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408A -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408A
KR20050022408A KR1020030060603A KR20030060603A KR20050022408A KR 20050022408 A KR20050022408 A KR 20050022408A KR 1020030060603 A KR1020030060603 A KR 1020030060603A KR 20030060603 A KR20030060603 A KR 20030060603A KR 20050022408 A KR20050022408 A KR 2005002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ttle material
slit
cutting
breaking bar
chu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836B1 (ko
Inventor
정재용
이석준
이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셀텍
Priority to KR102003006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8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26D3/085On shee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성재료를 절단하는 장치 및 절단방법에 있어서, 취성재료에 형성한 슬릿을 따라 취성재료를 절단함에 있어 절단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절단면을 구현하기 위한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취성재료 절단장치는 취성재료(1)를 흡착 고정하는 복수의 척(110)과, 복수의 척(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취성재료(1)를 가압하는 브레이킹 바(140)와, 복수의 척(110)을 독립적으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부(131)와, 브레이킹 바(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구동부(132)를 포함하며,
이런 취성재료 절단장치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방법은 취성재료(1)의 일면에 절단선을 따라 슬릿(5)을 형성하는 단계(S101)와, 슬릿(5)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힘을 가해 취성재료(1)를 긴장시키는 단계(S111)와, 슬릿(5)과 대응하여 취성재료(1)의 타면을 브레이킹 바(140)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단계(S1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은 취성재료의 절단선을 따라 형성한 홈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긴장하여 절단함으로써, 긴장시키지 않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반된 인장력과 압축력 즉 힘의 불균형을 해소한다. 따라서, 힘이 불균일한 상태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면의 결함인 브레이킹 테일, 버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의 취성제품 제작이 가능하며, 균일한 힘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크랙이 홈을 이탈하여 절단선이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Brittleness Material Cutting Apparatus and Its Cutting Method}
본 발명은 취성재료를 절단하는 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성재료에 형성한 슬릿을 따라 취성재료를 절단함에 있어 절단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절단면을 구현하기 위한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취성이란 물체에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가했을 때, 영구변형을 하지 않고 파괴되거나 또는 극히 일부만 영구변형을 일으키는 성질을 말한다. 이런 취성을 갖는 물질로서 유리, 웨이퍼, 세라믹 등이 대표된다.
이런 취성재료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스크라이버를 이용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크라이버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레이킹 바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절단면을 확대한 사진이며, 도 4는 절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의 (a)는 스크라이빙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스크라이빙된 취성재료에 힘을 가해 절단(breaking)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성재료(1)를 절단하고자 하는 임의의 절단선을 따라 스크라이버(scriber)(3)로 스크라이빙을 한다. 스크라이빙(scribing)된 취성재료(1)의 일면에는 슬릿(5)이 절단선을 따라 형성되고, 도 1의 (b)와 같이 슬릿(5)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bending moment)을 가하면 슬릿(5)을 중심으로 취성재료(1)는 절단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슬릿(5)은 매끈한 취성재료의 일면에 국부적으로 우묵하게 팬 곳으로서, 외력이 가해지면 평활부보다 큰 응력(應力)이 집중되고, 이런 응력집중에 의해 절단이 슬릿(5)을 따라 발생하는 노치(notch)효과가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5)을 따라 취성재료(1)가 절단됨에 있어서, 슬릿(5)의 안쪽면에는 인장력이 가해지지만, 슬릿(5)의 반대쪽인 취성재료의 타면에는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절단면에 따라 인장력과 압축력이 상호 상반되게 가해짐으로써, 절단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의 결함인 브레이킹 테일(breaking tail; 도 3의 11)이나 버어(burr; 도 4의 13)가 발생한다. 