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117A -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 Google Patents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117A
KR20060108117A KR1020050030276A KR20050030276A KR20060108117A KR 20060108117 A KR20060108117 A KR 20060108117A KR 1020050030276 A KR1020050030276 A KR 1020050030276A KR 20050030276 A KR20050030276 A KR 20050030276A KR 20060108117 A KR20060108117 A KR 2006010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op plate
inclination
gears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303B1 (ko
Inventor
이정원
유원기
Original Assignee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filed Critical 이정원
Priority to KR102005003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9Location, co-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40Multi-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노브를 통해 용이하게 상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조절 시 상판의 선단이 상판의 나머지 부분과 절곡되면서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를 안전하게 상판에 놓을 수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가 상판으로부터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호 절곡가능하게 연결된 선단 일부인 수평부와 그 나머지 부분인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수평부는 승/하강하면서 수평을 유지하고 경사부는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경사부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책상, 상판, 경사조절, 각도조절

Description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Desk having Top Plate capable Angle Setting}
도 1a∼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b는 도 1c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하부프레임 11∼14: 다리부
20: 상판 21: 수평부
21a, 21b: 요홈 23: 경사부
25a, 25b: 힌지부 26: 힌지축
27: 장공 30a, 30b: 경첩
31a, 31b: 연결부 40: 경사조절부
41a, 41b: 기어 42: 연결로드
43a, 43b: 코일스프링 44a, 44b: 고정핀
45a, 45b: 수직가이드 46a, 46b: 리니어기어부
47: 회전노브 48a, 48b: 지지편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노브를 통해 용이하게 상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조절 시 상판의 선단이 상판의 나머지 부분과 절곡되면서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를 안전하게 상판에 놓을 수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가 상판으로부터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작업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상판과 소지품 또는 책들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서랍 프레임과 상기 서랍프레임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목재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작업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상판과,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서랍프레임과, 상기 서랍프레임이 안착되고, 상판 및 서랍프레임이 볼트 결합됨으로써, 책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은 작업대를 이루는 상판이 서랍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이 동시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판과 하부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하부프레임과 평행하게 유지됨으로써, 스케치 작업이나 도면 작업과 같이 정밀도가 요구되는 작업을 행할 때는 상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제도 책상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41983호에 게시된 책상은, 상판과 받침대에 힌지를 구성하고, 상기 받침대 일측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책상의 하부면 상부에 연결하며, 실린더의 힘으로 책상의 상판이 경사지게 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서랍을 상하 및 전후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기 서랍의 이동 또한 서랍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 고리의 체결을 제거하면 서랍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자동 하강되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책상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제작하기 위해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판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 설정되는 경우, 상판에는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 등을 올려놓을 경우 바닥으로 미끄러져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용구들을 올려놓을 수 없고 결국 이러한 용구들을 놓을 수 있는 별도의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책상의 상판을 경사지도록 배치하기 위해, 사용자는 앉은 자리에서 일어나 한손으로 상판의 일단을 상방향으로 당기면서 나머지 한손으로 그 상판 각도를 설정해야 하므로, 상판의 각도 설정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 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노브를 통해 용이하게 상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경사조절 시 상판의 선단이 상판의 나머지 부분과 절곡되면서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를 안전하게 상판에 놓을 수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가 상판으로부터 추락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호 절곡가능하게 연결된 선단 일부인 수평부와 그 나머지 부분인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수평부는 승/하강하면서 수평을 유지하고 경사부는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경사부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판의 경사조절 시 수평부와 경사부의 접하는 측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방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수평부 및 경사부의 하면에 각각 연결된 경첩은 연결부가 상방향으로 절곡시켜 수평부의 내측으로 매입함에 따라 수평부 및 경사부의 절곡 시 선회중심을 수평부의 중앙에 설정하는 경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와, 상기 한쌍의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기어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한쌍의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의 