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334B1 -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334B1
KR101263334B1 KR1020110098295A KR20110098295A KR101263334B1 KR 101263334 B1 KR101263334 B1 KR 101263334B1 KR 1020110098295 A KR1020110098295 A KR 1020110098295A KR 20110098295 A KR20110098295 A KR 20110098295A KR 101263334 B1 KR101263334 B1 KR 10126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goggles
sleep mode
saving sleep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35A (ko
Inventor
허문영
허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to KR102011009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3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후 미사용 시 운전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선글라스 및 고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설정 및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LCD 패널의 농도를 제어하는 단계; LCD 패널의 색상을 제어하는 단계; 운전모드 단계; 및 절전형 슬립모드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주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비사용으로 판단될 경우, 절전형 슬립모드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Power saving sleep mode control method of sunglass or goggle}
본 발명은 선글라스 및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미사용 시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소비전력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Sunglasses)란, 강렬한 햇빛이나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니켈, 크롬, 세듐 등의 산화물로 착색한 색유리를 사용하거나, 편광 유리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 선글라스는 가정용품 품질표시법에 의해 도수가 들어있지 않는 것으로, 렌즈에 현저한 변형이 없고, 평행도가 안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직장이나 작업장 등의 환경 및 상황에 따라 어느 정도의 차광성능(遮光性能)을 가진 렌즈가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차광성능은 흡수곡선(吸收曲線) 및 스펙트럼 투과상태(透過狀態)에 의하여 측정되어 표시되어 있는데, 번호가 커질수록 빛을 통과시키는 율이 낮아진다. 최근에는 근시용(近視用)으로 도수가 있는 것과 편광필터 등을 응용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고글(Goggles)은 먼지나, 강한 빛 따위로부터 눈을 보호하는데 쓰는 안경으로서, 오토바이를 타거나, 등산, 스키 등의 야외 운동을 수행할 경우, 사용한다.
최근 들어,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광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외선에 반응하여 작용하는 변색형 렌즈 또는 단순히 투과율을 변경하기 위한 액정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렌즈로 자동 제어방식의 LCD 패널이 적용되고, 선글라스 또는 고글에 설치되는 착용 감지센서 및 조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LCD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조도 변화량에 대응하는 농도로 렌즈의 농도를 전환 및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할 경우, 착용 감지센서가 착용자의 착용을 감지함과 동시에 조도센서 등의 센서들이 주변 환경의 조도 및 상황을 실시간적으로 감지하여 LCD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선글라스 또는 고글 렌즈의 LCD 패널 농도를 전환한다.
이렇게 착용자의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시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따른 LCD 패널의 농도 전환을 위해서 선글라스 또는 고글에 설치되는 배터리가 동작함으로써 조도 등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잦은 충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실질적인 사용이 필요할 경우, 배터리 잔량의 부족으로 사용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후 미사용 시 운전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선글라스 및 고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후 미사용 시 운전모드에서 슬립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착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설정 및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LCD 패널의 농도를 제어하는 단계; LCD 패널의 색상을 제어하는 단계; 운전모드 단계; 및 절전형 슬립모드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주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비사용으로 판단될 경우, 절전형 슬립모드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상태가 착용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단계; 및 착용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가 조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단계; 및 조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에 따른 신호의 크기 및 변화량이 제어부로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마이컴이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작동이 필요없는 상태로 인식할 경우, 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 및 선글라스 또는 고글에 공급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기능선택 버튼을 ON/OFF 선택하여 착용자가 운전모드 또는 슬립모드로의 전환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선글라스 및 고글 렌즈의 LCD 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자동모드에서 절전형 슬립모드로의 ON/OFF 전환을 착용자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주변 상황 및 개인 