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944A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944A
KR20140112944A KR1020130027658A KR20130027658A KR20140112944A KR 20140112944 A KR20140112944 A KR 20140112944A KR 1020130027658 A KR1020130027658 A KR 1020130027658A KR 20130027658 A KR20130027658 A KR 20130027658A KR 20140112944 A KR20140112944 A KR 20140112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mode
memory
memory device
wi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682B1 (ko
Inventor
김태선
임경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82B1/ko
Priority to JP2014027928A priority patent/JP2014182794A/ja
Priority to TW103107328A priority patent/TWI606569B/zh
Priority to NL2012389A priority patent/NL2012389B1/en
Priority to DE102014103186.5A priority patent/DE102014103186B4/de
Priority to IN712DE2014 priority patent/IN2014DE00712A/en
Priority to CN201410089978.XA priority patent/CN104051410B/zh
Priority to US14/211,033 priority patent/US9275688B2/en
Publication of KR20140112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1Disposition
    • H01L2224/0612Layout
    • H01L2224/0613Square or rectangular array
    • H01L2224/06134Square or rectangular array covering only portions of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06136Covering only the central area of the surface to be connected, i.e. centr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2Disposition
    • H01L2224/130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being disposed on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41Disposition
    • H01L2224/14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01L2224/14181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1Disposition
    • H01L2224/17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01L2224/17181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7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8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the devices decreasing in size, e.g. pyramidical st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2Central processing unit [CP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01L2924/143Digital devices
    • H01L2924/1434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mory System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 device)를 포함한다. 시스템 온 칩은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시스템 온 칩의 상부에 적층되고,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가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이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반도체 장치는 동일한 시스템 온 칩에 다양한 용량 및/또는 대역폭을 갖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적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상에 멀티 채널 인터페이스 방식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가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를 사용하여 시스템 온 칩 상에 멀티 채널 인터페이스 방식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를 적층한 반도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온 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용량(density) 또는 대역폭(bandwidth)이 증가하는 경우 시스템 온 칩에 적층해야 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시스템 온 칩에 형성되는 TSV 영역의 크기 역시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메모리의 용량(density) 또는 대역폭(bandwidth)에 따라 시스템 온 칩을 새로이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정한 크기의 TSV 영역을 갖는 시스템 온 칩에 다양한 용량 및/또는 대역폭을 갖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적층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 device)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시스템 온 칩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이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 및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에 연결되고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은 상기 시스템 온 칩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 중의 둘은 상기 시스템 온 칩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 중의 둘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 중의 둘은 상기 시스템 온 칩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 중의 나머지 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 각각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상기 제1 및 제3 제어 회로들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상기 제2 및 제4 제어 회로들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3 및 제4 제어 회로들은 턴오프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메모리 범프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메모리 범프부를 통해 상기 제2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및 제1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주파수를 갖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온 칩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베이스 기판, 시스템 온 칩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 적층되고, 각각이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시스템 온 칩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온 칩을 관통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이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동일한 시스템 온 칩에 다양한 용량 및/또는 대역폭을 갖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적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시스템 온 칩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제1 모드에 따라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제2 모드에 따라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서 시스템 온 칩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시스템 온 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모바일 시스템에 응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시스템 온 칩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 device)(200)를 포함한다.
