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467A -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467A
KR20140116467A KR1020147021759A KR20147021759A KR20140116467A KR 20140116467 A KR20140116467 A KR 20140116467A KR 1020147021759 A KR1020147021759 A KR 1020147021759A KR 20147021759 A KR20147021759 A KR 20147021759A KR 20140116467 A KR20140116467 A KR 20140116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shaft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613B1 (ko
Inventor
요시마사 고바
나오히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대기 동작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동일한 샤프트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최하층 근방의 주층상과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하는 제1 패턴, 주층상과 상방층으로 하는 제2 패턴, 상방층으로 하는 제3 패턴 중, 어느 패턴이 설정된 지령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많은 빌딩 등에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이들 엘리베이터는 그룹 관리 제어된다. 그 결과,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전체의 운행 효율이 향상된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로서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를 분산 대기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당해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하면, 빌딩 내의 어느 장소에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해도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또, 빌딩의 부지 면적의 상황에 따라서, 샤프트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설치하는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 multicar) 방식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당해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빌딩 내의 세로 방향(longitudinal)의 교통 수송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284180호 공보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2010/137118호 특허 문헌 3: 국제 공개 제2006/025103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3에 있어서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에, 어떠한 대기 동작으로 하면 좋은지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대기 동작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동일한 샤프트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최하층 근방의 주층상(main floor)과 상기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하는 제1 패턴, 상기 주층상과 상방층(upper floor)으로 하는 제2 패턴, 상방층으로 하는 제3 패턴 중, 어느 패턴이 설정된 지령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대기 동작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a~1c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샤프트이다. 1d는 원 샤프트 싱글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샤프트이다. 각 샤프트(1a~1d)는 동일한 빌딩 내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샤프트(1a)에는 2대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이 연직(鉛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샤프트(1b)에는 2대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이 연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샤프트(1c)에는 2대의 엘리베이터 칸(2e, 2f)이 연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샤프트(1d) 내에는, 1대의 엘리베이터 칸(2g)이 배치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2a~2g)에는, 각각 각 대 제어 장치(3a~3g)가 접속된다. 각 대 제어 장치(3a~3g)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4)에 접속된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5), 서비스 판정부(6), 분산 대기 지령부(7)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5)는 각 엘리베이터 칸(2a~2g)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비스 판정부(6)는 각 엘리베이터에 대해,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분산 대기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분산 대기 지령부(7)에는, 분산 대기시킬 때의 설정으로서, 제1 분산 패턴(7a), 제2 분산 패턴(7b), 제3 분산 패턴(7c)이 기억된다.
제1 분산 패턴(7a)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동일한 샤프트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최하층 근방의 주층상과 주층상보다도 하방(下方)의 층상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주층상은 1층이된다.
제2 분산 패턴(7b)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동일한 샤프트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주층상과 상방층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방층은 최상층(top floor)이 된다.
제3 분산 패턴(7c)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동일한 샤프트 내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상방층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방층은 최상층과 최상층 근방의 층상이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은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은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c)의 엘리베이터 칸(2e, 2f)은 제3 분산 패턴(7c)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d)의 엘리베이터 칸(2g)은 중간층에 대기한다. 중간층은 주층상과 최상층에 대해 대략 같은 거리에 있는 층상으로 설정된다.
주층상 등의 하방층에서부터 최상층 등의 상방층으로 이동하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이 응답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2a)을 갈아타는 일 없이 상방층에 도달한다.
이것에 대해, 최상층 등의 상방층에서부터 주층상 등의 하방층으로 이동하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c)이 응답한다. 이때,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d)은, 주층상보다 하방의 층상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퇴피하면 된다. 이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2c)을 갈아타는 일 없이 하방층에 도달한다.
주층상 등의 하방층에서부터 중간층으로 이동하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d)이 응답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2d)을 갈아타는 일 없이 중간층에 도달한다.
