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757A - 천정 반송차 - Google Patents

천정 반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757A
KR20140106757A KR1020147021474A KR20147021474A KR20140106757A KR 20140106757 A KR20140106757 A KR 20140106757A KR 1020147021474 A KR1020147021474 A KR 1020147021474A KR 20147021474 A KR20147021474 A KR 20147021474A KR 20140106757 A KR20140106757 A KR 2014010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tact
guide rail
run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853B1 (ko
Inventor
요시나리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4010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부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면서, 물품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천정(天井) 반송차(搬送車)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내 레일(4)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하여 주행부(16)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40)를 구비한 천정 반송차에 있어서, 주행부(16)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이동과 서로 접근하는 이동이 가능하게 주행부(16)에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41)와, 한쌍의 접촉체(41)를 안내 레일(4)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시켜 안내 레일(4)에 대한 가로 폭 방향에서의 주행부(16)의 위치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유지 상태, 및 한쌍의 접촉체(41)를 안내 레일(4)로부터 이격시킨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및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시키는 전환 수단(4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천정 반송차{CEILING CONVEYOR CAR}
본 발명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천정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에 현수(懸垂) 지지되고, 또한 물품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하여 상기 주행부를 상기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가 구비되어 있는 천정(天井) 반송차(搬送車)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천정 반송차는, 안내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를 한쌍의 안내체에 의해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고, 주행 이동 경로 상에서의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에 대응하여 설정된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주행부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물품을 승강 이동시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천정 반송차에 있어서, 종래에는, 한쌍의 안내체를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 면에 접촉시켜 안내 레일에 대한 가로 폭 방향에서의 주행부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주행부를 정지시켰을 때 주행부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주행부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규제한 상태에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종래의 천정 반송차에서는, 안내 레일은,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한쌍의 안내체는,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 면으로서의 레일 부분의 대향하는 내면(우측의 레일 부분의 좌측면과 좌측의 레일 부분의 우측면)의 각각에 접촉하도록, 한쌍의 레일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레일 부분의 설치 오차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해 한쌍의 레일 부분에 간격이 좁은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그 부분에 한쌍의 안내체가 협지되어 막히지 않도록, 한쌍의 안내체가 구성 또는 설치되어 있고, 주행부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한쌍의 안내체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탄성체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나, 한쌍의 안내체를 레일 부분측으로 가압시켜 레일 부분으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쪽으로 퇴피(退避)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는 등에 의해, 한쌍의 안내체가 한쌍의 레일 부분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 협지되어 막히지 않도록 한쌍의 안내체를 구성 또는 설치하여, 주행부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80946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천정 반송차와 같이, 주행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부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에 의해 주행부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규제한 것에서는, 한쌍의 안내체의 탄성 변형 등에 의해, 주행부의 정지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이로써, 주행부에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본체부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면,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천정 반송차에 의해 물품으로서 반도체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를 반송하는 경우,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이며, 주행부의 정지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는,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이 확실하게 행해질 수 없게 될 우려가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행부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면서, 물품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천정 반송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천정 반송차는,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천정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에 현수 지지되고, 또한 물품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하여 상기 주행부를 상기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가 구비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로서, 상기 주행부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이동과 서로 접근하는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주행부와 상기 본체부의 한쪽에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와,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상기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안내 레일에 대한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의 상기 주행부의 위치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유지 상태와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상기 안내 레일로부터 이격시킨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및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시키는 전환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전환 수단을 유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한쌍의 접촉체를 서로 원근 이동시킴으로써, 주행부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접촉체가 먼저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레일을 푸시 조작하고, 그 반력(反力)에 의해 주행부가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행부의 위치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부의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 수정되면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되고, 이 유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행부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할 수 있어, 주행부의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부의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함으로써, 주행부에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본체부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으므로, 물품 이송탑재 위치의 아래쪽에 설치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수단을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한쌍의 접촉체를 안내 