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458A - 동력 지원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지원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458A
KR20070083458A KR1020077000908A KR20077000908A KR20070083458A KR 20070083458 A KR20070083458 A KR 20070083458A KR 1020077000908 A KR1020077000908 A KR 1020077000908A KR 20077000908 A KR20077000908 A KR 20077000908A KR 20070083458 A KR20070083458 A KR 2007008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nematic chain
latch
switchgear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소니 어브리
타밈 벨하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filed Critical 발레오 시큐리티 하비태클
Publication of KR2007008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1Geared sectors or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05B2047/0028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using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개방 가능한 패널의 동력 지원 개폐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에 결합/분리하기 위한 래치(9)와, 상기 래치(9)를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래치(9)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멈춤쇠(10)와, 일단부가 모터(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래치(9)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한 제 1 운동학적 체인(3)과, 일단부가 상기 모터(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멈춤쇠(10)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개방을 위한 제 2 운동학적 체인(4)을 포함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1)는 관통 샤프트(2)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샤프트(2)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과의 구동 결합을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운동학적 체인(4)과의 구동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 지원 개폐 장치{DEVICE FOR ASSISTING IN OPENING/CLOSING AN OPENABLE UNIT}
본 발명은 개방 가능한 유닛의 개폐를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장치는 패널 밀봉 스트립의 압축 도중에 폐쇄를 보조하고 또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방을 보조하기 위한, 하나 또는 2개의 폐쇄 정지부(closing catch)를 포함하는 사이드 도어와 같은 자동차 분야에서의 개방 가능한 패널의 로크(lock)에 적용된다.
출력을 갖는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모터 또는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 지원 개폐 시스템(power-assisted opening and closing system)이 현재 시장에서 이용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일례는 국제 특허 공개 제 0049252 호이다.
국제 특허 공개 제 0049252 호에서, 이 장치는, 스트라이커에 분리/결합하기 위한 래치(latch)와, 이 래치를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래치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멈춤쇠(pawl)와, 동력 지원 폐쇄 중에 래치에서 작동 가능한 링크와, 일단부가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링크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한 제 1 운동학적 체인과, 일단부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멈춤쇠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개방을 위한 제 2 운동학적 체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에서, 하나의 모터가 전자기 클러치와 함께 양쪽 회전 방향으로 작동하여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제어한다. 폐쇄 상태 중에, 모터는 먼저 제 1 정지부에 대해서 그리고 나서 제 2 정지부에 대해서 피니언을 작동시키고 래치를 폐쇄시킨다. 개방 상태에서 모터는 피니언을 다른 방향으로 작동시키며, 멈춤쇠의 작용에 의해 래치를 해제시킨다. 스프링을 갖는 전자기 클러치는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작동할 때 부품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또한 폐쇄 또는 개방 체인에서 발생하는 잔류 응력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모터를 두 방향, 즉 개폐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 수단을 필요로 하며, 이로써 운동학적 체인이 복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신뢰도가 낮아지고 가격이 비싸진다. 또한, 동일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전자기 클러치 및 이 클러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전자기 클러치는 2개의 스위치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데, 이들 두 부품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그 중 하나는 래치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멈춤쇠와 접촉한다. 이들 스위치는 상당히 큰 비용을 나타내며, 전자 장치에 관해서는 장시간 사용 후에 비교적 신뢰도가 낮거나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또는 조작 수단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고, 기계적 신뢰도가 보다 높으며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의미에서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 기술의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목적을 위해 각각 고유한 이점을 갖는 2개의 특정 실시예를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라이커(striker)에 분리/결합하는 래치(latch)와, 이 래치를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 로크하고 상기 래치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멈춤쇠와, 일단부가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작동 수단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한 제 1 운동학적 체인과, 일단부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멈춤쇠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개방을 위한 제 2 운동학적 체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개방가능한 패널의 동력 지원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관통 샤프트를 포함하고, 이 축의 일단부가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과 구동 결합을 형성하고, 샤프트의 타단부가 상기 제 2 운동학적 체인과 구동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제 1 운동학적 체인은, 래치와 접촉하고 있는 단부에서 동력 지원 폐쇄 중에 래치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unilateral actuation means)을 포함한다.