중간층에서부터 주층상 등의 하방층으로 이동하는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샤프트(1c)의 엘리베이터 칸(2f)이나 샤프트(1d)의 엘리베이터 칸(2g)이 응답한다. 이 경우,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2f) 또는 엘리베이터 칸(2g)을 갈아타는 일 없이 하방층에 도달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고, 그룹 관리 제어 장치(4)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서비스 판정부(6)는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이 반복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하는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해당하는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제3 분산 패턴(7c)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해당하는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당해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2에 있어서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예를 들면,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을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a, 3b)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b)는 엘리베이터 칸(2b)을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a)는, 엘리베이터 칸(2a)을 주층상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스텝 S3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스텝 S3에 있어서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분산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a, 2b)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을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분산 대기시킨다. 예를 들면,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을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c, 3d)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d)는 엘리베이터 칸(2d)을 주층상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c)는 엘리베이터 칸(2c)을 상방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스텝 S4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스텝 S4에 있어서 제3 분산 패턴(7c)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제1 분산 패턴(7a) 또는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분산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a~2d)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을 제3 분산 패턴(7c)에 의해 분산 대기시킨다. 예를 들면,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샤프트(1c)의 엘리베이터 칸(2e, 2f)을 제3 분산 패턴(7c)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e, 3f)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e)는 엘리베이터 칸(2e)을 상방층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f)는, 엘리베이터 칸(2f)을 상방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당해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제1 분산 패턴(7a), 제2 분산 패턴(7b), 제3 분산 패턴(7c)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하방층에서부터 상방층으로 이동하는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당해 호출은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주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a)에 할당된다. 이것에 반해, 상방층에서부터 하방층으로 이동하는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 당해 호출은 제2 분산 패턴에 의해 상방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c)에 할당된다. 이 때문에, 빌딩 내의 어디에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수송 효율이나 편리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샤프트(1c) 내에는, 2대의 엘리베이터 칸(2e, 2f)이 연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샤프트(1c) 내에는, 1대의 엘리베이터 칸(2h)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은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은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d)의 엘리베이터 칸(2g)은 중간층에서 대기한다. 샤프트(1c)의 엘리베이터 칸(2h)은 중간층과 최상층 사이의 층상에서 대기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그룹 관리 제어 장치(4)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1에서는, 서비스 판정부(6)는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이 반복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하는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스텝 S13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를 판정한다. 해당하는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당해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예를 들면,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을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a, 3b)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b)는 엘리베이터 칸(2b)을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a)는 엘리베이터 칸(2a)을 주층상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스텝 S13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분산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2a, 2b)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을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분산 대기시킨다. 예를 들면,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을 제2 분산 패턴(7b)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c, 3d)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d)는 엘리베이터 칸(2d)을 주층상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c)는 엘리베이터 칸(2c)을 상방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당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가 2대밖에 없는 경우여도, 주층상에는, 엘리베이터 칸(2a, 2d)이 대기한다. 이것에 반해, 상방층에는, 엘리베이터 칸(2c)이 대기한다. 이 때문에, 빌딩 내의 어디에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해 분산 대기한 엘리베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 2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샤프트(1b) 내에는, 2대의 엘리베이터 칸(2c, 2d)이 연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샤프트(1b) 내에는, 1대의 엘리베이터 칸(2i)이 배치된다.
이 경우, 샤프트(1a)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은,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한다. 샤프트(1d)의 엘리베이터 칸은, 중간층에서 대기한다. 샤프트(1c)의 엘리베이터 칸(2h)은, 중간층과 최상층 사이의 층상에서 대기한다.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i)은 상방층에서 대기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2i)은 최상층에서 대기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에 의한 분산 대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21에서는, 서비스 판정부(6)는, 승강장 호출 및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1가 반복된다. 당해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이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이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원 샤프트 싱글 카 방식 엘리베이터 중에서, 상방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방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있는 경우는, 당해 처리는 종료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이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4로 진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a, 2b)을 제1 분산 패턴(7a)에 의해 대기시키도록, 각 대 제어 장치(3a, 3b)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b)는 엘리베이터 칸(2b)을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이동시킨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3a)는 엘리베이터 칸(2a)을 주층상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스텝 S23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스텝 S23에 있어서 상방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진 샤프트가 없는 경우는,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분산 대기 지령부(7)는 예를 들면, 샤프트(1b)의 엘리베이터 칸(2i)을 상방층에서 대기시키도록, 대응한 각 대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지령을 출력한다.
