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25Y1 - 절첩식 상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다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625Y1 KR200477625Y1 KR2020140007793U KR20140007793U KR200477625Y1 KR 200477625 Y1 KR200477625 Y1 KR 200477625Y1 KR 2020140007793 U KR2020140007793 U KR 2020140007793U KR 20140007793 U KR20140007793 U KR 20140007793U KR 200477625 Y1 KR200477625 Y1 KR 2004776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plate
- plate
- lower plate
- main body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床)이 가볍고 상다리를 접었을 때 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內)다리 구조로 개선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미관상 깨끗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상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판, 상판의 저면부에 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고정틀, 고정틀에 절첩 조작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다리를 구비하되, 상기 상다리는 고정틀에 힌지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주각체와 부각체로 이루어지며, 부각체의 자유단부에는 내측으로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부각체와 같이 일체로 주각체의 내면을 따라 접동되면서 자유단부측으로 탄성부세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다리의 접힘 조작시 상다리가 상판 내 공간에 은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상 무게를 줄이면서 상다리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상의 보관이 용이하고 절첩 외관이 미려하게 되며 가벼워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판, 상판의 저면부에 접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고정틀, 고정틀에 절첩 조작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다리를 구비하되, 상기 상다리는 고정틀에 힌지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주각체와 부각체로 이루어지며, 부각체의 자유단부에는 내측으로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부각체와 같이 일체로 주각체의 내면을 따라 접동되면서 자유단부측으로 탄성부세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다리의 접힘 조작시 상다리가 상판 내 공간에 은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상 무게를 줄이면서 상다리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상의 보관이 용이하고 절첩 외관이 미려하게 되며 가벼워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밥상 또는 탁자 등에 사용되는 절첩식 상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이 가볍고 상다리를 접었을 때에 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內)다리 구조로 개선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미관상 깨끗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상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판의 부피를 줄이고 상판의 저면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로 길이가 짧은 상다리를 설치하여 상판의 높이가 낮은 상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상판의 저면에 설치된 상다리를 접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다리를 접어 일정한 장소에 보관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첩식 다리를 구비한 상은 통상적으로 상판의 저면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바, 상다리의 절첩을 위한 고정판이 상판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절첩식 다리를 구비한 상은 다리 고정을 위해 상판이 두꺼운 합판으로 되어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운반 사용하기에는 상이 무거워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다리들이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시 다리가 상 밖으로 노출되는 외(外)다리 구조이므로 보관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미관상 보기 흉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이 가볍고 다리를 접었을 때에 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內)다리 구조로 개선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다리가 상판 내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며 미관상 깨끗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절첩식 상다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첩식 상다리 장치는, 복수의 상다리를 상판의 저면부를 향해 절첩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판과 하부판의 가장자리 측면부위에 테두리부가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판에 대하여 상판의 공간부를 향해 매립 설치되어 상다리가 수납되는 상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힌지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주각체와 부각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판을 향해 절첩시 고정틀 내부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다리를 포함하여, 상기 상다리를 접었을 때에 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內)다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절첩식 상다리 장치는, 상판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다리의 접힘 조작시 상다리가 상판 내 공간에 은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상 무게를 줄이면서 상다리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의 보관이 용이하고 절첩 외관이 미려하게 되며 가벼워 누구든지 용이하게 운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다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을 특수강을 사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수십만회를 절첩해도 변형없이 상다리를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판의 테두리를 본드 접착이나 나사못 체결 등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의 일부를 절취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장치의 A-A′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의 상다리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 장치의 A-A′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의 상다리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의 일부를 절취하여 보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 장치의 A-A′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의 상다리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장치는 상(床)판(100)과 상다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100)은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으로 구성되며, 이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에는 빈 공간부(130)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는, 상판(100)의 상부판(110)이 바닥에 닿도록 상을 뒤집어 도시하였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은 평평한 판부재로, 상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대략 3㎜ 두께의 얇은 MDF 합판 등의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가장자리 측면부위에는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테두리부(150)가 형성되게 된다.
테두리부(150)는 양측에 상판(100)의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에 걸리도록 걸림편(151,152)이 형성되고, 걸림편(151,152) 사이에 끼움돌기(153)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테두리부(150)는 상판(100)의 전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게 된다.
