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545A -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545A
KR20150002545A KR1020140081008A KR20140081008A KR20150002545A KR 20150002545 A KR20150002545 A KR 20150002545A KR 1020140081008 A KR1020140081008 A KR 1020140081008A KR 20140081008 A KR20140081008 A KR 20140081008A KR 20150002545 A KR20150002545 A KR 2015000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od
locking
profile member
carrier
catch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트 슈타르츠만
얀 레카르
미켈레 티나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0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2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screw rods or extensible rods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양 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콤팩트하게 저장되는 휴지 위치와 인장된 차양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한 차양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양 형성부의 전방 단부 영역의 인장 방향 전방에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는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팅 로드에 의하여 차양 형성부의 휴지 위치 또는 차양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리프팅 로드는 리프팅 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과 연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는, 상기 리프팅 로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리프팅 로드를 수용하고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승 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지지체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를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가 연계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도어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Shading device for a glass surface region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 특히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을 위한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양 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콤팩트하게 저장되는 휴지 위치와 인장되어 펼쳐진 차양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성의 차양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의 방향에서 상기 차양 형성부의 전방 단부 영역에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 부재(dimensionally stable draw-out profile member)가 제공되고,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는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팅 로드에 의해서 상기 차양 형성부의 휴지 위치 또는 차양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 로드에는 상기 리프팅 로드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구동 유닛이 연계된다.
그러한 차양 장치는 EP2017107 B1 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차양 장치는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을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상기 차양 장치는 측면 유리창 아래의 도어 트림(door trim) 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권취 샤프트(winding shaft) 상에서 권취 및 권취해제(풀림)될 수 있도록 보유되는 유연성의 차양 형성부를 포함한다. 차양 위치에서는, 상기 차양 형성부가 자동차의 내부 측에서 측면 유리창과 평행하게 상방향으로 인장된다. 인장 방향에서 전방인 차양 형성부의 전방 단부 영역에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 부재가 제공되는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는 리프팅 로드가 작용한다. 상기 리프팅 로드는 자동차 측에서 도어 트림의 내부에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자동차의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다. 스프링 구동부의 형태를 갖는 구동 유닛 또는 다른 에너지원을 갖는 구동부가 이용되어서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고정된 리프팅 로드를 이동시키는바, 상기 리프팅 로드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와 함께 휴지 위치로부터 차양 형성부 및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차양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차양 장치로서, 차양 형성부의 차양 위치에서 균일한 차양을 제공하며 또한 유리 표면 영역의 내부인 자동차 안으로부터의 균일한 시야(field of vision)를 제공하는 차양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인출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리프팅 로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리프팅 로드를 수용하고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승 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지지체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는 잠금 장치가 연계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를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리프팅 로드가 지지체 수용부 안으로 들어감에 따라서 또는 리프팅 로드가 차양 위치에서 지지체 수용부로부터 하강됨에 따라서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끔 리프팅 로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결과로서, 상기 리프팅 로드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에만 차양 형성부의 영역에서 시야 안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인장된 차양 위치에서는, 상기 리프팅 로드가 인출 프로파일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양 형성부의 차양 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로드는 자동차 내부로부터 인장된 차양 형성부를 통해 유리 표면 영역으로 향하는 시야를 막거나 차양면을 훼손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측면 유리창, 다시 말하면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에서의 사용에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동일한 방식으로 개인용 자동차의 후방 창문 또는 다른 측면이나 전방 창문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자동차의 지붕측 유리 표면 영역을 차양하는데에도 적합하다. 