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00B1 - 이송대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대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800B1
KR101666800B1 KR1020140039442A KR20140039442A KR101666800B1 KR 101666800 B1 KR101666800 B1 KR 101666800B1 KR 1020140039442 A KR1020140039442 A KR 1020140039442A KR 20140039442 A KR20140039442 A KR 20140039442A KR 101666800 B1 KR101666800 B1 KR 10166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ing
sliding plate
object accommodating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800A (ko
Inventor
최유찬
배도목
최성원
구성헌
조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4003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80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를 이용한 대상물 적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은, 대상물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를 구비한 이송대차; 이송대차가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차용 궤도; 이송대차용 궤도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유닛; 및 대상물 수용부를 적재유닛에 인접하게 이송한 경우 대상물 수용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적재유닛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적재유닛과 대상물 수용부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대차 시스템{CARRIAGE SYSTEM FOR LOADING OBJECT USING CARRIAGE}
본 발명은, 이송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높이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는 이송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HS(Overrhead Shuttle), OHT(Overhead Hoist Transport) 등을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은 이송할 소형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된다.
이송대차 시스템은,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대차와, 이송대차가 주행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되 주행궤도와 주행궤도에서 분기된 분기궤도를 포함하는 이송대차용 궤도를 포함한다.
이송대차 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크린룸 내의 천장공간에 주행궤도와 주행궤도에서 분기된 분기궤도가 설치되며, 이송대차는 이송포트들 사이를 주행궤도 및 분기궤도를 따라 주행하면서 대상물을 이송한다.
여기서, 주행궤도 및 분기궤도는 지주 등에 의해 크린룸의 천장공간에 지지된다. 또한 주행궤도 및 분기궤도는 궤도본체와 급전궤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대차용 궤도에는 주행궤도에서 분기궤도로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구간과, 분기궤도가 주행궤도와 합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합류구간이 존재하며, 이송대차는 분기구간과 합류구간에서 주행궤도 및 분기궤도를 선택하여 주행한다.
한편, 종래의 이송대차 시스템은 대상물을 하강시켜 이송포트에 적재하는 시스템이므로, 평면상에서 한 개의 이송포트에 하나의 대상물만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의 동일위치에 높이방향으로 적층하여 대상물을 적재할 수 없어 많은 수의 대상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어려운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23139호(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2009.03.0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이방향으로 대상물을 복수 개 적재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를 구비한 이송대차; 상기 이송대차가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차용 궤도;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유닛; 및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적재유닛에 인접하게 이송한 경우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대한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유닛은, 적재 프레임부; 및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적재 프레임부에 마련된 제1 결속부; 및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마련된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상기 적재부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를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유닛; 및 상기 캐리어유닛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부에 적재하는 트랜스퍼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유닛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며,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상물 지지부;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적층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호 상대 이동되어 동시에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슬레이딩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대상물 지지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대상물 지지부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랙기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풀리와 제2 풀리;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풀리에 감겨진 제1 벨트; 및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벨트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풀리에 감겨진 제2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장되는 경우에, 상기 대상물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가이드 하는 LM방식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캐리어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 수용부가 내재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외부로 수평방향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유닛과 대상물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를 상호 결속하여 적재유닛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의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대상물을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적재함에 있어서 대상물 수용부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유닛에 복수 개의 대상물을 높이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어 대상물을 적재하는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서, 분기구간에서 이송대차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이용한 대상물 적재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물은 기판 등이 내재된 카세트, 기판 등이 안착된 트레이, 카세트 또는 기판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 것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서, 분기구간에서 이송대차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를 이용한 대상물 적재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은, 대상물(M)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240)를 구비한 이송대차(200)와, 이송대차(200)가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차용 궤도(100)와, 이송대차용 궤도(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대상물(M)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유닛(300)과, 대상물 수용부(240)를 적재유닛(300)에 인접하게 이송한 경우 대상물 수용부(240)의 이동을 제한하여 적재유닛(300)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24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대상물 수용부(240)와 적재유닛(300)을 상호 결속하는 결속유닛(400,400a)을 포함한다.
이송대차(200)는 이송대차용 궤도(100)를 따라 주행되는데, 이처럼 이송대차용 궤도(100)는 이송대차(200)의 주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대차용 궤도(100)는 직진구간(S1)과, 커브 연결구간(S2) 및 분기구간(S3)(또는 분기 및 합류구간)을 포함한다.
