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502A -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502A
KR20140139502A KR1020147025851A KR20147025851A KR20140139502A KR 20140139502 A KR20140139502 A KR 20140139502A KR 1020147025851 A KR1020147025851 A KR 1020147025851A KR 20147025851 A KR20147025851 A KR 20147025851A KR 20140139502 A KR20140139502 A KR 2014013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drive
vehicle door
flank
door lock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바름쉐이트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3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05B81/15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with means preventing the detent to return to its latching position before the bolt has moved to the unlatch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록 그리고 위의 형태의 차량 도어 록 내의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 록은 록킹 메커니즘 및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구동부(1, 2, 3)를 포함한다. 차량 도어 록은 또한 구동부(1, 2, 3)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기(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발생기(8)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S)의 제 1 플랭크(FS) 및 제 2 플랭크(FE)는 전기 구동부(1, 2, 3)를 제어하기 위하여 평가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Motor vehicle door lock and method for electrically actuating a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 그리고 전기 구동부에 충격(impinging on)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기 구동부가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발생기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차량 도어 록의 록킹 메커니즘의 동력화된 또는 전기 작동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도어 록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설계의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적 작동을 위한 방법이 DE 196 00 524 A1에 개시되어 있다. 위의 선행기술의 문헌은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비상 열림을 갖는 록을 설명하고 있다.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과 같은 핸들의 작동시, 록킹 메커니즘의 요소로서의 포올은 액츄에이터의 도움으로 적어도 열림 위치로 전기적으로 이동한다. 실제 열림 과정이 작동 레버 체인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대신에 핸들과 록킹 메커니즘 간의 어떠한 기계적인 연결 없이 (오로지) 전기 구동부의 도움으로 전기적인 수단으로 수행됨에 따라 이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왔고 또한 소위 차량 도어 록의 "전기적 열림"으로 언급된다.
DE 203 07 347 U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유사한 차량 도어 록에서, 로터리 래치를 열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캠의 도움으로 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폴의 분리된 위치에서, 열리는 로터리 래치가 캠으로부터 블록킹 수단을 분리할 때까지 결합 블록킹 수단의 도움으로 캠은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포올의 믿을 수 있는 분리, 특히 소위 중간 캐치 결합 없이 포올의 믿을 수 있는 분리가 이루어진다.
중간 캐치 결합은 분리된 포올이 열려지고 있는 로터리 래치와 기계적으로 다시 접촉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록킹 메커니즘이 아직 열려지고 있거나 록킹 메커니즘의 초기의 시작된 열림 공정이 아직 완료되지 않는 반면에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작동된 핸들이 해제되고 그리고 그후 다시 작동한다면,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 어떠한 경우, 이 중간 캐치 결합은 로터리 래치의 열림 운동을 잠재적으로 지연시키거나 완전하게 방지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열림 과정은 또한 원하지 않는 소음을 수반한다. 극단적으로 느린 열림 과정 동안에 중간 캐치 레버링(levering)이 가끔 발생한다.
이러한 중간 캐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DE 203 07 347 U1의 공지된 그리고 입증된 기술은 캡 그리고 로터리 래치와 협력하는 2개의 아암 블록킹 레버로 이루어진 블록킹 수단을 개시한다. 이 기술이 요구되는 기능(증간 캐치 결합의 연결)을 제공할지라도, 전기 구동부와 로터리 래치가 부가적인 블록킹 레버에 맞추어져야 하며 또한 블록킹 레버가 제공되고 그리고 일체화되어야 함에 따라 상당한 설계적 노력이 요구된다. 그 결과, 차량 도어 록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공간이 더욱 문제가 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공지의 차량 도어 록을 위하여 비교적 넓은 공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 및 제조 비용이 줄어드는 반면에 신뢰할 수 있는 기능이 유지되고 위에서 언급된 중간 캐치 결합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도록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을 더 발전시키는 기술적인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괄적인 차량 도어 록은 신호 발생기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의 2개의 플랭크(flank)가 전기 구동부의 작동을 위하여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열림 구동부, 즉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적 열림에 적합한 구동부이다. 그러나, 전기 구동부가 일반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의 언록킹 및/또는 록킹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또는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는 록킹 메커니즘을 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일반적으로 작동 레버에 작용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포올을 로터리 레버로부터 들어올려 스프링의 도움으로 로터리 래치는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전기 구동부는 로터리 래치를 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또한 포올에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부분으로서, 신호 발생기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는 위에서 언급된 전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분석된다. 이 문맥에서, 신호 발생기는 종전과 같이 핸들 및/또는 핸들에 연결된 레버와 상호 작용한다. 신호 발생기는 또한 그 작동을 위하여 리프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은 연결된 레버에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레버는 신호 발생기에 충격을 가한다.
