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83B1 -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 Google Patents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983B1
KR101743983B1 KR1020150071819A KR20150071819A KR101743983B1 KR 101743983 B1 KR101743983 B1 KR 101743983B1 KR 1020150071819 A KR1020150071819 A KR 1020150071819A KR 20150071819 A KR20150071819 A KR 20150071819A KR 101743983 B1 KR101743983 B1 KR 10174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sub
plate
sub top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142A (ko
Inventor
정슬기
Original Assignee
정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슬기 filed Critical 정슬기
Priority to KR102015007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83B1/ko
Priority to PCT/KR2015/005326 priority patent/WO2016190464A1/ko
Publication of KR2016013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책상으로 입식과 좌식을 자유롭게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일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안착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홈의 하부는 상기 메인상판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에 의해 막혀있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단이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 STANDING AND SEATING TYPE DESK }
본 발명은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책상으로 입식과 좌식을 자유롭게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식 책상은 현재 여러 분야의 다양한 직업군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사무용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서서 공부하거나 작업하는 것은 허리에 부담을 최소로 줄일 수 있어 요통이 있거나 허리 질환이 있는 경우 가장 권장되는 자세이며,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입식책상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한다.
그것은 일반적인 작업환경이 좌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입식책상 자체가 갖고 있는 몇 가지 상충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본다.
즉, 입식 책상은 작업자가 서서 사용하는 구조적 특성상 책상의 다리가 앉아서 사용하는 좌식 책상에 비해 길다.
그러한 입식 책상에서 장시간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항상 서 있어야 하고 이로 인한 피로 누적을 생각해야 한다.
또한, 입식책상의 높이에 맞춰진 다리가 긴 입식의자는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주변 구조물(예, 일반 책상)보다 너무 높고, 또한 입식책상의 장점인 서서 일함으로 집중력을 높이고, 허리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에도 부합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관하는 물품이 많은 작업장에서는 입식의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
결국, 좌식 책상 및 좌식 의자를 기본으로 하되 입식 책상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책상, 즉, 입식좌식 공용책상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7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1개의 책상으로 좌식과 입식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일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안착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홈의 하부는 상기 메인상판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에 의해 막혀있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단이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상판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중 2개 이상의 측면이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상판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서브상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판은 상기 메인상판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커버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과 그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상판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브상판은, 상기 승강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서브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의 높낮이가 가변된다.
상기 제1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안착홈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된다.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제2링크의 일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는,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한 쌍의 제1링크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제2링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축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은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의 하강을 저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 또는 제2링크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개의 책상으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좌식과 입식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좌식책상(메인상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서브상판을 상승시켜 입식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판에 의해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태의 사시도 및 측단면구조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서브상판이 전개되어 면적이 증가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승강부에 의해 서브상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걸림축을 추가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링크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판에 의해 안착홈을 개폐하는 상태의 사시도 및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서브상판이 전개되어 면적이 증가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상판(10)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하게 구비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0)는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상판(10)을 지면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서브상판(30)은 상기 메인상판(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기 승강부(40)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40)는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30)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을 상기 메인상판(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 일부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안착홈(11)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안착홈(11)에는 상기 승강부(40)에 의한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이 삽입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상판(30)의 크기는 상기 메인상판(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이 동일한 높낮이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상판(10) 및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책 등을 단차없이 올려놓고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아 좌식 상태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에 의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책 등을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올려놓고 입식 상태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상판(30)이 상기 안착홈(11)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중 2개 이상의 측면이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과 대면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상판(30)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서브상판(30)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1)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11)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30)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서브상판(3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12)를 2곳이 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중 2개가 상기 안착홈(11)의 2개의 내측면과 대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11)은 측방향으로 개방된 곳이 없이 상기 메인상판(10)의 안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홈(11)은 하부가 수납부(14)에 의해 막혀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메인상판(10)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의 하부를 막고,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서브상판(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수납부(14)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수납부(14)에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상판(30)을 