리프팅 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고 함은 포괄적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인바, 여기에는 리프팅 로드가 자동차의 수직 방향에서 주된 방향 성분을 따라서 상승 이동함과, 자동차의 길이 방향 및 횡단 방향에서 주된 방향 성분을 따라서 상승 이동함이 포함된다. 상기 잠금 장치는 기계적인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전자기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계적인 잠금 장치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슬롯 제어 부재 기능(slotted control member function) 또는 볼펜 원리의 방식의 푸시/푸시 기능(push/push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통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 장치가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차양 위치의 영역에서 자동차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차양 위치는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도어의 측면 유리창을 차양시키기 위하여 측면 도어의 상측 도어 프레임 영역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기계적인 잠금용 포획 구성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통합되며, 또한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된 유지 프로파일부와 협력한다. 상기 잠금용 포획구성부가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통합된 결과로서, 자동차 측부, 특히 측면 도어 프레임의 영역에 아무런 이동가능한 부재들이 수용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대신, 자동차에 고정된 대응되는 유지 프로파일부를 제공하기만 하면되는바, 상기 유지 프로파일부는 측면 도어의 상측 도어 프레임의 영역에 또는 - 상기 측면 유리창이 측면 도어에 제공된 것이 아니라면 - 측면 유리창 위의 지붕 영역에, 특히 언더컷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자동차에 고정되는 유지 프로파일부는, 유리 표면 영역이 대략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리 표면 영역의 대응되는 가장자리 또는 프레임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자동차에 고정되어 있는 유지 프로파일부와 협력하는 잠금용 포획부와, 상기 잠금용 포획부에 연결된 캐리어 포획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리어 포획부는 상기 리프팅 로드와 협력하며 잠금용 포획부의 위치에 따라서 리프팅 로드의 이동 경로 안으로 돌출된다. 상기 잠금용 포획부에 대한 캐리어 포획부의 연결 때문에, 리프팅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된 유지 프로파일부에 대해서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를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 상기 캐리어 포획부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특정 움직임 부분들에서만 서로에 대해 힘이 걸리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 캐리어 포획부는 피봇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지지되고, 또한 두 개의 개별적인 스프링 구성부들에 의해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토크 작용을 받는다. 상기 스프링 구성부들로서는 레그 스프링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바, 상기 레그 스프링들은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 상기 캐리어 포획부의 대응되는 피봇축에 대해 동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어 포획부와 상기 잠금용 포획부는 공통의 축에서 피봇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이것은,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의 구조가 콤팩트하면서도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구조가 되는 것으로 귀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의 스프링 구성부의 토크는 캐리어 포획부를 위한 스프링 구성부의 반대 방향의 토크보다 더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용 포획부의 복귀성 힘은 상기 캐리어 포획부 또는 상기 잠금용 포획부 상에 다른 유형의 외부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한, 캐리어 포획부를 끝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 상기 캐리어 포획부는,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또는 상기 캐리어 포획부가 움직일 수 있는 부재들 또는 대응하는 움직임 작동 중에 자동차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들에 대해 부딪치거나 또는 정지되도록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의 가장자리 윤곽 부분(edge contour portion)들을 넘어선 중간 위치 또는 상응하는 끝 위치로 돌출되는바, 이로써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또는 상기 캐리어 포획부의 대응되는 피봇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와 캐리어 포획부는 상호 간에 상보적인 정지면들을 갖는데, 상기 정지면들은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또는 캐리어 포획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 및 캐리어 포획부의 상호 간에 확실한 잠금용 피봇 움직임을 일으킨다. 이로써 상기 잠금용 포획부와 캐리어 포획부 간에 요망되는 강제적인 동반 기능(compulsory carrier function)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어 포획부에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에 대한 토크 작용의 회전 방향에서 피봇 움직임을 제한하는 정지부가 연계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포획부의 피봇 움직임은 복귀성 부하의 회전 방향에서 확실한 잠금의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은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하기의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실시예와 관련된,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도어의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7 은 도 1 에 따른 차양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들로서, 여기에는 그 차양 장치의 다양한 작동 위치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은 도 1 내지 도 7 에 따른 차양 장치의 인출 프로파일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 에 도시된 차양 장치는 개인용 자동차의 후방의 측면 도어(side door; 1)를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측면 도어(1)의 측면 유리창(2)에 차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양 장치는 자동차의 내부 측에 배치되며 웹(web)과 같은 유연한 차양 형성부(5)를 갖는데, 상기 차양 형성부는 내부 도어 트림(3)의 영역에서 하우징(housing; 10) 안에 있는 권취 샤프트(상세히 설명되지 않음) 상에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도어, 그리고 그에 따라 자동차에 고정되도록 내부 도어 트림(3) 내측에 유지된다. 측면 유리창(2)의 바로 아래에 있는 차체 영역의 높이에서, 하우징(10)에는 피봇가능하게 움직임가능한 커버(cover)가 제공되는데, 상기 커버는 위치에 따라서 하우징(10)의 상향으로 개방된 측부를 폐쇄시키거나 해제시킨다. 커버(10)는 폐쇄 방향으로 복귀성 부하(resilient load)를 받는다.
