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17A - 운동 보조구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17A
KR20150003417A KR20127033928A KR20127033928A KR20150003417A KR 20150003417 A KR20150003417 A KR 20150003417A KR 20127033928 A KR20127033928 A KR 20127033928A KR 20127033928 A KR20127033928 A KR 20127033928A KR 20150003417 A KR20150003417 A KR 2015000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ercise
seating surface
sea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3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요시 마쓰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5000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9Rocking chai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8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on a b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면(2)과, 대략 구면 형상의 저면(3)이 형성된 본체부(10)를 갖는 운동 보조구(1)이며, 좌면(2)의 최하점의 높이(H)가 100 내지 450mm의 범위에 있고, 또한,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좌면(2)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가 좌면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 저면(3)을 접지시킨 채 좌면(2)을 전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구{EXERCISE ASSISTING TOOL}
본 발명은 운동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미용이나 건강 유지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운동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구가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허리부의 회전이나 비틀기를 수반하는 운동 등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구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운동 보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 운동 보조구는 팽이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착석하여 허리부의 회전 등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35921호
그러나, 상기 운동 보조구는 본체부를 크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허리부의 회전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허리부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는 등,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접지면 부근까지 앉을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부 등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운동 보조구를 받침대 위에 재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을 때의 부하가 경감되지만, 운동 보조구를 재치할 받침대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령 받침대 위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구를 사용한다고 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를 크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허리부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하기 쉬운 운동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면(座面)과, 대략 구면 형상의 저면이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좌면의 최하점의 높이가 100 내지 450mm의 범위에 있고, 또한,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상기 좌면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에 있다.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좌면의 최하점의 높이가 상기 특정 범위에 있고, 또한 상기 저면이 대략 구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그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접지시킨 발을 기점으로 하여 허리부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저면을 접지시킨 채 상기 좌면을 전(全)방향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특정 범위의 좌면 높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좌면의 기울기에 수반되는 좌면의 이동 범위를 적당한 범위에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운동 보조구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허리부의 회전 운동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허리부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비틀어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상기 좌면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운동할 때 상기 운동 보조구에 손을 짚어 유지할 필요가 적어진다. 그리고,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특정한 좌면 높이의 범위와 상기 규제 수단 구비의 상승 효과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부의 운동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면의 높이가 상기 특정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할 때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형태에 의하면,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운 운동 보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를 융기부측(전방)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를 좌면측(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D-D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E-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후방에서 본 평면도.
도 10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후방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가 측방변부측으로 경동(傾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좌면 부재와 저면 부재를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운동 보조구의 단면도(도 3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좌면 부재와 저면 부재를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운동 보조구의 단면도(도 7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지지 스탠드의 사시도.
도 15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접지면과 저면 사이에 지지 스탠드를 개설한 운동 보조구의 사시도.
도 16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지지 핸들의 사시도.
도 17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지지 핸들의 F-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상기 운동 보조구에 있어서의 상기 좌면의 높이는, 접지점의 연직 상방에 상기 좌면의 중앙이 배치되도록 상기 저면을 접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접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면의 최하점의 높이를 계측하는 것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좌면에 착석하여 등줄기가 곧은 자연 상태로 했을 때의 접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부의 최하점까지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좌면의 높이(최하점)는 100mm 이상 450mm 이하이다.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좌면의 높이를 이 특정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에 착석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을 접지시켜 허리부를 움직임으로써, 좌면을 용이하게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허리부의 가동 범위도 넓어지고, 비교적 자유롭게 회전 운동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허리부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좌면의 높이가 적절한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착석하는 동작이 용이한 것이 된다.
