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221A -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221A
KR20140126221A KR1020130083958A KR20130083958A KR20140126221A KR 20140126221 A KR20140126221 A KR 20140126221A KR 1020130083958 A KR1020130083958 A KR 1020130083958A KR 20130083958 A KR20130083958 A KR 20130083958A KR 20140126221 A KR20140126221 A KR 20140126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ormally closed
common terminal
plat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731B1 (ko
Inventor
히로노리 구니에다
가쓰히사 세리자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bstract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동축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는 통상시는, 판스프링 편부에 가압되는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에 탄성접촉하여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축 플러그가 접속되면, 플러그 접촉부에 접촉하는 플러그핀에 의하여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로부터 후퇴하여 고정접촉편부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코먼단자의 전기접속이 노멀클로즈 단자로부터 플러그핀으로 절환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절연 하우징에 위치결정되는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를, 가동접촉부의 가동방향으로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절연 하우징에 지지한다.

Description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同軸 cable) 등의 단말(端末)에 접속된 동축 플러그(同軸 plug)를 접속함으로써 코먼단자(common 端子)의 접속이 노멀클로즈 단자(normal closed端子)로부터 동축 플러그의 플러그핀(plug pin)으로 절환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switch 附着 同軸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10)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내장되어 전파상태가 나쁜 환경에서, 외부 안테나가 접속된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을 삽입하여, 보통, 내장된 내부 안테나(111)에 접속하는 기기내의 송수신회로를 외부 안테나로 절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종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를 도13과 도14로 설명하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는, 각각 도전성 판편(導電性 板片)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노멀클로즈 단자(101) 및 코먼단자(102)와, 이들의 단자(101, 102)를 단자 수용실(103a)내에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통모양의 절연 하우징(103)과, 절연 하우징(103)의 외측면을 덮는 어스기구(104)로 구성된다. 절연 하우징(103)의 상방에는, 단자 수용실(103a)로 들어가는 삽입구멍(103b)이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을 단자 수용실(103a)내로 탈착(脫着)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전성 판편을 거의 L자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노멀클로즈 단자(101)는, 단자 수용실(103)의 상방의 내벽면(內壁面)을 따라 접하는 고정접촉편부(101a)와, 단자 수용실(103)의 내벽면을 따라 절연 하우징(103)에 위치결정되는 고정부(10lb)와, 고정부(10lb)의 하단으로부터 L자모양으로 절곡하여 절연 하우징(103)의 저면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101c)를 일체로 구비하여, 다리부(101c)와 솔더에 의하여 접속하는 프린트 배선기판(140)상의 도전 패턴(導電 pattern)을 통하여 기기에 내장된 내부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코먼단자(102)는, 플러그핀(121)의 탈착경로를 사이에 두고 노멀클로즈 단자(101)와 대향하는 단자 수용실(103a)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가늘고 긴 띠모양의 도전성 판편의 한측에 삽입구멍(103b)의 하방으로 접하는 플러그 접촉부(102a)와, 가늘고 긴 띠모양의 길이방향을 따라 S자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판스프링 편부(102b)와, 판스프링 편부(102b)의 측면으로부터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고정접촉편부(101a)에 접리(接離)하는 가동접촉부(102c)와, 판스프링 편부(102b)의 기단(基端)이 180도 되돌려져서 절연 하우징(103)의 오목홈(groove)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02d)와, 고정부(102d)의 하단으로부터 L자모양으로 절곡하여, 절연 하우징(103)의 저면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102e)를 일체로 구비하여, 다리부(102e)와 솔더에 의하여 접속하는 프린트 배선기판(140)상의 도전 패턴을 통하여 기기내의 송수신회로에 접속하고 있다.
