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889B1 -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889B1
KR102179889B1 KR1020167014356A KR20167014356A KR102179889B1 KR 102179889 B1 KR102179889 B1 KR 102179889B1 KR 1020167014356 A KR1020167014356 A KR 1020167014356A KR 20167014356 A KR20167014356 A KR 20167014356A KR 102179889 B1 KR102179889 B1 KR 102179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glass ribbon
width direction
glass
cut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617A (ko
Inventor
요시히로 시미즈
유지 이치카와
시게요시 다쿠와
고헤이 야마사키
아키히로 사사키
유스케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였을 경우에도,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는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위치 검출기(130)에서 검출한다. 검출된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지 꺾음 장치(90)의 위치 조정부(94)를 제어하고,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시켜,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꺾기 위한 에지 꺾음부(92)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GLASS PLATE}
본 발명은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 유리로부터 유리 리본(띠형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얻어진 유리 리본을 절단하여, 단일의 유리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유리 리본은, 에지부(폭 방향의 양 테두리의 부분)의 두께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은, 에지부가 절단되어 제품 또는 중간 제품으로 된다.
에지부의 절단은, 에지부와 제품부(제품 또는 중간 제품으로 하는 부분)의 경계에 절단선(스크라이브선)을 가공하고, 그 절단선을 따라 에지부를 꺾음으로써 행해진다. 이 에지부를 꺾는 처리는, 에지 꺾음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지며, 유리 리본의 반송 라인 상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유리 리본에 사행 및/또는 유리 리본의 폭에 변화가 발생하면, 적절한 위치에서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 유리판에 손상(외관상의 흠집, 파손)을 끼쳐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고, 그 위치 어긋남양에 따라 플로트 배스 내에서 유리 리본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써, 유리 리본의 사행을 제어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4041호 공보
그런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리 리본의 사행 제어는,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가 높아질수록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유리 리본의 사행을 제어하여, 에지 꺾음 동작의 적정화를 도모한다는 방법에서는,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였을 경우에도,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는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제1 형태는, 유리 리본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를 갖고, 반송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유리 리본을 반송함과 함께,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내어지는 유리판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에 대하여,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유리 리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고, 세로 절단선에 의하여 유리 리본을 제품부와 에지부로 구분하는 세로 절단선 가공 수단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에 대하여,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을 가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잘라내는 가로 꺾음 수단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판을 세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유리판의 제품부로부터 에지부를 분리하는 에지 꺾음 수단과, 에지 꺾음 수단을 유리판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가 변화되도록,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은, 반송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반송 중에 세로 절단선 가공 수단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세로 절단선이 가공된다. 이것에 의하여, 세로 절단선에 의하여, 제품부와 에지부가 구분된다. 또한, 반송 중에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가로 절단선이 가공된다. 세로 절단선과 가로 절단선이 가공된 유리 리본은, 반송로에서 반송 중에 가로 꺾음 수단에 의하여, 가로 절단선을 따라 꺾인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이 잘라내어진다.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은, 그대로 반송로에서 유리 리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되며, 그 반송 중에 세로 꺾음 수단에 의하여 세로 절단선을 따라 꺾인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판의 제품부로부터 에지부가 분리된다.
여기서, 유리 리본이 사행하면, 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유리판의 위치가 변화되어(폭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남), 에지 꺾음 수단으로 적절히 유리판을 꺾을 수 없게 된다. 유리 리본의 폭이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리판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가 변화되어, 에지 꺾음 수단으로 적절히 유리판을 꺾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서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적절한 위치에 에지 꺾음 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어, 안정된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리본의 사행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구비되고, 유리 리본에 가압 접촉되는 커터를 구비하고, 검출 수단은, 이동체에 구비되고, 커터와 함께 이동하여, 반송로에서 반송 중인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커터에 의하여 가로 절단선이 가공된다. 그리고, 그 커터와 함께 이동하는 검출 수단에 의하여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로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서 유리 리본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유리 리본의 폭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제3 형태는, 제2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은, 유리 리본에 대하여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에 대하여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가이드 부재는,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도록 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즉, 유리 리본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유리 리본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도록,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에 부여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어, 손상이 없는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을 갖는 에지부에 있어서, 커터가 가이드 부재 상에서 주행하므로, 커터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제4 형태는, 제3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은, 가이드 부재를 커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와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접촉 부재를 유리 리본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맞추어,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가 기계적으로 변화된다. 이것에 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 부재를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시킬 수 있다.
제5 형태는, 제4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커터를 유리 리본의 주 표면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커터 진퇴 이동 수단과,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커터 검출 수단과,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 진퇴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또한, 커터가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제2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 진퇴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커터 가압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커터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로 절단선을 가공할 때, 커터가 한쪽 에지부(절단 개시측의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그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커터의 가압력이 제어된다. 즉,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제1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의 가압력이 제어된다. 커터가 더 이동하여,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 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제2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의 가압력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는, 약한 가압력으로 가이드 부재 및 에지부 상에 착지하고, 그 후, 강한 가압력으로 유리 리본을 가압하여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유리 리본에 부여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커터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제6 형태는, 제5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커터 검출 수단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커터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여,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1 커터 검출 수단과,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커터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여, 커터가,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2 커터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제1 커터 검출 수단과 제2 커터 검출 수단에 의하여,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그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된다. 제1 커터 검출 수단과 제2 커터 검출 수단은, 가이드 부재와 함께 이동하므로, 유리 리본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그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7 형태는, 제4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설정하는 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이 변화되도록,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설정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 L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이,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화된다.
