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449A - 수전 작업기 - Google Patents
수전 작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4449A KR20140094449A KR1020140005481A KR20140005481A KR20140094449A KR 20140094449 A KR20140094449 A KR 20140094449A KR 1020140005481 A KR1020140005481 A KR 1020140005481A KR 20140005481 A KR20140005481 A KR 20140005481A KR 20140094449 A KR20140094449 A KR 201400944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at
- floats
- vehicle body
- stationary
- st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논에 배수용의 홈을 양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전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정지 플로트 F가,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태이고, 또한 복수 중 어느 하나를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20)로 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복수의 정지 플로트(F) 중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20) 이외의 다른 정지 플로트(21)에,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는 구절기(88)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정지 플로트 F가,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태이고, 또한 복수 중 어느 하나를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20)로 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복수의 정지 플로트(F) 중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20) 이외의 다른 정지 플로트(21)에,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는 구절기(88)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논에 볍씨를 공급하는 직파기나 논에 모를 심는 전식기 등의 수전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전 작업기의 일례로서의 직파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다.
즉,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작업 장치에, 차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에서 논을 정지하는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구비되고, 이들 복수의 정지 플로트 중에서 차체 횡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플로트가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로서 설정되어 있고, 차체 측면에서 볼 때 정지 플로트보다도 전방부측이고 또한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정지 플로트에 대하여 횡폭 방향으로 어긋난 개소에 있어서,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 형성 부재(구절기)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주행 차체가 포장(圃場)을 주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홈 형성 부재에 의해 작성된 배수용의 홈의 좌우 양 횡측 개소를 정지 플로트가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정지 플로트에 의해 밀린 이토(泥土)가 홈에 들어가고, 홈 형성 부재로 제조된 홈이 무너지는 등 논으로의 홈의 형성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불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논에 배수용의 홈을 양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전 작업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전 작업기의 특징 구성은,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태이고, 또한 복수 중 어느 하나를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로 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 중 상기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정지 플로트에,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는 구절기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 플로트에 구절기가 구비되므로, 주행 차체가 포장 내에서 주행하는 것에 수반하여, 복수의 정지 플로트에 의해 논의 표면이 정지되는 동시에, 복수의 정지 플로트 중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 이외의 정지 플로트에 구비된 구절기에 의해 논에 배수용의 홈이 형성된다.
차체 주행에 수반하여 정지 플로트가 논의 표면을 고르게 하면서 이동할 때에, 그 고르기 작용을 받은 논에 대하여, 구절기에 의해 배수용의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정지 플로트에 의해 고르게 된 후의 논은, 이토의 밀림 이동에 의한 홈의 붕괴의 우려는 없으므로, 구절기에 의해 논에 형성된 홈이 양호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런데,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는, 논에 대한 작업 높이를 검출하기 위해서, 넓은 범위에 걸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지지되므로, 이와 같은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에 구절기가 구비되면, 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논에 양호하게 홈을 형성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 이외의 정지 플로트는, 넓은 범위에 걸쳐 상하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이 정지 플로트에 구절기를 구비함으로써, 논에 양호하게 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논에 배수용의 홈을 양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전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는 각각의 저면이 논에 대하여 동일 높이로 되도록 상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정지 플로트는 각각의 저면이 논에 대하여 동일 높이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소에 있어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라도, 수전 작업기의 좌우 경사 자세가 안정되기 쉬운 것으로 되다.
또,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와, 그것 이외의 정지 플로트는 함께 논에 대하여 동일 높이가 되므로, 구절기를 구비한 정지 플로트가 다른 정지 플로트에 대하여 상대 상하 위치가 다른 경우가 없으므로, 구절기에 의한 홈의 형성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요동 범위가 설정 범위 내로 규제되는 상태에서 구비되고,
상기 구절기가 구비되는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가, 그것 이외의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단단한 포장에 있어서, 작업 주행에 수반하여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논에 접촉하면서 이동할 때에, 논에 부분적으로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개소에 위치하는 정지 플로트가 상방으로 후퇴 요동함으로써,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상되는 등의 불리를 피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그리고, 구절기가 구비되는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가 지나치게 넓으면, 구절기에 의해 홈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구절기가 구비되는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를 그것 이외의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함으로써, 해당 정지 플로트의 상방 후퇴를 가능하게 하면서, 논에 홈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절기가, 적어도 상기 횡축 코어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정지 플로트는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기 때문에, 정지 플로트가 논에 접지하면서 이동 주행할 때, 논에 밀려서 그 전방부측의 영역이 상향으로 요동 변위되는 경향이 있다. 즉,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할 때의 횡축 코어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은, 전방부측의 영역과는 반대로 하방측으로 변위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구절기는, 논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변위되는 경향이 있어, 논에 대한 홈의 형성을 양호하게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에, 논에 분립체를 공급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작홈기(作溝器)와, 홈 내에 분립체가 공급된 후에 홈을 다시 메우기 위한 복토판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상기 복토판보다도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구절기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차체의 이동 주행에 수반하여, 정지 플로트에 구비된 작홈기에 의해 논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예를 들어 비료 등의 분립체가 공급되고, 또한 홈 내에 분립체가 공급된 후, 정지 플로트에 구비된 복토판에 의해 홈이 다시 메워진다. 그리고, 복토판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구비된 구절기에 의해 배수용의 홈이 형성된다.