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은, 동력 지원 폐쇄 중에, 즉 제 1 운동학적 체인이 작동할 때, 래치를 가압하거나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방 가능한 패널을 개방하는 동작 중에 래치와의 접촉으로부터 그리고 회전 경로로부터 회수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래치가 장애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는 관통 샤프트을 갖는 하나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양측으로부터 토크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의 이점 중 하나는, 동력 지원 개폐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운동학적 체인은 자재륜(freewheel)을 포함하는데, 이 자재륜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을 전달하여, 상기 운동학적 체인이 접촉에 의한 일방향 작동 수단을 거쳐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해 래치에 작용하도록 하고, 상기 자재륜은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운동학적 체인을 구성하는 피니언 또는 휠은 양쪽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재륜을 갖는 제 1 실시예의 이점은, 이 부품의 단순성 및 기계적 신뢰성에 있고, 이에 의해 전용 제어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자재륜은 클러치로 대체된다. 따라서, 제 1 운동학적 체인은 상기 작동 수단에 대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의 작용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를 포함할 것이다. 이 해결책에서, 클러치는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을 재가동시켜 이 제 1 운동학적 체인이 상기 작동 수단에 작용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클러치를 작동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복귀 스프링에 결합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운동학적 체인의 피니언 또는 휠은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 및 복귀 스프링을 사용하면, 폐쇄 중에 제 1 운동학적 체인에 영구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이점은,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 샤프트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만 모터의 전자 제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운동학적 체인에 사용되는 캠 자재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완전 개방" 위치의 래치, 멈춤쇠 및 제 2 운동학적 체인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한정된 기능을 충족시키는 개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은 링크(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품(8)은 국제 특허 공개 제 0049252 호에 개시된 것과 정확히 동일하게 래치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지지면을 갖는 기어 휠일 수 있다.
도 1, 2 및 3, 4에 각각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지원 개폐 장치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양자는 다음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 관통 샤프트(2)을 갖는 단일의 전기 모터(1)로서, 관통 샤프트의 단부가 모터(1)의 양측에 위치되어 제3 운동학적 체인(3) 및 제4 운동학적 체인(4)이 모터(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전기 모터(1)와,
- 2개의 구동 휠(5, 6)과 링크(8)에 작용하는 섹터 기어(7)를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휠(5)이 관통 샤프트(2)의 일 단부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동력 지원 폐쇄되도록 설계된 제 1 운동학적 체인(3)과,
- 제 1 운동학적 체인(3)에 의해 작동되면 래치(9)를 가압하여 개방 가능한 패널을 폐쇄시키는 것을 돕도록 구동하는 링크(8)로서, 특히 동력 지원 폐쇄 도중에, 스트라이커가 개방 가능한 패널상에 있고 래치(9)가 개방 가능한 패널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경우에 관계 없이, 래치(9)가 스트라이커(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상에 걸려서 개방 가능한 패널을 프레임을 향해서 잡아당기도록 되어 있는, 링크(8)와,
-스트라이커용 하우징(첨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2개의 대략 평행한 아암을 갖는 U자 형상의 래치(9)와,
- 대략 직선 축을 따라 연장되고, 일단부에는 래치(9)를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 로크시키기 위한 돌출 스퍼(spur)(11) 또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그 위에 장착된 크랭크 핀(13)과 접촉하는 대체로 곡선 또는 원형 접촉면(12)을 갖는 멈춤쇠(10)와,
관통 샤프트(2)의 타 단부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예컨대 원통 형상의 크랭크 핀(13)을 구비하는 단일 피니언(14)을 포함하는 동력 지원 개방을 위해 설계된 제 2 운동학적 체인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1)는 하우징 등에 수용되어, 이 하우징으로부터 관통 샤프트(2)의 2개의 각 말단이 대향 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통상의 설계로 되어 있는 관통 샤프트(2)은 직선으로 연장되고, 2개의 말단은 2개의 운동학적 체인(3, 4)을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운동학적 체인(3) 또는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한 운동학적 체인은, 상이한 직경의 2개의 휠(15, 16)을 포함하는 제 1 구동 휠(5)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휠 중 큰 휠(15)은 그것을 구동하는 관통 샤프트(2)의 일 단부와 접촉하고, 즉 휠(15)의 외주면이 관통 샤프트의 일 단부와 접촉하는 반면, 제 1 휠(15)보다 직경이 작은 제 2 휠(16)은 제 2 구동 휠(16)의 하나의 휠(17)과 접촉하여 그것을 구동시킨다. 제 2 구동 휠(6)은 휠(17)과 제 2 휠(18) 사이에 위치하고 휠(17)보다 직경이 작은 캠형 자재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휠(18)은 섹터 기어(7)와 접촉하고 있고, 제 2 휠(18)에 접촉하는 섹터 기어의 표면은 원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물론, 캠 또는 롤러형 자재륜을 램프(ramp)형 자재륜 또는 모터(1)의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고 또 이 회전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종류의 자재륜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운동학적 체인(3)은, 링크(8)와 접촉하는 말단에, 이 링크(8)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섹터 기어(7)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자재륜이 허용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휠(18)을 구동하고 그에 따라 섹터 기어(7)를 구동하면, 섹터 기어(7)도 링크(8) 또는 작동 링크를 회전시키고 구동시킨다. 여기서, 링크(8)는 래치(9)를 회전시키도록 래치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래치(9)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최종 동작은 동력 지원 폐쇄의 최종 동작이다.