시스템 온 칩(100)은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을 포함한다.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또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에 연결되고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고,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100) 상에 적층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중의 적어도 하나는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모두에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이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시스템 온 칩(100)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이 제공하는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데이터의 고속 송수신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온 칩(100)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을 포함하고,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제1 모드에 따라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a)는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 상에 적층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은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온 칩(100)은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와 4 채널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제2 모드에 따라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b)는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 상에 적층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1)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중의 둘(210c, 210d)은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중의 둘(110a, 110b)에 연결되고, 제2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2)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중의 둘(210a, 210b)은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중의 둘(110c, 110d)에 연결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온 칩(100)은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1, 200-2)과 각각 2 채널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서 시스템 온 칩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 온 칩(100)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에 연결되고 시스템 온 칩(100)을 관통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플립 칩 본딩(flip-chip bonding)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은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120)에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시스템 온 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온 칩(100)은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 클럭 신호 생성부(130) 및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140)는 제1 제어 신호(CON1)를 사용하여 클럭 신호 생성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제어 신호(CON2)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클럭 신호 생성부(130)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에 클럭 신호(CLK)를 제공할 수 있다. 클럭 신호 생성부(130)가 생성하는 클럭 신호(CLK)는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클럭 신호 생성부(130)는 제1 제어 신호(CON1)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CLK)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은 클럭 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어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각각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와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은 제2 제어 신호(CON2)에 기초하여 동작 프로토콜(protocol)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은 제2 제어 신호(CON2)에 기초하여 SDR(Single Date Rate) 방식 또는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14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값(SV)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CON1) 및 제2 제어 신호(CON2)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설정값(SV)은 반도체 장치(10)가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형성되는지 상기 제2 모드에 따라 형성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 및 7은 도 2 및 3의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a, 200b)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 컨트롤러(230) 및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b, 240c, 24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b, 240c, 240d)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b, 240c, 240d) 각각은 두 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b, 240c, 240d) 각각은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241, 243, 245, 2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b)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b, 240c, 240d) 각각이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241, 243, 245, 247)를 포함한다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a)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a)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트롤러(230)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30)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의 동작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 각각은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각각에 연결되고,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각각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과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a, 240c)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1, 242, 245, 246)은 제1 및 제3 제어 회로들(220a, 220c)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240b, 240d)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3, 244, 247, 248)은 제2 및 제4 제어 회로들(220b, 220d)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므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은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3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을 모두 턴온시킴으로써,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과 4 채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 회로(220a)는 제1 메모리 범프부(210a)를 통해 제1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a)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1, 242)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제2 제어 회로(220b)는 제2 메모리 범프부(210b)를 통해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b)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3, 244)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제3 제어 회로(220c)는 제3 메모리 범프부(210c)를 통해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c)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5, 246)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제4 제어 회로(220d)는 제4 메모리 범프부(210d)를 통해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d)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7, 248)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이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므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210a, 210b, 210c, 