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68B1 -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 Google Patents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68B1
KR102514868B1 KR1020210057052A KR20210057052A KR102514868B1 KR 102514868 B1 KR102514868 B1 KR 102514868B1 KR 1020210057052 A KR1020210057052 A KR 1020210057052A KR 20210057052 A KR20210057052 A KR 20210057052A KR 102514868 B1 KR102514868 B1 KR 10251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top plate
worker
receiving groov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971A (ko
Inventor
진상은
최지원
강상현
이일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0Tops characterised by shape, other than circular or 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되 입식 작업자의 하복부의 전방 및 양측방 영역이 수용 가능하도록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인접한 상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최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 작업자의 팔꿈치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는 돌출단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책상다리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입식 자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탠딩 책상을 이용하는 작업자의 하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종래의 경우보다 요추부 통증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시간 입식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입식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APPARATUS FOR SUPPORTING STANDING POSTURE AND STANDING DES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식 자세로 책상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자세 유지를 보조할 수 있는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의 내근직 회사원은 대부분의 일과 시간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학생의 경우에는 장시간을 앉아서 공부하게 된다. 이렇게 장시간 동안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공부하는 것은 각종 대사질환 및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또한 소화장애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특히, 허리 디스크 환자의 경우 의자에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것은 오히려 일어설 경우보다 허리에 큰 무리가 되어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근래에는, 회사에서 일어서서 일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로 업무나 학습이 가능할 수 있는 스탠딩 책상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탠딩 책상은 작업자가 서서 사용하는 구조적 특성상 책상의 다리가 앉아서 사용하는 좌식 책상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그러한 스탠딩 책상에서 장시간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항상 서 있어야 하므로 이로 인한 피로 누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43983 B1 KR 20-0391516 Y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식 자세로 책상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자세 유지를 보조할 수 있는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탠딩 데스크용 입식 자세 지지 장치는,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책상다리를 포함하는 스탠딩 책상에 설치 가능한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하여 상기 상판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입식 작업자가 하체 일부를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판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댈 때 기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스탠딩 책상은,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되 입식 작업자의 하복부의 전방 및 양측방 영역이 수용 가능하도록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인접한 상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최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 작업자의 팔꿈치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는 돌출단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책상다리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입식 자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탠딩 책상을 이용하는 작업자의 하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종래의 경우보다 요추부 통증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시간 입식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입식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식 작업 시 부하가 인가되는 신체 부위에 간헐적인 휴식을 제공하고 근육 및 디스크와 같은 조직에 혈액순환 증가 및 영양분 공급을 수월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입식 작업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수용홈에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과 종래의 스탠딩 책상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의 입식 작업자의 요추부 근육 활성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에서 입식 자세 지지 장치의 유무에 따른 입식 작업자의 움직임 지표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입식 작업자의 시간별 압력 중심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9의 움직임 지표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입식 작업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수용홈에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1)은 크게 상판(10)과, 상판(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책상다리(20)와, 상판(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10)은 스탠딩 책상(1)을 사용하는 입식 작업자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10)은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 및 돌출단(12)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판(10)의 가로길이는 1200mm 내지 1300mm, 바람직하게는 1254mm의 값을 가지고, 상판(10)의 세로길이는 800mm 내지 900mm, 바람직하게는 800mm의 값을 가지며, 상판(10)의 두께는 30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35mm의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수용홈(11)은 입식 작업자(2)의 하복부의 전방 및 양측방 영역이 수용 가능하도록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진 형상, 예컨대, 반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11)의 너비는 기설정된 최대 너비값(Wm)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최대 너비값(Wm)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Size Korea)에서 발표한 15세부터 50세까지의 남녀 신체사이즈를 기반으로 한 남녀 상위그룹(95%ile; 백분위수)의 엉덩이 너비값에 여유 치수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수용홈(11)은 상판(10)의 전면측 중앙에 형성되고 수용홈(11)의 지름은 400mm 내지 500mm, 바람직하게는 450mm의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돌출단(12)은 수용홈(11)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입식 작업자(2)의 팔꿈치를 안착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단(12)은 수용홈(11)에 인접한 상면에서 수용홈(11)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상판(10)의 최외측 영역에 구비된다.