차양 형성부(5)는, 차양 형성부(5)가 하우징(10) 안에 수납되고 권취 샤프트 상에 권취되는 휴지 위치와, 측면 유리창(2)이 덮이는 차양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차양 위치에서, 차양 형성부(5)는 상측 도어 프레임 영역(4)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된다. 상기 권취 샤프트에는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이 연계되어서, 차양 형성부(5)를 항상 권취 방향으로 인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차양 형성부(5)의 전방 단부 영역, 즉 상기 인장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영역에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제공되고, 그 중앙에는 수용 영역(receiving region; 9)이 제공된다. 상기 수용 영역(9)은 주머니와 유사한 형상의 지지체 수용부(11)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 수용부는 자동차의 수직 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상방향으로 폐쇄된 베이스(base)를 갖는다. 상기 지지체 수용부(11)는 그 단면에서 볼 때, 개방된 측부로부터 베이스를 향하여 가면서 상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이것은 상세하게는 설명되지 않는 경사진 중앙 부재(centring member)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중앙 부재는 도 2 내지 8 에서 지지체 수용부(11)의 우측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리프링 로드(7)에 의하여 차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로드(7)는 상기 측면 도어(1)의 내부 도어 트림(3)의 영역에서 인출 프로파일 부재(6)와 차양 형성부(5)의 폭의 대략 절반 위치에 배치되고, 도어 측에서 도 2 및 도 7 에 도시된 하강된 휴지 위치와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전개(deploy)되어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리프팅 로드(7)는 내부 도어 트림(3)의 내측에 숨겨지도록 지지되고, 하우징(10)을 통과하는 상승 이동이 있는 경우에 상향으로 전개된다. 상기 리프팅 로드(7)는 전기 구동 유닛(8)에 의해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전기공압식(electropneumatic), 전자기식(electromagnetic), 전기수력학식(electrohydraulic), 또는 스프링 구동(spring drive)에 의한 순수 기계적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로드(7)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출 프로파일 부재(6)와 별도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팅 로드(7)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96)의 지지체 수용부(11) 안으로 도입되도록 이용될 수 있는바, 이로써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휴지 위치로부터 차양 위치로 이동하게 하거나 또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차양 위치로부터 다시 휴지 위치로 되돌려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는 잠금용 포획 구성부(12, 13)가 제공되는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서 중앙에 그리고 수용 영역(9)의 높이에 지지된다.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12, 13)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요부의 영역 안에 지지되는바, 상기 요부는 지지체 수용부(11)에서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승강방향에 대해 횡단하게 개방되어 있으며,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반대측 전방 측부까지 형성된다(도 8).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공통의 회전축(D)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잠금용 포획부(12) 및 캐리어 포획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용 포획부(12) 및 캐리어 포획부(13)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서로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공통 회전축(D)에서 피봇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 8 에서 원호와 같은 화살표들(F1, F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용 포획부(12) 및 캐리어 포획부(13) 둘 다는, 개별적으로 스프링 구성부에 의한 토크를 받아 작용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잠금용 포획부(12)와 연계된 스프링 구성부는 잠금용 포획부(12)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한편, 캐리어 포획부(13)의 스프링 구성부는 화살표(F2)를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캐리어 포획부(13)에 토크를 인가한다. 