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258A - 운동 기능의 방석 - Google Patents

운동 기능의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258A
KR20180128258A KR1020170063600A KR20170063600A KR20180128258A KR 20180128258 A KR20180128258 A KR 20180128258A KR 1020170063600 A KR1020170063600 A KR 1020170063600A KR 20170063600 A KR20170063600 A KR 20170063600A KR 20180128258 A KR20180128258 A KR 20180128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upper plate
plate
lower plate
s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니클럽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니클럽, 서정수 filed Critical (주)아이니클럽
Priority to KR102017006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8258A/ko
Publication of KR2018012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기능의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이 또는 경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골반 운동 기능으로 사람의 척추에 미치는 운동 효과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높여 척추와 허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앉은 상태이거나 서서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능의 방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기능의 방석{Sitting mat}
본 발명은 운동 기능의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이나 경사의 기울기 변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방석에 앉아 운동을 수 있는 골반 운동 기능이 가능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척추와 허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앉은 상태에서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기능의 방석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대부분 많은 시간을 앉아서 일하거나 공부를 하며 보내는 시간이 많다.
특히 컴퓨터 활용이 필수인 현대사회의 직장인은 의자에 앉아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장시간 앉아 있는 자로로 인하여 관련된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에서는, 사람의 척추에 큰 영향을 주게 되므로,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면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어, 결국에는 척추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의자에 잘못 앉게 되면 척추 주변 연부조직에 무리를 가하고 이는 척추에 변형을 유발할 수 있어서, 허리디스크 또는 목디스크 등에 걸릴 수 있고 또한 허리디스크나 목디스크까지는 발전하지 않더라도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으로 인해 두통, 요통 등의 질환을 앓을 수도 있다. 이러한 척추질환은 한번 걸리게 되면 원상태로 회복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치료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한 예로서는, 허리보호를 위한 기능을 가지는 의자의 개발이 있다. 이러한 의자는 많은 종류가 개발되어 현재 시판이 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허리보호를 위한 기능성 의자들은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일반 사무실과 학교 등지에서는 구비하기 힘들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허리보호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구비한다고 해도 사람의 착석 자세에 따라서 올바른 자세를 갖추기가 힘든 경우도 있다.
사람의 앉은 자세를 자연스럽게 해주는 기능성 방석들이 개발중이거나 또는 판매중이다. 이러한 기능성 방석들은 엉덩이를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엉덩이 쪽이 앞쪽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엉덩이를 감싸도록 하는 경우에도 척추를 바르게 하지 않아 올바른 자세를 이룰 수 없고, 또한 엉덩이 쪽을 높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는 사람들의 신체 특성에 따라 자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이룰 수 없기도 하지만, 허리운동이나 엉덩이 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사람의 신체 특성에 따라 올바른 착석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허리 및 골반 운동으로 경직된 몸 근육을 풀어주면서 상, 하, 좌, 우 방향 등 허리로 할 수 있는 허리운동으로 혈액순환 개선 및 몸매관리나 건강에도 도움이 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게 되는 경직된 신체구조의 개선을 목적으로 상, 하, 좌, 우 방향 허리로 할 수 있는 허리 운동 또는 골반(엉덩이) 운동을 앉은 자세에서 운동할 수 있게 하여 착석하는 자세도 바르게 교정해 줄 수도 있는, 앉은 자세 운동할 수 있는 기능성 방석인 운동 기능의 방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운동이 기능의 방석은, 상하로 마주보는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 지지부재를 통해 서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움직임이 가능한 상판 그리고 천이나 시트 등으로 외주면을 둘러싼 방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과 하판 각각의 위치에서 상판과 하판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타원형 또는 동그란 형태의 중심부 지지부재가 수용되어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판을 일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좌우, 상하 또는 동서남북 방향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석 위에 앉아서 자세나 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이동이 있을 때, 상판은 좌우가 기울어지는 모양 등 유동적이게 되어 운동에 따른 척추 자세나 움직임은 다양한 변화를 갖는 특징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능의 방석은 사용자가 엉덩이나 척추 운동이 기능의 방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시간 앉아 있는 상태라든가 서서 평지와는 다른 기울임이 있는 상판의 위치나 자세 변화에 따라 별도의 기구 없이 허리나 골반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경직된 하체와 상체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운동은, 허리 또는 척추를 보호하고 올바른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잘못된 착석 자세로부터 유발되는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척추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척추를 운동을 통해 개선할 수 있게 되어, 척추질환의 재발 방지와 치료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기능의 방석은 자라나는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편하게 앉아서 업무나 일상생활을 하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자궁암, 대장암, 치질, 변비, 전립선 등 엉덩이 주변에 위치한 장기들의 운동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능의 방석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