즉, 정지 플로트에 의해 정지되어 고르게 된 논을 이용해서, 고르게 된 논에 분립체를 매립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서, 그 분립체의 공급을 저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절기에 의해 배수용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구절기와 복토판을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상태로 구비하면, 양자 사이의 간극에 진흙 덩어리가 부착 퇴적되어 막아 버릴 우려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절기가 복토판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구절기와 복토판 사이에 간격을 두고 진흙을 양호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토판과 상기 구절기가, 차체 정면에서 볼 때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일부 중복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차체 주행에 수반하여 구절기가 논에 작용하는 영역이, 작홈기에 의해 형성된 홈을 복토판으로 다시 메워 작용하는 영역과 일부 중복되므로, 구절기에 의한 진흙 압박 작용에 의해, 복토판에 의한 되메우기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복토판을 소형의 구조가 간소한 것으로 하거나, 구절기에 의해 복토판을 겸용하는 구성으로하여 복토판을 생략하는 등 구성을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과 상기 구절기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양자의 접촉면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해서 상기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정지 플로트와 구절기의 접합 개소에, 포장 내에 존재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이 끼워 넣어져 퇴적되는 등의 불리를 회피할 수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정지 플로트는, 넓은 접지면을 갖는 동시에,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구절기는 논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내구성을 구비하기 위해서 금속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합성 수지재인 정지 플로트의 표면에 금속재를 포함하는 구절기를 설치하면, 정지 플로트의 저면과 구절기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간극이 발생하여,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이 끼워 넣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양자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함으로써, 정지 플로트의 저면과 구절기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이 끼워 넣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수전 작업기의 측면도.
도 2는 수전 작업기의 평면도.
도 3은 작업부의 측면도.
도 4는 작업부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작업부의 배면도.
도 6은 작업부의 종단 배면도.
도 7은 작업부 하부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작업부의 전동 계통도.
도 9는 작업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10은 승강 제어 기구 배치부의 절결 측면도.
도 11은 롤링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롤링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종단 측면도.
도 14는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평면도.
도 15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종단 측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구절기의 저면도.
도 2는 수전 작업기의 평면도.
도 3은 작업부의 측면도.
도 4는 작업부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작업부의 배면도.
도 6은 작업부의 종단 배면도.
도 7은 작업부 하부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작업부의 전동 계통도.
도 9는 작업부 프레임의 사시도.
도 10은 승강 제어 기구 배치부의 절결 측면도.
도 11은 롤링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롤링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종단 측면도.
도 14는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평면도.
도 15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의 사이드 플로트 배치부의 종단 측면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구절기의 저면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전 작업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전륜(1)과 좌우 한쌍의 후륜(2)을 구비한 주행 차체(3)에 운전부(4)를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차체(3)의 후단부에 승강용 유압 실린더(5)의 조작에 의해 링크 기구(6)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작업부 A를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4)에는, 좌우의 전륜(1)을 조향 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7), 주행용 변속 레버(8), 작업부 A의 승강 조작 등을 행하는 조작 레버(9) 등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차체(3)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1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11)를 통해 전륜(1)에 전하는 동시에, 후륜 구동 케이스(12)를 통해 후륜(2)에 전하는 주행 전동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1)로부터의 구동력이 외부 출력축(13)에 전해지고, 또한 이 외부 출력축(13)으로부터의 작업부 A에 있어서의 피드 케이스(14)에 구비된 입력축(15)에 전해지는 작업 전동계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6)는, 주행 차체(3)의 후단부에 대하여, 그 전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어퍼 링크(6a) 및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6b)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의 후단부에 종 링크(6c)가 피봇 연결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후단부가 승강 작동한다.
그리고, 종 링크(6c)의 하단부 위치에 전후 방향 자세의 롤링 축심 X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작업부 A가 지지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부 A에 있어서의 피드 케이스(14)가, 입력축(15)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에 설치된 회전 이동 지점부(16)에서, 종 링크(6c)에 대하여 전후 방향 자세의 롤링 축심 X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업부 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부 A는, 포장면에 대하여 6조의 표면파종을 행하는 파종 장치(17), 포장면에 대하여 분립상의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 장치(18), 포장면에 대하여 제초제 등의 살포를 행하는 약제 살포 장치(19)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비 장치(18)가 가장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고, 그 시비 장치(18)의 기체 후방측에 파종 장치(17)가 위치하고, 또한 파종 장치(17)의 기체 후방측에 약제 살포 장치(19)가 위치하도록, 그것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작업부 A에는, 작업 대상이 되는 포장면의 정지를 행하는 복수의 정지 플로트 F로서, 횡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플로트(20)와, 그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 플로트(21)가 구비되어 있다.