코먼단자(102)의 가동접촉부(102c)는, 자유상태에서, S자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판스프링 편부(102b)에 의하여 가압되어서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고정접촉편부(101a)에 탄성접촉하여, 기기내의 송수신회로는 내부 안테나측에 접속하고 있다. 외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을 삽입구멍(103b)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하면, 플러그핀(121)이 플러그 접촉부(102a)에 탄성접촉함과 동시에, 가동접촉부(102c)를 판스프링 편부(102b)의 탄성에 저항해서 고정접촉편부(101a)로부터 후퇴시켜, 기기내의 송수신회로와의 접속은 내부 안테나로부터 외부 안테나로 절환된다.
이러한 구조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코먼단자(102)의 판스프링 편부(102b)에 소성변형(塑性變形)에 이르는 큰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판스프링 편부(102b)의 휨방향과 직교하는 횡단면의 단면계수Z(斷面係數Z)를 작게 할 필요가 있고, 표면의 폭이 그 판의 두께보다 커지도록, 가동접촉부(102c)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판스프링 편부(102b)를 직교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한편 코먼단자(102)의 대향부위에 배치되는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고정접촉편부(101a)는, 코먼단자(102)나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조립오차나 판스프링 편부(102a)의 가공오차가 있어도, 가동접촉부(102c)가 탄성접촉하도록, 가동접촉부(102c)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자 수용실(103a)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코먼단자(102)와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대향면적이 크고, 코먼단자(102)가 플러그핀(121)에 접촉하고 있는 사이의 노멀클로즈 단자(101)와의 아이솔레이션 특성(isolation 特性)이 악화되어, 내부 안테나와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다. 특허문헌1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코먼단자(102)의 판스프링 편부(102b)를 길이방향을 따라 S자모양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하여, 충분한 스프링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노멀클로즈 단자(101)와 코먼단자(102) 사이의 거리를 크게 잡아, 아이솔레이션 특성의 개선을 꾀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4220446호 공보
그러나 내부 안테나로부터 흐르는 고주파신호는, 노멀클로즈 단자(101)와 코먼단자(102) 사이의 부유용량(浮遊容量)을 통하여 송수신회로에 누설되어서 흐르는 것이며, 이 부유용량은, 노멀클로즈 단자(101)와 코먼단자(102)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지만, 양자의 대향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노멀클로즈 단자(101)와 코먼단자(102) 사이의 대향면적을 바꾸지 않고, 그 사이의 거리를 크게 잡는 것만으로는 종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에서는 충분히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코먼단자(102)의 판스프링 편부(102b)를 S자모양으로 접어 구부려 노멀클로즈 단자(101)로부터 거리를 두고도, 코먼단자(102)의 플러그 접촉부(102a)에 접촉하는 플러그핀(121)과 노멀클로즈 단자(101)와의 거리가 접근하여, 그 사이의 부유용량을 통하여 노멀클로즈 단자(101)의 고주파신호가 코먼단자(102)로 흘러,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단자 수용실과, 동축 플러그의 플러그핀을 상방으로부터 단자 수용실내로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절연 하우징과, 도전성 판편으로 형성되고, 고정접촉편부와 단자 수용실내의 플러그핀의 탈착방향을 따라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는 위치결정편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노멀클로즈 단자와, 도전성 판편으로 형성되고, 삽입구멍의 하방으로 접하는 플러그 접촉부와, 노멀클로즈 단자의 고정접촉편부에 접리하는 가동접촉부와, 단자 수용실내의 플러그핀의 탈착방향을 따라 절연 하우징에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되어, 가동접촉부를 고정접촉편부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 편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코먼단자를 구비하고, 동축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는 통상시는, 판스프링 편부에 가압되는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에 탄성접촉하여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축 플러그가 접속되면, 플러그 접촉부에 접촉하는 플러그핀에 의하여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로부터 후퇴하여 고정접촉편부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코먼단자의 전기접속이 노멀클로즈 단자로부터 플러그핀으로 절환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가동접촉부의 가동방향으로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탄성변형시키거나, 코먼단자의 가동접촉부와 위치차이가 있어도 접촉하도록 가동접촉부와의 대향면을 따라 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절연 하우징에 지지할 수 있다.