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230B1 -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3230B1 KR101703230B1 KR1020150042484A KR20150042484A KR101703230B1 KR 101703230 B1 KR101703230 B1 KR 101703230B1 KR 1020150042484 A KR1020150042484 A KR 1020150042484A KR 20150042484 A KR20150042484 A KR 20150042484A KR 101703230 B1 KR101703230 B1 KR 101703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sk
- plate
- plunger
- height
- support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47B2009/18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table top and the legs or underfram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책상의 상판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에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 지지다리의 상단에 링크결합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상단에 구비되는 각도조절판, 지지다리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플런저, 플런저와 링크결합되는 선회부재, 선회부재에 링크결합되는 레버부재, 플런저가 정지홀에 끼워지도록 선회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지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책상의 상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책상의 상판을 다른 작업을 하는 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 위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책상의 모니터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여 앉거나 서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일명 스탠딩 책상이 개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5254에는 책상의 상판 전체를 승하강시키는 방식의 스탠딩 책상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책상의 상판 전체를 승강시켜야 하므로 하중을 지지하는 동력을 크게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책상의 상판 위에 별도의 높낮이 조절식 받침판을 설치하여 모니터와 키보드 등 최소한의 기기만을 받침판에 올려 놓고 승하강시키는 방식의 스탠딩 책상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도 책상의 상판에 높낮이 기구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책상의 상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의 상판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위에 별도의 높낮이 기구를 올려 놓게 되므로 책상의 상판과 받침판의 높이차가 크게 되고, 그로 인해 책상의 상판을 다른 작업을 하는 등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종래 받침판은 링크구조에 의해 승강시키게 되는데, 링크운동에 의해 승강시 받침판의 수평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게 된다. 즉, 받침판이 선회하면서 승강하게 되면 최저점에 비해 최고점에서 받침판이 사용자 쪽으로 더 가깝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앉아 있을 때보다 조금 물어서야 하는데 뒤쪽 공간에 여유가 없는 환경에서는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책상의 상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을 다른 작업을 하는 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책상의 상판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링크결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단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정지홀이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원호형상을 이루며 형성된 각도조절판,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책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에 출입하면서 상기 지지다리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플런저,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플런저와 링크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에 출입시키는 선회부재,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상기 책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선회부재에 링크결합되며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를 선회시켜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플런저가 정지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플런저와 선회부재 및 레버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와 각도조절판은 상기 받침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와 선회부재는 1쌍이 상기 레버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재에 상기 1쌍의 선회부재가 각각 링크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위쪽으로 잡아 당겨 선회시키는 당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다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지지다리를 복원력에 의해 밀어 올려 선회시키는 푸쉬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책상의 상판 선단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책상의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받침판이 책상의 상판에 절첩식 지지다리에 의해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로서, 상기 지지다리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이 책상의 상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책상의 상판에 받침판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책상의 상판에 구비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고 모니터를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위치를 정지시키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책상의 상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책상의 상판과 받침판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다른 작업을 하는 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앉은 자리에서 물러서지 않고 그대로 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바라본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플런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9는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바라본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플런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런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걸림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9는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책상의 상판(1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20), 베이스부재(20)에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22), 지지다리(22)의 상단에 링크결합되는 받침판(24), 받침판(24)의 상단에 구비되는 각도조절판(30), 지지다리(22)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플런저(41), 플런저(41)와 링크결합되는 선회부재(42), 선회부재(42)에 링크결합되는 레버부재(51), 선회부재(42)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45), 및 지지다리(2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0)는 책상의 상판(10)에 걸림부재(60)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걸림부재(60)는 일단이 베이스부재(20)에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책상의 상판(10) 후단에 걸려 지지된다.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6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책상의 상판(10) 후단에 걸려 지지되고 고정수단(61)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수단(61)은 걸림부재(60)에 스크류결합되어 사용자가 조이게 되면 걸림부재(60)가 책상의 상판(10)에 고정되고 조임을 풀게 되면 걸림부재(60)를 책상의 상판(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베이스부재(20)도 책상의 상판(10)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베이스부재(20)를 책상의 상판(10)에 나사결합하던 방식에 의해 상판(10)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걸림부재(60)와 고정수단(61)을 통해 베이스부재(20)를 책상의 상판(10)에 간편하게 결합하고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책상(10)이 파티션(1)에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걸림부재(1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무실에서 책상(10)이 파티션(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림부재(160)를 베이스부재(120)와 파티션(1)에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부재(120)를 파티션(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재(120)에는 장공의 위치결정홀(121)이 형성되고 고정피스(122)를 조임으로써 걸림부재(160)에 대한 베이스부재(120)의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책상(10)의 전후방향으로 베이스부재(120)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걸림부재(160)는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이 파티션(1)에 고정수단(161)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베이스부재(2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재(20)의 양단에 받침판(24)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22)가 링크결합되어 있다. 각 지지다리(22)의 상단은 받침판(24)에 링크결합되고 하단은 베이스부재(20)에 링크결합되어 있다.