잠금용 포획부(12)의 스프링 구성부(F1)의 토크는 캐리어 포획부(13)에 대해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구성부(F2)의 토크보다 그 값이 더 크다. 상기 두 개의 스프링 구성부들(F1, F2)은 회전축(D)에 대해서 동축을 이루는 레그 스프링(leg spring)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구성부에서 하나의 다리(leg)는 대응되는 잠금용 포획부(12) 또는 캐리어 포획부(13)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다리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 고정 방식으로 지지된다. 잠금용 포획부(12)는 레버 연장부(lever extension; 15)를 구비하는바, 상기 레버 연장부는 전방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고 캐리어 포획부(13)의 피봇 움직임 경로 안으로 돌출되어서, 레버 연장부(15)와 캐리어 포획부(13) 사이에 상보적인 정지면이 형성된다. 잠금용 포획부(12)의 스프링 구성부(F1)의 토크의 값이 캐리어 포획부(13)의 스프링 구성부(F2)의 반대 방향의 토크의 값보다 더 크기 때문에, 외부의 토크가 잠금용 포획부(12)에 작용하지 않는 한, 잠금용 포획부(12)는 레버 연장부(15)에 의하여 캐리어 포획부(13)를 자신의 회전방향으로, 즉 시계방향으로 당긴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는 캐리어 포획부(13)와 관련된 부동 정지부(stationary stop; 16)가 구비되는바, 다른 힘이 잠금용 포획부(12)에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부동 정지부에는 캐리어 포획부(13)가 잠금용 포획부(12)의 스프링 구성부(F1)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되는 채로 유지된다. 도 8 에 도시된 캐리어 포획부(13)의 휴지 위치에서, 잠금용 포획부(12)의 레버 측부(lever side)는 회전축(D)에 대한 관계에서 레버 연장부(15)로부터 멀리 외향으로 돌출되는바, 그 돌출은 도 8, 2, 및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측방향 외측 윤곽을 넘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 7, 및 8 에는 잠금용 포획 구성부(12, 13)가 부하를 받지 않는 휴지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측 도어 프레임(upper door frame; 4)의 영역에서 수용 영역(9)의 높이, 즉 잠금용 포획부(12)의 높이에는 차량측 유지 프로파일부(vehicle-side retention profiling; 14)가 제공되는바, 상기 차량측 유지 프로파일부(14)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차양 위치에서 잠금용 포획부(12)가 지지될 수 있는 언더컷(undercut)으로서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리프팅 로드(7)가 자신의 휴지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즉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면, 리프팅 로드(7)는 수용 영역(9)에 있는 지지체 수용부(11)를 통해서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하우징(10) 내측의 휴지 위치로부터 이끌어낸다. 하우징(10)의 커버는 리프팅 로드(7) 및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상방향 변위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피봇되고, 리프팅 로드(7)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와 함께 상방향으로 전개된다. 그 결과, 차양 형성부(5)는 권취 샤프트의 권취 스프링(winding spring)의 복원력에 반하여 필연적으로 인장된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아래로부터 도어 프레임(4)의 프로파일 부분을 향하여 움직여져서, 외향으로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는 잠금용 포획부(12)의 상측 측부가 그것의 하측 측부에 대해 맞닿게 될 정도로 움직여지면, 리프팅 로드(7) 및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추가적인 상승 이동이 필연적으로 잠금용 포획부(12)의 내향 피봇(inward pivoting)을 유발하는바, 이로써 캐리어 포획부(13)가 레버 연장부(15)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해제되어 리프팅 로드(7)에 대해 내측 측부에서 접하게 된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리프팅 로드(7)의 추가적인 상승 이동에 의하여 도어 프레임(4)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 안까지 상방향으로 상승되어 잠금용 포획부(12)가 유지 프로파일부(14)를 상방향으로 넘어가게 되면, 잠금용 포획부(12)는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구성부(F1)의 복원력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외향으로 피봇되고, 또한 확실하게 잠기는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유지 프로파일부(14)에 대해 위로부터 지지된다. 