상기 좌면의 높이가 100mm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좌면과 접지면의 거리가 과도하게 짧아진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가 좁아져 운동의 효과가 불충분한 것이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좌면의 높이는 100mm 이상으로 하고, 140mm 이상이 바람직하며, 160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면의 높이가 4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허리부가 접지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떨어진 상태가 되어 중심(重心)의 위치가 높아지고, 허리부를 움직일 때 균형을 잡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스무스한 허리부의 운동이 곤란해져 허리부 운동의 효과가 불충분한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좌면의 높이는 450mm 이하로 하고, 350mm 이하가 바람직하며, 30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0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와 균형 잡기 용이함의 쌍방의 관점에서, 상기 좌면의 높이는 160mm 이상 200m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상기 좌면에 착석했을 때 있어서, 상기 저면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좌면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저면부의 형상을 이용한 경동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형상은 상기 좌면의 경동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면 좋다. 상기 본체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상기 저면과 연속된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 전체를 대략 반구 형상으로 한 형상이나, 직방체의 일면을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저면으로 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는 대략 구면 형상의 상기 저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나머지 부분의 형상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저면의 형상을 가리키는 대략 구면 형상이란 기하학상 정의되는 완전한 구면으로 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구면 형상으로 인식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상기 저면은 상기한 전방향으로의 경동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이면, 곡률이 상이한 부위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저면은 그 곡률 반경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단 둘레(端緣) 방향으로 감과 함께 곡률 반경을 작게 하는 것이나, 중심(中心)축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하지 않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곡률 반경을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는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규제 수단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좌면의 표면을 마찰 계수가 높은 소재로 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부와 좌면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상기 규제 수단의 다른 형태는 상기 좌면 또는 그 주위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엉덩이부, 허리부 또는 허벅다리부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도록 형상을 변화시킨 형상 변화부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것에 의해, 엉덩이부, 허리부 또는 허벅다리부를 형상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엉덩이부와 좌면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규제 수단의 또 다른 형태는 상기 좌면 부분을 사용자의 엉덩이부 또는 허벅다리부의 형상을 추종하여 변형되기 쉬운 재질, 예를 들면 저반발 탄성 폼 등을 채용하여 엉덩이부와 상기 좌면의 밀착 정도를 높임으로써, 양자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이들의 형태는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면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의 측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좌면을 사이에 개재하여 기립하는 한 쌍의 측방변부가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한 쌍의 측방변부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좌면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골반 부분의 움직임이 좌면의 움직임을 추종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예를 들면 허리의 회전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 골반 부분과 허리부 사이에 각도를 세우기 쉬워져, 허리부의 근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틀어 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운동 보조구는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변부는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좌면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측방으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한 쌍의 측방변부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부와 상기 좌면 사이에 일체감이 생기기 때문에, 골반 부분의 움직임이 좌면의 움직임을 보다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허리부 근육의 비틀기 운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되어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변부는 상기 좌면의 최하점으로부터 상기 측방변부의 최상점까지의 높이가 100 내지 250mm의 범위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측방변부의 높이가 상기 특정한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충분히 유지하는 효과와, 허리부의 회전 운동 등을 방해하지 않고, 스무스한 운동을 실현시키는 효과를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측방변부의 높이가 100mm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유지하는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측방변부의 높이는 100mm 이상이 바람직하며, 120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측방변부의 높이가 2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방변부가 스무스한 운동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측방변부의 높이는 250mm 이하가 바람직하며, 20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80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면은 그 중앙 선단 부분에 주위보다도 융기한 융기부를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융기부는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다리부의 형상을 따른 것이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좌면은 형상적으로 상기 좌면과 사용자의 엉덩이부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면은 사용자의 착석 위치를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한 위치와 합치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심재부(芯材部)와 상기 심재부를 덮는 표피부를 가지며, 상기 심재부는 적어도 상기 저면측에 위치하는 저면 부재와 상기 좌면측에 위치하는 좌면 부재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 부재는 상기 좌면 부재보다 경도(硬度)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저면 부재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저면이 가라앉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운동 보조구는 저면의 대략 구면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좌면 부재로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저면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으로 대표되는 플라스틱이나, 경질 폴리우레탄 폼이나 폴리스티렌 폼으로 대표되는 발포성 플라스틱 등의, 사용자의 체중이 부하되었을 때 변형되기 어려운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면 부재로서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 등의 가요성을 갖는 발포성 플라스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면 부재로서 저반발 탄성 폼 등의 사용자의 체중의 부하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재질을 채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좌면 부재를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면 부재가 사용자의 착석에 따라 크게 변형되는 경우에는, 변형 후에 있어서의 상기 좌면의 높이(최하점)가 100 내지 450mm의 범위 내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표피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구의 사용에 수반되는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표피재로서는 천 재료나 도료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저면 근방에 배치되는 표피재가 비교적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자연 재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면이 상방을 향하는 위치에 중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운동 보조구를 사용하기 전에 방향을 조정하는 동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면 상하를 교체하는 등의 큰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좌면이 상방을 향하는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쉬워진다. 