레버는 전기 구동부와 상호 작용하는 블록킹 레버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블록킹 레버는 핸들이 충격을 받지 않는다면 전기 구동부가 차단되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전기 구동부의 어떠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이 이 설계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경우에 블록킹 레버가 전기 구동부를 유지하거나 차단함에 따라 이러한 부정확한 동력 공급은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적 열림을 야기하지 않는다. 핸들이 작동하고 또한 충격을 가할 때에만, 블록킹 레버는 전기 구동부가 의도한 대로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특별하게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제공한다.
핸들 또는 레버 또는 블록킹 레버에 배치된 신호 발생기가 일반적으로 2개의 플랭크(flank)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양 플랭크가 평가된다는 환경이 특히 중요하다. 선행 기술의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기의 작동만이 중요함에 따라 이 플랭크들은 관련이 없다.
본 발명에서, 현 시점에서 대부분의 경우에서 사용된 신호 발생기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하여 생성된 작동 신호는 검토되고 평가된다.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이러한 신호 발생기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는 구동을 위한 구동 시간(x; energizing time)을 갖는 하나의 플랭크로 시작되는 신호에 대응하며 - 또한 구동시 마모의 효과를 고려한다. 구동 시간(x) 후에, 구동부는 단락되며 따라서 구동부는 그의 종료 위치에 유지된다. 신호 발생기는 제 2 플랭크에 의하여 더 이상 충격을 받지 않는다. 단락 조건은 제거되며, 그리고 구동부의 작동을 위하여 새로운 신호가 받아들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 구동부는 이제 제 1 플랭크의 도움으로 가동된다. 한편, 제 2 플랭크는 단락 조건을 끄거나 또는 단락이 비효율적으로 제공되고 구동부가 재시동될 수 없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는 시작 단계 후에 유지 단계로 이동한다. 시작 단계는 설정된 시작 시간에 대응하며, 신호 발생기의 제 1 플랭크로 시작한다. 신호 발생기의 신호가 전형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 내에서 평가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구동부에 충격을 가하고 위의 시작 시간이 제어 유니트 내에 쉽게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유니트의 도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지 단계가 시작 단계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속적이다. 그러나, 이는 로터리 래치로부터 완전하게 들어올려지는 위치(종료 위치)로 포올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명된 예에서 록킹 메커니즘을 완전하게 열기 위한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요구되는 시간에 좌우된다. 시작 단계와 반대로, 유지 단계를 위하여 시간이 특정되지 않으며, 특히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대신에, 유지 시간의 시작만이 틀림없이 시작 단계의 끝에 있다. 신호 발생기 또는 신호 발생기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가 제 2 플랭크를 보여주자 마자 유지 단계는 종료된다. 따라서, 제 1 플랭크와 동일하게, 신호 발생기의 제 2 플랭크 역시 등록되고 평가된다. 제 2 플랭크가 감지되자마자, 제어 유니트는 유지 단계가 종료되는 것과 새로운 시작이 시행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플랭크의 이 변화는 전형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하여 작동하는 핸들(내부 도어 핸들 및/또는 외부 도어 핸들)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충격을 받는 신호 발생기와 관련이 있다. 그에 반하여, 신호 발생기의 신호의 제 2 플랭크는 해제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스프링의 도움으로 그의 시작 위치 또는 기본 위치로 복귀하는 핸들에 대응한다.