레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주행부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때 한쌍의 접촉체가 안내 레일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여, 주행부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행부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면서, 물품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천정 반송차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 레일이,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접촉체가, 상기 한쌍의 레일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내 레일을,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주행부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지지 폭을 넓게 하여 주행부가 쉽게 경사지지 않게 하면서, 안내 레일의 중량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안내체가,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한쌍의 안내체를 한쌍의 레일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쌍의 레일 부분의 가로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쌍의 안내체를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천정 반송차를 가로 폭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가,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수단과, 상기 승강 조작 수단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주행부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에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접촉체 중 상기 퇴피 위치에 대하여 상기 돌출 위치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접촉체가,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안내 레일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주행부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드 조작 수단에 의해 승강 조작 수단 및 지지체를 주행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승강 조작 수단 및 지지체를 주행부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나 주행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수단 및 지지체를 퇴피 위치에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승강 조작 수단에 의해 지지체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물품 이송탑재 위치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승강 조작 수단 및 지지체를 돌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승강 조작 수단에 의해 지지체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물품 이송탑재 위치의 바로 아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벗어나 설치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가로 폭 방향으로 폭넓은 범위에서 물품을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강 조작 수단 및 지지체를 돌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본체부의 하중이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주행부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이 안내 레일로부터 부상(浮上)하여 주행부가 경사질 우려가 있지만, 한쌍의 접촉체 중 퇴피 위치에 대하여 돌출 위치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접촉체에 규제 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 반대측의 접촉체에서의 규제 부분이 안내 레일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주행부의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이 안내 레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규제하여 주행부가 한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물품 이송탑재 대상 개소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이,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한쌍의 안내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주행 방향에서 볼 때 한쌍의 안내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에서의 한쌍의 안내체가 접촉하는 영역에 한쌍의 접촉체를 접촉시킬 수 있어, 한쌍의 안내체와 한쌍의 접촉체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에 한쌍의 안내체를 접촉시키는 부분과는 별도로 한쌍의 접촉체를 접촉시키는 면을 상하로 배열하여 구비할 필요성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 안내 레일을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연동시키는 연동(連動) 기구와, 상기 연동 기구를 작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일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연동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 원근 이동 조작하고, 전환 수단을 유지 상태와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원근 이동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별개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액추에이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환 수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천정 반송차는, 예를 들면, 자동 창고나 처리 설비에서의 반송 설비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처리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물품 처리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물품 처리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천정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천정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접촉체의 유지 해제 상태와 유지 상태를 나타낸 주행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전환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환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촉체의 유지 해제 상태와 유지 상태를 나타낸 주행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천정 반송차를 물품 처리 설비에 설치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처리 설비에는, 스테이션(1)이 구비된 복수의 처리 장치(2)(도 2 참조)와, 천정에 현수 지지되어 복수 개의 물품(W)을 보관 가능한 보관 선반(3)과, 복수의 처리 장치(2) 및 보관 선반(3)을 경유하도록 미리 설정된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천정측에 설치된 안내 레일(4)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W)은, 반도체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이며, 처리 장치(2)는, 반도체 기판의 제조 도중에서의 반제품 등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천정 반송차(5)는, 설정 이동 경로의 아래쪽에 설치된 스테이션(1)이나 설정 이동 경로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보관 선반(3)과의 사이에서 물품(W)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스테이션(1) 사이에서 물품(W)을 반송 가능하고, 또한 그 반송 도중의 물품(W)을 일시적으로 보관 선반(3)에 보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
안내 레일(4)로서, 천정 가까이의 높은 위치에 설정된 높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과, 높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 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낮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가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와 가로 폭 방향에서 볼 때 중첩되지 않도록,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은,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가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중첩되지 않도록,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은,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과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은, 가로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폭 방향이란, 주행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은, 높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테이션(1)의 바로 위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은, 낮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에 의해 스테이션(1)의 바로 위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개소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과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과의 각각의 안내 