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93U -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93U
KR20180003393U KR2020170002590U KR20170002590U KR20180003393U KR 20180003393 U KR20180003393 U KR 20180003393U KR 2020170002590 U KR2020170002590 U KR 2020170002590U KR 20170002590 U KR20170002590 U KR 20170002590U KR 20180003393 U KR20180003393 U KR 201800033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door frame
mai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580Y1 (ko
Inventor
김정영
Original Assignee
김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영 filed Critical 김정영
Priority to KR2020170002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80Y1/ko
Priority to PCT/KR2018/005900 priority patent/WO2018217034A1/ko
Publication of KR20180003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여 도어에 견고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도어의 창문 여닫음에 상관없이 차양막을 올리고 내릴 수 있으며 차양막의 단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원하는 만큼만 차양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창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의 개구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부밀착구가 상하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구가 상하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권취롤에 감겨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풀리면서 상기 개구부를 막는 주차양막; 상기 주차양막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주차양막을 하방으로 풀어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하는 조작대; 및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 틈새를 막는 보조차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Shading device for vehicle door}
본 고안은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여 도어에 견고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도어의 창문 여닫음에 상관없이 차양막을 올리고 내릴 수 있으며 차양막의 단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원하는 만큼만 차양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의 상부는 도어프레임으로 둘러싼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승차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창문이 장착된다.
이러한 차량 도어의 창문은 승차자의 측면 시야를 제공하며 차량 내부로의 직간접적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햇빛이 강하고 무더운 여름철이나 햇빛이 개구부를 통해 승차자로 바로 내리쬐는 경우 차량 내부의 온도도 상승하고 햇빛으로 인해 측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다. 이때를 위해 햇빛을 차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는 장착 구조와 형태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즉, 창문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차양막에 흡착구가 구비되어 흡착구를 통해 차양막을 창문에 고정시켜 햇빛을 차단하는 흡착식 구조, 도어프레임 상측을 따라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에 차양커튼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차양커튼을 쳐서 햇빛을 차단하는 커튼식 구조, 차양막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창문의 상단과 도어프레임에 고정되고 차량막에 상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주름이 형성되어 창문을 완전히 올리면 햇빛이 가려지는 주름식 구조, 도어프레임에 내장되어 차양막 단부에 달린 고정고리를 상방 혹은 하방으로 내려 도어프레임에 고정하면 개구부를 막아 햇빛을 차단하는 인출식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는 창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는 햇빛을 가릴 수 없거나 햇빛을 차단하더라도 바람에 의해 펄럭거려 주행 중에 햇빛을 제대로 가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차양막을 일부 내리는 것도 불가능하여 완전히 내릴 수밖에 없으므로 차양막 사용시 차량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아 통풍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한편, 도어프레임에 고정되거나 내장된 구조인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제품단가도 높으며 설치 후에는 해체가 쉽지 않고 설치시 발생하는 자국이 그대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차종마다 도어의 형태가 상이하고 동일 차종이라더라도 앞좌석 도어와 뒷자석 도어의 형태도 상이하므로 도어의 형태에 따라 호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햇빛을 제대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2545호, 2015.01.07.자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도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여 차양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도어의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고 도어의 창문 여닫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는 창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의 개구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부밀착구가 상하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구가 상하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권취롤에 감겨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풀리면서 상기 개구부를 막는 주차양막; 상기 주차양막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주차양막을 하방으로 풀어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하는 조작대; 및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 틈새를 막는 보조차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대의 양단은 상하높이가 상기 가이드홈의 내폭보다 작은 소경부와, 전후폭이 상기 가이드홈의 내폭과 같거나 큰 대경부로 구성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대경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주차양막의 단부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밀착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절되는 밀착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밀착구의 하부에는 안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밀착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상측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막도록 일측이 지지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에 밀착되는 안착단이 절곡 형성된 밀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축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림판과 상기 밀착판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결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밀착구에는 상기 절결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삽입판이 더 포함되어, 상기 상부밀착구가 상기 틈새가 차단하도록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판과 상기 밀착판이 상하로 휘어지는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양막에는 복수 개의 형태유지띠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에 상부안착부와 하부안착부 및 보조차양막이 구비되어 도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여 차양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작대의 양단 형태에 의해 주차양막을 원하는 만큼 펼칠 수 있고 창문을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주차양막을 펼칠 수 있다. 또한, 주차양막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주행 중에도 주차양막을 자유롭게 풀거나 감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주차양막이 완전히 감긴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상부밀착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조작대의 회전 조작에 따른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설치 상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의 주차양막이 완전히 내려진 상태 사진.
본 고안은 차량 도어의 창문을 통해 차량 내부로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하여 햇빛으로 인한 운전 방해 및 차량 내부 온도 상승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는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도어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하여 차양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도어의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햇빛을 차단할 수 있고 도어의 창문 여닫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50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창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O)를 향해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1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D)에 설치되고 프레임(100), 주차양막(200), 조작대(300) 및 보조차양막(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O) 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의 양단에 각각 수직부(12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수평부(110)의 상측에는 도어프레임(D)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부밀착구(130)가 형성되며 수직부(120)의 하측에는 각각 도어프레임(D)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구(140)가 형성된다.