책상다리(20)는 상판(10)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판(10)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책상다리(20)는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어 각 쌍마다 상판(10) 중앙을 기준으로 상판(10) 하부 일측과 타측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책상다리(20)는 800mm 내지 900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만약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하나는 상판(10)의 하부 일측 중앙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판(10)의 하부 타측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는 입식 작업자(2)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는 수용홈(11)에 삽입되어 상판(10)의 하부 측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0) 및 쿠션 부재(2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00)는 횡단면 기준으로 수용홈(11)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어 수용홈(11)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하고, 수용홈(11)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의 경우, 지지 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판(10)상에서 수용홈(11)에 인접한 영역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00)는 철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단단한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지지 부재(100)의 지름은 400mm 내지 500mm, 바람직하게는 450mm의 값을 가지고, 지지 부재(100)의 높이는 280mm 내지 320mm, 바람직하게는 300mm의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의 경우, 지지 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프레임(110) 및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 프레임(110)은 상판(10)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 시 끼움 결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 프레임(100)은 종단면이 상판(10)의 상하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판(10)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상단 외측면이 결합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수용홈(11)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됨에 따라 입식 작업자(2)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바(121)를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일체로 끼움 결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후면이 결합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121)는 각각 상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의 양측에 각각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양측으로 인접한 한 쌍의 지지바(121)끼리 고정턱 및 걸림턱에 의해 횡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일체화된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1)을 사용하는 입식 작업자(2)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지지 프레임(12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지지바(121)에 대한 원호 길이에 기초하여 입식 작업자(2)의 엉덩이 너비에 대응되는 개수만큼의 지지바(121)를 횡방향으로 일체 결합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지지 프레임(1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인 인체치수조사(Size Korea)에서 발표한 15세부터 50세까지의 남녀 신체사이즈를 기반으로 한 남성 및 여성 각각의 상위그룹 및 중간그룹에 대응하는 엉덩이 너비값을 정리하면, 남성 엉덩이 너비의 상위그룹(95%ile)은 '357mm'이고, 남성 엉덩이 너비값의 중간그룹(50%ile)은 '325.5mm'이고, 여성 엉덩이 너비값의 상위그룹(95%ile)은 '356mm'이고, 여성 엉덩이 너비값의 중간그룹(50%ile)은 '324.5mm'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남녀 상위그룹(95%ile)의 엉덩이 너비에 여유치수를 고려하여 산출한 최대 너비값(Wm)인 '420mm'와, 남녀 중간그룹(50%ile)의 엉덩이 너비에 여유치수를 고려하여 산출한 평균 너비값(Wa)인 '390mm'에 각각 대응하는 두 종류의 쿠션 부재를 구비하고, 입식 작업자(2)가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선택한 종류의 쿠션 부재에 대응하는 크기가 되도록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 시 결합되는 지지바(121)의 개수를 조절하고자 한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른 지지바(121)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결합편과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지지바(121)의 개수를 결합 프레임(110)의 내주면 너비에 대응되는 개수보다 작게 조절할 때 상호 이격상태가 되는 지지 프레임(120)과 결합 프레임(1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소정 개수의 지지바(121)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빈틈없이 채움으로써 지지 프레임(120)과 결합 프레임(110)이 상호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입식 작업자(2)가 최대 너비값(Wm)에 대응하는 제1 쿠션 부재(200)를 선택하는 경우, 제1 쿠션 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개수인 '5개'의 지지바(121)를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한 후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 외측면을 결합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제1 쿠션 부재(200)를 설치함에 따라 일체로 결합한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를 상판(10)의 수용홈(11)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입식 작업자(2)가 평균 너비값(Wa)에 대응하는 제2 쿠션 부재(200)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쿠션 부재(20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개수인 '4개'의 