제8 형태는, 유리 리본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반송 중인 유리 리본에 대하여,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유리 리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고, 세로 절단선에 의하여 유리 리본을 제품부와 에지부로 구분하는 공정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에 대하여,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공정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을 가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잘라내는 공정과,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판을 에지 꺾음 수단을 사용하여 세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유리판의 제품부로부터 에지부를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이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유리판 제조 방법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적절한 위치에 에지 꺾음 수단을 위치시킬 수 있어, 안정된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리본의 사행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9 형태는, 제8 형태의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검출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검출 수단을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반송로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서 유리 리본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어, 용이하게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제10 형태는, 제9 형태의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로 절단선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커터를 이동시켜 가공하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커터와 함께 검출 수단을 이동시켜 검출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커터와 함께 검출 수단을 이동시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11 형태는, 제10 형태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 리본에 대하여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유리 리본에 대하여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항시 일정한 착지점에 커터가 착지하도록, 그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에 부여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어, 손상이 없는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을 갖는 에지부에 있어서, 커터가 가이드 부재 상에서 주행하므로, 커터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제12 형태는, 제11 형태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고, 커터가 한쪽 에지부에 도달하면,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의 가압력을 제어하고, 커터가 한쪽 에지부를 통과하면,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제2 가압력으로 되도록, 커터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커터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로 절단선을 가공할 때, 커터가 한쪽 에지부(절단 개시측의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그 한쪽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커터의 가압력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에 부여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커터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제13 형태는, 제11 형태 유리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변화시키는 형태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이, 유리 리본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였을 경우에도, 적절히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하여,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판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커터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커터 가이드 유닛의 정면도.
도 6의 (A)는 에지 꺾음 장치의 정면도(대기 시), 도 6의 (B)는 에지 꺾음 장치의 정면도(에지 꺾음 동작 시).
도 7은 에지 꺾음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에지 꺾음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에지 꺾음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리판 제조 장치의 구성》
도 1은, 유리판 제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유리판 제조 장치(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을 절단하여, 제품 또는 중간 제품으로서의 유리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1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1변이 1000㎜ 이상, 판 두께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의 얇은 유리판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구성된다.
유리 리본(1)은,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품부(1A)와, 제품부(1A)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에지부(1B)로 구성된다. 제품부(1A)는, 균일한 판 두께를 갖고, 에지부(2B)는, 불균일한 판 두께를 갖는다.
유리 리본(1)은, 플로트법이나 퓨전법 등의 일반적인 유리 리본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며, 도 1에 도시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10)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예를 들어, 플로트법으로 제조되는 유리 리본에 있어서는, 플로트 배스로부터 연속적으로 인출되고, 레이어에서 냉각된 유리 리본이, 도 1에 도시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10)로 반송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0)는, 유리 리본(1) 및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2)을 반송하는 롤러 컨베이어(반송 수단)(20)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대하여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하는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세로 절단선 가공 수단)(30)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대하여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는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40)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을 가로 절단선 L2를 따라 꺾어, 유리 리본(1)으로부터 유리판(2)을 잘라내는 가로 꺾음 장치(80)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세로 절단선 L1를 따라 꺾어, 유리판(2)의 제품부(2A)로부터 에지부(2B)를 분리하는 에지 꺾음 장치(90)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검출 수단)(130)와, 유리판 제조 장치(10)의 전체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컨트롤러(제어 수단)(1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롤러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20)는, 유리 리본(1)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를 갖고, 그 반송로를 따라 유리 리본(1)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한다. 또한,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낸 유리판(2)을 반송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은, 유리 리본(1) 및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1) 및 유리판(2)은, 유리 리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반송된다.
롤러 컨베이어(20)는, 반송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롤러(22)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수단에 구동되어 회전한다. 유리 리본(1) 및 유리판(2)은, 이 회전하는 롤러(22) 상에 적재되어, 동일한 직선 상에서 수평으로 반송된다.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대하여, 유리 리본(1)의 양 테두리 부분에 유리 리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한다. 세로 절단선 L1은, 제품부(1A)와 에지부(1B)를 분리하기 위한 스크라이브선이며, 제품부(1A)와 에지부(1B)의 경계에 형성된다. 유리 리본(1)은, 이 세로 절단선 L1이 가공됨으로써, 제품부(1A)와 에지부(1B)로 구분된다. 에지부(1B)는, 제품부(1A)의 양측에 존재하므로, 세로 절단선 L1은 2줄 가공된다.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는, 한 쌍의 원반형 커터(3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는, 이 한 쌍의 커터(32)를 유리 리본(1)에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유리 리본(1)에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한다.
각 커터(32)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주 표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커터(32)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커터(32)를 유리 리본(1)을 향하여 보냄으로써, 커터(32)가, 규정된 가압력으로 유리 리본(1)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에 세로 절단선 L1이 가공된다.
또한, 각 커터(32)의 위치를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하는 위치가 조정된다.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가로 절단선 L2는, 유리 리본(1)으로부터 유리판(2)을 잘라내기 위한 스크라이브선이며, 전후의 유리판(2)의 경계에 형성된다.
도 2, 도 3은, 각각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의 평면도, 정면도이다.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는, 프레임(42)과, 프레임(42)에 구비되는 커터 구동 유닛(44)과, 커터(46)와, 커터 가이드 유닛(48)과, 커터 검출 유닛(5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는, 커터 구동 유닛(44)에 의하여 커터(46)를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여기서, 가로 절단선 L2는, 유리 리본(1)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가로 절단선 L2는, 유리 리본(1)의 반송 중에 가공된다. 이 때문에, 커터(46)는, 도 2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이동 궤적 T를 따라,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이동하여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프레임]
프레임(42)은, 한 쌍의 지주(42A)와 빔(42B)을 구비한 문(門)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42)은, 롤러 컨베이어(20)에 걸쳐져 설치된다. 한 쌍의 지주(42A)는, 연직으로 설치된다. 빔(42B)은, 중공이며, 지주(42A)의 정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프레임(42)은, 커터(46)의 주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커터 구동 유닛]
커터 구동 유닛(44)은, 커터(46)를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터(46)는,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이동하여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므로, 커터 구동 유닛(44)은 커터(46)가,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커터 구동 유닛(44)은, 커터(46)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 유닛(44A)과, 커터(46)를 유리 리본(1)의 주 표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 유닛(44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평 구동 유닛(44A)은, 레일(51)과, 레일(51)을 따라 이동하는 테이블(52)과, 테이블(52)을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54)와, 테이블(52)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레일(51)은, 커터(46)의 이동 방향과 평행으로 설치된다. 레일(51)은, 빔(42B)의 내부에 부설된다. 테이블(52)은, 슬라이더(52A)를 개재하여 레일(5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니어 모터(54)는, 레일(51)을 따라 테이블(52)을 직선 이동시킨다. 또한, 테이블(52)을 이동시키는 기구는, 이 외에, 소위 볼 나사를 이용한 구동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 구동 유닛(44B)은, 실린더(56)와, 커터 홀더(5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수직 구동 유닛(44B)은,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기능하며, 수평 구동 유닛(44A)에 구동되어,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커터 진퇴 이동 수단의 일례인 실린더(56)는, 커터 홀더(58)를 유리 리본(1)의 주 표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킨다. 실린더(56)는, 수평 구동 유닛(44A)의 테이블(52)에 설치된다.