그 결과, 상기 운동 보조구는 보다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은 130 내지 2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좌면의 기울기를 운동에 적합한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좌면의 기울기를 회전 운동 등의 효과를 높이기에 충분히 크고, 또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쉬운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이 130mm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좌면의 기울기가 과도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은 130mm 이상이 바람직하며, 150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60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이 2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면의 기울기가 불충분해지기 쉬우며, 예를 들면 허리부의 회전 운동 등에 있어서, 운동의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은 250mm 이하가 바람직하며, 23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20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은 다음과 같이 가상 원의 반경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상기 저면의 접지점에 대해 접지점을 통과하여 연직 방향으로 연신되는 기준축을 정한다. 그리고, 이 기준축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부의 종단면에 있어서, 접지점으로부터의 연직 방향의 거리가 50mm인 저면 위의 2점을 정한다. 이 2점과 접지점의 3점을 통과하는 가상의 원의 반경을 저면의 곡률 반경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저면과 접지면 사이에 개설(介設) 가능한 지지 스탠드를 가지고, 상기 지지 스탠드의 개설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의 경동 동작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지지 스탠드를 개설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구의 준비되지 않은 경동 동작을 억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운동 보조구는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지지 스탠드에 의해 경동 동작이 억지된 상기 운동 보조구를 의자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운동 보조구는 상기 운동 보조구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파지(把持) 가능하게 구성된 파지부와, 접지면에 재치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형성되고, 접지면에 재치된 상기 접지부의 위치 어긋남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면서 상기 접지부를 접지면에 재치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구의 경동 동작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핸들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지지 핸들은 상기 운동 보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면서 상기 접지부를 접지면에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래그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핸들의 3점으로 균형을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접지부에 형성된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의해, 상기 지지 핸들은 위치 어긋남을 억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상기 운동 보조구는 보다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상기 운동 보조구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운동 보조구(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면(2)과, 대략 구면 형상의 저면(3)이 형성된 본체부(10)를 가진다. 그리고, 운동 보조구(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의 최하점(20)의 높이(H)가 100 내지 450mm의 범위에 있고, 또한,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좌면(2)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측방변부(4) 및 융기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상하나 전후 등의 방향의 표기는, 편의적으로, 사용자가 등줄기를 곧게 하고 좌면(2)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방향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본체부(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측(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선이 대략 타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내측이 좌면(2)을 구성하고 있다. 좌면(2)은 그 전방, 즉 중앙 선단 부분에, 도 3,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면서 주위보다도 융기한 융기부(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선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좌면(2)의 측방에 좌면(2)으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방변부(4)를 가지고 있다.
좌면(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의 중앙부(22)에 대해 후방, 즉 융기부(21)와 반대 방향에 최하점(20)을 가진다. 또한, 좌면(2)은 주연부로부터 최하점(20)을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지고 있으며, 연속한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좌면(2)의 높이(H)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점(30)의 연직 상방에 좌면(2)의 중앙부(22)가 배치되도록 저면(3)을 접지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접지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좌면(2)의 최하점(20)의 높이이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면(2)에 착석하여 등줄기가 곧은 자연 상태로 했을 때의, 접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부의 최하점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좌면(2)의 높이(H)는 185mm이다.
저면(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구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측정한 저면(3)의 곡률 반경(R)은 177mm이다.
융기부(2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의 중앙 선단부, 즉 사용자의 허벅다리부가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21)는 좌면(2)의 최하점(20)과 좌면(2)의 중앙부(22)를 연결하는 직선 위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방향을 향하여 주위보다 점차 융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21)를 포함하는 좌면(2)은 연속한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변부(4)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을 사이에 개재하는 양 측방, 즉 좌면(2)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의 측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좌면(2)을 사이에 개재하여 기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변부(4)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감에 따라 좌면(2)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방변부(4)에 있어서의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면은,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가 주위보다도 좌면(2)과 반대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 완만한 곡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측방변부(4)는 사용자의 엉덩이부 및 허리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방변부(4)에 있어서의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면과 좌면(2)은 연속한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방변부(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선이 좌면(2)으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포물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측방변부(4)의 높이(I)는 178mm이다. 여기에서, 측방변부(4)의 높이(I)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의 높이(H)의 측정시와 동일한 접지 상태로 했을 때의 좌면(2)의 최하점(20)으로부터 측방변부(4)의 최상점(40)까지의 높이이다.
다음에, 운동 보조구(1)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동 보조구(1)의 좌면(2)에 등줄기를 곧게 한 상태로 착석한다. 그 후, 사용자는 상체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허리부를 유동 또는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면(2)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 보조구(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부 주변의 근육에 회전 운동이나 비틀기 운동 등의 운동을 시킬 수 있다.