직진구간(S1)은 이송대차(200)가 직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구간이며, 커브 연결구간(S2)은 연속된 직진구간(S1)의 일부가 일정 곡률을 가지는 구간이며, 분기구간(S3)은 상호 이격된 직진구간(S1)을 연결하는 구간이다.
직진구간(S1) 및 커브 연결구간(S2)에는 주행궤도(110)가 설치되며, 분기구간(S3)은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주행궤도(1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주행궤도(110)에서 분기된 분기궤도(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에는 이송대차(200)가 접촉되어 주행할 수 있도록 각각에 궤도본체(140)가 마련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구간(S3)에는 이송대차(200)가 주행궤도(110)를 따라 계속 직진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와, 이송대차(200)가 분기궤도(130)를 따라 분기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이송대차(200)가 분기구간(S3)에서 주행궤도(110)를 따라 계속 직진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송대차(200)는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를 따라 주행하게 되며, 이송대차(200)가 분기구간(S3)에서 분기궤도(130)를 따라 분기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송대차(200)는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와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는 이송대차(200)의 상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는 한 쌍의 분기롤러(237) 중 하나의 분기롤러(237)가 상승되어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주행궤도(110) 또는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에,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는 지주 등에 의해 크린룸 내의 천장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는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이송대차(200)가 상측 주행궤도(110)에서 분기되어 하측 주행궤도(110)로 합류되는 경우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기구간(S3)에는 이송대차(200)가 상측 주행궤도(110)에서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영역(A1)에 인접하게 상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가 마련되고, 하측 주행궤도(110)에 합류되는 합류영역(A2)에 인접하게 하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송대차(200)는 분기구간(S3)의 분기영역(A1)에서 상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와, 하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를 따라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안내된다.
또한, 이송대차(200)가 하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합류영역(A2)에 인접한 하측 주행궤도(110)에는 상측 주행궤도(110)에 마련된 상측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에 대응하여 하측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송대차(200)는 하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및 하측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를 따라 하측 주행궤도(110)에 합류되어 주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대차(200)는 상측 주행궤도(110)에 상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하측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및 하측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를 따라 순차로 주행된 후 하측 주행궤도(110)에 합류되어 주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송대차(200)가 분기구간(S3)에서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또는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를 따라 주행할 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기롤러(237)가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또는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이뤄진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대차용 궤도(100)에 인접하게 대상물(M)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유닛(3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유닛(300)은, 적재 프레임부(310)와, 적재 프레임부(310)의 내부에 배치되되 대상물(M)이 적재되는 복수 개의 적재부(330)를 포함한다.
적재 프레임부(310)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되며, 적재부(330)가 적재 프레임부(310)의 내부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된 구조로 배치된다.
이는 대상물(M)을 수평방향 특히 수직방향인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적재부(330)에 적재함으로써, 이송대차 시스템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송대차용 궤도(10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대차(200)의 주행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들, 전원공급장치, 통신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이송대차용 궤도(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재유닛(300)의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할 수 있는 이송대차(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200)는, 이송대차용 궤도(100)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유닛(230)과, 캐리어유닛(230)에 연결되며 이송 중 대상물(M)이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부(210)와, 프레임부(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캐리어유닛(230)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되 대상물(M)이 수용되는 대상물 수용부(240)와, 캐리어유닛(230)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대상물 수용부(240)의 내부에 마련되되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어 대상물(M)을 적재부(330)에 적재하는 트랜스퍼유닛(250)과, 프레임부(210)의 내부에 마련되되 대상물 수용부(24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270)과, 프레임부(210)의 내부에 마련되되 대상물 수용부(240)에 연결되어 대상물 수용부(240)를 프레임부(210)의 내외부로 수평방향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유닛(28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10)는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이송되며, 적재유닛(300)에 적재되는 대상물(M)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240)가 내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프레임부(210)는 측부와 하부에 대상물(M)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프레임부(210)는 캐리어유닛(230)에 의해 이송대차용 궤도(100)를 따라 주행되며, 이송대차용 궤도(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재유닛(300)의 상부로 이송된다.
즉, 캐리어유닛(230)은 프레임부(210)가 연결되며 프레임부(210)를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어유닛(230)은, 캐리어 본체부(231)와, 캐리어 본체부(231)에 연결되되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에 접촉되어 캐리어 본체부(231)를 주행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233)와, 캐리어 본체부(231)에 연결되고 한 쌍의 구동롤러(233)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의 측부에 접촉되어 캐리어 본체부(23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235)와, 분기구간(S3)에서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분기롤러(237)와, 한 쌍의 분기롤러(237)에 연결되되 한 쌍의 분기롤러(237) 중 하나의 분기롤러(237)가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쌍의 분기롤러(237)를 상호 연동시키는 분기롤러 연동모듈(239)을 포함한다.