파종 장치(17)는, 파종되는 종자로서 철 코팅 처리가 행해진 볍씨를 이용하여, 정지 플로트 F[센터 플로트(20) 및 사이드 플로트(21)]로 정지된 포장면에 대하여 6조분의 파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종자를 1주분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파종하는 이른바 점파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종 장치(17)에서는, 철 코팅 처리가 행해진 볍씨를 이용함으로써, 조해(鳥害)를 억제하면서 포장면으로의 표면 파종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철 코팅 처리된 볍씨를 파종할 때는, 볍씨가 논 내에 깊게 메워지지 않도록, 단단한 논으로 되도록 포장의 수분이 조정된다. 그렇게 하면, 주행 차체(3)가 주행할 때에, 단단한 이토가 덩어리 형상으로 되어 후륜(2)의 주행 러그(2A)에 의해 들어 올려져 포장으로 낙하 방출되고, 논위로 낙하해서 융기되는 경우가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 장치(17)는, 볍씨를 저장하는 종자 호퍼(22)와, 종자 호퍼(22)로부터 종자를 조출하는 6개의 종자 조출부(23)와, 각 종자 조출부(23)로부터 조출된 종자를 바람의 영향을 억제한 상태에서 바로 아래로 안내하는 안내 통(24)이 구비되어 있다.
6개의 종자 조출부(23)는, 평면에서 볼 때 포장면에 접지하는 정지 플로트 F[센터 플로트(20) 및 사이드 플로트(21)]의 후방측에 위치해서 그 정지 플로트 F와 중복되지 않는 상태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구비된 종자 조출 롤(25)로부터 조출된 종자를, 정지 플로트 F에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자중에 의해 직접적으로 포장면에 낙하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안내 통(24)은 종자 조출부(23)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에서 볼 때 하방측일수록 좁아지는 아래가 좁은 형상이고, 또한 후방부가 개방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형으로 형성된 판체로 구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조출된 볍씨를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비 장치(18)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료를 저장하는 비료 호퍼(26)와, 비료 호퍼(26)로부터 비료를 조출하는 6개의 비료 조출부(27)와, 각 비료 조출부(27)로부터 조출된 비료를 하향 유동 안내하는 6개의 시비 호스(28)와, 시비 호스(28)에 의해 하향 유동 안내되는 비료를 공급하기 위한 홈을 포장면에 작성하는 작홈기(29)와, 홈을 되메우는 복토판(30)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홈기(29)는, 포장면에 홈을 넣는 구절기(31)와, 그 구절기(31)로 작성된 홈에 비료를 안내하기 위한 비료 안내구(3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절기(31)는, 측면에서 볼때 삼각 형상이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끝이 가는 형상(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지 플로트(F)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제이고 벨로우즈의 통형상의 접속 부재(33)가 비료 안내구(32)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비 호스(28)가 접속 부재(33)에 삽입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토판(30)은, 정지 플로트(F)의 저면에 있어서의 작홈기(29)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설치되고, 횡폭 방향 외측이고 또한 후방측을 향해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비료 조출부(27)는, 도시하지 않은 비료 조출 롤이, 주행 차체(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할 때마다 오목부에 수납된 비료를 차례로 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약제 살포 장치(1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초제 등의 약제가 저류되는 약제 호퍼(35)의 하부에 본체 케이스(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본체 케이스(36) 내에는, 상술하지 않지만, 약제 호퍼(35)에 저류된 분립상의 약제를 조출하는 전동 조작식의 조출 기구나 조출된 약제를 비산시키도록 모터 구동식의 확산 날개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약제 살포 장치(19)는, 파종 폭(6조의 폭)에 대응한 영역에 약제의 살포를 행할 수 있도록 비료 호퍼(26)보다 상방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약제 살포 장치(19)의 전체가 정지 플로트(F)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작업부 A의 전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3)측으로부터의 동력이, 롤링 축심 X의 하부 위치에 구비된 입력축(15) 및 피드 케이스(14) 내의 베벨 기어 기구(40)를 통해, 횡방향 전동축(41)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 횡방향 전동축(41)이 차체 횡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비 장치(18)에 있어서의 각 비료 조출부(27)의 근방을 따라 차체 횡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 설치되는 시비 구동축(42)이 구비되고, 시비 장치(18)에 있어서의 각 비료 조출부(27)의 비료 조출 롤(34)을 2개씩 회전 구동하는 3개의 각 조 구동축(43)이 구비되어 있다. 시비 구동축(42)의 길이 방향의 우측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일방향 클러치(39)를 통해 요동 조작 아암(44)이 구비되고, 이 요동 조작 아암(44)의 요동 단부와 횡방향 전동축(41)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회전 아암(45)을 풋쉬 풀 로드(46)를 통해 연동 연결시키고 있다.
