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034A -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 - Google Patents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034A
KR20140103034A KR1020137033087A KR20137033087A KR20140103034A KR 20140103034 A KR20140103034 A KR 20140103034A KR 1020137033087 A KR1020137033087 A KR 1020137033087A KR 20137033087 A KR20137033087 A KR 20137033087A KR 20140103034 A KR20140103034 A KR 2014010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ocus
voltage
substrate
focus portion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003B1 (ko
Inventor
사토코 마치다
고우지 소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0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4Variable focal length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제어 장치(4)는, 제1 기판(20)과, 제1 기판(20)에 대향하는 제2 기판(22)과, 제1 기판(20)과 제2 기판(22)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14)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2)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4)는, 가변 초점부(14)로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가변 초점부(14)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시키고, 그 후에 무인가로 한다. 이에 의해, 가변 초점 렌즈(14)의 인가 전압의 전환시에 발생하는 백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CONTROL DEVICE FOR VARIABLE FOCUS LENSES, CONTROL METHOD FOR VARIABLE FOCUS LENSES, AND ELECTRONIC GLASSES}
본 발명은,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 재료 등을 이용하여 굴절률을 바꿀 수 있는 렌즈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가변 초점 액정 렌즈용 세미피니쉬드 블랭크(Semi-finished blank)는,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한 하측 기재와, 이 상면과 대향하여 접합되는 오목하게 만곡한 이면을 갖는 상측 기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측 기판 사이에는 액정 재료로 구성되는 가변 초점부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재료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변 초점부의 굴절률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세미피니쉬드 블랭크는 소정의 가공을 거쳐서, 예를 들면 원근양용 안경의 렌즈로서 이용된다(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256977호 명세서
액정 재료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면, 액정 재료가 호메오트로픽(homeotropic) 상태에서 플레이너(planar)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에서 렌즈가 백탁하는 근소한 기간이 발생한다. 원근양용 안경으로서 이러한 렌즈를 이용하면 상품 가치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개시는, 가변 초점 렌즈의 인가 전압의 전환시에 발생하는 백탁 상태의 기간을 짧게 하여, 가변 초점 렌즈의 상품 가치의 저하를 억제하는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는, 제1 기판과, 이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를 제어한다. 이 제어 장치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로의 전환시에,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시키고, 그 후에, 무인가로 한다.
상기 가변 초점부는, 예를 들면, 수평 배향이 실시된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여도 된다.
또, 제1 기판에는, 예를 들면, 상기 가변 초점부와 대응하도록 프레넬 렌즈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예를 들면, 20ms~600ms 경과한 후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의 투과율이 가장 낮아질 때보다도 전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은, 예를 들면, 구형파여도 된다.
또,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인가시키는 전압은, 예를 들면, 구형파의 1주기분 또는 반주기분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가변 초점부로 인가하는 전압의 진폭은,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의 구동 전압의 진폭과 거의 같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가변 초점 렌즈의 상품 가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가변 초점 렌즈의 인가 전압의 변환시에 발생하는 백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의 사시도.
도 2a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의 제어 블럭도.
도 2b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의 제어부의 블럭도.
도 3a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 렌즈의 세미피니쉬드 블랭크를 구성하는 상측 기판의 정면도.
도 3b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 렌즈의 세미피니쉬드 블랭크를 구성하는 하측 기판의 정면도.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안경 렌즈의 세미피니쉬드 블랭크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세미피니쉬드 블랭크의 모식 단면 분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안경의 일부 제어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제어를 적용한 전자 안경의 투과율의 시간 추이도.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제어를 적용한 전자 안경의 투과율의 시간 추이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의 전자 안경의 투과율의 시간 추이를 나타낸 비교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의 프레시 전압의 전압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HCT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의 프레시 전압과 목표 투과율까지의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 본 개시에 따른 가변 초점 렌즈(2)(가변 초점 렌즈의 일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가변 초점 렌즈용 세미피니쉬드 블랭크(6)(이하, 세미 블랭크라 함)로부터 서피싱 가공, 에징 가공 등의 소정의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가변 초점 렌즈(2)를 전자 안경(8)으로 구성한 개략 구성도이다. 전자 안경(8)은, 안경 프레임(10)(프레임의 일례), 가변 초점 렌즈(2), 제어부(4) 및 센서부(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초점 렌즈(2)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벗어난 영역에는, 액정 재료(예를 들면, 콜레스테릭)를 갖는 가변 초점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변 초점부(14)에 의해서 가변 초점 렌즈(2)의 굴절률을 전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
도 2a는, 전자 안경(8)의 전기적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안경 프레임(10)에는, 전원부(16), 센서부(12), 제어부(4)(제어 장치의 일례) 및 회로부(18)(구동부의 일례)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부(16)에는 충전용 전지와 승압 회로(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센서부(12), 제어부(4) 및 회로부(18)로 전압을 공급한다.