도 2와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22)의 링크운동에 의해 받침판(24)이 베이스부재(2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즉, 받침판(24)은 지지다리(22)에 의해 베이스부재(20)에 대하여 높이조절가능하게 된다. 받침판(24) 위에는 모니터나 키보드와 같은 기기들이 올려질 수 있어 높이조절에 의해 사용자가 서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지지다리(22)는 선회각도에 따라 받침판(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선회각도는 각도조절판(30)와 플런저(41)에 의해 조절된다.
각도조절판(30)은 지지다리(22)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구비됨으로써 지지다리(22)와 함께 거동하게 된다. 각도조절판(30)에는 다수개의 정지홀(31)이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원호형상을 이루며 형성됨으로써 정지홀(31)들 사이의 간격만큼 각도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정지홀(31)에는 플런저(41)가 출입하면서 조절된 각도에서 받침판(24)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1)는 받침판(24)의 저면에 책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플런저(41)는 각도조절판(30)의 정지홀(31)에 출입하면서 받침판(24)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플런저(41)가 정지홀(31)에 삽입되면 각도조절판(30)의 구속되어 고정되고 정지홀(3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 각도조절판(30)의 구속이 해제되어 지지다리(22)를 선회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플런저(41)는 선회부재(42)와 레버부재(51)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선회부재(42)는 받침판(24)의 저면에 힌지축(43)으로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양단에 플런저(41)와 레버부재(51)가 각각 링크결합되어 있다. 지지다리(22)와 각도조절판(30)은 받침판(24)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플런저(41)와 선회부재(42)는 1쌍이 레버부재(5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다.
레버부재(51)는 받침판(24)의 저면에 가이드부재(53)에 의해 책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레버부재(51)는 가이드부재(53)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레버부재(51)에 가이드홀(54)이 책상의 전후방향을 따라 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재(53)에는 가이드홀(54)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핀(55)이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핀(55)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홀(54)이 레버부재(51)와 함께 이동하면서 레버부재(51)가 가이드부재(53)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레버부재(51)에는 1쌍의 선회부재(42)가 각각 링크결합되어 있다. 링크결합공(44)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플런저(41)와 레버부재(51)의 직선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플런저(41)와 레버부재(51)는 선회부재(42)를 중심으로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고, 레버부재(51)의 선단은 받침판(24)의 전방에 배치되고, 레버부재(51)의 선단에 손잡이(5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받침판(24)의 전방에서 레버부재(51)의 손잡이(52)를 당겨 플런저(41)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레버부재(51)는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해 선회부재(42)를 선회시켜 플런저(41)를 각도조절판(30)의 정지홀(31)로 출입시키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부재(51)의 손잡이(52)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1쌍의 선회부재(42)가 각각의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 선회부재(42)의 타단에 각각 링크결합되어 있던 1쌍의 플런저(41)가 후퇴하면서 각도조절판(30)의 정지홀(3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받침판(24)을 움직여 각도조절판(30)과 지지다리(2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받침판(24)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1쌍의 각도조절판(30)과 플런저(41), 선회부재(42)를 받침판(24)의 양쪽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함으로써 받침판(24)을 양단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레버부재(51)를 받침판(24)의 중앙에 1개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침판(24)의 중앙 전방에서 레버부재(51)를 잡아 당겨 1쌍의 플런저(41)를 한꺼번에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선회부재(42)의 일측에는 탄성부재(45)가 결합되어 선회부재(42)를 복원시키게 된다. 이때 플런저(41)는 각도조절판(30)의 정지홀(31)에 끼워지게 되고 레버부재(51)는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탄성부재(45)는 탄성스프링으로, 일단은 선회부재(42)에 결합되고 타단은 받침판(24)에 고정결합되어 선회부재(42)를 잡아 당겨 선회시키게 된다. 탄성부재(45)는 플런저(41)가 정지홀(31)에 끼워지도록 선회부재(42)를 복원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에는 플런저(14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플런저(141)는 가이드브라켓(146)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브라켓(146)은 받침판(24)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플런저(141)가 관통가능하게 끼워져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가이드브라켓(146)은 플런저(141)의 직진성을 높여 정지홀(31)로부터 어긋나지 않고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플런저(141)의 외주면에는 탄성스프링(145)이 끼워지되 지지브라켓(147)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지지브라켓(147)은 받침판(24)에 고정되고 플런저(141)가 관통하게 된다. 탄성스프링(145)의 일단은 스토퍼(148)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147)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45)은 플런저(141)가 정지홀(31)로부터 이탈될 때 스토퍼(148)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축되었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력으로 플런저(141)를 정지홀(31)로 삽입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레버부재(51)의 손잡이(52)를 잡아당기게 되면 플런저(141)가 정지홀(31)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탄성스프링(145)이 탄성변형되었다가 손잡이(52)를 놓게 되면 탄성복원력으로 플런저(141)를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플런저(141)가 가이드브라켓(146)에 가이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정지홀(31)에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지다리(22)는 승강수단에 의한 기계적 힘(스프링력)에 의해 승강하게 되고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승강수단은 당김스프링(52)과 누름부재(53) 및 푸쉬스프링(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22)에는 누름부재(5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김스프링(52)은 일단이 베이스부재(20)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지지다리(22)의 누름부재(53)에 결합되어 있다.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53)가 지지다리(22)와 함께 선회하게 되면 당김스프링(52)이 탄성적으로 팽창되고, 각도조절판(30)과 플런저(41)의 잠금이 해제되면 당김스프링(52)이 지지다리(22)를 위쪽으로 잡아 당겨 받침판(24)을 승강시키게 된다.
