD6, 폴리아미드 1012, 폴리아미드 6T/66, 폴리아미드 6T/6I, 폴리아미드 6T/6I/66, 폴리아미드 6T/2M-5T, 폴리아미드 9T/2M-8T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이 발휘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PA11계 수지, PA6, PA66, PA6T가 바람직하다.
상기 PA11계 수지는 상기 단량체로서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폴리아미드 수지이며, 탄소 원자수가 11인 아미드 결합 함유 단위를 주쇄에 포함한다. 상기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로서는 11-아미노운데칸산, 운데칸락탐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1-아미노운데칸산을 단량체로서 단독 중합시켜 얻어진 폴리아미드 11(PA11)은 상기 11-아미노운데칸산이 피마자유로부터 얻어지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환경 보호의 관점(특히 탄소 중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PA11계 수지는 탄소 원자수가 11 미만인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탄소 원자수가 12 이상인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및 다른 구성 단위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탄소 원자수가 11인 단량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PA11계 수지 중의 전체 구성 단위 중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A6은 탄소수가 6인 단량체 중 ε-카프로락탐을 단독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이고, 상기 PA66은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이며, 상기 폴리아미드 6T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이 발휘된다는 관점에서, 상기 PA11계 수지, 상기 PA6, 상기 PA66 및 상기 PA6T가 합계로 상기 제1 수지의 전체량에 대하여 40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500 내지 7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 내지 5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연속상 B를 형성하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제2 수지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함께 공연속상을 형성하고, 우수한 강성 및 내충격성을 발휘한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수지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용융 상태에서 혼합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2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수지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이 발휘된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폴리올레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 중합체(폴리에틸렌 수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통상 탄소수 3 내지 20의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3-메틸-1-부텐,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에틸렌 수지에서는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각각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중의 전체 구성 단위 중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온도: 140 내지 150℃)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내지 4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00 내지 4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후술하는 변성 엘라스토머와는 상이하다.
<변성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엘라스토머는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변성 엘라스토머이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를 상용화시키는 상용화제로서 기능한다. 상기 엘라스토머로서는 반응성이 높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수지가 보다 상용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옥텐 등의α-올레핀을 2종 이상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즉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4 내지 8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EBR),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EOR),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PBR), 프로필렌-1-펜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POR)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더욱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EBR, EOR, PBR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화합물과 공액 디엔 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 및 그의 수소 첨가체를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티렌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비닐나프탈렌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피페릴렌, 메틸펜타디엔, 페닐부타디엔, 3,4-디메틸-1,3-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SEBS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로서는 산 무수물 기(-CO-O-OC-), 카르복실기(-COOH), 에폭시기[-C2O(2개의 탄소 원자와 1개의 산소 원자로 구성된 3원 고리 구조)], 옥사졸린기(-C3H4NO), 이소시아네이트기(-NCO)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제1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반응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반응성 기로서는 산 무수물 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성 기를 상기 엘라스토머에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엘라스토머에 상기 산 무수물 기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산 무수물을 단량체로서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상기 산 무수물로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숙신산, 무수 글루타르산, 무수 아디프산, 무수 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부테닐 무수 숙신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산 무수물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그 중에서도 반응성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이타콘산이 바람직하고, 무수 말레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엘라스토머로서는 구체적으로 무수 말레산 변성 EPR, 무수 말레산 변성 PBR, 무수 말레산 변성 EBR, 무수 말레산 변성 EOR, 무수 말레산 변성 POR 등의 무수 말레산 변성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무수 말레산 변성 SEBS, 무수 말레산 변성 SBS, 무수 말레산 변성 SIS, 무수 말레산 변성 SEPS 등의 무수 말레산 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성 엘라스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 수지가 보다 상용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PBR, 무수 말레산 변성 EBR, 무수 말레산 변성 EOR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엘라스토머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표준 폴리스티렌 환산, 온도: 140 내지 150℃)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큰 쪽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1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00 내지 4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수지와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이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가 갖는 상기 반응성 기가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가열 용융 혼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용융 혼련의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혼련 장치 등을 이용하여 온도 100 내지 350℃에서 0.01 내지 1.0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속상 A 중에 분산된 분산상 a,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a', 상기 연속상 B 중에 분산된 분산상 b, 및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b'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상 구조는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고, 이러한 관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의 단면에 100W로 1분간 산소 플라즈마 에칭 처리를 실시한 후, 이 단면을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주)히타치 하이테크 매뉴팩처링 & 서비스 제조, 「S-4300TYPE II」, 가속 전압 3kV)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부분은 상기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시에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X)을 행하여, 각 수지에서 유래되는 피크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연속상 구조란, 2종 이상의 연속상(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속상 A 및 연속상 B)이 3차원적으로 연속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공연속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 A의 함유량(후술하는 분산상 a 및 미세 분산상 a'를 포함하는 전체 함유량)과 상기 연속상 B의 함유량(후술하는 분산상 b 및 미세 분산상 b'를 포함하는 전체 함유량)의 비(연속상 A의 질량:연속상 B의 질량)로서는 5:1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3:1 내지 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상 A에 대한 상기 연속상 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두 공연속상이 형성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연속상 A)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속상 A 중에는, 상기 연속상 중에 분산된 분산상 a가 존재한다. 