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337A -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337A
KR20140129337A KR1020147027378A KR20147027378A KR20140129337A KR 20140129337 A KR20140129337 A KR 20140129337A KR 1020147027378 A KR1020147027378 A KR 1020147027378A KR 20147027378 A KR20147027378 A KR 20147027378A KR 20140129337 A KR20140129337 A KR 2014012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plate glass
glass material
cutter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207B1 (ko
Inventor
타카노리 키리토시
마코토 사토
케이지 츠지타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6Cutters being movable in the cut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5Cutters being movable in the cutting h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박판 유리재(1)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20)와, 반송기(20)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퇴피 롤러(81)와,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단부에 형성하는 분단 라인의 내외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1)를 유지하는 유지기(70)와, 반송기(20)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1)의 분단 라인 위치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절단대(30)와, 절단대(3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분단 라인을 형성하는 커터(52)를 구비한 스크라이브기(50)와,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절단대(30)를 밀어 올려 분단 라인에서 박판 유리재(1)를 분단하는 분단기(40)와, 분단기(40)로 분단된 유리재 단부를, 퇴피 롤러(81)를 퇴피시켜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배출기(80)를 구비시켜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안정적으로 분단해서 소정 치수의 박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분단 장치(10)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SHEET GLASS MATERIAL DIVIDING DEVICE}
본 발명은 판형으로 성형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를 분단하여 소정 치수의 박판 유리를 얻기 위한 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플레이 유리나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 등에 박판 유리(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리, 커버 유리 등을 총칭하여 "박판 유리"라고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박판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플로트법과 퓨전법이 채용되고 있다. 플로트법은 유리 원료가 용융 주석으로 채워진 플로트 배스에 공급되고, 이 용융 주석 위에 뜬 상태의 유리 원료가 판형으로 성형된다. 한편, 퓨전법은 유리 원료가 퓨전 파이프에 공급되고, 이 퓨전 파이프에서 오버플로된 유리 원료가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판형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형성되는 박판 유리재로는 예를 들어 두께가 1mm 이하의 박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판형으로 성형된 박판 유리재는 소정의 길이 치수로 분단된 후에, 양 폭방향 단부가 분단되어 소정의 폭 치수의 박판 유리가 된다. 또한,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박판 유리재의 반송 방향을 "길이 방향",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로서, 플로트법에 의해 제조되는 띠 모양의 박판 유리에 절근선을 부여하고, 그 절근선의 내측을 지지용 롤러로 지지하고, 절근선의 외측을 눌러깨뜨림 롤러로 아래쪽으로 눌러 박판 유리의 이부(耳部)(폭방향 단부)를 절단하는 이부 절단 장치에 있어서, 이부를 눌러깨뜨림 롤러의 외측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이부 지지 롤러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102204호
그렇지만, 상기한 플로트법이나 퓨전법에 의해 형성되는 박판 유리재는 그 폭방향 단부(이부)에 두께가 안정되지 않는 부분(이하, "비드부"라고 한다)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 폭 방향 단부를 지지용 롤러로 아래쪽에서 지지하면서 위쪽에서 눌러깨뜨림 롤러로 절단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박판 유리재를 지지용 롤러와 이부 지지용 롤러로 아래쪽에서 지지하고, 그 롤러 사이를 위쪽에서 1개의 눌러깨뜨림 롤러로 눌러 폭 방향 단부를 전단하도록 절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끝쪽 가장자리를 깨끗이 절단하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박판 유리재를 반송하면서 위쪽에서 눌러 절단하므로 폭 방향 단부가 제품이 되는 부분에 접촉하여 흠을 낼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플로트법에 의해 성형된 박판 유리처럼 박판 유리재를 반송하면서 절단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퓨전법에 의해 형성된 박판 유리재와 같이, 제조 때에 아래쪽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하단부에 큰 비드부(물방울 모양으로 굳어진 부분)가 형성되어 길이 방향이 소정 치수로 절단 가공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를 소정 위치에서 분단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또한, 최근, 보다 얇은 판유리의 요구가 있고, 그 얇은 판유리의 단부에 형성되는 비드부를 안정적으로 분단하여 소정 크기의 박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분단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부에 비드부가 형성된 박판 유리재이라도 그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안정적으로 분단하여 소정 치수의 박판 유리를 얻을 수 있는 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며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와, 상기 반송기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한 상태와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한 상태로 변위 가능한 퇴피 롤러와,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형성하는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그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와, 상기 반송기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분단 라인 위치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절단대와, 상기 절단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분단 라인을 형성하는 커터를 구비한 스크라이브기와,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절단대를 지점으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상기 분단 라인에서 분단하는 분단기와, 상기 분단기로 분단된 유리재 단부를, 상기 퇴피 롤러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켜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배출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라, 박판 유리재를 반송기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폭 방향의 유리재 단부의 분단 위치를 아래쪽에서 절단대로 지지하는 동시에 퇴피 롤러로 폭 방향의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하고, 절단대와 대향하는 박판 유리재의 상면에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로 분단 라인을 형성하고, 커터를 퇴피시키고 절단대를 지점으로 하여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를 분단 라인에서 아래로 분단하면, 길이 방향이 소정 치수로 절단 가공된 박판 유리재의 단부에 형성된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으로 분단하여 소정 치수의 박판 유리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유리재 단부를 분단 라인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려 