취향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선글라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고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선글라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고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선글라스(100)는 선글라스 테(110)와 선글라스용 광학특성 조절시스템(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글라스(100)는 상기 광학특성 조절시스템(120)에 의해 렌즈(121a, 121b) 색상에 대한 선택 및 광투과율의 자동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선글라스 테(110)는 착용 시 착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는 본체부(111)와 상기 본체부(111)의 양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착용 시 착용자의 머리 좌,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다리부(112a, 112b)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특성 조절시스템(120)은 상기 본체부(111)에 고정되는 렌즈(121a, 121b)와 제어부(122)와 센서부(미도시)와 온도 감지센서(123a)와 착용 감지센서(123b)와 조도 감지센서(123c)와 기능 선택부(124)와 상태 표시부(125)와 렌즈 구동부(126)와 광원부(1261a)와 전원부(127) 및 충전부(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1)에 설치되는 렌즈(121a, 121b)는 LCD 패널(1211)로 이루어지고, 상기 LCD 패널(1211)은 구동 전압의 크기에 의해 광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셔터 LCD로 이루어지고, 플랙시블한 재질의 플라스틱 LCD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LCD 패널(1211)은 광투과율 조절을 위하여 가해지는 구동 전압의 크기는 렌즈 구동부(126)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상기 LCD 패널(1211)이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에 적용 시 그 양 면에 편광필름(미도시)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편광필름의 적소에 확산형 컬러필터(미도시) 및 유해 광선필터(미도시)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22)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장치(미도시)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 미도시)를 구비하는 마이컴(미도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전원부(12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123a)와 착용 감지센서(123b) 및 조도 감지센서(12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 감지센서(123a)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22)에 전송하며, 상가 착용 감지센서(123b)는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 데이터를 제어부(122)에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2)로 상기 온도 감지센서(123a)와 착용 감지센서(123b) 및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센싱된 각 데이터 및 정보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2)는 기능 선택부(124)로부터 농도의 자동 조절 및 수동 조절 등의 기능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렇게 상기 각 센서(123a, 123b, 123c)를 통하여 입력된 각종 데이터 및 정보에 따라 렌즈 구동부(1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태 표시부(125)에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 구동부(126)는 광원 구동부(126a)와 셔터 LCD 구동부(1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 구동부(126)는 제어부(122)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따라 LCD 패널(1211)과 광원부(1261a)를 구동시킨다.
상기 광원 구동부(126a)는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광원부(1261a)가 선택된 색상의 광원을 조사하도록 한다.
상기 셔터 LCD 구동부(126b)는 제어부(122)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근거하여 LCD 패널가 적절한 광투과율(농도)를 갖도록 작동 전압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셔터 LCD 구동부(126b)는 36Hz(바람직하게는 1Hz 이하)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동작전압을 발생시켜서 소비전력을 줄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자체로 제공되는 전원부(127) 및 별도의 외부전원(12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전원부(127)는 제어부(122)와 렌즈 구동부(126) 등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부(127)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전원부(127)에 2차 전지 대신, 1차 전지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전원부(127)가 태양전지(130a, 130b)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충전부(128)는 제어부(122)에 의해 제어되며, 외부전원(129)으로부터 전원부(127)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선글라스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설정 및 상태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진다(S10). 이 단계는 상태 표시부(125)를 통해 전지의 잔량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착용 감지센서(123b)에 의해 착용 여부가 감지되고, 그 결과가 제어부(122)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22)가 착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용 상태를 감지한다(S20).
여기서, 비착용 상태일 경우, 설정 및 상태에 대한 표시 단계(S10)를 다시 실시하고, 착용 상태일 경우, 농도 조절(광투과율 조절) 및 색상 선택에 대한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농도 조절 과정을 설명한다. 농도 조절 과정은 기능 선택 확인 단계(S31)와 조도/온도 변화 확인 단계(S31a)와 조도/온도 보상 단계(S33)와 농도 가변값 출력 단계(S34)와 LCD 패널 구동 단계(S35) 및 기본 농도값 출력 단계(S32b)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 선택 확인 단계(S31)는 사용자가 자동 농도 조절 기능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기능 선택부(124)를 통해 이루어진다.