210d) 중의 둘은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 중의 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3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및 제2 제어 회로들(220a, 220b)은 턴온시키고 제3 및 제4 제어 회로들(220c, 220d)은 턴오프시킴으로써,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과 2 채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 회로(220a)는 제1 메모리 범프부(210a)를 통해 제1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a)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c)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1, 242, 245, 246)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제2 제어 회로(220b)는 제2 메모리 범프부(210b)를 통해 제2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b)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240d)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243, 244, 247, 248)과 시스템 온 칩(1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적층하여 반도체 장치(10a)를 구성하고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4 채널을 사용하여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1, 200-2)을 적층하여 반도체 장치(10b)를 구성하고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1, 200-2) 각각은 2 채널을 사용하여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 사이의 총 대역폭(bandwidth)은 동일한 반면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10)의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에 따라 시스템 온 칩(100)을 새로이 설계할 필요 없이, 일정한 개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을 갖는 시스템 온 칩(100)에 다양한 용량(density)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적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23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에 제1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및 제4 제어 회로들(220c, 220d)은 턴오프시키고 제1 및 제2 제어 회로들(220a, 220b)에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제2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클럭 신호 생성부(130)는 제1 제어 신호(CON1)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에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CLK)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에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CLK)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23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이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및 제4 제어 회로들(220c, 220d)은 턴오프시키고 제1 및 제2 제어 회로들(220a, 220b)이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은 제2 제어 신호(CON2)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온 칩(1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컨트롤러들(120a, 120b, 120c, 120d)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220a, 220b, 220c, 220d)은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두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적층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적층되므로,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에 연결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온 칩(100)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상기 제1 모드에 비해 상기 제2 모드에서 두 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거나, 상기 제1 모드에서는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2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 사이의 총 대역폭(bandwidth)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시스템 온 칩(100)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 사이의 총 대역폭(bandwidth)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10)의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의 총 용량(density) 및 총 대역폭(bandwidth)에 따라 시스템 온 칩(100)을 새로이 설계할 필요 없이, 일정한 개수의 SOC 범프부들(110a, 110b, 110c, 110d)을 갖는 시스템 온 칩(100)에 다양한 용량(density) 및 대역폭(bandwidth)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적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20)는 베이스 기판(BASE)(300), 베이스 기판(3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시스템 온 칩(100) 및 시스템 온 칩(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30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0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00)은 각각이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을 포함하고, 시스템 온 칩(100)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을 통해 베이스 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의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을 통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 모두에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200)이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시스템 온 칩(100)은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에 연결되고 시스템 온 칩(100)을 관통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120)을 포함하고,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은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120)에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는 시스템 온 칩(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기판(300)과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하 저항이 감소되어 원활한 신호 전송이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는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10)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가 베이스 기판(300) 상에 적층된 후 레진(310) 등으로 반도체 패키지(20)의 상부를 도포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300)의 하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범프(3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20)는 플립 칩 패키징(flip-chip packag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플립 칩 패키징은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칩의 표면에 전극이 되는 범프를 형성하고 범프를 통해 기판 상의 도체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반도체 칩을 기판 상에 적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210)을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200)에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시스템 온 칩(100)의 복수의 SOC 범프부들(110)을 형성함으로써 플립-칩 패키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모바일 시스템에 응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시스템(400)은 반도체 패키지(410), 통신(connectivity)부(440), 사용자 인퍼페이스(45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NVM)(460) 및 파워 서플라이(47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시스템(400)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등과 같은 임의의 모바일 시스템일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410)는 시스템 온 칩(420)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43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430)는 시스템 온 칩(42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동작 메모리(Working Memor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시스템 온 칩(420)은 각각이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시스템 온 