상기 분산상 a는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상 a로서는, 연속상 A 중에 분산되려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산상 a의 함유량으로서는,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연속상 A의 전체 면적(분산상 a 및 미세 분산상 a'를 포함하는 면적)에 대하여 1 내지 50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상 a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a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상 a로서는, 후술하는 미세 분산상 a'를 갖는 분산상 a 및 미세 분산상을 갖지 않은 분산상 a를 포함한 모든 분산상 a로부터 계산된 평균 직경이 0.05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상 a 전체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a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상 a로서는, 후술하는 미세 분산상 a'를 갖는 분산상 a의 평균 직경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세 분산상 a'를 갖는 분산상 a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a'를 갖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a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분산상 a의 평균 직경은,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임의의 100개 이상의 분산상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에 의해 측정하여 각 분산상의 직경을 구하고, 그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경은 각 분산상의 단면의 최대 직경을 의미하고, 분산상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단면의 최대의 외접원의 직경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분산상 a 중에는,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a'가 존재한다.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경우,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한편,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경우,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이러한 미세 분산상 a'로서는, 보다 상용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 a 중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세 분산상 a'의 함유량으로서는,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상 a의 전체 면적(미세 분산상 a'를 포함하는 전체 면적)에 대하여 1 내지 50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분산상 a'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a'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분산상 a'의 평균 직경으로서는 5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5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4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a'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미세 분산상 a'의 평균 직경은 상술한 분산상 a의 평균 직경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할 수 있다.
(연속상 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연속상 B 중에는, 상기 연속상 중에 분산된 분산상 b가 존재한다. 상기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이다. 이러한 분산상 b로서는, 연속상 B와 보다 상용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산상 b의 함유량으로서는,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연속상 B의 전체 면적(분산상 b 및 미세 분산상 b'를 포함하는 전체 면적)에 대하여 1 내지 50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상 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b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상 b로서는, 후술하는 미세 분산상 b'를 갖는 분산상 b 및 미세 분산상을 갖지 않은 분산상 b를 포함한 모든 분산상 b로부터 계산된 평균 직경이 0.05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상 b 전체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b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상 b로서는, 후술하는 미세 분산상 b'를 갖는 분산상 b의 평균 직경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세 분산상 b'를 갖는 분산상 b의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b'를 갖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산상 b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분산상 b의 평균 직경은 상술한 분산상 a의 평균 직경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분산상 b 중에는,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b'가 존재한다.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경우,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2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한편,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인 경우,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다. 이러한 미세 분산상 b'로서는, 보다 상용되기 쉬워진다는 관점에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 b 중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세 분산상 b'의 함유량으로서는, 성형시킨 수지 조성물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상 b의 전체 면적(미세 분산상 b'를 포함하는 전체 면적)에 대하여 1 내지 50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분산상 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b'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미세 분산상 b'의 평균 직경으로서는 5 내지 5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5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4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 분산상 b'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미세 분산상 b'의 평균 직경은 상술한 분산상 a의 평균 직경과 마찬가지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는 관점에서, 상기 연속상 A 및 상기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속상 중에,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이 함유되는 경우, 그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분산상이 포함되는 연속상의 전체 함유량(분산상 및 미세 분산상을 포함하는 전체 함유량)에 대하여 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성분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 항산화제, 항자외선제, 열안정화제, 난연제, 난연 보조제, 충전제, 착색제, 항균제, 대전 방지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다른 성분을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경우, 그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전체 함유량에 대하여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락타이드,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 등), 인 함유 난연제(질소 함유 인산염 화합물, 인산에스테르 등), 질소 함유 난연제(구아니딘, 트리아진, 멜라민, 및 이들의 유도체 등), 무기계 난연제(금속 수산화물 등), 붕소 함유 난연제, 규소 함유 난연제, 황 함유 난연제, 적린 함유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 보조제로서는 각종 안티몬 화합물,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 비스무트를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 수산화마그네슘, 점토질 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서는 유리 성분(유리 섬유, 유리 비즈, 유리 플레이크 등); 실리카; 무기 섬유(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소 섬유); 흑연; 규산 화합물(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카올린, 탈크, 클레이 등); 금속 산화물(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안티몬, 알루미나 등);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의 금속의 탄산염 및 황산염; 유기 섬유(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불소 수지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식물성 섬유 등)를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특정한 비율로 미리 반응시킨 후에 상기 제2 수지와 복합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더 효과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우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고, 계속해서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혼련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수지 혼합물은 펠릿화 등에 의해 고형화된 고형물일 수도 있고, 용융물일 수도 있다.
