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223A -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223A
KR20150061223A KR1020130145060A KR20130145060A KR20150061223A KR 20150061223 A KR20150061223 A KR 20150061223A KR 1020130145060 A KR1020130145060 A KR 1020130145060A KR 20130145060 A KR20130145060 A KR 20130145060A KR 20150061223 A KR20150061223 A KR 2015006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legs
upper plates
plates
foldable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윤필현
Original Assignee
(주)주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주일하드웨어
Priority to KR102013014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223A/ko
Publication of KR2015006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접이식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테이블은 한 쌍의 상판; 상기 상판들의 마주보는 영역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에는 상기 상판들이 축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장공을 각각 구비한 지지부재; 각각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상기 상,하부 부재들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들로 이루어져 서로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부부재의 중앙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부축 부재로 결합되고, 각각의 상부부재의 중앙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상판들이 펼쳐지고, 상기 다리들이 상기 하부축 부재와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들이 삽입되어 상기 다리들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상판들의 저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들과 일체화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고, 펼쳐짐과 접힘이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테이블을 펼쳐 사용하는 작업이나 접어 보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테이블{COLLAPSIBLE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한 동작으로 펼침이 가능하고, 접힘시에는 다리의 수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일체화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은 원 형태로 구비되는 테이블플레이트의 저면에 접철되는 다리를 구비하거나, 사각형상으로 접철되는 테이블플레이트의 저면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가 접철에 의하여 인출되도록 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은 통상 4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그 부피와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쉽게 휴대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펼침과 접힘이 곤란한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083호(공고일 : 2013.05.31)에는 접이식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이식 테이블은, 제1판과 제2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판과 상기 한 쌍의 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한 번의 동작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을 접거나 펼 때마다 다리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고, 테이블을 접거나 펴면 다리도 자동으로 함께 접히거나 펴지고, 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접이식 테이블은, 구조가 복잡하였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083호(공고일 : 2013.05.31)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면서도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고,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힘 동작으로 다리가 상판들 사이에 수납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 쌍의 상판; 상기 상판들의 마주보는 영역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에는 상기 상판들이 축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장공을 각각 구비한 지지부재; 각각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상기 상,하부 부재들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들로 이루어져 서로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부부재의 중앙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부축 부재로 결합되고, 각각의 상부부재의 중앙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상판들이 펼쳐지고, 상기 다리들이 상기 하부축 부재과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들이 삽입되어 상기 다리들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상판들의 저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축 장공들의 길이는, 상기 상판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졌을 때, 접혀진 상기 다리들이 양쪽의 상판들 사이에 수납되도록 각 상기 다리의 폭과 각각 같은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부재들 및 하부부재들의 중앙부에는, 상기 다리들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서로 밀착되어 접히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영역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의 결합부재들이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부재들에 설치된 결합부재들의 겹쳐진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하부축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들에 설치된 결합부재의 겹쳐진 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들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들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가 나사 체결부를 구비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들은, 상기 상판들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판들의 저면과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다리들이 상기 체결부재와 하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졌을 때, 상기 상부부재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부재들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단들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가 삽입홈으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단들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잠금부재는,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단 방향에서 상기 수평단의 끝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단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단의 표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단의 표면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눌릴 때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어 