분단하기 때문에 끝쪽 가장자리를 깨끗이 분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절단대에 의해 폭 방향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한 후, 퇴피 롤러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킴으로써 분단된 양단부의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제품 부분에 접촉시키지 않고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단기는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절단대를 밀어 올려 상기 분단 라인에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절단대를 밀어 올림으로써 이 절단대를 지점으로 하여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으로 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단기는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퇴피 롤러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키면서 분단 라인의 바깥쪽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를 눌러 내려서 상기 분단 라인에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퇴피 롤러와 폭 방향 바깥쪽 위치의 유지기로 폭 방향 단부를 눌러 내림으로써 절단대를 지점으로 하여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으로 분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대와 커터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박판 유리재의 단부를 분단하는 치수를 조정하여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대는 상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며, 머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터의 칼날 두께보다 폭이 넓은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터로 박판 유리재에 분단 라인을 새길 때에, 커터는 절단대의 오목부를 따라 박판 유리재에 분단 라인을 새기므로 분단 라인을 새길 때에 커터의 칼날로 절단대의 상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재를 상기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 쪽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절단대에서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분단 바와,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면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박판 유리재에 분단 라인을 새긴 커터를 퇴피시킨 후, 절단대로 박판 유리재를 밀어 올리면 누름 부재로 아래쪽을 향해 눌린 박판 유리재를 분단 라인에서 쉽게 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누름 부재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길이 방향 복수 부분을 점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박판 유리재의 표면("A면"이라고도 한다)에 접촉하는 부분을 복수의 점으로 하여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유리재를 상기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절단대에서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분단 바와,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으로 흡입하는 흡입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박판 유리재의 안쪽 위치는 아래쪽에서 흡입 부재로 흡입하여 아래로 누르므로 박판 유리재의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의 표면에는 전혀 건드리지 않고 분단 라인에서 폭 방향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할 수 있어 박판 유리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한, 소정 길이의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며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와, 상기 반송기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한 상태와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한 상태로 변위 가능한 퇴피 롤러와,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형성하는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그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와, 상기 반송기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분단 라인 위치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절단대와, 상기 절단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분단 라인을 형성하는 커터를 구비한 스크라이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라이브기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반송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커터 유닛을 갖고, 상기 2개의 커터 유닛은 각각 상기 박판 유리재에 분단 라인을 새기는 범위에서 퇴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1개의 커터 유닛에 구비된 커터의 점검ㆍ교환 때에 다른 커터 유닛의 커터로 분단 라인의 가공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커터의 점검ㆍ교환 때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기의 정지 시간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에 큰 비드부가 형성된 박판 유리재이어도 그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분단하여 소정 치수의 박판 유리를 얻는 것이 안정적으로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단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분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크라이브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스크라이브기에 있어서 커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절단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절단대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분단기와 배출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배출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배출기에 있어서 퇴피 롤러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유지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박판 유리재와 절단대, 스크라이브기, 유지기, 분단기 및 배출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분단 장치로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평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낸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후속하는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c는 도 13b에 후속하는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d는 도 13c에 후속하는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a는 도 13c에 나타낸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과 다른 예의 개략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후속하는 박판 유리재를 분단하는 흐름을 정면도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도 2에 나타낸 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박판 유리재(1)의 반송 방향(W)을 "전후 방향"이라고도 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분단 장치(10)는 문(門) 형태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11)에 각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1)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중간 서브 프레임(12)에는 박판 유리재(1)를 반송 방향(W)(도 2)으로 반송하여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기(20)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21)의 상면이, 박판 유리재(1)의 반송 라인(P)("패스 라인"이라고도 한다)이다.