센서부(12)는, 각속도 센서나 경사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 의해서 전자 안경(8)을 장착한 사용자의 두부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신호를 제어부(4)로 출력한다. 센서부(12)는 또, 사용자의 손의 접촉 등의 사용자의 동작(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포함함)을 감지함으로써, 제어부(4)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4)는, 뒤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겠지만, 센서부(12)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가변 초점부(14)로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가변 초점부(14)의 굴절률을 변경시킨다. 제어부(4)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에 따라 각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회로부(18)(구동부의 일례)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 구동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 등이 장착되고, 제어부(4)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 가변 초점부(14)로의 전압 인가를 행하고, 가변 초점부(14)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4)는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12)로부터의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41)와, 센서부(12)로부터의 전환 신호를 판정하는 판정부(42)와, 판정부(42)로부터 출력되는 판정 결과인 지령 신호를 회로부(18)에 출력하는 출력부(4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제어부(4) 및 회로부(18)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 가변 초점부(1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b는, 하측 기판(20)(제1 기판의 일례)의 정면도이며, 도 3a는, 하측 기판(20)과 대향하여 접합되는 상측 기판(22)(제2 기판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하측 기판(20)의 중앙 부근의 일부 영역에는, 프레넬 렌즈(24)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기판(20)과 상측 기판(22) 사이에 소정의 제막을 실시하여 접합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세미 블랭크(6)를 구성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세미 블랭크(6)의, 가변 초점부(14)를 통과하는 두께 방향(지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모식 단면 분해도이다. 상측 기판(22)과 하측 기판(20) 사이에는, 프레넬 렌즈(24)와 대향하는 영역에서, 하측 기판(20)측으로부터 상측 기판(22)을 향해 차례대로 제1 투명 도전막(26), 제1 배향막(28), 액정 재료(30), 제2 배향막(32), 및 제2 투명 도전막(34)이 제막되어 있다. 이에 대해, 프레넬 렌즈(24)와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액정 재료(30) 대신에 시일제(36)가 도포되어 있다. 즉, 액정 재료(30)는 프레넬 렌즈(2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만 도포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는 시일제(36)가 도포된다. 마찬가지로 프레넬 렌즈(2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만 배향막을 제막해도 된다. 여기서, 투명 도전막과 배향막 사이에 배치되는 필요한 절연층(예를 들면, 이산화 규소막)은 설명 관계상 생략한다. 이와 같이 세미 블랭크(6)를 형성한 후, 소정의 가공을 거쳐 가변 초점 렌즈(2)를 얻는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전자 안경(8)을, 예를 들면, 굴절률이 2단계로 변화 가능한 원근양용 안경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아래를 향하고 있으면 근방 시야가 양호해지도록 사용자가 위를 향하고 있을 때보다도 가변 초점부(14)의 굴절률을 작게 한다(근시용 굴절률). 반대로, 사용자가 수평 방향을 향하면, 센서부가 이것을 감지하여, 원방 시야가 양호해지도록 제어부(4)가 가변 초점부(14)의 굴절률을 크게 한다(원시용 굴절률).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가변 초점 렌즈(14)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4)와 관련된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4)는, 개략, 가변 초점부(14)로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가변 초점부(14)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시키고(프레시 전압), 그 후, 무인가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6은, 제어부(4)의 동작을 플로차트에 나타낸 것으로, 이 플로차트에 의거해 제어부(4)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자 안경(8)에 전원을 넣으면 센서부(12)에 전압이 공급된다(S1). 이 상태에서는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은 오프이며, 초기 상태로서 가변 초점부(14)는 원시용 굴절률로 세트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안경(8)을 장착한 사용자의 두부의 움직임, 구체적으로는 전자 안경(8)의 수직 각도의 변화를 센서부(12)가 감지하면, 센서부(12)로부터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소정의 전환 신호의 일례)가 제어부(4)에 출력된다(S2). 예를 들면, 사용자가 책을 읽기 위해서 아래를 향했을 때, 두부의 소정 각도를 감지한 센서부(12)는 온 신호를 제어부(4)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회로부(18)는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온으로 한다(S3). 이 때, 가변 초점부(14)는 책을 읽는데 적합한 근시용 굴절률로 세트된다.