제 1 실시예의 배경에서, 자재륜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는데, 이것은 자재륜의 관점에서의 모터의 하나의 작동 방향과, 자재륜의 관점에서의 모터의 하나의 비작동 방향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력 지원 개방 중에,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선택된 예에서 모터(1)가 작동하여 관통 샤프트(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 2 운동학적 체인(4)에서, 피니언(14) 및 그것의 크랭크 핀(13)이 회전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멈춤쇠(10)의 기본적으로 곡선형 또는 원형 단부(12)와 접촉하고 있는 크랭크 핀(13)은 멈춤쇠(10)를 구동하여, 래치(9)를 해제하고 자동차의 도어와 같은 개방 가능한 패널을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1 운동학적 체인(3)도 관통 샤프트(2)의 타단부의 작동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2개의 구동 휠(5, 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지만, 관통 샤프트(2)이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구동 휠(6)의 2개의 휠(17, 18) 사이에 커플링을 형성하는 자재륜은 회전할 수 없다. 즉, 자재륜은 비활성화되며, 그에 따라 휠(18)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섹터 기어(7) 및 링크(8)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 또는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동력 지원 폐쇄 중에, 모터(1)가 작동하여 관통 샤프트(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운동학적 체인(3)을 구동하며, 이제 자재륜이 작동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휠(18)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섹터 기어(7)를 구동시킨다. 섹터 기어(7)에 의해 작동되면, 링크(8)가 래치(9)를 가압하여 래치(9)를 구동하고, 이것은 개방 가능한 패널을 구동하여 폐쇄를 돕는다. 제 2 운동학적 체인(4)에 관계없이, 피니언(14)이 회전하면 크랭크 핀(13)은 멈춤쇠(10)가 래치(9)를 고정시키는 최초의 위치로 간단히 복귀한다.
동력 지원 폐쇄 후에, 링크(8)는 래치(9)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패널이 개방(모터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되면, 링크(8)의 복귀 스프링의 존재가 그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래치(9)로부터 링크(8)의 접촉을 해제시켜 개방시킨다.
물론, 안전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기능 중 하나는 개방 가능한 패널을 어느 순간에, 특히 동력 지원 폐쇄의 중간에 개방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오버라이드(override)" 기능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오버라이드에 의한 동력 지원 폐쇄의 경우에, 개방 가능한 패널이 폐쇄되는 동안 그것을 개방하려는 요청이 생기면,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1)가 정지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널을 개방한다. 이 동작은, 당업자에게 익숙한 종래의 모터(1)의 전자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샤프트(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동력 지원을 폐쇄하면, 휠(17)이 화살표(19)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20)를 고정시키고 휠(18)을 구동하는 반면, 관통 샤프트(20)이 화살표(19') 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동력 지원 개방), 휠(17)이 롤러(20)에서 미끄러지고 휠(18)이 구동되지 않는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제 1 실시예의 자재륜은 제 2 구동 휠(6)의 휠(17)과 휠(18) 사이의 동일 위치에서 전자기 클러치(첨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로 교체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동력 지원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관통 샤프트(2)의 하나의 회전 방향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동력 지원 개방 상태에서, 모터(1)가 작동하여 관통 샤프트(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니언(14)을 회전시키고 또 부착된 크랭크 핀(13)을 도 4에 도시된 "완전 개방" 위치까지 구동하며, 여기서 멈춤쇠(10)가 래치(9)를 해제하고, 멈춤쇠(10)의 기본적으로는 곡선형 또는 원형 표면(12)이 크랭크 핀(13)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멈춤쇠(10)가 상승하여 래치(9)를 해제함으로써, 개방 가능한 패널, 예컨대 도어를 개방시킨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터(1)의 관통 샤프트(2)도 제 1 운동학적 체인(3)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여기서 클러치가 휠(17, 18)을 분리시키므로, 섹터 기어(7)와 링크(8)는 움직이지 않는다.