그와 동시에, 수용 영역(9)의 외측 측부는 측면 유리창(2)의 내측 측부와 맞닿게 되는바, 이로써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측면 유리창(2)의 내측 측부와 유리 프로파일부(14) 사이에서 도어 프레임(4)의 수용부 안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유지된다. 이제 리프팅 로드(7)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따라서 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유리창(2)의 내측 측부에서의 수용 영역(9)의 맞닿음 면(abutment face), 잠금용 포획부(12), 및 유지 프로파일부(14)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차양 위치에 고정시킨다. 권취 샤프트의 권취 스프링의 복원력은 차양 형성부(5)에 항상 작용하고 있으므로, 차양 형성부(5)는 인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리프팅 로드(7)가 하강된 후에는 캐리어 포획부(13)가 필연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외향으로 피봇되는바, 그 피봇은 캐리어 포획부(13)가 레버 연장부(15)와 확실한 잠금 방식으로 다시 맞닿을 때까지 행해진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상기 차양 위치로부터 다시 하우징(10) 안의 휴지 위치로 되돌려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팅 로드(7)가 자신의 휴지 위치(도 5)로부터 상방향으로 다시 전개되어서 지지체 수용부(11) 안으로 들어간다. 캐리어 포획부(13)의 자유로운 전방 단부 영역은 지지체 수용부(11)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바, 그것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로드(7)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중에 필연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레버 연장부(15)도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는바, 이로써 잠금용 포획부(12)가 내향으로 피봇되어 유지 프로파일부(14)에 있는 언더컷으로부터 해제된다. 리프팅 로드(7)의 상측 측부가 지지체 수용부(11) 안에 지지되는 한 캐리어 포획부(13)도 그 위치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유지되는바, 이것은 잠금용 포획부(12)가 레버 연장부(15)에 의하여 해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인데, 이 해제 위치에서는 잠금용 포획부(12)가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측방향 외측 윤곽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이제 구동 유닛(8)의 방향을 역으로 함으로써 리프팅 로드(7)가 하강될 수 있는바, 상기 권취 스프링의 복원력 및 그로 인한 차양 형성부(5)의 인장력 때문에, 리프팅 로드(7)의 상측 전방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도 필연적으로 하강된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하우징(10) 안으로 완전히 들어오고 하우징(10)의 커버가 다시 폐쇄될 때까지, 리프팅 로드(7)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와 함께 하강된다. 수용 영역(9)은, 인출 프로파일 부재(6)가 하강될 때, 수용 영역(9)이 하우징(10)의 커버에 끼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휴지 위치에서 리프팅 로드(7)가 더 하강됨으로써, 캐리어 포획부(13)가 다시 해제된다. 그러면 잠금용 포획부(12)는 스프링 구성부(F1)의 더 큰 토크 때문에 필연적으로 다시 휴지 위치로 피봇되는바, 잠금용 포획부의 휴지 위치에서는 잠금용 포획부(12)가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측방향 외측 윤곽으로부터 직각으로 외향으로 돌출된다. 캐리어 포획부(13)는 레버 연장부(15)에 의해서 인출 프로파일 부재(6) 상의 부동 정지부(16)에 대해 강압되는바, 이로써 다시 잠금용 포획 구성부가 부하를 받지 않는 안정적인 휴지 상태로 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개 작동이 반복될 수 있다.