책을 다 읽고 사용자가 두부를 수평하게 하면, 센서부(12)는 그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오프 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S4), 회로부(18)를 경유하여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오프로 한다(S5). 이 때 가변 초점부(14)의 오프 상태의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서, 제어부(4)에 접속된 타이머(도시 생략)가 제로로 세트된다.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이 오프가 되면, 가변 초점부(14)의 굴절률은 원시용 굴절률로 세트된다.
제어부(4)는, 타이머 계측에 의해서 가변 초점부(14)의 오프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00ms를 넘었는지 어땠는지를 판정한다(S6). 제어부(4)는, 가변 초점부(14)의 오프 상태가 소정 시간을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가변 초점부(14)로 단시간만 프레시 전압을 인가하는 신호를 회로부(18)에 출력한다(S7). 프레시 전압을 소정 시간 인가한 후에는, 가변 초점부(14)로의 전압의 인가는 없어지고 오프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실시예 1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가변 초점부(14)의 투과율을 종축에 취하고, 그 시간 추이를 횡축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이용하는 프레시 전압은, 가변 초점부(14)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과 같은 주기(예를 들면, 50Hz), 전압치(예를 들면, 10V)인 펄스의 1주기분을 이용했다. 프레시 전압은, 액정 재료(30)가 포컬 코닉(Focal Conic) 상태가 되는, 구동 전압의 오프시로부터 100ms 후에 인가했다. 편의상, 투과율이 95% 이상이 되면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온에서 오프로 했을 때 발생하는 백탁 상태를 사용자가 감지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오프(T=0)로 했을 때부터 약 740ms 후에 투과율 95%에 도달하고 있다. 후술하는 비교예를 나타낸 도 9의 경우와 비교하면, 그 차이는 현저하다.
도 8은, 프레시 전압의 인가 내용을 바꾼 것이며, 도 7에서 이용한 프레시 전압을 반분주기(예를 들면, 약 25Hz)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도 가변 초점부(14)의 투과율이 95%에 달성하는데 구동 전압 오프로부터 약 730ms 밖에 걸리지 않았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시 전압의 인가 직후에 급격하게 투과율이 저화하고 있는데, 매우 단기간의 동안이므로 사람이 인식할 정도는 아니다.
도 9는, 실시예 1 및 2에 대한 비교예로서, 프레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오프로 했을 때부터 액정 재료가 포컬 코닉 상태로 이행하고, 급속하게 가변 초점부(14)의 투과율이 저하되었다. 그 후, 서서히 회복해나가, 구동 전압 오프로부터 약 1840ms 경과한 후에 투과율이 95%에 이르고 있다.
다음에, 프레시 전압의 전압치를 변화시킨 경우와, 프레시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변화시킨 경우의 투과율의 회복 시간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0은, 프레시 전압의 전압치를 변화시킨 경우의 HCT(Haze Clearing Time)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HCT는, 가변 초점부(14)의 투과율이 95%로 회복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프레시 전압은,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과 같은 주기(예를 들면, 50Hz)의 펄스의 1주기분을 이용했다. 또, 프레시 전압은,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오프로 했을 때부터(T=0), 약 100ms 경과한 후에 가변 초점부(14)에 인가했다. 이 도면으로부터 가변 초점부(14)의 구동 전압과 같거나 혹은 근사한 진폭인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HTC는, 약 20ms에서 600ms 사이가 바람직하고, 약 50ms에서 300ms 사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1은, 프레시 전압의 인가 타이밍, 즉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오프로 했을 때부터 프레시 전압을 인가할 때까지의 시간 T와 HCT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프레시 전압의 인가 타이밍은 가변 초점부(14)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부터 100ms 혹은 그에 가까운 시간이 경과했을 때가 바람직하다. 또, 이 프레시 전압의 인가 타이밍은, 프레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투과율이 가장 낮아지는 시간 T(=약 230ms) 직전이다.
이상과 같이,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을 온에서 오프로 했을 때, 프레시 전압을 소정 기간 인가함으로써 플레이너 상태로의 이행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백탁 현상의 발생 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전자 안경(8)의 렌즈(2)의 깜빡임을 감지하지 않는다.