또한, 반송기(20)에는 벨트 컨베이어(21)의 폭 방향 바깥쪽에 절단대(30)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대(30)는 벨트 컨베이어(21)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반송 방향(W)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대(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승시킴으로써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단부를 분단 라인(L)(도 12)에서 분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기(20)의 위쪽에, 스크라이브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크라이브기(50)는 박판 유리재(1)에 있어서의 양쪽의 유리재 단부(2)에 분단 라인(L)을 형성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11)에 지지된 상부 서브 프레임(13)에 2개가 병설되어 있다. 스크라이브기(50)에는 아래쪽을 향해 커터(52)가 설치된 커터 유닛(5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스크라이브기(50)에 설치된 커터(52)와 상기 절단대(30)는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절단대(30)의 중심과 커터(52)의 중심이 동일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판 유리재(1)의 위쪽에는 상기 반송기(20)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배치한 박판 유리재(1)를 유지하는 유지기(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기(70)는 상기 반송기(20)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1) 중 안쪽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21)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면 누름 부재(71)를 가지고 있다. 이 상면 누름 부재(71)는 상기 스크라이브기(5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면 누름 부재(71)는 후술하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에서 흡입하는 흡입 부재(72)에 의해 박판 유리재(1)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반송기(20) 및 스크라이브기(50)의 바깥쪽에는 박판 유리재(1)의 옆쪽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퇴피 롤러(81)와, 박판 유리재(1)의 단부를 위쪽에서 눌러 유지하는 분단 바(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단 바(41)는 위쪽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42)에 의해 정확하게 상하 이동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퇴피 롤러(81)와 분단 바(41)는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분단 바(41)는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단부를 퇴피 롤러(81)에 의해 유지하는 구성이기도 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단대(30)를 밀어 올려 박판 유리재(1)를 분단 라인(L)에서 분단할 때에 박판 유리재(1)의 단부를 유지하는 분단기(40)의 구성기도 하다.
또한, 퇴피 롤러(81)는 축을 수평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롤러 부재(82)가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양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롤러 부재(82)에 의한 박판 유리재(1)의 지지는 비드부(B)(도 12)의 폭 방향 안쪽에 설정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하부에는 박판 유리재(1)에서 분단된 유리재 단부(2)가 배출되는 배출 슈트(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슈트(87)는 메인 프레임(11)에 설치된 하부 서브 프레임(1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분단 라인(L)에서 분단된 유리재 단부(2)는 상기 퇴피 롤러(81)를 옆쪽으로 퇴피시켜 배출 슈트(87)에 배출된다. 이 유리재 단부(2)를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구성이, 배출기(80)이다. 배출 슈트(87)에 배출된 유리재 단부(2)는 다른 기기에 의해 반출된다(도시 생략).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1)은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도 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11)의 반송 방향(W)의 거의 중심 위치에, 상기 반송기(20), 스크라이브기(50), 분단기(40) 및 배출기(8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스크라이브기(50)에, 각각 2개의 커터 유닛(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박판 유리재(1)에 있어서의 한쪽 유리재 단부(2)에 분단 라인(L)을 형성하는 1개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이 커터 유닛(51)은 스크라이브기(5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61)을 따라 박판 유리재(1)의 반송 방향(W)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1)은 반송 방향(W)의 상류측에서 하류측까지 연속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유닛(60)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터 유닛(51)에는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65)는 가이드 유닛(60)에 설치된 구동기(66)로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67)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 구동기(66) 및 타이밍 벨트(67)는 가이드 유닛(60) 내에서 상하로 병설되어 있으며, 2개의 커터 유닛(51)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1)과 가이드 부재(65)의 조합으로는 예를 들어, LM(Linear Motion) 가이드가 사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커터 유닛(5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레일(61)을 메인 프레임(1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돌출하도록 연장함으로써 한 쪽의 커터 유닛(51)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의 커터 유닛(51)을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돌출된 부분에 퇴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커터 유닛(51)을 왼쪽으로 퇴피시켜 커터(52)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한 쪽의 커터 유닛(51)에 의해 분단 라인(L)을 가공할 때에, 