커터 홀더(58)는, 실린더(56)의 로드의 선단부에 구비된다. 커터(46)는, 이 커터 홀더(58)에 회전 가능하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터(46)는, 수평 구동 유닛(44A)에 구동되어,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수직 구동 유닛(44B)에 구동되어, 유리 리본(1)의 주 표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진퇴 이동한다. 수직 구동 유닛(44B)에 의하여 커터(46)를 유리 리본(1)에 접촉시키고, 수평 구동 유닛(44A)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타방측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된다.
[커터 가이드 유닛]
커터 가이드 유닛(48)은, 가로 절단선 L2가 항시 일정한 위치로부터 가공되도록, 즉, 항시 일정한 착지점(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커터(46)가 착지하도록, 커터(46)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도 4, 도 5는, 각각 커터 가이드 유닛의 평면도, 정면도이다.
커터 가이드 유닛(48)은, 유리 리본(1)에 대하여 커터(46)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도움닫기판(60)과,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도록 도움닫기판(60)의 설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6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움닫기판(60)은, 정면에서 보아 쐐기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면 부분에 경사진 활주로를 갖는다. 절단 개시의 부분에 있어서, 커터(46)는 슬로프로서 구성되는 활주로의 상면 부분을 주행하여, 유리 리본(1) 상(주 표면)에 착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착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을 갖는 에지부(1B) 상에서 커터(46)가 주행하여, 커터(4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62)는, 유리 리본(1)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일정한 위치로부터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되도록,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시켜, 도움닫기판(60)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킨다.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62)는, 도움닫기판(60)을 커터(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움닫기판 가이드부(64)와, 유리 리본(1)의 단부면에 접촉되는 롤러(접촉 부재)(66)와, 도움닫기판(60)과 롤러(66)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68)와, 롤러(66)를 유리 리본(1)을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가압 수단)(7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움닫기판 가이드부(지지 수단)(64)는, 가이드 샤프트(64A)와, 가이드 샤프트(64A)를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4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베어링(64B)은, 프레임(42)의 편측의 지주(42A)에 설치된다. 가이드 샤프트(64A)는, 커터(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움닫기판(60)은, 이 가이드 샤프트(64A)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움닫기판(60)이 커터(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66)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베어링 부재(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66)는, 그 회전축이 유리 리본(1)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단부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연결 부재(68)는, 도움닫기판(60)과, 롤러(66)의 베어링 부재(72)를 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움닫기판(60)과 함께 롤러(66)가, 커터(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70)은, 가이드 샤프트(64A)에 구비된다. 스프링(70)은, 일단부가 도움닫기판 가이드부(64)의 베어링(64B)에 걸림 지지되고, 타단부가 가이드 샤프트(64A)에 구비된 스토퍼(64C)에 걸림 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샤프트(64A)가 유리 리본(1)을 향하여 가압된다. 롤러(66)는, 가이드 샤프트(64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샤프트(64A)가 유리 리본(1)을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롤러(66)가 유리 리본(1)을 향하여 가압된다.
롤러(66)가 유리 리본(1)을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항시 롤러(66)의 외주면이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단부면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롤러(66)가 변위된다. 그리고, 이 롤러(66)가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됨으로써, 롤러(66)에 연결된 도움닫기판(60)도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된다.
[커터 검출 유닛]
커터 검출 유닛(커터 검출 수단)(50)은,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커터(46)가, 미리 설정된 제1 커터 검출 포인트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는,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 시에 있어서의 커터(46)의 주행 방향(도 2에 있어서, 화살표 t의 방향)에 대하여, 유리 리본(1)의 한쪽 에지부(1B)(도 2의 좌측에 위치하는 가로 절단선 L2의 절단 개시측의 에지부)보다도 상류측에 설정된다. 또한,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는, 유리 리본(1)의 한쪽 에지부(1B)보다도 하류측에 설정된다. 즉, 커터 검출 유닛(50)은,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커터(46)가 한쪽 에지부(1B)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고,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에지부(1B)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커터 검출 유닛(50)은,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1 커터 검출 센서(제1 커터 검출 수단)(74)와, 커터(46)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2 커터 검출 센서(제2 커터 검출 수단)(76)와, 제1 커터 검출 센서(74) 및 제2 커터 검출 센서(76)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 프레임(7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센서 설치 프레임(78)은, 제1 커터 검출 센서(74)와 제2 커터 검출 센서(76)가 설치되는 센서 설치부(78A)와, 그 센서 설치부(78A)를 지지하는 지지부(78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센서 설치부(78A)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커터(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된다. 센서 설치부(78A)의 일단부에는, 제1 커터 검출 센서(74)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설치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한, 센서 설치부(78A)의 타단부에는, 제2 커터 검출 센서(76)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설치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제1 설치부에는, 제1 커터 검출 센서(74)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설치부에는, 제2 커터 검출 센서(76)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지지부(78B)는, 도움닫기판(60)의 가이드 샤프트(64A)에 설치된다. 이 지지부(78B)가, 가이드 샤프트(64A)에 설치됨으로써, 커터 검출 유닛(50)과 도움닫기판(60)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 검출 유닛(50)이 도움닫기판(60)과 함께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된다.
제1 커터 검출 센서(74)는,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제2 커터 검출 센서(76)는, 커터(46)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커터 홀더(58)에는, 제1 커터 검출 센서(74) 및 제2 커터 검출 센서(76)에서 검출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검출체가 구비된다. 제1 커터 검출 센서(74)는, 이 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2 커터 검출 센서(76)는, 이 검출체를 검출함으로써, 커터(46)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센서로는, 예를 들어 근접 센서나 광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커터 검출 유닛(50)은, 도움닫기판(6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움닫기판(60)과 함께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된다. 이 때문에, 유리 리본(1)과 제1 커터 검출 센서(74) 및 제2 커터 검출 센서(76)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항시 일정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커터(46)가 유리 리본(1)의 한쪽 에지부(1B)에 도달한 것, 및 그 한쪽 에지부(1B)를 통과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커터 가압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며, 제1 커터 검출 센서(74) 및 제2 커터 검출 센서(76)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실린더(56)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 시에 있어서의 커터(46)의 가압력을 제어한다. 이 가압력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가로 절단선의 가공에 수반하는 커터의 가압력 제어 방법]
커터(46)는, 미리 설정된 이동 개시점과 이동 종료점 사이를 이동하며, 이동 개시점으로부터 이동 종료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이동 개시점과 이동 종료점은, 각각 롤러 컨베이어(20) 상에서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외측의 위치로 설정된다.