만일 자동 농도 조절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면, 기본 농도값 출력 단계(S32b)를 실시하게 되고, 기본 농도값 출력 단계(S32b)는 제어부(122)가 미리 설정된 기본 농도값을 출력하도록 셔터 LCD 구동부(126b)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기본 농도값은 3단계(밝음, 중간 밝음, 어둠) 이상으로서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기본 농도값 출력 단계(S32b) 후에는 LCD 패널 구동 단계(S35)가 실시된다.
만일, 자동 농도 조절 기능이 선택된 상태이면 이후에 조도/온도 변화 확인 단계(S32a)를 실시하게 되고, 조도/온도 변화 확인 단계(S32a)는 제어부(122)가 온도 감지 센서(123a) 및 조도 감지 센서(123c)로부터 관련 신호를 입력받아서 현재의 조도 및/또는 온도가 이전과 차이가 있음을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 농도 조절 시에는 3단계 이상의 자동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광투과율은 3.2% 내지 65%에서 단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조도와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차이가 발생하면 조도/온도 보상 단계(S33)를 실시하게 된다. 조도/온도 보상 단계(S33)는 제어부(122)가 차이나는 조도 및/또는 온도를 보상하기 위한 새로운 제어값을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변 조도를 판단하기 전에 조도 감지 센서(123c)에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122)에서 판단하여 렌즈(121a, 121b)의 농도를 변화된 조도에 상응하는 만큼 보상해 주고, 셔터 LCD로 이루어지는 LCD 패널(1211)은 온도에 따라 차단농도와 반응시간이 변한다.
즉,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LCD 패널(1211)의 차단 농도와 반응 속도도 낮아지게 되고, LCD 패널(1211)에서 원하는 수준의 농도와 반응 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온도에 대한 보상이 요구되며, 이러한 보상이 조도/온도 보상 단계(S33)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농도 가변값 출력 단계(S34)에서는 제어부(122)가 보상된 조도/온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신호를 셔터 LCD 구동부(126b)에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조도/온도 변화 확인 단계(S32a)에서 조도와 온도 모두 변화가 없으면 농도 가변값 출력 단계(S34)를 바로 실시하게 된다.
상기 셔터 엘시디 구동 단계(S35)는 농도 셔터 엘시디 구동부(126b)가 LCD 패널(1211)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 색상 선택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색상 선택 과정은 색상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1)와 선택 색상 출력 단계(S42a)와 기본 색상 출력 단계(S42b) 및 컬러 필터 구동 단계(S43)를 포함한다.
상기 색상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1)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기능 선택부(124)를 통해 이루어진다. 만일, 색상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라면 기본 색상 출력 단계(S42b)를 실시하게 되고, 기본 색상 출력 단계(S42b)는 제어부(122)가 미리 설정된 기본 색상을 출력하도록 광원 구동부(126a)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착용자에 의해 색상이 선택된 상태라면 선택 색상 출력 단계(S42a)를 실시하게 되고, 선택 색상 출력 단계(S42a)는 착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광원부(1261a)가 조사하도록 제어부(122)가 광원 구동부(126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컬러 필터 구동 단계(S43)는 제어부(12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 구동부(126a)가 광원부(1261a)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후 비사용에 따른 절전형 슬립모드로의 전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설정 및 상태가 표시된다(S51). 이때,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설정 및 상태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한다(S52). 이때, 상기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 여부는 착용 감지센서(123b)에 의해 감지되고(S52-1), 그 결과가 제어부(122)로 전송되며(S52-2), 상기 제어부(122)가 착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착용 상태가 자동으로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착용 감지센서(123b)를 통하여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122)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이 착용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된다(S58).
그러나, 상기 착용 감지센서(123b)를 통하여 감지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122)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을 사용자가 착용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주변 조도를 감지한다(S53). 즉, 사용자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을 착용하였을 경우,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S53-1),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제어부(122)로 전송된다(S53-2).
이때, 상기 제어부(122)는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감지된 조도 데이터가 기준 조도 이상인지 혹은 기준 조도 이하인지를 비교하여 기준 조도 이하의 어두운 조건으로 판단할 경우,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된다(S58).