다음에, 운동 보조구(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운동 보조구(1)는 좌면(2)의 최하점(20)의 높이(H)가 특정한 범위에 있고, 또한, 저면(3)이 대략 구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운동 보조구(1)에 착석한 상태에서, 접지시킨 발을 기점으로 하여 허리부를 움직임으로써, 저면(3)을 접지시킨 채 좌면(2)을 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상기 특정한 높이(H)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좌면(2)의 기울기에 수반되는 좌면(2)의 이동 범위를 적당한 범위에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허리부의 가동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동 보조구(1)는, 예를 들면 허리부의 회전 운동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을 크게 하여, 허리부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비틀어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좌면(2)의 높이(H)를 상기 특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운동 보조구(1)는 그 사용자의 허리부의 회전 등의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규제 수단으로서, 좌면(2)을 사이에 개재하여 기립하는 한 쌍의 측방변부(4)와, 좌면(2)의 중앙 선단 부분에 배치된 융기부(2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측방변부(4)는 좌면(2)의 최하점(20)으로부터 측방변부(4)의 최상점(40)까지의 높이(I)가 상기 특정 범위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면(2)과, 융기부(21)와, 한 쌍의 측방변부(4)에 있어서의 사용자에게 접촉하는 면이 사용자의 엉덩이부, 허리부 및 허벅다리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연속한 매끄러운 곡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엉덩이부, 허리부 또는 허벅다리부를 형상적으로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운동할 때 운동 보조구(1)에 손을 짚어 유지할 필요가 적어진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한 착석 위치에 있어서, 엉덩이부가 좌면(2)으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 허리부의 회전 운동 등을 스무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운동 보조구(1)는 상기 특정한 좌면 높이(H)의 범위와 규제 수단 구비의 상승 효과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부의 운동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면(2)의 높이(H)가 상기 특정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할 때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로 인해,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저면(3)의 곡률 반경(R)은 상기 특정 범위 내이다. 이로 인해,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가동 범위 내에 있어서의 좌면(2)의 기울기를, 회전 운동 등의 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히 크고, 또한, 사용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쉬운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운동 보조구(1)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실시예 2)
본 예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본체부(10)를 복수의 재질에 의해 구성한 예이다. 본 예의 운동 보조구(1)는, 본체부(10)로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재부(17)와, 상기 심재부(17)를 덮는 표피부(1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심재부(17)는 저면(3)측에 위치하는 저면 부재(13)와 좌면(2)측에 위치하는 좌면 부재(12)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저면 부재(13)와 좌면 부재(12)는 각각 경도가 상이한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좌면 부재(12)는 가요성을 갖는 연질 우레탄 폼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면 부재(12)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그 체표(體表)의 형상을 어느 정도 추종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저면 부재(13)는 좌면 부재(12)보다 경도가 큰 경질 우레탄 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저면 부재(13)는 사용자가 좌면(2)에 착석했을 때 있어서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측방변부(4)는 좌면 부재(12)와 일체적으로 동일 재질의 연질 우레탄 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측방변부(4)는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좌면(2)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측방으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좌면 부재(12)에 사용한 연질 우레탄 폼은 소씨(紹氏) 경도계(형번 LX-C; 원저우산도의기유한공사 제조)에 의해 측정한 경도가 12도인 것을 사용하였다.
표피부(15)에는 천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저면(3) 등의 비교적 마모되기 쉬운 부위에 내마모성이 높은 천 재료가 사용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운동 보조구(1)는 자연 재치 상태에 있어서 좌면(2)이 상방을 향하는 위치에 중심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예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밀도가 큰 저면 부재(13)의 중심축에 대해 거의 회전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동 보조구(1)의 중심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다.