이동 개시점과 이동 종료점의 위치에 있어서, 커터(46)는, 미리 설정된 기준 높이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 기준 높이의 위치는, 롤러 컨베이어(20) 상에서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주 표면에 커터(46)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된다.
먼저, 커터(46)가, 이동 개시점으로부터 이동 종료점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다.
이동을 개시한 커터(46)는, 먼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다.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하면, 검출체(도시하지 않음)가 제1 커터 검출 센서(74)에서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 즉, 한쪽 에지부(1B)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커터(46)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 컨트롤러(140)는, 실린더(56)를 구동하여, 커터(46)를 밀어내린다(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 커터(46)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움닫기판(60) 상에 소정의 가압력(제1 가압력)으로 착지한다.
도움닫기판(60) 상에 착지한 커터(46)는, 그대로 도움닫기판(60) 상에서 주행하여 에지부(1B) 상에 착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지부(1B)에의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이 개시된다.
에지부(1B) 상에 착지한 커터(46)는, 그대로 이동 종료점을 향하여 이동하고, 이윽고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다. 커터(46)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하면, 검출체(도시하지 않음)가 제2 커터 검출 센서(76)에서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46)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 즉, 한쪽 에지부(1B)를 통과한 것이 검출된다.
제2 커터 검출 센서(76)에서 커터(46)의 통과가 검출되면, 컨트롤러(140)는, 실린더(56)를 구동하여, 커터(46)의 가압력을 높인다. 이것에 의하여, 도움닫기판(60)에 착지했을 때의 가압력(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가압력(제2 가압력)으로 커터(46)가 유리 리본(1)에 가압 접촉되어,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된다.
커터(46)는, 유리 리본(1)의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끌어올려져(높이 방향의 기준 위치까지 끌어올려짐), 이동 종료점에 도달한다. 이후, 커터(46)는, 이동 개시점으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커터(46)는 약한 가압력으로 도움닫기판(60) 상에 착지하고, 그 후, 가압력이 높아져,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터(46)는, 유리 리본(1)의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유리 리본(1)으로부터 끌어올려진다. 즉, 커터(46)를 끌어올리는 타이밍도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연동하여 제어된다.
빔(42B)의 유리 리본의 우측 단부(도 3의 유리 리본(1)의 우측 상방이며, 예를 들어 우측의 에지부(1B)의 상방임)에는, 커터(46)를 검출하는 제3 커터 검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커터 검출 수단이 커터(46)를 검출했을 때, 커터(46)가 실린더(56)에 의하여 끌어올려진다. 즉, 커터(46)는,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 후, 일정 거리 이동하고, 제3 커터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면, 끌어올려지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까지 커터(46)가 주행하여, 커터(4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 꺾음 장치>
가로 꺾음 장치(80)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굽힘 응력을 부가하여, 유리 리본(1)을 가로 절단선 L2을 따라 꺾는다.
가로 꺾음 장치(80)는, 예를 들어 유리 리본(1) 아래로부터 가압 롤러(도시하지 않음)로 유리 리본(1)을 가압함으로써, 가로 절단선 L2를 중심으로 하여 반송 방향을 따른 굽힘 응력을 작용시켜, 유리 리본(1)을 가로 절단선 L2를 따라 꺾는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으로부터 유리판(2)이 잘라내어진다.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2)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된다.
<에지 꺾음 장치>
에지 꺾음 장치(90)는,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세로 절단선 L1를 따라 꺾어, 유리판(2)의 제품부(2A)로부터 에지부(2B)를 분리한다.
도 6은, 에지 꺾음 장치의 정면도이며, 동 도면의 (A)는 대기 시의 정면도, 동 도면의 (B)는 에지 꺾음 동작 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에지 꺾음 장치의 측면도이다.
에지 꺾음 장치(90)는, 유리판(2)에 대하여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하는 에지 꺾음부(에지 꺾음 수단)(92)와, 에지 꺾음부(92)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위치 조정부(위치 조정 수단)(9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에지 꺾음부(92)는, 이동 테이블(96)과, 이동 테이블(96) 상에 설치되는 요동 프레임(98)과, 요동 프레임(98)에 구비되는 지지 롤러(100)와, 요동 프레임(98)에 구비되는 가압용 돌기(102)와, 요동 프레임(98)을 요동시키는 모터(1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동 테이블(96)은, 후술하는 위치 조정부(94)에 의하여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 테이블(96)에는, 요동 프레임(98)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106)가 구비된다.
요동 프레임(98)은, 요동 아암(98A)과, 지지 프레임(98B)과,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요동 아암(98A)은, 기단부에 회전축(98E)을 구비한다. 회전축(98E)은,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며, 지주(106)에 구비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98B)은, 요동 아암(98A)의 선단부에 구비된다.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은 지지 프레임(98B)에 구비된다.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며, 지지 프레임(98B)과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이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구성된다. 요동 프레임(98)은, 회전축(98E)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다.
지지 롤러(100)는,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지지 롤러(100)는, 요동 프레임(98) 하측 아암(98D)에 구비되며,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압용 돌기(102)는,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꺾을 때, 에지부(2B)를 상측으로부터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가압용 돌기(102)는, 반구 형상을 가지며, 요동 프레임(98)의 상측 아암(98C)에 구비된다.
모터(104)는, 지주(106)에 구비되며, 회전축(98E)에 회전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다. 모터(104)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축(98E)은, 이 모터(104)를 구동함으로써 정역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 프레임(98)이 요동한다. 또한, 도 6의 (A)에 있어서, 화살표 B-C로 나타내는 방향이 요동 프레임(98)의 요동 방향이다.