(그 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센서부(12)는 각속도 센서나 경사 센서를 이용했는데,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서 가변 초점부(14)의 굴절률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 안경(8)에 초기 상태로서 가변 초점부(14)는 원시용 굴절률로 세트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초기 상태로서 가변 초점부(14)는 근시용 굴절률로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액정 재료(30)가 포컬 코닉 상태인지는, 투과율이 저하했는지에 어땠는지에 따라서도 판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변 초점부(14)로의 구동 전압의 오프로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지 않아도 투과율로부터 프레시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전자 안경(8)에 소정의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투과율의 변화를 감지시킨다. 제어부(4)는, 이 소정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투과율의 저하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지령 신호, 즉 가변 초점부(14)로의 전압을 온 또는 오프로 하는 지령 신호를 회로부(18)에 출력한다.
본 발명은, 굴절률을 바꿀 수 있는 전자 안경에 있어서 유용하다.
2:가변 초점 렌즈
4:제어부
6:가변 초점 렌즈용 세미피니쉬드 블랭크(세미 블랭크)
8:전자 안경
10:안경 프레임
12:센서부
14:가변 초점부
16:전원부
18:회로부
20:하측 기판(제1 기판)
22:상측 기판(제2 기판)
24:프레넬 렌즈
26:제1 투명 도전막
28:제1 배향막
30:액정 재료
32:제2 배향막
34:제2 투명 도전막
36:시일제

Claims (15)

  1.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소정의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고, 그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하는,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는 액정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액정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포컬 코닉(Focal Conic) 상태인 동안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는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인,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는, 이것을 사이에 끼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배향막에 의해 수평 배향이 실시되어 있는,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의 투과율이 가장 낮아질 때보다도 전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20ms~600ms 경과한 후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50ms~300ms 경과한 후에,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은 구형파인,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인가하는 전압은 상기 구형파의 1주기분인, 제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인가하는 전압은, 상기 구형파의 반주기분인, 제어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부로 인가하는 전압의 진폭은, 상기 가변 초점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의 진폭과 거의 같은, 제어 장치.
  12.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하고,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고, 그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와,
    상기 가변 초점 렌즈를 부착하는 안경 프레임과,
    상기 안경 프레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동작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각도의 변화 중 적어도 1개를 검지하여 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전환 신호가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오프로 하는 것인 경우,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시키고, 그 후, 무인가로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안경.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가변 초점부와 대응하도록 프레넬 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 안경.
  15.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부를 갖는 가변 초점 렌즈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온으로 할지 오프로 할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로부터 수신한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온 또는 오프로 하는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부이며, 상기 지령 신호가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오프로 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한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 소정 시간 전압을 인가하고, 그 후, 상기 가변 초점부로의 전압을 무인가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KR1020137033087A 2011-12-16 2012-11-05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 KR10211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5839 2011-12-16
JP2011275839 2011-12-16
PCT/JP2012/007079 WO2013088630A1 (ja) 2011-12-16 2012-11-05 可変焦点レンズの制御装置、可変焦点レンズ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メガ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034A true KR20140103034A (ko) 2014-08-25
KR102116003B1 KR102116003B1 (ko) 2020-05-27

Family

ID=4861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087A KR102116003B1 (ko) 2011-12-16 2012-11-05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41774B2 (ko)
EP (1) EP2793072B1 (ko)
JP (1) JP6008873B2 (ko)
KR (1) KR102116003B1 (ko)
CN (1) CN103547960B (ko)