다음에, 본 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예의 운동 보조구(1)는 자연 재치 상태에 있어서 좌면(2)이 상방을 향하는 위치에 중심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운동 보조구(1)를 사용하기 전에 방향을 조정하는 동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좌면(2)이 상방을 향하는 상태에 있어서 균형을 잡기 쉬워진다. 그 결과, 운동 보조구(1)는 보다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측방변부(4)는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좌면(2)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측방으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동 보조구(1)는 한 쌍의 측방변부(4)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부와 좌면(2) 사이에 일체감이 생기기 때문에, 골반 부분의 움직임이 좌면(2)의 움직임을 보다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의 허리부 근육의 비틀기 운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되어, 운동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심재부(17)와, 상기 심재부(17)를 덮는 표피부(15)를 가지고 있다. 심재부(17)는 저면(3)측에 위치하는 저면 부재(13)와 좌면(2)측에 위치하는 좌면 부재(12)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저면 부재(13)는 좌면 부재(12)보다 경도가 크다. 이로 인해, 운동 보조구(1)는 저면 부재(13)에 비교적 단단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저면(3)이 가라앉는 것을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운동 보조구(1)는 저면(3)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좌면 부재(12)에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운동 보조구(1)는 사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좌면 부재(12)를 사용자의 엉덩이부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방변부(4) 등의 복수의 부위가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부위는 1개소 이상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 있어서, 한 쌍의 측방변부(4)를 형성하지 않고, 좌면(2) 및 융기부(21)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부 또는 허벅다리부를 형상적으로 지지하여,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반대로, 규제 수단으로서, 융기부(21)를 형성하지 않고 한 쌍의 측방변부(4)만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물론, 형상적으로 지지하는 방식 이외에도, 표피부(15)를 마찰 계수가 큰 천 재료로 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좌면(2)과 사용자의 엉덩이부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방식 등,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예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좌면(2)의 높이(H), 한 쌍의 측방변부(4)의 높이(I), 저면(3)의 곡률 반경(R) 및 좌면 부재(12)의 경도를 다양하게 변경한 예이다.
<좌면의 높이(H)>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좌면(2)의 높이(H)를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경한 시험체 1 내지 10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표 1에 이들 시험체를 사용하여 허리부의 회전 운동을 행했을 때의 운동 효과의 크기를 기재하였다.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 ○, △, ×의 기호는, 각각, 허리부의 운동 효과가 충분히 크다고 느낀 사람이 10명 중 8명 이상인 경우를 ◎, 5명 이상인 경우를 ○, 3명 이상인 경우를 △, 2명 이하인 경우를 ×로서 나타낸 것이며, ◎, ○ 및 △의 경우를 허용할 수 있는 결과라고 판정한다.
Figure pct00001
<측방변부의 높이(I)>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측방변부(4)의 높이(I)를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경한 시험체 11 내지 19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표 2에 이들 시험체를 사용하여 허리부의 회전 운동을 행했을 때의 운동의 용이성을 기재하였다. 또한, 표 2에 있어서의 ◎, ○, △, ×의 기호는, 각각, 회전 운동을 하기 쉽다고 느낀 사람이 10명 중 8명 이상인 경우를 ◎, 5명 이상인 경우를 ○, 3명 이상인 경우를 △, 2명 이하인 경우를 ×로서 나타낸 것이며, ◎, ○ 및 △인 경우를 양호한 결과라고 판정한다.
Figure pct00002
<저면의 곡률 반경(R)>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저면(3)의 곡률 반경(R)을 표 3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경한 시험체 21 내지 30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표 3에 이들 시험체를 사용하여 허리부의 회전 운동을 행했을 때의 운동의 용이성을 기재하였다. 또한, 표 3에 있어서의 ◎, ○, △, ×의 기호는, 각각, 회전 운동을 하기 쉽다고 느낀 사람이 10명 중 8명 이상인 경우를 ◎, 5명 이상인 경우를 ○, 3명 이상인 경우를 △, 2명 이하인 경우를 ×로서 나타낸 것이며, ◎, ○ 및 △인 경우를 양호한 결과라고 판정한다.
Figure pct00003
<좌면 부재의 경도>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운동 보조구(1)의 좌면 부재(12)의 경도를 표 4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경한 시험체 31 내지 38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표 4에 이들 시험체를 사용하여 허리부의 회전 운동을 행했을 때의 운동의 용이성을 기재하였다. 또한, 표 4에 있어서의 ◎, ○, △, ×의 기호는, 각각, 회전 운동을 하기 쉽다고 느낀 사람이 10명 중 8명 이상인 경우를 ◎, 5명 이상인 경우를 ○, 3명 이상인 경우를 △, 2명 이하인 경우를 ×로서 나타낸 것이며, ◎, ○ 및 △인 경우를 양호한 결과라고 판정한다.
Figure pct00004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보조구(1)는 좌면(2)의 높이(H)를 적어도 105 내지 448mm로 함으로써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한 것이 되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좌면(2)의 높이(H)가 143 내지 293mm일 때 보다 바람직하며, 160 내지 191mm일 때 더욱 바람직한 것이 되었다.
또한,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보조구(1)는 한 쌍의 측방변부(4)의 높이(I)를 적어도 85 내지 255mm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충분히 유지하는 효과와, 스무스한 운동을 실현시키는 효과를 용이하게 양립시켜 보다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한 쌍의 측방변부(4)의 높이(I)가 120 내지 250mm일 때 더욱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고, 141 내지 178mm일 때 특히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운동 보조구(1)는 저면(3)의 곡률 반경(R)을 적어도 125 내지 260mm로 함으로써, 보다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저면(3)의 곡률 반경(R)이 140 내지 243mm일 때 더욱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고, 164 내지 212mm일 때 특히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었다.