레일(4)은,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레일 부분(7)은, 연결 부재(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서로의 간격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은, 현수 부재(9)에 의해 천정으로부터 현수 지지됨으로써 일정 높이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 부분(7)의 한쪽이, 이에 대응하는 현수 부재(9)에 의해 지지되고, 레일 부분(7)의 다른 쪽이, 이에 대응하는 현수 부재(9)에 의해 지지되고, 한쌍의 레일 부분(7)은 서로, 연결 부재(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연결 부재(8)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에서의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은, 그 상단부에 가로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안내용 돌출부(1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가로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급전선용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용 돌출부(11)에 의해 천정용 반송차(5)를 접촉 안내하고, 급전선용 돌출부(12)에, 천정 반송차(5)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선(13)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에도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과 마찬가지로 안내용 돌출부(11) 및 급전선용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용 돌출부(11)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은, 평탄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이 주행부(16)의 주행륜(37)이 전동(轉動)하는 주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안내용 돌출부(11)의 하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의 바로 위에는 보관 선반(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관 선반(3)은, 물품(W)을 탑재 지지하는 지지판(14)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지지판(14)에 복수 개의 물품(W)을 높은 위치의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지지하여 복수 개의 물품(W)을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4)은,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에서의 연결 부재(8)에 지지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
다음에, 천정 반송차(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5)는, 안내 레일(4)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16)와, 주행부(16)에 현수 지지되고, 또한 물품(W)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주행부(16)와 본체부(17)를 연결하는 연결체(18)가 한쌍의 레일 부분(7)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
본체부(17)는, 물품(W)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파지구(把持具)(21)와, 파지구(2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수단(22)과, 승강 조작 수단(22) 및 상기 지지체(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에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수단(23)과, 파지구(21)에 의해 지지된 물품(W)의 위쪽, 전후 양쪽 및 좌우 한쪽을 덮는 커버체(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7)에는, 한쌍의 레일 부분(7)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전(受電) 코일(25)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 레일(4)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13)에 교류 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천정 반송차(5) 측에서 필요한 전력을 수전 코일(25)에 발생시켜, 천정 반송차(5)에 대하여 무접촉 상태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조작 수단(22)은, 복수 개(예를 들면, 4개)의 권취 벨트(27)를 권취하여 승강용 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29)과, 권취 벨트(27)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파지용 모터(30)의 작동에 의해 물품(W)을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자세로 파지구(21)의 자세를 전환 조작하는 전환 기구(31)와, 이들 회전 드럼(29)이나 전환 기구(31)를 지지하는 승강용 지지체(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권취 벨트(27) 대신에, 와이어, 로프, 및 타이밍 벨트 등의 종래의 유연한 연결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수단(22)은, 승강용 모터(28)에 의해 회전 드럼(29)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파지구(21) 및 거기에 지지된 물품(W)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파지용 모터(30)에 의해 전환 기구(31)를 작동시켜 파지구(21)를 파지 자세와 파지 해제 자세로 전환 조작함으로써, 물품(W)에 대한 파지나 파지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무단(無端) 벨트(33)를 권취하여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풀리(34)와, 이 회전 풀리(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용 지지체(35)와, 본체부(17)와 슬라이드용 지지체(35) 사이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과, 슬라이드용 지지체(35)와 승강용 지지체(32) 사이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드 레일의 각각은, 종래 기술에 속하고, 그 단면(斷面)에 있어서, 상하 방향 중앙부에서의 수평 방향의 폭이 상부와 하부에서의 수평 방향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한쪽의 부품에 장착되고, 하부가 다른 쪽의 부품에 장착되고, 상부와 하부의 한쪽이, 대응하는 부품에 대하여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단 벨트(33)의 회동(回動)에 따라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커버체(24)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커버체(24)에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무단 벨트(33)의 상부가 본체부(1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무단 벨트(33)의 회동에 따라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무단 벨트(33)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회전 풀리(34)를 회전 구동시켜 무단 벨트(33)를 정역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슬라이드용 지지체(35)와 승강용 지지체(32)가 가로 폭 방향의 같은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 측으로 퇴피시키도록 슬라이드 이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 퇴피 위치와,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돌출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에,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위치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승강 조작 수단(22)이 주행부(16) 및 안내 레일(4)과 겹치지 않을 정도,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난 개소에 설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부재를 다른 쪽의 부재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단 벨트(33)와 회전 풀리(34) 대신에, 본체부(17)에 나사축의 일단이 고정되고, 볼(ball) 부재가 승강용 지지체(32)에 대하여 고정된 볼나사를 이용하고,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용 지지체(32)를 본체부(17)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볼나사 대신에, 한쪽의 부재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다른 쪽의 부재에 고정되고, 피니언 기어와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기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걸어맞추어지는 랙(rack)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는, 승강 조작 수단(22)을 퇴피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지구(21)를 승강 이동시켜 스테이션(1)과의 사이에서 물품(W)을 주고받고, 승강 조작 수단(22)을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지구(21)를 승강 이동시켜 보관 선반(3)과의 사이에서 물품(W)을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는, 승강 조작 수단(22)을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지구(21)를 승강 이동시켜 스테이션(1)과의 사이에서 물품(W)을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1)이,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 및 낮은 위치의 안내 레일(4b)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의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상당하고, 보관 선반(3)이, 높은 위치의 안내 레일(4a)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5)의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상당한다.