시비 구동축(42)에 설치된 3개의 구동 기어(47)와, 3개의 각 조 구동축(43) 각각에 설치된 종동 기어(48)를 각각 맞물려 연동시켜, 시비 구동축(42)의 동력에 의해 6개의 비료 조출부(27)의 비료 조출 롤(34)을 구동 회전하도록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횡방향 전동축(4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아암(45)이 회전하면, 풋쉬 풀 로드(46)를 통해 요동 조작 아암(44)이 소정 범위에서 왕복 요동 조작되어, 시비 구동축(42)이 일정 방향으로 소정량씩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비료 조출부(27)에 의해 비료가 차례로 조출되고, 비료 조출부(27)로부터 조출된 비료는 시비 호스(28)를 통해서 포장면에 공급된다. 또한, 3개의 각 조 구동축(43)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전동을 온 오프 가능한 각조 클러치(49)가 구비되고, 6조의 전체 조에 비료를 공급하는 상태와, 일부의 조(2조 또는 4조)에만 비료를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파종 장치(17)에 있어서의 각 종자 인출부(23)의 근방을 따라 차체 횡폭 방향 대략 전체 폭에 걸쳐 연장 설치되는 파종 구동축(50)이 구비되고, 파종 장치(17)의 우측 단부에 전동 케이스(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횡방향 전동축(41)의 우측 단부가, 전동 케이스(51) 내에 구비된 체인식 전동 기구(52)를 통해 파종 구동축(5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파종 구동축(50)에 설치된 구동 기어(53)와, 각 종자 조출부(23)의 롤 축(55)에 설치된 종동 기어(54)를 각각 맞물려 연동시켜, 파종 구동축(50)의 동력에 의해 6개의 종자 조출부(23)의 종자 조출 롤(25)을 구동 회전하도록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각조 클러치(49)의 조작에 연동하여, 6조 전체 조에 종자를 공급하는 상태와, 일부의 조(2조 또는 4조)에만 종자를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에 작업부 A에 있어서의 작업부 프레임 D를 도시하고 있고, 이하 이 작업부 프레임 D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방부측에, 피드 케이스(14)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장척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각 파이프 형상의 메인 프레임체(5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체(56)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태이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가 차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후 방향 프레임체(57)의 후단부로부터 종방향 프레임체(58)가 세워 설치되고, 그 종방향 프레임체(58)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태이고, 또한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장척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각 파이프 형상의 파종 프레임체(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6개의 종자 조출부(23)가 각각 이 파종 프레임체(59)에 지지되어 있고, 종자 조출부(23)에 의해 종자 호퍼(22)와 안내 통(24)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전후 방향 프레임체(57)는, 횡폭 방향 양측단부 위치, 및 센터 플로트(20)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21) 각각의 횡폭 방향 중앙 위치에, 합계 5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단부의 각각과, 피드 케이스(14)의 상부로부터 합계 3개의 지주 프레임체(60)가 고정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지주 프레임체(60)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상태이고, 또한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 장척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각 파이프 형상의 시비 프레임체(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6개의 비료 조출부(27)가 각각 이 시비 프레임체(61)에 지지되어 있고, 비료 조출부(27)에 의해 비료 호퍼(26)와 시비 호스(28)가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부 프레임 D는 메인 프레임체(56)와, 파종 프레임체(59)와, 복수의 전후 방향 프레임체(57)의 각각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날일(日)자 형상의 지지 강도가 큰 틀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피드 케이스(14)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중앙 지지 프레임체(62)가 고정 연장 설치되어 있다. 중앙 지지 프레임체(6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둥근 파이프재를 포함하고, 피드 케이스(14)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직선 부분의 후단부측 개소가, 파종 프레임체(59)에 고정된 지지 부재(62a)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전후 방향 직선 부분의 후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종방향 부분이 연장 설치되고, 그 상단부에 약제 살포 장치(19)가 지지되어 있다.
작업부 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자세의 롤링 축심(X)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작업부(A)를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킨 경우에, 작업부 A의 좌우 경사 자세를 강제적으로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롤링 로크 기구(63)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6b)가 각각, 종 링크(6c)와의 피봇 연결 위치보다도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연장 설치부에 역ㄷ자의 연결구(64)를 통해 로드(65)가 피봇 연결되어 있다. 각 로드(65)는, 메인 프레임체(56)에 고정한 브래킷(66)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로드(65)에는, 브래킷(66)의 상하 양측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67, 68)이 외부 끼움 장착되고, 상측의 코일 스프링(67)은 연결구(64)와 브래킷(66)에 의해 받침 지지되고, 하측의 코일 스프링(68)은 상단부가 브래킷(66)에 의해, 하단부가 로크 너트(69)에 의해 받침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롤링 로크 기구(63)가 구성되어 있다.