기어치 사이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정핀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방지도록 한쌍의 기어를 각각 고정핀 측으로 가압하여 탄력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코일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상판의 수평부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하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를 형성하여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한쌍이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로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브와, 상기 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경사설정은, 상기 회전노브를 연결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밀어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니어기어부를 통해 상판을 원하는 만큼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한 뒤,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의 폭은 초기상태에서 고정핀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와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공수 를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 등을 수평판에 안전하게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용구들이 바닥으로 미끄러져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상판의 경사 설정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c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4개의 다리부(11∼14)를 갖고 서포터(16)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하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1)의 상단 후방 양측에 대응 형성된 한쌍의 힌지부(25a, 25b)를 통해 힌지 결합된 상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판(20)은 상호 한쌍의 경첩(30a, 30b)에 의해 소정각도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 수평부(21)와 경사부(23)로 이루어지며, 하기에 설명하는 경사조절부(40)를 통해 상판(20)의 경사 설정 시 상기 수평부(21)는 승/하강하면서 수평을 유지하고 경사부(23)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를 갖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힌지부(25a, 25b)와 하부프레임(1)을 연결하는 힌지축(26)이 결합된 하부프레임(1)에는 상기 상판의 경사부(23)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 지축(26)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소정 곡률로 이루어진 장공(2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20)이 수평인 상태에서 경사를 설정하기 위해, 경사조절부(40)를 조작하여 수평부(21)가 수평상태로 수직 상승되면서, 경사부(23)의 선단이 수평부(21)와 절곡되면서 상승하는 소정 기울기로 경사 설정되는데, 이때 상기 힌지축(26)은 장공(27)을 따라 수평부(21) 측을 향해 소정거리 이동하여 경사부(23)의 후단을 소정거리 전진 이동시켜, 상기 경사부(23)가 경사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판(20)의 수평부(21)와 경사부(23)를 연결하는 상기 경첩(30a, 30b)은 수평부(21) 및 경사부(23)의 하면에 결합되어, 연결부(31a, 31b)를 상방향으로 절곡시켜 수평부(21) 하면의 요홈(21a, 21b)으로 매입함에 따라 수평부(21) 및 경사부(23)의 절곡 시 선회중심을 수평부(21)의 대략 중앙에 설정하여, 수평부(21) 및 경사부(23)의 절곡 시 서로 접하는 측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조절부(40)는 상기 하부프레임(1)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11, 12)의 내부 상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41a, 41b)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연결로드(42)에 의해 수평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다리부(11, 12) 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3a, 43b)에 의해 각각 측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기 어(41a, 41b)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44a, 44b)이 상기 다리부(11, 12) 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43a, 43b)이 배치된 맞은편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0)의 수평부(21) 하단 양측에는 각각 직각방향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다리부(11, 12)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 하측에는 각각 한쌍의 기어(41a, 41b)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46a, 4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41a, 41b)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수직가이드(45a, 45b)는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다리부(11, 12)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41a, 41b)의 폭은 도 1a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고정핀(44a, 44b)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가이드(45a, 45b)는 상기 다리부(11, 12) 내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지지편(48a, 48b)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안내된다.
한편, 상기 연결로드(42)의 일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노브(4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2a와 같이 상판(20)이 하부프레임(1)에 수평상태로 배치된 초기상태에서, 상판(20)을 소정 각도로 경사 설정할 경우, 먼저, 도 1b와 같이 회전노브(47)를 연결로드(42)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밀어서 한쌍의 기어(41a, 41b)가 리니어기어부(46a, 46b)와 치합된 상태에서 고정핀(44a, 44b)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노브(4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로드(42)를 통해 연결된 한쌍의 기어(41a, 41b)가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치합된 상태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도 1c 및 도 2b와 같이 수직가이드(45a, 45b)를 상승시켜 수평판(21)을 수평상태로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경첩(30a, 30b)을 통해 상기 수평판(21)에 연결된 경사판(23)은 수평판(21)에 연결된 선단이 상승함과 동시에 후단이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회전노브(47)의 회전시킨 클릭 수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 설정되며, 상판(20)이 원하는 경사각으로 설정되면, 누르고 있던 회전노브(47)에 가압을 해제한다.