요동 프레임(98)은, 요동하여 「대기 위치」와 「꺾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요동 프레임(98)은, 대기 위치에 위치하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이 수평한 자세로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하측 아암(98D)에 구비된 지지 롤러(100)의 상단부의 높이와, 롤러 컨베이어(20)의 롤러(22)의 상단부의 높이가 동일해진다. 이것에 의하여,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지지 롤러(100)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꺾음 위치에 위치하면, 요동 프레임(98)은,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수평 위치로부터 꺾음 위치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상측 아암(98C)에 구비된 가압용 돌기(102)가, 유리판(2)의 에지부(2B)에 접촉하고, 에지부(2B)를 하측(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지부(2B)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여, 에지부(2B)가 세로 절단선 L1을 따라 꺾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지 꺾음 장치(90)의 설치부에서는, 유리판(2)은, 지지 롤러(100)에 의하여 에지부(2B)가 지지된다. 이 때문에, 에지 꺾음 장치(90)의 설치부에서는, 롤러 컨베이어(20)의 폭이, 유리 리본을 반송하는 롤러 컨베이어(20)의 폭보다도 좁게 설정되며, 유리판(2)의 제품부(2A)만이 롤러(22)에 적재되게 구성된다.
위치 조정부(94)는, 베이스(110)와, 레일(112)과, 슬라이더(114)와, 나사 막대(116)와, 나사 막대(116)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18)와, 나사 막대(116)를 회전시키는 모터(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레일(112)은, 베이스(110)에 부설된다. 레일(112)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한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슬라이더(114)는, 레일(112)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 테이블(96)은, 이 슬라이더(114)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동 테이블(96)이,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 막대(116)는, 레일(112)을 따라 배치된다. 나사 막대(116)는, 베이스(110)에 설치된 베어링(122)에 의하여,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너트(118)는, 나사 막대(116)에 나사 결합된다. 이 너트(118)는, 이동 테이블(96)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나사 막대(116)를 회전시키면, 이동 테이블(96)이, 그 회전량, 회전 방향에 따라,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12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며, 나사 막대(116)에 회전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다.
모터(120)를 구동하면, 나사 막대(116)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동 테이블(96)이,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 테이블(96)이 이동함으로써, 에지 꺾음부(92)가,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설치 위치가 조정된다.
<위치 검출기>
위치 검출기(130)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기(130)는, 커터 홀더(58)에 구비되며, 커터(46)와 함께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리본(1)의 유무를 검출하여, 유리 리본(1)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커터(46)와 함께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어느 지점에서 유리 리본(1)이 검출되고, 어느 지점에서 유리 리본(1)이 검출되지 않게 되므로, 유리 리본(1)의 검출이 개시된 지점과, 유리 리본(1)이 검출되지 않게 된 지점을 검출하여,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종류의 위치 검출기(130)는, 예를 들어 레이저 변위계 등의 공지된 광학식의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
컨트롤러(140)는, 유리판 제조 장치(10)의 전체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 즉, 롤러 컨베이어(20),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 가로 꺾음 장치(80), 에지 꺾음 장치(9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에지 꺾음 장치(90)에 대해서는, 위치 검출기(130)로부터 얻어지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부(94)를 제어하고, 에지 꺾음부(92)의 설치 위치를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시킨다.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 제조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리본(1)은, 플로트법이나 퓨전법 등의 일반적인 유리 리본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며, 유리판 제조 장치(10)에 연속적으로 급송된다.
유리판 제조 장치(10)에 급송된 유리 리본(1)은,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반송된다.
유리 리본(1)은, 먼저,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에 의하여,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세로 절단선 L1이 가공된다. 즉, 제품부(1A)와 에지부(1B)의 경계에 커터(32)가 가압 접촉된다. 이것에 의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 L1이 연속적으로 가공된다.
세로 절단선 L1이 가공된 유리 리본(1)은, 다음으로,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에 의하여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된다.
가로 절단선 L2는,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내는 유리판(2)의 전후의 경계에 형성된다.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는,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 리본(1)에 대하여 비스듬히 커터(46)를 이동시키고, 이 비스듬히 이동하는 커터(46)를 유리 리본(1)에 가압 접촉시켜,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다.
컨트롤러(14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되도록, 커터 구동 유닛(44)을 제어하여, 커터(46)의 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커터(46)는, 절단 개시의 부분에 있어서, 도움닫기판(60)에 의하여 주행이 가이드된다. 즉, 슬로프로서 구성되는 도움닫기판(60) 상에서 주행하여 유리 리본(1)에 착지하고,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착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을 갖는 에지부(1B) 상에서 커터(46)가 주행하여, 커터(46)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터(46)는 약한 가압력으로 도움닫기판(60) 상에 착지하고, 그 후, 가압력이 높아져,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도록 가압력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유리 리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커터(46)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도움닫기판(60)은,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62)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된다. 따라서, 유리 리본(1)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었을 경우에도, 항시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항시 일정한 위치로부터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절단선 L2는, 유리 리본(1)을 횡단하도록 하여 이동하는 커터(46)에 의하여 가공된다. 이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 시에 위치 검출기(13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가 검출된다.
가로 절단선 L2가 가공된 유리 리본(1)은, 다음으로, 가로 꺾음 장치(80)에 의하여, 가로 절단선 L2를 따라 꺾인다. 이것에 의하여, 유리 리본(1)으로부터 유리판(2)이 잘라내어진다.
유리 리본(1)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유리판(2)은, 그대로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에지 꺾음 장치(90)에 의하여, 세로 절단선 L1을 따라 에지부(2B)가 꺾여, 제품부(2A)로부터 에지부(2B)가 분리된다.
여기서, 에지 꺾음 장치(90)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98)을 대기 위치에 위치시키고 대기한다. 유리판(2)은, 에지 꺾음 장치(90)로 반송되면, 에지부(2B)가 지지 롤러(100)에 지지되고, 상측 아암(98C)과 하측 아암(98D) 사이에 배치된다. 에지 꺾음 장치(90)는, 유리판(2)이, 소정의 가공 위치까지 반송되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98)을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에지부(2B)가 가압용 돌기(102)에 가압되어, 에지부(2B)가 제품부(2A)로부터 꺾인다.
여기서, 유리 리본(1)이 사행 및/또는 폭 변화되면, 롤러 컨베이어(20) 상에서 반송되는 유리판(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변화된다. 그리고, 유리판(2)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변화되면, 가압용 돌기(102)가 접촉하는 위치가 변화되어, 정확히 가압력을 작용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최악의 경우에는, 유리판(2)이 에지 꺾음 장치(90)에 접촉하여, 유리판(2)을 파손시킨다.