작업부 A를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면, 좌우 한쌍의 로드(65)가 메인 프레임체(5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하측의 코일 스프링(68)이 압축해서 밀착 상태로 되어서 롤링 작동이 로크되어, 작업부 A의 좌우 경사 자세가 중립 위치로 된다.
센터 플로트(20) 및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21)는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각 플로트(20, 21)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20)는,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P)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고, 또한 전방부측 개소가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즉, 도 9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20)에 대응해서 구비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의 후단부에 평면에서 볼때 역ㄷ자형의 지지 부재(70)가 하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는 상태로 연결 고정되고, 지지 부재(70)의 하단부에 센터 플로트(20)에 볼트 연결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지점 브래킷(71)이 횡축 코어(P)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센터 플로트(20)의 전방부측은 소정 범위에서 승강 가능하게 현수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20)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에, 고정용 브래킷(7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장척 형상이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문 형상으로 형성된 연계 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계 부재(73)의 좌우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긴, 긴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 구멍(74)을 좌우로 삽입 관통하는 고정 로드(75)가, 메인 프레임체(56)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 연장 설치된 좌우 한쌍의 지지 아암(76)에 의해 가설 지지되어 있다. 즉, 센터 플로트(20)는 연계 부재(73)와 고정 로드(75)를 통해 메인 프레임체(56)에 지지된다. 그리고, 고정 로드(75)와 연계 부재(73)가 긴 구멍(74)의 범위 내에서 상대 상하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센터 플로트(20)는 메인 프레임체(56)에 대하여 긴 구멍(74)의 범위 내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센터 플로트(20)의 접지압 변동에 수반하는 상하 요동 자세의 변화에 따라, 요동 지점 위치(P)의 대지 높이(작업부 A의 대지 높이에 대응함)가 설정 대지 높이로 되도록, 승강용 유압 실린더(5)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 기구(77)가 구비되어 있다.
또, 연계 부재(73)의 상면부에 조작 와이어(78)에 있어서의 아우터 와이어(78a)의 단부가 지지되고, 고정 로드(75)에 조작 와이어(78)에 있어서의 이너 와이어(78b)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조작 와이어(78)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5)로의 작동유의 급배 상태를 제어하는 유압 전환 밸브(79)에 연동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하지는 않지만, 센터 플로트(20)의 전방부측 개소의 상하 위치가 설정 위치로 되도록, 환언하면, 작업부 A의 대지 높이가 설정 높이로 되도록, 유압 전환 밸브(79)를 전환 조작하도록 연동 연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 제어 기구(77)가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제어 기구(77)를 구성하는 연계 부재(73)나 좌우 한쌍의 지지 아암(76)은 센터 플로트(20)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 위치보다도 우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구비되어 있고, 롤링 로크 기구(63)에 있어서의 좌우의 로드(65) 중 우측에 위치하는 로드(65)가, 평면에서 볼 때 좌우 한쌍의 지지 아암(76)의 좌우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21)는, 센터 플로트(20)와 마찬가지로,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P)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전방부측 개소가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21)는, 각각 센터 플로트(20)와 마찬가지로, 각 사이드 플로트(21)에 대응해서 구비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의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지지 부재(7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70)는, 평면에서 볼 때 후방향으로 개방된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70)에 대하여, 각 사이드 플로트(21)에 볼트 연결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지점 브래킷(81)이 횡축 코어(P)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21) 및 센터 플로트(20)는, 상하 요동 축심 위치(P)가 동일한 축심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저면이 논에 대하여 동일 높이로 되도록 상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센터 플로트(20)가 사이드 플로트(21)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센터 플로트(20)는, 상하 요동 축심 위치(P)로부터 전단부까지의 거리를 가능한 크게 하여 센싱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트(21)의 전방부측 개소에 있어서, 사이드 플로트(21) 선단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결합 부재(82)가, 사이드 플로트(21)의 상면에 볼트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 결합 부재(82)에 작용함으로써, 사이드 플로트(21)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를 센터 플로트(20)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로 규제하는 요동 규제 기구(83)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의 하면측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부재(82)에 대향하는 개소에 접촉 결합부(84)가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상태에서 걸림 지지 로드(85)가 구비되어 있다. 