〔주행부〕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부(16)에는, 안내 레일(4) 상을 전동하는 주행륜(37)과, 주행륜(37)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38)와, 이들 주행륜(37) 및 주행용 모터(38)를 지지하는 주행용 지지체(3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용 지지체(39)는,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한쌍 형성되어 있고, 그 한쌍의 주행용 지지체(39)의 각각에,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한쌍의 주행륜(37)과, 이 한쌍의 주행륜(37)을 회전 구동시키는 단일의 주행용 모터(38)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주행용 지지체(39)의 각각은, 연결체(18)를 통하여 상하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부(17)에 연결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5)에는, 안내 레일(4)의 좌우의 가로측 면의 각각에 접촉하여 주행부(16)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40)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원근 이동(즉,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이동과 서로 접근하는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접촉체(41)나, 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원근 이동 조작하여, 한쌍의 접촉체(41)를 안내 레일(4)의 좌우의 가로측 면의 각각에 접촉시켜 안내 레일(4)에 대한 가로 폭 방향에서의 주행부(16)의 위치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유지 상태[도 7 및 도 8의 (b) 참조], 및 한쌍의 접촉체(41)를 안내 레일(4)로부터 이격시킨 유지 해제 상태[도 6 및 도 8의 (a) 참조]로 전환 가능한 전환 수단(42)(도 4)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안내체(40)나 한쌍의 접촉체(41)나 전환 수단(42)은, 주행부(1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체(18)는, 주행부(16)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 상세하게는, 주행용 지지체(39)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레일 부분(7)[안내 레일(4)]의 가로 폭 방향의 중심 위치와 주행부(16)의 가로 폭 방향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가 주행부(16)의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주행부(16)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체(18)가 한쌍의 레일 부분(7)으로부터 등간격(等間隔)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안내체(40)는, 한쌍의 주행용 지지체(39)의 각각에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2조(組) 지지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5)에는, 합계 4조의 안내체(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은, 한쌍의 주행용 지지체(39)의 각각에 지지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5)에는, 합계 2조의 접촉체(41)와 2개의 전환 수단(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의 주행용 지지체(39)에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은 전방측의 주행용 지지체(39)에 지지된 2조의 안내체(40)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후방 측의 주행용 지지체(39)에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은 후방 측의 주행용 지지체(39)에 지지된 2조의 안내체(40)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은, 주행부(16)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체〕
한쌍의 안내체(40)의 각각은,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안내체(40)는,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내측을 향하는 연직면(鉛直面)에 접촉하도록, 한쌍의 레일 부분(7)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안내체(40)는, 주행부(16)가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한쪽의 안내체(40)가 한쪽의 레일 부분(7)에 접촉함으로써, 주행부(16)가 설정 이동 경로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고, 다른 쪽의 안내체(40)가 다른 쪽의 레일 부분(7)에 접촉함으로써, 주행부(16)가 설정 이동 경로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하여, 주행부(16)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안내체의 각각은, 탄성 변형 가능한 우레탄 등의 탄성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환 수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수단(42)은, 한쌍의 접촉체(41)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44)와, 연동 기구(44)를 작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지용 모터(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 기구(44)는,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이 별개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 부재(46)와, 한쌍의 링크 부재(46)가 연결되어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4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유지용 모터(45)는, 회전체(47)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링크 부재(46)는, 주행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또한 가로 폭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링크 부재(46)의 각각은, 가로 폭 방향의 외측 단부에 접촉체(41)가 연결되고, 가로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 회전체(47)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체(47)는, 한쌍의 링크 부재(46)가 접속된 접속 개소의 사이에 위치하는 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유지용 모터(45)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한쌍의 링크 부재(46)의 각각을 회전체(47) 측으로 끌여들이는 인입(引入) 조작이나 회전체(47)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압출(壓出)하는 압출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수단(42)은, 회전체(47)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점(点)대칭으로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지 상태나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는, 한쌍의 접촉체(41)를 같은 양씩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 수단(42)은, 회전체(47)의 중심이 주행부(16)의 가로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주행용 지지체(39)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수단(42)은, 도 7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유지용 모터(45)에 의해 회전체(47)를 정(正;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쌍의 링크 부재(46)를 회전체(47)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압출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환 수단(42)은, 도 7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유지용 모터(45)에 의해 회전체(47)를 역(逆;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쌍의 링크 부재(46)를 회전체(47) 측으로 인입하여 조작함으로써,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접촉체(41)는, 한쌍의 레일 부분(7)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안내체(40)과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한쌍의 접촉체(41)는, 유지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한쌍의 안내체(40)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내측을 향하는 연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체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경질재(硬質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촉체(41)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은, 그 상단부에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방측 규제부(48)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가로 폭 방향 내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방측 규제부(49)가 형성되어 있고, 상방측 규제부(48)와 하방측 규제부(49)와의 사이에, 안내용 돌출부(11)의 연직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한 접촉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측 규제부(49)가, 규제 부분에 상당하고, 안내용 돌출부(11)의 연직면이, 접촉체(41)가 접촉하는 안내 레일(4)의 좌우의 가로측 면에 상당한다.
