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490B1 -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490B1
KR102121490B1 KR1020190135146A KR20190135146A KR102121490B1 KR 102121490 B1 KR102121490 B1 KR 102121490B1 KR 1020190135146 A KR1020190135146 A KR 1020190135146A KR 20190135146 A KR20190135146 A KR 20190135146A KR 102121490 B1 KR102121490 B1 KR 10212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able desk
base
stand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혁
Original Assignee
이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혁 filed Critical 이도혁
Priority to KR102019013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47B2001/053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and liftable to the same height as the main table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제1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Height 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용이한 부재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를 보거나 독서 시 사용하는 가구로써 상판과 다리 및 서랍으로 되어 있다. 예로부터 책상은 받침대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테이블이 있었으나 오늘날의 사무용 책상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실제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책상에는 좌식책상과 입식책상이 있다. 좌식은 전통적인 한옥 온돌방용의 독서 필기용이다. 입식은 의자(또는 걸상)와 한 조가 되는 것으로, 보통책상(또는 평책상), 쪽소매책상, 양소매책상, 타자용 책상, 컴퓨터용 책상 등이 있다.
이러한 책상은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다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48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제1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에 평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및 상기 기립부와 연결된 채, 상기 측면연결부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기립부로부터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기립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상이해지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기립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지지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가 은닉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안착된 채,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모니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모니터받침부는,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면을 제공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제3 높이에 배치된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배치된 제4 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상기 제4 위치의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3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전단부의 높이가 후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 채 상승되고,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단부의 높이와 상기 후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모니터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측이 상기 절곡부를 향해 기울어진 채,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레일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 조절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부재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책상의 높이를 쉽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상판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측면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모니터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의 구획부(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은, 베이스부(10), 다리부(20) 및 구획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제1 높이(H1)에 평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지하거나 일정 물건을 거치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0)는, 사각 평판의 하부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30)는, 사용자의 전면을 가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일정 공간을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업무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돈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31) 및 상기 절곡부(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1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도 1 참조)에서 상기 베이스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도 2 참조)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절곡부(31)와의 사이에 경첩 등의 부재(P)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높이(H1) 보다 높은 제2 높이(H2)에 평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0) 보다 높은 위치에 평판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부(33)를 위치 이동시켜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는 용도 또는 높이 조절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잠금장치(Q)에 의해 상기 절곡부(31)에 고정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는 것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의 구획부(30)는, 지지부(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위치이동부(33)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33)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10)를 연결하여, 상기 위치이동부(3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위치이동부(33)의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5)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33)의 일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5)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35)가 은닉되도록 하는 수용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수용부(333)에 수용되는 수용위치에서 상기 위치이동부(33)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위치로 위치 이동되거나 상기 돌출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는, 상기 수용위치에서 상기 위치이동부(33)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5)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위치이동부(33)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측면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2)은 측면연결부(40)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측면연결부(40)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연결부(4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이동부(133)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133)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연결부(40)는, 책상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측면 시야의 일부분을 가릴 수 있다.
상기 측면연결부(4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41) 및 상기 기립부(41)와 연결된 채, 상기 측면연결부(40)를 지지하는 걸림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3)는, 상기 기립부(41)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기립부(41)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부(133)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43)는, 상기 기립부(4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채,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걸림부(43)가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홀(411) 및 상기 걸림부(4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홀(413)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홀(411)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걸림부(43)가 어느 하나의 삽입홀(4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립부(41)에 대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삽입홀(413)은 상기 기립부(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43)의 위치 또한 상기 기립부(4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33)는, 상기 걸림부(43)의 상기 기립부(41)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위치이동부(133)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43)에 안착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걸림부(43)의 상기 기립부(41)에 대한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부(133)의 일측단은 타측단과 높이가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133)는, 타측은 상기 절곡부(131)에 연결되고, 일측은 자유단으로서 상기 걸림부(43)에 안착되므로, 일측이 타측 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110)와의 배치 각도가 평행이 아닌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걸림부(43)의 상기 기립부(41)에 대한 위치를 변화시켜, 원하는 기울기의 상판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측면연결부(40)의 상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연결부(40)의 높이는 상기 절곡부(13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이동부(133)가 상기 측면연결부(40)에 안착된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133)가 상기 베이스부(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모니터받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3)은, 모니터받침부(50) 및 간섭방지홀(331)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과 동일하므로, 이하 모니터받침부(50) 및 간섭방지홀(331)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니터받침부(50)는, 베이스부(210)의 상측에 안착된 채, 모니터(M)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33)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모니터(M)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받침부(50)는, 상기 모니터(M)를 지지하는 면을 제공하는 안착부(51) 및 상기 안착부(5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53)는, 상기 베이스부(210)를 기준으로 제3 높이에 배치된 제3 위치(도 6의 (a) 참조)의 상기 안착부(51)를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배치된 제4 위치(도 6의 (b) 참조)로 상승시키거나, 상기 제4 위치의 상기 안착부(51)를 상기 제3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51)는, 상기 위치이동부(23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53)는, 상기 위치이동부(233)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상기 안착부(5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53)는 상기 위치이동부(233)와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이동부(233)와 연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이동부(233)와 상기 승강부(53)를 연동시킬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51)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전단부(511)의 높이가 후단부(513)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 채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1)는,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단부(511)의 높이와 상기 후단부(513)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단부(513)는, 상기 절곡부(31)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1)에 안착된 모니터(M)는, 상기 안착부(51)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측이 상기 절곡부(231)를 향해 기울어진 채,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절곡부(231)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중에 상기 안착부(51)에 안착된 모니터(M)에 걸려,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이동부(233)에 형성된 간섭방지홀(331)을 통해 상기 모니터(M)에 의한 간섭이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51)에 안착된 모니터(M)가 상기 절곡부(231) 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간섭방지홀(331)을 통과하기가 수월해지므로, 상기 안착부(51)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측이 상기 절곡부(231)를 향해 기울어진 채, 상승하여 상기 모니터(M)가 상기 간섭방지홀(331)로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4)은, 가이드부(60) 및 구획부(430)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1)과 동일하므로, 이하 가이드부(60) 및 구획부(430)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4)은, 베이스부(510)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430)는, 상기 가이드부(60)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획부(430)의 상기 베이스부(510)에 대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전면 시야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0)는, 절곡부(431)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레일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431)는, 상기 가이드부(60)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레일부(61)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4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431)는, 상기 슬라이딩부(432)의 상기 레일부(61)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절곡부(431)의 상기 베이스부(510)에 대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위치이동부가 상기 절곡부(431)를 기준으로 회동되었을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베이스부(51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35)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35)는, 상기 위치이동부(433)가 제2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이동부(433)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510)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433)와 상기 베이스부(51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위치이동부(43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일 실시예,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다른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또 다른 실시예,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또 다른 실시예를 구분지어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서로 혼합되거나 치환되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10: 베이스부
20: 다리부
30: 구획부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M: 모니터
50: 모니터받침부
60: 가이드부