동력 지원 상태에서, 모터(1)가 작동하고 관통 샤프트(2)이 동력 지원 개방의 경우와 동일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예컨대 클러치가 휠(17, 18)과 결합하므로, 섹터 기어(7)가 링크(8)를 구동시키고, 링크는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치(9)에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크랭크 핀(13)과 멈춤쇠(10)는 최초로 동력 지원 상태 후에 이루어지는 도 4에 도시된 "완전 개방" 위치에 있다.
따라서, 클러치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 가능한 패널을 개폐하려는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 1 운동학적 체인(3)의 작동/비작동 상태를 결정하는 수단(첨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운동학적 체인(3)의 작동 상태는 섹터 기어(7)와 링크(8)가 실제로 구동되는 것에 대응하고, 제 1 운동학적 체인(3)의 비작동 상태는 이들 섹터 기어(7) 및 링크(8)에 비구동이 적용되어 그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것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오버 라이드에 의한 동력 지원 폐쇄의 경우에, 폐쇄 중에 개방의 요청이 있으면, 클러치는 비활성화되어 휠(17, 18)을 분리함으로써 제 1 운동학적 체인(3)을 비활성화되게 한다. 모터(1)는 계속 회전하고 패널의 개방은 크랭크 핀(13)을 거쳐 실행된다.

Claims (10)

  1. 스트라이커를 결합 및 해제하는 래치(9)와,
    상기 래치(9)를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 로크시키고 상기 래치(9)를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한 멈춤쇠(10)와,
    일단부가 모터(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래치(9)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폐쇄를 위한 제 1 운동학적 체인(3)과,
    일단부가 상기 모터(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멈춤쇠(10)에 연결되는 동력 지원 개방을 위한 제 2 운동학적 체인(4)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개방 가능한 패널을 동력 지원 개폐(power-assisted opening/closing)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1)는 관통 샤프트(2)를 포함하고, 이 관통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과의 구동 접속을 형성하고, 관통 샤프트의 타단부는 상기 제 2 운동학적 체인(4)과의 구동 접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은, 상기 래치와 접촉하는 단부에, 동력 지원 폐쇄 중에 상기 래치(9)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학적 체인(3, 4)은 상기 모터(1)의 대향 측면에 전체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은 상기 접촉에 의해 일방 작동 수단(8)과 접촉하는 단부에서 상기 일방 작동 수단(8)에 대해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섹터 기어(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운동학적 체인(4)은 크랭크 핀(13)이 제공된 피니언(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은 자재륜을 포함하며, 이 자재륜은 제 1 방 향(19)으로 회전하면 구동을 전달하여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이 상기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8)을 거쳐 상기 래치(9)에 작용하여 동력 지원 폐쇄하도록 하고, 상기 자재륜은 상기 제 1 방향(19)과 반대 방향(19')으로 회전하면 작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은 상기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8)에 대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의 작동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 클러치와 같은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을 재활성화시켜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이 상기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8)에 대해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작동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클러치가 상기 복귀 스프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사용자가 개방 가능한 패널을 각각 개폐하려는 요구에 따라 상기 제 1 운동학적 체인(3)의 비작동/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에 의한 일방 작동 수단(8)은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지원 개폐 장치.