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지지된 노멀클로즈 단자는,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만이 코먼단자와 대향하여, 양자의 대향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그 사이의 부유용량이 감소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코먼단자의 판스프링 편부에,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교차판부(交差板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차판부는,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가동접촉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기 때문에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만이 노멀클로즈 단자와 대향하여,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대향면적이 더 감소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코먼단자의 가동접촉부가, 대향면에 대하여 판의 두께방향을 평행으로 하고 교차판부에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 접촉부에 접리함으로써 노멀클로즈 단자에 가장 근접하는 가동접촉부의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이 고정 접촉부와 대향하기 때문에 가장 근접하는 가동접촉부와 고정접촉편부간의 부유용량이 감소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가동접촉부의 가동방향으로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측방에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고, 고정접촉편부는, 그 위치결정편부로부터 가동접촉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코먼단자에 대향하는 부위의 측방에 지지되고, 고정접촉편부만이 코먼단자에 대향하기 때문에 코먼단자와의 대향면적이 감소하여,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부유용량이 더 감소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고정접촉편부는, 대향면에 대하여 판의 두께방향을 평행으로 하고 위치결정편부에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접촉편부의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대향면에 평행하게 되므로,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만이 가동접촉부와 대향하여, 가장 근접하는 가동접촉부와 고정접촉편부간의 부유용량이 감소한다.
청구항6에 기재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코먼단자의 일측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송수신회로에 접속하여, 동축 플러그가 접속되면, 코먼단자의 타측의 전기접속이 내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노멀클로즈 단자로부터 외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플러그핀으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통신기기에 외부 안테나를 접속했을 때에, 내부 안테나로부터의 안테나 신호가 송수신회로에 누설되지 않는다.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도전성 판편으로 형성되는 노멀클로즈 단자의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는 방향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코먼단자와의 아이솔레이션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교차판부는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이 가동접촉부의 이동방향으로 접하므로, 이동방향에 배치되는 노멀클로즈 단자와의 대향면적이 감소하여,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가장 근접하는 가동접촉부와 고정 접촉부간의 대향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노멀클로즈 단자의 주요부인 위치결정편부가 코먼단자와의 대향부위로부터 벗어나므로,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접촉부에 가장 근접하는 고정접촉편부의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이 가동접촉부와 대향하기 때문에 코먼단자와 노멀클로즈 단자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기기에 외부 안테나를 접속했을 때에 내부 안테나와의 크로스토크가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대향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이다.
도2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대향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따라 절단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대향방향을 따라 절단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나타내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동축 플러그(120)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7은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의 배치방향과 아이솔레이션 특성의 관계를 비교해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30)의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노멀클로즈 단자(33)와 코먼단자(3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노멀클로즈 단자(33)의 좌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코먼단자(34)의 우측면도이다.
도9는 제3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40)의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노멀클로즈 단자(43)와 코먼단자(4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노멀클로즈 단자(43)의 좌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코먼단자(44)의 우측면도이다.
도10은 제4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50)의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노멀클로즈 단자(53)와 코먼단자(5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노멀클로즈 단자(53)의 좌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코먼단자(54)의 우측면도이다.
도11은 제5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60)의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노멀클로즈 단자(63)와 코먼단자(64)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노멀클로즈 단자(63)의 좌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코먼단자(64)의 우측면도이다.
도12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내장한 휴대전화기(110)의 부분절단사시도이다.
도13은 종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의 종단면도이다.
