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480A -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 Google Patents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480A
KR20130109480A KR1020120031228A KR20120031228A KR20130109480A KR 20130109480 A KR20130109480 A KR 20130109480A KR 1020120031228 A KR1020120031228 A KR 1020120031228A KR 20120031228 A KR20120031228 A KR 20120031228A KR 20130109480 A KR20130109480 A KR 2013010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an
heat
heating element
ceramic heat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보
박은숙
Original Assignee
정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보 filed Critical 정영보
Priority to KR102012003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480A/ko
Publication of KR2013010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조리 팬;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돌출되는 열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라믹 발열체; 및 상기 열 안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 순환 캡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상기 조리 팬을 가열하며, 상기 열 안내부를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진행하는 열이 상기 열 순환 캡에 의해 하향 진행하면서, 상기 조리 팬 상의 음식물 상면을 가열하는 직화 조리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화 조리기는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하여 조리 팬, 궁극적으로는 음식물이 화기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즙, 구체적으로 지방 성분이 화기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DIRECT FIRE COOKER WITH CERAMIC HEATING BODY}
본 발명은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는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 구이, 직화 조리란, 직접적인 화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으로서, 직화 구이용 조리 기구로는 대체로 석쇠나 그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봉에 꽂아 회전시키는 회전식 바베큐 장치 또한 직화 구이용 조리 기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직화 구이는 화기로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의 표면을 급속하게 익힘으로써, 음식물이 가지는 고유의 즙, 향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육류나 어류와 같이 자체 지방을 가지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음식물의 섭취함에 있어 간접 화기로 조리할 때와는 색다른 향상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직화 구이 과정에서 연기나 냄새,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즙 등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개방되지 않은 장소, 예를 들어, 음식점에서는 강제 배기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강제 배기 장치를 갖추지 못한 건물의 내부나 일반 가정에서는 이러한 직화 구이를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구이판의 중앙에 열 유입구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열 반사판을 설치하여, 직화 구이를 하는 동안 복사열 또는 대류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직화 조리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185호(2008. 11. 11.)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직화 조리기는 실질적으로 화기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지방 성분 등의 연소로 인한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화기의 직접적인 복사열에 의해서도 음식물이 가열되기는 하지만,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복사열 또는 대류열에 의해 음식물이 대부분 가열되기 때문에, 조리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즉석에서 조리, 섭취하는 직화 구이 방식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이 화기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방 성분 등의 연소로 인한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화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강제 배기 장치가 갖추어지지 못한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또한, 원적외선 방식으로 음식물의 겉과 속을 골고루 가열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조리 팬;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돌출되는 열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라믹 발열체; 및 상기 열 안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 순환 캡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상기 조리 팬을 가열하며, 상기 열 안내부를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진행하는 열이 상기 열 순환 캡에 의해 하향 진행하면서, 상기 조리 팬 상의 음식물 상면을 가열하는 직화 조리기를 개시한다.
상기 직화 조리기는 기름 받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름 받이는 가열구와, 상기 가열구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턱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조리 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름 받이는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 턱 사이에 제공되는 홈통을 더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조리 팬으로부터 낙하하는 부산물을 상기 홈통에 수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화 조리기는 가장자리가 상기 조리 팬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걸림턱에 지지되는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탄화규소 15 ~ 20%, 페트라이트 18 ~ 25%, 황토분 30 ~ 40%, 산화알미늄 5 ~ 10%, 내화점토 5 ~ 15%, 토르마린 10 ~ 15%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유약으로 표면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직화 조리기는 상기 조리 팬은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면서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열 안내부를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순환 캡은 상기 안내부를 감싸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화 조리기는 상기 열 순환 캡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열 안내부를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진행하는 열을 상기 조리 팬의 상면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화 조리기는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하여 조리 팬, 궁극적으로는 음식물이 화기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차단함으로써,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즙, 구체적으로 지방 성분이 화기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억제함으로써, 강제 배기 장치를 갖추지 못한 실내나 일반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라믹 발열체의 복사열과 원적외선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열 안내부를 통해 진행하는 열을 이용하여 조리 팬 상의 음식물 상면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직화 구이와 같이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화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직화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화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직화 조리기(100)는 조리 팬(101), 세라믹 발열체(102) 및 열 순환 캡(103)을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복사열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 팬(101) 및 상기 조리 팬(101) 상의 음식물을 가열함과 아울러, 일부의 열은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열 순환 캡(103)은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에서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리 팬(101) 상의 음식물을 상면에서부터 가열하게 된다.