접촉부(50)의 접촉면은, 연직으로 형성되고, 상방측 규제부(48)의 하면은, 평탄한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방측 규제부(49)의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50)에서의 접촉면의 상하폭은, 안내용 돌출부(11)의 연직면의 상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주행부(16)가 수평 자세로, 또한 접촉체(41)가 유지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방측 규제부(48)의 하면과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과의 사이, 및 하방측 규제부(49)의 상면과 안내용 돌출부(11)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측 규제부(49)의 상면은, 안내용 돌출부(11)의 하면에 비해 급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체(41)가 유지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접촉부(50)가 안내용 돌출부(11)에 접촉하고, 상방측 규제부(48)는 안내용 돌출부(1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하방측 규제부(49)는 안내용 돌출부(1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접촉체(41)가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접촉부(50)가 안내용 돌출부(11)로부터 이격되고, 상방측 규제부(48) 및 하방측 규제부(49)는, 안내용 돌출부(11)보다 가로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환 수단(42)에 의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같은 양씩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주행부(16)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한쌍의 접촉체(41) 중 어긋나 있는 측의 접촉체(41)에 의해 같은 측의 레일 부분(7)을 푸시 조작함으로써, 그 반력에 의해 주행부(16)가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행부(16)의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 수정된다. 주행부(16)의 위치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로 수정되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이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 접촉하고, 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행부(16)가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된다.
그리고, 이 유지 상태에서는, 한쌍의 레일 부분(7)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바로 위에는 접촉체(41)의 상방측 규제부(48)가 인접하여 위치하고, 한쌍의 레일 부분(7)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바로 아래에는 접촉체(41)의 하방측 규제부(49)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 조작 수단(22)이 가로 폭 방향의 한쪽의 돌출 위치에 위치하여 본체부(17)의 하중이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라도,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레일 부분(7)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하면에 다른 쪽에 위치하는 접촉체(41)의 하방측 규제부(49)가 접촉하고,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는 레일 부분(7)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에 한쪽에 위치하는 접촉체(41)의 상방측 규제부(48)가 접촉하는 동시에 그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 상에 주행륜(37)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주행부(16)가 다른 쪽에 위치하는 레일 부분(7)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규제되어, 주행부(16)의 경사가 방지된다.
또한, 전환 수단(42)에 의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같은 양씩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방측 규제부(48), 하방측 규제부(49) 및 접촉부(50)가 레일 부분(7)보다 가로 폭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여,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이 한쌍의 레일 부분(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주행부(16)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때 한쌍의 접촉체(41)가 안내 레일(4)에 접촉되는 것을 회피하여, 주행부(16)를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9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접촉체의 형상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접촉체의 형상과는 다르다. 레일 부분(7)을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며, 같은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접촉체(141)에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접촉체와는 상이하고, 상방측 규제부(48)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한쌍의 접촉체(141)의 각각에는, 가로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대응하는 레일 부분(7)의 안내용 돌출부(11)의 경사 하면과 맞닿는 규제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149)의 경사지는 상면에 대하여 수지층(160)이, 접착제나 볼트 등의 종래의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160)을 형성함으로써 규제부(149)와 레일 부분(7)의 접촉에 의한 각각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의 전환 수단(42)에 의해, 한쌍의 접촉체(141)를 도 9의 (a)에 나타낸 유지 해제 상태와 도 9의 (b)에 나타낸 유지 상태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체(141)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에 의해 승강 조작 수단(22)이 가로 폭 방향의 한쪽의 돌출 위치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본체부(17)의 하중이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라도, 접촉체(141)를 유지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가로 폭 방향의 상기 한쪽에서는, 안내용 돌출부(11)의 상면에 대하여 주행륜(37)이 맞닿아 있으므로, 또한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서는, 레일 부분(7)의 안내용 돌출부(11)의 하면에 대하여 규제부(149)가 맞닿음으로써, 주행부(16)가 다른 쪽에 위치하는 레일 부분(7)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규제되어, 주행부(16)의 경사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접촉체(141)를 상방측 규제부(48)가 설치되지 않는 