이 걸림 지지 로드(85)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상하 요동을 허용하도록, 걸림 결합 부재(82)와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를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하단부에 삽입 관통 구멍(86)의 횡폭보다도 대직경의 받침 지지부(87)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로크 너트(8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로트(21)는, 걸림 결합 부재(82)가 걸림 지지 로드(85)와 로크 너트(86)에 의해 받침 걸림 지지됨으로써 그 이상의 하강이 규제되어, 걸림 결합 부재(82)가 접촉 결합부(84)에 하측으로부터 접촉해서 그 이상의 상승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결합 부재(82)와 접촉 결합부(84)에 의해 요동 규제 기구(83)가 구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사이드 플로트(21)의 각각에 있어서의 저면에,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는 구절기(88)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절기(88)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상하 요동 축심(P)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또한 복토판(30)보다도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토판(30)과 차체 정면에서 볼 때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 일부 중복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절기(88)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에서 구비되고, 종단면 형상이 대략 V자형이 되고, 측면에서 볼때 삼각 형상이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태에서, 판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플로트(21)의 상하 요동 축심(P)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89)를 통해 사이드 플로트(2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9)는, 평면에서 볼 때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체로 구성되고, 그 광폭의 후단부측 개소를 측면에서 볼때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절기(88)는 이 지지 부재(89)의 하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89)가 사이드 플로트(2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지지 부재(89)의 후단부측의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89D)를 사이드 플로트(21)의 후단부측을 끼워넣어 보유 유지하는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89)의 전방부측 개소를 연결용 볼트(90)에 의해 지점 브래킷(81)과 함께 체결 연결하는 상태로, 사이드 플로트(21)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플로트(21)는 합성 수지재를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합성 수지재의 일체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구절기(88)는 내구성이 요구되므로 금속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플로트(21)와 구절기(88)의 접합 개소에, 포장 내에 존재하는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이 끼워 넣어지는 일이 없도록,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과 구절기(88)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양자의 접촉면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해서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1)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의 횡방향 중앙부에는, 논의 표면에 저장되는 부드러운 이토 등을 횡외측으로 다량으로 흘려 보내는 일이 없이 후방으로 흘리기 위한 진흙 빠짐용 오목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진흙 빠짐용 오목부(92)가 형성되는 중앙 판부(93)는 다른 개소보다도 두껍게 형성된 1개 판 구조로 되어 있고, 이 중앙 판부(93)를 이용해서, 지점 브래킷(81), 걸림 결합 부재(82), 및 지지 부재(89)의 각각을 볼트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진흙 빠짐용 오목부(92)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상하 요동 축심(P)에 상당하는 개소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것보다도 후방측의 개소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진흙 빠짐용 오목부(92)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중공부(94)에서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은 중앙부(93)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지지 부재(89)는 중앙 판부(93)를 따르는 수평 자세의 전방부측 수평 부분(89A)과, 그 전방부측 수평 부분(89A)에 연결되고 또한 후방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가 되는 경사 부분(89B)과, 그 경사 부분(89B)에 연결되고 또한 중공부(94)의 저면을 따른 수평 자세의 후방부측 수평 부분(89C)을 구비하는 동시에, 그것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후단측의 절곡부(89D)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9)에 있어서의 후방부측 수평 부분(89C)의 전단부를, 구절기(88)의 전단부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해서 볼록부(9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91)는,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과 구절기(88)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양자의 접촉면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해서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과 구절기(88)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이 끼워 넣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도 7,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부(A)에는, 주행 차체(3)에 구비되는 후륜(2)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후륜(2)에 의해 튀어 오르는 이토가 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흙 제거 부재(9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륜의 후방이며 또한 진흙 제거 부재(95)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이드 플로트(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측면에서 볼때 후륜(2)보다도 후방측이고, 또한 차체 정면에서 볼 때 후륜(2)에 대하여 좌우 횡측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논을 정지하기 위한 레이크 부재(9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레이크 부재(96)는, 차체 측면에서 볼때 진흙 제거 부재(95)보다도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21)에 대응해서 구비된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가 메인 프레임체(56)보다도 차체 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태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전후 방향 프레임체(57a)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상태에서, 종방향 자세의 진흙 제거 부재(95)가 설치되어 있다.