테두리부(150)의 상부 걸림편(151)은 상판(100)의 상부판(110)에 걸리도록 하고, 하부 걸림편(152)은 하부판(120)에 걸리도록 하여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에서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이때, 테두리부(150)의 가운데 끼움돌기(153)는 돌기상에 톱니모양으로 형성되게 되며, 끼움돌기(153)와의 체결을 위해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부(130) 상에 끼움홈(161)이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부재(160)가 개재되게 된다.
테두리부(150)는 플라스틱 재질 등이 사용되며, 가장자리부재(160)는 나무 재질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부재(160)의 끼움홈(161)은 대략 "ㄷ"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그 크기는 테두리부(150)의 끼움돌기(153) 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게 되어 끼움홈(161)에 끼움돌기(153)가 삽입될 때 이탈되지 않고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판(100)의 저면부위를 형성하는 하부판(120)에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4개의 상다리(200)가 설치된다. 이때, 상다리(200)는 상판(100)의 하부판(120)에 견고하게 고착된 고정틀(210)에 힌지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주각체(主脚體)(220)와 부각체(副脚體)(23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틀(210)은 상다리(200)가 수납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수납부(211)와, 상판(100)의 하부판(120)에 접하는 날개부(212)로 구성되며, 날개부(212)에는 소정 간격으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213)에 의해 상판(100)의 하부판(120)에 고정 체결되게 된다. 이때, 하부판(120)은 부재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볼트 등의 체결시 체결력 보강을 위해 날개부(212)에 대응하는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의 공간부(130) 상에 보강부재(150)가 개재되게 된다.
상기 주각체(220)는 고강도를 갖는 강판재를 절곡가공함에 의해 양측으로 안내턱을 갖는 요홈안내부(221)가, 그 주각체(220)의 전(全)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각체(220)는 고정틀(210)에 힌지부(222)를 개재하여 절첩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주각체(220)에는 요홈안내부(221)를 횡절(橫切)하는 상태로 멈춤핀(223)이 설치된다.
상기 부각체(230)는 주각체(220)와 동일재질로 절곡가공되며, 이때, 상기 부각체(230)는 상기 주각체(220)의 요홈안내부(221) 내로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각체(230)의 몸체 일측부위는 상기 주각체(220)의 멈춤핀(223)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요홈안내부(221)에 접동가능케 삽입되는 반면, 타측부위는 고정판(210)에 상기 주각체(220)의 힌지부(222)와는 거리를 두고 바로 인접하여 설치된 힌지부(232)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부각체(230)는 주각체(220)와 같이 회동됨과 아울러 그 주각체(220)의 요홈안내부(221)을 따라 접동된다. 상기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에는 상기 주각체(220)에 설치된 멈춤핀(223)에 대응하는 멈춤홈(233)이 요설된다. 상기 부각체(230)가 주각체(220)와 기립시 그 부각체(230)의 멈춤홈(233) 내로는 멈춤핀(223)이 걸리게 된다. 상기 부각체(230)가 멈춤홈(233)에 멈춤핀(223)이 걸려서 위치됨에 의해, 그 멈춤핀(223)이 일체로 고착된 주각체(220)는 멈춤핀(223)에 고정상태로 있는 부각체(230)에 의해 견고하게 받쳐지는 상태로 된다.
상기 부각체(230)의 내측으로는 상기 주각체(220)의 요홈안내부(221)의 내면과 그 부각체(230)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 위치시킨 판스프링(235)이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235)은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 일부위를 절취하여 그 부각체(23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절곡시킨 절곡편(236)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35)은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로부터 이탈되는 일없이 부각체(230)와 같이 일체로 주각체(220)의 안내부(221)를 따라 접동되면서 그 자유단부(231)측으로 탄성부세된다.
상기 판스프링(235)은 특수강(special steel) 재질을 사용하여 열처리되어 수십만회를 사용해도 변형이나 마모됨이 없도록 하여 준다.