WO (1) WO2013088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322130B2 (en) 2012-09-30 2017-03-09 Optica Amuka (A.A.) Ltd. Lenses with electrically-tunable power and alignment
ES2576489T3 (es) * 2013-08-02 2016-07-0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Un método para controlar un dispositivo de lente oftálmica programable
CN104155772B (zh) * 2014-08-04 2016-01-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可穿戴式装置及电子储物设备
WO2017110832A1 (ja) * 2015-12-21 2017-06-29 三井化学株式会社 電子眼鏡
US11221500B2 (en) 2016-04-17 2022-01-11 Optica Amuka (A.A.) Ltd. Liquid crystal lens with enhanced electrical drive
ES2854025T3 (es) * 2016-06-10 2021-09-20 Morrow N V Un dispositivo óptico termoplástico
US11360330B2 (en) 2016-06-16 2022-06-14 Optica Amuka (A.A.) Ltd. Tunable lenses for spectacles
WO2018061902A1 (ja) * 2016-09-29 2018-04-05 三井化学株式会社 レンズ、レンズブランク及びアイウェア
KR20180065770A (ko) * 2016-12-08 2018-06-1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가변 초점 안경 및 그 구동 방법
CN106773447B (zh) * 2017-01-24 2019-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透镜及显示装置
WO2018155392A1 (ja) * 2017-02-22 2018-08-30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
CN110383147B (zh) * 2017-03-13 2020-11-27 三井化学株式会社 眼睛佩戴物
CN110431473B (zh) * 2017-03-13 2021-04-30 三井化学株式会社 眼睛佩戴物
JP7026925B2 (ja) * 2017-06-13 2022-03-01 株式会社エルシオ 眼鏡
US11747619B2 (en) 2017-07-10 2023-09-05 Optica Amuka (A.A.) Lt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with dynamic vision correction
US11953764B2 (en) 2017-07-10 2024-04-09 Optica Amuka (A.A.) Ltd. Tunable lenses with enhanced performance features
CN107272220B (zh) * 2017-08-16 2019-11-19 北京五环伟业科技有限公司 眼镜系统
US11402668B2 (en) 2017-09-25 2022-08-02 Mitsui Chemicals, Inc. Frame component, temple, frame, and eyewear
US11556012B2 (en) 2017-10-16 2023-01-17 Optica Amuka (A.A.) Ltd. Spectacles with electrically-tunable lenses controllable by an external system
CN107797306B (zh) * 2017-11-18 2019-05-14 深圳市源鑫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3d打印支撑柱的双屈光度眼镜的制造方法
EP3521868A1 (en) * 2018-01-31 2019-08-07 Essilor International Phase change optical device
US10859832B1 (en) * 2018-05-29 2020-1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Mitigating light exposure to elements of a focus adjusting head mounted display
KR102065767B1 (ko) * 2018-07-25 2020-01-13 (주)오프렌 탈부착 모듈이 결합되는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CN112771439A (zh) * 2018-09-27 2021-05-07 三井化学株式会社 眼睛佩带物及程序
US11927837B2 (en) * 2022-02-11 2024-03-12 Pixieray Oy Actively adaptive optical elements and apparatuses
US20230258960A1 (en) * 2022-02-11 2023-08-17 Pixieray Oy Actively adaptive optical apparatuses for reducing myopia development
KR20230161250A (ko) * 2022-05-1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 조절 렌즈에 기초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078A (ja) * 2001-12-18 2003-07-03 Sony Corp 液晶光量調整装置および液晶光量調整装置の駆動方法、ならびに該液晶光量調整装置を用いたカメラ。
US20040027501A1 (en) * 2002-01-16 2004-02-12 Blum Ronald D. Electro-active multi-focal spectacle lens
JP2007322620A (ja) * 2006-05-31 2007-12-13 Citizen Holdings Co Ltd 自動合焦点装置
US20090256977A1 (en) 2008-04-11 2009-10-15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diffractive le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9417A (en) * 1984-12-28 1986-07-09 Olympus Optical Co Liquid crystal lens having a variable focal length
JPS623223A (ja) 1985-06-28 1987-01-09 Olympus Optical Co Ltd 焦点距離可変の液晶レンズ
JPS6210628A (ja) 1985-07-09 1987-01-19 Seiko Epson Corp 液晶電気光学装置
JPH04322214A (ja) 1991-04-23 1992-11-12 Hitachi Ltd 液晶レンズ及びその使用方法
JPH0561023A (ja) 1991-06-21 1993-03-12 Nec Corp 液晶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34656A (ja) 1991-08-01 1993-02-12 Toyota Motor Corp 焦点距離可変液晶レンズ
EP1798592A3 (en) 1996-01-17 2007-09-1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3303275B2 (ja) 1996-01-17 2002-07-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素子を用いた光学装置
JP3310157B2 (ja) * 1996-03-05 2002-07-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09243806A (ja) 1996-03-13 1997-09-19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特性可変光学素子
JP3624610B2 (ja) 1997-01-17 2005-03-0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相転移型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と相転移型液晶表示装置
JP3331559B2 (ja) 1997-11-13 2002-10-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学装置
