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904A -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 Google Patents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904A
KR20140055904A KR1020130000691A KR20130000691A KR20140055904A KR 20140055904 A KR20140055904 A KR 20140055904A KR 1020130000691 A KR1020130000691 A KR 1020130000691A KR 20130000691 A KR20130000691 A KR 20130000691A KR 20140055904 A KR20140055904 A KR 2014005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n visor
moving frame
vehicle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모
Original Assignee
(주) 동우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우화성 filed Critical (주) 동우화성
Publication of KR2014005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B60J3/0256Structure of the support arm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을 펼칠 수 있으며 소형의 크기이면서도 차양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썬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에 의하면 펼침버튼을 한 번만 조작하면 부채 형태로 접어서 보관중이던 차양막(sun shade)이 토션스프링에 의해 한 번에 펼쳐짐으로써 차량에 차양막이 펼쳐지기 때문에,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을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sunvi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간편한 조작으로 차양막을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을 펼칠 수 있며 소형의 크기이면서도 넓은 차양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썬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썬바이저는 차양막의 구조가 롤 형태로 감겨진 것으로서 롤 형태로 감겨진 차양막을 잡아당겨 인출한 이후에 차양막의 하단에 설치된 흡착판을 차량의 유리에 다시 부착해야 비로소 차양막을 펼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막을 펼치는 작업이 복잡하여 운전중에는 차양막을 펼치는 것이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되어 위험하다.
차량용 썬바이저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8-6838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조작으로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을 펼칠 수 있으며 소형의 크기이면서도 차양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썬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장봉과, 상기 연장봉에 일측이 결합되며 입출용 슬릿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단부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차양막이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는 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입출용 슬릿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의 일단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돌기가 형성된 펼침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펼침버튼을 작동하여 상기 구속돌기에 의한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출용 슬릿의 통과하여 외부로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이 이동되면서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의 상기 차양막은 펼쳐진 상태에서 부채꼴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의 상기 본체는 상기 연장봉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에 의하면 펼침버튼을 한 번만 조작하면 부채 형태로 접어서 보관중이던 차양막(sun shade)이 토션스프링에 의해 한 번에 펼쳐짐으로써 차량에 차양막이 펼쳐지기 때문에,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을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는 차양막이 부채 형태로 펼쳐지기 때문에 차양막을 보관하는 본체의 슬릿(개구부)의 폭의 2배에 해당하는 넓은 폭으로 차양막을 펼칠 수 있다. 즉 차양막을 펼치면 본체의 폭의 2배에 해당하는 폭으로 차양막이 햇빛을 가려주게 되므로, 썬바이저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차양막으로 가려지는 차양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가 연장봉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펼침버튼의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에 대한 차양막프레임의 토션스프링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에 대한 펼침버튼의 토션스프링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의 본체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가 연장봉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펼침버튼의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에 대한 차양막프레임의 토션스프링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본체에 대한 펼침버튼의 토션스프링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의 본체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는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장봉(100)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양부와 차양부의 펼침 작동을 위한 펼침버튼(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장봉(100)은 차량의 내부 천정 등에 고정되어 썬바이저 본체(1)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봉(100)은 차량에 고정되는 부분은 두껍고 반대측은 얇게 형성되어 본체(1)가 얇은 부분(102)에서만 이동하고 두꺼운 부분이 시작되는 단턱에서 걸리도록 하여 본체(1)의 연장봉(100)측으로의 이동범위가 제한된다.
본체(1)는 일측에 연장봉진입공(2)이 형성되어 차량에 고정된 연장봉(100)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1)는 연장봉(100)으로부터 연장되거나 후퇴하여 위치가 이동할 수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차양부가 설치되고 차양막(15)이 본체(1)에 대하여 입출하는 입출용슬릿(3)에 형성된다. 또한 본체(1)에는 차양부를 작동하는 펼침버튼(20)이 형성된다.