이런 결함은 절단시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브레이킹 바를 이용하여 취성재료를 절단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브레이킹 바(7)를 이용한 절단 과정은 현재 LCD유리 절단공정 및 FPD글래스(Flat Panel Display) 절단공정에서 이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는 스크라이버(3)를 이용하여 슬릿(5)을 형성하고, 이런 슬릿(5)에 대응하는 타면을 브레이킹 바(7)로 가압하여 취성재료(1)를 절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브레이킹 바(7)를 이용하여 취성재료를 절단하더라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단면에 작용하는 힘의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게 되어 절단면에 브레이킹 테일(breaking tail; 도 3의 11)이나 버어(burr; 도 4의 13)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과정에서는 대형 취성재료를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과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힘의 불균형에 따라 절단이 슬릿을 따라 발생하지 않고 슬릿을 이탈하여 발생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품질의 절단면을 갖도록 절단부위의 바깥방향으로 균일한 긴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성재료 절단장치에 있어서, 취성재료를 흡착 고정하는 복수의 척과, 상기 복수의 척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취성재료를 가압하는 브레이킹 바와, 상기 복수의 척을 독립적으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브레이킹 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척은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척의 측면 또는 저면 중에 어느 한 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척 저면에는 스트레칭 플레이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칭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지지 플레이트가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일단은 스트레칭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은 일측에 왼나사 가공되고 타측에 오른나사 가공된 스크루 봉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봉의 회전에 따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동시에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척 상부에는 상기 브레이킹 바에 대응하여 정렬감지부가 위치하며 상기 취성재료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의 정렬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성재료 절단방법에 있어서, 취성재료의 일면에 절단선을 따라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취성재료를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릿과 대응하여 상기 취성재료의 타면을 브레이킹 바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취성재료를 긴장하는 단계의 사이에, 상기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상태가 양호할 경우에 상기 브레이킹 바를 상기 취성재료의 타면 방향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상태가 불량할 경우에 상기 취성재료를 이송하여 상기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취성재료 절단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취성재료 절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취성재료를 절단하기 이전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취성재료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와 스크루 봉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취성재료 절단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성재료 절단장치(100)는, 취성재료(1)의 저면에 접하여 취성재료(1)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진공척(110)과, 상기 진공척(110) 각각의 저면에 고정된 한 쌍의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와, 한 쌍의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스트레칭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123)와, 상기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신축하면서 지지 플레이트(123) 상에서 스트레칭 플레이트(121)를 직선 왕복 이송하는 제1 구동부(131)와, 한 쌍의 진공척(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을 이동하면서 진공척(110)에 고정된 취성재료(1)를 가압하는 브레이킹 바(140) 및 브레이킹 바(14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한편 한 쌍의 진공척(110)의 상부에는 정렬감지부(150)가 상기 브레이킹 바(140)의 길이 양단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런 정렬감지부(150)는 취성재료(1)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5)과 브레이킹 바(140)가 정렬되었는지를 촬상하고 이를 전기적신호로 제어부(160)에 입력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된 영상메시지에 따라 제1 구동부(131) 또는 제2 구동부(132)를 구동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취성재료 절단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각형 진공척(110)은 일측면이 상호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그 상면에는 다수 개의 흡입구(113)가 형성되며, 진공척(110)의 타측면에는 배출구(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흡입구(113)에는 흡착면적을 넓히기 위해 요부(117)가 형성된다.
이런 각각의 진공척(110)의 저면에는 도 5에 보이듯이 스트레칭 플레이트(121)가 각각 고정되고,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의 하부에는 지지 플레이트(123)가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23)의 상면에는 레일(125)이 상기 브레이킹 바(14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각각의 스트레칭 플레이트(121)는 이런 레일(125)을 따라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123)의 상면에는 신축 가능한 제1 구동부(131)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1 구동부(131)의 타단은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에 고정된다.
제1 구동부(131)는 공압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는 공압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제어 또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면서 스트레칭 플레이트(121)를 이송한다.
한편 진공척(11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15)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공펌프가 연결되며 진공펌프가 작동하게 되면 공기가 흡입구(113)를 통해 배출구(115)로 배출된다.