칩(420)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베이스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430)는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430)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범프부들을 통해 시스템 온 칩(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430)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4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430)이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시스템 온 칩(4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시스템 온 칩(42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인터넷 브라우저, 게임,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Multi-Cor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410)는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2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의 반도체 패키지(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도 9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440)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40)는 이더넷(Ethernet) 통신,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통신, 이동 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메모리 카드 통신,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40)는 베이스밴드 칩 셋(Baseband Chipset)을 포함할 수 있고, GSM, GPRS, WCDMA, HSxPA 등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60)는 모바일 시스템(400)을 부팅하기 위한 부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460)는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이와 유사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및/또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470)는 모바일 시스템(400)의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시스템(400)은 이미지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 카드(Memory Car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과 같은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시스템(400) 또는 모바일 시스템(400)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oP(Package on Package), BGAs(Ball grid arrays), CSPs(Chip scale packages), PLCC(PlasticLeaded Chip Carrier), PDIP(Plastic Dual In-Line Package),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OB(Chip On Board), CERDIP(Ceramic Dual In-Line Package), MQFP(Plastic Metric Quad Flat Pack), TQFP(Thin Quad Flat-Pack), SOIC(Small Outline Integrated Circuit), SSOP(Shrink Small Outline Package), TSOP(Thin Small Outline Package), TQFP(Thin Quad Flat-Pack), SIP(System In Package), MCP(Multi Chip Package), WFP(Wafer-level Fabricated Package), WSP(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 등과 같은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 온 칩 및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서버 컴퓨터(Server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노트북(Laptop), 디지털TV(Digital Television), 셋-탑 박스(Set-Top Box),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시스템 온 칩 110: SOC 범프부
120: 메모리 컨트롤러 130: 클럭 신호 생성부
140: 중앙 처리 장치
200: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
210: 메모리 범프부 220: 제어 회로
230: 컨트롤러 240: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Claims (10)

  1.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및
    상기 시스템 온 칩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WideIO memory device)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이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 및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에 연결되고 서로 독립적인 제1 내지 제4 입출력 채널들을 제공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 각각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상기 제1 및 제3 제어 회로들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포함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상기 제2 및 제4 제어 회로들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제어 회로들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3 및 제4 제어 회로들은 턴오프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메모리 범프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3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메모리 범프부를 통해 상기 제2 및 제4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상기 시스템 온 칩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주파수를 갖는 제1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온 칩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및
    제1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주파수를 갖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주파수의 두 배에 상응하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컨트롤러들은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SDR(Single Date Rate)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DDR(Double Data Rate)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부에 적층되고, 각각이 서로 독립적인 입출력 채널을 제공하는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에 연결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및
    상기 시스템 온 칩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온 칩을 관통하는 관통 실리콘 비아(Through Silicon Via; TSV)들을 통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모드에서 하나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모두에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두 개의 와이드 입출력 메모리 장치들이 상기 복수의 SOC 범프부들 중의 제1 절반 및 제2 절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스템 온 칩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130027658A 2013-03-15 2013-03-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KR10202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8A KR102029682B1 (ko) 2013-03-15 2013-03-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JP2014027928A JP2014182794A (ja) 2013-03-15 2014-02-17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TW103107328A TWI606569B (zh) 2013-03-15 2014-03-05 半導體元件以及半導體封裝
NL2012389A NL2012389B1 (en) 2013-03-15 2014-03-10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DE102014103186.5A DE102014103186B4 (de) 2013-03-15 2014-03-11 Halbleitervorrichtung und Halbleiterpackage
IN712DE2014 IN2014DE00712A (ko) 2013-03-15 2014-03-12
CN201410089978.XA CN104051410B (zh) 2013-03-15 2014-03-12 半导体器件和半导体封装
US14/211,033 US9275688B2 (en) 2013-03-15 2014-03-14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58A KR102029682B1 (ko) 2013-03-15 2013-03-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944A true KR20140112944A (ko) 2014-09-24
KR102029682B1 KR102029682B1 (ko) 2019-10-08

Family

ID=5079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658A KR102029682B1 (ko) 2013-03-15 2013-03-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5688B2 (ko)
JP (1) JP2014182794A (ko)
KR (1) KR102029682B1 (ko)
CN (1) CN104051410B (ko)
DE (1) DE102014103186B4 (ko)
IN (1) IN2014DE00712A (ko)
NL (1) NL2012389B1 (ko)