다른 쪽의 커터 유닛(51)을 가이드 유닛(60)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돌출 부분에 퇴피시키고 그 커터(52)의 교환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터 유닛(51)에 의한 분단 라인(L)의 형성 작업을 하면서 소모품인 커터(52)를 교환하는 것 등이 가능하며, 작업 중단 시간을 없앨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60)을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고도 예를 들면 가이드 유닛(60)에 맞춰 메인 프레임(11)의 길이 방향 치수도 늘리는 등 커터 유닛(51)을 실질적으로 퇴피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라이브기(50)가 설치된 상부 서브 프레임(13)에는 상부에 좌우 한 쌍의 스크라이브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라이브기(50)는 분단 장치(10)의 중심축(C)에 대해, 이하의 구성에 의해 좌우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부 서브 프레임(13)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62)이 설치되고, 스크라이브기(5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63)가 상기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LM가이드). 각각의 스크라이브기(50)는 상부 서브 프레임(13)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64)에 의해 동기적으로 서로 폭 방향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스크라이브기(50)에 설치된 상면 누름 부재(71)도 일체적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도 1)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52)와 상면 누름 부재(71)는 폭 방향의 위치 관계를 등간격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라이브기(50)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기(20)와 절단대(30)를 동시에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를 분단하는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유리재 단부(2)가 분단되어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5)의 사이즈를, 예를 들면, 수백 밀리미터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터 유닛(51)은 유닛 프레임(54)에 지지된 구동 실린더(53)와, 이 구동 실린더(53)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로드(55)와, 이 로드(55)의 선단에 설치된 커터(52)를 가지고 있다. 로드(55)는 가이드 부재(56)에 의해 정확하게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 실린더(53)에 의해 커터(52)를 정확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커터(52)의 상하 방향 위치 제어로는 예를 들어 두께가 0.5mm인 박판 유리재(1)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유리 두께의 10%에 해당하는 0.05mm의 깊이로 분단 라인(L)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실린더(53)로 정확한 상하 이동 제어가 이루어진다. 커터(52)로는 예를 들어 롤러 블레이드를 이용한 유리 커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유닛 프레임(54)은 스크라이브기(50)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58)에 설치된 이동 실린더(57)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54)에는 가이드 레일(59)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59)이 고정부(58)를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 실린더(57)에 의해 유닛 프레임(54)과 함께 커터(52)를 위쪽으로 크게 이동시킴으로써 커터(52)의 점검, 교환 작업 등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것들을 작업성 좋고 쉽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이 실시예의 커터 유닛(51)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실린더(53)에 의해 로드(55)를 신장시킴으로써 로드(55)의 하단에 설치된 커터(52)를 박판 유리재(1)를 향해 정확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기(20)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1)에는 서보 모터 등의 구동 모터(22)로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23)가 사용되고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2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좁은 폭 치수의 타이밍 벨트(23)가 사용되고 있으며, 폭 방향으로 4열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21)에 따르면, 구동 모터(22)의 각도 제어에 의해 박판 유리재(1)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21)는 지지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프레임(24)은 중간 서브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반송기(20)의 폭 방향 바깥쪽에 설치된 상기 절단대(30)는 벨트 컨베이어(21)와 평행하게 반송 방향(W)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절단대(30)는 반송 방향 전후 위치의 하부에 연결된 로드(32)와, 이 로드(32)를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3)와, 로드(32)의 하단에 연결된 L자형 링크재(34)와, 이러한 링크재(34)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36)에 의해 아래쪽에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 링크재(34)는 중앙부가 지지축(35)으로 지지된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쪽의 링크재(34)(도시하는 왼쪽)에는 지지축(35)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7)(예를 들어, 서보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37)를 회전시키면, 지지축(35)을 통해 연결 로드(36)로 연결된 전후 위치의 링크재(33,34)가 동기적으로 동작하고, 반송 방향 전후 위치의 로드(32)를 통해 절단대(30)의 자세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절단대(30)를 밀어 올려 박판 유리재(1)를 분단 라인(L)에서 분단하는 구성도, 분단기(40)의 구성에 포함된다. 