그리고 평행하게 위치한 한 쌍의 진공척(110)의 사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브레이킹 바(140)가 위치한다. 브레이킹 바(140)는 상단이 뾰족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상부에 위치한 취성재료(1)와 접하였을 때에 응력을 집중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런 브레이킹 바(140)에는 제2 구동부(132)가 연결되어 브레이킹 바(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런 제2 구동부(132) 또한 공압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제어 또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되면서 브레이킹 바(14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여 취성재료(1)를 가압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3)는 하나의 스크루 봉(181)에 연결된다. 이런 스크루 봉(181)의 일측은 왼나사부(182L)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부(182R)가 형성되며, 이런 스크루 봉(181)은 브레이킹 바(140)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3)에 체결된다. 이런 지지 플레이트(123)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탭(127)이 고정되는데, 이런 탭(127)의 암나사공에 스크루 봉(181)의 나사부(182L, 182R)가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스크루 봉(181)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180)를 회전하면 왼나사부(182L)와 오른나사부(182R)에 체결된 탭(127)과 이런 탭(127)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123)는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쪽으로 상호 함께 이동한다. 이때, 제1 구동부(131)가 신축하지 않고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경우에 지지 플레이트(123)의 이동에 따라 스트레칭 플레이트(121) 및 진공척(110)이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123)를 따라 함께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된 미설명된 도면부호 185는 스크루 봉(18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이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취성재료 절단장치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성재료(1)의 상면에 임의의 절단선을 따라 스크라이버(3)를 이용하여 스크라이빙 하여 슬릿(5)을 형성한다(S101). 스크라이빙에 의해 형성된 슬릿(5)이 상부를 향하도록 취성재료를 한 쌍의 진공척(110)의 상면에 안착한다(S103). 그리고 배출구(115)에 진공펌프를 연결하고 공기를 흡입하면, 요부(117)에 있던 공기가 흡입구(113)를 통해 흡입되면서 진공척(110)에 안착된 취성재료(1)는 진공척(110)의 상면에 흡착된다(S105).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보이듯이, 취성재료(1)가 고정된 상태에서 정렬감지부(150)는 취성재료(1)에 형성된 슬릿(5)과 그 하부에 위치한 브레이킹 바(140)를 촬상하고, 촬상한 영상메시지를 전기적신호로 제어부(160)에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60)에서는 슬릿(5)과 브레이킹 바(140)가 정렬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107), 정렬상태가 불량하면 제1 구동부(131)를 작동하여 한 쌍의 진공척(110)을 이동시켜 슬릿(5)과 브레이킹 바(140)의 정렬상태가 양호하도록 재정렬한다(S109).
이와 같이 제1 구동부(131)가 작동하게 되면, 스트레칭 플레이트(121)와 진공척(110)이 제1 구동부(131)의 신축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한 쌍의 진공척(110)에 고정된 취성재료(1) 또한 이동하게 되면서, 브레이킹 바(140)와 슬릿(5)은 재정렬된다. 이와 같이 재정렬되어 정렬상태가 양호하게 되면, 제어부(160)에서는 제1 구동부(131)의 길이를 수축하여 취성재료(1)의 슬릿(5)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동일한 힘이 가해 긴장시킨다(S111).
그리고 제2 구동부(132)를 신장시켜 브레이킹 바(140)가 취성재료(1)로 접하여 가압하도록 한다(S113).
이와 같이 슬릿(5)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긴장된 상태에서 브레이킹 바(140)가 취성재료(1)의 타면을 가압하게 되면 노치효과에 의해 슬릿(5)의 안쪽면에 응력이 집중되고 슬릿(5)의 안쪽면에서부터 크랙이 발생하여 브레이킹 바(140)가 접한 취성재료의 타면으로 진행한다.
결국 취성재료(1)는 슬릿(5)을 따라 절단되는데(S115), 취성재료(1)는 제1 구동부(131)에 의해 양방향으로 당기는 긴장력 즉 앞에서 설명한 인장력의 방향으로 힘을 받는 상태에서 절단된다. 따라서 절단과정에서 인장력과 상반되는 압축력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힘은 절단면을 따라 비교적 균일하게 작용한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릿(5)을 따라 취성재료(1)의 일면에서 타면까지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브레이킹 테일(11)이나 버어(13)와 같은 절단면 결함들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 구동부(131)와 제2 구동부(132)에 의해 발생하는 힘 및 속도 등의 조건들은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의 종류 및 두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앞에서 설명한 취성재료 절단장치에 있어서, 진공척(110)의 배출구(115)가 측면에 형성되었다 하였으나, 저면에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취성재료 절단방법에 있어서, 제1 구동부(131)의 길이를 수축하여 긴장시킨다고 설명하였으나, 제1 구동부(131)를 대신하여 스크루 봉(181)을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123)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긴장시킬 수 있다.
또한, 앞에서는 제1 구동부(131) 및 제2 구동부(132)를 공압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하는 공압시스템이라 하였으나, 공압시스템을 대신하여 유압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기어 및 캠과 같은 운동방향 전환수단 또는 직선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은 취성재료의 절단선을 따라 형성한 홈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긴장하여 절단함으로써, 긴장시키지 않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반된 인장력과 압축력 즉 힘의 불균형을 해소한다.