시작 단계 동안 그리고 시작 시간 내에서 이러한 플랭크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는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이 경우에 플랭크의 변화는 제어 유니트에 의하여 평가된다. 이는 전기 구동부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 그리고 새로운 시작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시작 시간 내에 종료된 시작 단계가 전기 구동부가 기본 위치에서 종료 위치로 간섭 없이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예에서, 전기 구동부의 종료 위치는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려지는 포올과 대응하며, 따라서 스프링의 도움으로 로터리 래치가 열리는 것을 허용한다. 반대로, 기본 위치는 전기 구동부가 가동하고 록킹 메커니즘이 (아직)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대응한다. 플랭크 변화가 신호 발생기에서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는 본 발명의 유지 단계는 중간 캐치 결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는 워엄 기어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모터 그리고 워엄 기어와 치합된 종동 풀리로 이루어진다. 종동 풀리는 또한 열림 형태 또는 열림 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적 개방 동안에 이 열림 캠은 록킹 메커니즘에 충격을 가하는 트리거 레버와 협력하거나 록킹 메커니즘에, 예를 들어 포올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단 기어 박스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도어 록 내에서의, 위에서 언급된 특징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의 전기적 작동 또는 동력 작동을 위한 위에서 언급된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의 부분으로서, 전기 구동부는 신호 발생기의 플랭크 변화에 의하여 시작된 시작 단계를 완료하며, 이후 전기 구동부는 다른 플랭크 변화 후에 종료되는 유지 단계로 들어간다. 유지 단계의 종료시, 전기 구동부는 그의 중립 위치 또는 그의 기본 위치로 이동된다. 이 중립 위치 또는 기본 위치에서, 전기 구동부는 새로운 시작 명령 또는 핸들에 의하여 시작된 열림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전기 구동부가 그의 종료 위치에서 중립 또는 기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기 구동부는 전형적으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작동한다. 특히, 스프링은 중심/제로 스프링일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종동 풀리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전기 구동부의 유지 단계는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부의 부분으로서의 전기 모터의 단락에 대응한다. 전기 모터의 이 단락은 전기 구동부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록킹 메커니즘에 관하여 전기 구동부가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스프링의 도움으로 로터리 래치가 이미 열려 있는 때에도 유지 기능은 유지 단계 동안에 전기 모터에 의하여 관련된 포올이 로터리 래치에서 들어올려지고 그리고 들어올려진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한다.
단락의 대안으로서, 전기 구동부의 저전압 펄스 제어가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의 제 2 플랭크가 핸들에 의하여 또는 핸들에 의하여 작동하는 신호 발생기에 의하여 감지되면, 유지 단계가 종료된다. 이는 지금 상황에서 (들어올려진) 포올이 열려지는 로터리 래치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것 또는 접촉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로터리 래치는 항상 열려있을 수 있으며 또한 열림 이동시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요한 이점이다.
이하, 단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다른 기능적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3은 열림 과정을 설명하는 2개의 주요 시간 그래프.
도 1 및 도 2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은 실제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로터리 래치와 포올을 포함한다. 포올은 전기 구동부(1, 2, 3)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한다. 전기 구동부(1, 2, 3)는 전기 모터(1), 전기 모터(1)에 의하여 작동하는 워엄 기어(2) 그리고 워엄 기어(2)와 치합되어 있는 종동 풀리(3)를 포함한다.