즉,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 상태와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제어부(123)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및 변화량을 상기 제어부(122)의 마이컴(미도시)에서 판단한 후 신호의 크기가 50 Lux 이하이거나, 10~120분 사이에 ±50 Lux의 조도 변화량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를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동작이 필요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차단(S58-1)함과 동시에 모드를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S58-2)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글라스(100)의 제1 및 제2 다리부(112a, 112b)를 파지한 후 본체부(1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펴졌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선글라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그 다음 단계 및 운전모드로 전환하여 진행하나, 선글라스(100)의 제1 및 제2 다리부(112a, 112b)를 파지한 후 본체부(11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었을 경우 또는 최초에 제1 및 제2 다리부(112a, 112b)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절전형 슬립모드로 진입 및 전환된다(S58).
한편, 상기 제어부(122)가 조도 감지센서(123c)로부터 입력되는 조도 데이터를 기준 조도(50 Lux)와 비교하여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의 밝은 조건으로 판단될 경우, 조도 감지센서(123c)를 통하여 감지된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따른 조도 데이터가 제어부(122)로 실시간 입력된다.
이렇게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주변 조도 변화를 실시간 및 지속적으로 감지하고(S54), 주변 조도에 따른 신호의 크기(50 Lux) 및 변화량(10~120분 사이에 ±50 Lux의 조도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22)로 전송하며(S54-1), 상기 제어부(122)로 조도 데이터가 실시간 및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2)가 조도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조도 변화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된다(S58).
이때,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는 주변 조도에 따른 신호의 크기 및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22)로 전송한다(S54-1).
만약, 상기 조도 감지센서(123c)에서 감지된 후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조도 데이터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122)가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따른 조도값에 따라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에 설치되되, 플렉시블한 재질의 셔터 LCD로 이루어지는 LCD 패널(1211)의 농도(S55) 및 색상(S56)을 제어하면서 운전모드(S57)로 전환되어 착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LCD 패널(1211)의 농도 및 색상의 제어는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자가 운전모드 또는 절전형 슬림모드로의 전환 및 비전환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사용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일 경우,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자가 운전모드 또는 절전형 슬립모드로의 전환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선택 버튼(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기능선택 버튼을 ON/OFF 선택하여 운전모드 또는 슬립모드로의 전환을 착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한다(S59).
즉, 기준치 이상의 강렬한 조도가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해변이나, 조도 변화가 없는 도로, 길 등의 특정장소에서 차량 운전 중이거나, 야외의 직사광선과 같은 높은 조도의 환경이거나, 특정 장소 및 특정 환경에서 기준치 이상의 조도가 변화없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등 특정 조도 이상이라 할지라도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의 OFF 버튼을 조작하여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LCD 패널(1211)이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운전모드로 진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착용자가 운전모드 또는 절전형 슬립모드를 임의로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 버튼은 선글라스(100)의 본체부(111) 또는 제1 및 제2 다리부(112a, 112b)에 구비되거나, 고글(200)의 프레임(210) 또는 밴드(2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사용자가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을 사용하고 있으나,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본연의 역할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에는 착용자가 기능선택 버튼의 ON 버튼을 조작하여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LCD 패널(1211)이 운전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전형 슬립모드로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기능선택 버튼을 ON 조작하여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거나, 기능선택 버튼을 OFF 조작하여 착용 여부와 조도 감지 및 조도 변화 감지 단계를 진행하면서 운전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선글라스(100) 또는 고글(200)의 착용자가 주변 환경 및 상황을 고려하여 운전모드에서 절전형 슬립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슬립모드가 선글라스(100)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10)과 렌즈(221)과 태양전지(240) 및 밴드(250)를 구비하는 고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글라스, 110 : 선글라스 테,
111 : 본체부, 111a : 코 받침부,
112a, 112b : 제1 및 제2 다리부, 120 : 광학 특성 조절시스템,
121a, 121b : 렌즈, 122 : 제어부,
123a : 온도 감지센서, 123b : 착용 감지센서,
123c : 조도 감지센서, 124 : 기능 선택부,
125 : 상태 표시부, 126 : 렌즈 구동부,
126a : 광원 구동부, 1261a : 광원부,
126b : 셔터 LCD 구동부, 127 : 전원부,
128 : 충전부, 129 : 외부전원,
130a, 130b : 태양전지, 200 : 고글,
210 : 프레임, 221 : 렌즈,
240 : 태양전지, 250 : 밴드.