절단대(30)는 반송기(20)와 함께 지지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지지 프레임(24)은 중간 서브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반송기(20)와 절단대(30)는 중간 서브 프레임(1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지면 직교 방향인 폭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반송기(20)와 절단대(30)는 지지 프레임(24)의 양측부에 가이드부(26)가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부(26)와 가이드 레일(25)이 맞물려 있음으로써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중간 서브 프레임(12)에는 지지 프레임(24)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기(20)와 절단대(30)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기(50)를 동시에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여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를 분단하는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유리재 단부(2)가 분단되어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5)의 사이즈를, 예를 들면, 수백 밀리미터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대(30)의 상단부에는 중앙 부분에 소정 깊이의 오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31)는 절단대(30)의 반송 방향(W)(도 5)에 걸쳐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1)는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분단 라인(L)을 형성하는 커터(52)에 의해 절단대(30)의 상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31)는 커터(52)의 칼날 두께보다 폭 치수가 넓고, 커터(52)에 의한 분단 라인(L)의 형성 때에 커터 아래쪽의 박판 유리재(1)가 절단대(30)에 접하지 않는 깊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단기(40)는 상부 서브 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서브 프레임(13)에는 반송기(20)의 벨트 컨베이어(21)에 의해 반송되는 박판 유리재(1)의 양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퇴피 롤러(81)(도 1)와, 이 퇴피 롤러(81)에 의해 지지되는 박판 유리재(1)를 위쪽에서 누르는 분단 바(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퇴피 롤러(81)는 박판 유리재(1)의 반송 방향(W)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고, 도 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러 부재(82)와 지지축(8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롤러 부재(82)를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한 도 7의 상태에서는 패스 라인(P)은 롤러 부재(8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단 바(41)는 확실하게 박판 유리재(1)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박판 유리재(1)의 반송 방향(W)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분단 바(41)는 구동 실린더(42)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되는 연결체(44)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4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연결체(44)는 가이드 로드(43)에 의해 수평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분단 바(41)의 하면에는 쿠션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재(46)를 설치함으로써 박판 유리재(1)의 표면에 접해도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쿠션재(46)로는 수지재나 고무재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부 서브 프레임(13)에는 박판 유리재(1)의 앞쪽 가장자리가 접하는 스토퍼(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47)는 위치 결정 기능이 있고 박판 유리재(1)의 양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상기 분단 바(41)로 분단되는 유리재 단부(2)(도 2)가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기(80)의 상기 퇴피 롤러(81)는 상부 서브 프레임(13)에 설치된 베어링(83)에 지지된 회전축(84)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84)에는 일측방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지지축(85)이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축(85)의 선단부에 롤러 부재(8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84)은 구동 모터(8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퇴피 롤러(81)에 따르면, 상기 구동 모터(86)의 회전축(84)을 회전시킴에 따라 롤러 부재(82)를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 배치한 지지 상태와,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킨 퇴피 상태로 변위각(α)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변위각(α)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유리재 단부(2)가 롤러 부재(82)에 접촉하지 않는 각도로 설정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면 누름 부재(71)는 상기 스크라이브기(5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면 누름 부재(71)는 스크라이브기(50)의 가이드 유닛(60)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다리(73)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 모터(74)에 위쪽에서 지지되어 있다. 구동 모터(74)는 실린더 등을 이용해도 좋다. 상면 누름 부재(71)는 상기 구동 모터(74)에 전후부가 지지된 지지 부재(75)와, 이 지지 부재(75)에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개의 접촉 부재(76)를 갖고 있다. 접촉 부재(76)는 박판 유리재(1)의 상면과 작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 부재(76)를 작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접촉하는 구조물의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하고 있다. 또한, 접촉 부재(76)의 박판 유리재(1)와 접하는 부분에는 쿠션재(77)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재(77)를 설치함으로써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흠 등이 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쿠션재(77)로는 수지재나 고무재 등이 사용된다.