그 결과, 종동 풀리(3)는 그 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4)을 중심으로 하는 종동 풀리(3)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은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트리거 레버에 의하여 포올이 로터리 래치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야기한다. 포올이 로터리 래치와 더 이상 결합하지 않자마자 또는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올려지자 마자, 로터리 래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열릴 수 있으며 이전에 유지된 닫힘 볼트를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록킹 메커니즘은 열린다. 이 기본적인 기능은 공지되어 있고 위에서 이미 언급된 DE 196 00 524 A1 또는 DE 203 07 347 U1의 선행기술 문헌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로터리 래치에 관하여 포올의 들어올려짐 위치는 전기 구동부(1, 2, 3) 또는 하우징에 고정된 반대 멈춤부(6)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기 구동부의) 종동 풀리(3)에 대응한다. 멈춤부(5)가 반대 멈춤부(6)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전기 구동부(1, 2, 3) 또는 종동 풀리(3)의 기본 위치(중립 위치) 또는 시작 위치(A)에서 앞서 언급된 멈춤 위치(종료 위치)로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변위가 또한 도 3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3의 상단 그래프는 전기 구동부(1, 2, 3)의 기본 위치 또는 시작 위치(A) 그리고 멈춤 위치 또는 종료 위치(E)를 도시한다. 전기 구동부(1, 2, 3)가 더 이상 멈춤 위치 또는 종료 위치에 있지 않는다면, 또는 관련된 전기 모터(1)가 더 이상 충격을 받지 않는다면, 도 1 및 도 2에서 단지 지시된 스프링(7)은 전기 구동부(1, 2, 3)가 스프링의 도움으로 기본 위치 또는 시작 위치(A)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스프링(7)은 중심/제로 스프링(7; centre/zero spring)로서 설계되고, 전기 구동부(1, 2, 3)의 작동 방향 또는 축(4)을 중심으로 하는 종동 풀리(3)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전기 구동부(1, 2, 3)가 더 이상 충격을 받지 않고 전기 구동부(1, 2, 3)가 기본 위치 또는 중립 위치 또는 시작 위치(A)를 취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3은 또한 신호 발생기(8)에 의하여 제어 유니트(9)로 전달되는 신호(S)의 시간 순서(time sequence)를 도시한다. 신호 발생기(8)는 핸들(10)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 핸들(10)은 블록킹 레버(11)로서 설계된 레버(11)를 작동시킨다. 핸들(10)이 작동하자마자, 그리고 열림의 의미에서, 도 1에서 도 2로의 이행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레버 또는 록킹 레버(11)는 그 축(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핸들(10)이 작동하는 결과로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킹 레버(11)는 신호 발생기(8)를 작동시킨다. 신호 발생기(8)는 리프 스프링(13)을 포함한다. 핸들(10)이 작동하자마자, 신호 발생기(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서 "1"로 이동하는 신호(S)를 발생시킨다. 해제된 핸들(10)은 신호(S)를 "1"에서 "0"으로 다시 떨어지게 한다. 동시에, 신호(S)의 주기 동안 그리고 시간(t) 동안에 제 1 플랭크(FS)와 제 2 플랭크(FE)가 도 3에서 관측된다. 신호 발생기(8)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S)의 제 1 플랭크(FS)와 제 2 플랭크(FE)는 이제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그리고 전기 구동부(1, 2, 3)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평가된다. 예에서, 평가는 제어 유니트(9)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기 구동부(1, 2, 3)가 신호 발생기(8)의 신호(S)의 제 1 플랭크(FS)에 의하여 시작되도록 전체 구조가 설계된다. 이는 도 3 내의 하부에 배치된 시간 그래프들을 서로 비교할 때 명백하다. 제 1 플랭크(FS)는 실제로 기본 위치(A)에서 종료 위치(E)로 이동하는 또는 따라서 제어 유니트(9)에 의하여 동력을 받는 전기 구동부(1, 2, 3)에 대응하지 않는다. 반대로, 신호 발생기(8)의 신호(S)의 제 2 플랭크(FE)는 전기 구동부(1, 2, 3)가 꺼지는 것을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제 2 플랭크(FE)가 종료 위치(E)에서 기본 위치(A)로의 전기 구동부(1, 2, 3)의 이행과 일치한다는 것이 도 3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3은 또한 전기 구동부가 종료 위치(E)를 취하는 동안, 즉 종동 풀리(3)의 멈춤부(5)가 하우징에 고정된 반대 멈춤부(6)에 부딪힐 때 전기 구동부(1, 2, 3)의 전원 공급이 2개의 단계, 시작 단계(PS)와 유지 단계(PH)로 나누어지는 것을 도시한다. 시작 단계(PS) 동안에 전기 구동부(1, 2, 3)는 제어 유니트(9)의 도움으로 전기 모터(1)를 작동시키는 제어 유니트(9)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반대로, 스프링(7)의 힘이 극복되어 멈춤부(5)가 반대 멈춤부(6)에 부딪치는 방식으로 본 예에서 유지력이 전기 구동부(1, 2, 3)에 가해지는 결과로서, 유지 단계(PH)는 문제의 단락된 전기 모터(1)에 대응한다.