또한, 좌면 부재(12)의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씨 경도계(형번 LX-C; 원저우산도의기유한공사 제조)에 의해 측정한 경도를 적어도 3 내지 25도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피트감을 향상시켜 보다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었다. 또한, 운동 보조구(1)는 좌면 부재(12)의 경도가 7 내지 20도일 때 더욱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되고, 8 내지 16도일 때 특히 운동하기 쉬운 것이 된다.
(실시예 4)
본 예의 운동 보조구(1)는, 도 14에 도시하는, 원환 형상의 지지 스탠드(16)를 가지고 있다. 지지 스탠드(16)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3)과 접지면 사이에 개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지지 스탠드(16)의 개설에 의해 운동 보조구(1)의 경동 동작을 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지지 스탠드(16)를 개설함으로써, 운동 보조구(1)의 준비되지 않은 경동 동작을 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 운동 보조구(1)를 보관하기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는 지지 스탠드(16)에 의해 경동 동작이 억지된 운동 보조구(1)를 의자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실시예 5)
본 예의 운동 보조구(1)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핸들(18)을 운동 보조구(1)와는 별체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핸들(18)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원호 형상의 파지부(180)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파지부(180)의 양 단부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면에 재치되는 대략 원주 형상의 접지부(181)를 가지고 있다.
접지부(181)의 양 단부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면에 재치된 접지부(181)의 위치 어긋남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된, 고무제의 미끄럼 방지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핸들(18)은 운동 보조구(1)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파지부(180)를 파지하면서 접지부(181)를 접지면에 재치하고, 운동 보조구(1)의 경동 동작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래그부와 한 쌍의 지지 핸들(18)의 3점으로 균형을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는 접지부(181)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82)에 의해, 지지 핸들(18)의 위치 어긋남을 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동 보조구(1)는 보다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는 저면(3)의 곡률 반경(R)이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 거의 동일한 운동 보조구(1)의 예를 나타냈지만, 저면(3)의 곡률 반경(R)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서 상이한 값으로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의 곡률 반경(R)과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R)이 상기 특정 범위 내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좌면(2)의 기울기를 회전 운동 등의 효과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히 크고, 또한,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쉬운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Claims (11)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면과, 대략 구면 형상의 저면이 형성된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좌면의 최하점의 높이가 100 내지 450mm의 범위에 있고,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부가 상기 좌면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 또는 그 주위에는 착석하는 사용자의 엉덩이부, 허리부 또는 허벅다리부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도록 형상을 변화시킨 형상 변화부를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좌면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의 측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좌면을 사이에 개재하여 기립하는 한 쌍의 측방변부가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변부는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좌면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을 측방으로부터 가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변부는 상기 좌면의 최하점으로부터 상기 측방변부의 최상점까지의 높이가 100 내지 250mm의 범위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은 그 중앙 선단 부분에 주위보다도 융기한 융기부를 상기 규제 수단으로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를 덮는 표피부를 가지고, 상기 심재부는 적어도 상기 저면측에 위치하는 저면 부재와 상기 좌면측에 위치하는 좌면 부재가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 부재는 상기 좌면 부재보다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연 재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면이 상방을 향하는 위치에 중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의 곡률 반경은 130 내지 2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과 접지면 사이에 개설 가능한 지지 스탠드를 가지고, 상기 지지 스탠드의 개설에 의해 상기 운동 보조구의 경동(傾動) 동작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운동 보조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핸들로서,
    상기 운동 보조구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성된 파지부와, 접지면에 재치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형성되고, 접지면에 재치된 상기 접지부의 위치 어긋남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된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면서 상기 접지부를 접지면에 재치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구의 경동 동작을 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핸들.