당해 지령에 기초하여, 대응한 각 대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2i)을 상방층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당해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가 1대밖에 없는 경우여도, 주층상에는, 엘리베이터 칸(2a)이 대기한다. 이것에 반해, 상방층에는 엘리베이터 칸(2i)이 대기한다. 이 때문에, 빌딩 내의 어디에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대기 동작을 적절히 설정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a~1d: 샤프트
2a~2i: 엘리베이터 칸
3a~3g: 각 대 제어 장치
4: 그룹 관리 제어 장치
5: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
6: 서비스 판정부
7: 분산 대기 지령부
7a: 제1 분산 패턴
7b: 제2 분산 패턴
7c: 제3 분산 패턴

Claims (6)

  1. 동일한 샤프트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된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대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서비스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대기시키는 층상으로서, 최하층 근방의 주층상과 상기 주층상보다도 하방의 층상으로 하는 제1 패턴, 상기 주층상과 상방층으로 하는 제2 패턴, 상방층으로 하는 제3 패턴 중, 어느 패턴이 설정된 지령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3대의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패턴, 상기 제3 패턴에 의해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2대의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상기 제1 패턴, 상기 제2 패턴에 의해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제1 패턴에 의해 대기시키고, 원 샤프트 싱글 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상방층에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하방층에서부터 최상층으로 이동하는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에, 상기 제1 패턴에 의해 상기 주층상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당해 호출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령부는, 최상층에서부터 하방층으로 이동하는 호출이 등록되었을 때에, 상기 제2 패턴에 의해 최상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당해 호출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KR1020147021759A 2012-03-13 2012-03-13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KR10166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6389 WO2013136435A1 (ja) 2012-03-13 2012-03-13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467A true KR20140116467A (ko) 2014-10-02
KR101660613B1 KR101660613B1 (ko) 2016-09-27

Family

ID=4916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759A KR101660613B1 (ko) 2012-03-13 2012-03-13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71914A1 (ko)
EP (1) EP2835333B1 (ko)
JP (1) JP5768931B2 (ko)
KR (1) KR101660613B1 (ko)
CN (1) CN104105651B (ko)
WO (1) WO2013136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2206B2 (en) 2015-12-04 2019-11-12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ailure detection and fusion system for a multi-car ropeless elevator system
WO2020022332A1 (ja) * 2018-07-24 2020-01-30 志郎 安松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CN114408688A (zh) * 2022-03-11 2022-04-29 昭通亮风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103A1 (ja) 2004-08-31 2006-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223764A (ja) * 2006-02-24 2007-09-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284180A (ja) 2006-04-14 2007-11-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JP2009029581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方法
WO2010137118A1 (ja) 2009-05-26 2010-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6618B2 (ja) * 1999-02-03 2009-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4642200B2 (ja) * 2000-09-07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4108082B2 (ja) * 2002-05-30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972858B (zh) * 2004-06-21 2011-07-06 奥蒂斯电梯公司 在竖井内包括多个轿厢的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WO2006022007A1 (ja) * 2004-08-26 2006-03-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4637622B2 (ja) * 2005-03-24 2011-02-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システム
KR101120930B1 (ko) * 2007-03-26 2012-02-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09057197A (ja) * 2007-09-03 2009-03-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103A1 (ja) 2004-08-31 2006-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223764A (ja) * 2006-02-24 2007-09-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284180A (ja) 2006-04-14 2007-11-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JP2009029581A (ja) * 2007-07-27 2009-02-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方法
WO2010137118A1 (ja) 2009-05-26 2010-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5333A4 (en) 2015-10-14
KR101660613B1 (ko) 2016-09-27
CN104105651B (zh) 2015-08-19
CN104105651A (zh) 2014-10-15
WO2013136435A1 (ja) 2013-09-19
JPWO2013136435A1 (ja) 2015-08-03
EP2835333A1 (en) 2015-02-11
EP2835333B1 (en) 2017-09-27
JP5768931B2 (ja) 2015-08-26
US20140371914A1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166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with multiple shafts and cars
JP413145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4602330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10865072B2 (en) Intermediate transfer station
EP2192074A4 (en) REFUGE SUPPORT SYSTEM FOR LIFT CABIN
CN103502133A (zh) 循环输送系统
KR101734423B1 (ko) 동적인 통행 프로파일 해법을 가진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631787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660613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CN103339052A (zh) 电梯配置和方法
CN110775744B (zh) 多轿厢电梯以及多轿厢电梯控制方法
JP5986666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74643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CN116424975A (zh) 电梯控制系统
WO200509276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0064874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
US20190100419A1 (en) Elevator machine lifting assembly
JP5065788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方法
JP313576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147334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17027495A1 (en) Configurable multicar elevator system
KR101943218B1 (ko) 카 순환식 엘리베이터 장치
CN110817615A (zh) 跨多个电梯群的目的地呼叫
JP201422396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5979315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