이 상면 누름 부재(71)는 구동 모터(74)를 동기화시켜 구동함으로써 지지 부재(75)가 수평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74)를 구동함으로써 지지 부재(75)를 통해 모든 접촉 부재(76)를 수평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도 11은 상기한 절단대(30)와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52)와, 반송기(20)의 벨트 컨베이어(21)와 유지기(70)의 상면 누름 부재(71)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76)와, 분단기(40)(도 7)의 분단 바(41)와 배출기(80)(도 8)의 퇴피 롤러(81)에 있어서의 롤러 부재(8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분단 장치(10)의 중심선(C)에서부터 왼쪽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대(30)와 커터(52)가, 패스 라인(P)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반송기(20)의 안쪽 벨트 컨베이어(21)와 유지기(70)의 상면 누름 부재(71)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76)도 패스 라인(P)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단기(40)의 분단 바(41)와 퇴피 롤러(81)의 롤러 부재(82)도 같은 위치 관계에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터(52)와 상면 누름 부재(71)와 분단 바(41)는 패스 라인(P)에 위치한 박판 유리재(1)의 상면을 향해 하강 또는 상면에서 위쪽을 향해 퇴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대(30)는 패스 라인(P)에서 아래쪽으로 퇴피시킨 상태, 패스 라인(P)의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 접하는 상태, 및 패스 라인(P)에서 위쪽을 향해 상승시켜 박판 유리재(1)를 분단 라인(L)(도 12)에서 분단하는 상태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와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단 장치(10)에 의한 박판 유리재(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유리재 단부(2)를 길이 방향에 걸쳐 분단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 치수가 되도록 절단 가공된 박판 유리재(1)가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이 박판 유리재(1)에 대해 폭 방향 양단부에 분단 라인(L)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그 분단 라인(L)에서 비드부(B)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2)를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점쇄선으로 도시) 분단함으로써 소정 크기의 박판 유리(5)가 얻어진다. 이하, 이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를 분단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에서 운반되어 온 박판 유리재(1)가 반송기(20)의 벨트 컨베이어(21)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대(30)가 박판 유리재(1)의 하면에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면 누름 부재(71)가 하강하게 되어 벨트 컨베이어(21)와의 사이에서 박판 유리재(1)가 유지되는 동시에 분단 바(41)가 하강하게 되어 퇴피 롤러(81)와의 사이에서 박판 유리재(1)가 유지된다.
이 도 13b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 누름 부재(71) 대신에 흡입 부재(72)에 의해 박판 유리재(1)를 벨트 컨베이어(21)를 향해 흡입함으로써 유지하는 예도 나타내고 있다. 상면 누름 부재(71) 대신에 흡입 부재(7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재(5)의 상면(A면)에 구조물을 접촉시키지 않고 유리재 단부(2)를 분단 할 수 있으며 A면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52)가 하강하게 되어 박판 유리재(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라이브기(50)에서 커터(52)가 반송 방향(W)으로 보내져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분단 라인(L)이 형성된다(도 12).
다음으로,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52)가 위쪽으로 퇴피하게 된다. 그리고 절단대(30)가 밀어 올려지고, 이 절단대(30)를 지점으로 하여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2)가 분단 라인(L)을 따라 분단된다. 이러한 분단시,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에 큰 비드부(B)(도 12)가 있었다고 해도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중앙 부분을 벨트 컨베이어(21)와 상면 누름 부재(71)로 상하 방향에서 유지하고 있는 동시에 유리재 단부(2)를 퇴피 롤러(81)와 분단 바(41)로 상하 방향에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분단 라인(L)을 따라 안정된 분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커터(52)의 퇴피와 절단대(30)의 밀어 올림은 약간의 시간 차이로 거의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빠른 작업을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 롤러(81)가 바깥쪽을 향해 회전하게 되어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2)가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그 후에 절단대(30)가 하강하게 되고, 상면 누름 부재(71) 및 분단 바(41)가 상승하게 되고, 퇴피 롤러(81)가 박판 유리재(1)를 지지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치수로 유리재 단부(2)가 분단된 박판 유리(5)가 반출되는 동시에 다음의 박판 유리재(1)가 반입된다. 이하, 상기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분단 장치(10)에 따르면, 퓨전법에 의해 형성된 박판 유리재(1)와 같이, 단부에 큰 비드부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를 안정적으로 분단할 수 있으므로 박판 유리재(1)를 원하는 크기로 분단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박판 유리재(1)에 형성한 분단 라인(L)을 절단대(30)로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분단 라인(L)에서 유리재 단부(2)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떼어 놓도록 분단하고, 그 분단된 유리재 단부(2)를 아래쪽으로 배출하므로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5)의 분단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분단할 수 있다.
도 14a, 도 14b에 나타낸 예는 상기 도 13c, 도 13d와 다른 흐름으로 유리재 단부(2)를 분단하는 예이다. 상기 도 13a와 도 13b는 동일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기(50)로 박판 유리재(1)의 상면에 분단 라인(L)을 형성한 후,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기(50)의 커터(52)를 위쪽으로 퇴피시킨 후, 퇴피 롤러(81)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키면서 이 퇴피 롤러(81)와의 사이에서 박판 유리재(1)의 분단 라인 바깥쪽을 유지하고 있는 분단 바(41)를 눌러 내린다.