푸쉬스프링(51)은 판스프링으로 베이스부재(20)의 일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53)는 당김스프링(52)이 걸려 지지되는 역할도 하고 푸쉬스프링(51)을 누르는 역할도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22)가 접하게 되면 누름부재(53)가 푸쉬스프링(51)을 눌러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게 되고, 각도조절판(30)과 플런저(41)의 잠금이 해제되면 누름부재(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53)를 밀어 올리면서 지지다리(22)가 펼쳐져 받침판(24)이 승강하게 된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4)이 접힌 상태에서는 당김스프링(52)과 푸쉬스프링(51)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잠금이 해제되면 푸쉬스프링(51)과 당김스프링(52)이 이중적으로 복원력을 발휘하여 지지다리(22)를 선회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받침판(24)이 스프링력에 의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책상의 상판(110)에는 받침판 수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 수용홈(111)의 내부에 베이스부재(20)가 구비되고, 그로 인해 지지다리(22)가 접힌 상태에서 받침판(24)의 상부면이 책상의 상판(110) 윗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받침판(24)을 높여 스탠딩 상태로 사용하지 않고 받침판(24)의 높이를 최저로 낮춘 상태에서는 받침판(24)을 책상의 상판(110)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앉은 자세에서는 받침판(24)이 책상의 상판(110) 위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없이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책상 상판(110)의 받침판 수용홈(111) 바닥에는 레일부재(70)가 결합되어 있다. 레일부재(70)에는 베이스부재(20)가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1쌍의 레일부재(70)가 책상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1쌍의 베이스부재(2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는 레일부재(70)를 따라 책상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면서 받침판(24)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다리(22)를 선회시켜 받침판(24)을 승강시키게 되면 지지다리(22)의 링크운동에 의해 받침판(24)의 수평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레일부재(70)를 따라 책상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받침판(24)을 수직으로 승강시킨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앉은 자세에서 모니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수직위치에서 스탠딩 자세에서도 기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재(20)에는 잠금수단(71)이 구비되어 레일부재(70)에 대한 베이스부재(20)의 이동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잠금수단(71)은 고정수단(61)과 같이 나사조임방식으로 베이스부재(20)에 관통하여 결합되고 레일부재(70)에 마찰접촉하여 베이스부재(20)가 이동하지 못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110 : 상판
111 : 받침판 수용홈
20 : 베이스부재
22 : 지지다리
24 : 받침판
30 : 각도조절판
31 : 정지홀
41 : 플런저
42 : 선회부재
43 : 힌지축
44 : 링크결합공
45 : 탄성부재
51 : 레버부재
52 : 손잡이
53 : 가이드부재
54 : 가이드홀
55 : 가이드핀
51 : 푸쉬스프링
52 : 당김스프링
53 : 누름부재
60 : 걸림부재
61 : 고정수단
70 : 레일부재
71 : 잠금수단
111 : 받침판 수용홈
20 : 베이스부재
22 : 지지다리
24 : 받침판
30 : 각도조절판
31 : 정지홀
41 : 플런저
42 : 선회부재
43 : 힌지축
44 : 링크결합공
45 : 탄성부재
51 : 레버부재
52 : 손잡이
53 : 가이드부재
54 : 가이드홀
55 : 가이드핀
51 : 푸쉬스프링
52 : 당김스프링
53 : 누름부재
60 : 걸림부재
61 : 고정수단
70 : 레일부재
71 : 잠금수단
Claims (9)
- 책상의 상판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다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링크결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단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정지홀이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원호형상을 이루며 형성된 각도조절판;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책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에 출입하면서 상기 지지다리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는 플런저;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플런저와 링크결합되어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에 출입시키는 선회부재;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상기 책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선회부재에 링크결합되며,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를 선회시켜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각도조절판의 정지홀로부터 이탈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플런저가 정지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플런저와 선회부재 및 레버부재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와 각도조절판은 상기 받침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와 선회부재는 1쌍이 상기 레버부재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재에 상기 1쌍의 선회부재가 각각 