캐리어 본체부(231)는, 프레임부(210)에 연결되어 프레임부(210)에 안착된 대상물(M)을 목적지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 본체부(231)와 프레임부(210)는 캐리어 본체부(231)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바(232)에 의해 상호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캐리어 본체부(231)의 이송에 따라 프레임부(210)는 이송대차용 궤도(100)를 따라 이송된다.
한 쌍의 구동롤러(233)는 캐리어 본체부(231)에 양측부에 연결되어 캐리어 본체부(231)가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 본체부(231)가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한 쌍의 구동롤러(233)는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에 마련된 궤도본체(140)들에 접촉되어 주행한다.
다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궤도(130)의 분기영역(A1) 및 합류영역(A2)에서는 한 쌍의 구동롤러(233) 중 하나의 구동롤러(233)가 분기궤도(130)에 접촉되어 주행한다.
이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구간(S3)의 분기영역(A1) 또는 합류영역(A2)의 일부구간에 한 쌍의 구동롤러(233)가 접촉될 수 있는 궤도본체(140)의 일부가 부존재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본체부(231) 및 프레임부(210)는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233)에 의해 대상물(M)을 목적하는 적재유닛(300)의 상부로 이송한다.
한 쌍의 지지롤러(235)는 캐리어 본체부(231) 및 프레임부(210)가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에 접촉되어 캐리어 본체부(231) 및 프레임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분기구간(S3)에서 캐리어 본체부(231)가 주행하는 경우에, 분기구간(S3)이 시작되는 분기영역(A1)과 분기구간(S3)이 끝나는 합류영역(A2)에서 한 쌍의 구동롤러(233)가 접촉될 수 있는 궤도본체(140)의 일부가 부존재하여 한 쌍의 구동롤러(233) 중 하나의 구동롤러(233)만이 궤도본체(140)를 따라 주행하게 되므로, 분기구간(S3)의 분기영역(A1) 및 합류영역(A2)에서 캐리어 본체부(231)가 궤도본체(140)에서 탈선되는 경우가 빈번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지지롤러(235)를 마련하여, 분기구간(S3)에서 캐리어 본체부(231)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캐리어 본체부(231)가 궤도본체(140)를 따라 매끄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지지롤러(235)는 캐리어 본체부(231)에 연결되되 한 쌍의 구동롤러(233)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롤러(235)는 주행궤도(110) 및 분기궤도(130)의 궤도본체(140)의 측부에 접촉되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롤러(235)는 한 쌍의 구동롤러(233)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어 캐리어 본체부(231)가 궤도본체(140)에서 탈선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본체부(231)는 분기구간(S3)에서 주행궤도(110) 또는 분기궤도(130)를 따라 주행될 수 있는데, 이는 한 쌍의 분기롤러(237)와 한 쌍의 분기롤러(237)를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분기롤러 연동모듈(239)에 의해 실행된다.
분기구간(S3)에서 한 쌍의 분기롤러(237) 중 하나의 분기롤러(237)가 한 쌍의 분기롤러(237)의 상부에 배치된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지에 따라 캐리어 본체부(231)가 주행궤도(110) 또는 분기궤도(130)로 진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기구간(S3)에서 한 쌍의 분기롤러(237)가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150) 및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17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접촉해제되도록 상호 연동되어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하는 분기롤러 연동모듈(239)을 마련함으로써, 캐리어 본체부(231)가 분기구간(S3)에서 주행궤도(110) 또는 분기궤도(130) 방향으로 신속 및 매끄럽게 방향전환할 수 있어 방향전환에 따른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속한 물류이송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대상물(M)을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적재부(330)에 적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이송대차(200)가 이송대차용 궤도(1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재유닛(300)의 상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 5(b)에서와 같이, 대상물 수용부(240)가 이송유닛(280)에 의해 대상물(M)이 적재될 해당 적재부(330)의 위치로 수평이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부(330)가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된 경우, 대상물 수용부(240)를 하강하는 동안 대상물 수용부(240)가 해당 적재부(330)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대상물 수용부(240)는 이송유닛(280)에 의해 프레임부(2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유닛(28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 수용부(240)의 상부에 연결되어 대상물 수용부(240)를 프레임부(210)와 적재부(330)들 사이에서 수평방향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다단슬라이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서와 같이, 대상물 수용부(240)가 승강유닛(270)에 의해 대상물(M)이 적재될 적재유닛(300)의 해당 적재부(330)로 하강된다.