그리고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분단 바(41)의 눌러 내림에 따라 절단대(30)를 지점으로 하여 비드부를 포함한 유리재 단부(2)가 분단 라인(L)을 따라 분단된다. 이 분단된 유리재 단부(2)는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에, 상면 누름 부재(71) 및 분단 바(41)가 상승하게 되고, 퇴피 롤러(81)가 박판 유리재(1)를 지지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치수로 유리재 단부(2)가 분단된 박판 유리(5)가 반출되는 동시에 다음의 박판 유리재(1)가 반입된다. 이하, 상기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도,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에 큰 비드부(B)(도 12)가 있었다고 해도, 박판 유리재(1)의 폭 방향 중앙부를 벨트 컨베이어(21)와 상면 누름 부재(71)로 상하 방향에서 유지한 상태에서, 유리재 단부(2)를 절단대(30)를 지점으로 하여 분단하므로 유리재 단부(2)를 분단 라인(L)을 따라 안정적으로 분단할 수 있다. 또한, 커터(52)의 퇴피와 퇴피 롤러(81)의 퇴피 및 분단 바(41)의 눌러 내림은 약간의 시간 차이로 거의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빠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절단대(30)를 지점으로 하여 박판 유리재(1)에 형성한 분단 라인(L)을 따라 유리재 단부(2)를 폭 방향 바깥쪽에 떼어 놓도록 분단하고, 그 분단된 유리재 단부(2)를 아래쪽으로 배출하고 있으므로 제품이 되는 박판 유리(5)의 분단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박판 유리재(1)의 유리재 단부(2)를 분단하는 일예를 설명했지만, 반송기(20) 및 스크라이브기(50)를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함으로써 다른 폭 치수의 박판 유리재(1)에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기로서 구동 모터(서보 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이라도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구동기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퓨전법에 의해 형성된 박판 유리재(1)를 주로 설명했지만, 박판 유리재(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유리 분단 장치는 퓨전법과 같이 박판 유리재를 제조할 때에 생길 수 있는 큰 비드부를 분단하여 소정 크기의 박판 유리로 만드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1: 박판 유리재 2: 유리재 단부
5: 박판 유리 10: 분단 장치
20: 반송기 21: 벨트 컨베이어
22: 구동 모터 23: 타이밍 벨트
30: 절단대 31: 오목부
40: 분단기 41: 분단 바
50: 스크라이브기 51: 커터 유닛
52: 커터 53: 구동 실린더
70: 유지기 71: 상면 누름 부재
72: 흡입 부재 80: 배출기
81: 퇴피 롤러 82: 롤러 부재
C: 중심선 L: 분단 라인
P: 반송 라인 W: 반송 방향

Claims (9)

  1. 소정 길이의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며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와,
    상기 반송기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한 상태와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한 상태로 변위 가능한 퇴피 롤러와,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형성하는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와,
    상기 반송기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분단 라인 위치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절단대와,
    상기 절단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분단 라인을 형성하는 커터를 구비한 스크라이브기와,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절단대를 지점으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상기 분단 라인에서 분단하는 분단기와,
    상기 분단기로 분단된 유리재 단부를 상기 퇴피 롤러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켜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배출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기는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절단대를 밀어 올려 상기 분단 라인에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기는 상기 스크라이브기의 커터를 위쪽으로 퇴피시키고, 상기 퇴피 롤러를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시키면서 분단 라인의 바깥쪽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를 눌러 내려서 상기 분단 라인에서 박판 유리재의 유리재 단부를 분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대와 커터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대는 상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며, 머리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터의 칼날 두께보다 폭이 넓은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유리재를 상기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 쪽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절단대에서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분단 바와,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상면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누름 부재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길이 방향 복수 부분을 점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유리재를 상기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절단대에서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분단 바와,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으로 흡입하는 흡입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9. 소정 길이의 박판 유리재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며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반송기와,
    상기 반송기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리재 단부를 아래쪽에서 지지한 상태와 폭 방향 바깥쪽으로 퇴피한 상태로 변위 가능한 퇴피 롤러와,
    상기 박판 유리재의 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형성하는 분단 라인의 안쪽 위치 및 바깥쪽 위치에서 그 박판 유리재를 유지하는 유지기와,
    상기 반송기에 배치된 박판 유리재의 분단 라인 위치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절단대와,
    상기 절단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박판 유리재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분단 라인을 형성하는 커터를 구비한 스크라이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라이브기는 상기 박판 유리재의 반송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커터 유닛을 갖고,
    상기 2개의 커터 유닛은 각각 상기 박판 유리재에 분단 라인을 새기는 범위에서 퇴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유리 분단 장치.