시작 단계(PS)는 특정 시작 시간(tS)에 대응한다. 이 시작 시간(tS)은 본 예에서 마지막 20ms 내지 100ms일 수 있다. 시작 시간(tS) 내에서는, 전기 구동부(1, 2, 3)가 기본 위치(A)에서 종료 위치(E)로 확실하게 이동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 시작 단계(PS) 또는 시작 시간(tS) 뒤에는 전기 구동부(1, 2, 3)의 유지 단계(PH)가 곧바로 이어진다. 유지 시간(tH)은 유지 단계(PH)에 대응한다. 유지 시간(tH)은 시작 시간(tS)을 곧바로 뒤따른다. 유지 단계(PH) 동안, 멈춤부(5)가 반대 멈춤부(6)에 부딪히고 그 결과 종동 풀리(3)의 도움으로 들어올려진 포올이 들어올려진 위치에 아직 유지하는 방식으로 전기 구동부(1, 2, 3)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위치를 유지한다.
제어 유니트(9)가 신호 발생기(8)의 신호(S)의 제 2 플랭크(FE)를 등록할 때에만, 따라서 유지 단계(PH)는 또한 종료된 유지 시간(tH)이다.
설명된 기능적인 변화를 시작하기 위하여, 핸들(10)이 작동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신호 발생기(8)를 작동시키는 블록킹 레버(11)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11)는 전기 구동부(1, 2, 3)의 부정확한 전원 공급이 록킹 메커니즘의 의도하지 않은 열림을 야기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실제로, 핸들(10)의 도움없이 블록킹 레버(11)가 그 축(1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도 1의 기능적인 위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킹 레버(11)는 전기 구동부(1, 2, 3)와 결합한다. 그 후에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기능적인 위치가 취해질 때, 전기 구동부(1, 2, 3)는 록킹 메커니즘을 가동시키고 연다. 어떠한 부정확한 전원 공급이 방향을 바꾸지 않은 핸들(10)에 대응함에 따라 부정확한 전원 공급은 따라서 방지된다. 전기 구동부(1, 2, 3)가 이러한 부정확한 전원 공급을 겪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 전기 구동부(1, 2, 3)가 차단되는 것과 작동하는 록킹 메커니즘이 열리지 않는다는 것을 아직 결합된 불록킹 레버(11)는 확실하게 보장한다.
어떠한 경우에 유지 단계(PH)의 종료 후에 그리고 따라서 유지 시간(tH)의 끝에 전기 구동부(1, 2, 3)가 중립 위치 또는 기본 위치(A)로 이동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도 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명백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종동 풀리(3) 내에 통합된 중심/제로 스프링(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기본 위치 또는 중립 위치(A)에서, 핸들(10)에 의하여 새로운 시작 명령이 처리될 수 있다.
단지 시작 단계(PS) 그리고 시작 시간(tS)이 종료되면, 전기 구동부(1, 2, 3)는 신호 발생기(8)의 다른 그리고 벗어난 신호(S)를 처리할 수 있다.