링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위쪽으로 잡아 당겨 선회시키는 당김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다리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지지다리를 복원력에 의해 밀어 올려 선회시키는 푸쉬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책상의 상판 선단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책상의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이 책상의 상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책상의 상판에 받침판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상판에 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위치를 정지시키는 잠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2484A KR101703230B1 (ko) | 2015-03-26 | 2015-03-26 |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2484A KR101703230B1 (ko) | 2015-03-26 | 2015-03-26 |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234A KR20160115234A (ko) | 2016-10-06 |
KR101703230B1 true KR101703230B1 (ko) | 2017-02-06 |
Family
ID=5716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2484A KR101703230B1 (ko) | 2015-03-26 | 2015-03-26 |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323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12134A (zh) * | 2017-09-19 | 2019-03-26 | 苏州今园科技创业孵化管理有限公司 | 一种易装卸办公设备 |
KR102028189B1 (ko) | 2018-05-08 | 2019-10-04 | 전병문 | 스탠딩 책상 |
KR102510299B1 (ko) * | 2023-01-31 | 2023-03-14 |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인용 리프트업 캠핑 테이블 및 의자 세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63558A (zh) * | 2016-11-07 | 2017-01-04 | 泗县恒星网印烫画机械有限公司 | 一种高度可调式多档位电脑桌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952Y1 (ko) * | 2002-04-27 | 2002-07-13 | 고영민 | 착탈식 책상커버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2775Y1 (ko) * | 1992-12-28 | 1995-04-15 | 정인기 | 책 재치대의 경사각도 및 거리조절장치 |
KR101259252B1 (ko) * | 2010-11-23 | 2013-04-29 | 박우민 | 다용도 모바일 테이블 장치 |
-
2015
- 2015-03-26 KR KR1020150042484A patent/KR101703230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952Y1 (ko) * | 2002-04-27 | 2002-07-13 | 고영민 | 착탈식 책상커버 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12134A (zh) * | 2017-09-19 | 2019-03-26 | 苏州今园科技创业孵化管理有限公司 | 一种易装卸办公设备 |
KR102028189B1 (ko) | 2018-05-08 | 2019-10-04 | 전병문 | 스탠딩 책상 |
KR102510299B1 (ko) * | 2023-01-31 | 2023-03-14 |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인용 리프트업 캠핑 테이블 및 의자 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234A (ko)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49843B1 (en) |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 |
KR101703230B1 (ko) |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 |
US6076785A (en) | Ergonomic sit/stand keyboard support mechanism | |
US20170196351A1 (en) | Adjustable Height Standing Desk | |
WO2011059058A1 (ja) | 天板付き家具 | |
US9661923B2 (en) |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 |
CA2486459A1 (en) | Vertic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keyboard | |
KR101805268B1 (ko) | 책상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 |
KR101608213B1 (ko) | 철도차량용 충격음 저감 간이 테이블 장치 | |
KR20210028764A (ko) | 소음 방지 및 미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이동형 승강테이블 | |
JPH05220021A (ja) | キャスター付きテーブルの移動停止装置 | |
JP2010273759A (ja) |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の駆動装置 | |
CA2816132C (en) | Composite chair | |
JPH07298939A (ja) | 家具の移動装置 | |
JP2003047532A (ja) | 可動載置台付き家具 | |
KR101666763B1 (ko) | 모니터 승강장치 및 키보드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책상 | |
KR101565307B1 (ko) | 상판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 | |
KR20230123178A (ko) | 독서대 | |
KR200390430Y1 (ko) |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 |
KR20230132727A (ko) | 다기능 승강대 | |
JPH11127964A (ja) | 机の天板の高さ調整装置 | |
JPH07222636A (ja) | ロッキング機能付き上下昇降椅子 | |
JP2007330665A (ja) | 座板可動椅子 | |
JPH0731404U (ja) | 家具の移動装置 | |
JPH09140468A (ja) | Oa機器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デス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