즉, 프레임(100)은 수평부(110)와 수직부(120)에 의해 "┌┐" 형상을 이루고, 상부밀착구(130)와 하부밀착구(140)에 의해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밀착구(130)는 상기와 같이 프레임(100)을 도어프레임(D)에 고정하는 기능과 함께 도어프레임(D)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프레임(100)의 상측과 도어프레임(D)의 상측 사이에 생기하는 다양한 크기의 틈새를 막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밀착구(130)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131)과 밀착판(132)으로 일체로 구성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림판(131)은 일측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축(133)에 의해 축지되고, 밀착판(132)은 가림판(131)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고 도어프레임(D)의 상측에 밀착되면서 도어프레임(D)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안착단(134)이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축(133)은 프레임(100)의 수평부(110)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70)을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133)에는 고정부재(135)가 마련되어 가림판(131)의 각도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131)과 밀착판(132)에는 각각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결부(136)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림판(131)의 절결부(136)를 따라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삽입판(137)이 더 포함된다.
즉, 상부밀착구(130)는 가림판(131)과 밀착판(132)에 의해 프레임(100)과 이루는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림판(131)과 밀착판(132)에 형성된 절결부(136)를 따라 삽입된 삽입판(137)에 의해 절결부(136)를 경계로 하여 분할된 부분부분이 상호 간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상하로 휘어지는 자유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종마다 형태가 상이한 도어프레임(D)의 형태에 대응 가능하여 프레임(100)의 상측과 도어프레임(D)의 상측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틈새로 햇빛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하부밀착구(140)는 프레임(100)의 수직부(120)에 각각 설치된 고정너트(미도시)와, 고정너트에 일단이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타단이 도어프레임(D)의 하측에 밀착되는 밀착볼트(141)로 구성된다.
즉, 하부밀착구(140)는 밀착볼트(141)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밀착볼트(141)의 볼트머리가 도어프레임(D)의 하측에 밀착되어 프레임(100)이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에 고정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0)의 일단 상측에는 자성체(160)가 더 설치되어 프레임(100)을 도어프레임(D)의 상측에 자착시켜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D)의 다양한 형태와 관계없이 프레임(100)을 도어프레임(D)에 견고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밀착구(140)의 단부에는 안착패드(142)가 설치되어 하부밀착구(140)의 단부가 도어프레임(D)에 밀착될 때 도어프레임(D)의 손상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주차양막(200)은 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O)를 통해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주차양막(2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수평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210)에 하방으로 풀리도록 감긴 구조를 가진다.
단, 권취롤(210)의 회전축에는 권취롤(210)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주차양막(200)에 하방으로 당기는 견인력이 해제되면 주차양막(200)이 자동으로 권취롤(210)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주차양막(200)을 하방으로 견인하면 권취롤(210)에서 풀리면서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O)를 가려 햇빛을 차단하고, 주차양막(200)에 대한 견인력을 해제하면 주차양막(200)은 다시 권취롤(210)에 감겨 도어프레임(D)의 개구부(O)를 개방시킨다.
또한, 주차양막(200)에는 복수 개의 형태유지띠(220)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주행 중에 바람에 의해 주차양막(200)이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주차양막(200)을 완전히 내린 상태에서 하부밀착구(140)에 의해 도어프레임(D)의 하측과 주차앙막(200)의 단부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데, 상기 틈새를 통해 입사되는 햇빛은 승차자의 얼굴 아래로 입사되므로 굳이 차단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대(300)는 주차양막(200)의 단부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주차양막(200)을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조작하는 구성이다.
이때 조작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직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양단이 프레임(100)의 수직부(12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50)을 삽입된다. 그러면 조작대(300)를 하방으로 내리면 주차양막(200)에 하방으로 펼쳐지면서 햇빛을 차단하게 된다.
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대(300)의 양단은 상하높이가 가이드홈(150)의 내폭보다 작은 소경부(310)와, 전후폭이 가이드홈(150)의 내폭과 같거나 큰 대경부(320)로 구성되고, 조작대(300)의 일측에는 조작대(300)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3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손잡이(330)를 이용하여 조작대(300)를 하방으로 내린 상태에서 조작대(300)를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도 5의 (b)와 같이 소경부(310)가 아닌 대경부(320)가 가이드홈(150)에 억지끼움되면서 조작대(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도 6과 같이 도어의 창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도 주차양막(200)을 원하는 만큼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작대(3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330)를 통해 조작대(300)를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도 5의 (a)와 같이 대경부(320)가 아닌 소경부(310)가 가이드홈(15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서 조작대(300)는 자동으로 상승하여 주차양막(200)은 도 3과 같이 권취롤(210)에 완전히 감기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조차양막(400)은 프레임(100)의 좌단과 우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좌단과 우단 중 하나 이상과 도어프레임(D)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구성이다.