Claims (11)

  1. 제1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구획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안착된 채,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모니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및 상기 기립부와 연결된 채, 상기 위치이동부를 지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기립부에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기립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상이해지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기립부에 대한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이동부의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여, 상기 위치이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일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부가 은닉되도록 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받침부는,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면을 제공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제3 높이에 배치된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배치된 제4 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상기 제4 위치의 상기 안착부를 상기 제3 위치로 하강시키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중에, 전단부의 높이가 후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 채 상승되고,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단부의 높이와 상기 후단부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모니터는,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측이 상기 절곡부를 향해 기울어진 채,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과 이웃한 양측단으로부터 기립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곡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레일부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0190135146A 2019-10-29 2019-10-29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12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46A KR102121490B1 (ko) 2019-10-29 2019-10-29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46A KR102121490B1 (ko) 2019-10-29 2019-10-29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490B1 true KR102121490B1 (ko) 2020-06-10

Family

ID=7108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46A KR102121490B1 (ko) 2019-10-29 2019-10-29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4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876B1 (ko) 2001-08-17 2004-03-27 차준구 파티션 구조를 갖는 책상
JP4046417B2 (ja) * 1998-07-09 2008-02-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昇降式パネルを備える机
KR200477625Y1 (ko) * 2014-10-27 2015-07-07 박두생 절첩식 상다리 장치
KR200484949Y1 (ko) * 2016-08-23 2017-11-13 성우영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독서실용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417B2 (ja) * 1998-07-09 2008-02-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昇降式パネルを備える机
KR100424876B1 (ko) 2001-08-17 2004-03-27 차준구 파티션 구조를 갖는 책상
KR200477625Y1 (ko) * 2014-10-27 2015-07-07 박두생 절첩식 상다리 장치
KR200484949Y1 (ko) * 2016-08-23 2017-11-13 성우영 수평 또는 경사 상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구비한 독서실용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095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A2324700C (en) Kitchen countertop assembly with multiple, vertically adjustable integrated work spaces
US9055811B2 (en) Office device having multiple spatial configurations
NL2017632B1 (en) Office workplace system
US20130014674A1 (en) Height adjustable desktop apparatus
US5375514A (en) Adjustable height table support mechanism
KR101743983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KR102121490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1731192B1 (ko) 길이 가변 테이블
US20130152833A1 (en) Adjustable desk
EP3175126B1 (en) Modular wall system with slidable furniture
KR101811177B1 (ko) 각도 가변형 서가
US20180256423A1 (en) Adjustable support legs for a mattress foundation
KR101527359B1 (ko) 입식 및 좌식 공용 책상
JP6548371B2 (ja) デスクシステム
JP2016042984A (ja) デスクシステム
KR102455002B1 (ko) 칸막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A2940479C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AU2016101309A4 (en) A pedestal drawer unit
JP3060074B2 (ja) 昇降座敷テーブル
KR200347009Y1 (ko) 이동형 책걸상
KR200337304Y1 (ko) 이동형 책걸상
KR20060108117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210071690A (ko) 간격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JP2019076244A (ja) 天板昇降式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