회피하기 위한 회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들과 일체화된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고, 펼쳐짐과 접힘이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테이블을 펼쳐 사용하는 작업이나 접어 보관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다리가 겹쳐진 상태로 양쪽의 상판 사이에 수납됨으로써 테이블의 보관시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4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5b,5c,5d,5e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6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하부부재에 높이조절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4b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테이블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0)은,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상판(20)과, 상판(20)들의 맞댐 영역에 배치되어 상판(20)들을 축으로 결합하고 접혀지도록 연결하는 지지부재(70)와, 지지부재(7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맞댐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다리(30)와, 각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펼쳐진 상태의 상판(20)들을 지지하도록 펼쳐진 다리(30)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들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판(20)은, 접이식 테이블(1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목재, 금속, MDF, 합판,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판(20)들은, 맞댐 영역에 지지부재(7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22A)이 각각 형성된다. 이 수용홈(22A)에는 상판(20)들이 펼쳐졌을 때 지지부재(70)가 수용되고, 상판(20)들의 맞댐 영역이 서로 맞닿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수용홈(22A)의 마주보는 각 내측면에는 지지부재(70)의 축 장공(72)에 삽입되는 회전 지지축(22B)을 구비한 지지축 몸체(22C)가 각각 설치된다. 이 지지축 몸체(22C)는 각 수용홈(22A)의 저면 가장자리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일면에 회전 지지축(22B)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판(20)들은 사각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70)는, 양쪽의 상판(20)들을 접힘이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리(30)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형상은 수용홈(22A)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단면 양쪽에는 축 장공(72)이 각각 형성된다. 축 장공(72)의 길이는 다리(30)의 폭과 같다. 즉, 각각의 축 장공(72)의 길이는 각각의 다리(30) 폭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판(20)들이 접혀져 서로 평행한 상태일 때, 상판(20) 사이에 맞닿게 접혀진 다리(30)들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재(70)의 저면 중앙에는 체결부재(38)의 나사부(38A)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75)이 형성된다.
다리(30)들은, 상판(20)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32)와 하부부재(34) 및 상,하부 부재(32,34)의 단부들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부재(36)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리(30)들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다리꼴, 5각형, 6각형, 3각형, 반구형, 원호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리(30)들은 서로 평행하게 접혀지거나 '×' 형태로 펼쳐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부부재(32)들과 하부부재(34)들의 중앙부에는, 다리(30)들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서로 밀착되어 접히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영역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의 결합부재(80)들이 서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즉, 상부부재(32)들과 하부부재(34)들의 중앙부가 절단된 후, 그 절단된 영역을 상부부재(32)들과 하부부재(34)들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재(80)가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80)가 각각 분할된 상부부재(32)들과, 하부부재(34)들의 중앙부를 연결하게 되므로, 상부부재(32)들과 하부부재(34)들은 각각 평행하게 겹쳐진 상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로 '×' 형태로 겹쳐지는 결합부재(80)들은 체결부재(38)와 하부축 부재(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부부재(32)들을 연결하는 결합부재(80)들은 서로 겹치는 영역에 관통공(84)이 형성되므로, 체결부재(38)의 나사부(38A)가 상부부재(32)들을 연결하는 결합부재(80)들의 관통공(84)을 통하여 지지부재(70)의 나사공(75)에 체결되고, 하부축 부재(35)의 나사부(35A)가 하부부재(34)를 연결하는 결합부재(80)들의 관통공(84)를 통하여 너트(35B)와 체결되므로 한 쌍의 다리(30)는 서로 맞닿도록 접혀지고, '×'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38)에 의해 지지부재(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축 부재(35)는, 리벳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결합부재(80)들을 회전되면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하부부재(34)들의 저면에는, 하부부재(34)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90)가 각각 구비된다. 하부부재(34)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을 경우에, 다리(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고, 유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90)는 부착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34)들의 저면에는, 하부부재(34)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98)가 나사 체결부(98A)를 구비하여 체결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98)에 따르면, 지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높이조절부재(98)를 조이거나 풀어 상판(2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나사 체결부(98A)가 하부부재(34)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체결부재(3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8A)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므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체결 조임 동작이나 체결 풀림 동작을 공구없이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재(40)들은, 상판(20)들이 펼쳐지고, 다리(30)들이 하부축 부재(35)과 체결부재(38)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부재(32)들이 삽입되어 다리(30)들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판(20)들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40)들은 지지부재(7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나, 상판(20)들이 접혀졌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 즉 서로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도록 그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한다.