즉, 보조차양막(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좌단에 삽입 설치되거나 프레임(100)의 우단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단, 도어프레임(D)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보조차양막(400)의 매칭성은 차체의 B필러와 도어프레임이 오버랩되는 공간이 흡수하므로 별다른 문제가 없다.
따라서 도어프레임(D)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되게 보조차양막(400)을 프레임(100)에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D)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110: 수평부
120: 수직부
130: 상부밀착구
131: 가림판
132: 밀착판
133: 지지축
134: 안착단
135: 고정부재
136: 절결부
137: 삽입판
140: 하부밀착구
141: 밀착볼트
142: 안착패드
150: 가이드홈
160: 자성체
170: 장공
200: 주차양막
210: 권취롤
220: 형태유지띠
300: 조작대
310: 소경부
320: 대경부
330: 손잡이
400: 보조차양막
410: 보조프레임
420: 통기공
500: 차양 장치
D: 도어프레임
O: 개구부

Claims (8)

  1. 창문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프레임의 개구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부밀착구가 상하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부밀착구가 상하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권취롤에 감겨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풀리면서 상기 개구부를 막는 주차양막;
    상기 주차양막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주차양막을 하방으로 풀어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하는 조작대; 및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단과 우단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 틈새를 막는 보조차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대의 양단은
    상하높이가 상기 가이드홈의 내폭보다 작은 소경부와, 전후폭이 상기 가이드홈의 내폭과 같거나 큰 대경부로 구성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대경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주차양막의 단부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밀착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절되는 밀착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밀착구의 하부에는
    안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착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상측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막도록 일측이 지지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측에 밀착되는 안착단이 절곡 형성된 밀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과 상기 밀착판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절결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밀착구에는
    상기 절결부를 따라 지그재그로 삽입되는 삽입판이 더 포함되어,
    상기 상부밀착구가 상기 틈새가 차단하도록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상기 가림판과 상기 밀착판이 상하로 휘어지는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양막에는
    복수 개의 형태유지띠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KR2020170002590U 2017-05-26 2017-05-26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KR20048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90U KR200488580Y1 (ko) 2017-05-26 2017-05-26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PCT/KR2018/005900 WO2018217034A1 (ko) 2017-05-26 2018-05-24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90U KR200488580Y1 (ko) 2017-05-26 2017-05-26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93U true KR20180003393U (ko) 2018-12-05
KR200488580Y1 KR200488580Y1 (ko) 2019-02-22

Family

ID=6439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90U KR200488580Y1 (ko) 2017-05-26 2017-05-26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580Y1 (ko)
WO (1) WO2018217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6528B (zh) * 2019-11-25 2022-04-0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遮阳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545A (ko) 2013-06-28 2015-01-0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715U (ko) * 1996-12-18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도어의 차양막 설치구조
KR200280288Y1 (ko) * 2002-01-03 2002-06-29 배영진 자동차용 차양막
KR20040027157A (ko) * 2002-09-27 2004-04-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차양 구조
KR100512126B1 (ko) * 2003-07-28 2005-09-0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가변 차양장치
JP2007099184A (ja) 2005-10-07 2007-04-19 Hiroaki Sato 自動車用蚊帳
KR100646422B1 (ko) * 2005-10-14 2006-11-14 최행순 크기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차광기
KR100836508B1 (ko) * 2007-10-12 2008-06-09 박정원 자동차모기장 겸용 햇빛가리개
KR101400626B1 (ko) * 2014-04-10 2014-06-27 하승문 부분결합이 용이한 착탈식 썬 바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545A (ko) 2013-06-28 2015-01-0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의 유리 표면 영역용 차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7034A1 (ko) 2018-11-29
KR200488580Y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740B1 (en) Vehicle sunshade
US20070068638A1 (en) Anti-wind buffe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US10676990B2 (en) Motorized window shades for RVs
KR200488580Y1 (ko)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US10533372B2 (en) Aircraft window shade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US6315356B1 (en) Sunshade/sunscreen combo
US8579003B2 (en) Mechanism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al shade covering a window
KR20180054270A (ko)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KR101251276B1 (ko)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KR100471486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자동닫힘 장치
KR101662094B1 (ko) 전천후 차량용 전면유리 롤스크린 장치
DE4335309C1 (de) Rollo zum Abschirmen von schräg geneigten Fahrzeugfenstern
US10377211B2 (en) Recreational vehicle and trailer window treatment adjustment system
KR101195828B1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190016151A (ko) 자동차용 앞유리 차광 장치
KR200480273Y1 (ko)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KR200494433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20130002495A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US1680966A (en) A cobpobation of new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KR101534311B1 (ko) 차량용 바람유도기구
KR20050007209A (ko) 인출식 햇빛가리개가 내장된 자동차용 썬바이저
KR20160148241A (ko) 롤 방식으로 권취되는 스크린, 그리고 스크린 제작 장치 및 방법
KR101667209B1 (ko) 방한용 보조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