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427B1 - 단재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단재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427B1
KR102122427B1 KR1020190002785A KR20190002785A KR102122427B1 KR 102122427 B1 KR102122427 B1 KR 102122427B1 KR 1020190002785 A KR1020190002785 A KR 1020190002785A KR 20190002785 A KR20190002785 A KR 20190002785A KR 102122427 B1 KR102122427 B1 KR 10212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material
unit
gripping
driving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filed Critical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to KR102019000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427B1/ko
Priority to TW108145096A priority patent/TW202028133A/zh
Priority to JP2020001228A priority patent/JP2020111047A/ja
Priority to CN202010021202.XA priority patent/CN11142167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ipula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는, 복수의 단위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단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단재를 파지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재 제거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상면과 맞닿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하면과 맞닿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단재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파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이다.

Description

단재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EDGED MATERIAL}
본 발명은 단재(端材)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재를 파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 파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단재를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단재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란 전자기기와 인간과의 인터페이스로서,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정보신호를 광 정보 신호로 변환하여, 인간이 시각을 통해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표시장치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 디스플레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종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ED(Field Emission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LED) 등이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의 패널로 이용되는 PDP, LCD, FED, OLED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므로, 기판의 제조 공정은 큰 면적의 마더 기판을 수 내지 수십 개의 단위 기판들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수반하게 된다.
마더 기판의 절단 공정은, 마더 기판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등으로 이루어진 공구(스크라이브 휠)를 이용하여 마더 기판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공정과, 마더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 라인을 가압하여 휨 모멘트를 가하거나 스크라이브 라인의 크랙 주위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절단하는 브레이크 공정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공정에서는, 스크라이브 공정을 거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마더 기판을 복수의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데, 이때 단위 기판에는 사용에 불필요한 단재가 붙어있어, 이를 제거하는 단재 제거 공정이 필요하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8-0064408호
그런데, 종래의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단위 기판에 부착된 단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오로지 수작업으로 단재를 제거할 수밖에 없어 공정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단재 제거 장치와 같이, 단재의 단부를 가압하여 단재를 제거하는 경우, 단재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재가 아닌 단위 기판을 가압하게 되어 단위 기판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 유닛을 이용하여 단재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파지하는 또 다른 형태의 단재 제거 장치의 경우, 클램핑 유닛과 단재가 맞닿는 면적이 부족하여 파지력이 약하고, 기판에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클램핑 유닛은 단재의 상면과 맞닿는 상 클램프와, 단재의 하면과 맞닿는 하 클램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는 각각의 힌지축을 통해 클램핑 유닛 본체와 결합되어 있다.
먼저, 마더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단위 기판이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되어 스테이지 상에 로딩되면, 상 클램프는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고, 하 클램프는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단위 기판의 단재가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도 7(a)).
다음, 클램핑 유닛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 사이에 단재가 위치하게 되면,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가 각각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단재를 파지한다(도 7(b)).
그런데, 단재는 두께를 갖고 있는 부재이기 때문에, 상 클램프 및 하 클램프의 지지면이 단재의 상면 및 하면과 전체적으로 맞닿는 것이 아니라, 단재의 모서리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단재를 파지하는 모습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클램핑 유닛은,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가 단재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수직으로 맞닿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단재와 맞닿는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클램프의 지지면은 단재의 상면의 모서리와 접촉하고, 하 클램프의 지지면은 단재의 하면의 모서리와 접촉하게 되므로, 클램핑 유닛과 단재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클램핑 유닛의 파지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단재를 단위 기판으로부터 제거할 때, 단재 제거 장치로부터 단재로 힘이 완전히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단재가 안정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단재가 제거된 단위 기판의 단면이 불균일해져, 기판의 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클램핑 유닛은, 소정의 폭을 갖는 상 클램프 및 하 클램프가 세트를 이루어 단재의 일부를 파지한다. 즉, 단재의 상면 또는 하면을 전체적으로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단재를 부분적으로 파지하기 때문에, 클램핑 유닛이 파지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단재 제거 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단재 자체의 하중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재가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단재가 아래로 처져있는 경우, 단재 제거 시 크랙이 불균일해져, 단재의 절단 품질이 악화된다. 특히, 최근 들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8K 이상의 고해상도 기판은 측면의 긁힘에 매우 취약한데, 기판이 아래로 처져있는 경우, 단재가 제거되면서 단위 기판의 측단면에 긁힘이 발생할 수 있어,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로는 고품질의 고해상도 기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판의 면적이 커질수록 기판의 처짐이 더욱 심화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의 자중에 의해 크랙이 과도하게 성장함에 따라, 클램핑 유닛이 단재를 제거하기 위해 힘을 가하기도 전에, 단재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단재가 먼저 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단재가 깔끔하게 제거되지 않아 단위 기판의 단면이 불균일해지므로 기판의 품질이 나빠진다.