Claims (6)

  1.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설정 및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상태를 착용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주변 조도를 조도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착용 상태 및 주변 조도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착용 감지센서 및 조도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LCD 패널의 농도를 제어하는 단계;
    LCD 패널의 색상을 제어하는 단계;
    운전모드 단계; 및
    절전형 슬립모드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착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 조도에 따른 신호의 크기가 50 Lux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주변 조도 변화가 ± 50 Lux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비사용으로 판단될 경우, 소비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형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작동이 필요없는 상태로 인식할 경우, 마이컴이 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에 공급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기능선택 버튼을 ON/OFF 선택하여 착용자가 운전모드 또는 슬립모드로의 전환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KR1020110098295A 2011-09-28 2011-09-28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KR10126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295A KR101263334B1 (ko) 2011-09-28 2011-09-28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295A KR101263334B1 (ko) 2011-09-28 2011-09-28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35A KR20130034335A (ko) 2013-04-05
KR101263334B1 true KR101263334B1 (ko) 2013-05-20

Family

ID=4843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295A KR101263334B1 (ko) 2011-09-28 2011-09-28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68A (ko) * 2016-02-15 2017-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시 교정용 안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041Y2 (ja) 1991-01-22 1997-04-16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防眩眼鏡
KR200354820Y1 (ko) 2004-02-27 2004-06-30 송호진 고휘도엘이디가 장착된 안경
JP2009247361A (ja)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生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041Y2 (ja) 1991-01-22 1997-04-16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防眩眼鏡
KR200354820Y1 (ko) 2004-02-27 2004-06-30 송호진 고휘도엘이디가 장착된 안경
JP2009247361A (ja)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生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35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426B1 (ko) 선글라스 또는 고글용 광학 특성 조절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및 고글
US11614641B2 (en) Eyewear
TWI528823B (zh) 影像資訊顯示裝置與應用於其上之影像資訊顯示與調整方法
US7564014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welding light and protecting eyes from gl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63330A (ko) 안경 렌즈용 적응형 광학 필터
CN110431473B (zh) 眼睛佩戴物
KR102537161B1 (ko) 능동 렌즈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3911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方法
US10172741B1 (en) Power saving welding helmet
US20160106619A1 (en) Method and eyeglass for the recovery and repair of eyesight
KR101263334B1 (ko)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절전형 슬립모드 제어방법
US11087715B2 (en) Light transmittance adjustable eyewear
JP2009180863A (ja) 電子眼鏡
KR101783800B1 (ko) 기능성 전기 변색 아이웨어
CN212302143U (zh) 一种常黑超省电液晶变色眼镜
KR101273620B1 (ko) 주변조도에 따라 렌즈의 투과율이 자동 조절되는 고글
US20140092328A1 (en) Electro-Optical Anti-Glare Device Comprising Plano Lenses
CN209044221U (zh) 一种智能眼镜
CN207081904U (zh) 一种智能读写护目眼镜
KR101466684B1 (ko) 선글라스 또는 고글의 좌, 우 lcd 패널의 광학적 투과율 보정 제어방법
CN214678881U (zh) 一种基于倾斜角的护目眼镜
KR20120091632A (ko) 눈부심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글라스
US20220397777A1 (en) Dynamic control of transmission value
CN112130347A (zh) 一种常黑超省电液晶变色眼镜及其使用方法
CN114748058A (zh) 一种基于倾斜角的护目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