차양부는 차양면적을 형성하는 차양막(15)과 차양막(15)의 양단을 지지하는 차양막고정프레임(10) 및 차양막이동프레임(11)으로 구성된다. 차양막고정프레임(10)은 본체(1)의 내부에 고정된다. 차양막이동프레임(11)은 본체(1)의 힌지축(6)에 결합되어 본체(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의 힌지축(6)에 결합되는 결합공(12)이 형성되고 토션스프링(30)이 걸리는 걸림홈(13)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0)은 본체(1)의 함몰부(4)에 안착되며 토션스프링(30)의 일측단은 본체(1)의 함몰부의 스프링걸림홈(5)에 삽입되며 토션스프링(30)의 타단은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걸림홈(13)에 삽입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30)에 의해 차양막이동프레임(11)은 본체(1)의 힌지축(6)에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버튼(20)은 본체(1)의 함몰부(7)에 형성된 힌지축(9)에 토션스프링(32)을 통해 결합된다. 토션스프링(32)은 본체(1)의 함몰부(7)의 힌지축(9)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토션스프링(32)의 일단은 본체(1)의 함몰부(7)의 스프링걸림홈(8)에 삽입된다. 펼침버튼(20)은 결합공(21)이 본체(1)의 힌지축(9)에 결합되며 토션스프링(32)의 타단이 펼침버튼(20)의 걸림홈(22)에 삽입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32)에 의해 펼침버튼(20)은 본체(1)의 힌지축(9)에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부는 차양막(15)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일측이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에 걸려 있다. 이 때 차양막(15)은 차양막고정프레임(10)과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차이에서 접어진 상태에 있다. 차양막(15)이 접어진 상태는 접이식 부채가 접혀있는 상태와 유사하다.
이 때 외부에서 펼침버튼(20)을 누르면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가 도 3의 좌측으로 후퇴하면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이동프레임(11)은 차양막이동프레임(11)에 연결된 토션스프링(30)의 힘에 의해 도 6의 우측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때 본체(1)를 연장봉(100)에 대하여 잡아당기거나 밀게되면 연장봉(100)에 대한 본체(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차양막이동프레임(11)이 펼쳐지는 범위의 한계를 정하기 위해 본체(1)에는 차양막이동프레임(11)이 일정범위 회전하다가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기 등의 구속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차양부의 차양막(15)을 다시 접어서 본체(1)의 내부에 수납할 때에는 본체(1)의 외부로 펼쳐진 차양막이동프레임(11)을 손으로 이동시켜서 본체(1)의 입출용슬릿(3)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차양막(15)은 지그재그로 접어져서 본체(1)의 내부로 수납되고 차양막이동프레임(11)은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를 밀어내면서 입출용슬릿(3)을 통해 본체(1)의 내부로 이동한다. 차양막이동프레임(11)이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의 위쪽까지 이동하면 뒤로 후퇴하였던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가 토션스프링(32)의 힘에 의해 다시 앞으로 이동하면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하단을 구속하게 되고 이로써 차양막(15)의 본체(1) 내부로의 수납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는 초기 상태에서는 차양막(15)이 접어진 상태에서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단부가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에 걸려서 본체(1)의 내부에 보관된 상태를 유지한다.
펼침버튼(20)은 힌지축에 토션스프링(30)을 통해 탄성고정되어 있어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속돌기(25)가 차양막이동프레임(11)을 구속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펼침버튼(20)을 외부에서 눌려주면 펼침버튼(20)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가 후퇴하여 구속돌기(25)에 대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구속이 해제되어 차양막(15)이 펼쳐지게 된다. 차양막(15)의 펼침은 차양막이동프레임(11)이 결합된 토션스프링(30)의 힘에 의한 것이다.