또한, 클램핑 유닛의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가 각각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단재를 파지하기 때문에, 단재 제거 작업의 기준이 되는 물리적인 원점을 설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판 자체를 가상의 원점으로 설정하여 단재 제거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로 원점을 설정하기 어려워, 실제 공정에서는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 간의 미세한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뿐만 아니라,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를 포함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단재를 제거하는 실제 공정에서는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를 정확한 위치와 타이밍으로 동기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재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제거하고, 기판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재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는, 복수의 단위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단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단재를 파지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재 제거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상면과 맞닿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하면과 맞닿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단재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파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단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보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지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파지부는, 상기 하부 파지부의 지지면이 상기 단재의 하면과 맞닿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파지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가 단재를 파지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단재 제거 장치의 단재에 대한 파지력을 크게 할 수 있어, 단재를 보다 세밀하고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선 A-A'를 따라 파지부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가 단재를 파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가 단재를 파지한 상태를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가 단재를 파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재 제거 장치(1)는 구동부(100)와, 연결부(200)와, 파지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100)는 스테이지(미도시) 상에 로딩되어 있는 단재(3)를 파지하기 위해, 단재 제거 장치(1)의 파지부(30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로서,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110)는 기판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예컨대, 도 1에서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빔 형상의 부재로서,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구동부(110)의 상면과 결합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부재(111)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110)의 양측면은 제1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딩 부재(111)의 양측 모서리는 절결된 부분에 끼워맞춰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부(110)가 작동하면 제1 슬라이딩 부재(111)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구동부(110)의 상면 상에서 이동하여 파지부(30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구동부(120)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예컨대, 도 1에서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빔 형상의 부재로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구동부(120)의 일면과 결합되어 있는 제2 슬라이딩 부재(121)를 포함한다. 제2 구동부(120)의 양측면은 제2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결되어 있으며, 제2 슬라이딩 부재(121)의 양측 모서리는 절결된 부분에 끼워맞춰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120)가 작동하면 제2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2 방향을 따라 제2 구동부(120)의 일면 상에서 이동하여 파지부(3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부(200)는 단재 제거 장치(1)의 각각의 부재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고, 각 부재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210)는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제1 구동부(110)의 작동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210)의 일면은 제1 슬라이딩 부재(111)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10)의 타면은 제2 구동부(120)의 전(前)면과 연결되어 있는데, 제1 구동부(110)와의 연결과는 달리, 제2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결합 방식은 볼트-너트 결합이나 용접 등 제1 연결부(210)와 제2 구동부(12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결합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연결부(210)가 제1 구동부(110)의 작동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연결부(210)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구동부(120)도 마찬가지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연결부(210)는,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리브(2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211)는, 제1 연결부(210)에 있어서, 제1 구동부(110)와 결합되어 있는 일면과, 제2 구동부(120)와 결합되어 있는 일면의 사이에 형성된다. 