진흙 제거 부재(95)는, 상측 부분(95A)이 대략 연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부분(96B)이 하방측일수록 후방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부분(96A)은, 사이드 플로트(21)의 횡폭과 대략 동일한 횡폭이고, 또한 메인 프레임체(56)의 하단부 위치와 대략 동일 위치로부터 피드 케이스(14)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 위치에 걸치는 상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형의 진흙 제거 부재(95)를 구비함으로써, 후륜(2)에 의해 튀어 오른 이토가 사이드 플로트(21)의 상측으로 비산되거나, 파종 장치(17)나 전동 기구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흙 제거 부재(95)는, 상측 부분(95A)이 대략 연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후륜(2)에 의해 튀어 오른 이토가 비산되어도, 그 비산된 이토가 진흙 제거 부재(95)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방으로 낙하시키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경사 형상의 하측 부분(95B)을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어 후륜(2)이 통과함으로써 융기되어 퇴적된 진흙의 덩어리를 이 경사 형상의 하측 부분(95B)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밀어 내릴 수 있어, 융기되어 퇴적된 이토가 사이드 플로트(21)의 상측에 얹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흙 제거 부재(95)에 대하여 우측의 횡측방으로 치우친 개소에, 메인 프레임체(56)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측에 고정 연장 설치된 지지 아암(97)으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레이크 부재(9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레이크 부재(96)는, 센터 플로트(20)와 사이드 플로트(21) 사이에 있어서 정지 작용하도록, 센터 플로트(20)와 사이드 플로트(21) 사이의 간극을 매립하도록 폭 넓게 형성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논에 가까운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절기(88)가, 사이드 플로트(21)의 횡축 코어(상하 요동 축심)(P)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절기(88)가, 상하 요동 축심(P)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동시에, 사이드 플로트(21)의 횡축 코어(P)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과 구절기(88) 사이의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1)로서, 지지 부재(89)와는 상이한 다른 전용의 부재를 이용해서 볼록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에 일체적으로 볼록부(91)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3) 구절기(88)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이고, 또한 사이드 플로트(21)의 전방부측 개소로부터 후단부에 이르기까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101)를 통해 사이드 플로트(21)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설명을 추가하면, 구절기(88)는 지지 부재(101)의 하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101)가 사이드 플로트(21)에 설치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절기(88)는, 전방부측 부분(88A)이 종단면 형상이 대략 V자형이 되고, 측면에서 볼때 대략 삼각 형상이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태에서, 판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측 부분(88B)은, 전방부측 부분(88A)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 대략 V자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판 형상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측 부분(88B)은 하단부에 있어서 좌우의 판 형상부 사이에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절기(88)는 전방부측 부분(88A)이 논에 홈을 형성하고, 후방부측 부분(88B)이 형성된 홈을 무너지지 않도록 보유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절기(88)와 복토판(30)이 차체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는 상태로 구비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구절기(88)와 복토판(30)에 의해, 시비용의 홈에 대한 복토 작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1)는, 띠형상의 판체의 전단측 개소가 측면에서 볼때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사이드 플로트(21)의 후단측을 끼워 넣어 보유 지지하는 상태로 지지되는 동시에, 전단측 개소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연결용 볼트(102)에 의해 지점 브래킷(81)과 함께 체결 연결하는 상태로 사이드 플로트(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1)의 전방부에 요동 규제 기구(83)를 구성하는 걸림 결합 부재(82)가 일체적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4)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센터 플로트(20)] 이외의 다른 정지 플로트로서, 3개 이상의 사이드 플로트(21)를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1개 또는 2개 이상의 사이드 플로트(21)에 구절기(8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어느 하나의 사이드 플로트(21)에 구절기(88)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그 경우, 구절기(88)를 구비하는 사이드 플로트(21)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가, 구절기(88)를 구비하지 않는 사이드 플로트(21)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센터 플로트(20) 및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21)의 저면을 논에 대하여 높이가 다르도록 상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6) 복토판(30)과 구절기(88)가, 차체 정면에서 볼 때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일부 중복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 대신에, 구절기(88)에 의한 진흙 누름 기능을 높임으로써, 복토판(30)을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정지 부재로서는, 레이크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평판 형상의 정지 부재여도 되고, 회전 구동식의 정지 롤러 등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전 작업기의 일례로서 직파기를 도시했지만, 전식기 등의 다른 종류의 수전 작업기여도 된다.