도2는 도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도면
도3은 도1의 측절단면도
도4는 도3의 상판의 움직임을 설명하려는 도면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능의 방석의 사용 예를 보인 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능의 방석(1)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3은 도1의 측절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상판의 움직임을 설명하려는 도면이다.
방석 내부에 수용되는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목재 재질의 하판(7)과 상판(13)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하판(7)과 상판(13) 사이에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나무나 세라믹 재질의 둥근 공 또는 타원 형태의 지지부재(5)로 내부를 구성하고 면이나 천 등의 커버(3)로 외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운동 기능의 방석(1)이 구성된다.
상기 커버(3)의 구성을 옷감 용 천이나 시트 또는 고무 재질 등으로 커버(3)로 마무리 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7)의 상부 외주면에는 쿠션 부재(21)가 위치되어 상판(13)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가장자리에서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쿠션 부재(21)는 스프링이나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판으로서 탄성이 큰 것일수록 상판(13)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공이나 풍선(5)은 상판(13)과 하판(7)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므로, 일정공간의 수용공간(11)을 갖도록 돌출부(9)가 하판(7) 상부면 일부분에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은 상판(13)을 지지하는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부재(5)를 중심에서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만 회전하거나 움직이면서 외부로의 이탈을 막기 위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하부커버(7)의 상부 외주면에는 큐션부재(21)가 위치되어 상판(13)과 접촉할 때의 충격을 가장자리에서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쿠션 부재(21)는 스프링이나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판으로서 탄성이 큰 것일수록 상판(13)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의 지지부재(5)은 상판(13)과 하판(7)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게 사용자가 앉거나 서서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공간의 수용공간(11)을 갖도록 돌출부(9)가 하판(7) 상부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판(13)을 지지하는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지지부재(5)의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만 회전하거나 움직이면서 외부로의 이탈을 막기 위함이다.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9)로 수용공간(11)을 제공하고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지지부재(5) 그리고 지지부재(5)의 높이만큼 위치하는 상판(13)은 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가 되며 외부로부터의 영향으로 무게중심이 변화되면 상판(13)은 특정부분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판(13)은 지지부재(5)과 맞다는 접점부분 이외에 또 다른 쿠션부재(21)와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면서 하판(5)의 상부면 일부분에 형성되거나 고정된 쿠션 부재(21)와 접촉 또는 만남으로 그 기울임은 멈추게 되거나 한계를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영향으로 상판(13)은 지지부재(5)의 상부 접점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되 상판(13)을 지지하는지지부재(5)을 수용한다.
이러한 결과는 장시간 사용을 보장하면서도 편안하고 다양한 이용자가 앉아 자신에 알맞은 근육조절로 허리운동을 가능하게 하다.
만약, 상기 상판(13)과 하판(7) 사이 각각의 돌출부(9)로 제공되는 또는 형성되는 수용공간(11)에 수용되는 지지부재(5)이라면, 천연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탄성이나 큐션이 어느정도 기능이나 효과가 있는 것도 사용 가능하다.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능의 방석의 사용 예를 보인 도
본 발명의 운동 기능의 방석은 자라나는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편하게 앉아서 업무나 일상생활을 하되, 필요에 따라 앉은 자세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즉,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각각의 상판(13)과 하판(7)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또는 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둥근 모양으로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서 상판(13)을 지지하되, 지지부재(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11)가 제공된 특징이 있으며,
상판(13) 또는 하판(7) 외주면 일부분에 쿠션 부재(21)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상판(13)이 일정 지름을 갖는 둥근 형상의 중간부재(5)에 일부 지지가 되면서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특징을 갖는 운동 기능의 방석(1)이다.
다른 설명으로는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각각의 상판(13)과 하판(7)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서 받침대 역할의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서 상판(7)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와,
상기 하판(7) 일부분에는 상기 지지부재(5)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출부(9)와,
상기 하판(7)과 상판(13) 일부분에는 상기 움직이는 상판(13)의 충격을 완화 할 수 있는 쿠션부재(21)를
포함하고 방석 재료인 커버(3)로 외피를 구성하는 특징의 운동기능의 방석(1)이다.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상판(13)과 하판(7)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 지지부재(21)가 상기 상판(13)을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로 상판(13)이 움직일 수 있도록 샌드위치 적층 구조이며, 상기 하판(7) 일부분에는 상기 지지부재(5)의 이탈 방지를 위해 형성된 돌출부(9)와 상기 움직이는 상판(13)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쿠션부재(21)를 방석 재료인 커버(3)가 전체적으로 외피로 구성된 특징의 운동기능의 방석이다.
상기 중간부재(5)는 둥근형상이나 타원형태로 상판(13)과 하판(7) 사이에서 상판(13)을 지지하되, 상판(13)이 상하 자우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수용공간부(11)와 중간부재(5)로 구성된 특징의 운동 기능한 방석
특히, 방석으로 사용되는 만큼, 다양한 체격 조건의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상판, 하판, 지지판 등이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보다 가볍고 튼튼한 탄소섬유로 제작된 특징이 있는 운동 기능의 방석이다.
1: 운동 기능의 방석
5 : 지지부재
7:하판
9:돌출부
11:수용공간
13:상판
21:쿠션부재