단재 제거 장치(1)는 보강 리브(211)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시 진동 등에 의한 단재 제거 장치(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파지부(300)의 자중에 의해 제2 구동부(120)가 제1 방향으로 휘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2 연결부(220)는 제2 구동부(120)와 파지부(300)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2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 부재(1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블록(221)과, 연결 빔(222)과, 연결 브래킷(223)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연결 블록(221)은 제2 슬라이딩 부재(121)의 이동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쌍의 제2 슬라이딩 부재(121)의 일면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블록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연결 빔(222)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예컨대, 도 2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빔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의 연결 블록(221)의 각각의 상면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223)은 연결 빔(222)의 좌우측 상단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프레임(310)의 좌우측 양단과 연결 빔(222)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2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연결부(220)도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브래킷(223)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310)도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더미 제거 장치(1)의 파지부(300)는 프레임(310)과, 상부 파지부(320)와, 하부 파지부(33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선 A-A'를 따라 파지부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프레임(310)은 파지부(300)의 골격을 이루며, 상부 파지부(320)와 하부 파지부(330)가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부 파지부(320)의 일부가 프레임(3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후면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프레임(310)의 좌측과 우측 양 단부는 각각 연결 브래킷(223)과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레임(310)은, 상부 파지부(32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나, 상부 파지부(320)와 하부 파지부(330)가 설치되어 단재(3)를 파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형상과 크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부 파지부(320)는 단재(3)의 상면을 직접 파지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파지부(320)는 프레임(3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나, 단재(3)를 파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충분하고, 반드시 프레임(31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파지부(320)는 상부 파지부 본체(321)와, 실린더(322)와, 파지 아암(323)을 포함한다. 상부 파지부 본체(3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322)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의 명령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실린더(322)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파지 아암(323)도 마찬가지로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 아암(323)의 지지면이 단재(3)의 상면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의 경우, 상 클램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단재의 상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상 클램프의 지지면이 단재의 상면과 완전히 맞닿지 못하고 단재의 모서리와 맞닿게 되어 파지 면적이 좁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부 파지부(320)는 제2 구동부(120)의 작동과는 별개로, 상부 파지부(320)의 파지 아암(323) 자체가 실린더(322)를 통해 단재(3)의 두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단재(3)의 상면과 완전히 맞닿을 수 있어 큰 파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 하부 파지부(33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하부 파지부(330)는 프레임(3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플레이트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거나, 하나의 플레이트로 설치할 수 있으며, 어느 쪽이든 단재(3)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단재(3)의 하면을 폭넓게 파지할 수 있어,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에 비해 더 넓은 파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를 이용하여 단재(3)를 파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즉,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 클램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하 클램프의 지지면이 단재의 하면과 완전히 맞닿지 못하고, 단재의 모서리와 맞닿게 된다. 또한, 하 클램프는 단재의 폭 방향 전체를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하 클램프의 지지면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파지하기 때문에 파지 면적이 좁고, 하 클램프가 파지하지 않는 단재 부분은 아래로 처지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부 파지부(330)는, 단재(3)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파지부(330)가 단재(3)의 하면을 폭넓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재(3)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에 비해 훨씬 큰 파지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단재(3)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파지부(320)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부 파지부(330)는 그의 지지면이 단재(3)의 하면과 맞닿도록 프레임(310)의 측면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에서는,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 모두가 각각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단재 제거 작업의 기준이 되는 물리적인 원점을 설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판의 일면을 가상의 