다시 설명하면, 한 쪽의 상판(2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의 위치와 다른 쪽의 상판(2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들의 위치가 동일할 경우에, 상판(20)들을 서로 평행하게 접게 되면, 동일한 위치에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40)들이 서로 맞부딪혀 완전한 접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각 고정부재(40)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재(40)들은, 상판(20)들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단(42)과, 수직단(42)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판(20)들의 저면과의 사이에 삽입홈(46)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단(44)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재(40)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단(42)의 상단부가 상판(20)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고, 수평단(44)과 상판(20)의 저면 사이에 상부부재(32)가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삽입홈(46)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홈(46)은, 다리(30)들이 체결부재(38)와 하부축 부재(3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졌을 때, 상부부재(32)들이 삽입되도록 체결부재(38)를 중심으로 상부부재(32)들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접혀진 상태의 다리(30)들이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곧바로 삽입홈(46)에 삽입되도록 각각의 삽입홈(46)의 개구 방향이 상부부재(32)들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부재(40)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단(44)들의 상면에는, 상부부재(32)가 삽입홈(46)으로 삽입된 후, 삽입홈(46)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돌기(44A)가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44A)는 상부부재(32)가 삽입홈(46)으로 삽입될 때, 타고 넘어가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부부재(32)가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부부재(32)가 삽입홈(46)에서 빠질 때에는 타고 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고정부재(40)는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a,5b,5c,5d,5e 및 도 6a,6b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테이블(10)이 접혀진 상태는, 양쪽의 상판(20)들이 지지부재(70)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고, 각각의 다리(30)도 서로 맞닿게 접혀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판(20)들이 사이에 다리(30)가 접혀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은 것은, 지지부재(70)에 한 쌍의 축 장공(72)이 형성되어 각 상판(20)이 간격을 유지하여 접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혀진 상태의 접이식 테이블(10)은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이식 테이블(10)을 사용하기 위하여 펼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상판(20)들을 지지부재(7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친다.
이어서, 도 5c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상판(20)들을 상향으로 움직여 펼치면서 각 다리(30)들을 펼치되, 각 다리(30)들은 각 고정부재(4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들은 수평으로 펼치고, 각 다리(30)의 상부부재(32)가 각 고정부재(40)의 삽입홈(46)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부재(32)는 걸림돌기(44A)을 타고 넘으면서 삽입홈(46)의 내측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접이식 테이블(10)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테이블(10)을 접는 순서는 전술한 펼침 순서의 역순이다.
한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0)는, 삽입홈(46)으로 삽입된 상부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50)가 마련된 것이다. 즉, 걸림돌기(44A) 대신에 잠금부재(5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잠금부재(50)는,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수직단(42) 방향에서 수평단(44)의 끝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단이 수평단(44)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단(44)의 표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단(52)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걸림단(52)에 대응되는 수평단(44)의 표면에는 잠금부재(50)가 눌릴 때 걸림단(52)이 삽입되어 회피하기 위한 회피공(44B)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잠금부재(50)는, 다리(30)들이 펼쳐져 상부부재(32)가 삽입홈(46)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부부재(32)가 잠금부재(50)를 누르면서 삽입된다. 이때, 걸림단(52)은 회피홈(44B)으로 삽입되어 상부부재(32)의 삽입 동작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상부부재(32)가 잠금부재(50)를 벗어나게 되면, 잠금부재(5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부재(32)는 걸림단(52)에 간섭되므로, 잠금부재(50)를 눌러 걸림단(52)이 회피공(44B)에 삽입되지 전까지는 상부부재(32)가 삽입홈(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접이식 테이블 20 : 상판
22A : 수용홈 22B : 회전 지지축
22C : 지지축 몸체 30 : 다리
32 : 상부부재 34 : 하부부재
35 : 하부축 부재 35A,38A : 나사부
36 : 수직부재 38 : 체결부재
40 : 고정부재 42 : 수직단
44 : 수평단 44A : 걸림돌기
44B : 회피공 46 : 삽입홈
50 : 잠금부재 52 : 걸림단
70 : 지지부재 72 : 축 장공
75 : 나사공 80 : 결합부재
84 : 관통공 90 : 완충부재
98 : 높이조절부재 98A : 나사 체결부

Claims (9)

  1. 한 쌍의 상판;
    상기 상판들의 마주보는 영역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에는 상기 상판들이 축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장공을 각각 구비한 지지부재;