심플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체(141)의 가공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이 부품의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동 기구(44)를,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이 별개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 부재(46)와, 한쌍의 링크 부재(46)가 연결되어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47)를 구비하여 구성하였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 기구(44)를,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이 별개로 연결된 한쌍의 랙(51)과, 한쌍의 랙(5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52)을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동 기구(44)를 구성한 경우, 전환 수단(42)은, 유지용 모터(45)에 의해 피니언(52)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유지 상태와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연동 기구(44)를, 오른나사와 왼나사를 형성한 회전축과, 오른나사에 서로 맞물리고 또한 한쪽의 접촉체(41)가 연결된 이동체와, 왼나사에 서로 맞물리고 또한 다른 쪽의 접촉체(41)가 연결된 이동체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동 기구(44)를 구성한 경우, 전환 수단(42)은, 유지용 모터(45)에 의해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유지 상태와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 수단(42)에 액추에이터로서 유지용 모터(45)를 구비하였으나, 전환 수단(42)에 액추에이터로서 실린더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를 실린더에 의해 구성한 경우, 예를 들면, 양 로드 형의 실린더에서의 한쌍의 로드의 각각에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별개로 연결하고, 그 양 로드 형의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지 상태와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 수단(42)을, 한쌍의 접촉체(41)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44)와 연동 기구(44)를 작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로 구성하였지만, 전환 수단(42)을, 한쌍의 액추에이터와 접촉체(41)와로 액추에이터를 연동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접촉체(41)를, 한쌍의 레일 부분(7)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전환 수단(42)을,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한쌍의 접촉체(41)를,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가로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전환 수단(42)을,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안내 레일(4)을, 단일의 레일체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이 경우, 한쌍의 접촉체(41)를 레일체의 가로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전환 수단(42)을,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 조작하여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을 주행부(16)에 지지시켰으나,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을 본체부(17)에 지지시켜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을, 주행부(16)의 전단부와 후단부와의 각각에 설치하였으나,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을, 주행부(16)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해도 되고, 또한 한쌍의 접촉체(41) 및 전환 수단(42)을, 주행부(16)의 주행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해도 된다.
(6) 실시예 1에서는, 접촉체(41)에, 상방측 규제부(48)와 하방측 규제부(49)를 구비하였으나, 실시예 2에서 예시되었던 바와 같이, 접촉체(41)에, 상방측 규제부(48)와 하방측 규제부(49) 중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예 2에서 개시된 접촉체의 구조를, 실시예 2와 같이 본체부(17)에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을 설치한 경우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체부(17)에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승강용 지지체(22)를 퇴피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한쪽의 접촉체(41)의 상방측 규제부(48)나 다른 쪽의 접촉체(41)의 하방측 규제부(49)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승강용 지지체(22)를 퇴피 위치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양쪽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한쌍의 접촉체(41)의 양쪽에 상방측 규제부(48)나 하방측 규제부(49)를 구비해도 된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의 내측을 향하는 연직면에 접촉하도록, 한쌍의 접촉체(41)를 설치하였으나, 유지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한쌍의 레일 부분(7)의 각각에서의 안내용 돌출부(11)와 급전선용 돌출부(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내측을 향하는 연직면에 접촉하도록, 한쌍의 접촉체(41)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한쌍의 안내체(40)와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하였으나, 예를 들면,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한쌍의 안내체(40)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하는 등, 한쌍의 접촉체(41)의 각각을 한쌍의 안내체(40)와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천정 반송차는, 예를 들면, 자동 창고나 처리 설비에서의 반송 설비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4: 안내 레일
5: 천정 반송차
7: 레일 부분
16: 주행부
17: 본체부
21: 지지체
22: 승강 조작 수단
23: 슬라이드 조작 수단
40: 안내체
41: 접촉체
42: 전환 수단
44: 연동 기구
45: 액추에이터
49: 하방측 규제부
W: 물품

Claims (5)

  1.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천정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에 현수(懸垂) 지지되고, 또한 물품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하여 상기 주행부를 상기 설정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체가 구비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搬送車)로서,
