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485A -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 Google Patents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485A
KR20150007485A KR20130081465A KR20130081465A KR20150007485A KR 20150007485 A KR20150007485 A KR 20150007485A KR 20130081465 A KR20130081465 A KR 20130081465A KR 20130081465 A KR20130081465 A KR 20130081465A KR 20150007485 A KR20150007485 A KR 2015000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support
auxiliary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601B1 (ko
Inventor
변종언
Original Assignee
변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종언 filed Critical 변종언
Priority to KR2013008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 면적의 식재료거치면이 구비되고 일측 외주면은 메인불판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기립 설치되는 지지체로 구성됨으로써, 메인불판과는 별개로 구성하되, 메인불판의 상부 일측에 거치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간접 열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 익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기의 좋은 식감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세척 및 취급이 용이한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Assist Plate for Roasting meat and double stage plate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기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용 보조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인불판의 상부면 일측에 간편하게 거치시켜 간접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고기,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를 태우지 않고 효과적으로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기의 좋은 식감 유지는 물론 세척 및 취급이 용이한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불판은 고기나 소세지 등의 식재료를 상부면에 올려놓고 구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스렌지 등과 같은 화기 위에 간편하게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얇은 판재 형태의 취사도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불판은 취급하고자 하는 식재료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구조 또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철주물(Iron casting), 구리, 또는 자연석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지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용 불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불판(1)은 상부면에 고기 등과 같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구조의 얇은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판(1)은 사용환경의 특성상 열전도성, 내식성, 강도,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용 불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일반적으로 불판은 열전도성과 중량 등을 고려하여 박판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부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고기 등과 같은 식재료가 쉽게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기를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음식 낭비는 물론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불판 위에 장시간 방치된 고기는 육즙이 빠져나가 딱딱해짐으로써 식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 익은 고기를 다른 접시나 야채 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넷째, 고기가 타는 과정에서 발암물질 중의 하나인 벤조피렌(Benzopyrene) 등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메인 불판의 상부 일측에 간편하게 거치시켜 간접 열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고기를 태우지 않고 장시간 좋은 식감을 유지한 채로 따뜻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다 익은 고기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셋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또는 분리가 간편하여 제작, 취급 또는 세척이 용이한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 면적의 식재료거치면이 구비되고, 일측 외주면은 메인불판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일단부에는 걸이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기립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은 상기 식재료거치면의 외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테두리부는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재료거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상판은 일정 폭을 가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 둘레를 따라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지지체는 세라믹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2단 불판유닛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불판 및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1항의 보조불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불판에 구비되는 지지체에는 상기 메인불판의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불판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 익은 고기의 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고기를 태우지 않고 장시간 좋은 식감을 유지한 채로 따뜻하게 보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식사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제작, 취급 및 세척이 용이하여 불판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음식 낭비 방지는 물론 발암 물질 발생의 최소화로 인해 환경 오염 차단과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다른 실시예의 배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불판이 메인불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의 2단 불판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보조불판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도 2의 'B-B'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기 등과 같은 식재료를 굽기 위한 메인불판(100)(도6에 도시함)과는 별도로 제작하여 메인불판(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한 후 간접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 등과 같은 식재료를 올려놓고 천천히 데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한 소형 보조불판(50)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과 지지체(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판(10)은 고기, 야채 등과 같은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게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식재료거치면(15)과 테두리부(17)로 구성된다.
상판(10)은 메인불판(100)의 상부에 거치시켜 사용하여야 하는 특성상 메인불판(10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은 메인불판(100)이 원형인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플레이트(plate)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메인불판(100)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메인불판(100)이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보조불판(50)의 외형 일부를 이러한 메인불판(100)의 외형에 적합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한편 식재료거치면(15)은 상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테두리부(17)는 식재료거치면(15)의 외주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테두리부(17)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거치면(15)으로부터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식재료거치면(15) 상부의 고기나 야채, 또는 기름 등이 상판(10) 외부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테두리부(17) 일측에는 걸이공(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걸이공(12)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된 보조불판(50)을 메인불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집게 등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걸이공(12)은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게의 크기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식재료거치면(15)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13)이 관통 형성된다.
배출공(13)은 식재료거치면(15) 상부에 고이게 되는 기름 등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이나 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식재료거치면(15)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반복 배치하거나 또는 식재료거치면(15)의 둘레를 따라 배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판(10)의 각 모서리부(11)에는 모따기 또는 만곡면 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30)는 상판(10)이 메인불판(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될 수 있도록 상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판(1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기립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메인불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면(35)이 구비된다.
지지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의 하측면에 설치하되, 상판(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호(Circular ar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판(10)에 구비된 식재료거치면(15)의 둘레를 따라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는 양측면에 만곡면(37)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메인불판(100)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지지면(35)이 전면부(32)와 후면부(33)에 각각 형성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불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테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지지체(30)는 이에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32)가 후면부(33)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30)는 식재료거치면(15) 상부에 잔류하는 기름이 배출공(13)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식재료거치면(15)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체(30)는 상기와 같은 일체형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지지대를 상판(10) 하측면 다수곳에 독립적으로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30)는 상판(10)의 모서리부(11)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4개의 바(bar) 형태로 분리 구성한 후, 상판(10) 모서리부(11) 하측면에 각각 설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은 불판 제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철주물(Iron casting), 구리, 또는 자연석 등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보존력이 우수한 도자기 재질과 같은 세라믹(ceramic)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은 점토나 장석, 규석 등과 같은 무기 재료를 고온으로 구워서 제작한 비금속 무기질 고체재료로서 자기 등의 제작에 주로 사용되며, 고온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보조불판(50) 제작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은 상기와 같은 세라믹 소재로 성형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표면에 세라믹 코팅을 실시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게르마늄(Germanium)이나, 옥토, 황토 등을 혼합한 세라믹 소재을 이용하여 제작 또는 표면 코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원적외선은 생체 침투 효과가 우수하고 보온 효과는 물론 생체 내에서의 우수한 열작용과 살균작용 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의 기능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사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불판(100)은 일반적으로 화력이 올라오는 부분에 놓여진 불판가이드(200)의 내측부에 설치됨으로써, 고기 등의 식재료(300)를 익히는 주 역할을 하게 되며,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은 이러한 메인불판(100)의 상부 일측에 올려놓는 것이다.
또한 메인불판(1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10)이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보조불판(50)은 메인불판(10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므로, 메인불판(100)의 상부면 바깥쪽에 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불판(50)은 메인불판(100)을 통해 전달되는 간접 열을 받아 식재료거치면(15)에 놓여진 음식을 데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불판(100)에서 다 익은 고기를 보조불판(50)의 식재료거치면(15)에 올려놓고 천천히 먹을 수 있으며, 또한 보조불판(50) 상부의 음식은 간접 열에 의해 적당하게 데워지게 되므로, 음식이 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좋은 식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6은 원형 불판에 적용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사각형 불판 등에는 사각형 보조불판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메인불판(100) 상에서 간접 열을 받음과 동시에 식재료(30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용 보조불판의 다른 실시예의 배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불판이 메인불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상태의 2단 불판유닛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지지체(30')의 돌기부(60)의 구성 외에는 도 2,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변경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불판(50')은 상판(10')과 지지체(30')로 이루어지되, 지지체(30')에 구비된 지지면(35)에는 복수의 돌기부(60)가 형성된다.
돌기부(60)는 지지면(35)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메인불판(100)(도6에 도시함)의 관통공(110)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110)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2단 불판유닛은 메인불판(100)과 보조불판(30')으로 이루어지되, 보조불판(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불판(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메인불판(100) 일부에 2단 불판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조불판(50')은 돌기부(60)가 관통공(110)에 삽입됨으로써, 좌,우 이동이 구속되도록 메인불판(100)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불판(100) 상부에 거치되어 간접 열을 이용하여 식재료를 데울 수 있게 됨으로써, 고기 등의 식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재료가 장시간 좋은 식감을 유지한 채로 따뜻하게 보존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버려지는 고기를 최소화하여 음식 낭비나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발암물질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간편한 설치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높을 뿐 아니라 취급 또는 세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불판 10,10' : 상판
11 : 모서리부 12 : 걸이공
13 : 배출공 15 : 식재료거치면
17 : 테두리부 30,30' : 지지체
32 : 전면부 33 : 후면부
35 : 지지면 37 : 만곡면
50,50' : 보조불판 60 : 돌기부
100 : 메인불판 200 : 불판가이드
300 : 식재료