승강시키는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안착홈(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승강부(40)의 상단은 상기 서브상판(30)과 함께 상승하여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와, 제2레일부재(43)와, 링크부재(4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일부재(4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1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레일부재(43)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레일부재(41)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42)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레일부재(43)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44)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46)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서브상판(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41)와 제2레일부재(43)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46)는,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47)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30)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48)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안착홈(11)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47)와 제2링크(48)는 중심부가 가위처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42)은 상기 제2링크(48)의 일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이드홈(44)은 상기 제1링크(47)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서브상판(30)의 하강시 상기 메인상판(10)과 서브상판(30)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11)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46)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높낮이가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0)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이 임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상판(30)의 최대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서브상판(30)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또는 책 등을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에 올려 놓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가이드홈(44)에 삽입된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47)의 타단에는 상승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전방에 위치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 및 마찰력 등 때문에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상판(30)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별도의 스토퍼 구성없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으로 상기 서브상판(30)이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상판(30)의 전방에 책 등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더욱 전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승강부(40)가 하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책상은, 상기 서브상판(30)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30)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판(13)은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구조로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판(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상판(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상기 커버판(13)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과 상기 커버판(13)의 상면의 높낮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상판(30)은 상기 승강부(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31)과, 상기 승강판(31)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3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판(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날개판(32)이 상기 승강판(3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날개판(32)이 회전되어 전개됨으로써 상기 서브상판(30)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용자가 책상으로 좌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기 안착홈(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책상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책상을 입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에서 책상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상판(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서브상판(30)에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46)의 타단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링크부재(46)는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 즉 상기 서브상판(30)이 최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은 상기 서브상판(30)의 자체무게 또는 상기 서브상판(30)에 올려진 책 무게 등에 의해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 및 제2링크(48)의 일단은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상판(30)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서서 볼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서브상판(30)이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상판(10)에도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고, 1개의 책상을 이용하여 동시에 입식과 좌식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4)에는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3)이 상기 안착홈(11)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판(13)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10)의 상면의 높이를 거의 동일하게 맞추어 일반 좌식책상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판(32)가 인출되어 상기 서브상판(30)의 상면 면적을 증가시켜 큰 책 또는 물건 등을 상기 서브상판(30)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책상을 이용하여, 좌식용도와 입식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상기 서브상판(30)이 메인상판(1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좌식과 입식을 동시에 활용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서브상판이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승강부에 의해 서브상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걸림축을 추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승강부(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과, 제2레일부재(43)과, 링크부재(46)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1레일부재(41)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42)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43)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44)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4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홈(42) 및 제2가이드홈(44) 모두에 상기 걸림턱(45)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 및/또는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45)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46) 및 서브상판(30)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때에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브상판(30)에 작용하는 무게중심점이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걸림턱(45)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30)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제1링크(47)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상기 제2링크(48)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4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림축(49)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42)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44)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30)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49)은 걸림턱(45)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46) 및 서브상판(30)의 하강을 저지시킨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책상에서 링크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제3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상판(10)과, 지지부(20)와, 서브상판(30)과, 승강부(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승강부(4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승강부(40)는, 제1레일부재(41)과, 제2레일부재(43)과, 링크부재(46)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링크부재(46)를 구성하는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가 다수개의 관으로 연결되어 인출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승된 상기 서브상판(30)의 각도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경사지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브상판(30)에 놓인 책을 보다 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가 다수개의 관으로 연결되고 볼 및 홈을 통해 그 길이를 조절 및 고정시키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해 상기 제1링크(47) 및/또는 제2링크(48)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42) 및 제2가이드홈(44)에는 제2실시예의 걸림턱(45)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메인상판, 11 : 안착홈, 12 : 개방부, 13 : 커버판, 14 : 수납부,