KR20127033928A 2012-04-13 2012-07-04 운동 보조구 KR20150003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2158 2012-04-13
JP2012092158 2012-04-13
PCT/JP2012/067050 WO2013153685A1 (ja) 2012-04-13 2012-07-04 運動補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17A true KR20150003417A (ko) 2015-01-09

Family

ID=4760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33928A KR20150003417A (ko) 2012-04-13 2012-07-04 운동 보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74080A1 (ko)
JP (1) JP2013233426A (ko)
KR (1) KR20150003417A (ko)
CN (2) CN203017666U (ko)
SG (1) SG11201404215UA (ko)
TW (1) TWI483755B (ko)
WO (1) WO2013153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7373A (zh) * 2012-10-22 2014-05-07 戴永锋 限幅多向转动摆摇椅
JP2014124446A (ja) * 2012-12-27 2014-07-07 Mtg:Kk 中空クッション
KR101639730B1 (ko) 2014-06-12 2016-07-14 권대규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JP5702498B1 (ja) * 2014-09-04 2015-04-15 浦 ともよ ボールカバー
JP5802348B1 (ja) * 2015-03-26 2015-10-28 株式会社バンダイ 操作補助具
US20160361603A1 (en) * 2015-06-12 2016-12-15 Iana Blinova Multidimensional Mobilization of Lumbar, Pelvic, and Hip Joints
US10981030B2 (en) 2017-08-14 2021-04-20 Coulter Ventures, Llc. Weighted bag
US10390629B2 (en) * 2017-10-18 2019-08-27 Frank Phillips Move and discover chair
USD865392S1 (en) 2017-10-18 2019-11-05 Frank Phillips Chair
USD913384S1 (en) * 2017-10-23 2021-03-16 Greenhouse-Team Ag Pelvic exercise apparatus
WO2019092930A1 (ja) * 2017-11-10 2019-05-16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バランス運動装置
USD928253S1 (en) 2018-03-22 2021-08-17 Coulter Ventures, Llc. Fitness rig
USD898844S1 (en) * 2018-07-31 2020-10-13 Coulter Ventures, LLC Cross-member for a climbing hold exercise rig
USD928333S1 (en) * 2019-03-27 2021-08-17 Puzhen Life Co., Limited Beauty apparatus
JP6569100B1 (ja) * 2019-04-08 2019-09-04 株式会社G−Stars 開脚補助器具
USD908821S1 (en) 2019-09-20 2021-01-26 Coulter Ventures, Llc. Display plate for weight rack
USD915534S1 (en) 2019-09-25 2021-04-06 Coulter Ventures, Llc. Weight rack with name plate
USD932572S1 (en) 2019-10-21 2021-10-05 Coulter Ventures, Llc. Plate for weight rack
USD932573S1 (en) 2019-12-13 2021-10-05 Coulter Ventures, Llc. Cross-member for weight rack
USD932574S1 (en) 2020-01-13 2021-10-05 Coulter Ventures, Llc. Feet for a weight rack
CA3071359A1 (en) * 2020-02-06 2021-08-06 Jana Danielson Pelvic floor pain relief device
USD944344S1 (en) 2020-02-17 2022-02-22 Coulter Ventures, Llc. Foot for a weight rack
USD941943S1 (en) * 2020-03-06 2022-01-25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Inflatable exercise device
CN211986952U (zh) * 2020-04-05 2020-11-24 缪国平 一种训练用球
US11931639B2 (en) 2020-05-08 2024-03-19 Coulter Ventures, Llc. Weighted bag and shell for holding one or more weighted articles
JP3232075U (ja) * 2021-03-08 2021-05-27 株式会社ニーズ トレーニング器具
USD1010033S1 (en) 2022-05-23 2024-01-02 Coulter Ventures, Llc. Weight rack
US11812863B1 (en) * 2022-06-14 2023-11-14 Kinetic Furniture of Vermont, Inc. Active sitting chai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3335E (en) * 1951-01-30 Support foe containers
US1759398A (en) * 1928-01-10 1930-05-20 Hart Marjorie Egg holder
US2242081A (en) * 1938-01-03 1941-05-13 Ruben W Anderson Folding rocking chair
US2363992A (en) * 1942-05-09 1944-11-28 Smith Corp A O Support for spherical pressure vessels
US2425884A (en) * 1943-04-24 1947-08-19 Webster E Janssen Chair
US2417053A (en) * 1944-06-30 1947-03-11 Chicago Bridge & Iron Co Support for spherical container
US3041070A (en) * 1958-12-31 1962-06-26 Fred W Kerstein Amusement device
US3526429A (en) * 1968-06-05 1970-09-01 Harold M Metzger Chair
JPS4943252Y1 (ko) * 1973-07-16 1974-11-27
US4109960B1 (en) * 1976-12-01 1994-07-26 Lawrence M Stinchfield Legless rocker-recliner chair
JPS5413996A (en) * 1977-07-01 1979-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141588A (en) * 1978-05-15 1979-02-27 Anderson Paul R Rocking lounge chair