상기 혼련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압출기(1축 압출기, 2축 용융 혼련 압출기 등), 혼련기, 믹서(고속 유동식 믹서, 패들 믹서, 리본 믹서 등)를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를 연속식으로 운전할 수도 있고, 회분식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는 일괄하여 혼련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을 복수회로 나누어 첨가 투입(다단 배합)하여 혼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융 혼련의 온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각 화합물이 용융된 상태에서 혼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10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내지 3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내지 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수지 혼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예로 든 혼련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융 혼련에 있어서는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일괄하여 혼련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을 복수회로 나누어 첨가 투입(다단 배합)하여 혼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온도로서는, 상기 수지 혼합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융 혼련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고형물 및/또는 용융물로서 얻어지는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함께 용융 혼련할 수도 있고, 다단 배합식의 혼련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류측에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한 후에, 하류측에서 상기 제2 수지를 첨가하여 용융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수지의 투입량을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특정한 비율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를 용융 혼련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제2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한 상기 제1 수지의 투입량이 특정한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특정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고, 현저하게 우수한 내충격성이 발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11계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PA11계 수지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11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40 내지 6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6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9 내지 63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6이고 상기 제2 수지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PA6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6,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26 내지 4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3 내지 37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의 투입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공연속상이 형성되지 않고,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공연속상이 형성되지 않고,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11계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11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2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6이고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6,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45 내지 6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투입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 또는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두 공연속상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11계 수지이고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11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지가 상기 PA6이고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PA6,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투입량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충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효율적이며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수지 성형체는 펠릿화 등에 의해 고형화된 고형물일 수도 있고, 용융물일 수도 있다.
<성형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어떤 방법으로도 성형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얻어지는 성형체의 형상, 크기 및 두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의 용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체는 자동차, 철도 차량, 선박 및 비행기 등의 외장재, 내장재 및 구조재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재료로서는 자동차용 외장재, 자동차용 내장재, 자동차용 구조재, 자동차용 충격 흡수재, 자동차용 보행자 보호재, 자동차용 탑승자 보호재, 엔진 룸 내부 부품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품, 범퍼, 스포일러, 카울링(cowling), 프론트 그릴(front grille), 가니쉬, 보닛(hood), 트렁크 리드, 펜더 패널(fender panel), 도어 패널, 루프 패널, 계기판, 도어 트림, 쿼터 트림, 루프 라이닝, 필러 가니쉬(pillar garnish), 데크 트림, 토너 보드(tonneau board), 패키지 트레이, 대시 보드, 센터 콘솔, 킥킹 플레이트(kicking plate), 스위치 베이스, 시트 백 보드, 시트 프레임, 암레스트, 선 바이저, 흡기 다기관, 엔진 헤드커버, 엔진 언더커버, 오일 필터 하우징, 에어 필터 박스, 탑재용 전자 부품(ECU, TV 모니터 등)의 하우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예를 들어 건축물 및 가구 등의 내장재, 외장재 및 구조재,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어 코팅 재료, 도어 구조재, 각종 가구(책상, 의자, 선반, 장롱 등)의 코팅 재료, 구조재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그 외 포장 재료, 수용체(트레이 등), 보호용 부재, 파티션 부재, 가전 제품(평면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휴대 전화, 휴대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케이스 및 구조 재료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성능 평가는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물성>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 K 7111-1에 준거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kJ/m2)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온도: 23℃, 충격 방향: 에지와이즈(edgewise), 노치 유형: A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굽힘 탄성률의 측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JIS K 7171에 준거하여 굽힘 탄성률(MPa)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지지점간 거리(L)를 64mm로 한 2개의 지지점(곡률 반경 5mm)으로 지지하면서, 지지점간 중심에 배치한 작용점(곡률 반경 5mm)으로부터 속도 2mm/분으로 하중을 시험편에 부가하여 행하였다.