Claims (8)

  1. 특히 개인용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을 위한,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로서,
    상기 차양 장치는 자동차 내부에 콤팩트하게(compactly) 저장되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와 인장된 차양 위치(shad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한 차양 형성부(shading formation)를 구비하고, 상기 차양 형성부의 전방 단부 영역(front end region)의 인장 방향(tensioning direction) 전방에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 부재(draw-out profile member)가 제공되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는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팅 로드(lifting rod)에 의하여 차양 형성부의 휴지 위치 또는 차양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리프팅 로드는 리프팅 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drive unit)과 연계되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는, 상기 리프팅 로드(7)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리프팅 로드(7)를 수용하고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승 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지지체 수용부(support receiving member; 11)를 가지며,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는 잠금 장치(locking device)(12 내지 15)가 연계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리프팅 로드(7)가 지지체 수용부(11) 안으로 들어감에 따라서 또는 리프팅 로드(7)가 차양 위치에서 지지체 수용부(11)로부터 하강됨에 따라서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를 잠그거나 해제시키게끔 리프팅 로드(7)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와 통합되어 있는 기계적인 잠금용 포획 구성부(locking catch arrang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인출 프로파일 부재(6)의 차양 위치에서 자동차에 고정되어 있는 유지 프로파일부(retention profiling; 14)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용 포획 구성부는: 자동차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유지 프로파일부 (14)와 협력하는 잠금용 포획부(locking catch; 12); 및 상기 잠금용 포획부(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용 포획부(1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리프팅 로드(7)의 이동 경로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프팅 로드(7)와 협력하는, 캐리어 포획부(carrier catch; 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12) 및 상기 캐리어 포획부(13)는, 피봇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 지지되고, 두 개의 개별 스프링 구성부들(spring arrangements; F1, F2)에 의한 토크에 의하여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포획부(13) 및 상기 잠금용 포획부(12)는 공통의 회전축(D)에서 피봇가능하게 움직이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12)의 스프링 구성부(F1)의 토크는 상기 캐리어 포획부(13)를 위한 스프링 구성부(F2)의 반대방향인 토크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12)와 상기 캐리어 포획부(13)는, 상기 잠금용 포획부(12) 및/또는 상기 캐리어 포획부(13)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잠금용 포획부(12)와 상기 캐리어 포획부(13)의 상호 간에 확실한 잠금용 피봇 움직임(positive-locking pivot movement)을 유발하는 상호 간에 상보적인 정지면(stop face; 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포획부(13)에는 상기 인출 프로파일 부재(6)에 대한 토크 작용의 회전 방향에서 피봇 움직임을 제한하는 정지부(16)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KR1020140081008A 2013-06-28 2014-06-30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KR20150002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2549 2013-06-28
DE102013212549.6 2013-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45A true KR20150002545A (ko) 2015-01-07

Family

ID=5201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08A KR20150002545A (ko) 2013-06-28 2014-06-30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2718B2 (ko)
JP (1) JP2015009808A (ko)
KR (1) KR20150002545A (ko)
CN (1) CN104369644B (ko)
DE (2) DE102014211617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93U (ko) 2017-05-26 2018-12-05 김정영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1617B4 (de) * 2013-06-28 2019-07-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Glasfläch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TWM482513U (zh) * 2014-03-11 2014-07-21 Macauto Ind Co Ltd 窗簾之拉把自動復位裝置
CN107995897B (zh) * 2015-06-19 2021-01-26 博斯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JP6278211B2 (ja) * 2015-09-30 2018-02-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内装構造
KR101704272B1 (ko) * 2015-10-21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도어 커튼 장치