여기서, 승강유닛(270)은 대상물 수용부(240)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벨트(273)와, 승강벨트(273)를 와인딩 및 언와인딩하여 대상물 수용부(240)를 해당 적재부(330)로 승강시키는 승강부(271)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271)는 대상물 수용부(240)를 하강시켜 대상물 수용부(240)로부터 대상물(M)을 해당 적재부(330)에 적재하기 위하여 대상물 수용부(24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271)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벨트(273)를 와인딩드럼(미도시)으로 권취 및 권출함에 따라 대상물 수용부(240)를 해당 적재부(330)에 인접하게 승강운동시킨다.
한편, 대상물(M)을 대상물 수용부(240)에서 수평이송하여 적재부(330)로 적재하는 경우, 대상물(M)의 무게가 한쪽 방향으로 편중되므로 대상물 수용부(240)가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하는 동안, 대상물 수용부(240)가 수평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물 수용부(240)와 적재 프레임부(310)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유닛(400,400a)이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속유닛(400,400a)은 적재 프레임부(310)에 마련된 제1 결속부(410,410a)와 대상물 수용부(240)에 마련된 제2 결속부(430,430a)를 포함하며, 대상물 수용부(240)를 해당 적재부(330)에 인접하게 이송한 경우, 제1 결속부(410,410a)와 제2 결속부(430,430a)가 상호 결합되어 해당 적재부(330)에 대해 대상물 수용부(240)가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결속부(410)는 적재 프레임부(310)의 적재부(330)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적재 프레임부(31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바(410)는 적재 프레임부(310)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410)의 상단부는 적재부(33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 바(410)는 제2 결속부(430)와의 최초 결속이 용이하도록 상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바(410)는, 상단부가 원뿔 형상(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후술할 가이드 홀(4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속부(430)는 대상물 수용부(240)의 양측에 마련되되 대상물 수용부(240)가 한 쌍의 가이드 바(410)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바(41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홀(430)을 포함한다.
대상물 수용부(240)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하강되는 경우에, 대상물 수용부(24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 홀(430)이 적재 프레임부(310)에 마련된 가이드 바(410)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 홀(430)이 가이드 바(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물 수용부(240)를 해당 적재부(330)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한다.
이처럼, 가이드 바(410)와 가이드 홀(4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대상물 수용부(240)의 이동이 제한되고, 해당 적재부(330)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240)의 수평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속부(410a)는 적재 프레임부(310)의 적재부(330)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적재 프레임부(310)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로 출몰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410a)를 포함하며, 제2 결속부(430a)는 대상물 수용부(240)의 양측에 마련되되 적재부(330)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240)의 위치 및 자세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쌍의 걸림돌기(410a)가 걸림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홈(430a)을 포함한다.
대상물 수용부(240)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하강되어 해당 적재부(330)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대상물 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출몰하는 걸림돌기(410a)가 적재 프레임부(310)에 마련된 걸림홈(430a)에 걸림결합된다.
이처럼, 걸림돌기(410a)와 걸림홈(430a)의 상호 결합에 의해 대상물 수용부(240)의 이동이 제한되고, 해당 적재부(330)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240)의 수평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도 5(c)에서와 같이 해당 적재부(330)로 대상물 수용부(240)를 하강하고 결속유닛(400,400a)을 이용하여 해당 적재부(330)에 대한 대상물 수용부(240)의 수평자세를 유지한 경우, 도 5(d) 및 도 5(e)에서와 같이 대상물 수용부(240)에서 해당 적재부(330)로 대상물(M)을 수평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사차 시스템은 대상물(M)을 대상물 수용부(240)에서 해당 적재부(330)로 수평 이송하여 적재하도록 트랜스퍼유닛(25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랜스퍼유닛(250)은 대상물 수용부(240)에 수용된 대상물(M)을 적재부(330)에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유닛(250)은, 대상물 수용부(24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어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하는 트랜스퍼모듈(253)과, 대상물 수용부(240)의 내부에 배치되되 트랜스퍼모듈(253)에 연결되어 트랜스퍼모듈(253)을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구동모듈(255)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트랜스퍼모듈(253)은, 적재유닛(300)의 해당 적재부(330)로 신장되어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트랜스퍼모듈(253)은, 대상물 수용부(2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대상물(M)을 지지하되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대해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상물 지지부(253a)와, 대상물 지지부(253a)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적층되되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일단부에 설치되되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신장되는 경우에 적재부(33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회전운동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롤러부(253c)를 포함한다.