따라서 힘이 불균일한 상태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절단면의 결함인 브레이킹 테일, 버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의 취성제품 제작이 가능하며, 균일한 힘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크랙이 홈을 이탈하여 절단선이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킹 바를 사용함에 있어서 취성재료를 뒤집지 않고서도 브레이킹 바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중에 취성재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크라이버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레이킹 바를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절단면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4는 절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취성재료 절단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취성재료 절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취성재료를 절단하기 이전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취성재료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와 스크루 봉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취성재료 절단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취성재료 3 : 스크라이버
5 : 슬릿 7 : 브레이킹 바
100 : 취성재료 절단장치 110 : 진공척
121 : 스트레칭 플레이트 123 : 지지 플레이트
131, 132 : 구동부 140 : 브레이킹 바
150 : 정렬감지부 160 : 제어부
180 : 손잡이 181 : 스크루 봉

Claims (8)

  1. 취성재료 절단장치에 있어서,
    취성재료를 흡착 고정하는 복수의 척과,
    상기 복수의 척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취성재료를 가압하는 브레이킹 바와,
    상기 복수의 척을 독립적으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브레이킹 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척은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척의 측면 또는 저면 중에 어느 한 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척 상부에는 상기 브레이킹 바에 대응하여 정렬감지부가 위치하며 상기 취성재료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의 정렬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척 저면에는 스트레칭 플레이트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칭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지지 플레이트가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일단은 스트레칭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들은 일측에 왼나사 가공되고 타측에 오른나사 가공된 스크루 봉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스크루 봉의 회전에 따라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장치.
  6. 취성재료 절단방법에 있어서,
    취성재료의 일면에 절단선을 따라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바깥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취성재료를 긴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릿과 대응하여 상기 취성재료의 타면을 브레이킹 바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취성재료를 긴장하는 단계의 사이에,
    상기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의 정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상태가 양호할 경우에 상기 브레이킹 바를 상기 취성재료의 타면 방향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상태가 불량할 경우에 상기 취성재료를 이송하여 상기 슬릿과 상기 브레이킹 바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 절단방법.
KR1020030060603A 2003-08-30 2003-08-30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KR10056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603A KR100563836B1 (ko) 2003-08-30 2003-08-30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603A KR100563836B1 (ko) 2003-08-30 2003-08-30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408A true KR20050022408A (ko) 2005-03-08
KR100563836B1 KR100563836B1 (ko) 2006-03-28

Family

ID=3723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603A KR100563836B1 (ko) 2003-08-30 2003-08-30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28B1 (ko) * 2005-07-20 2007-02-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절단 시스템
KR20140129337A (ko) * 2012-05-24 2014-11-0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66B1 (ko) 2008-11-05 2012-06-28 세메스 주식회사 절단 장치용 이송 유닛, 이를 갖는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28B1 (ko) * 2005-07-20 2007-02-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멀티 절단 시스템
KR20140129337A (ko) * 2012-05-24 2014-11-0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박판 유리재 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836B1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4744B2 (ja) 液晶表示装置の偏光板除去装置
US7699200B2 (en) Scribing and break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088930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JP3392485B2 (ja) 管切断機
KR20020026815A (ko) 취성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8186007A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除去装置及びその方法
US4995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ving wafers
JP2006160523A (ja) カンチレバーパネル移送装置
JPH1179770A (ja) スクライブ装置及び劈開方法
JP4915294B2 (ja) 集積型薄膜太陽電池の製造に用いられるガラス基板の分割方法
KR20100123907A (ko) 마더 기판의 기판 가공 방법
KR20120114150A (ko) 브레이크 장치
US7888899B2 (en) Substrate split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splitting a substrate
KR100563836B1 (ko)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CN104808382A (zh) 一种用于液晶显示面板的半自动偏光片剥离装置
TWI458690B (zh) Method of breaking the substrate
JP2009095901A (ja) 貼合せ基板の分断方法および分断装置
JP2014217983A (ja) 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JPH1190900A (ja) 液晶表示パネル分割方法と装置
CN204667012U (zh) 一种用于液晶显示面板的半自动偏光片剥离装置
KR102353203B1 (ko) 단재 제거 장치
CN110329783A (zh) 一种搬送机构
CN220040098U (zh) 一种保温膜用延展性检测机
KR20050022409A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취성재료 절단장치 및 그 절단방법
KR20200088928A (ko) 더미 제거 유닛 및 더미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