(모폴로지 관찰)
우선,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파단면에 대하여, 플라즈마 리액터(야마토가가쿠(주) 제조, 「PR300」)를 이용하여 100W로 1분간 산소 플라즈마 에칭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파단면에 대하여 오스뮴 코터((주)신쿠디바이스 제조, 「HPC-1S」)를 이용하여 5초간 오스뮴 코팅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파단면을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주)히타치 하이테크 매뉴팩처링 & 서비스사 제조, 「S-4300 TYPE II」)을 이용하여 가속 전압 3kV의 조건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관찰된 각 부분에 대하여, 상기 FE-SEM에 구비되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X) 장치를 이용하여 원소 분석을 행하고, 각 부분을 구성하는 성분을 판별하였다. 또한, 얻어진 화상에 있어서 각각 임의의 100개의 각 분산상 및 임의의 100개의 각 미세 분산상의 직경을 구하고, 그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각 분산상 및 각 미세 분산상의 평균 직경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직경은 각 분산상 및 각 미세 분산상의 단면의 최대 직경으로 하고,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단면의 최대의 외접원의 직경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우선, 폴리아미드 11(PA11, 아르케마(주) 제조, 「릴산 BMNO」, 중량 평균 분자량: 18,000)과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m-EBR, 미츠이가가쿠(주) 제조, 「타프머 MH7020」)를 질량비(PA11의 질량:m-EBR의 질량)가 60:10이 되도록 드라이 블렌딩에 의해 미리 혼합하고, 스크류 직경 15mm, L/D=59의 2축 용융 혼련 압출기((주)테크노벨 제조, 「KZW15-60MG」)를 이용하여 온도 210℃, 압출 속도 2kg/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rpm의 조건으로 가열 용융 혼련하였다. 계속해서, 압출된 용융 혼련물을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과 폴리프로필렌(PP, 닛폰폴리프로필렌(주) 제조, 「노바테크 MA1B」, 중량 평균 분자량: 312,000)을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70:30이 되도록 드라이 블렌딩에 의해 혼합하고, 상기 2축 용융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온도 210℃, 압출 속도 2kg/시간, 스크류 회전수 200rpm의 조건으로 가열 용융 혼련하였다. 계속해서, 압출된 용융 혼련물을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기(닛세이 쥬시 고교(주) 제조, 「PS40E2ASE」)를 이용하여 혼합 온도 200℃, 금형 온도 58℃의 사출 조건으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길이 80mm×폭 10.0mm×두께 4.0mm)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1에는 얻어진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에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X)의 결과의 일례로서, PA11 및 m-EBR의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X) 패턴을 나타낸다. 또한, 도 2 중의 좌측 도면은 PA11의 EDX 패턴을 나타내고, 우측 도면은 m-EBR의 EDX 패턴을 나타내고, 양 도면의 종축 스케일은 동일하다. 또한, 관찰된 미세 분산상을 갖는 분산상 및 미세 분산상의 평균 직경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m-EBR 대신에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m-PP, 산요가세이(주) 제조, 「유멕스 1001」, 중량 평균 분자량: 40,000)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우선, m-EBR과 PP를 질량비(m-EBR의 질량:PP의 질량)가 10:90이 되도록 드라이 블렌딩에 의해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가열 용융 혼련하여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이 용융 혼련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3에는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구조는 PP로 형성되는 연속상 중에 m-EBR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갖는 구조(해도(sea-island) 구조)였다.