Claims (3)

  1.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지지부재가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로 상판이 움직일 수 있는 적층 구조와;
    상기 하판 일부분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움직이는 상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쿠션부재;를
    방석 재료인 커버가 전체적으로 외피로 구성된 특징의 운동기능의 방석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둥근 구 형상이나 타원형태로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상판을 지지하되, 상판이 상하 좌우 방향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특징의 운동 기능의 방석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의 재질이 탄소섬유로 제작된 특징의 운동기능의 방석
KR1020170063600A 2017-05-23 2017-05-23 운동 기능의 방석 KR20180128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00A KR20180128258A (ko) 2017-05-23 2017-05-23 운동 기능의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600A KR20180128258A (ko) 2017-05-23 2017-05-23 운동 기능의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58A true KR20180128258A (ko) 2018-12-03

Family

ID=6474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600A KR20180128258A (ko) 2017-05-23 2017-05-23 운동 기능의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82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1976A (zh) * 2019-03-15 2019-07-26 南京医科大学 一种感觉运动整合的座垫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1976A (zh) * 2019-03-15 2019-07-26 南京医科大学 一种感觉运动整合的座垫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2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exercise chairs
US20090230743A1 (en) Rehabilative exercising chair
DK2822426T3 (en) BALANCE RENTAL
JP2013233426A (ja) 運動補助具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US7645219B1 (en) Recumbent therapeutic system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KR20180128258A (ko) 운동 기능의 방석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US20190387886A1 (en) Physical Motion Device
JP2009112449A (ja) 着座用マットおよび椅子
WO1993021870A1 (en) Physical therapy bolster
JP2020130198A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KR101633223B1 (ko) 의자 등받이 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압의자
JP3241135U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DE19916833A1 (de) Wipp-Rondell
WO2018095561A1 (en) Mobile sitting device
JP3243270U (ja) ヨガ運動効果のある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102071359B1 (ko) 환자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JP2013220347A (ja) 運動補助具
JP7440901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椅子
KR200436307Y1 (ko)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96116Y1 (ko) 다용도 쿠션
DK179882B1 (da) Et træningsredsk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