도14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도1 내지 도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성이 나타내지고,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3은 노멀클로즈 단자, 4는 코먼단자, 2는 이들 단자(3, 4)를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5는 절연 하우징(2)의 외주면을 덮는 통모양의 어스기구이다. 절연 하우징(2)에 지지되는 코먼단자(4)는,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의 탈착에 의하여 그 가동접촉부(4a)가 가동하는 가동단자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유상태에서 가동접촉부(4a)를 가압하는 방향을 전방, 플러그핀(121)이 코먼단자(4)의 플러그 접촉부(4b)에 접촉해서 후퇴하는 방향을 후방, 도4의 도면에 나타내는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절연 하우징(2)은, 원통모양의 하우징 본체(2a)와 하우징 본체(2a)의 하단의 플랜지부(2b)가 절연성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a)의 상부에는, 원통모양의 중심축 둘레에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을 삽입시키는 삽입구멍(7)이 형성되어,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삽입구멍(7)으로 삽입하는 플러그핀(121)을 하우징 본체(2a)내의 단자 수용실(6)로 탈착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단자 수용실(6)의 전방에는, 하우징 본체(2a)를 두께로 한 각기둥부(2c)가 삽입구멍(7)의 전단으로부터 연직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기둥부(2c)에는, 각기둥부(2c)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편평홈(扁平groove)(8a)과 그 후단으로부터 각기둥부(2c)의 우측면까지 연속하는 편평 대피홈(8b)에 의하여 횡단면형상이 역L자모양으로 나타나는 고정단자 부착홈(8)이, 각기둥부(2c)의 기립방향을 따라 하우징 본체(2a)의 저면(底面)으로 개구(開口)할 때까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기둥부(2c)에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단자 수용실(6)의 후면에는, 코먼단자(4)의 후술하는 판스프링 편부(4c)를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부착 오목홈(9)이 연직방향을 따라 하우징 본체(2a)의 저면에 도달할 때까지 동일횡단면형상(同一橫斷面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단자 부착홈(8)에 수용되는 노멀클로즈 단자(3)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계단모양으로 펀칭하여, 가늘고 긴 띠모양으로 기립하는 위치결정편부(3a)의 상하에 고정접촉편부(3b)와 크랭크모양의 다리부(3c)를 일체로 형성한 후에, 고정접촉편부(3b)를 위치결정편부(3a)의 상부로부터 우측방향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위치결정편부(3a)는 금속박판으로부터 펀칭하는 펀칭방향이 판의 두께방향이 되므로,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의 폭은 금속박판의 판의 두께와 같다.
이 위치결정편부(3a)의 판의 두께방향의 측면의 폭은, 고정단자 부착홈(8)의 편평홈(8a)의 홈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넓은 것으로 되어 있고,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멀클로즈 단자(3)는, 하우징 본체(2a)의 하방으로부터 고정단자 부착홈(8)의 편평홈(8a)으로 위치결정편부(3a)를 압입해서 부착된다. 위치결정편부(3a)를 편평홈(8a)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압입하는 공정에서, 위치결정편부(3a)의 상부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진 고정접촉편부(3b)는 편평 대피홈(8b)내를 슬라이딩하여, 도4,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멀클로즈 단자(3)가 완전하게 고정단자 부착홈(8)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자 수용실(6)내의 각기둥부(2c)의 우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부착된 상태에서, 위치결정편부(3a)는, 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편평홈(8a)내에 위치결정되므로, 좁은 폭의 측면이 후방과 대향한다. 