이처럼, 판스프링(235)의 일측은 부각체(230)의 절곡편(236)에 끼워져 위치됨에 따라 부각체(230)와 접동시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에 항시 강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다리를 접을시]
상다리(200)의 기립상태에서 상판(100)의 저면부위로 접고져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주각체(220)의 멈춤핀(223)에 걸려있는 부각체(230)를 멈춤핀(223)으로부터 해제시킨다. 상기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를 손으로 누르면, 이때의 압압력에 의해 부각체(230)의 내면에 위치된 판스프링(235)이 수축하면서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가 주각체(220)의 요홈안내부(221)의 내측으로 몰입된다. 이로 인해 그때까지 멈춤핀(223)에 걸려있던 부각체(230)의 멈춤홈(233)이 그 멈춤핀(223)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 멈춤홈(233)이 멈춤핀(223)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상기 주각체(220)를 고정틀(210)의 수납부(211)을 향해 회동시킨다. 상기 주각체(220)가 힌지부(222)를 지점으로 하여 수납부(211)로 회동될시, 이와 결합된 상기 부각체(230)도 힌지부(232)를 지점으로 하여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납부(211) 내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부각체(230)가 주각체(220)와 일체로 회동되면서 접혀질시 그 부각체(230)의 자유단부(231)에 있는 판스프링(235)도 같이 상기 주각체(220)의 요홈안내부(221)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될 시, 상기 판스프링(235)에 의해 걸린 상태로 되어 요홈안내부(221)의 내면을 따라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각체(220)와 부각체(23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자연스럽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0)의 하부판(120) 측으로 접혀져 수납부(211) 내에 노출없이 수납되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주각체(220)와 부각체(230)의 접힘 작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부각체(230)가 멈춤핀(223)으로부터 해제되는 즉시 신속하게 상의 저면측으로 손쉽게 접혀진다.
[상다리의 기립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211)에 수납된 접혀져 있는 상다리(200)를 기립시에는 먼저 주각체(220)를 손으로 잡고서 외측을 향해 회동되게 들어올린다. 이때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있는 주각체(220)와 부각체(230)는 각 힌지부(222,232)를 지점으로 하여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기립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부각체(230)는 접을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주각체(220)의 안내부(221)를 따라서 판스프링(235)과 같이 접동된다. 상기 주각체(220)가 상판(100)의 저면부에 대하여 거의 직각을 이루게 될 시, 이와 같이 상판(100)의 저면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접동되는 부각체(230)의 멈춤홈(233)이 멈춤핀(223)에 걸리게 되어 그 부각체(230)를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특히, 주각체(220)를 따라 접동되는 부각체(230)의 멈춤홈(233)이 멈춤핀(223)과 만나는 순간 판스프링(235)의 탄발력에 의해 신속히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결합후에도 판스프링(235)의 부세력이 항시 작용되어 부각체(230)의 멈춤홈(233)이 멈춤핀(223)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부각체(230)는 주각체(220)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상태로 되어 항시 상다리(200)는 견고성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235)은 부각체(230)와 같이 이동시 요홈안내부(221)의 내면을 따라 접동시 변형되는 일 없이 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상(床)판 110 : 상부판
120 : 하부판 130 : 공간부
140 : 보강부재 150 : 테두리부
151,152 : 걸림편 153 : 끼움돌기
160 : 가장자리부재 161 : 끼움홈
200 : 상다리 210 : 고정틀
211 : 수납부 212 : 날개부
213 : 체결부재 220 : 주각체(主脚體)
230 : 부각체(副脚體) 235 : 판스프링
120 : 하부판 130 : 공간부
140 : 보강부재 150 : 테두리부
151,152 : 걸림편 153 : 끼움돌기
160 : 가장자리부재 161 : 끼움홈
200 : 상다리 210 : 고정틀
211 : 수납부 212 : 날개부
213 : 체결부재 220 : 주각체(主脚體)
230 : 부각체(副脚體) 235 : 판스프링
Claims (6)
- 복수의 상다리를 상판의 저면부를 향해 절첩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판과 하부판의 가장자리 측면부위에 테두리부가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판에 대하여 상판의 공간부를 향해 매립 설치되어 상다리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힌지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주각체와 부각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판을 향해 절첩시 고정틀 내부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다리를 포함하여,
상기 상다리를 접었을 때에 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내(內)다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판의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가장자리부분에 설치되며, "ㄷ"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가장자리부재;