상기 조리 팬(101)은 대체로 원형의 판 형상이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로 진행할수록 점차 낮아지게 경사진 형태이며, 중앙부에는 관통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은 상기 조리 팬(101)에 직접 접촉되어 가열되며, 조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부산물, 예를 들면, 지방 성분 등을 포함하는 육즙이 배출되는 경우, 배출된 육즙은 상기 조리 팬(101)의 표면을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 팬(101)의 가장자리부에서 육즙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리 팬(101)의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낙하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발생하는 육즙 등은 상기 낙하 홀들을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하부로 배출된다.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상기 관통홀(113)을 통해 음식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리 팬(101)은 안내부(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11)는 상기 관통홀(113)을 둘러싸면서 상기 조리 팬(10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조리 팬(101)은 가장자리의 일부를 절곡한 단차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15)는 하기에서 설명될 기름 받이(107)에 거치, 지지된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가스레인지, 숯불 등의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상기 조리 팬(101)을 직접 가열하게 되며, 화기의 일부 열은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진행하게 한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상기 조리 팬(101)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부(121)와, 상기 가열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113)을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돌출되는 열 안내부(123)로 이루어진 구성이며, 상기 열 안내부(123)로 둘러싸인 열 전달공(125)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를 가열하는 화기의 일부 열은 상기 열 전달공(125)을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가열부(121)는 대체로 원판 형상이나, 상기 조리 팬(101)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진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열 안내부(123)는 원뿔대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안내부(123)는 상기 안내부(111)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가 상기 조리 팬(101)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 설명될 기름 받이(107)가 사용된다면,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와 조리 팬(101)은 각각 상기 기름 받이(10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 안내부(123)가 상기 안내부(111)에 밀착될 필요는 없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탄화규소 15 ~ 20%, 페트라이트 18 ~ 25%, 황토분 30 ~ 40%, 산화알미늄 5 ~ 10%, 내화점토 5 ~ 15%, 토르마린 10 ~ 15%의 재료를 내열재와 혼합하여 숙성한 후, 이를 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의 두께에 따라 화기에 의한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의 복사열이나 원적외선 방출양이 조절된다. 성형된 세라믹 발열체(102)는 그 자체로서 완성된 것은 아니다. 일정 형상으로 성형된 후에는 30 ~ 35℃의 건조한 공간에서 24시간 건조한 다음 고온 가마에서 48시간 소성하여 가공하게 된다.
고온에서 소성 처리된 세라믹 발열체(102)는 필요에 따라 유약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다시 가마에서 소성처리를 하여 제품으로서 완성된다. 유약으로 표면처리를 할 경우,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가 지방 성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소성 처리는 1300℃ 이상의 고온 가마에서 이루어지며, 이로써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화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하면, 복사열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열 순환 캡(103)은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 안내부(123)를 통해 진행하는 복사, 대류열을 하향으로, 다시 말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면을 향해 진행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리 팬(101) 상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상면이 복사, 대류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열 순환 캡(103)을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111)를 감싸는 결합부(133)와, 상기 열 순환 캡(103)의 캡 부(131)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133)에 연결된 연결부(1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3)는 상기 안내부(111)의 둘레를 감싸게 결합하여 상기 열 순환 캡(103)을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5)는 상기 관통홀(11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연결부(135)들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상기 열 안내부(123)를 통해 진행하는 열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화 조리기(100)는 세라믹 발열체(102)를 이용하여 조리 팬(101)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함과 동시에 화기의 열을 세라믹 발열체(102)의 열 안내부(123)를 통해 조리 팬(101)의 상부로 전달하여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직화 조리기(100)는 기름 받이(107)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 받이(107)는 중앙을 개방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열구(171)와, 상기 가열구(171) 둘레에 제공되는 제1 걸림턱(173), 제1 걸림턱(173)의 둘레에 제공되는 제2 걸림턱(175)을 포함한다. 가스레인지의 화구나 숯불 화덕의 열기는 상기 가열구(171)를 통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121)는 그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걸림턱(173)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열구(171) 상에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는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며, 화기의 일부 열은 상기 열 안내부(123)를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전달된다. 