KR1020147027378A 2012-05-24 2012-05-24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KR101628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03385 WO2013175535A1 (ja) 2012-05-24 2012-05-24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337A true KR20140129337A (ko) 2014-11-06
KR101628207B1 KR101628207B1 (ko) 2016-06-08

Family

ID=4962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378A KR101628207B1 (ko) 2012-05-24 2012-05-24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86091B2 (ko)
KR (1) KR101628207B1 (ko)
CN (2) CN203653429U (ko)
IN (1) IN2014KN02871A (ko)
WO (1) WO2013175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6091B2 (ja) * 2012-05-24 2015-09-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US9899546B2 (en) 2014-12-05 2018-02-20 Tesla, Inc. Photovoltaic cells with electrodes adapted to house conductive paste
US9685579B2 (en) 2014-12-05 2017-06-20 Solarcity Corporation Photovoltaic structure cleaving system
KR20160123454A (ko) *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브 장치
CN107216027B (zh) * 2017-07-13 2022-06-03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玻璃裂片机
JP2019098435A (ja) * 2017-11-29 2019-06-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切断ヘッドおよび切断装置
JP6970432B2 (ja) * 2017-11-30 2021-11-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整列装置
CN108383368A (zh) * 2018-05-08 2018-08-10 蚌埠市昆宇机械加工厂 一种玻璃制造加工用切割装置
CN109626805A (zh) * 2018-11-19 2019-04-16 深圳益实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切割分离装置
KR102122427B1 (ko) * 2019-01-09 2020-06-12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단재 제거 장치
JPWO2021131748A1 (ko) * 2019-12-24 2021-07-01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408A (ko) * 2003-08-30 2005-03-08 주식회사 에셀텍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JP2008088012A (ja) * 2006-10-02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基板割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102204A (ja) 2007-10-25 2009-05-14 Central Glass Co Ltd 耳部切断装置
KR20100136958A (ko) * 2008-03-25 2010-12-2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브레이킹 방법 및 유리판 브레이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2112B2 (ja) * 1999-09-03 2008-10-29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リボンの割断方法
JP4258270B2 (ja) * 2003-05-15 2009-04-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325004A (ja) * 2004-05-17 2005-11-24 Central Glass Co Ltd 網入り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5786091B2 (ja) * 2012-05-24 2015-09-3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408A (ko) * 2003-08-30 2005-03-08 주식회사 에셀텍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JP2008088012A (ja) * 2006-10-02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基板割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102204A (ja) 2007-10-25 2009-05-14 Central Glass Co Ltd 耳部切断装置
KR20100136958A (ko) * 2008-03-25 2010-12-2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브레이킹 방법 및 유리판 브레이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75535A1 (ja) 2016-01-12
JP5786091B2 (ja) 2015-09-30
WO2013175535A1 (ja) 2013-11-28
CN203653429U (zh) 2014-06-18
IN2014KN02871A (ko) 2015-05-08
CN103420598A (zh) 2013-12-04
CN103420598B (zh) 2015-09-30
KR101628207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207B1 (ko)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JP4290656B2 (ja) レーザ切断装置、レーザ切断方法及びレーザ切断システム
JP4705139B2 (ja) レーザ切断装置、レーザ切断方法及びレーザ切断システム
KR200482040Y1 (ko) 패널의 절단장치
JP5591918B2 (ja) 包装製造機械におけるツール調節が容易な不要部分排出ユニット
KR101606024B1 (ko) 유리판 절단장치 및 유리판 절단방법
KR20160048718A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KR102179889B1 (ko)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6334919A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この分断ユニットを有する分断装置、および、この分断装置を有する分断設備
TWI558638B (zh)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KR200481991Y1 (ko) 패널의 절단장치
CN103108841A (zh) 板状玻璃的切入分割装置
JP2003277089A (ja) スクライブ・ブレーク兼用装置
CN108137374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3611122B2 (ja) 板材のスク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分断設備
CN108025415B (zh) 板状玻璃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CN214528714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JPH05238542A (ja) ガラス板切断装置
TWI486315B (zh) Sheet breaking device for sheet metal
JP4960405B2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
JP2017001941A (ja) ガラス板の切り出し及び切り出したガラス板の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169045A (ja) 板ガラス切断機における切線加工済み板ガラスの搬送装置。
JP2015107850A (ja) 保護紙剥離分離処理装置
CN214218568U (zh) 基板的切割装置
JP4343804B2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