Claims (15)

  1.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전기 구동부(1, 2, 3) 그리고 전기 구동부(1, 2, 3)에 충격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발생기(8)를 포함하되, 신호 발생기(8)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S)의 플랭크(FS) 또는 플랭크(FE)가 전기 구동부(1, 2, 3)를 제어하기 위하여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2. 제1항에 있어서, 플랭크 변화의 결과로서 전기 구동부(1, 2, 3)는 플랭크(FS)에 의하여 가동되며 플랭크(FE)에 의하여 꺼지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는 차량 도어 록.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작 단계(PS) 후에 전기 구동부(1, 2, 3)는 유지 단계(PH)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3항에 있어서, 시작 단계(PS)는 특정 시작(tS)에 대응하는 반면에, 후속 유지 단계(PH)는 신호 발생기(8)의 플랭크(FE)에 의하여 종료되는 유지 시간(tH)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1, 2, 3)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모터(1),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워엄 기어(2) 그리고 워엄 기어(2)와 치합된 종동 풀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8)는 핸들(10) 및/또는 핸들(10)에 연결된 레버(11)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8)는 한 부품(3), 바람직하게는 그 작동을 위한 리프 스프링(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7항에 있어서, 부품(13)은 핸들(10)에 연결된 레버(11)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한 2항에 있어서, 레버(11)는 전기 구동부(1, 2, 3)와 협력하는 블록킹 레버(11)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9항에 있어서, 핸들(10)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블록킹 레버(11)는 전기 구동부(1, 2, 3)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1. 차량 도어 록, 특히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발생기(8)로 전기 구동부(1, 2, 3)를 작동시키는 청구항 1항 내지 10항에 따른 차량 도어 록 내의 록킹 메커니즘의 동력화된 작동 방법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8)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S)의 플랭크(FS) 또는 플랭크(FE)가 전기 구동부(1, 2, 3)를 제어하기 위하여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 1 플랭크(FS)에 의하여 시작된 시작 단계(PS) 후에, 신호 발생기(8)의 전기 구동부(1, 2, 3)는 제 2 플랭크(FE)에 의한 플랭크 변화에 의하여 또는 그 역에 의하여 종료되는 유지 단계(PH)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유지 단계(PH)의 종료 후에, 전기 구동부(1, 2, 3)는 그의 기본 위치(A)로 이동하며, 예를 들어 새로운 시작 명령이 이 기본 위치에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1, 2, 3)는 작동하여 스프링(7) 힘의 도움으로 종료 위치(E)에서 기본 위치(A)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구동부(1, 2, 3)의 유지 단계(PH)는 전기 구동부(1, 2, 3)의 부품으로서의 전기 모터(1)의 단락(short circuit), 임펄스 제어 등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25851A 2012-02-29 2013-02-26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KR201401395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003854 DE102012003854A1 (de) 2012-02-29 2012-02-29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eines Gesperres
DE102012003854.2 2012-02-29
PCT/DE2013/000104 WO2013127383A2 (de) 2012-02-29 2013-02-26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betätigung eines gesper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502A true KR20140139502A (ko) 2014-12-05

Family

ID=4822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851A KR20140139502A (ko) 2012-02-29 2013-02-26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45783B2 (ko)
EP (1) EP2820215B1 (ko)
JP (1) JP6213928B2 (ko)
KR (1) KR20140139502A (ko)
CN (1) CN104271859B (ko)
CA (1) CA2865784A1 (ko)
DE (1) DE102012003854A1 (ko)
IN (1) IN2014DN07230A (ko)
MX (1) MX2014010360A (ko)
RU (1) RU2014136448A (ko)
WO (1) WO20131273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1961U1 (de) * 2012-02-28 2013-05-2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024689A1 (de) * 2012-12-18 2014-06-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3212896A1 (de) * 2013-07-02 2015-01-08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mit Positionssicherung
JP5972919B2 (ja) * 2014-02-04 2016-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装置
DE102014001789A1 (de) 2014-02-12 2015-08-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hftfahrzeugtürschloss
US10641018B2 (en) * 2014-05-30 2020-05-05 Inteva Products, Llc Latch with spring for bell crank lever