TW (1) TWI6065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862A (ko) * 2015-12-23 2017-07-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US9899361B2 (en) 2015-11-12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4397B1 (en) * 2015-01-16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die for supporting different external memory types with minimal packaging complexity
TWI561960B (en) * 2015-11-05 2016-12-11 Sunplus Technology Co Ltd Clock providing system
DE102016011750A1 (de) * 2016-09-29 2018-03-29 Ceramtec-Etec Gmbh Datenträger aus Keramik
US11514996B2 (en) * 2017-07-30 2022-11-29 Neuroblade Ltd. Memory-based processors
US11335383B2 (en) * 2019-05-31 2022-05-17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omponent for a system-on-chip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0750A1 (en) * 2008-12-10 2010-06-10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Plane Memory and Processor Coupling in a 3-D Micro-Architectural System
KR20110099384A (ko) * 2010-03-02 201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입출력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US20110246746A1 (en) * 2010-03-30 2011-10-06 Brent Keeth Apparatuses enabling concurrent communication between an interface die and a plurality of dice stacks, interleaved conductive paths in stacked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454A (en) * 1988-01-29 1993-06-29 Hitachi,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809421B1 (en) * 1996-12-02 2004-10-26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chip semiconductor device, chip therefor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6724084B1 (en) * 1999-02-08 2004-04-20 Rohm Co., Ltd. Semiconductor chip and production thereof,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emiconductor chip bonded to solid device
US7173877B2 (en) * 2004-09-30 2007-02-06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system with two clock lines and a memory device
EP1830363A4 (en) * 2004-12-24 2008-10-08 Spansion Llc SYNCHRONIZATION TYPE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910512B2 (ja) * 2006-06-30 2012-04-0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059443B2 (en) 2007-10-23 2011-1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ree-dimensional memory module architectures
US20100174858A1 (en) 2009-01-05 2010-07-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xtra high bandwidth memory die stack
US8207754B2 (en) 2009-02-24 2012-06-26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Architecture for efficient usage of IO
US8174876B2 (en) * 2009-06-19 2012-05-08 Hynix Semiconductor Inc. Fusion memory device embodied with phase change memory device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distributions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US8227904B2 (en) 2009-06-24 2012-07-24 Intel Corporation Multi-chip package and method of providing die-to-die interconnects in same
US8698321B2 (en) 2009-10-07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Vertically stackable dies having chip identifier structures
US8612809B2 (en) 2009-12-31 2013-12-17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acked memory
US8796863B2 (en) 2010-02-09 2014-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semiconductor packages
KR101728067B1 (ko) 2010-09-03 2017-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20068216A (ko) 2010-12-17 2012-06-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US8399961B2 (en) * 2010-12-21 2013-03-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uning the efficiency in the transmission of radio-frequency signals using micro-bumps
KR20120079397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564111B2 (en) * 2011-01-27 2013-10-22 Siano Mobile Silicon Ltd. Stacked digital/RF system-on-chip with integral isolation layer
KR20120098096A (ko) 2011-02-28 2012-09-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JP5286382B2 (ja) * 2011-04-11 2013-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891114B (zh) * 2012-10-24 2015-01-28 上海新储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上下堆叠的片上系统芯片的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0750A1 (en) * 2008-12-10 2010-06-10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Plane Memory and Processor Coupling in a 3-D Micro-Architectural System
KR20110099384A (ko) * 2010-03-02 201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입출력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US20110246746A1 (en) * 2010-03-30 2011-10-06 Brent Keeth Apparatuses enabling concurrent communication between an interface die and a plurality of dice stacks, interleaved conductive paths in stacked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361B2 (en) 2015-11-12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KR20170075862A (ko) * 2015-12-23 2017-07-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03186B4 (de) 2021-05-27
JP2014182794A (ja) 2014-09-29
DE102014103186A1 (de) 2014-09-18
US9275688B2 (en) 2016-03-01
US20140268979A1 (en) 2014-09-18
CN104051410A (zh) 2014-09-17
CN104051410B (zh) 2018-05-01
TWI606569B (zh) 2017-11-21
NL2012389A (en) 2014-09-16
IN2014DE00712A (ko) 2015-06-19
TW201436165A (zh) 2014-09-16
KR102029682B1 (ko) 2019-10-08
NL2012389B1 (en)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682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CN105633063B (zh) 半导体封装件
US8492905B2 (en) Vertically stackable dies having chip identifier structures
JP5698246B2 (ja) チップ識別構造体を有する垂直積層可能なダイ
US10096577B2 (en) Semiconductor memory package including stacked layers and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JP6847863B2 (ja) パッケージオンパッケージ構造体用のインターポーザ
KR102110984B1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US8710655B2 (en) Die packages and systems having the die packages
KR102567974B1 (ko)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스토리지 장치
TW201530700A (zh) 記憶體裝置、備有堆疊式記憶體裝置之系統、以及記憶體晶粒元件(二)
US9466593B2 (en) Stack semiconductor package
KR20140067727A (ko) 멀티칩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252638A1 (en) Vertical interconnects crosstalk optimization
KR20100135091A (ko) 적층형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20110242870A1 (en) Stacked memory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8380904B2 (en) Interconnect coupled to master device via at least two different bidirectional connections
US886115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