Claims (6)

  1.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 면적의 식재료거치면이 구비되고, 일측 외주면은 메인불판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일단부에는 걸이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을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기립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면을 구비하는 지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이용 보조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식재료거치면의 외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테두리부는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불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거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불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정 폭을 가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 둘레를 따라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불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지지체는 세라믹 소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보조불판.
  6.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불판 및 상기 메인불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1항의 보조불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불판에 구비되는 지지체에는 상기 메인불판의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불판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한 2단 불판유닛.


KR20130081465A 2013-07-11 2013-07-11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KR10149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465A KR101490601B1 (ko) 2013-07-11 2013-07-11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465A KR101490601B1 (ko) 2013-07-11 2013-07-11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85A true KR20150007485A (ko) 2015-01-21
KR101490601B1 KR101490601B1 (ko) 2015-02-06

Family

ID=525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465A KR101490601B1 (ko) 2013-07-11 2013-07-11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3B1 (ko) * 2016-04-16 2017-03-09 김진권 구이 장치
WO2017043832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타임이엔씨 수냉식 그릴을 구비한 화로장치
KR200489264Y1 (ko) * 2018-01-22 2019-05-23 김재환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 보조불판이 구비된 구이판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712B1 (ko) * 2016-07-29 2018-01-22 김미주 세라믹 그릴판
KR102317772B1 (ko) 2019-11-05 2021-10-25 천수연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58Y1 (ko) * 1986-07-08 1990-05-17 임덕규 불고기판용 경사 보조판
KR200285055Y1 (ko) 2002-05-07 2002-08-13 박무교 원형불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32A1 (ko) * 2015-09-07 2017-03-16 주식회사 타임이엔씨 수냉식 그릴을 구비한 화로장치
KR101714763B1 (ko) * 2016-04-16 2017-03-09 김진권 구이 장치
KR200489264Y1 (ko) * 2018-01-22 2019-05-23 김재환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 보조불판이 구비된 구이판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601B1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601B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JP2009541700A (ja) ラックアセンブリ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JP2010172351A (ja) 輻射鍋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20200121977A (ko) 구이용 불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493423Y1 (ko) 구이용 황토가마의 화덕장치
KR200252374Y1 (ko) 육류구이판에 있어서 육류의 태움방지를 위한 적재대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CN212546661U (zh) 一种烤锅
JP3200803U (ja) 調理器具
JP3122819U (ja) 電子レンジ用加熱促進皿
KR200315598Y1 (ko) 황토가마 맥반석석쇠구이판
KR200427285Y1 (ko) 구이기용 간접가열커버
KR20230124323A (ko) 다용도 식품 가열 장치
KR200252788Y1 (ko) 만능구이기
KR101314084B1 (ko) 전열기용 조리기
KR20130109480A (ko)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