(비교예 3)
PA11과 m-EBR의 질량비(PA11의 질량:m-EBR의 질량)를 20: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과 PP의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30:70이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4에는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구조는 PP로 형성되는 연속상과, 상기 연속상 중에 분산된 PA11로 형성되는 분산상과, 상기 분산상 중에 분산된 PP, 또는 PA11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을 갖는 구조(살라미 구조)였다.
(비교예 4)
PA11과 m-EBR의 질량비(PA11의 질량:m-EBR의 질량)를 70: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과 PP의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80:20이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5에는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구조는 PA11로 형성되는 연속상 중에, PP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갖는 구조(상 반전된 해도 구조)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2)
폴리아미드 11 대신에 폴리아미드 6(PA6, 우베고산 제조, 상품명: 「1010X1」, 수 평균 분자량: 10,000)을 이용하고, PA6과 m-EBR의 질량비(PA6의 질량:m-EBR의 질량)를 35: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 수지 혼합물과 PP의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45:5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6 및 도 8에는 얻어진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이 임의의 2군데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사진으로부터 PA6으로 형성되는 상의 부분을 제외한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비교예 5)
PA6과 m-EBR의 질량비(PA6의 질량:m-EBR의 질량)를 25: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과 PP의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35:6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9에는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구조는 PP로 형성되는 연속상과, 상기 연속상 중에 분산된 PA6으로 형성되는 분산상과, 상기 분산상 중에 분산된 m-EBR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을 갖는 구조(살라미 구조)였다.
(비교예 6)
PA6과 m-EBR의 질량비(PA6의 질량:m-EBR의 질량)를 45: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혼합물과 PP의 질량비(수지 혼합물의 질량:PP의 질량)가 55:4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에 제공한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모폴로지 관찰을 행하였다. 도 10에는 상기 물성 측정용 시험편의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 현미경(FE-SEM) 사진을 나타낸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구조는 PP로 형성되는 연속상 중에, PA6 또는 m-EBR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갖는 구조(상 반전된 해도 구조)였다.
(비교예 7)
우선, PA6과 PP를 질량비(PA6의 질량:PP의 질량)가 39:61이 되도록 드라이 블렌딩에 의해 혼합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가열 용융 혼련하여 용융 혼련물을 얻었다. 이 용융 혼련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펠릿 형상의 수지 조성물(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이용하여 샤르피 충격 강도의 측정 및 굽힘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수지 조성물의 비율과 함께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PA11로 형성되는 연속상(연속상 A-PA11, 부호 2)과 PP로 형성되는 연속상(연속상 B, 부호 7)을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연속상 A-PA11 중에는, PP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a-PP, 부호 10) 및 PA11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a-PA11 반응물, 부호 4)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분산상 a-PP 중에는, PA11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a'-PA11, 부호 1) 및 PA11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a'-PA11 반응물, 부호 6)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연속상 B 중에는, PA11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b-PA11, 부호 3) 및 PA11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b-PA11 반응물, 부호 5)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분산상 b-PA11 반응물 중에는, PP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b'-PP, 부호 9) 및 m-EBR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b'-mEBR, 부호 8)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결과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현저하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6 내지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은 PA6으로 형성되는 연속상(연속상 A-PA6, 부호 11)과 PP로 형성되는 연속상(연속상 B, 부호 7)을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연속상 A-PA6 중에는 m-EBR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a-mEBR, 부호 12)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연속상 B 중에는 PA6으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b-PA6, 부호 13)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분산상 b-PA6 중에는 m-EBR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b'-mEBR, 부호 8)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연속상 A-PA6(부호 11) 중에, PP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a-PP, 부호 10) 및 PA6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a-PA6 반응물, 부호 17)이 분산되어 있고, 분산상 a-PP 중에, m-EBR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a'-mEBR, 부호 15), PA6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a'-PA6, 부호 14) 및 PA6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미세 분산상 a'-PA6 반응물, 부호 18)이 분산되어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연속상 B 중에, PA6과 m-EBR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분산상 b-PA6 반응물, 부호 16) 및 m-EBR로 형성되는 분산상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분산상 b-PA6 반응물 중에, 미세 분산상 b'-mEBR(부호 8) 및 미세 분산상 b'-PP(부호 9)가 분산되어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현저하게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강성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 미세 분산상 a'-PA11