KR1020077000908A 2004-06-14 2005-06-06 동력 지원 개폐 장치 KR20070083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6406A FR2871498B1 (fr) 2004-06-14 2004-06-14 Dispositif d'assistance a l'ouverture/fermeture d'un ouvrant
FR0406406 2004-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458A true KR20070083458A (ko) 2007-08-24

Family

ID=3494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908A KR20070083458A (ko) 2004-06-14 2005-06-06 동력 지원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164703A1 (ko)
EP (1) EP1759076B1 (ko)
JP (1) JP2008502826A (ko)
KR (1) KR20070083458A (ko)
CN (1) CN101001999A (ko)
AT (1) ATE377688T1 (ko)
BR (1) BRPI0512078A (ko)
DE (1) DE602005003227T2 (ko)
FR (1) FR2871498B1 (ko)
WO (1) WO2005124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8960B1 (fr) * 2009-08-06 2011-12-09 Valeo Securite Habitacle Actionneur a assistance a la fermeture pour serr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associe
CN204826944U (zh) * 2014-02-14 2015-12-02 因特瓦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锁闩的致动器和车辆锁闩
DE102015111149A1 (de) * 2015-07-09 2017-01-12 Kiekert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Fronthauben mit elektrischem Antrieb
US11105128B2 (en) * 2018-02-28 2021-08-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with clutch selectively engaged by magnetic fiel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2793B1 (fr) * 1983-03-14 1985-07-19 Mecanismes Comp Ind De Serrure a ouverture electrique, notamment pour portieres de vehicules automobiles
IT1195347B (it) * 1986-10-17 1988-10-12 Roltra Spa Serratura ad azionamento elettrico per veicoli
US4969672A (en) * 1989-05-15 1990-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eck lid release actuator
US4974885A (en) * 1989-10-31 1990-12-04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locking trunk lid of motor vehicle
US5667263A (en) * 1994-09-01 1997-09-16 Kiekert Aktiengesellshaft Power-actuated motor-vehicle door latch
DE19828040B4 (de) * 1998-06-24 2005-05-19 Siemens Ag Kraftunterstützte Schließeinrichtung
US6076868A (en) * 1999-02-09 2000-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ompartment latch
BR0008353A (pt) * 1999-02-18 2002-01-29 Atoma Int Corp Conjunto de trava de porta energizado para engatar um batente de porta, e, conjunto de porta
FR2803619B1 (fr) * 2000-01-07 2002-09-13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serrure electrique pour une porte d'un vehicule
DE10137800B4 (de) * 2001-08-06 2005-04-14 Webasto Ag Schlie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Kofferraumklappe
DE10239734A1 (de) * 2002-08-26 2004-03-1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Klappenschluß o. dgl.
DE10344244B4 (de) * 2002-09-28 2008-04-24 Witte-Velbert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ss
EP1734209B1 (en) * 2005-06-15 2013-08-14 Intier Automotive Closures S.p.A. Automotive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2078A (pt) 2008-02-06
DE602005003227T2 (de) 2008-09-11
US20080164703A1 (en) 2008-07-10
EP1759076A1 (fr) 2007-03-07
FR2871498B1 (fr) 2006-09-08
ATE377688T1 (de) 2007-11-15
JP2008502826A (ja) 2008-01-31
DE602005003227D1 (de) 2007-12-20
CN101001999A (zh) 2007-07-18
EP1759076B1 (fr) 2007-11-07
FR2871498A1 (fr) 2005-12-16
WO2005124072A1 (fr)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937B2 (en) Lock, particularly a tailgate lock for a motor vehicle
US7059640B2 (en) Lock, especially for the doors, flaps or the like, of motor vehicles
CN110159104B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致动该闭合闩锁组件的方法
KR100567973B1 (ko) 차량 도어 또는 다른 클로져용 래치 장치
JP4566037B2 (ja) ドアラッチ装置
CN110219525B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用于致动该闩锁组件的方法
US7762594B2 (en) Uni-directional cinching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cinching latch assembly
US8485571B2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KR20100019468A (ko) 자동차의 개방을 위한 폐쇄 보조 전기 잠금 장치
KR20140139502A (ko) 차량 도어 록,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방법
JPS59118970A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2002536568A (ja) 電気的な閉扉補助手段と開扉補助手段とを備えた自動車ドアロック機構またはこれに類するもの
JP2016503472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JP2004511687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KR20070083458A (ko) 동력 지원 개폐 장치
JP2004107893A (ja) 駆動装置およびドアクローザ
EP1176273B1 (en) Latch arrangement
WO2000049252A1 (en) Power door latch assembly
JP4105806B2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JPH10246047A (ja) ドアオートクローザー
JP2003227263A (ja) 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4295992B2 (ja) ドアの自動閉鎖装置
WO2006011654A1 (en) Vehicle door operation apparatus
JP2803122B2 (ja) ドア閉鎖装置
KR101171921B1 (ko) 전동식 게이트 래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