지지바(121)를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한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한 후 지지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4개의 지지바(121)를 고르게 적층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 외측면이 결합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제2 쿠션 부재(200)를 설치함에 따라 일체로 결합한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를 상판(10)의 수용홈(11)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1)의 경우, 수용홈(11)의 상측 외주연을 따라 소정 폭으로 수용홈(11)을 둘러싸는 영역에는 지지 부재(100)의 외측 선단을 마감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마감재(20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마감재(202)는 재질상으로 자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에바(EVA) 폼, 폴리우레탄 폼,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부재(200)는 입식 작업자(2)가 하체 일부를 지지 부재(100)의 일측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판(10)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댈 때 기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쿠션 부재(200)는 도 4에 따른 경우엔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지지 부재(100)의 상면에 설치되고, 도 5에 따른 경우엔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인 인체치수조사(Size Korea)의 발표자료에 기초하여 산출된 최대 너비값(Wm) 및 평균 너비값(Wa)에 각각 대응되도록 두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쿠션 부재(200)는 하부는 소정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는 하부면과 비교하여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쿠션 부재(200)의 상부는 지면에 대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4°내지 6°, 바람직하게는 약 5°의 내측 경사각(θ)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쿠션 부재(200)는 작업자가 편안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부드럽고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되, 자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충전물과 이를 외부에서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가 구비된 스탠딩 책상(1)과 종래의 스탠딩 책상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의 입식 작업자(2)의 요추부 근육 활성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1)에서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의 유무에 따른 입식 작업자(2)의 움직임 지표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입식 작업자(2)의 시간별 압력 중심 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9의 움직임 지표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입식 작업자(2)의 요추부 근육 활성도(EMG)와 입식 작업자(2)의 시간별 압력 중심(CoP, Center of pressure) 데이터는, 요추부 및 경추부 질환 경력이 없는 복수의 대상자가 다수의 양극 전극 표면 근전도 센서를 기설정된 신체부위에 부착한 상태로 소정 시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1)을 이용해 작업하는 동안 상기 근전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스탠딩 책상을 이용하는 경우(Rectangular)의 요추부 근육활성도를 나타내는 %MVC(maximum voluntary contraction)값은 '0.0527'이고, 본 발명에 따른 입식 자세 유지가 용이한 스탠딩 책상(1)을 이용하는 경우(concave)의 요추부 근육 활성도(%MVC)는 '0.05'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1)을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보다 요추부에 인가되는 부하가 줄어들어 요추부의 강성을 담당하는 주변 요추부 근육의 활성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1)에서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조기구 미사용)의 움직임 지표값(Movement Index)은 '5' 내지 '7'의 값을 나타내는 반면, 입식 자세 지지 장치(30)를 사용하는 경우(보조기구 사용)의 움직임 지표값(Movement Index)은 '9' 내지 '13'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랜 입식 작업에서 작업자의 움직임이 증가한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부하가 인가되는 신체 부위에 간헐적인 휴식을 제공하고 근육 및 디스크와 같은 조직에 혈액순환 증가 및 영양분 공급을 수월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다양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1)을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보다 생체역학적으로 이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움직임 지표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3에 기초하여 움직임 지표값(Movement Index)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Shifts'는 작업자의 압력 중심이 특정 위치에서 빠르게 다른 위치로 이동한 현상을 정의한 것이고, 'Fidgets'은 작업자의 압력 중심이 특정 위치에서 빠르게 다른 위치로 이동한 후 3초 이내에 다시 원래 위치하고 있던 특정 위치로 돌아오는 현상을 정의한 것이다.
Figure 112021051201095-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도 10(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W1 및 W2는 기설정된 무빙 윈도우(moving window) 기법에 사용되는 15초 단위의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나타낸다.
이때,
Figure 112021051201095-pat00002
은 제1 윈도우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21051201095-pat00003
은 제2 윈도우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SDW1은 제1 윈도우의 표준편차값을 나타내고, SDW2은 제2 윈도우의 표준편차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051201095-pat00004
상기 수학식 2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도 10(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W는 상기 무빙 윈도우 기법에 사용되는 60초 단위의 윈도우를 나타낸다.