대상물 지지부(253a)는 대상물(M)을 지지하는 영역으로써,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어 대상물(M)을 해당 적재부(330)에 적재한다.
그리고, 대상물 지지부(253a)는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연동되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는 대상물 지지부(253a)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며,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서 슬라이딩되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물 지지부(253a)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 사이에 하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배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다단으로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는 상호 상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후술할 구동모듈(255)에 의해 동시에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된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에 대상물 지지부(253a)도 역시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상부에서 상대 이동되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안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일단부에는 롤러부(253c)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신장되는 동안, 롤러부(253c)는 해당 적재부(33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구름운동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신장은 구동모듈(255)에 의해 수행된다.
구동모듈(255)은,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각각 연결되며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를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듈(255)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를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대해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1 구동부(256)와, 대상물 지지부(253a)에 연결되되 제1 구동부(256)에 연동되어 대상물 지지부(253a)를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대해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2 구동부(257)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과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되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가이드하는 LM방식의 가이드부(258)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256)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를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대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구동부(256)는, 대상물 수용부(240)에 설치되되 적재부(330)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랙기어(256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설치되되 랙기어(256a)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256b)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설치되되 피니언기어(256b)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256b)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25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구동부(257)는 제1 구동부(256)에 연동되어 대상물 지지부(253a)를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대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구동부(257)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풀리(257a) 및 제2 풀리(257b)와, 일단부가 대상물 지지부(253a)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제1 풀리(257a)에 감겨진 제1 벨트(257c)와, 일단부가 대상물 지지부(253a)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제1 벨트(257c)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풀리(257b)에 감겨진 제2 벨트(257d)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부(258)는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배치되되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258)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를 대상물(M)이 적재될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LM방식의 리니어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58)는,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과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되 대상물 지지부(253a)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슬라이딩되는 적재부(330)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제1 및 제2 LM가이드레일(258a,258c)과,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와 대상물 지지부(253a)에 각각 설치되되 제1 및 제2 LM가이드레일(258a,258c)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및 제2 LM블록(258b,258d)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트랜스포유닛(250)을 이용하여 해당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c)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M)이 적재될 해당 적재부(330)의 일측으로 대상물 수용부(240)가 하강된다. 대상물(M)은 대상물 지지부(253a)에 지지된 상태에서, 대상물 수용부(24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5(d), 도 5(e)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퍼모듈(253)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되고 해당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한다.
트랜스퍼모듈(253)의 신장동작을 살펴보면, 제1 구동모터(256c)로 피니언기어(256b)를 회전시켜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를 랙기어(256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는 제1 LM블록(258b)에 의해 제1 LM가이드레일(258a)에 결합되어, 제1 LM가이드레일(258a)을 따라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신장되는 경우에 대상물 지지부(253a)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연동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상면에서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신장된다.
대상물 지지부(253a)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연동되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을 살펴보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에 제1 풀리(257a)와 제2 풀리(257b)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벨트(257c)가 제1 풀리(257a)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대상물 지지부(253a)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벨트(257d)가 제2 풀리(257b)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대상물 지지부(253a)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대상물 수용부(24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벨트(257c)와 제2 벨트(257d)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가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장되는 경우에 대상물 지지부(253a)가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 연동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에서 슬라이딩되어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때, 대상물 지지부(253a)는 제2 LM블록(258d)에 의해 제2 LM가이드레일(258c)에 결합되어, 제2 LM가이드레일(258c)을 따라 해당 적재부(330) 방향으로 신장 이동된다.
한편, 도 5(d) 및 도 5(e)에서와 같이 대상물 수용부(240)에서 해당 적재부(330)로 대상물(M)을 이송하고 해당 적재부(330)에 대상물(M)을 적재한 후, 대상물 지지부(253a)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253b)는 대상물 수용부(240)로 다시 복귀된다.