따라서, 에지 꺾음 장치(90)는, 에지 꺾음부(92)의 설치 위치가,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40)가, 위치 검출기(130)의 검출 결과(유리 리본(1)의 양 단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부(94)를 제어하고,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맞추어 에지 꺾음부(92)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항시 적정한 위치에서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제조되는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련의 공정에서 유리판이 제조된다. 에지부(2B)가 분리된 제품부(2A)는, 그대로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소정의 브랜치(수용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브랜치에서 팔레트 등에 1매씩 수용되고, 제품으로서 또는 중간 제품으로서 판 채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10)에 의하면,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에지 꺾음 장치(90)의 에지 꺾음부(92)의 설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항시 적정한 위치에서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리판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는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에 있어서도,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는 커터(46)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도움닫기판(60)이,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여 변위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로 절단선 L2를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유리 리본(1)의 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리본(1)의 사행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 장치측의 위치를 제어하므로, 유리 리본(1)의 반송 속도를 높였을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변형예》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의 변형예>
본 예의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달리, 유리 리본(1)의 단부면에 비접촉인 기구이다. 본 예의 도움닫기판 조정 기구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도움닫기판(60)이 설치되어 있는 측) 단부 상에 설치되며, 유리 리본(1)의 단부면의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측정된 유리 리본(1)의 단부면의 위치에 따라, 도움닫기판(60)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정 수단의 종류는, 유리 리본(1)의 단부면의 위치를 비접촉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레이저식 센서가 예시된다. 상기 측정 수단의 설치 장소는, 유리 리본(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도움닫기판(60)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보다도 상류측이어도 되고, 도움닫기판(60)의 옆이어도 된다.
상기 이동 수단의 종류는, 도움닫기판(60)을 유리 리본(1)의 단부면의 위치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서보 모터가 예시된다.
유리 리본(1)의 단부면에 접촉하는 도움닫기판 조정 기구의 경우, 유리 리본(1)의 단부면이 파손되었을 때, 유리 리본(1)의 파손된 단부면에 롤러(66)가 접촉하여, 유리 리본(1)의 파손의 확대 또는 롤러(66)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유리 리본(1)의 단부면에 비접촉인 도움닫기판 조정 기구이면, 상기 과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에지 꺾음 장치의 변형예>
〔제1 변형예〕
도 8은, 에지 꺾음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70)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에지 꺾음 장치(90)와 에지 꺾음부(172)의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에지 꺾음부(17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에지 꺾음부(172)는, 이동 테이블(174)과, 이동 테이블(174) 상에 설치되는 요동 아암(176)과, 요동 아암(176)에 구비되는 지지 롤러(178)와, 요동 아암(176)을 요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동 테이블(174)은, 위치 조정부(94)에 의하여 유리판(2)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 테이블(174)에는, 요동 아암(176)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180)가 구비된다.
요동 아암(176)은, 기단부에 회전축(176A)을 구비한다. 회전축(176A)은,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며, 지주(180)에 구비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롤러(178)는, 에지부(2B)의 지지 수단으로서 구성되며, 요동 아암(176)의 선단부에 구비된다.
모터는, 지주(180)에 구비되며, 요동 아암(176)의 회전축(176A)에 회전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다. 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전축(176A)은, 이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정역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 방향으로 요동 아암(176)이 요동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화살표 D-E로 나타내는 방향이 요동 아암(176)의 요동 방향이다.
요동 아암(176)은, 요동하여 「요동 아암 대기 위치」와 「꺾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요동 아암(176)은, 요동 아암 대기 위치에 위치하면, 수평한 자세로 보유 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지지 롤러(178)의 상단부의 높이와, 롤러 컨베이어(20)의 롤러(22)의 상단부의 높이가 동일해져, 롤러 컨베이어(20)에 의하여 반송되는 유리판(2)의 에지부(2B)를 지지 롤러(178)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꺾음 위치에 위치하면, 요동 아암(176)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 롤러(178)에 의한 에지부(2B)의 지지가 상실된다.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7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정상 상태에 있어서, 요동 아암(176)은 요동 아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유리판(2)은, 에지 꺾음 장치(170)로 반송되면, 에지부(2B)가 지지 롤러(178)에 지지된다.
유리판(2)이 소정의 가공 위치로 반송되면, 모터가 구동되어, 요동 아암(176)이 꺾음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 롤러(178)가 하방(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지지 롤러(178)가 하방으로 퇴피함으로써, 유리판(2)은 에지부(2B)의 지지가 상실된다. 유리판(2)은, 이 에지부(2B)의 지지가 상실됨으로써, 에지부(2B)가 자중으로 휘어, 세로 절단선 L1을 따라 꺾인다. 즉,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70)는, 에지부(2B)의 자중으로 에지부(2B)를 꺾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도록, 에지 꺾음부(172)의 설치 위치가 제어되는 점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에지 꺾음 장치(90)와 동일하다.
〔제2 변형예〕
도 9는, 에지 꺾음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90)는, 상기 제1 변형예의 에지 꺾음 장치(170)에 에지부(2B)의 가압 기구(192)를 부가한 것이다. 또한, 가압 기구(192)가 부가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제1 변형예의 에지 꺾음 장치(17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가압 기구(19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압 기구(192)는, 에지부(2B)의 상면에 접촉하여 에지부(2B)를 연직 하향(도 9에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194)와, 그 가압 부재(194)를 연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가압 부재(194)는, 일정한 폭을 갖는 판 형상을 가지며, 유리판(2)의 주 표면에 대하여 연직으로 배치됨과 함께,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가압 부재(194)는, 지지 롤러(178)에 의한 에지부(2B)의 지지 위치보다도 내측의 위치를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며, 가압 부재(194)를 연직 방향(도 9에 화살표 F-G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구동 수단은,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지주(180)에 설치된다.
가압 부재(194)는, 구동 수단에 구동되어, 「가압 부재 대기 위치」와 「가압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가압 부재(194)는, 가압 위치로 이동하면, 에지부(2B)를 연직 하향으로 가압하고, 가압 부재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에지부(2B)로부터 퇴피한다.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9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정상 상태에 있어서, 요동 아암(176)은, 요동 아암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가압 부재(194)는 가압 부재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유리판(2)은, 에지 꺾음 장치(190)로 반송되면, 에지부(2B)가 지지 롤러(178)에 지지된다.