    상기 주행부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이동과 서로 접근하는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주행부와 상기 본체부의 한쪽에 지지된 한쌍의 접촉체와,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상기 안내 레일의 좌우의 가로측부의 각각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안내 레일에 대한 상기 가로 폭 방향에서의 상기 주행부의 위치를 물품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유지 상태와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상기 안내 레일로부터 이격시킨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및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시키는 전환 수단
    을 포함하는, 천정 반송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레일 부분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접촉체는, 상기 한쌍의 레일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유지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을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유지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수단과, 상기 승강 조작 수단 및 상기 지지체를 상기 주행부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에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상기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접촉체 중 상기 퇴피 위치에 대하여 상기 돌출 위치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접촉체는,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안내 레일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주행부의 경사를 규제하는 규제 부분을 구비하는, 천정 반송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접촉체의 각각은,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한쌍의 안내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한쌍의 접촉체를 연동(連動)시키는 연동 기구와, 상기 연동 기구를 작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
KR1020147021474A 2009-11-27 2010-10-15 천정 반송차 KR101642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510 2009-11-27
JP2009270510 2009-11-27
PCT/JP2010/068172 WO2011065146A1 (ja) 2009-11-27 2010-10-15 天井搬送車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306A Division KR20120043730A (ko) 2009-11-27 2010-10-15 천정 반송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757A true KR20140106757A (ko) 2014-09-03
KR101642853B1 KR101642853B1 (ko) 2016-07-26

Family

ID=440662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474A KR101642853B1 (ko) 2009-11-27 2010-10-15 천정 반송차
KR1020127000306A KR20120043730A (ko) 2009-11-27 2010-10-15 천정 반송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306A KR20120043730A (ko) 2009-11-27 2010-10-15 천정 반송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68930B2 (ko)
EP (1) EP2452898B1 (ko)
JP (1) JP5339167B2 (ko)
KR (2) KR101642853B1 (ko)
CN (2) CN102470985B (ko)
SG (1) SG178103A1 (ko)
TW (1) TWI441770B (ko)
WO (1) WO2011065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5019B2 (en) 2012-06-21 2016-07-05 Globalfoundries Inc. Overhead substrate handling and storage system
KR101504145B1 (ko) * 2012-12-10 2015-03-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시스템 및 그 대차장치
NO335839B1 (no) * 2012-12-10 2015-03-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Robot for transport av lagringsbeholdere
KR101419357B1 (ko) * 2012-12-28 2014-07-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시스템
US10023385B2 (en) * 2013-11-12 2018-07-17 Daifuku Co., Ltd. Article storage facility
CN105899444B (zh) * 2014-01-07 2017-11-10 村田机械株式会社 移载装置以及移载装置的控制方法
JP6064940B2 (ja) * 2014-04-07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NO337544B1 (no) 2014-06-19 2016-05-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Fjernstyrt kjøretøysammenstilling for å plukke opp lagringsbeholdere fra et lagringssystem
JP6327124B2 (ja) * 2014-11-12 2018-05-2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US10332768B2 (en) * 2014-12-01 2019-06-2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Compact manufacturing device, and inter-device transport system for production line
CA2983630A1 (en) * 2015-04-27 2016-11-03 Scott GRAVELL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0196214B2 (en) 2015-08-14 2019-02-05 Murata Machinery, Ltd. Conveyor car system
NO20160118A1 (en) * 2016-01-26 2017-07-27 Autostore Tech As Remotely operated vehicle
KR102041391B1 (ko) * 2016-03-03 2019-11-0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일시 보관 시스템
JP6702106B2 (ja) * 2016-09-09 2020-05-2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JP6586936B2 (ja) * 2016-09-21 2019-10-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89820B2 (ja) * 2016-10-31 2019-10-16 株式会社ダイフク 通行規制装置
JP6607175B2 (ja) * 2016-12-07 2019-11-20 株式会社ダイフク 移載機
JP6693481B2 (ja) * 2017-06-26 2020-05-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及び、物品搬送車
US10406562B2 (en) * 2017-07-21 2019-09-10 Applied Materials, Inc. Automation for rotary sorters