원점으로 설정하여 단재 제거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가 정확한 위치에서 맞물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는,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가 모두 개별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하나의 클램핑 유닛의 상 클램프와 하 클램프의 작동을 정확하게 동기화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작동을 동기화하여 일시에 단재를 파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하부 파지부(33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파지부(330)의 지지면을, 단재(3)를 파지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물리적인 원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부 파지부(330)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상부 파지부(320)만을 조작함으로써 단재(3)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파지부(300)를 훨씬 용이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의 구동부(100)는, 복수의 상부 파지부(320)를 개별적으로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동부(130)는 프레임(3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프레임(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파지부(32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상부 파지부(320)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구동부(130)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상부 파지부(320)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310)에는 개방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홈(340)은 상부 파지부(320)가 프레임(3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3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일부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의 구동부(100)는, 파지부(30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의 양단은 제2 연결부(220)의 연결 브래킷(223)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 구동부(140)는 프레임(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구동부(140)의 작동에 따라 프레임(310)이 회전하게 되어, 상부 파지부(320)와 하부 파지부(330)의 지향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는 회전 구동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단재(3)를 파지한 파지부(300)는 그의 이동 궤적이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을 그리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단재 제거 장치에 비해 보다 세밀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에 있어서,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와, 제3 구동부(130)와, 회전 구동부(140)의 조합예 중 일부만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실제 공정에서는 제반 사정에 따라,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와, 제3 구동부(130)와, 회전 구동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르게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110)와, 제2 구동부(120)와, 제3 구동부(130)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직교 좌표계에서의 3축 방향으로의 구동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회전 구동부(14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1 내지 3 구동부(110, 120, 130)의 작동에 의해 파지부(300)가 적절한 위치에서 단재(3)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부(140)가 파지부(300)를 회전시켜, 보다 세밀하고 안정적인 단재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재 제거 장치(1)에 있어서, 상부 파지부(320)의 파지 아암(323)은 제1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파지부(330)는 프레임(310)의 전면과 후면 양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 파지부(322)와 하부 파지부(330)는 프레임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을, 각각 단재의 길이 방향, 단재의 두께 방향, 단재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이면 충분하고,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가 작동하는 제2 방향은 기판의 두께 방향과 어긋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 단재 제거 장치 2: 기판
3: 단재 100: 구동부
110: 제1 구동부 111: 제1 슬라이딩 부재
120: 제2 구동부 121: 제2 슬라이딩 부재
130: 제3 구동부 140: 회전 구동부
200: 연결부 210: 제1 연결부
211: 보강 리브 220: 제2 연결부
221: 연결 블록 222: 연결 빔
223: 연결 브래킷 300: 파지부
310: 프레임 320: 상부 파지부
321: 상부 파지부 본체 322: 실린더
323: 파지 아암 330: 하부 파지부
340: 개방홈

Claims (8)

  1. 복수의 단위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단재(端材)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단재를 파지하도록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재 제거 장치로서,
    상기 파지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상면과 맞닿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단재의 하면과 맞닿는 하부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단재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파지부는 상기 단재의 두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재의 상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파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파지부는 상기 하부 파지부의 지지면이 상기 단재의 하면과 맞닿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단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보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파지부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재 제거 장치.
KR1020190002785A 2019-01-09 2019-01-09 단재 제거 장치 KR10212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85A KR102122427B1 (ko) 2019-01-09 2019-01-09 단재 제거 장치