2 : 연속상 A-PA11
3 : 분산상 b-PA11
4 : 분산상 a-PA11 반응물
5 : 분산상 b-PA11 반응물
6 : 미세 분산상 a'-PA11 반응물
7 : 연속상 B
8 : 미세 분산상 b'-mEBR
9 : 미세 분산상 b'-PP
10 : 분산상 a-PP
11 : 연속상 A-PA6
12 : 분산상 a-mEBR
13 : 분산상 b-PA6
14 : 미세 분산상 a'-PA6
15 : 미세 분산상 a'-mEBR
16 : 분산상 b-PA6 반응물
17 : 분산상 a-PA6 반응물
18 : 미세 분산상 a'-PA6 반응물

Claims (6)

  1. 제1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상용하지 않는 제2 수지와, 상기 제1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기를 갖는 변성 엘라스토머의 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A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연속상 B를 포함하는 공연속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연속상 A 중에 분산된 분산상 a, 상기 분산상 a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a', 상기 연속상 B 중에 분산된 분산상 b, 및 상기 분산상 b 중에 분산된 미세 분산상 b'를 갖고 있고,
    상기 분산상 a는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a'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2 수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세 분산상 b'는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가 폴리아미드 수지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 a가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분산상,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 b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분산상 a 중의 미세 분산상 a'가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이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형성되는 상기 분산상 b 중의 미세 분산상 b'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 A 및 상기 연속상 B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속상 중에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을 더 갖고 있는,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분산상 중에, 상기 제1 수지, 상기 제2 수지, 및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변성 엘라스토머의 반응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는 미세 분산상을 더 갖고 있는, 수지 조성물.
KR1020157001480A 2012-06-22 2013-06-21 수지 조성물 KR101780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0568 2012-06-22
JP2012140568 2012-06-22
JPJP-P-2013-129675 2013-06-20
JP2013129675A JP5798595B2 (ja) 2012-06-22 2013-06-20 樹脂組成物
PCT/JP2013/067751 WO2013191307A1 (en) 2012-06-22 2013-06-21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819A true KR20150023819A (ko) 2015-03-05
KR101780569B1 KR101780569B1 (ko) 2017-09-21

Family

ID=4880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480A KR101780569B1 (ko) 2012-06-22 2013-06-21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49300B2 (ko)
EP (1) EP2864419B1 (ko)
JP (1) JP5798595B2 (ko)
KR (1) KR101780569B1 (ko)
CN (2) CN106883599A (ko)
ES (1) ES2606345T3 (ko)
IN (1) IN2014DN09996A (ko)
WO (1) WO20131913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772A (ko) * 2015-12-01 2018-07-27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개질제 및 그 사용 방법, 개질제의 제조 방법 및 첨가재용 담체
KR20190138566A (ko) * 2018-06-05 2019-12-1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515B1 (ko) * 2014-01-09 2017-01-11 롯데첨단소재(주) 전도성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TWI706030B (zh) * 2015-09-29 2020-10-01 日商昭和電工包裝股份有限公司 蓄電裝置之外裝材用密封薄膜、蓄電裝置用外裝材及蓄電裝置
TWI707026B (zh) * 2015-09-29 2020-10-11 日商昭和電工包裝股份有限公司 蓄電裝置之外裝材用密封薄膜、蓄電裝置用外裝材及蓄電裝置
JP6640523B2 (ja) * 2015-10-14 2020-02-05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外装材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6719880B2 (ja) * 2015-10-14 2020-07-08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外装材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BR112018005444B1 (pt) * 2015-12-01 2022-05-03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Corpo moldado e método de produção do mesmo
US11034819B2 (en) 2016-02-24 2021-06-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elf-assembled propylene-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SG11201806672XA (en) 2016-03-11 2018-09-27 Toyota Boshoku Kk Foamed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288142B2 (ja) 2016-03-31 2018-03-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分散径の調整方法及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RU2706240C1 (ru) 2016-03-31 2019-11-15 Тойота Босоку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термопластической смолы,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отформованное тело