SG11202009270XA (en) * 2018-03-22 2020-10-29 Murata Machinery Ltd Stocker system
CN108683083B (zh) * 2018-05-16 2020-12-01 许继集团有限公司 预制舱舱顶及预制舱
CN112533829B (zh) * 2018-08-09 2024-04-1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人驾驶航空器以及快递系统
JP7099245B2 (ja) * 2018-10-19 2022-07-1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WO2020095570A1 (ja) * 2018-11-06 2020-05-14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SG11202106551XA (en) * 2018-12-26 2021-07-29 Murata Machinery Ltd Storage system
WO2020153039A1 (ja) * 2019-01-25 2020-07-30 村田機械株式会社 保管システム
JP7111255B2 (ja) * 2019-05-13 2022-08-02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CN110255111B (zh) * 2019-07-24 2020-10-09 西安市红会医院 一种空中液体运输装置
KR102330667B1 (ko) * 2020-01-02 2021-11-23 세메스 주식회사 레이스웨이 유닛 및 이를 갖는 천장 이송 장치
WO2021181923A1 (ja) * 2020-03-13 2021-09-16 村田機械株式会社 グリッパ装置、搬送車、及び搬送方法
CN111747002B (zh) * 2020-07-01 2021-08-24 江西裕康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物流库房支撑平台的吊挂装置
JP7363713B2 (ja) * 2020-08-07 2023-10-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JP7464065B2 (ja) 2022-02-16 2024-04-09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3087A1 (en) * 2003-05-20 2004-12-16 Daifuku Co., Ltd. Transport apparatus
JP2005280946A (ja) 2004-03-30 2005-10-13 Daifuku Co Ltd 搬送装置
US20050224302A1 (en) * 2001-12-21 2005-10-13 Staffan Robertsson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brak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13A (ja) 1989-06-08 1991-01-17 Tokimec Inc ジャイロ装置
JPH039397U (ko) * 1989-06-19 1991-01-29
JPH0489796A (ja) * 1990-07-31 1992-03-23 Nisshin Steel Co Ltd ロール搬送装置
JPH0589389U (ja) 1992-05-22 1993-12-07 株式会社明電舎 クレーン用サドル装置
KR0151602B1 (ko) * 1992-11-13 1998-10-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크린룸용 반송설비
JPH089796A (ja) 1994-06-29 1996-01-16 Hideyuki Ikejima 樹木の支持方法及びその支持装置
JPH08169531A (ja) 1994-12-19 1996-07-02 Okura Yusoki Co Ltd 物品受入装置
JP2776343B2 (ja) * 1995-10-23 1998-07-16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のスタッカークレーン
US6223886B1 (en) * 1998-06-24 2001-05-01 Asys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roller transport pod and asynchronous conveyor
EP1252079B1 (en) * 1999-12-02 2007-01-17 Asyst Technologies, Inc. Wafer transport system
US6889813B1 (en) * 2000-06-22 2005-05-10 Amkor Technology, Inc. Material transport method
JP4048409B2 (ja) * 2001-10-22 2008-02-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JP4632091B2 (ja) * 2005-08-30 2011-02-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4626812B2 (ja) * 2005-12-01 2011-02-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2009023812A (ja) 2007-07-23 2009-02-05 Murata Mach Ltd 搬送車システム
JP5234328B2 (ja) *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US8882433B2 (en) * 2009-05-18 2014-11-11 Brooks Automation, Inc.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302A1 (en) * 2001-12-21 2005-10-13 Staffan Robertsson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braking
US20040253087A1 (en) * 2003-05-20 2004-12-16 Daifuku Co., Ltd. Transport apparatus
JP2005280946A (ja) 2004-03-30 2005-10-13 Daifuku Co Ltd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0820A (zh) 2015-10-07
KR101642853B1 (ko) 2016-07-26
EP2452898B1 (en) 2016-12-07
US20120118845A1 (en) 2012-05-17
CN102470985B (zh) 2015-07-22
JPWO2011065146A1 (ja) 2013-04-11
JP5339167B2 (ja) 2013-11-13
KR20120043730A (ko) 2012-05-04
US9168930B2 (en) 2015-10-27
SG178103A1 (en) 2012-03-29
CN102470985A (zh) 2012-05-23
WO2011065146A1 (ja) 2011-06-03
EP2452898A4 (en) 2013-11-13
CN104960820B (zh) 2017-05-31
EP2452898A1 (en) 2012-05-16
TWI441770B (zh) 2014-06-21
TW201127734A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853B1 (ko) 천정 반송차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65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531936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862731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83696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80129657A (ko) 물품 이송탑재 장치
KR101419356B1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WO2009125616A1 (ja) 物品収納設備
US9685360B2 (en) Transport device
KR20210143741A (ko) 이송탑재 장치
KR101561226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576543B1 (ko)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를 이용한 대상물 이적재방법
KR101666800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586695B1 (ko) 이송대차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JP613540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設備
KR20230112068A (ko) 승강 장치
CN117775570A (zh) 货叉机构、货物存取装置及仓储物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