TW108145096A TW202028133A (zh) 2019-01-09 2019-12-10 端材去除裝置
JP2020001228A JP2020111047A (ja) 2019-01-09 2020-01-08 端材除去装置
CN202010021202.XA CN111421676B (zh) 2019-01-09 2020-01-09 端材去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785A KR102122427B1 (ko) 2019-01-09 2019-01-09 단재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427B1 true KR102122427B1 (ko) 2020-06-12

Family

ID=7108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785A KR102122427B1 (ko) 2019-01-09 2019-01-09 단재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111047A (ko)
KR (1) KR102122427B1 (ko)
CN (1) CN111421676B (ko)
TW (1) TW2020281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08A (ko)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패널의 더미글라스 제거 장치
KR20180067403A (ko) * 2016-12-12 2018-06-20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단재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72186A (ko) * 1967-12-12 1969-06-27
JP2826233B2 (ja) * 1992-07-07 1998-11-18 株式会社カイジョー 基板搬送装置
JP2000064422A (ja) * 1998-08-20 2000-02-29 Akira Maruyama ホールダウン金物
JP2001207541A (ja) * 2000-01-31 2001-08-03 Atsumi Osaki 建築用構造材のリブ付き連結補強用部材
WO2005087458A1 (ja) * 2004-03-15 2005-09-22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基板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基板分断方法
WO2006040988A1 (ja) * 2004-10-13 2006-04-20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ならびにスクライブ装置および脆性材料基板の分断システム
JP4392766B2 (ja) * 2007-08-21 2010-01-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Acf貼り付け装置
JP5167161B2 (ja) * 2009-01-30 2013-03-2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
JP2011178054A (ja) * 2010-03-02 2011-09-15 Ihi Corp 脆性材料の割断装置及び割断方法
JP5583478B2 (ja) * 2010-05-25 2014-09-03 株式会社シライテック パネルの折割装置
JP2012024983A (ja) * 2010-07-21 2012-02-09 Shibuya Kogyo Co Ltd 脆性材料の面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5194076B2 (ja) * 2010-08-27 2013-05-0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レーザ割断装置
WO2012157610A1 (ja) * 2011-05-13 2012-11-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切断方法および積層体の加工方法、並びに、脆性板状物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5374545B2 (ja) * 2011-06-01 2013-12-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装置
JP5447992B2 (ja) * 2011-06-01 2014-03-1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装置
KR101628207B1 (ko) * 2012-05-24 2016-06-08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JP2014214053A (ja) * 2013-04-25 2014-11-1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貼り合わせ基板の加工装置
JP6217245B2 (ja) * 2013-08-29 2017-10-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分断機構
JP6289949B2 (ja) * 2014-03-18 2018-03-0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装置
KR101704450B1 (ko) * 2016-06-10 2017-02-08 주식회사 에이코글로벌 자동차 벌브용 유리관 레이저 컷팅장치
TWM532463U (zh) * 2016-08-11 2016-11-21 Lwo Technology Co Ltd 顯示面板的裁切設備
CN106696099B (zh) * 2016-12-25 2018-08-10 山东赫峰石材高端装备研究院有限公司 石英石板材切割一体机
CN107098575A (zh) * 2017-06-27 2017-08-29 盐城市宁润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玻璃切割用切割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408A (ko)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패널의 더미글라스 제거 장치
KR20180067403A (ko) * 2016-12-12 2018-06-20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단재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21676A (zh) 2020-07-17
CN111421676B (zh) 2024-04-19
JP2020111047A (ja) 2020-07-27
TW202028133A (zh) 202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7161B2 (ja)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
TWI427045B (zh) Briquetting of brittle materials
JPWO2003002471A1 (ja)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及びそのブレイク方法
WO2015087856A1 (ja) ロボットセル
KR101265277B1 (ko) 패널 부착장치
CN106064881A (zh) 用于使玻璃板断裂的装置
JP2003089538A (ja)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WO2015087855A1 (ja) ワーク反転支援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ロボットセル
KR102122427B1 (ko) 단재 제거 장치
JP2012226252A (ja) 光ファイバ切断用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CN101712187B (zh) 脆性材料钳
JP3218998U (ja) 関節タイプ接続機構を具有する回路基板キャリア
KR20180027683A (ko) 글래스 더미 제거 장치
KR10252533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010756B1 (ko) 더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TWI572570B (zh) 具有雙控制器之玻璃面板切割裝置
JP4488500B2 (ja) マスクの撓み補正装置
KR101291313B1 (ko) 패널 부착장치
KR102632120B1 (ko) 프레임 가공장치
KR10260591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TW202035322A (zh) 脆性材料基板的分離裝置以及分割系統
CN110103286B (zh) 一种显示面板切割区脱离装置及其使用方法
TW201925073A (zh) 撕箔機構
KR20230105212A (ko) 곡면 패널 파지 장치
JP2020175518A (ja) 保持具、位置決め装置、及び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