상기 조리 팬(101)은 상기 단차부(115)가 상기 제2 걸림턱(175)에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기름 받이(107)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세라믹 발열체(102)가 상기 제1 걸림턱(173)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 팬(101)이 상기 제2 걸림턱(175)에 배치되면, 상기 열 안내부(123)가 상기 관통홀(113)을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1 걸림턱(173)과 제2 걸림턱(175) 사이에는 홈통(177)이 형성된다. 상기 홈통(177)은 상기 조리 팬(101)의 낙하 홀들의 하부에 위치되어,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육즙 등, 부산물이 낙하할 경우 이를 수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홈통(177)에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하여, 상기 홈통(177)에 낙하한 육즙 등의 부산물이 열에 의해 상기 홈통(177)의 표면에 고착화하거나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직화 조리기(100)는 덮개(1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05)는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그 가장자리는 상기 조리 팬(101)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걸림턱(175)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는 일정 정도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열 안내부(123)를 통해 상기 조리 팬(101)의 상부로 전달된 열은 상기 덮개(105)에 의해 폐쇄된 공간에 가두어져 음식물을 더 빠르게 조리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직화 조리기 101: 조리 팬
102: 세라믹 발열체 103: 열 순환 캡
105: 덮개 107: 기름 받이

Claims (9)

  1. 직화 조리기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조리 팬;
    상기 조리 팬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돌출되는 열 안내부를 포함하는 세라믹 발열체; 및
    상기 열 안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 순환 캡을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화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상기 조리 팬을 가열하며, 상기 열 안내부를 통해 상기 조리 팬의 상부로 진행하는 열이 상기 열 순환 캡에 의해 하향 진행하면서, 상기 조리 팬 상의 음식물 상면을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가열구와, 상기 가열구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턱의 둘레에 제공되어 상기 조리 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기름 받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받이는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 턱 사이에 제공되는 홈통을 더 구비하고,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어 상기 조리 팬으로부터 낙하하는 부산물이 상기 홈통으로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4. 제2 항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조리 팬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걸림턱에 지지되는 덮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탄화규소 15 ~ 20%, 페트라이트 18 ~ 25%, 황토분 30 ~ 40%, 산화알미늄 5 ~ 10%, 내화점토 5 ~ 15%, 토르마린 10 ~ 15%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발열체는 유약으로 표면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팬은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면서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세라믹 발열체의 열 안내부를 감싸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순환 캡은 상기 안내부를 감싸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순환 캡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KR1020120031228A 2012-03-27 2012-03-27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KR20130109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28A KR20130109480A (ko) 2012-03-27 2012-03-27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28A KR20130109480A (ko) 2012-03-27 2012-03-27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80A true KR20130109480A (ko) 2013-10-08

Family

ID=4963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228A KR20130109480A (ko) 2012-03-27 2012-03-27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9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49B1 (ko) * 2019-04-04 2019-10-10 서창민 열대류를 이용하여 바베큐를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849B1 (ko) * 2019-04-04 2019-10-10 서창민 열대류를 이용하여 바베큐를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101626718B1 (ko) 장작을 이용한 고기 구이 장치
US3938495A (en) Grill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surface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20130109480A (ko) 세라믹 발열체를 구비하는 직화 조리기
KR101445747B1 (ko) 다기능 조리기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JP2009284926A (ja) 加熱調理器
KR101541482B1 (ko) 다기능 압력 직화 조리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043790B1 (ko) 구이기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200321211Y1 (ko) 구이용 숯불 가마
KR200427363Y1 (ko) 맥반석볼을 이용한 직화냄비용 겅그레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20230124323A (ko) 다용도 식품 가열 장치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200493423Y1 (ko) 구이용 황토가마의 화덕장치
CN218738459U (zh) 适用于燃气灶加热的燃气烤锅及其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