DE102014118635A1 (de) 2014-10-10 2016-04-14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JP6435561B2 (ja) * 2014-10-29 2018-12-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4017943A1 (de) 2014-12-05 2016-06-09 Thyssenkrupp Ag System und ein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und Bekämpfung von Bedrohungen insbesondere in asymmetrischen Bedrohungslagen
WO2016206665A1 (de) 2015-06-22 2016-12-2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JP6703271B2 (ja) * 2016-09-21 2020-06-03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8109477A1 (de) * 2018-04-20 2019-10-24 Kiekert Ag Kraftfahrzeug-Antriebsanordnung
JP7044079B2 (ja) * 2019-01-10 2022-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210090451A (ko) * 2020-01-10 2021-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2868A1 (de) * 1992-07-11 1994-01-13 Bosch Gmbh Robert Sperrvorrichtung für Türen eines Kraftfahrzeugs
DE19530726C5 (de) * 1995-08-18 2009-07-02 Kiekert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mit baugleichen Kraftfahrzeugtürverschlüssen
DE19600524B4 (de) 1995-12-20 2006-07-06 Siemens Ag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FR2775016B1 (fr) 1998-02-19 2000-04-14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Perfectionnement aux serrures electriques d'ouvrant de vehic ule automobile avec fonctionnement en deux phases
CN2420192Y (zh) * 2000-03-28 2001-02-21 孙宾 机动车遥控电子锁
JP3681660B2 (ja) * 2000-07-21 2005-08-10 容徳 新井 遠隔制御可能なドアロック装置
JP2003074242A (ja) * 2001-08-31 2003-03-12 Yuhshin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DE10152906A1 (de) * 2001-10-26 2003-05-15 Marantec Antrieb Steuerung Antrieb für Verschlußelemente
DE10234782A1 (de) * 2002-07-30 2004-02-19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DE10258645B4 (de) * 2002-12-13 2005-03-3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DE20307347U1 (de) 2003-05-10 2004-09-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336602A1 (de) * 2003-08-08 2005-03-03 Daimlerchrysler Ag Zentralverriegel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heit
US20050200137A1 (en) 2004-03-15 2005-09-15 James Nels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DE202005019032U1 (de) * 2005-09-30 2006-02-16 Kiekert Ag Elektrischer Schalter
DE102007060915B4 (de) * 2007-12-14 2023-11-09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mit Endlagensicherung
CA2697768A1 (en) * 2009-03-25 2010-09-25 Magna Closures Inc. Closure latch for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10360A (es) 2015-03-05
RU2014136448A (ru) 2016-04-20
CN104271859B (zh) 2017-08-18
EP2820215A2 (de) 2015-01-07
IN2014DN07230A (ko) 2015-04-24
US20150084352A1 (en) 2015-03-26
EP2820215B1 (de) 2018-10-10
DE102012003854A1 (de) 2013-08-29
CA2865784A1 (en) 2013-09-06
WO2013127383A3 (de) 2014-09-04
JP2015510061A (ja) 2015-04-02
JP6213928B2 (ja) 2017-10-18
CN104271859A (zh) 2015-01-07
US9745783B2 (en) 2017-08-29
WO2013127383A2 (de)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9502A (ko)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KR101572247B1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CN114016826B (zh) 智能闩锁
CN1550629B (zh) 锁机构
EP2373860B1 (en) Latches
US8672368B2 (en) Electromechanical compression latch
US967730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EP1790803B1 (en) Door closing device
KR20070046910A (ko) 차량의 도어 또는 리드용 로크
CN106939742B (zh) 车辆用门锁装置
GB2424244A (en) Latch apparatus allowing retraction under restriction of latch movement
US881422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WO2008039935A2 (en) Uni-directional cinching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cinching latch assembly
JP4772672B2 (ja) 自動車ドアラッチ
GB2520103A (en) Latch assembly with pawl switch override device
GB2457680A (en) A latch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door
KR20070083458A (ko) 동력 지원 개폐 장치
CN215212875U (zh) 车用门锁装置
EP3029230B1 (en) Relay mechanism of vehicle sliding door
JP4295992B2 (ja) ドアの自動閉鎖装置
CN210217432U (zh) 门锁装置及车门
GB2415740A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JP4566065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06328704A (ja) ドアラッチ装置
KR20080023528A (ko) 트렁크도어의 도어래치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