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33Y1 - 차량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33Y1
KR200494433Y1 KR2020190003083U KR20190003083U KR200494433Y1 KR 200494433 Y1 KR200494433 Y1 KR 200494433Y1 KR 2020190003083 U KR2020190003083 U KR 2020190003083U KR 20190003083 U KR20190003083 U KR 20190003083U KR 200494433 Y1 KR200494433 Y1 KR 200494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hicle
light blocking
moved
cau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54U (ko
Inventor
정진모
Original Assignee
정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모 filed Critical 정진모
Priority to KR2020190003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3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결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면을 차광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윈도우의 상단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를 상기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윈도우 단독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상부 걸림고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의 윈도우를 차광시키는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상단 회동됨에 따라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윈도우 상단에 상부 걸림고리의 걸림 여부에 따라 윈도우 단독으로 상방 이동되거나,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며 햇빛을 차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차광장치{SHADING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도우를 가리거나 햇빛을 차광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의 시계 확보와 쾌적한 차 실내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차 실내의 상황을 외부로 그대로 노출시키기 때문에 사생활을 침해받게 하는 등 불편을 주기도 하며,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은 경우에는 윈도우 글래스를 통하여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투광되므로 차 실내의 온도 상승은 물론 운전자의 눈부심 등으로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도어 윈도우 글래스(사이드 윈도우 글래스) 및 리어 윈도우 글래스는 물론이고 윈드실드 글래스까지 포함한 차량 글래스 전체를 대상으로 차광필름을 코팅시켜 차광 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의 차광 처리는 사생활 보호 및 차광, 특히 자외선 차단과 같은 장점들을 제공하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시야를 어둡게 하여 안전운전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는 만큼 최근에는 짙은 선팅처리를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에 근래들어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에 커튼을 설치하여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 선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에 설치되고 있는 커튼으로는 일반 가정집의 커튼과 마찬가지로 글래스 상측으로 레일을 설치하여 이 레일을 통해 커튼 상단이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커튼이 접혀지거나 전개되도록 하는 구조가 있으며, 이는 대형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 구조는 글래스 상측으로 레일이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단 레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커튼을 접거나 제거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은 레일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결정적으로 일반 승용차나 소형 승합차, SUV 차량과 같이 레일을 부착하기 곤란한 차량의 경우 적용이 어렵다.
한편, 윈도우 글래스에 롤 커튼(스크린) 장치를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거나 광량을 조절하고 나아가 외부에서 실내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을 보호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롤 커튼 장치의 경우 글래스 상측 또는 도어 내부에 봉 형태의 롤러바를 포함한 권취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롤러바에 감긴 스크린을 풀어서 커튼으로 사용하고, 미사용시 롤러바가 스크린을 감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롤 커튼 장치의 경우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가격이 고가이고,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조립 및 장착이 번거로우며, 차량으로부터 완전 해체가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측방 이동형 커튼과 롤 커튼 등은 차량 내부에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752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023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574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2507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윈도우를 가리거나 햇빛을 가릴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는, 상하로 이동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결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면을 차광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윈도우의 상단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를 상기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윈도우 단독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상부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윈도우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고리는 탄성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윈도우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상부 걸림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윈도우의 단독 이동 시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가 상기 윈도우의 일측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에 이중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차광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윈도우를 차광시키는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상단 회동됨에 따라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윈도우 상단에 상부 걸림고리의 걸림 여부에 따라 윈도우 단독으로 상방 이동되거나,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며 햇빛을 차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중막이 결합됨으로써, 이중막을 통해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차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동작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으로 차량의 윈도우를 차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100)는 상하로 이동되는 차량의 윈도우(11)에 결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몸체(110) 및 상부 걸림고리(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윈도우(11)의 일측면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햇빛을 차광시킨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윈도우의 내측 또는 외측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하단에는 상기 윈도우(11)의 하단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을 가지는 하부 걸림고리(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걸림고리(111)는 상기 몸체(110)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는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힌지(1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는 상기 힌지(121) 일측에 결합된 탄성체(122)에 의해 상기 윈도우(11)의 상단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는 상기 몸체(110) 상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윈도우(11)의 상단에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의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110)가 상기 윈도우(11)를 따라 함께 이동되며 상기 윈도우(11)를 차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윈도우(11)는 차량 도어(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가 탄성에 의해 상기 윈도우(11)의 상단에 걸리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11)의 상방 이동 시 상기 몸체(110)가 함께 상방 이동되며 햇빛을 차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윈도우(11) 하방 이동 시 하중 및 상기 하부 걸림고리(111)에 의해 상기 몸체(110) 또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윈도우(11)의 상단에 걸리지 않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11)의 상방 이동 시 상기 몸체(110)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윈도우(11) 단독으로 상방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상부 걸림고리(120)의 걸림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윈도우(11)를 차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광장치(200)는 상하로 이동되는 차량의 윈도우(11)에 결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몸체(210) 및 상부 걸림고리(2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윈도우(11)의 일측면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햇빛을 차광시킨다.
상기 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윈도우(11)의 하단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을 가지는 하부 걸림고리(211)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몸체(210)의 일단에는 타단까지 관통된 장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장홀(212)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중막(230)이 삽입된다.
상기 이중막(230)은 상기 장홀(21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11)의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중막(230)은 다양한 썬팅 농도로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다양한 썬팅 농도의 이중막(2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윈도우(11)의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몸체(2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윈도우(11)의 차광 정도를 상기 이중막(230)을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몸체(21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걸림고리(220)의 단부에는 상기 윈도우(11)의 단독 이동 시 상기 상부 걸림고리(220)의 단부가 상기 윈도우(11)의 일측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롤러(2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223)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일부분이 상기 상부 걸림고리(22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차광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윈도우를 차광시키는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상단 회동됨에 따라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윈도우 상단에 상부 걸림고리의 걸림 여부에 따라 윈도우 단독으로 상방 이동되거나,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며 햇빛을 차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중막이 결합됨으로써, 이중막을 통해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 도어 11: 윈도우
100: 차광장치 110: 몸체
111: 하부 걸림고리 120: 상부 걸림고리
121: 힌지 122: 탄성체