또한 위치결정편부(3a)로부터 하방으로 크랭크모양으로 연속하는 다리부(3c)는, 절연 하우징(2)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코먼단자(4)는, 인청동(燐靑銅) 등 도전성과 스프링성이 있는 금속박판을 가늘고 긴 띠모양으로 펀칭하고 접어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 도3,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띠모양의 판스프링 편부(4c)와, 판스프링 편부(4c)의 상방에서 전방으로 반원통모양으로 만곡하는 플러그 접촉부(4b)와, 판스프링 편부(4c)의 상방의 우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판스프링 편부(4c)와 직교하여 접어 구부려진 평판모양의 가동접촉부(4a)와, 판스프링 편부(4c)의 하단으로부터 크랭크모양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다리부(4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 편부(4c)는, 중앙의 "く"모양의 절곡부의 하방의 고정편부(4ca)와 상방의 경사편부(4cb)로 더 이루어지며, 고정편부(4ca)의 양측면에는, 하우징 본체(2a)의 부착 오목홈(9)의 좌우의 내측면에 계지(係止)하는 계지 돌기(4e)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먼단자(4)도 고정편부(4ca)를 하우징 본체(2a)의 하방으로부터 부착 오목홈(9)내로 삽입하여, 계지 돌기(4e)를 부착 오목홈(9)의 좌우의 내측면에 계지해서 절연 하우징(2)에 부착한다. 코먼단자(4)가 부착 오목홈(9)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편부(4ca)로부터 상방의 경사편부(4cb), 플러그 접촉부(4b) 및 가동접촉부(4a)는 고정편부(4ca)에 의하여 외팔보로 지지되고, 가동접촉부(4a)는 판스프링 편부(4c)의 탄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어, 노멀클로즈 단자(3)의 고정접촉편부(3b)에 탄성접촉한다. 또한 가동접촉부(4a)가 고정접촉편부(3b)에 탄성접촉하는 위치에서, 플러그 접촉부(4b)는, 삽입구멍(7)의 하방에서 각기둥부(2c)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로 접하고,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이 상방으로부터 삽입구멍(7)내로 삽입되면, 플러그핀(121)에 접촉함과 동시에, 각기둥부(2c)의 후면과의 사이에 플러그핀(121)을 협지해서 연직방향을 따라 안내한다.
통모양 어스기구(5)는, 도전성의 아연합금을 주조하여 절연 하우징(2)의 외측면의 전체를 덮는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원통모양의 어스 접촉부(5a)와, 어스 접촉부(5a)의 하방에서 절연 하우징(2)의 플랜지부(2b)의 상면에 접촉하는 어스기구 본체(5b)와, 어스기구 본체(5b)의 저면측의 네 구석에 수직으로 형성된 어스 다리부(5c)로 되어 있다. 어스 접촉부(5a)는, 원통모양의 하우징 본체(2a)의 외주면을 덮고,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접속하는 동축 플러그(120)의 외부도체(122)에 접촉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절연 하우징(2)의 하방으로부터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를 압입해서 절연 하우징(2)에 위치결정한 후, 절연 하우징(2)의 상방으로부터 통모양 어스기구(5)를 장착한다. 그 후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실장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프린트배선기판상에 배치하여, 절연 하우징(2)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노멀클로즈 단자(3)의 다리부(3c)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내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신호패턴에, 코먼단자(4)의 다리부(4d)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송수신회로에 접속하는 신호패턴에, 통모양 어스기구(5)의 어스 다리부(5c)를 접지패턴에, 각각 솔더에 의하여 접속한다. 통모양 어스기구(5)의 어스 다리부(5c)를 프린트배선기판의 접지패턴에 접속함으로써 절연 하우징(2)이 통모양 어스기구(5)와 프린트배선기판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가 프린트배선기판상에 실장된다.
프린트배선기판에 실장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삽입구멍(7)이 휴대용 통신기기의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접하고, 외부로부터 일단(一端)이 외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동축 플러그(120)를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부 안테나를 접속하지 않는 통상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먼단자(4)의 가동접촉부(4a)가 판스프링 편부(4c)의 탄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고, 고정접촉편부(3b)에 탄성접촉함으로써 코먼단자(4)는 노멀클로즈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송수신회로는 기기내의 내부 안테나측에 접속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축 플러그(120)의 플러그핀(121)을 삽입구멍(7)으로 삽입해서 접속하면, 플러그핀(121)은, 삽입구멍(7)의 하방으로 접하는 코먼단자(4)의 플러그 접촉부(4b)에 탄성접촉하면서, 판스프링 편부(4c)의 탄성에 저항해서 플러그 접촉부(4b)를 후방으로 압입하고, 플러그 접촉부(4b)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연동해서, 가동접촉부(4a)는 고정접촉편부(3b)로부터 떨어져서 후퇴한다. 그 결과, 코먼단자(4)는 노멀클로즈 단자(3)로부터 플러그핀(121)에 접속하여, 송수신회로는 기기내의 내부 안테나로부터 외부 안테나측으로 접속이 절환된다.