그리고, 도 5(f)에서와 같이 승강유닛(270)에 의해 대상물 수용부(240)는 프레임부(210)로 상승된 후, 도 5(g)에서와 같이 이송대차(200)가 이송대차용 궤도(100)를 따라 적재유닛(300)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 5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퍼유닛(250)은 적재유닛(300)에서 대상물(M)을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M: 대상물 100: 이송대차용 궤도
110: 주행궤도 130: 분기궤도
140: 궤도본체 150: 주행궤도측 분기가이드
170: 분기궤도측 분기가이드 200: 이송대차
210: 프레임부 230: 캐리어유닛
240: 대상물 수용부 250: 트랜스퍼유닛
253: 트랜스퍼모듈 253a: 대상물 지지부
253b: 슬라이딩 플레이트 253c: 롤러부
255: 구동모듈 256: 제1 구동부
257: 제2 구동부 258: 가이드부
270: 승강유닛 280: 이송유닛
300: 적재유닛 310: 적재 프레임부
330: 적재부 400,400a: 결속유닛
410,410a: 제1 결속부 430,430a: 제2 결속부

Claims (15)

  1. 대상물이 수용된 대상물 수용부를 구비한 이송대차;
    상기 이송대차가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차용 궤도;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유닛; 및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적재유닛에 인접하게 이송한 경우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대한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유닛과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유닛은,
    적재 프레임부; 및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대상물이 적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적재 프레임부에 마련된 제1 결속부; 및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마련된 제2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상기 적재부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적재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부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를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바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이송대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이송대차용 궤도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유닛; 및
    상기 캐리어유닛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부에 적재하는 트랜스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유닛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며,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대상물 지지부;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적층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호 상대 이동되어 동시에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슬레이딩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대상물 지지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구동부에 연동되어 상기 대상물 지지부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랙기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풀리와 제2 풀리;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풀리에 감겨진 제1 벨트; 및
    일단부가 상기 대상물 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벨트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풀리에 감겨진 제2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신장되는 경우에, 상기 대상물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연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대상물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 지지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적재부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가이드 하는 LM방식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캐리어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 수용부가 내재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대상물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수용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내외부로 수평방향 왕복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39442A 2014-04-02 2014-04-02 이송대차 시스템 KR10166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42A KR101666800B1 (ko) 2014-04-02 2014-04-02 이송대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42A KR101666800B1 (ko) 2014-04-02 2014-04-02 이송대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00A KR20150114800A (ko) 2015-10-13
KR101666800B1 true KR101666800B1 (ko) 2016-10-17

Family

ID=5434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42A KR101666800B1 (ko) 2014-04-02 2014-04-02 이송대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93B1 (ko) * 2019-09-11 2021-07-06 부산항만공사 스마트 물류 이송 시스템
KR102610193B1 (ko) * 2020-08-31 2023-12-04 백의환 장식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판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70A (ja) 1999-12-20 2001-06-26 Tsubakimoto Chain Co 天井走行搬送車におけるワーク旋回方法
JP2003034409A (ja) 2001-07-19 2003-02-0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立体格納庫における昇降搬器位置保持装置
JP2005008336A (ja) 2003-06-18 2005-01-13 Line Kogyo Kk スライドフォーク使用の搬送装置
JP2010013205A (ja) 2008-07-01 2010-01-21 Daifuku Co Ltd 物品収納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3937A (ja) 2007-08-27 2009-03-12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70A (ja) 1999-12-20 2001-06-26 Tsubakimoto Chain Co 天井走行搬送車におけるワーク旋回方法
JP2003034409A (ja) 2001-07-19 2003-02-0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立体格納庫における昇降搬器位置保持装置
JP2005008336A (ja) 2003-06-18 2005-01-13 Line Kogyo Kk スライドフォーク使用の搬送装置
JP2010013205A (ja) 2008-07-01 2010-01-21 Daifuku Co Ltd 物品収納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00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484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596987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KR101717447B1 (ko)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KR101642853B1 (ko) 천정 반송차
EP2711261B1 (en) Carriage system having track
JP5513930B2 (ja) 立体自動倉庫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US20130134120A1 (en) Hoist apparatus and hoist transporting system
JP5234328B2 (ja) 物品収納設備
CN107082215B (zh) 物品搬运装置及具备该物品搬运装置的物品搬运设备
JP2016052947A5 (ko)
KR102043875B1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KR101419356B1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KR101784868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414530B1 (ko) 반송차 시스템
KR20120106618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00032421A (ko) 스태커 크레인
KR101561219B1 (ko) 이송대차
CN108290687B (zh) 保管装置以及输送系统
KR101530028B1 (ko) 이송대차 시스템
JP2016050112A (ja) 物品搬送設備
TW200827265A (en) Stacker crane
KR101666800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561226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