상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각각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서 맞물려 결합시키는 걸림편; 및
양측 걸림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부재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끼움홈의 크기는 상기 끼움돌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는 돌기상에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시 억지 끼움형태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상다리의 주각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안내부가 설치되며, 요홈안내부를 횡절하는 상태로 멈춤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틀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절첩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상다리의 부각체는 상기 고정틀에 주각체의 힌지부와 인접하여 힌지부가 설치되며, 자유단부에 상기 주각체에 설치된 멈춤핀에 대응하는 멈춤홈이 요설되어 멈춤홈 내에 상기 주각체의 멈춤핀이 걸리거나 이탈됨에 의해 상다리가 회동되고,
상기 부각체의 자유단부에는 내측으로 특수강 재질의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부각체와 같이 일체로 주각체의 내면을 따라 접동되면서 자유단부측으로 탄성부세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다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MDF 합판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다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상판의 하부판에 접면하여 상기 수납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날개부;
상기 상판의 하부판에 상기 날개부를 볼트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보강을 위해, 상기 날개부가 접면하는 하부판 부위의 공간부에 개재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다리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793U KR200477625Y1 (ko) | 2014-10-27 | 2014-10-27 | 절첩식 상다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793U KR200477625Y1 (ko) | 2014-10-27 | 2014-10-27 | 절첩식 상다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625Y1 true KR200477625Y1 (ko) | 2015-07-07 |
Family
ID=5379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7793U KR200477625Y1 (ko) | 2014-10-27 | 2014-10-27 | 절첩식 상다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62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1490B1 (ko) * | 2019-10-29 | 2020-06-10 | 이도혁 |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698Y1 (ko) * | 1984-07-07 | 1987-05-13 | 정기호 | 상 다 리 |
KR101099426B1 (ko) * | 2011-08-18 | 2011-12-27 | 주식회사 우드메탈 | 불연성 상판을 구비한 테이블 |
-
2014
- 2014-10-27 KR KR2020140007793U patent/KR20047762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1698Y1 (ko) * | 1984-07-07 | 1987-05-13 | 정기호 | 상 다 리 |
KR101099426B1 (ko) * | 2011-08-18 | 2011-12-27 | 주식회사 우드메탈 | 불연성 상판을 구비한 테이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1490B1 (ko) * | 2019-10-29 | 2020-06-10 | 이도혁 |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45954A (en) | Playyard hinge | |
US7229128B2 (en) | Collapsible chair with safety lock | |
US20140284247A1 (en) | Sleeve Pack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 |
JP6694052B2 (ja) | 脱着可能なハンドル | |
US20120180320A1 (en) | Folding knife | |
US7467573B1 (en) | Nail holder | |
KR200477625Y1 (ko) | 절첩식 상다리 장치 | |
KR200410573Y1 (ko) | 케이크 고정구 | |
KR20130007433U (ko) |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 |
US20160089805A1 (en) | Piercing mechanism of bread maker | |
KR200410567Y1 (ko) | 케이크 고정구 | |
ES2541278T3 (es) | Grapadora de grapado plano que tiene un dispositivo de amortiguación | |
EP3312373A1 (en) | Easy-to-clean lower slide device for shower door | |
KR20150000652U (ko) | 휴대용 테이블 | |
KR20150061223A (ko) | 접이식 테이블 | |
JP6796522B2 (ja) | 組立家具 | |
KR101292823B1 (ko) | 버튼식 절첩 가능한 테이블 다리 | |
KR20180019285A (ko) | 버튼을 활용한 접이식 상다리의 고정장치 | |
US2542510A (en) | Razor blade magazine | |
KR101108330B1 (ko) | 음식물 고정구 | |
KR101678877B1 (ko) |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 |
KR200479615Y1 (ko) |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 |
KR200410568Y1 (ko) | 케이크 고정구 | |
JP6006899B1 (ja) | 折り畳みテーブル | |
KR20150111121A (ko) | 휴대용 탁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