이렇게 가동접촉부(4a)와 고정접촉편부(3b)간이 절연되어도, 단자 수용실(6)의 전후방향으로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가 대향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용량을 통하여 내부 안테나의 안테나 신호와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멀클로즈 단자(3)의 주요부분인 위치결정편부(3a)를 대향방향(전후방향)으로 전개되는 편평홈(8a)내에 위치결정하여, 펀칭방향에 따른 좁은 폭의 측면을 코먼단자(4)에 대향시키므로, 코먼단자(4)와 노멀클로즈 단자(3) 사이의 대향면적이 매우 작고, 그 사이의 부유용량이 감소하여,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이 높아진다.
도7은,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배치방향과 아이솔레이션 특성의 관계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도면에서 (A)는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의 각 표면을 대향방향에 대하여 직교시킨 종래의 배치방향에서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B)는 노멀클로즈 단자(3)의 위치결정편부(3a)를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한 본 실시형태의 배치방향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비교해서 나타내고 있다. (A)와 (B)을 비교해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노멀클로즈 단자(3)에 흐르는 각 고주파신호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A)와 비교하여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이 높고,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개선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부(4a)가 가동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노멀클로즈 단자(3)와 코먼단자(4)의 대향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노멀클로즈 단자와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클로즈 단자(3)의 위치결정편부(3a)를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한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의 기본적인 기능을 손상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도8 내지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의 배치방향이나 형상을 변경해서 대향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는,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의 배치방향이나 형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절연 하우징이나 통모양 어스기구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여, 동축 플러그(120)를 접속하지 않는 상시의 각 방향에 나타나는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를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도8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대해서, 코먼단자(4)의 고정편부(4ca)에 상당하는 부분을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교차판부(34ca)로 한 제2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30)의 노멀클로즈 단자(33)와 코먼단자(34)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코먼단자(34)의 판스프링 편부(34c)중에, 절연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탄성변형하지 않는 교차판부(34ca)를 노멀클로즈 단자(33)와의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기 때문에 코먼단자(34)의 스프링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노멀클로즈 단자(33)와 코먼단자(34) 사이의 대향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7의 (C)는, 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30)의 노멀클로즈 단자(33)와 코먼단자(34) 사이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내어, (A) 및 (B)와 비교해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B)와 비교해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도9는, 제2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30)와 비교하여, 코먼단자(44)의 판스프링 편부(44c)의 전체와, 노멀클로즈 단자(43)의 고정접촉편부(43b)를, 대향방향에 대하여 더 평행하게 배치한 제3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40)를 나타내고 있다. 코먼단자(44)의 판스프링 편부(44c)는 가동접촉부(44a)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휨방향의 단면계수Z가 커지게 되지만, 코먼단자(44)와 노멀클로즈 단자(43)의 주요부는 모두 그 측면과 대향하기 때문에 비약적으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10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와 비교하여, 노멀클로즈 단자(3)의 고정접촉편부(3b)에 상당하는 부분을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한 고정접촉편부(53b)로 함과 아울러, 코먼단자(4)의 가동접촉부(4a)를 생략하여, 판스프링 편부(54c)로 겸용한 제4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50)의 노멀클로즈 단자(53)와 코먼단자(54)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4실시형태에서는, 고정접촉편부(53b)가 대향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코먼단자(4)와의 대향면적이 감소함과 아울러, 코먼단자(54)의 판스프링 편부(54c)가 가동접촉부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판스프링 편부(54c)와 별도로 가동접촉부를 노멀클로즈 단자(53)에 대향시킬 필요가 없고, 양자간의 대향면적이 더 감소한다.