US4500137A (en) * 1982-01-21 1985-02-19 Morehouse Laurence E Physiological chair
US4598946A (en) * 1985-01-02 1986-07-08 Collier-Kenworth Company Rocking infant seat
US4902003A (en) * 1985-09-23 1990-02-20 Buoni Nick J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4905945A (en) * 1987-12-04 1990-03-06 Daryl Peterson Refuse can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US4919481A (en) * 1989-01-03 1990-04-24 Garabedian Edward A Multiple positionable chair construction
US5315983A (en) * 1992-11-18 1994-05-31 Law Kam C Wok support ring
US5887944A (en) * 1997-07-28 1999-03-30 Boost; Julie Ann Rocking chair apparatus
USD444183S1 (en) * 2000-12-04 2001-06-26 Alex Hochstrasser Toy
US6834916B2 (en) * 2001-05-11 2004-12-28 White Pine Concepts, Llc Gardening stool
USD454438S1 (en) * 2001-05-11 2002-03-19 White Pine Concepts Llc Gardening kneeling assistor
USD541058S1 (en) * 2001-11-07 2007-04-24 Genesis Creative Group, Inc. Inflatable ball chair
US7137938B2 (en) * 2002-07-10 2006-11-21 Gottlieb Marc S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131618B2 (en) * 2002-07-24 2006-11-07 Berry Steven J Gas cylinder base
USD471371S1 (en) * 2002-07-25 2003-03-11 Ciber Chiu Chair
US7044558B2 (en) * 2003-06-04 2006-05-16 Ciber Chiu Ball chair with a retaining device
US20050101461A1 (en) * 2003-10-23 2005-05-12 Robbin Johnson Strength exercising harness
JP3105923U (ja) * 2004-06-15 2004-12-02 雅卿 ▲黄▼ ボディボール(バランスボール)の滑り止めワッシャー
US7476187B2 (en) * 2005-07-08 2009-01-13 Corte Steven A Strength assistant device and methods
US7789463B2 (en) * 2006-03-16 2010-09-07 Sung Gil Gang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JP4999164B2 (ja) * 2007-04-18 2012-08-15 英治 鮓本 バランスボール補助枠
JP2008264319A (ja) * 2007-04-23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US20090085393A1 (en) * 2007-09-28 2009-04-02 Austen Timothy F Inflatable Chair With Cushion Top
US7942796B2 (en) * 2009-07-31 2011-05-17 Concept One International Llc Stability ball control device with radial control surfaces of increasing widths
US8235878B2 (en) * 2009-07-31 2012-08-07 Concept One International Llc Stability ball control device with radial control surfaces of increasing widths
US8646841B2 (en) * 2009-08-13 2014-02-11 Mary Ann Molnar Seat with a non-vertical central supporting column and tri-planar moveable base
US8088052B1 (en) * 2010-07-06 2012-01-03 Sprague Edwin J Core-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US20120040811A1 (en) * 2010-08-10 2012-02-16 Detore Scott K Enhanced Push-Up Bars
US20130049412A1 (en) * 2011-08-29 2013-02-28 Patricia Ann Fisher Sports ball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4080A1 (en) 2013-10-17
CN203017666U (zh) 2013-06-26
WO2013153685A1 (ja) 2013-10-17
TW201341018A (zh) 2013-10-16
JP2013233426A (ja) 2013-11-21
TWI483755B (zh) 2015-05-11
SG11201404215UA (en) 2014-10-30
CN102908754A (zh)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417A (ko) 운동 보조구
US7033307B2 (en) Exercise devic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20120214653A1 (en) Yoga block
US20100292058A1 (en)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DK166433B (da) Apparat til brug ved optraening af mavemusklerne
US10413772B2 (en) Weighted yoga block with handle
JP2017519609A (ja) 活性化プラットホーム
WO2018060935A1 (en) Cushioning posterior fulcrum back shaper
US20240189657A1 (en) Exercise device
JP6486823B2 (ja) 脊椎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座具
JP3225096U (ja) 下半身運動器具
JP5335158B2 (ja) 運動補助具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P5578744B2 (ja) 側腹部ストレッチ椅子
JP3177291U (ja) 腹部トレーニング器
US20190387886A1 (en) Physical Motion Device
TWI817076B (zh) 運動設備及運動方法
KR102514868B1 (ko)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KR20180128258A (ko) 운동 기능의 방석
JP2011010767A (ja) 運動用具
JP2007319610A (ja) 姿勢矯正用座具
JP5376385B1 (ja) 中心軸矯正台
JP3190182U (ja) 自重で復元可能なエクササイズ器具
JP2020171383A (ja) 開脚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