Claims (5)

  1. 상하로 이동되는 차량의 윈도우에 결합되는 차량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면을 차광시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됨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윈도우의 상단 걸림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를 상기 윈도우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윈도우 단독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상부 걸림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윈도우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고리는 탄성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윈도우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상부 걸림고리의 단부에는 상기 윈도우의 단독 이동 시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가 상기 윈도우의 일측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에 이중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3083U 2019-07-23 2019-07-23 차량용 차광장치 KR200494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83U KR200494433Y1 (ko) 2019-07-23 2019-07-23 차량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83U KR200494433Y1 (ko) 2019-07-23 2019-07-23 차량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54U KR20210000254U (ko) 2021-02-02
KR200494433Y1 true KR200494433Y1 (ko) 2021-10-08

Family

ID=7456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83U KR200494433Y1 (ko) 2019-07-23 2019-07-23 차량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3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66Y1 (ko) 2004-12-29 2005-03-23 송성태 차 창문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는 자동차용햇빛 가리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210U (ko)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도어트림에 내장된 선바이져 설치구조
KR980001511U (ko) * 1998-01-15 1998-03-30 이쌍덕 차량용 햇빛 가리개
KR19980025076U (ko) 1998-04-27 1998-07-25 이경용 지혈용 양극핀셋의 니들구조
KR100400250B1 (ko) 2001-06-29 2003-10-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100007525U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협진산업 창틀고정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66Y1 (ko) 2004-12-29 2005-03-23 송성태 차 창문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가지는 자동차용햇빛 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54U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294B1 (ko) 차량 차양 장치
KR200494433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20170001069U (ko) 차량용 방충장치
KR102170271B1 (ko) 햇빛가리개의 선바이저 탈착과 폴딩 및 언폴딩 실행기구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200488580Y1 (ko)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KR101876057B1 (ko) 차광량 조절 도어커튼 어셈블리
KR200171560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KR20090004194U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CN111251846A (zh) 一种汽车天窗遮阳帘
KR20190052938A (ko) 차량용 도어 커튼커버
US8342227B2 (en) Sunshade
KR200280288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0169637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CN204279003U (zh) 隐藏式汽车自动遮阳帘
KR200484171Y1 (ko) 창호 차양 장치
KR20150068741A (ko) 자동차용 그늘막 장치
CN208220608U (zh) 一体结构的窗帘装置
KR200271133Y1 (ko)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KR20210002549U (ko) 방충겸용 차량 차양막장치
KR101187673B1 (ko) 차양 조립체 및 창호 조립체
KR20220095627A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문
KR20150080828A (ko) 자동차용 유리 덮개
JPH0651496U (ja) 収納式日除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