도11은, 제4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50)와 비교하여, 코먼단자(54)의 고정편부(54ca)에 상당하는 부분을, 대향방향에 대하여 더 평행하게 배치한 교차판부(64ca)로 한 제5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60)의 노멀클로즈 단자(63)와 코먼단자(64)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5실시형태에서는, 절연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탄성변형하지 않는 교차판부(64ca)를 노멀클로즈 단자(63)와의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기 때문에, 코먼단자(64)의 스프링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노멀클로즈 단자(63)와 코먼단자(64) 사이의 대향면적을 더 감소시켜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노멀클로즈 단자의 주요부인 위치결정편부를, 코먼단자의 주요부인 판스프링 편부의 전후방향인 대향방향으로, 절연 하우징에 위치결정하여 고정하고 있지만, 위치결정편부를 코먼단자와의 대향부위로부터 벗어난 부위의 절연 하우징에 고정하여, 고정접촉편부만을 가동접촉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위치결정편부로부터 절곡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코먼단자와의 대향부위로부터 벗어난 부위에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를 배치함으로써 양자간의 간격이 벌어짐과 동시에, 대향방향에 대하여 평면이 직교하는 노멀클로즈 단자 및 코먼단자는 대향면적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는 절연 하우징에 압입해서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절연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해서 고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고주파신호의 절환에 이용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 적합하다.
1 :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2 : 절연 하우징
3 : 노멀클로즈 단자
3a : 위치결정편부
3b : 고정접촉편부
4 : 코먼단자
4a : 가동접촉부
4b : 플러그 접촉부
4c : 판스프링 편부
4ca : 고정편부
6 : 단자 수용실
7 : 삽입구멍
30 : 제2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33 : 노멀클로즈 단자
34 : 코먼단자
34ca : 교차판부
40 : 제3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43 : 노멀클로즈 단자
44 : 코먼단자
50 : 제4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53 : 노멀클로즈 단자
54 : 코먼단자
60 : 제5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63 : 노멀클로즈 단자
64 : 코먼단자
64ca : 교차판부
120 : 동축 플러그
121 : 플러그핀

Claims (6)

  1. 단자 수용실(端子 收容室)과, 동축 플러그(同軸 plug)의 플러그핀(plug pin)을 상방으로부터 단자 수용실내로 탈착(脫着)이 가능하게 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절연 하우징(絶緣 housing)과,
    도전성 판편(導電性 板片)으로 형성되고, 고정접촉편부(固定接觸片部)와 단자 수용실내의 플러그핀의 탈착방향을 따라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는 위치결정편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노멀클로즈 단자(normal close 端子)와,
    도전성 판편으로 형성되고, 삽입구멍의 하방으로 접하는 플러그 접촉부(plug 接觸部)와, 노멀클로즈 단자의 고정접촉편부에 접리(接離)하는 가동접촉부(可動接觸部)와, 단자 수용실내의 플러그핀의 탈착방향을 따라 절연 하우징에 외팔보(cantilever)로 지지되고 상기 가동접촉부를 상기 고정접촉편부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 편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코먼단자(common 端子)를
    구비하고,
    동축 플러그를 접속하지 않는 통상시는, 판스프링 편부에 가압되는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에 탄성접촉하여 노멀클로즈 단자와 코먼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동축 플러그가 접속되면, 플러그 접촉부에 접촉하는 플러그핀에 의하여 가동접촉부가 고정접촉편부로부터 후퇴하여 고정접촉편부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코먼단자의 전기접속이 노멀클로즈 단자로부터 플러그핀으로 절환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switch 附着 同軸 connector)로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가동접촉부의 가동방향으로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코먼단자의 판스프링 편부에,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도전성 판편의 판의 두께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교차판부(交差板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코먼단자의 가동접촉부는,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판의 두께방향을 평행으로 하고 상기 교차판부에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위치결정편부는, 가동접촉부의 가동방향으로 코먼단자가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측방에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고, 고정접촉편부는, 그 위치결정편부로부터 가동접촉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노멀클로즈 단자의 고정접촉편부는,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판의 두께방향을 평행으로 하고 상기 위치결정편부에 연속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코먼단자의 일측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송수신회로에 접속하여, 동축 플러그가 접속되면, 코먼단자의 타측의 전기접속이 내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노멀클로즈 단자로부터 외부 안테나에 접속하는 플러그핀으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0130083958A 2013-04-22 2013-07-17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802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9003 2013-04-22