JP6384507B2 (ja) * 2016-03-31 2018-09-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ネルギー吸収体
EP3492523B1 (en) * 2016-07-28 2021-09-08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body
US11091616B2 (en) 2017-01-30 2021-08-17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Mold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455534B2 (ja) * 2017-02-02 2019-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布帛
JP6939005B2 (ja) * 2017-03-24 2021-09-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樹脂成形体用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SG11201909515SA (en) * 2017-06-02 2019-11-28 Toyota Boshoku Kk Trim board for vehicle door, and door trim
JP2019006938A (ja) * 2017-06-28 2019-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ポリオレフィン樹脂成形体並びに電気掃除機
JP6786055B2 (ja) 2018-03-08 2020-11-18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接合体
JP2020167169A (ja) * 2020-06-15 2020-10-08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外装材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23233697A1 (ja) * 2022-06-03 2023-1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電力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2808A (en) * 1989-02-09 1994-03-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ulti-phase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472344A3 (en) * 1990-08-14 1992-09-30 Ube Industries, Ltd. Reinforced elastomer composition and polypropylen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3068120B2 (ja) 1991-12-10 2000-07-24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013966B2 (ja) 1994-05-20 2000-02-28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3243978B2 (ja) 1995-08-25 2002-01-07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AU7309096A (en) * 1995-10-27 1997-05-15 Elf Atochem S.A. Mixture of polyolefin and polyamide alloy, and fabrication process
FR2783747B1 (fr) * 1998-09-30 2000-12-08 Atochem Elf Sa Film comprenant une couche centrale en polyolefine et deux couches externes en alliage polyamide/polyolefine
JP4109399B2 (ja) 1999-03-12 2008-07-02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4660894B2 (ja) 1999-12-14 2011-03-30 東レ株式会社 気体および/または液体バリア部品用樹脂成形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薬液またはガス搬送および/または貯蔵用容器およびその付属部品
JP4078823B2 (ja) * 2001-10-26 2008-04-23 東レ株式会社 バリア性多層中空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18057B2 (ja) 2004-12-07 2011-01-26 マツダ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該成形品を用いた車両の外板部材
JP5200989B2 (ja) 2009-02-23 2013-06-05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107022A1 (ja) * 2009-03-16 2010-09-23 東レ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組成物、成形材料および繊維強化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MX342550B (es) 2009-12-11 2016-10-04 Dow Global Tech Llc * Mezclas polimericas termoplasticas comprendiendo poliuretano dinamicamente reticulado en una matriz plimerica de olefina.
CN101781466B (zh) * 2010-03-17 2011-08-17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具有双连续结构聚烯烃/聚酰胺合金材料的制备方法
CN106883506B (zh) * 2011-12-22 2020-06-02 丰田纺织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成型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772A (ko) * 2015-12-01 2018-07-27 도요다 보쇼꾸 가부시키가이샤 개질제 및 그 사용 방법, 개질제의 제조 방법 및 첨가재용 담체
KR20190138566A (ko) * 2018-06-05 2019-12-1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365295B2 (en) 2018-06-05 2022-06-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iber-reinforce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3599A (zh) 2017-06-23
IN2014DN09996A (ko) 2015-08-14
JP5798595B2 (ja) 2015-10-21
US9249300B2 (en) 2016-02-02
CN104662092B (zh) 2016-12-07
KR101780569B1 (ko) 2017-09-21
EP2864419A1 (en) 2015-04-29
JP2014025060A (ja) 2014-02-06
WO2013191307A1 (en) 2013-12-27
ES2606345T3 (es) 2017-03-23
US20150218373A1 (en) 2015-08-06
CN104662092A (zh) 2015-05-27
EP2864419B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569B1 (ko) 수지 조성물
JP626671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56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984061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ed body
JP5836923B2 (ja) 植物由来ポリアミド樹脂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3147645A5 (ko)
JP6916459B2 (ja) 樹脂組成物
EP279649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275080B1 (ko) 분산 직경의 조정 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725025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22138726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