20 : 지지부,
30 : 서브상판, 31 : 승강판, 32 : 날개판,
40 : 승강부, 41 : 제1레일부재, 42 : 제1가이드홈, 43 : 제2레일부재, 44 : 제2가이드홈, 45 : 걸림턱, 46 : 링크부재, 47 : 제1링크, 48 : 제2링크, 49 : 걸림축,

Claims (12)

  1.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의 일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안착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메인상판과;
    상기 메인상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상판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서브상판과;
    일단이 상기 메인상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을 상기 메인상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커버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홈의 하부는 상기 메인상판에 일체로 형성된 수납부에 의해 막혀있고,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서브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단이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과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은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서브상판의 상승시 상기 서브상판의 상면은 상기 메인상판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상판은 사각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서브상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4개의 내측면 중 1개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상판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상판의 4개의 측면 중 3개는 상기 안착홈의 3개의 내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서브상판의 나머지 1개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메인상판에서 인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은 상승한 상태에서 그 상면의 면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서브상판은,
    상기 승강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결합 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상판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날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재와;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상판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서브상판의 사이에서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기 서브상판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1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부재에는 장공형상의 제2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상판의 측면 또는 상기 제2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와;
    일단이 안착홈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X'자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중심부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11.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제1링크의 일단 또는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이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한 쌍의 제1링크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거나, 한 쌍의 제2링크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걸림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축은 한 쌍의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한 쌍의 상기 제2가이드홈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서브상판의 승강시 상기 걸림축은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부재 및 서브상판의 하강을 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KR1020150071819A 2015-05-22 2015-05-22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KR10174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19A KR101743983B1 (ko) 2015-05-22 2015-05-22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PCT/KR2015/005326 WO2016190464A1 (ko) 2015-05-22 2015-05-28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19A KR101743983B1 (ko) 2015-05-22 2015-05-22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42A KR20160137142A (ko) 2016-11-30
KR101743983B1 true KR101743983B1 (ko) 2017-06-07

Family

ID=5739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19A KR101743983B1 (ko) 2015-05-22 2015-05-22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3983B1 (ko)
WO (1) WO201619046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731A (zh) * 2018-09-25 2019-03-0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可调变形桌案
KR102124294B1 (ko) 2020-04-21 2020-06-23 (주)누림건축 접이식 테이블
KR20220149971A (ko) 2021-05-03 2022-1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KR20240126703A (ko) 2023-02-14 2024-08-21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엉덩이 거치부를 구비한 스탠딩 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1506B (zh) * 2020-04-17 2022-06-10 广东汇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式桌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010A (en) * 1994-01-24 1995-05-16 Woo; Jong R. Table attached with refrigerator
TW361145U (en) * 1998-10-23 1999-06-11 Wen-Shan Ke New structure for computer table
JP4317170B2 (ja) * 2005-08-05 2009-08-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KR20120112956A (ko) * 2011-04-04 2012-10-12 윤준우 편리한 학교 책상
JP2014004673A (ja) * 2012-06-22 2014-01-16 Nakai Mokko:Kk 交叉リンク昇降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731A (zh) * 2018-09-25 2019-03-0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可调变形桌案
CN109393731B (zh) * 2018-09-25 2021-06-0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可调变形桌案
KR102124294B1 (ko) 2020-04-21 2020-06-23 (주)누림건축 접이식 테이블
KR20220149971A (ko) 2021-05-03 2022-11-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식 자세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탠딩 책상
KR20240126703A (ko) 2023-02-14 2024-08-21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엉덩이 거치부를 구비한 스탠딩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42A (ko) 2016-11-30
WO2016190464A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983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US12082696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7398738B2 (en) Workstation with adjustable height work surface
JP2014004673A (ja) 交叉リンク昇降台
US9661923B2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US20160037909A1 (en) Height Adjustable Work Surface
KR101527359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CN206342175U (zh) 一种多功能床头柜
US20160360877A1 (en) Ratchet-based height adjustable system
US2244036A (en) Adjustable desk
KR102161940B1 (ko)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AU2017100496A4 (en) An Adjustable Desk
US4760801A (en) Outdoor cooking table
JP3512391B2 (ja) 多用途机
JP4315541B2 (ja) サイドキャビネットを有するデスク
KR102121490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US20220110471A1 (en) Top item holder
EP0182672A2 (en) Convertible furniture
KR102455002B1 (ko) 칸막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JP3753497B2 (ja) 昇降収納装置
US20220386770A1 (en) Furniture with adjustable work surface
CN211483623U (zh) 一种升降式储物柜
CN207519841U (zh) 折腿桌
CN211431817U (zh) 多功能可折叠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