이어서, 상기 한쌍의 기어(41a, 41b)는 도 1d와 같이 리니어기어부(46a, 46b)에 치합된 상태로 코일스프링(43a, 43b)에 의해 고정핀(44a, 44b)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핀(44a, 44b)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판(20)을 경사 설정한 후,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설명한 바의 역순으로 작동시켜 간단하게 원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제도용구 또는 미술용구 등을 수평판에 안전하게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이러한 용구들이 바닥으로 미끄러져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상판의 경사 설정이 한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상판이 경사지게 설정되도록 상판 후단의 하면에 결합된 한쌍의 힌지부를 통해 하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호 절곡가능하게 연결된 선단 일부인 수평부와 그 나머지 부분인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조절부를 통해 상판의 경사설정 시 수평부는 승/하강하면서 수평을 유지하고 경사부는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되며;
    상기 한쌍의 힌지부와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축이 결합된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상판의 경사부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힌지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경사조절 시 수평부와 경사부의 접하는 측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방지하도록, 상기 상판의 수평부 및 경사부의 하면에 각각 연결된 경첩은 연결부가 상방향으로 절곡시켜 수평부의 내측으로 매입함에 따라 수평부 및 경사부의 절곡 시 선회중심을 수평부의 중앙에 설정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한쌍의 다리부 상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재된 한쌍의 기어와,
    상기 한쌍의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기어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한쌍의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의 기어치 사이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정핀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 내에 설치되어 초기상태에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방지도록 한쌍의 기어를 각각 고정핀 측으로 가압하여 탄력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코일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상판의 수평부 하단에 직각방향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다리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하측에는 상기 한쌍의 기어와 치합되는 리니어기어부를 형성하여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와,
    상기 한쌍이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로드 일측에 형성된 회전노브와,
    상기 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가이드를 수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경사설정은, 상기 회전노브를 연결로드의 축방향을 따라 밀어서 한쌍의 기어를 고정핀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니어기어부를 통해 상판을 원하는 만큼 기울기를 갖도록 설정한 뒤, 회전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한쌍의 기어가 고정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내측에 배치된 기어의 폭은 초기상태에서 고정핀과 수직가이드의 리니어기어부와 동시에 치합되는 폭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1020050030276A 2005-04-12 2005-04-12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10078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76A KR100786303B1 (ko) 2005-04-12 2005-04-12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76A KR100786303B1 (ko) 2005-04-12 2005-04-12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008U Division KR200390430Y1 (ko) 2005-04-12 2005-04-12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117A true KR20060108117A (ko) 2006-10-17
KR100786303B1 KR100786303B1 (ko) 2007-12-18

Family

ID=3762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276A KR100786303B1 (ko) 2005-04-12 2005-04-12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93Y1 (ko) * 2011-10-21 2013-06-12 황영철 기울기가 조절되는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33B1 (ko) * 2015-01-12 2015-06-15 (주)캠퍼스라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93Y1 (ko) * 2011-10-21 2013-06-12 황영철 기울기가 조절되는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03B1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196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US10306977B2 (en) Height adjustable desk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20130167757A1 (en) Adjustable desk
WO2011059058A1 (ja) 天板付き家具
KR101917946B1 (ko) 스탠딩 데스크
KR10078630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101703230B1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112912048B (zh) 床装置
KR20039043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039080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JPH08182543A (ja) 移動式収納家具
CN214386631U (zh) 一种适用于不同身高学生使用的课桌椅
KR100608273B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547424B1 (ko)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 장치
JP4411413B2 (ja) 椅子
US11980289B1 (en)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N218605825U (zh) 一种可调角度的键盘手托盘
KR200409308Y1 (ko) 헬리컬기어를 이용한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KR20120120605A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CN217722930U (zh) 一种高度可调的升降桌
KR102121490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CN219109027U (zh) 一种学生用升降书桌
KR102342067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JP6521655B2 (ja) 昇降機構及び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