JP3713954B2 (ja) 1998-05-14 2005-11-0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H11352453A (ja) 1998-06-09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特性可変光学素子
JPH11352445A (ja) 1998-06-09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可変焦点眼鏡
US6619799B1 (en) * 1999-07-02 2003-09-16 E-Vision, Llc Optical lens system with electro-active lens having alterably different focal lengths
US6950086B2 (en) 2000-04-03 2005-09-27 Optrex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memory mode of operation and a driving apparatus
JP4715012B2 (ja) 2000-04-03 2011-07-06 旭硝子株式会社 メモリ性コレステリック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JP4710158B2 (ja) 2000-04-03 2011-06-29 旭硝子株式会社 メモリ性コレステリック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JP2002341311A (ja) 2001-05-18 2002-11-27 Olympus Optical Co Ltd 液晶レンズの駆動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駆動装置
CN1141602C (zh) 2001-08-14 2004-03-1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连续变焦菲涅耳微透镜阵列器件
JP3846483B2 (ja) 2004-02-10 2006-11-1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5081051A1 (ja) 2004-02-20 2005-09-0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液晶光変調素子
JP4752763B2 (ja) * 2004-04-30 2011-08-17 旭硝子株式会社 液晶レンズ素子および光ヘッド装置
US8885139B2 (en) 2005-01-21 2014-11-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Adaptive electro-active lens with variable focal length
CN100595620C (zh) * 2005-01-21 2010-03-24 庄臣及庄臣视力保护公司 具有可变焦距的自适应电激活透镜
JP2006285047A (ja) 2005-04-01 2006-10-19 Citizen Electronics Co Ltd 液晶レンズ
JP4508048B2 (ja) 2005-09-02 2010-07-21 旭硝子株式会社 液晶レンズおよび光ヘッド装置
JP2007212623A (ja) 2006-02-08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焦点眼鏡
JP2007304461A (ja) 2006-05-15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反射型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90113388A (ko) 2007-03-12 2009-10-30 픽셀옵틱스, 인크. 전기-활성 회절성 옵틱용 전기 절연층, uv 보호 및 전압 스파이킹
JP2009223301A (ja) 2008-02-20 2009-10-01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レンズ
JP2009237211A (ja) 2008-03-27 2009-10-15 Fuji Xerox Co Ltd 液晶デバイス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WO2009153764A2 (en) 2008-06-21 2009-12-23 Lensvector Inc. Electro-optical devices using dynamic reconfiguration of effective electrode structures
CN101676765A (zh) 2008-09-20 2010-03-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变焦透镜、电子装置及制作方法
TWI407221B (zh) * 2010-12-07 2013-09-01 Univ Nat Chiao Tung 液晶透鏡結構及其驅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078A (ja) * 2001-12-18 2003-07-03 Sony Corp 液晶光量調整装置および液晶光量調整装置の駆動方法、ならびに該液晶光量調整装置を用いたカメラ。
US20040027501A1 (en) * 2002-01-16 2004-02-12 Blum Ronald D. Electro-active multi-focal spectacle lens
JP2007322620A (ja) * 2006-05-31 2007-12-13 Citizen Holdings Co Ltd 自動合焦点装置
US20090256977A1 (en) 2008-04-11 2009-10-15 Pixeloptics Inc. Electro-active diffractive le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47960B (zh) 2018-03-16
US20140092327A1 (en) 2014-04-03
US9541774B2 (en) 2017-01-10
JPWO2013088630A1 (ja) 2015-04-27
KR102116003B1 (ko) 2020-05-27
EP2793072A1 (en) 2014-10-22
WO2013088630A1 (ja) 2013-06-20
JP6008873B2 (ja) 2016-10-19
EP2793072A4 (en) 2015-06-03
EP2793072B1 (en) 2019-10-09
CN103547960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3034A (ko)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장치, 가변 초점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안경
US11927771B2 (en) Control of dynamic lenses
CN110383147B (zh) 眼睛佩戴物
JP6824380B2 (ja) アイウェア
JP2011034096A5 (ko)
EP17432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vision
JP2007310004A (ja) 自動合焦点装置
JP2011118168A (ja) 液晶レンズと、それを用いた焦点距離可変眼鏡、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スイッチ、液晶レンズアレイ、3次元表示装置、及び指向性制御表示装置
JPH09179075A (ja) 調光メガネ
CN112790955A (zh) 一种超表面结构的视力矫正设备及其矫正方法
JP5581195B2 (ja) 可変焦点レンズ用セミフィニッシュトブランク、可変焦点レンズおよび可変焦点メガネ
JP2010054524A (ja) 可変焦点眼鏡
KR102367492B1 (ko) 헤드모션감지 증강현실 글라스
CN106249431A (zh) 一种智能滤光液晶太阳镜
KR101263334B1 (ko)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JP2626455B2 (ja) 電子サングラス
KR20140046645A (ko) 시력 보호용 전자안경
US20230258960A1 (en) Actively adaptive optical apparatuses for reducing myopia development
JP2007310068A (ja) 自動合焦点装置
JPH0943563A (ja) 映像表示装置
JPH0296114A (ja) オートフォーカス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2

Effective date: 202003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