유리판(2)이, 소정의 가공 위치로 반송되면, 모터가 구동되어, 요동 아암(176)이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꺾음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 롤러(178)가 하방(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퇴피한다. 또한, 이 요동 아암(176)의 요동에 동기하여, 가압 부재(194)가 연직 하향(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지부(2B)가 가압 부재(194)에 가압되어, 세로 절단선 L1을 따라 꺾인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에지 꺾음 장치(190)에서는, 에지부(2B)를 가압 부재(194)로 가압하여 꺾는다. 이것에 의하여, 보다 확실히 에지부(2B)를 꺾을 수 있다.
또한,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하도록, 에지 꺾음부(172)의 설치 위치가 제어되는 점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에지 꺾음 장치(90)와 동일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가압 부재(194)의 이동이, 요동 아암(176)의 요동에 동기하여 행해지고 있지만, 가압 부재(194)의 이동과 요동 아암(176)의 요동은, 반드시 동기시킬 필요는 없다. 요동 아암(176)의 요동에 뒤쳐지게, 가압 부재(194)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에지부(2B)가 자중으로 꺾이지 않을 때, 가압 부재(194)를 이동시켜, 에지부(2B)를 꺾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판 형상을 갖는 단일의 가압 부재(194)로 에지부(2B)를 가압하는 구조로 하고 있지만, 유리판(2)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가압 부재로 에지부(2B)를 가압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에지 꺾음 장치는, 에지부(2B)에 굽힘 응력을 부가하여, 제품부(2A)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며, 그 구성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검출기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46)와 함께 위치 검출기(130)을 이동시키고 있지만, 위치 검출기 단체(單體)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검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위치 검출기는,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에지 꺾음 장치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 검출기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의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는, 에지부를 분리하기 위한 세로 절단선만을 가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또한 제품부를 복수로 분리하기 위한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품부를 복수로 분리하기 위한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커터가 별도 구비된다.
<레이아웃>
상기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제조 장치(10)에서는,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에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한 후,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4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에 가로 절단선 L2를 가공한 후,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3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에 세로 절단선 L1을 가공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커터에 의한 가로 절단선의 가공 제어>
커터(46)에 의한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 제어는, 위치 검출기(130)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즉, 위치 검출기(130)에 의하여,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양 단부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 위치 검출기(130)에서 검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커터(46)를 밀어내리는 점(가공 개시점)과, 커터(46)를 끌어올리는 점(가공 종료점)을 설정하고,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을 행한다.
여기서, 가공 개시점인 커터(46)를 밀어내리는 점은,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내측 위치로 설정되며,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연동하여 변위되는 도움닫기판(60) 상에 커터(46)가 착지하도록 설정된다.
가공 종료점인 커터(46)를 끌어올리는 점도, 유리 리본(1)의 폭 방향의 내측 위치로 설정되며, 유리 리본(1)의 단부를 통과하기 전에 커터(46)가 끌어올려지도록 설정된다.
컨트롤러(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140)는, 위치 검출기(130)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기초하여, 커터(46)를 밀어내리는 점(가공 개시점)과, 커터(46)를 끌어올리는 점(가공 종료점)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46)에 의한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 범위를 유리 리본(1)의 사행 및/또는 폭 변화에 추종시킬 수 있어, 가로 절단선 L2를 적절히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커터(46)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위치 검출기(130)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로 절단선 L2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도 커터(46)의 가압력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터(46)는 가공 개시 후(밀어내림 후), 소정 거리 이동한 시점에서, 가압력이 높아지도록, 가압력을 제어한다. 즉, 에지부(1B)를 통과한 시점에서 가압력이 높아지도록, 가압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3년 12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51234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리본의 반송 속도를 높였을 경우에도, 적절히 에지 꺾음 동작을 행하여, 고품질의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1: 유리 리본
1A: 유리 리본의 제품부
1B: 유리 리본의 에지부
2: 유리판
2A: 유리판의 제품부
2B: 유리판의 에지부
10: 유리판 제조 장치
20: 롤러 컨베이어(반송 수단)
22: 롤러
30: 세로 절단선 가공 장치(세로 절단선 가공 수단)
32: 커터
40: 가로 절단선 가공 장치(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
42: 프레임
42A: 지주
42B: 빔
44: 커터 구동 유닛
44A: 수평 구동 유닛
44B: 수직 구동 유닛
46: 커터
48: 커터 가이드 유닛
50: 커터 검출 유닛(커터 검출 수단)
51: 레일
52: 테이블
52A: 슬라이더
54: 리니어 모터
56: 실린더
58: 커터 홀더
60: 도움닫기판
62: 도움닫기판 위치 조정 기구(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
64: 도움닫기판 가이드부(지지 수단)
64A: 가이드 샤프트
64B: 베어링
64C: 스토퍼
66: 롤러(접촉 부재)
68: 연결 부재
70: 스프링(가압 수단)
72: 베어링 부재
74: 제1 커터 검출 센서(제1 커터 검출 수단)
76: 제2 커터 검출 센서(제2 커터 검출 수단)
78: 센서 설치 프레임
78A: 센서 설치부
78B: 지지부
80: 가로 꺾음 장치
90: 에지 꺾음 장치
92: 에지 꺾음부(에지 꺾기 수단)
94: 위치 조정부(위치 조정 수단)
96: 이동 테이블
98: 요동 프레임
98A: 요동 아암
98B: 지지 프레임
98C: 상측 아암
98D: 하측 아암
98E: 회전축
100: 지지 롤러
102: 가압용 돌기
104: 모터
106: 지주
110: 베이스
112: 레일
114: 슬라이더
116: 나사 막대
118: 너트
120: 모터
122: 베어링
130: 위치 검출기(검출 수단)
140: 컨트롤러(제어 수단, 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
170: 에지 꺾음 장치
172: 에지 꺾음부
174: 이동 테이블
176: 요동 아암
176A: 회전축
178: 지지 롤러
180: 지주
190: 에지 꺾음 장치
192: 가압 기구
194: 가압 부재
L1: 세로 절단선
L2: 가로 절단선

Claims (13)

  1. 유리 리본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를 갖고, 상기 반송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유리 리본을 반송함과 함께,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내어지는 유리판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상기 유리 리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고, 상기 세로 절단선에 의하여 상기 유리 리본을 제품부와 에지부로 구분하는 세로 절단선 가공 수단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을 상기 가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상기 유리판을 잘라내는 가로 꺾음 수단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판을 상기 세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상기 유리판의 제품부로부터 에지부를 분리하는 에지 꺾음 수단과,
    상기 에지 꺾음 수단을 상기 유리판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가 변화되도록,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유리 리본에 가압 접촉되는 커터
    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이동체에 구비되고, 상기 커터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반송로에서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절단선 가공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
    을 더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커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면에 접촉되는 접촉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접촉 부재를 상기 유리 리본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수단