DE102016206301B4 (de) * 2016-04-14 2017-11-3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08896B4 (de) * 2016-05-23 2021-10-07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DE102016111661B4 (de) 2016-06-24 2018-11-08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6111659B4 (de) 2016-06-24 2018-11-08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0661638B2 (en) * 2016-06-24 2020-05-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hade arrangement for vehicle
DE102016111658B4 (de) * 2016-06-24 2022-07-21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08386096B (zh) * 2018-02-02 2020-08-25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玻璃升降器和汽车
CN113306370B (zh) * 2021-06-23 2022-10-04 台州锐祥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玻璃自动化升降系统
CN114228449B (zh) * 2022-02-25 2022-07-01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升降驱动装置以及压盖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370A (en) * 1994-02-07 1997-02-25 Ruiz; Carmelo C. Window shade and vehicle window combination
DE10020212B4 (de) * 2000-04-25 2004-02-19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US6523880B1 (en) * 2001-06-27 2003-02-25 Maher C. Yako Car window and sunscreen assembly
DE10237231B3 (de) * 2002-08-14 2004-02-19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bidirektional wirkenden Betätigungselementen
DE10322709B3 (de) * 2003-05-20 2005-03-17 Webasto Ag Sonnenschutzrollo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sowie Fahrzeugdach mit einer solchen Sonnenschutzrolloanordnung
FR2882696B1 (fr) * 2005-03-04 2007-04-20 Faurecia Interieur Ind Snc Panneau interieur de porte d'automobile muni d'un pare-soleil
DE102005014798A1 (de) * 2005-03-31 2006-10-05 Webasto Ag Laderaumabdeckung für ein Fahrzeug
EP1852286A1 (de) * 2006-05-02 2007-11-07 ArvinMeritor GmbH Mitnahmevorrichtung für ein Rollo und Rollosystem für ein Fahrzeugdach
DE102007035043A1 (de) 2007-07-20 2009-01-22 Bos Gmbh & Co. Kg Beschattungsrollo mit Rolloverriegelung
DE202007016325U1 (de) 2007-09-18 2008-02-07 Bos Gmbh & Co. Kg Abdeckeinrichtung für eine verschiebbar gelagerte Fahrzeugscheibe
DE102007045414A1 (de) * 2007-09-21 2009-04-02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Einlaufhilfe
DE102008063775A1 (de) 2008-12-18 2010-07-01 Audi Ag Fahrzeugfensterrollo
DE102009017384B4 (de) * 2009-04-14 2019-04-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Mehrkomponentige Zierblend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US8646828B2 (en) * 2010-08-30 2014-02-11 Honda Motor Co., Ltd. Sunshade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14211617B4 (de) * 2013-06-28 2019-07-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Glasfläch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93U (ko) 2017-05-26 2018-12-05 김정영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2718B2 (en) 2015-09-15
DE102014211619B4 (de) 2019-07-25
DE102014211617A1 (de) 2014-12-31
DE102014211617B4 (de) 2019-07-04
US20150001879A1 (en) 2015-01-01
JP2015009808A (ja) 2015-01-19
DE102014211619A1 (de) 2014-12-31
CN104369644B (zh) 2018-02-27
CN104369644A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545A (ko)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KR101605841B1 (ko) 롤러 블라인드 잠금장치를 구비한 차양 롤러 블라인드
JP4503978B2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US7461887B1 (en) Automatic sun visor system
JP6401206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1690823B1 (ko) 차양장치
JP2008044606A (ja) 自動収納される手動の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WO2015190512A1 (ja) ガイドレール
US7891729B2 (en) Sliding roof structu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2011020631A (ja) サンシェード機能付き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KR101219396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연동형 롤블라인드 장치
WO2017145310A1 (ja) トノカバー装置
KR20150090095A (ko) 자동차 내부용 보호 장치 및 이를 위한 호이스트 메카니즘
JP2007261549A (ja) 車両用後面扉
JPH02249722A (ja) 自動車のルーフ開閉体制御装置
JP2009001267A (ja) 電動の側面窓巻上日よけ
KR100916207B1 (ko) 카고 스크린
CN117325631B (zh) 一种内藏式遮阳帘
CN218054823U (zh) 车用投影天窗和车辆
JP2007145243A (ja) 車両用雨除け装置
JPH022122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20100096321A (ko)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햇빛 가리개
KR20140055904A (ko)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JP3201608U (ja) 自動車用ブラインドとブラインド付き開閉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