    각각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상기 상,하부 부재들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수직부재들로 이루어져 서로 같은 크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하부부재의 중앙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부축 부재로 결합되고, 각각의 상부부재의 중앙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 및
    상기 상판들이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펼쳐지고, 상기 다리들이 상기 하부축 부재와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들이 삽입되어 상기 다리들의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상판들의 저면에 마련되는 고정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장공들의 길이는,
    상기 상판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졌을 때, 상기 상판들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접혀진 상기 다리들이 양쪽의 상판들 사이에 수납되도록 각 상기 다리의 폭과 각각 같거나 큰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들 및 하부부재들의 중앙부에는,
    상기 다리들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서로 밀착되어 접히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영역의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의 결합부재들이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부재들에 설치된 결합부재들의 겹쳐진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하부축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들에 설치된 결합부재의 겹쳐진 영역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들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들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가 나사 체결부를 구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들은,
    상기 상판들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단과, 상기 수직단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판들의 저면과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다리들이 상기 체결부재와 하부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형상으로 펼쳐졌을 때, 상기 상부부재들이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부재들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들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가 삽입홈으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만곡진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단들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잠금부재는,
    자체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단 방향에서 상기 수평단의 끝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일단이 상기 수평단의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단의 표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단의 표면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눌릴 때 상기 걸림단이 삽입되어 회피하기 위한 회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20130145060A 2013-11-27 2013-11-27 접이식 테이블 KR20150061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60A KR20150061223A (ko) 2013-11-27 2013-11-27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60A KR20150061223A (ko) 2013-11-27 2013-11-27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223A true KR20150061223A (ko) 2015-06-04

Family

ID=534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060A KR20150061223A (ko) 2013-11-27 2013-11-27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2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18U (ko) * 2018-12-07 2021-06-01 제이. 와이. 몬티지 트레이드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접이식 테이블 전개시의 안정화 및 결합 구조
FR3107819A1 (fr) * 2020-03-05 2021-09-10 Carrefour Table pliante à jambe centrale rabattable
KR20240031647A (ko) 2022-09-01 2024-03-08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테이블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18U (ko) * 2018-12-07 2021-06-01 제이. 와이. 몬티지 트레이드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접이식 테이블 전개시의 안정화 및 결합 구조
FR3107819A1 (fr) * 2020-03-05 2021-09-10 Carrefour Table pliante à jambe centrale rabattable
KR20240031647A (ko) 2022-09-01 2024-03-08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테이블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4385B2 (en) Foldable bed frame structure
US7584830B2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KR20150061223A (ko) 접이식 테이블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KR200472125Y1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75341Y1 (ko) 야외 테이블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US9345317B2 (en) Foldable table with stacking arrangement
KR200483499Y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이식 낚시좌대
JP6796522B2 (ja) 組立家具
KR20160044893A (ko) 접이식 테이블
KR101589544B1 (ko) 휴대용 탁자
KR101809422B1 (ko) 수강용 탁자
KR20090069909A (ko) 접철식 낫
US7066099B2 (en) Foldable article of furniture
KR200479615Y1 (ko)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JP3162594U (ja) 家具の脚構造
KR200477625Y1 (ko) 절첩식 상다리 장치
KR20180007409A (ko) 휴대용 접이식 포장박스
KR102072104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2118611B1 (ko) 접이식 다리의 고정장치
KR102279091B1 (ko) 포터블 접이테이블
KR102000633B1 (ko) 절첩식 좌의자의 등받이 자연절첩방지장치
KR200465993Y1 (ko)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