JP2013089003A JP5605455B1 (ja) 2013-04-22 2013-04-22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221A true KR20140126221A (ko) 2014-10-30
KR101802731B1 KR101802731B1 (ko) 2017-11-29

Family

ID=5054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958A KR101802731B1 (ko) 2013-04-22 2013-07-17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92151B2 (ko)
EP (1) EP2797180B1 (ko)
JP (1) JP5605455B1 (ko)
KR (1) KR101802731B1 (ko)
CN (1) CN1041129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0562S1 (en) * 2013-04-01 2016-03-01 Sm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30672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JP6023255B1 (ja) * 2015-04-17 2016-11-0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606268S (ko) * 2017-09-11 2018-06-11
JP7196007B2 (ja) * 2019-04-17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CN113906244A (zh) * 2019-06-06 2022-01-07 加特可株式会社 控制单元
JP6712376B1 (ja) * 2019-07-22 2020-06-24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D951207S1 (en) * 2020-06-19 2022-05-10 DynaEnergetics Europe GmbH Spring loaded circuit contact pin assembly
US11749469B2 (en) 2020-09-30 2023-09-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switch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13594818A (zh) * 2021-09-07 2021-11-02 太康精密(中山)有限公司 组装式电连接器
CN117276990A (zh) * 2023-11-20 2023-12-22 科信成精密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高频同轴开关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583U (ja) * 1982-09-30 1984-04-06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ジヤツク
JPH024460Y2 (ko) * 1986-12-27 1990-02-01
US5174775A (en) 1991-10-23 1992-12-29 Amp Incorporated RF convertor and switch
JP3079466B2 (ja) 1995-12-14 2000-08-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イッチ付コネクタ
JP3337650B2 (ja) 1998-10-05 2002-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TW534485U (en) * 2002-06-20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801546B2 (ja) * 2002-08-07 2006-07-26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3096377U (ja) * 2003-03-11 2003-09-12 インサート エンタープライズ カンパニ リミテッド 超小型マイクロスイッチコネクタ
JP3959404B2 (ja) * 2004-04-12 2007-08-15 株式会社ジャルコ スイッチ付ジャック
JP2006049276A (ja) * 2004-07-06 2006-02-16 Hosiden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4220446B2 (ja) * 2004-08-27 2009-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TWM327118U (en) * 2007-05-22 2008-02-11 Insert Entpr Co Ltd Super-miniature coaxial micro switch connector
CN201113010Y (zh) * 2007-07-16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295432A (ja) * 2008-06-05 2009-12-17 Smk Corp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201708407U (zh) * 2010-02-11 2011-01-12 深圳市帝恩特电子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201956481U (zh) * 2010-11-11 2011-08-31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改良的带开关同轴连接器
JP5720408B2 (ja) *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5427A1 (en) 2014-10-23
EP2797180A1 (en) 2014-10-29
JP5605455B1 (ja) 2014-10-15
EP2797180B1 (en) 2017-12-20
US9692151B2 (en) 2017-06-27
CN104112957B (zh) 2016-06-08
JP2014212086A (ja) 2014-11-13
KR101802731B1 (ko) 2017-11-29
CN104112957A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KR100984899B1 (ko) 동축 커넥터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JP3473531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US6241541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4152242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20040175978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KR20130126501A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3859907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0403108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CN114336114B (zh) 同轴开关连接器
US20060276067A1 (en) Microswitch connector
JP6260643B2 (ja) 同軸コネクタ
JP4586315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H09147997A (ja) 可動接触片の固定構造
JPH09223548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TW201916507A (zh) 同軸連接器
KR20100045122A (ko)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