    을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를 상기 유리 리본의 주 표면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커터 진퇴 이동 수단과,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한쪽 상기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커터 검출 수단과,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으로 되도록, 상기 커터 진퇴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커터의 가압력이 상기 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제2 가압력으로 되도록, 상기 커터 진퇴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커터 가압력 제어 수단
    을 더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검출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커터가, 제1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제1 커터 검출 수단과,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커터가, 제2 커터 검출 포인트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는 제2 커터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설정하는 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터 가공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커터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이 변화되도록,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커터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설정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8. 유리 리본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상기 유리 리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 절단선을 가공하고, 상기 세로 절단선에 의하여 상기 유리 리본을 제품부와 에지부로 구분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가로 절단선을 가공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을 상기 가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을 잘라내는 공정과,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판을 에지 꺾음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세로 절단선을 따라 꺾어, 상기 유리판의 제품부로부터 에지부를 분리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이며,
    상기 반송로를 따라 반송 중인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에지 꺾음 수단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유리판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검출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절단선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으로 커터를 이동시켜 가공하고,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상기 커터와 함께 상기 검출 수단을 이동시켜 검출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에 대하여 상기 커터의 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에 도달한 것, 및 한쪽 상기 에지부를 통과한 것을 검출하고,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에 도달하면, 상기 커터의 가압력이 제1 가압력으로 되도록, 상기 커터의 가압력을 제어하고,
    상기 커터가 한쪽 상기 에지부를 통과하면, 상기 커터의 가압력이 상기 제1 가압력보다도 강한 제2 가압력으로 되도록, 상기 커터의 가압력을 제어하는 유리판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의 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커터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선의 가공 개시점과 가공 종료점을 변화시키는 유리판 제조 방법.
KR1020167014356A 2013-12-04 2014-11-17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79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1234 2013-12-04
JP2013251234 2013-12-04
PCT/JP2014/080395 WO2015083530A1 (ja) 2013-12-04 2014-11-17 ガラス板製造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617A KR20160093617A (ko) 2016-08-08
KR102179889B1 true KR102179889B1 (ko) 2020-11-17

Family

ID=5327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356A KR102179889B1 (ko) 2013-12-04 2014-11-17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32796B2 (ko)
KR (1) KR102179889B1 (ko)
CN (1) CN105793204B (ko)
TW (1) TWI627143B (ko)
WO (1) WO2015083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9805B2 (ja) * 2015-03-31 2019-06-12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6838373B2 (ja) * 2016-12-02 2021-03-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の折割装置
JP6706423B2 (ja) * 2016-12-26 2020-06-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破損検出方法、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の切断装置
CN107866916B (zh) * 2017-08-16 2019-03-08 东海县一丰灯具有限公司 一种改良型led灯管装置
CN108002696B (zh) * 2017-12-27 2024-05-17 信义玻璃(营口)有限公司 一种跟踪控制装置和冷却控制系统
CN113195182B (zh) * 2018-12-21 2024-02-13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板制造方法以及玻璃板制造装置
JP3225806U (ja) 2020-01-24 2020-04-02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3225985U (ja) 2020-02-10 2020-04-16 Agc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CN112066613B (zh) * 2020-09-03 2021-03-23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冰芯切割装置
JP2022097132A (ja) * 2020-12-18 2022-06-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割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928A (ja) 1999-04-27 2000-12-05 Carl Zeiss:Fa 個別のガラス板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325004A (ja) 2004-05-17 2005-11-24 Central Glass Co Ltd 網入り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2012096936A (ja) 2010-10-29 2012-05-24 Asahi Glass Co Ltd ガラスリボンの耳切断装置および耳切断方法と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4041A (ja) 2007-11-08 2009-05-28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リボンの位置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10009090A (ko) * 2008-03-26 2011-01-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의 가공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130132505A (ko) * 2010-12-27 2013-12-04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JP5348212B2 (ja) * 2011-09-02 2013-11-2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分断装置
JP2013163626A (ja) * 2012-02-13 2013-08-22 Asahi Glass Co Ltd 板状物の切線加工装置及び板状物の切線加工方法、ならびに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928A (ja) 1999-04-27 2000-12-05 Carl Zeiss:Fa 個別のガラス板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325004A (ja) 2004-05-17 2005-11-24 Central Glass Co Ltd 網入り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2012096936A (ja) 2010-10-29 2012-05-24 Asahi Glass Co Ltd ガラスリボンの耳切断装置および耳切断方法と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530A1 (ja) 2015-06-11
TWI627143B (zh) 2018-06-21
JP6432796B2 (ja) 2018-12-05
KR20160093617A (ko) 2016-08-08
JPWO2015083530A1 (ja) 2017-03-16
CN105793204A (zh) 2016-07-20
TW201532982A (zh) 2015-09-01
CN105793204B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889B1 (ko)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339936B1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JP6589620B2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EP2275215B1 (en) Long-material convey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KR101628207B1 (ko)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JP2017114687A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WO2008136239A1 (ja) 帯状板ガラスの切線加工装置及び方法、並びに板ガラスの製造方法
CN108698878B (zh) 用于运输玻璃基材的方法和设备
KR101816187B1 (ko) 반송 장치
KR20190067739A (ko) 띠형상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13108472A1 (ja) ガラス板の切断線加工装置及び切断線加工方法
CN214528714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JP3225985U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TWI486315B (zh) Sheet breaking device for sheet metal
KR20160086824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KR101504105B1 (ko) 날판 유도 장치 및 방법
JP2022054883A (ja) 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及び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2022054882A (ja) 基板の送出装置及び基板の送出方法
JPS61218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