본 발명은 직파기나 전식기 등의 정지 플로트를 구비한 수전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20, 21, F : 정지 플로트
29 : 작홈기
30 : 복토판
88, 100 : 구절기
91 : 볼록부
P : 횡축 코어
29 : 작홈기
30 : 복토판
88, 100 : 구절기
91 : 볼록부
P : 횡축 코어
Claims (7)
-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상태이고, 또한 복수 중 어느 하나를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로 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 중 상기 작업 높이 검출용의 정지 플로트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정지 플로트에, 논에 배수용의 홈을 형성하는 구절기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는, 각각의 저면이 논에 대하여 동일 높이로 되도록 상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요동 범위가 설정 범위 내로 규제되는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구절기가 구비되는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가, 그것 이외의 정지 플로트에 있어서의 상하 요동 범위보다도 좁게 설정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가,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횡축 코어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절기가, 적어도 상기 횡축 코어보다도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태로,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 방향 후방측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플로트에, 논에 분립체를 공급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작홈기와, 홈 내에 분립체가 공급된 후에 홈을 다시 메우기 위한 복토판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상기 복토판보다도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구절기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판과 상기 구절기가, 차체 정면에서 볼 때 차체 횡폭 방향을 따라서 일부 중복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지 플로트의 저면과 상기 구절기의 단부 테두리 사이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의 양자의 접촉면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해서 상기 접촉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전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08728 | 2013-01-21 | ||
JP2013008728A JP5984690B2 (ja) | 2013-01-21 | 2013-01-21 | 水田作業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449A true KR20140094449A (ko) | 2014-07-30 |
KR102247422B1 KR102247422B1 (ko) | 2021-05-03 |
Family
ID=5117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5481A KR102247422B1 (ko) | 2013-01-21 | 2014-01-16 | 수전 작업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984690B2 (ko) |
KR (1) | KR102247422B1 (ko) |
CN (1) | CN10393130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86119A (zh) * | 2020-12-14 | 2021-04-02 | 湖南博川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 一种修复滨海盐碱化农用地土壤的设备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12076B2 (ja) * | 2014-06-30 | 2017-04-12 | 井関農機株式会社 | 播種機 |
CN104255125B (zh) * | 2014-09-28 | 2016-01-27 |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 插秧同步施肥开沟覆土装置 |
JP6579770B2 (ja) * | 2015-03-26 | 2019-09-25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JP6726125B2 (ja) * | 2016-03-28 | 2020-07-22 |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水田作業機 |
KR102431274B1 (ko) * | 2016-06-29 | 2022-08-11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수전 작업차 |
JP6941954B2 (ja) * | 2017-03-29 | 2021-09-29 | 株式会社クボタ | 植播系作業機 |
CN107409564A (zh) * | 2017-08-09 | 2017-12-01 | 河北锦禾农业机械有限公司 | 一种插秧机的承重式浮船 |
CN110199630A (zh) * | 2018-02-28 | 2019-09-06 | 株式会社久保田 | 乘坐型作业机 |
CN110199631A (zh) * | 2018-02-28 | 2019-09-06 | 株式会社久保田 | 乘坐型作业机 |
CN108834454B (zh) * | 2018-07-12 | 2023-10-13 |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 一种辊筒式压切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7112A (ja) * | 2002-09-10 | 2004-04-02 | Iseki & Co Ltd | 農作業機 |
JP2011030439A (ja) | 2009-07-29 | 2011-02-17 | Kubota Corp | 乗用型直播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5127A (ja) * | 1997-04-28 | 1998-11-10 | Kubota Corp | 乗用型田植機の昇降操作構造 |
JP4553430B2 (ja) * | 1999-11-30 | 2010-09-29 |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作溝器 |
JP5714822B2 (ja) * | 2010-01-15 | 2015-05-07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
2013
- 2013-01-21 JP JP2013008728A patent/JP5984690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1-16 KR KR1020140005481A patent/KR102247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1-21 CN CN201410027286.2A patent/CN10393130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97112A (ja) * | 2002-09-10 | 2004-04-02 | Iseki & Co Ltd | 農作業機 |
JP2011030439A (ja) | 2009-07-29 | 2011-02-17 | Kubota Corp | 乗用型直播機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86119A (zh) * | 2020-12-14 | 2021-04-02 | 湖南博川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 一种修复滨海盐碱化农用地土壤的设备 |
CN112586119B (zh) * | 2020-12-14 | 2023-06-23 | 湖南博川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 一种修复滨海盐碱化农用地土壤的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931309B (zh) | 2018-06-26 |
KR102247422B1 (ko) | 2021-05-03 |
JP2014138565A (ja) | 2014-07-31 |
CN103931309A (zh) | 2014-07-23 |
JP5984690B2 (ja) | 2016-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94449A (ko) | 수전 작업기 | |
JP5714822B2 (ja) | 水田作業機 | |
KR101149913B1 (ko) | 직파기 | |
JP2011142872A5 (ko) | ||
JP2008022721A (ja) | 施肥装置付き湛水直播機 | |
JP5839983B2 (ja) | 作業機 | |
KR20150057958A (ko) | 승용 수전 작업기 | |
JP5822714B2 (ja) | 作業機 | |
JP6157053B2 (ja) | 水田作業機 | |
KR101973927B1 (ko) | 무논 작업기 | |
JP5832270B2 (ja) | 水田作業機 | |
JP2014138566A (ja) | 水田作業機 | |
KR102673714B1 (ko) | 수전 작업기 | |
JP5464254B2 (ja) | 直播機 | |
JP5612315B2 (ja) | 水田作業機 | |
JP5822711B2 (ja) | 作業機のフレーム構造 | |
JP2012090527A (ja) | 作業機 | |
JP4635511B2 (ja) | 施肥装置付き苗移植機 | |
CN115666219A (zh) | 水田作业机 | |
JP2798162B2 (ja) | 施肥装置付田植機 | |
KR102646310B1 (ko) | 수전 작업기 | |
JP5309721B2 (ja) | 苗移植機 | |
JPH018085Y2 (ko) | ||
JPH0441962B2 (ko) | ||
JP2019154443A (ja) | 水田作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