이때, xF는 시간별 압력 중심(CoP) 그래프 상의 피크값을 나타내고, SDW는 윈도우의 표준편차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21051201095-pat00005
여기서, (#shifts)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shifts가 발생한 횟수를 나타내고, (#fidgets)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fidgets이 발생한 횟수를 나타낸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책상 2: 입식 작업자
10: 상판 11: 수용홈
12: 돌출단 20: 책상다리
30: 입식 자세 지지 장치 100: 지지 부재
110: 결합 프레임 120: 지지 프레임
121: 지지바 200: 쿠션 부재
202: 완충 마감재

Claims (11)

  1.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책상다리를 포함하는 스탠딩 책상에 설치 가능한 입식 자세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하여 상기 상판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입식 작업자가 하체 일부를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판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댈 때 기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종단면이 상기 상판의 상하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마련되어 상기 상판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 시 끼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단 외측면이 상기 결합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의 양측에 각각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를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일체로 끼움 결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후면이 상기 결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데스크용 입식 자세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상판상에서 상기 수용홈에 인접한 영역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측 외주연을 따라 소정 폭으로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영역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 선단을 마감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마감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데스크용 입식 자세 지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하부는 소정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는 하부면과 비교하여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데스크용 입식 자세 지지 장치.
  5. 삭제
  6. 소정 두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되 입식 작업자의 하복부의 전방 및 양측방 영역이 수용 가능하도록 일측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인접한 상면에서 상기 수용홈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최외측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입식 작업자의 팔꿈치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는 돌출단을 구비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책상다리;
    횡단면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하여 상기 상판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입식 작업자가 하체 일부를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판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댈 때 기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종단면이 상기 상판의 상하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마련되어 상기 상판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 시 끼움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단 외측면이 상기 결합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입식 작업자의 하체 일부의 전면 및 양측면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또는 하단의 양측에 각각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지지바를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일체로 끼움 결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후면이 상기 결합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상판상에서 상기 수용홈에 인접한 영역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측 외주연을 따라 소정 폭으로 상기 수용홈을 둘러싸는 영역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 선단을 마감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마감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하부는 소정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는 하부면과 비교하여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
  11. 삭제
KR1020210057052A 2021-05-03 2021-05-03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KR10251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052A KR102514868B1 (ko) 2021-05-03 2021-05-03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052A KR102514868B1 (ko) 2021-05-03 2021-05-03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71A KR20220149971A (ko) 2022-11-10
KR102514868B1 true KR102514868B1 (ko) 2023-03-27

Family

ID=8404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52A KR102514868B1 (ko) 2021-05-03 2021-05-03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215A (ja) * 2001-10-31 2003-05-13 Paramount Bed Co Ltd 座位姿勢補助装置におけるサポート装置
KR200375592Y1 (ko) * 2004-11-13 2005-03-11 김상식 책상 배받이
JP2008012269A (ja) * 2006-07-07 2008-01-24 Naoko Yasuda 要介護者用折りたたみ座椅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16Y1 (ko) 2005-05-14 2005-08-03 (주) 동성산업 작업 보조 장치
KR101743983B1 (ko) 2015-05-22 2017-06-07 정슬기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215A (ja) * 2001-10-31 2003-05-13 Paramount Bed Co Ltd 座位姿勢補助装置におけるサポート装置
KR200375592Y1 (ko) * 2004-11-13 2005-03-11 김상식 책상 배받이
JP2008012269A (ja) * 2006-07-07 2008-01-24 Naoko Yasuda 要介護者用折りたたみ座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71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JP6954985B2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CN105935213A (zh) 用于任务取向型座位的座位组件
KR102256839B1 (ko)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US10575646B2 (en) Meditation seat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KR101931519B1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KR102514868B1 (ko)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acobson Protecting the back during pregnancy
WO2022039001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又はシート
US3672360A (en) Spinal area back supporter and massaging device
CN110856579B (zh) 就座用坐垫以及椅子用座面
CN108853910B (zh) 落座用具
CN114845600A (zh) 人体工程学座椅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TWM504517U (zh)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WO2013045481A1 (en) Ergonomic therapeutic seat structure
KR102588833B1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20130000030A (ko) 기능성 의자
KR102614324B1 (ko) 의자 시트
KR102175758B1 (ko) 바른 앉은 자세 유도용 안장
CN210870677U (zh) 适臀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