차양막(1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차양막이동프레임(11)을 손으로 회전시켜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을 본체(1)의 입출용슬릿(3)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차양막(15)은 접어지면서 본체(1)의 내부로 수납되고 차양막이동프레임(11)은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를 밀면서 본체(1)의 내부로 진입하였다가 펼침버튼(20)의 구속돌기(25)가 다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의 하단을 걸어서 차양막이동프레임(11)을 구속시키게 된다. 이로써 차양막(15)의 본체(1) 내부로의 수납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썬바이저는 펼침버튼(20)을 한 번만 조작하면 부채 형태로 접어서 보관중이던 차양막(15)(sun shade)이 토션스프링(30)에 의해 한 번에 펼쳐지는 것으로서, 이는 부채를 접은 형태로 차양막(15)이 보관되는 구성과 토션스프링(30)이 부채를 펼치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에 따라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펼침버튼(20)을 한 번만 누르면 차양막(15)의 펼침이 가능하므로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차양막(15)을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반해 종래의 차량용 썬바이저는 롤 형태로 감겨진 차양막을 잡아당겨 인출한 이후에 차양막의 하단에 설치된 흡착판을 차량의 유리에 다시 부착해야 비로서 차양막을 펼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막을 펼치는 작업이 복잡하여 운전중에는 차양막을 펼치는 것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는 차양막(15)이 부채 형태로 접히고 펼쳐지는 구성으로서 차양막(15)이 인출되는 본체(1)의 입출용슬릿(3)의 폭의 2배에 해당하는 폭으로 차양막(15)을 펼칠 수 있다. 즉 차양막(15)을 펼치면 본체(1)의 폭의 대략 2배에 해당하는 폭으로 차양막(15)이 햇빛을 가려주게 되므로, 썬바이저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차양막(15)으로 가려지는 차양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종래의 썬 바이저들은 롤에 감겨진 형태이므로 차양막(15)을 인출하는 슬릿의 폭보다 차양막(15)이 더 넓게 펼쳐질 수 없는 것입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썬바이저는 차양막(15)을 내장한 본체(1)가 연장봉(1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양막(15)이 펼쳐지는 위치를 이동하여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본체, 10 차양막고정프레임, 11 차양막이동프레임, 20 펼침버튼, 30 토션스프링

Claims (3)

  1. 차량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장봉;
    상기 연장봉에 일측이 결합되며 입출용 슬릿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단부가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차양막이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차양막;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힘을 가해주는 스프링;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입출용 슬릿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의 일단을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돌기가 형성된 펼침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펼침버튼을 작동하여 상기 구속돌기에 의한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입출용 슬릿의 통과하여 외부로 상기 차양막이동프레임이 이동되면서 상기 차양막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펼쳐진 상태에서 부채꼴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장봉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KR1020130000691A 2012-10-29 2013-01-03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KR20140055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0129 2012-10-29
KR1020120120129 2012-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04A true KR20140055904A (ko) 2014-05-09

Family

ID=5088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91A KR20140055904A (ko) 2012-10-29 2013-01-03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165B2 (en) 2015-05-01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ing-activated extendable sun visor bla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165B2 (en) 2015-05-01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ing-activated extendable sun visor bla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9223B2 (ja) 遮蔽装置
US5067541A (en) Collapsible sun shade and method for shielding the sun
US20170129320A1 (en) Vehicle sunshade
US9090153B1 (en) Rain shield for vehicle passengers
KR20150002545A (ko)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JP541026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541726B1 (ko)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482354Y1 (ko) 접이식 어닝 텐트
KR20140055904A (ko) 펼침 및 차양기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썬바이저
JP6063682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US7090282B2 (en) Shading assembly
JP2011020631A (ja) サンシェード機能付き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JP6063683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KR100571575B1 (ko) 차광 조절가능한 차양을 가진 붙박이 창 및 사용방법
KR101511570B1 (ko) 상단가림 구조를 가진 리어 선쉐이드
KR20200127656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CN220180527U (zh) 一种多功能卷帘及车辆
JP7197305B2 (ja) 自動車用巻取装置
KR102282220B1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KR100512126B1 (ko) 자동차의 가변 차양장치
JP2007145243A (ja) 車両用雨除け装置
JPS598524A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
KR19980027959A (ko) 차양막이 내장된 승합차용 루프랙구조
JP2004161148A (ja) エクステンションユニット付き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